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1148B1 -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 - Google Patents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148B1
KR100691148B1 KR1020050000272A KR20050000272A KR100691148B1 KR 100691148 B1 KR100691148 B1 KR 100691148B1 KR 1020050000272 A KR1020050000272 A KR 1020050000272A KR 20050000272 A KR20050000272 A KR 20050000272A KR 100691148 B1 KR100691148 B1 KR 100691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variable
sensor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742A (ko
Inventor
정하웅
김창현
조한철
황병원
권오조
강진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148B1/ko
Publication of KR20060079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7/00Compasses; Devices for ascertaining true or magnetic north for navigation or surveying purposes
    • G01C17/02Magnetic compasses
    • G01C17/28Electromagnetic compasses
    • G01C17/30Earth-inductor compa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증폭 범위를 확장시킴으로서 아주 작은 진폭 또는 아주 큰 진폭의 센서신호까지도 설정된 크기로 조정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지자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일정 주파수의 센서신호를 기준 주파수신호와 혼합하여 주파수변환하는 믹서; 상기 지자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서 신호의 진폭에 반비례하여 증폭도가 가변되어, 상기 믹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1가변증폭기; 상기 제1가변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DC 레벨의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로우패스필터; 및 상기 지자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서신호의 진폭에 반비례하여 증폭도가 가변되어, 상기 로우패스필터로부터 출력된 전압 신호를 증폭하는 제2가변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자기 센서, 전자 나침반, 가변증폭기, 센서 신호, 오프셋 제어, 감지 능력 산포,

Description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 {Sensing signal process circuit of geomagnetic sensor}
도 1은 종래의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 신호 처리 회로를 전자나침반에 적용한 경우의 정상 동작 상태를 나타낸 신호 파형도이다.
도 3은 종래 신호 처리 회로를 전자나침반에 적용한 경우의 비정상적 동작 상태를 나타낸 신호 파형도이다.
도 4는 지자기 센서의 신호 감지 능력 산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자기 센서 신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 상태를 나타낸 신호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 믹서
52 : 제1가변증폭기
53 : 로우패스필터
54 : 제2가변증폭기
55 : 제어부
56 : 오프셋제어부
본 발명은 위치, 방향 등의 감지를 위해 이용되는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변 증폭 범위를 확장시킴으로서 보다 넓은 범위의 크기를 갖는 센서 신호를 설정 레벨로 변환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에 관한 것이다.
지자기 센서는 주변의 지자계의 자속밀도에 반응하여 센서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전자 나침반, 항공기등의 항법 시스템등에서 위치 및 방향 검출을 위해 주로 이용된다. 상기 지자기 센서는 센서가 놓여진 방위각(rotating angle)에 따라서 각각의 자속을 사인, 코사인 파형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전자 나침반의 경우, x축 지자기 센서와 y축 지자기 센서를 사용하고, 상기 x축 센서 신호(Vadcx)와 y축 센서 신호(Vadcy)를 조합하여 방위각
Figure 112005000180581-pat00001
를 산출한다.
그런데, 상기 지자기 센서는 감지능력에 따라서 혹은 주변 자계의 강약에 따라서 신호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정확한 방위각을 산출하기 위하여, x축센서 신호와 y 축 센서 신호를 동일한 크기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 처리 회로(12)를 형성하여, 지자기 센서들의 출력을 일정 레벨로 조정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신호 처리 회로(12)는 지자기 센서(11)로부터 출력된 소정 주파수(예를 들어, 1.6MHz)의 센서신호를 기준 주파수신호(예를 들어, 1.6MHz)와 혼합하는 믹서(121)와, 상기 믹서(121)로부터 출력된 주파수신호를 고정된 증폭도로 증폭하는 제1증폭기(122)와, 상기 제1증폭기(122)의 출력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하는 로우패스필터(123)와, 외부 제어에 따라서 증폭도가 가변되어 상기 로우패스필터(123)로부터 출력된 전압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의 신호 처리 회로(12)는 제2증폭기(124)를 가변증폭기로 구성하여, 센서신호의 크기 변화에 따라서 증폭률을 변화시킴으로서, 일정한 레벨의 센서 신호를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처리 회로(12)를 전자나침반의 x축 지자기 센서 및 y축 지자기 센서에 각각 적용하고, 각각의 신호 처리 회로(12)로부터 출력된 센서 신호를 Vadcx, Vadcy라고 할 경우, 센서의 감지능력에 따라서, 도 2의 (a)와 같이 Vadcx와 Vadcy의 레벨이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방위각 산출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Vadcx와 Vadcy의 레벨을 동일하게 조정하여야 한다.
종래의 신호 처리 회로에서는, 신호 처리회로(12)의 출력레벨을 일정한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레벨과 신호 처리 회로(12)의 실제 출력 레벨을 비교하여, 그에 따라서 제2가변증폭기(124)의 증폭도를 증감시킨다. 따라서, 상기 도 2의 (a)와 같은 경우, 설정 레벨을 400mV이라면, x축 지자기 센서에 연결된 신호 처리 회로에서는 제2증폭기(124)의 증폭률을 감소시켜, 출력레벨을 조정한다. 이때, 가변범위가 제2증폭기(124)의 증폭도 가변 범위내라면, 정상적으로 출력 레벨이 조정되어, 도 2의 (b)와 같이 x,y축 센서 신호 Vadcx, Vadcy의 진폭이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x,y축 출력 전압의 진폭이 일치된 경우의 방위각(θ)오차는 도 2의 (c)와 같이 0가 된다.
다음으로, 도 3은 센서 신호의 크기가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보인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지자기 센서와 y축 지자기 센서의 감도 능력 차에 의하여, 센서 신호 Vadcx, Vadcy의 진폭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x축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의 제2증폭기(124)를 최소 증폭도로 가변하였지만, x축 지자기 센서의 센서신호 Vadcx가 너무 큰 경우, 도 3의 (b)와 같이 x축 센서 신호 Vadcx와 y축 센서 신호 Vadcy의 진폭 편차가 여전히 보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전자나침반에서 x축 센서 신호 Vadcx와 y축 센서 신호 Vadcy의 진폭이 달라지는 경우, 도 3의 (c)에 방위각 오차가 발생되며, 이는 전자나침반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마찬가지로, 지자기 센서의 신호가 너무 작은 경우, 상기 제2증폭기(124)의 증폭률을 최대 증폭도로 가변하더라도 센싱신호를 설정된 진폭범위로 보정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방위각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지자기 센서 신호의 크기 차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자계에 대한 각 센서의 감지 능력 산포 또는 주변의 자계 변동에 의해 발생된다.
상기 도 4에 있어서, b-c 구간은 종래의 신호 처리 회로(12)를 통해 출력 보정이 가능한 구간으로서, 종래에는 센서 신호의 진폭이 b-c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보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신호가 너무 작거나, 신호가 너무 큰 a-b구간과 c-d 구간에 해당하는 진폭의 센서신호에 대해서는 보정을 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a-b 구간, c-d 구간의 감지능력을 갖는 지자기센서는 전자나침반에 사용할 수 없어, 폐기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신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Vadc의 기준레벨을 800mV로 설정하고, 제1증폭기(122)의 증폭도 Av1을 20으로 하고, 제2증폭기(124)의 증폭도 Av2의 가변범위가 4~20 이라고 할 때, 센서 신호의 진폭 A에 따른 제2증폭기(124)의 증폭도 조정값을 산출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Vadc[mV] Av1 A[mV] Av2 제어가능성
800 20 5 12.6 제어가능
800 20 3 20.9 제어불가능
800 20 20 3.1 제어불가능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자기 센서(11)의 센서신호가 3mV 보다 작거나, 16mV 보다 큰 경우, 요구되는 800mV의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없게 되며, 결과적으로 신뢰도를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변 증폭 범위를 확장시킴으로서 아주 작은 진폭 또는 아주 큰 진폭의 센서신호까지도 설정된 크기로 조정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지자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서 신호를 설정된 레벨의 전압신호로 출력하는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지자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일정 주파수의 센서신호를 기준 주파수신호와 혼합하여 주파수변환하는 믹서; 상기 지자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서 신호의 진폭에 반비례하여 증폭도가 가변되어, 상기 믹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1가변증폭기; 상기 제1가변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DC 레벨의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로우패스필터; 상기 지자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서신호와 상기 제1가변증폭기의 증폭도에 반비례하여 증폭도가 가변되어, 상기 로우패스필터로부터 출력된 전압 신호를 증폭하는 제2가변증폭기; 및 상기 제2가변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신호 Vacd의 레벨을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그 편차가 0가 되도록 상기 제1,2가변증폭기의 증폭도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제1가변증폭기의 바이어스전압을 조정하는 오프셋제어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는 설정된 주파수(예를 들어, 1.6MHz)의 지자기 센서(1)의 센서 신호를 기준 주파수신호(예를 들어, 1.6MHz)와 혼합하는 믹서(51)와, 상기 지자기 센서(1)로부터 출력된 센서 신호의 진폭에 반비례하여 증폭도가 가변되어 상기 믹서(51)로부터 출력된 센서 신호를 증폭하는 제1가변증폭기(52)와, 상기 제1가변증폭기(52)로부터 출력된 센서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하여 그 평균 레벨의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로우패스필터(53)와, 상기 지자기 센서(1)로부터 출력된 센서 신호의 진폭에 반비례하여 증폭도가 가변되며 상기 로우패스필터(53)로부터 출력된 전압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가변증폭기(54)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2가변증폭기(5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Vadc라 하며, 이는 지자기 센서(1)의 레벨 보정된 센서 신호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신호 처리 회로는, 상기 제2가변증폭기(54)의 출력 신호 Vadc의 레벨을 일정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2가변증폭기(54)로부터 출력된 신호 Vadc 레벨을 체크하여, 상기 Vadc의 레벨이 설정된 레벨이 되도록 제1,2가변폭기(52,54)의 증폭도를 제어하는 제어부(55)와, 상기 제어부(55)의 제어에 따라서 제1가변증폭기(52)의 오프셋 전압을 제어하는 오프셋제어부(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5)는 출력 신호 Vadc가 일정한 레벨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2가변증폭기(52,54)의 증폭도를 조정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지자기 센서 신호 처리 회로는 두 개의 가변 증폭기(52,54)를 구비함으로써, 레벨 조정 범위를 확장시키고, 이를 통하여 입력가능한 지자기 센서(1)의 신호 진폭 범위를 확장시킨다.
이러한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각 수단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가변증폭기(52)는 입력신호를 증폭하는 제1연산증폭기(op1)와, 상기 믹서(51)의 출력과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의 반전(-)/비반전(+)입력을 연결하는 두 개의 저항(R1)과,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으로 바이어스전압(VREF+VC)을 인가하고,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과 출력을 연결하는 두 개의 가변저항(R2)로 이루어진다.
제2가변증폭기(54)는 상기 로우패스필터(53)의 출력을 비반전입력단으로 입력받아 증폭하는 제2연산증폭기(op2)와, 바이어스전압(VREF)을 상기 제2연산증폭기(op2)의 반전입력으로 인가하는 저항(R3)과, 상기 제2연산증폭기(op2)의 반전입력 단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가변저항(R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5)는 상기 제2가변증폭기(54)로부터 출력된 신호 Vadc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551)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551)의 출력데이타로부터 Vadc의 레벨을 체크하여, 설정된 기준 레벨이 되도록 상기 제1,2가변증폭기(52,54)의 증폭도를 제어하는 디지털 프로세서(55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디지털 프로세서(552)는 상기 Vadc의 레벨에 따라서, 오프셋 제어부(56)을 동작을 제어한다. 즉 오프셋 제어부(56)를 통해 바이어스전압(VREF+VC)를 조정함으로서, 제1가변증폭기(52)의 특성을 변화시킨다.
이때, 상기 디지털 프로세서(552)는 상기 제2가변증폭기(54)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Vadc의 레벨이 상기 제1,2가변증폭기(52,54)의 증폭도에 비례한 점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신호 Vadc와 설정된 기준레벨의 차에 따라서 상기 제1,2가변증폭기(52,54)의 가변 저항(R2,R4)을 조정하여, 증폭도를 조정한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각 수단의 출력 신호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신호 처리 회로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지자기 센서(1)로부터 일정 주파수를 갖는 코사인파(cosine wave) 혹은 사인파(sine wave)의 센서 신호가 출력된다. 도 6의 (a)는 상기 지자기 센서(1)로부터 출력되는 센서 신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센서 신호는 진폭 A를 갖는다.
상기 도 6의 (a)와 같이 진폭 A를 갖는 센서 신호는 믹서(51)로 입력되어 기준 주파수와 혼합되는데, 이때, 상기 믹서(51)의 출력신호는 도 6의 (b)와 같다.
상기 믹서(51)에서 출력된 신호는 제1가변증폭기(52)에서 1차적으로 증폭되어, 그 진폭이 증가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가변증폭기(52)의 증폭도를 Av1 이라고 하면, 상기 제1가변증폭기(52)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도 6의 (c)와 같이
Figure 112005000180581-pat00002
의 진폭을 갖는다.
이어, 상기 제1가변증폭기(52)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로우패스필터(53)으로 입력되며, 상기 로우패스필터(53)는 주파수 성분을 필터링하여, 거의 DC 레벨의 전압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로우패스필터(53)의 출력 신호의 레벨은
Figure 112005000180581-pat00003
가 된다.
상기 로우패스필터(53)의 출력 신호는 제2가변증폭기(54)로 입력되어 다시 증폭된다. 여기서, 상기 제2가변증폭기(54)의 증폭도를 Av2라 할 때, 상기 제2가변증폭기(5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Vadc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나며, 그 신호 형태는 도 6의 (e)와 같다.
Figure 112005000180581-pat00004
상기 수학식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호 처리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Vadc는 지자기센서(1)의 센서 신호 진폭 A와, 제1,2가변증폭기(52,54)의 증폭도 Av1, Av2에 비례한다.
여기서, 상기 Vadc의 레벨을 고정값으로 할 경우, 상기 센서 신호의 진폭 A와 증폭도 Av1, Av2는 반비례 관계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신호의 진폭 A에 반비례하게 증폭도 Av1, Av2를 조정함으로서, 일정한 레벨의 Vadc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센서 신호의 진폭 A와 증폭도 Av1과 Av2의 관계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5000180581-pat00005
다음의 표 2는 신호 처리 회로의 출력 전압 Vadc를 800mV로 설정할 때, 지자기 센서(1)의 센서 신호 진폭 A에 따른 증폭도 Av1, Av2의 설정예를 나타낸 것이다.
Vadc[mV] Av1 A[mV] Av2 제어가능성
800 20 5 12.6 제어가능
800 30 3 14.1 제어가능
800 5 20 12.6 제어가능
상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신호의 진폭 A에 따라서 제1,2가변증폭기(52,54)의 증폭도 Av1, Av2를 함께 조절하여, 제어 가능한 센서 신호의 크기 범 위를 더 확대시킬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제어할 수 없었던 신호(3mV, 20mV)도 제어가능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자기 센서 신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제1,2가변증폭기(52,54)의 증폭도 Av1, Av2의 변화에 따른 조정가능한 센서 신호의 크기 범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도 7의 그래프는 제1가변증폭기(52)의 증폭도 Av1의 변화에 따른 센서 신호 입력범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도 7에서 av1(1)>av1(2)>av1(3)>av1(4)이다. 즉, 제1가변증폭기(52)의 증폭도에 비례하여 조정가능한 센서 신호의 크기 범위가 확대된다. 예를 들어, 증폭도가 av1(2)일 때, 조정가능한 센서 신호 크기 범위가 I1이었으나, 증폭도를 av1(4)로 증가시킬 경우, 센서신호 크기범위가 I2로 넓어짐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제1가변증폭기(52)의 증폭도 Av1은 R2/R1 이고, 제2가변증폭기(54)의 증폭도 Av2는 1+R4/R3 이다. 따라서, 상기 가변저항(R2,R4)의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서, 출력 전압 Vadc의 출력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2가변증폭기(54)를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증폭도 Av2가 설정되도록 구성하고, 하기 수학식 3에서 n을 가변제어할 경우, 더 높은 범위의 센서신호에 대해서도 적정 레벨의 값으로 증폭할 수 있다.
Figure 112005000180581-pat00006
상기 수학식 3에 있어서,
Figure 112005000180581-pat00007
이며, 상기 n은 제2가변증폭기(54)의 기본 증폭도이고, s는 제2가변증폭기(54)의 단위 증폭도이고, GC는 제2가변증폭기(54)의 제어 레지스터 값이다.
상기에서, 기본 증폭도 n을 n(1)>n(2)>n(3)>n(4)로 가변함에 따른 제2가변증폭기(54)에서의 지자기센서(1)의 신호 크기와 증폭도(Av2)의 관계를 도 8의 그래프에 보인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n을 조정함으로서, 조정가능한 센서 신호의 크기 범위가 I3에서 I4로 확장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지자기 센서의 센서 신호를 일정 크기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두 개의 가변증폭기를 다단으로 연결 구성함으로서, 센서 감지 능력 산포 또는 주변 환경 자계의 변화에 따른 지자기 센서의 센싱신호에 대해서 조정가능한 신호 크기 범위를 더 확대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아주 작은 센서 신호나 아주 큰 센서 신호에 대해서도 요구되는 레벨의 전압신호로 조정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지자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서 신호를 설정된 레벨의 전압신호로 출력하는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지자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일정 주파수의 센서신호를 기준 주파수신호와 혼합하여 주파수변환하는 믹서;
    증폭도가 가변되어, 상기 믹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1가변증폭기;
    상기 제1가변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링하여 DC 레벨의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로우패스필터;
    증폭도가 가변되며, 상기 로우패스필터로부터 출력된 전압 신호를 증폭하는 제2가변증폭기; 및
    상기 제2가변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신호의 레벨을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그 편차가 0가 되도록 상기 제1,2가변증폭기의 증폭도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제1가변증폭기의 바이어스전압을 조정하는 오프셋제어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증폭기는
    비반전/반전 입력단을 구비하며, 상기 비반전/반전 입력단으로 인가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1연산증폭기(op1)와, 상기 믹서의 출력과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반전 입력단을 연결하는 두 개의 저항(R1)과,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으로 바이어스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과 출력을 연결하는 두 개의 가변 저항(R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변증폭기는
    상기 로우패스필터의 출력을 비반전입력단으로 입력받아 증폭하는 제2연산증폭기(op2)와, 바이어스전압(Vref)을 상기 제2연산증폭기(op2)의 반전입력단으로 인가하는 저항(R3)와, 상기 제2연산증폭기(op2)의 반전입력단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가변저항(R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가변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전압(Vadc)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551)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551)의 출력데이타를 입력받아 출력 전압(Vadc)의 레벨을 체크하여, 설정된 기준 레벨이 되도록 상기 제1,2가변증폭기의 가변저항의 저항값과 상기 오프셋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바이어스전압을 제어하는 디지털 프로세서(55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
KR1020050000272A 2005-01-03 2005-01-03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 KR100691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272A KR100691148B1 (ko) 2005-01-03 2005-01-03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272A KR100691148B1 (ko) 2005-01-03 2005-01-03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742A KR20060079742A (ko) 2006-07-06
KR100691148B1 true KR100691148B1 (ko) 2007-03-09

Family

ID=3717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272A KR100691148B1 (ko) 2005-01-03 2005-01-03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1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492B1 (ko) * 2016-03-25 2017-01-09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약 복용 자동 알림 장치가 내장된 약통
US10165415B2 (en) 2016-10-26 2018-12-25 Samsung Sd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omagnetic signal process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877B1 (ko) * 2006-09-20 2008-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지자기 센서의 오프셋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7505A1 (en) * 2003-06-24 2004-12-30 Jeong Ha Woong Signal processor for use in electronic compa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7505A1 (en) * 2003-06-24 2004-12-30 Jeong Ha Woong Signal processor for use in electronic compas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492B1 (ko) * 2016-03-25 2017-01-09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약 복용 자동 알림 장치가 내장된 약통
US10165415B2 (en) 2016-10-26 2018-12-25 Samsung Sd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omagnetic signal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742A (ko)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2149B2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processing a signal of a sensor and method of us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US20090115412A1 (en) Magnetic sens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ass using the same
CN100539430C (zh) 用在电子罗盘中的信号处理器
EP25229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effective resolution of a sensor
US11012044B2 (en) Amplifier with common mode detection
KR100852268B1 (ko) 자기 검출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방위계
JPH04271513A (ja) 磁気抵抗回転速度センサーの処理回路
KR100691148B1 (ko) 지자기 센서의 신호 처리 회로
US7355321B2 (en) Mechanical quantity sensor
US111628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ensating the effects of absolute pressure in differential pressure sensors
JP2003050270A (ja) 磁気センサの出力補正方法及びその補正回路
US6636099B2 (en) Logarithmic amplifier with temperature compensated detection scheme
CN114383773B (zh) 用于桥式传感器的非线性矫正系统
US6931331B2 (en) Measurement interface optimized for both differential and single-ended inputs
WO2016208422A1 (ja) 圧力測定装置、圧力測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913134A (zh) 誤差消除放大器電路以及馬達控制電路
CN112213538A (zh) 一种基于磁控移相的相位自适应调节锁相放大器
WO2019097870A1 (ja) 計装アンプ
WO2024122308A1 (ja) センサ信号処理装置
US11799428B2 (en) Fast offset calibration for sensor and analog front end
US5869998A (en) Amplifier circuit having independent gain and response time adjustments
US20210067169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JPH08139386A (ja) 波形整形回路
JP2644774B2 (ja) 増幅回路
JPH10153427A (ja) 方位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