KR20220142278A - 장갑에 부착 가능한 ems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장갑에 부착 가능한 ems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42278A KR20220142278A KR1020210048790A KR20210048790A KR20220142278A KR 20220142278 A KR20220142278 A KR 20220142278A KR 1020210048790 A KR1020210048790 A KR 1020210048790A KR 20210048790 A KR20210048790 A KR 20210048790A KR 20220142278 A KR20220142278 A KR 202201422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ercise
- user
- ems
- body fat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0577 adipos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34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갑에 부착 가능한 EMS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갑에 부착 가능한 EMS 디바이스는 EMS 자극을 생성하는 EMS 제어부와 장갑에 부착되기 위한 부재 및/또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갑에 부착 가능한 EMS 디바이스는 EMS 자극을 생성하는 EMS 제어부와 장갑에 부착되기 위한 부재 및/또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적 근육 자극(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을 이용하는 트레이닝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전기적 근육 자극)을 이용한 근육 트레이닝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EMS는 기 설정된 주파수의 미세 전류가 근육을 자극하는 방식으로써, 근육 자극에 의해 트레이닝 효과가 커질 수 있다.
EMS 트레이닝 장치는 가정에서 개인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지만, 주로 피트니스 센터에서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트레이너는 EMS 트레이닝 장치에 의해 전기 자극이 제공되는 운동 부위 별로, 최대의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운동 동작을 지도하고, EMS 트레이닝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는 트레이너의 지도 동작을 따라 운동한다.
본 발명은 전기적 근육 자극을 이용하는 EMS 트레이닝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운동 부위의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운동 동작을 콘텐츠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EMS 트레이닝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갑에 부착 가능한 EMS 디바이스는 EMS 자극을 생성하는 EMS 제어부와 장갑에 부착되기 위한 부재 및/또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지방을 분석하는 체지방 분석 장치; 상기 체지방 분석 장치의 체지방 분석 결과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의 운동 부위로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EMS 트레이닝 장치; 및 상기 선택된 운동 부위에 대한 운동 동작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EMS 트레이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복수의 전기 자극 출력부; 상기 사용자의 운동 부위를 선택하는 운동 부위 선택부; 및 상기 복수의 전기 자극 출력부 중에서, 상기 선택된 운동 부위에 위치하는 전기 자극 출력부로 전기 자극을 공급하는 전기 자극 공급부를 포함하는 EMS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EMS 트레이닝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운동 부위에 대한 운동 동작이 콘텐츠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트레이너 이용 비용을 줄이면서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EMS 트레이닝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별로 개인화된 운동 동작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S 트레이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체지방 분석 장치(110)는 사용자의 체지방을 분석한다. 체지방 분석 장치(110)는 사용자의 부위 별로 체지방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일예로서, 사용자의 오른팔, 오른다리, 왼팔, 왼다리, 몸통 부위의 5가지 부위 별로 체지방을 분석할 수 있다.
EMS 트레이닝 장치(120)는 체지방 분석 장치의 분석 결과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의 운동 부위로 전기 자극을 제공한다.
EMS 트레이닝 장치(120)는 전기 자극 출력부(121) 및 전기 자극 공급부(123)를 포함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수트(suit) 형태일 수 있다.
전기 자극 출력부(121)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접촉 부위에 전기 자극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오른팔, 오른다리, 왼팔, 왼다리, 몸통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자극 공급부(123)는 복수의 전기 자극 출력부 중에서, 선택된 운동 부위에 위치하는 전기 자극 출력부로 전기 자극을 공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EMS 트레이닝 장치(120)는 사용자의 운동 부위를 선택하는 운동 부위 선택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127)는 체지방 분석 장치(110)로부터 사용자의 체지방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운동 부위 선택부(125)는 체지방 분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운동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정보 수신부(127)는 관리 서버 또는 체지방 분석 장치(110)로부터 사용자의 체지방 분석 결과에 따른 운동 부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운동 부위 선택부(125)는 운동 부위 정보에 따라서, 전기 자극을 제공할 운동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체지방 분석 결과에 따른 운동 부위는 실시예에 따라서, 체지방 분석 장치(110), EMS 트레이닝 장치(120) 및 관리 서버(13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며, 체지방 분석 결과, 체지방이 상대적으로 많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 또는 체지방이 가장 많은 부위 등이 운동 부위로 선택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선택된 운동 부위에 대한 운동 동작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운동 동작 콘텐츠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제작되어 관리 서버(130)에 저장될 수 있다.
운동 동작 콘텐츠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선택된 운동 부위의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운동 동작에 관한 콘텐츠이다. 운동 동작 콘텐츠는 운동 부위 각각에 대한 별도의 운동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복수의 운동 부위에 전기 자극이 제공되는 경우 복수의 운동 부위 모두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운동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40)로 운동 동작 콘텐츠를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운동 동작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의 운동 부위로 전기 자극이 제공되는 경우, 운동 동작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운동 동작 콘텐츠는 EMS 트레이닝 장치(120)의 전기 자극 신호와 동기화되어, 전기 자극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EMS 트레이닝 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전기 자극 제공 요청이 있을 경우, 전기 자극 제공 요청 사실을 관리 서버(130)로 전달하거나 또는 관리 서버(130)로 콘텐츠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EMS 트레이닝 장치(120)는 선택된 운동 부위 정보를 관리 서버(130)로 전송함으로써, 관리 서버(130)가 사용자에게 제공할 운동 동작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13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체지방 분석 장치(110)로부터 제공된 체지방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EMS 트레이닝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운동 부위에 대한 운동 동작이 콘텐츠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트레이너 이용 비용을 줄이면서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관리 서버(130)는 운동 동작 콘텐츠 제공 이외에, 사용자의 운동 이력, 체지방 변화, 근육량 변화 등에 관한 개인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개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지방 분석 장치(110)는 체지방 분석 결과를 관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130)는 운동 동작 콘텐츠 제공 횟수에 따라서 사용자의 운동 횟수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운동 동작 콘텐츠는 사용자의 운동 횟수나 체지방에 따라서 서로 다른 내용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의 운동 횟수 또는 체지방에 따라서, 서로 다른 내용의 운동 동작 콘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운동 횟수가 증가할수록 다음 단계의 운동 동작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운동 횟수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체지방이 감소하지 않는 경우, 보다 높은 강도의 운동 동작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EMS 트레이닝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별로 개인화된 운동 동작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체지방 분석 장치(110)는 사용자의 체지방을 측정(S310)하고, 사용자의 부위별 체지방 측정 결과를 EMS 트레이닝 장치(120)로 전송(S320)한다.
EMS 트레이닝 장치(120)는 사용자의 부위별 체지방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운동 부위를 선택(S330)한다. EMS 트레이닝 장치(120)는 일실시예로서, 체지방이 가장 높은 부위를 운동 부위로 선택하거나 또는 체지방이 임계값 이상인 하나 이상의 부위를 운동 부위로 선택할 수 있다.
EMS 트레이닝 장치(120)는 선택된 운동 부위로 전기 자극을 제공(S340)한다. EMS 트레이닝 장치(120)는 선택된 운동 부위가 복수개일 경우, 복수의 운동 부위로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EMS 트레이닝 장치(120)는 선택된 운동 부위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130)로 제공하며, 선택된 운동 부위에 대한 운동 동작 콘텐츠 제공을 관리 서버(130)로 요청(S350)한다.
관리 서버(130)는 선택된 운동 부위에 대한 운동 동작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S360)한다.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의 운동 횟수 또는 체지방 분석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운동 동작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으며, 운동 동작 콘텐츠의 재생 시간은, 전기 자극이 운동 부위에 제공되는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자극을 생성하는 EMS 제어부; 및
장갑에 부착되기 위한 부재 및/또는 수단; 을 포함하는,
장갑에 부착 가능한 EMS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8790A KR20220142278A (ko) | 2021-04-14 | 2021-04-14 | 장갑에 부착 가능한 ems 디바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8790A KR20220142278A (ko) | 2021-04-14 | 2021-04-14 | 장갑에 부착 가능한 ems 디바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2278A true KR20220142278A (ko) | 2022-10-21 |
Family
ID=8380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8790A Pending KR20220142278A (ko) | 2021-04-14 | 2021-04-14 | 장갑에 부착 가능한 ems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42278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7839A (ko) | 2004-06-09 | 2006-05-18 | 이토쵸탄파 가부시키가이샤 | 근육트레이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2021
- 2021-04-14 KR KR1020210048790A patent/KR20220142278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7839A (ko) | 2004-06-09 | 2006-05-18 | 이토쵸탄파 가부시키가이샤 | 근육트레이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051780A1 (en) | System, Mobile Application and Process for an Advanced Recovery Device | |
US10446051B2 (en) | Interactive cognitive-multisensory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s for assessing, profiling, training, and improving performance of athletes and other populations | |
US10226396B2 (en) | Post workout massage device | |
Fitzgerald et al. | Development of a wearable motion capture suit and virtual reality biofeedback system for the instruction and analysis of sports rehabilitation exercises | |
KR20190014633A (ko) | Ems 트레이닝 장치 및 시스템 | |
US20220287909A1 (en) | Vibrating garment assembly including linear motors | |
CN106617906A (zh) | 智能床垫的控制方法及装置 | |
CN108565001A (zh) | 运动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CN113035314A (zh) | 一种康复治疗系统、方法、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 |
US20170348583A1 (en) | Wearable technology for enhancing kinesthetic performance | |
KR20210083684A (ko) | Ems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
US20190091513A1 (en) | Motion correction apparatus | |
KR20200133458A (ko) | 전기적 근육 자극 트레이닝 시스템 | |
KR102702903B1 (ko) | 모션캡쳐 및 햅틱 피드백을 이용한 자세교정, 재활 및 운동치료 시스템 및 방법 | |
Faltaous et al. | EMStriker: Potentials of enhancing the training process of racket-based sports via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 |
KR20210145997A (ko) | 전기 자극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220142278A (ko) | 장갑에 부착 가능한 ems 디바이스 | |
KR20220142280A (ko) | Ems 디바이스가 장착된 트레이닝 장갑 | |
Peeters et al. | Vibrotactile feedback during physical exercise: perception of vibrotactile cues in cycling | |
WO2024236418A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mmersive and interactive fitness experience to a user | |
Siegel et al. | Adaptive difficulty with dynamic range of motion adjustments in exergames for parkinson’s disease patients | |
Lu et al. | Haptic feedback in running: Is it possible for information transfer through electrical muscle signalling? | |
Oh et al. | Location-based electrotactile feedback localizes hitting point in virtual-reality table tennis game | |
KR20220142281A (ko) | 웨어러블 ems 장갑 | |
KR20220142283A (ko) | 장갑 착용자의 체내에 건강 목적의 전기를 흐르게 하는 ems 디바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