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1177B1 - 백색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백색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177B1
KR100691177B1 KR1020050046478A KR20050046478A KR100691177B1 KR 100691177 B1 KR100691177 B1 KR 100691177B1 KR 1020050046478 A KR1020050046478 A KR 1020050046478A KR 20050046478 A KR20050046478 A KR 20050046478A KR 100691177 B1 KR100691177 B1 KR 100691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substrate
semiconductor layer
emitting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4510A (ko
Inventor
김민호
마사요시 코이케
민경익
조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177B1/ko
Priority to JP2006150267A priority patent/JP4699287B2/ja
Priority to US11/442,961 priority patent/US7514720B2/en
Priority to CNB2006100831000A priority patent/CN100561759C/zh
Publication of KR20060124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177B1/ko
Priority to US12/399,619 priority patent/US7935974B2/en
Priority to JP2010253685A priority patent/JP5512493B2/ja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H20/00
    • H01L25/0756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elem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0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5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die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01L2224/491Disposition
    • H01L2224/49105Connecting at different heights
    • H01L2224/49107Connecting at different heights o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H01L2224/85909Post-treatment of the connector or wire bonding area
    • H01L2224/8592Applying permanent coating, e.g. protective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H2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 H10H20/018Bonding of waf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6Bodies having carrier transport control structures, e.g. highly-doped semiconductor layers or current-blocking structures
    • H10H20/8162Current-block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9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s
    • H10H20/82Roughened surfaces, e.g. at the interface between epitaxial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ed Devi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퍼 본딩 또는 메탈본딩을 이용한 모놀리식 백색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전도성 서브마운트 기판과, 상기 서브마운트 기판 상에 금속층에 의해 접합되며, 아래로부터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제1 활성층, n형 질화물 반도체층 및 전도성 기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제1 발광부와, 상기 전도성 기판 상면 중 일영역 상에 형성되며, 아래로부터 p형 AlGaInP계 반도체층, 제2 활성층 및 n형 AlGaInP계 반도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제2 발광부와, 상기 전도성 서브마운트 기판의 하면과 상기 n형 AlGaInP계 반도체층 상면에 각각 형성된 p측 및 n측 전극을 포함하는 백색 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백색 발광소자(white light emitting device), 웨이퍼본딩(wafer bonding), 모놀리식 소자(monolithic device)

Description

백색 발광소자{WHITE LIGHT EMITTING DEVICE}
도1은 종래의 형광체를 이용한 백색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백색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a 내지 도3h는 도2의 백색발광소자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공정별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백색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백색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제1 발광부 22: n형 질화물 반도체층
24,25: 청색 및 녹색 활성층 26: p형 질화물 반도체층
27: 전류차단층 28: 고반사성 금속층
31: 실리콘 서브마운트기판 32: p측 공통전극
40: 제2 발광부 41: GaAs기판
42: n형 AlGaInP계 반도체층 45: 적색 활성층
46: p형 AlGaInP계 반도체층 49: n측 공통전극
본 발명은 백색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적어도 2개의 다른 파장광을 발광하는 다수의 활성층을 단일 소자형태로 구현한 모놀리식 백색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를 이용한 백색 발광소자는 조명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백색 발광 소자의 구현방안은 개별 LED로 제조된 청색, 적색 및 녹색 LED를 단순 조합하는 방식과 형광체를 이용하는 방식이 널리 알려져 있다. 다색의 개별 LED를 동일한 인쇄회로기판에 조합하는 방식은 이를 위한 복잡한 구동회로가 요구되며, 그에 따라서 소형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형광체를 이용한 백색 발광소자 제조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종래의 형광체를 이용한 백색 발광소자 제조방법으로는, 청색 발광소자를 이용하는 방법과 자외선 발광소자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청색 발광소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YAG 형광체를 이용하여 청색광을 백색광으로 파장 변환한다. 즉, 청색 LED로부터 발생된 청색파장이 YAG(Yittrium Aluminum Garnet)형광체를 여기시켜 최종으로 백색광을 발광시킬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YAG형광체를 이용한 백색 발광소자(10)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a을 참조하면, 상기 리드프레임(2)의 캡에 실장된 InGaN계 청색 LED(9)와 상기 캡 내부에서 청색 LED(9)주위를 둘러싼 YAG 형광체(5)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청색 LED(9)는 캡구조를 갖는 양극 리드프레임(2)과 음극 리드플레임(4)에 와이어로 각각 연결되며, 청색 LED(10)가 위치한 전체 리드프레임(2,4) 상부는 투명한 재질(7)로 몰딩된다.
상기 리드프레임(2,4)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어 InGaN계 청색 LED(9)로부터 청색광이 발광되면, 그 일부의 청색광은 YAG 형광체(5)를 여기시킨다. 이 때에 YAG형광체는 InGaN 청색 LED(10)의 피크파장인 460㎚에서 여기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황록색의 형광으로 발광한다. 이와 같이 YAG 형광체(5)를 통해 얻어진 황록색의 형광은 청색 LED(9)로부터 직접 발산되는 다른 일부의 청색광과 합성되어, 최종적으로 백색광을 발광하게 된다.
도1에 도시된 종래의 백색 발광소자는 RGB에 해당하는 각 LED를 조합하는 형태에서 요구되는 전류조절이 필요하지 않다는 잇점이 있으나, 형광체분말에 의한 소자특성의 불이익한 영향이 발생되거나, 형광체 여기시 광효율이 감소하고 색보정지수가 저하되어 우수한 색감을 얻을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웨이퍼 본딩 또는 메탈본딩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파장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부를 단일한 칩형태로 접합시킨 새로운 백색 발광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도성 서브마운트 기판과, 상기 서브마운트 기판 상에 금속층에 의해 접합되며, 아래로부터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제1 활성층, n형 질화물 반도체층 및 전도성 기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제1 발광부와, 상기 전도성 기판 상면 중 일영역 상에 형성되며, 아래로부터 p형 AlGaInP계 반도체층, 제2 활성층 및 n형 AlGaInP계 반도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제2 발광부와, 상기 전도성 서브마운트 기판의 하면과 상기 n형 AlGaInP계 반도체층 상면에 각각 형성된 p측 및 n측 전극을 포함하는 백색 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발광부의 전도성 기판과 상기 제2 발광부의 p형 반도체층은 직접 웨이퍼 본딩에 의해 접합되며, 이 경우에, 상기 p측 및 n측 전극은 상기 제1 및 제2 발광부의 공통전극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발광부의 p형 질화물 반도체층에는 상기 제2 발광부가 형성된 영역과 수직방향으로 중첩된 영역에 상기 서브마운트 기판과 접하는 표면을 따라 형성된 전류차단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류차단층은 n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이거나,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인 절연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발광부의 전도성 기판 중 상기 일영역에 형성된 절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층 상에 상기 제2 발광부의 p형 반도체층은 추가적인 금속층에 의해 접합된다. 이 경우에, 상기 추가적인 금속층에 접속된 p측 전극과 상기 전도성 기판 상에 접속된 n측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발광부는 관련된 개별 전극을 독립적으로도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금속층 또는 상기 추가적인 금속층은 알루미늄(Al), 은(Ag), 로듐(Rh), 루테늄(Ru), 백금(Pt), 팔라듐(Pd) 및 그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고반사성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서브마운트 기판은 p형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백색 발광을 위해 상기 제1 발광부로부터충분한 광추출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제2 발광부가 형성된 상면 면적은 상기 전도성 기판 중 나머지 영역의 상면 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도성 기판 중 상기 제2 발광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면영역에 제1 발광부의 광추출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요철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2파장광을 조합하여 백색광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활성층은 약 450∼475㎚의 파장광을 생성하며, 상기 제2 활성층은 약 550∼600㎚의 파장광을 생성한다. 이와 달리, 제1 발광부의 제1 활성층을 다른 파장광을 방출하는 2개의 활성층으로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3파장광을 조합하여 백색광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활성층은 각각 약 450∼475㎚의 파장광과 약 510∼535㎚의 파장광을 생성하는 2개의 활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활성층은 약 600∼635㎚의 파장광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제1 발광부를 플립칩 형태로 서브마운트기판에 실장하는 형태이다. 본 실시형태는, 제1 발광부에 사용되는 기판이 사파이어와 같은 절연성 기판인 경우에 유익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백색 발광소자는 상면에 p측 리드단자와 n측 리드단자가 형성된 서브마운트 기판과, 아래로부터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제1 활성층, n형 질화물 반도체층 및 절연성 기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p형 및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은 각각 상기 p측 및 n측 리드 단자에 각각 연결된 제1 발광부와, 상기 전도성 기판 상면 중 일영역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의 일영역 상에 접합되며, 아래로부터 p형 AlGaInP계 반도체층, 제2 활성층 및 n형 AlGaInP계 반도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제2 발광부와, 상기 금속층의 다른 영역과 상기 절연성 기판의 다른 영역 상에 각각 형성된 p측 및 n측 전극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백색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백색 발광소자(50)는 전도성 서브마운트 기판(31)과, 서로 다른 파장광을 방출하는 제1 및 제2 발광부(20,40)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서브마운트 기판(31)은 p형 불순물로 도프된 실리콘일 수 있으며, 그 하면에 p측 공통전극(3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발광부(20)는 질화물 적층구조로서 아래로부터 p형 질화물 반도체층(26), 2개의 질화물계 활성층(24,25), n형 질화물 반도체층(23) 및 전도성 기판(21)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발광부(20)는 그 p형 질화물 반도체층(26)이 서브마운트 기판(31) 상에 금속층(28)에 의해 접합된다. 상기 금속층(32)은 Au-Sn, Sn, In, Au-Ag 및 Pb-Sn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통상의 접합용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층(28)은 고반사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반사성 금속은 통상의 접합용 금속을 대체하거나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반사성 금속으로는 알루미늄(Al), 은(Ag), 로듐(Rh), 루테늄(Ru), 백금(Pt), 팔라듐(Pd) 및 그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부(40)는 상기 전도성 기판(21) 상면 중 일영역 상에 형성되 며, 아래로부터 p형 AlGaInP계 반도체층(46), AlGaInP계 활성층(45) 및 n형 AlGaInP계 반도체층(42)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 발광부(40)가 형성되는 면적은 제1 발광부(30)의 광추출영역을 충분히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전도성 기판(21) 중 나머지 영역의 상면 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전도성 기판(21) 중 상기 제2 발광부(40)가 형성되지 않은 상면영역에는 요철패턴(21a)을 형성하여 제1 발광부(20)의 광추출효율을 보다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백색 발광소자(50)는 상기 제1 발광부(20)와 상기 제2 발광부(40)의 파장광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얻을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발광부(20)의 2개의 활성층(24,25)은 각각 약 450∼475㎚의 파장광과 약 510∼535㎚의 파장광을 생성하며, 상기 제2 발광부(40)의 활성층(45)은 약 600∼635㎚의 파장광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발광부(20)에 약 450∼475㎚의 파장광으로 생성하는 하나의 활성층만을 채용하고, 제2 발광부(40)의 활성층을 약 550∼600㎚의 파장광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서브마운트 기판(31)의 하면에 형성된 p측 전극(32)과 상기 n형 AlGaInP계 반도체층(42) 상면에 형성된 n측 전극(49)은 각각 제1 발광부(20)와 제2 발광부(40)의 공통전극으로 사용된다.
상기 제1 발광부(20)는 p형 질화물 반도체층(26) 상면의 특정영역에 전류차단층(27)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백색 발광소자(50)에서, 전류차단층은 상기 제1 발광부(20)의 전류분산효과를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발광부(20)는 상기 제2 발광부(40)에 형성된 n측 전극(49)을 공유하며, 상기 제2 발광부(40)는 제1 발광부(20)의 일측 일부영역에 비교적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므로, 제1 발광부(20)에서의 전류경로가 매우 편향되며, 그 결과 충분한 전류분산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전류차단층(27)을 제2 발광부(40) 위치에 대응되는 p형 질화물반도체층(26)영역에 형성함으로써,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류경로를 우회시켜 제1 발광부(20)의 발광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전류차단층(27)은 p형 질화물 반도체층(26) 상면에 n형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하거나,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층을 선택적으로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3a 내지 도3h는 도2의 백색 발광소자(50)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공정별 단면도이다.
도3a와 같이, 제1 발광부(20)로서 전도성 기판(21) 상에 n형 질화물 반도체층(22), 활성층(24,25)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26)을 형성한다. 상기 전도성 기판(21)으로는 바람직하게 n형 불순물로 도프된 GaN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 도3b와 같이,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26) 상면의 일부영역에 전류차단층(27)을 형성한다. 상기 전류차단층(27)이 형성되는 영역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발광부가 형성될 영역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된 영역에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류차단층(27)은 해당영역을 소정의 깊이로 에칭한 후에,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층을 선택적으로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p형 질화물 반도체층(26)의 해당영역을 n형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3c와 같이,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26) 상에 금속층(28)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층(28)은 Au-Sn, Sn, In, Au-Ag 및 Pb-Sn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통상의 접합용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층(28)으로 통상의 접합용 금속을 대체하거나 조합하여 고반사성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고반사성 금속으로는 알루미늄(Al), 은(Ag), 로듐(Rh), 루테늄(Ru), 백금(Pt), 팔라듐(Pd) 및 그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어, 도3d와 같이, 상기 금속층(28)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발광부(20)를 전도성 서브마운트기판(31) 상에 접합시킨다. 전도성 서브마운트기판(31)으로는 실리콘 기판 또는 금속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메탈본딩공정은 열팽창에 의한 제1 발광부(20)의 결함발생이 방지되도록, 60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3e와 같이, AlGaInP계 반도체로 구성된 제2 발광부(40)를 상기 전도성 기판(21) 상면에 접합시킨다. 상기 제2 발광부(40)는 GaAs기판(41) 상에 n형 AlGaInP계 반도체층(43), 제2 활성층(45) 및 p형 AlGaInP계 반도체층(46)을 순차적으로 증착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본 공정은 웨이퍼레벨에서 실행되는 웨이퍼본딩공정일 수 있다. 상기 웨이퍼본딩공정은 열팽창에 의한 응력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통상적인 웨이퍼융합온도보다 낮게 실시한다. 이러한 저온 웨이퍼본딩공정은 본딩전에 각 웨이퍼의 접합면을 플라즈마처리하여 표면에너지를 증가시켜 낮은 온도(실온∼400℃)에서 접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어, 도3f와 같이, 상기 제2 발광부(40)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미리 마련된 전류차단층(27)에 대응하는 전도성 기판(21)의 상면영역에 한하여 상기 제2 발광부(40)를 잔류시킨다. 이러한 제거공정은 습식에칭공정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공정에서 노출된 전도성 기판(21)의 상면영역과 상기 제2 발광부(40)의 잔류영역의 면적은 질화물계인 제1 발광부(20)와 AlGaInP계 제2 발광부(40)의 각 발광효율과, 백색광의 구현을 위한 각 파장광의 휘도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AlGaInP계 제2 발광부(40)의 효율이 우수하며, 백색광에서 원하는 적색광 비율이 적으므로, 전도성 기판(21)의 노출영역이 상기 제2 발광부(40)의 잔류영역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3g와 같이, 상기 전도성 기판(21)의 노출면에 요철패턴(21a)을 형성한다. 상기 요철패턴(21a)은 상기 제1 발광부(20)의 광추출효율을 개선하기 위 한 수단으로 채용된다. 이러한 요철패턴(21a)의 형성공정은 ICP공정과 같은 통상의 드라이에칭공정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2 발광부(40)로부터 GaAs기판(41)을 제거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상기 GaAs기판(41)은 광투과율이 낮으므로, 제2 발광부(40)로부터 방출되는 적색광의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GaAs기판 제거공정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습식공정으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끝으로, 도3h와 같이, 전도성 서브마운트기판(31)의 하면과 제2 발광부(40)의 n형 반도체층(43) 상에 각각 p측 전극(32) 및 n측 전극(49)을 형성한다. 상기 p측 전극(32) 및 n측 전극(49)은 상기 제1 발광부(20) 및 제2 발광부(40)의 공통전극으로서 제공된다.
상술된 실시형태는 각 전극을 공통전극으로 사용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도4와 같이 각 발광부가 개별적으로 구동되도록, 전극이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백색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백색 발광소자(90)는 전도성 서브마운트 기판(71)과, 서로 다른 파장광을 방출하는 제1 및 제2 발광부(60,80)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서브마운트 기판(71)은 p형 불순물로 도프된 실리콘 또는 금속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부(60)는 질화물 적층구조로서 아래로부터 p형 질화물 반도체 층(66), 2개의 질화물계 활성층(64,65), n형 질화물 반도체층(62) 및 전도성 기판(61)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기판(61)은 전도성을 갖는 GaN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부(60)는 그 p형 질화물 반도체층(66)이 서브마운트 기판(71) 상에 제1 금속층(78)에 의해 접합된다.
상기 제1 금속층(78)은 Au-Sn, Sn, In, Au-Ag 및 Pb-Sn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통상의 접합용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금속층(78)은 고반사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반사성 금속은 알루미늄(Al), 은(Ag), 로듐(Rh), 루테늄(Ru), 백금(Pt), 팔라듐(Pd) 및 그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발광부(80)가 형성될 전도성 기판(61)의 상면영역에는 절연층(77)이 추가로 형성된다. 상기 절연층(77)은 상기 제1 발광부(60)와 상기 제2 발광부(80)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제1 발광부(60)의 광추출영역을 충분히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절연층(77)의 형성면적은 상기 전도성 기판(71)의 나머지 상면 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층(77) 상에는 제2 금속층(78)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금속층(78)은 상기 제1 금속층(68)과 유사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부(80)는 상기 제2 금속층(81) 상면 중 일부영역 상에 형성되며, 아래로부터 p형 AlGaInP계 반도체층(86), AlGaInP계 활성층(85) 및 n형 AlGaInP계 반도체층(83)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전도성 기판(61) 중 상기 제2 발광부(80)가 형성되지 않은 상면영역에는 요철패턴(61a)을 형성하여 제1 발광부(60)의 광추출효율을 보다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제1 발광부(60)와 상기 제2 발광부(80)는 각각 독립적인 구동전극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부(60)에는, 상기 전도성 서브마운트 기판(61)의 하면에 형성된 제1 p측 전극(72)과 상기 전도성 기판의 다른 일영역에 형성된 제1 n측 전극(69)을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 발광부(80)에는, 상기 제2 금속층(78)의 일영역에 형성된 제2 p측 전극(88)과 상기 n형 AlGaInP계 반도체층(82) 상면에 형성된 제2 n측 전극(89)가 제공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은 전극배열을 통해 각 제1 발광부(60) 및 제2 발광부(80)는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도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비해 직렬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어 구동전압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백색 발광소자(90)는 도2에서 설명된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상기 제1 발광부(60)와 상기 제2 발광부(70)의 파장광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얻을 수 있다.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제1 발광부(60)의 2개의 활성층(64,65)은 각각 약 450∼475㎚의 파장광과 약 510∼535㎚의 파장광을 생성하며, 상기 제2 발광부(80)의 활성층(85)은 약 600∼635㎚의 파장광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발광부에 사용되는 기판이 사파이어기판과 같은 비전도성인 투명기판인 경우에도 유익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발광부는 서브마운트기판에 플립칩본딩된 구조를 갖는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 중 제1 발광부의 기판이 비전도성기판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백색 발광소자(130)는 서브마운트 기판(131)과, 서로 다른 파장광을 방출하는 제1 및 제2 발광부(120,140)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마운트 기판(131)은 상면에 p측 리드전극(132a), n측 리드전극(132b)을 포함하며, 기판(131)은 실리콘 기판 또는 금속 기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통상의 실리콘 기판에 열산화층(미도시)을 형성한 후에 전기적으로 분리된 리드전극(132a,132b)을 증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부(120)는 아래로부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26), 2개의 질화물계 활성층(124,125),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3) 및 절연성 기판(121)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3)의 일부영역이 노출되도록 메사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절연성 기판(121)은 사파이어기판일 수 있다.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26) 상에는 상기 제1 금속층(128)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금속층(128)은 고반사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반사성 금속은 알루미늄(Al), 은(Ag), 로듐(Rh), 루테늄(Ru), 백금(Pt), 팔라듐(Pd) 및 그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일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층(128)과 p형 질화 물 반도체층(126) 사이에는 별도의 오믹콘택층(미도시)이 추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u가 도프된 In2O3과 같은 투과성 산화물층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부(120)는 상기 서브마운트기판(131) 상에 플립칩 본딩된다. 즉,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126)과 노출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122)은 각각 p측 및 n측 리드전극(132a,132b)에 범프솔더(S)에 의해 접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발광부(140)가 형성될 절연성 기판(121)의 상면영역에는 제2 금속층(138)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발광부(120)의 기판(121)은 전기적 절연성을 가지므로, 상기 제2 금속층(138)은 그 기판(121) 상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금속층(138)의 형성면적은 제1 발광부(120)의 광추출영역을 충분히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기판(121)의 나머지 상면 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발광부(140)는 상기 제2 금속층(128) 상면 중 일부영역 상에 형성되며, 아래로부터 p형 AlGaInP계 반도체층(146), AlGaInP계 활성층(145) 및 n형 AlGaInP계 반도체층(143)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절연성 기판(121) 중 상기 제2 발광부(140)가 형성되지 않은 상면영역에는 요철패턴(121a)을 형성하여 제1 발광부(120)의 광추출효율을 보다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제1 발광부(120)와 상기 제2 발광부(140)는 각각 독 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부(120)는 상기 서브마운트 기판(131)의 상면에 마련된 각 리드전극(132a,132b)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2 발광부(140)는, 상기 제2 금속층(138)의 일영역에 형성된 p측 전극(148)과 상기 n형 AlGaInP계 반도체층(142) 상면에 형성된 n측 전극(149)가 제공된다. 물론, 백색광을 구현하기 위해서 동시에 구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웨이퍼본딩 및/또는 메탈본딩공정을 이용하여 2개의 발광부를 일체로 접합시킴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공정을 통해 원하는 모놀리식 백색 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형광체를 이용하지 않고, 서로 다른 파장광을 갖는 발광부를 이용하므로, 형광체로 인한 단점이 배제된 우수한 백색효율을 갖는 백색 발광소자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0)

  1. 전도성 서브마운트 기판;
    상기 서브마운트 기판 상에 금속층에 의해 접합되며, 아래로부터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제1 활성층, n형 질화물 반도체층 및 전도성 기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제1 발광부;
    상기 전도성 기판 상면 중 일영역 상에 형성되며, 아래로부터 p형 AlGaInP계 반도체층, 제2 활성층 및 n형 AlGaInP계 반도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제2 발광부; 및
    상기 전도성 서브마운트 기판의 하면과 상기 n형 AlGaInP계 반도체층 상면에 각각 형성된 p측 및 n측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p측 및 n측 전극은 상기 제1 및 제2 발광부의 공통전극이며,
    상기 제1 발광부의 p형 질화물 반도체층에는 상기 제2 발광부가 형성된 영역과 수직방향으로 중첩된 영역에 상기 서브마운트 기판과 접하는 표면을 따라 형성된 전류차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발광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의 전도성 기판과 상기 제2 발광부의 p형 AlGaInP계 반도체층은 직접 웨이퍼 본딩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발광소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차단층은 n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발광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차단층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발광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의 전도성 기판 중 상기 일영역에 형성된 절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층 상에 상기 제2 발광부의 p형 반도체층은 추가적인 금속층에 의해 접합되며,
    상기 추가적인 금속층에 접속된 p측 전극과 상기 전도성 기판 상에 접속된 n측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발광소자.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 또는 상기 추가적인 금속층은 알루미늄(Al), 은(Ag), 로듐(Rh), 루테늄(Ru), 백금(Pt), 팔라듐(Pd) 및 그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고 반사성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백색 발광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서브마운트 기판은 p형 실리콘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발광소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부가 형성된 상면 면적은 상기 전도성 기판 중 나머지 영역의 상면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발광소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기판 중 상기 제2 발광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면영역에는 요철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발광소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층은 약 450∼475㎚의 파장광을 생성하며, 상기 제2 활성층은 약 550∼600㎚의 파장광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발광소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층은 각각 약 450∼475㎚의 파장광과 약 510∼535㎚의 파장광 을 생성하는 2개의 활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활성층은 약 600∼635㎚의 파장광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발광소자.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50046478A 2005-05-31 2005-05-31 백색 발광소자 Expired - Lifetime KR10069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478A KR100691177B1 (ko) 2005-05-31 2005-05-31 백색 발광소자
JP2006150267A JP4699287B2 (ja) 2005-05-31 2006-05-30 白色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442,961 US7514720B2 (en) 2005-05-31 2006-05-31 White light emitting device
CNB2006100831000A CN100561759C (zh) 2005-05-31 2006-05-31 白光发射器件
US12/399,619 US7935974B2 (en) 2005-05-31 2009-03-06 White light emitting device
JP2010253685A JP5512493B2 (ja) 2005-05-31 2010-11-12 白色発光素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478A KR100691177B1 (ko) 2005-05-31 2005-05-31 백색 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510A KR20060124510A (ko) 2006-12-05
KR100691177B1 true KR100691177B1 (ko) 2007-03-09

Family

ID=3746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478A Expired - Lifetime KR100691177B1 (ko) 2005-05-31 2005-05-31 백색 발광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514720B2 (ko)
JP (2) JP4699287B2 (ko)
KR (1) KR100691177B1 (ko)
CN (1) CN10056175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354A1 (ko) * 2020-12-04 2022-06-09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혼색 발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1833B2 (en) 2001-07-23 2007-05-01 Cree, Inc. Light emitting diodes including barrier layers/sublayers
US7795623B2 (en) * 2004-06-30 2010-09-14 Cree, Inc.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current reducing structures and methods of forming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current reducing structures
US7557380B2 (en) 2004-07-27 2009-07-07 Cree, Inc.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a reflective bond pad and methods of fabricating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reflective bond pads
US8174037B2 (en) * 2004-09-22 2012-05-08 Cree, Inc. High efficiency group III nitride LED with lenticular surface
US7737459B2 (en) * 2004-09-22 2010-06-15 Cree, Inc. High output group III nitride light emitting diodes
US7335920B2 (en) * 2005-01-24 2008-02-26 Cree, Inc. LED with current confinement structure and surface roughening
KR101008285B1 (ko) * 2005-10-28 2011-01-13 주식회사 에피밸리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JP5082504B2 (ja) * 2006-03-31 2012-11-28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素子及び発光素子の製造方法
TWI460881B (zh) 2006-12-11 2014-11-11 Univ California 透明發光二極體
US8148733B2 (en) * 2007-06-12 2012-04-03 SemiLEDs Optoelectronics Co., Ltd. Vertical LED with current guiding structure
US7759670B2 (en) * 2007-06-12 2010-07-20 SemiLEDs Optoelectronics Co., Ltd. Vertical LED with current guiding structure
US8546818B2 (en) 2007-06-12 2013-10-01 SemiLEDs Optoelectronics Co., Ltd. Vertical LED with current-guiding structure
KR101438812B1 (ko) 2008-01-16 2014-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사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발광 장치
JP2009182026A (ja) * 2008-01-29 2009-08-13 Toshiba Corp 半導体発光装置及び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
EP2259346B1 (en) * 2008-03-27 2019-07-03 LG Innotek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1332794B1 (ko) * 2008-08-05 2013-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장치, 이를 포함하는 발광 시스템, 상기 발광 장치 및발광 시스템의 제조 방법
JP2010062201A (ja) * 2008-09-01 2010-03-18 Sony Corp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23920A (ja) * 2008-10-20 2010-06-03 Sumitomo Electric Ind Ltd 窒化物系半導体発光素子を作製する方法、及びエピタキシャルウエハを作製する方法
KR101363022B1 (ko) * 2008-12-23 2014-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1044482A (ja) * 2009-08-19 2011-03-03 Toshiba Corp 発光素子
KR101007136B1 (ko) * 2010-02-18 2011-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발광 소자 패키지 및 발광 소자 제조방법
KR101072193B1 (ko) 2010-04-01 2011-10-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발광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101039609B1 (ko) * 2010-05-24 2011-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발광 소자의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659738B1 (ko) * 2010-07-08 2016-09-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제조방법
US9620670B2 (en) * 2010-09-02 2017-04-11 Micron Technology, Inc. Solid state lighting dies with quantum emitter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FR2964498A1 (fr) * 2011-03-21 2012-03-09 Soitec Silicon On Insulator Empilement de led de couleur
KR101283972B1 (ko) * 2011-07-07 2013-07-09 광주과학기술원 3단자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 회로
KR101869553B1 (ko) * 2011-08-08 2018-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및 라이트 유닛
JP6535465B2 (ja) * 2012-01-10 2019-06-26 ルミレッズ ホールディング ベーフェー 選択的な領域粗化による制御されたled光出力
KR101375107B1 (ko) 2012-05-04 2014-03-1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2820416B (zh) * 2012-09-10 2015-04-01 天津三安光电有限公司 暖白光发光二极管及其制作方法
JP5518273B1 (ja) 2012-09-14 2014-06-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素子および発光ダイオード装置
TW201433864A (zh) * 2013-02-27 2014-09-01 Wistron Corp 發光二極體背光模組
JP6617401B2 (ja) * 2014-09-30 2019-12-1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
JP6433246B2 (ja) 2014-11-07 2018-12-0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
JP6457784B2 (ja) 2014-11-07 2019-01-2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
JP6433248B2 (ja) 2014-11-07 2018-12-0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
JP6433247B2 (ja) 2014-11-07 2018-12-0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
WO2016079929A1 (ja) * 2014-11-21 2016-05-26 信越半導体株式会社 発光素子及び発光素子の製造方法
US10121770B2 (en) 2015-02-18 2018-11-06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with multiple, stacked light emitting devices
JP6651167B2 (ja) 2015-03-23 2020-02-1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6113002B4 (de) 2016-07-14 2022-09-29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Bauelemente mit verbesserter Effizienz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uelementen
JP6760141B2 (ja) * 2017-03-07 2020-09-23 信越半導体株式会社 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7002333A1 (de) * 2017-03-13 2018-09-13 Azur Space Solar Power Gmbh Leuchtdiode
US12100696B2 (en) 2017-11-27 2024-09-24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892296B2 (en) 2017-11-27 2021-01-12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commonly connected LED sub-units
US11527519B2 (en) 2017-11-27 2022-12-13 Seoul Viosys Co., Ltd. LED unit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892297B2 (en) 2017-11-27 2021-01-12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LED) stack for a display
US10748881B2 (en) 2017-12-05 2020-08-18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with LED stack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886327B2 (en) 2017-12-14 2021-01-05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stacke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552057B2 (en) 2017-12-20 2023-01-10 Seoul Viosys Co., Ltd. LED unit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522006B2 (en) 2017-12-21 2022-12-06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stacke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552061B2 (en) 2017-12-22 2023-01-10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with LED stack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114499B2 (en) 2018-01-02 2021-09-07 Seoul Viosys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light emitting stacked structure
US10784240B2 (en) 2018-01-03 2020-09-22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with LED stack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DE102018103505A1 (de) * 2018-02-16 2019-08-2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Komposithalbleiter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mposithalbleiterbauelements
DE102018124473A1 (de) * 2018-10-04 2020-04-0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s bauteil,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optoelektronischen bauteils und beleuchtungsvorrichtung
US11637219B2 (en) 2019-04-12 2023-04-25 Google Llc Monolithic integration of different light emitting structures on a same substrate
KR102273917B1 (ko) * 2019-10-15 2021-07-07 주식회사 썬다이오드코리아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의 화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180995A (zh) * 2019-11-19 2020-05-19 浙江博升光电科技有限公司 基底转移垂直腔面发射激光器及其制造方法
KR102469704B1 (ko) * 2020-04-23 2022-11-22 주식회사 썬다이오드코리아 경사진 측면을 가지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의 화소
US11592166B2 (en) 2020-05-12 2023-02-28 Feit Electric Company, In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illumination and manufacturing flexibility
US11876042B2 (en) 2020-08-03 2024-01-16 Feit Electric Company, Inc. Omnidirectional flexible light emitting device
US20230395748A1 (en) * 2020-10-22 2023-12-07 Lg Electronics Inc.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EP4134928A1 (en) * 2021-08-12 2023-02-15 Play'n Go Marks Ltd A method for a gaming system
CN114497011A (zh) * 2022-02-15 2022-05-13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发光元件、灯珠和显示装置及发光元件封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327A (ja) * 2001-04-09 2002-10-18 Sharp Corp 窒化物系半導体発光素子
JP2004260111A (ja) * 2003-02-27 2004-09-16 Sharp Corp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半導体発光素子を用いた半導体発光装置
KR20050046478A (ko) * 2003-11-14 2005-05-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범퍼 고정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4069A (en) * 1994-09-16 1999-10-26 Rohm Co., Ltd Semiconductor las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R2726126A1 (fr) 1994-10-24 1996-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Procede de fabrication de dispositifs a diodes electroluminescentes a lumiere visible
JPH08213657A (ja) * 1994-10-24 1996-08-20 Mitsubishi Electric Corp 可視光led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55538A (ja) * 1995-08-10 1997-02-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多波長発光素子
JP3905935B2 (ja) 1995-09-01 2007-04-18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素子及び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6144683A (en) * 1998-01-07 2000-11-07 Xerox Corporation Red, infrared, and blue stacked laser diode array by wafer fusion
JP3486900B2 (ja) 2000-02-15 2004-01-13 ソニー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装置
TW497277B (en) * 2000-03-10 2002-08-01 Toshiba Corp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044261B2 (ja) * 2000-03-10 2008-02-0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008656B2 (ja) * 2000-12-27 2007-11-1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装置
US6577073B2 (en) * 2000-05-31 2003-06-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ed lamp
US7224001B2 (en) * 2001-08-24 2007-05-29 Densen Cao Semiconductor light source
TW522534B (en) * 2001-09-11 2003-03-01 Hsiu-Hen Chang Light source of full color LED using die bonding and packaging technology
JP2003197968A (ja) * 2001-12-18 2003-07-11 Shuko Cho 透明導電層及び反射層で直接結合されたチップの積み重ねによるフルカラー発光ダイオード光源のパッケージ構造
JP2003303997A (ja) * 2002-04-08 2003-10-24 Sanyo Electric Co Ltd 発光ダイオード
TWI230473B (en) * 2003-03-10 2005-04-01 Sanken Electric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31832B1 (ko) 2003-06-24 2006-10-09 삼성전기주식회사 백색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275337C (zh) * 2003-09-17 2006-09-13 北京工大智源科技发展有限公司 高效高亮度多有源区隧道再生白光发光二极管
JP2005109220A (ja) * 2003-09-30 2005-04-21 Shin Etsu Handotai Co Ltd 発光素子
DE102004004765A1 (de) * 2004-01-29 2005-09-01 Rwe Space Solar Power Gmbh Aktive Zonen aufweisende Halbleiterstruktur
US20050189551A1 (en) * 2004-02-26 2005-09-01 Hui Peng High power and high brightness white LED assemblies and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the same
US7045375B1 (en) * 2005-01-14 2006-05-16 Au Optronics Corporation White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327A (ja) * 2001-04-09 2002-10-18 Sharp Corp 窒化物系半導体発光素子
JP2004260111A (ja) * 2003-02-27 2004-09-16 Sharp Corp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半導体発光素子を用いた半導体発光装置
KR20050046478A (ko) * 2003-11-14 2005-05-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범퍼 고정 구조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46478 - 678148
14305327
162601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354A1 (ko) * 2020-12-04 2022-06-09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혼색 발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74017A (zh) 2006-12-06
US7514720B2 (en) 2009-04-07
US20090173955A1 (en) 2009-07-09
JP5512493B2 (ja) 2014-06-04
JP4699287B2 (ja) 2011-06-08
JP2006339646A (ja) 2006-12-14
US7935974B2 (en) 2011-05-03
JP2011044733A (ja) 2011-03-03
US20060267026A1 (en) 2006-11-30
KR20060124510A (ko) 2006-12-05
CN100561759C (zh)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177B1 (ko) 백색 발광소자
US8207548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module, lighting apparatus, display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7091055B2 (en) White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8598251B (zh) 半导体发光元件
US9450017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7529879A (ja) 半導体発光装置、照明モジュール、照明装置、表面実装部品、および表示装置
TWI543400B (zh) 發光裝置及照明系統
US20210296536A1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JP2011249411A (ja) 半導体発光素子、発光装置、照明装置、表示装置、信号灯器及び道路情報装置
JP2008091459A (ja) Led照明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74193A (ja) 窒化物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69724A (ko) 형광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조명 장치
JPH08102552A (ja)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67782A (ko) 발광소자
JP4622426B2 (ja) 半導体発光素子
EP2930749A1 (en)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13232504A (ja) 半導体発光装置
CN106159053B (zh) 发光器件和发光器件封装
KR100600374B1 (ko) 수직형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3938350B2 (ja) 半導体発光素子のマウント方法
KR20160036110A (ko) 반도체 발광소자
JP2012049385A (ja) 半導体発光素子、発光装置、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2008186892A (ja) 半導体発光装置
KR20110087796A (ko) 반도체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12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6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2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213

Appeal identifier: 2007101000150

Request date: 20070104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2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0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8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208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