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3770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770B1
KR100683770B1 KR1020050034492A KR20050034492A KR100683770B1 KR 100683770 B1 KR100683770 B1 KR 100683770B1 KR 1020050034492 A KR1020050034492 A KR 1020050034492A KR 20050034492 A KR20050034492 A KR 20050034492A KR 100683770 B1 KR100683770 B1 KR 100683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electrodes
unit pixels
disposed
subpixe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2077A (ko
Inventor
강경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770B1/ko
Priority to JP2006103447A priority patent/JP4390152B2/ja
Priority to EP06112232A priority patent/EP1737016B1/en
Priority to DE602006014472T priority patent/DE602006014472D1/de
Priority to US11/401,939 priority patent/US7656090B2/en
Priority to CN200610075432A priority patent/CN100594574C/zh
Publication of KR20060112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77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6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inside or on the side face of the spa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1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shape
    • H01J2211/365Pattern of the spa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효율 및 휘도가 향상되고, 무효전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된 전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과 함께 서브픽셀들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격벽들과, 일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방전셀들을 둘러싸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방전을 일으키는 복수 쌍의 1,2방전전극들과, 상기 제1,2방전전극들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방전셀들을 둘러싸면서 연장되는 어드레스전극들과,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된 형광체층들과, 상기 방전셀들 내에 있는 방전가스를 구비하고, 단위 픽셀들은 소정의 개수의 상기 서브픽셀들을 포함하며, 적어도 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단위 픽셀들이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방전셀들 및 전극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라 취한 방전셀들, 서브픽셀들 및 단위 픽셀들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선에 따라 취한 방전셀들, 서브픽셀들 및 단위 픽셀들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형예인데, 도 5에 대응하는 배치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라 취한 방전셀들, 서브픽셀들 및 단위 픽셀들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20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0, 210 : 배면기판 113, 213 : 어드레스전극
114, 214 : 제1방전전극 115, 215 : 제2방전전극
120, 220 : 전면기판 126, 216 : 형광체층
128, 228 : 격벽 130, 230 : 방전셀
150R, 150G, 150Ba, 150Bb, 250R, 250G, 250Ba, 250Bb : 서브픽셀
150, 250 : 단위 픽셀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신구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가스 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휘도, 콘트라스트, 잔상 및 시야각 등의 각종 표시 능력이 우수하며, 박형이고 대화면 표시가 가능하여 차세대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교류형 3전극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은 상호 대향하며, 소정의 거 리로 이격된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을 구비한다. 배면기판(10)의 전면에는 다수의 어드레스전극(11)들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어드레스전극(11)들은 제1유전체층(12)에 의해 매립되어 있다. 그리고, 제1유전체층(12)의 전면에는 격벽(13)들이 방전셀(14)들을 구획하고 있다. 이 격벽(13)들에 의해 구획된 방전셀(14)들 내에는 형광체층(15)들이 소정 두께로 도포된다. 전면기판(20)은 배면기판(10)에 결합된다. 전면기판(20)의 배면에는 어드레스전극(11)들과 교차하는 유지전극쌍(30)들이 형성되어 있다. 각 유지전극쌍(30)에서 일 유지전극은 X전극(21)이고, 다른 유지전극은 Y전극(22)이다. 이러한 유지전극쌍(30)들은 제2유전체층(23)에 의해 매립되어 있으며, 제2유전체층(23)의 배면에는 보호층(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에는, 어드레스전극(11)과 Y전극(22) 간의 어드레스방전에 의하여 발광될 방전셀(14)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방전셀의 X전극(21)과 Y전극(22) 간에 일어나는 유지방전에 의하여 방전셀에서 가시광이 발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유지방전에 의하여 방전셀 내에 있는 방전가스가 자외선을 방출하고, 이 자외선은 형광체층(15)으로 하여금 가시광선을 방출하게 한다. 상기 형광체층(15)으로부터 방출된 가시광선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을 구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의 경우에는, 유지방전이 보호층(24)에 인접한 X전극(21)과 Y전극(22) 사이의 공간에서만 일어나므로 유지방전이 일어나는 공간의 체적이 작고, 형광체층(15)들로부터 방출되는 가시광선의 일부가 보호층(24), 제2유전체층(23), 유지전극들(21, 22) 등에 의하여 흡수 및/또는 반사되므로 전면기판(20)을 통과하는 가시광선의 양은 형광체층(15)들에서 방출된 가시광선의 양의 60%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발광효율 및 휘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발광효율이 향상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휘도가 향상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효전력이 감소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된 전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과 함께 서브픽셀들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격벽들과, 일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방전셀들을 둘러싸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방전을 일으키는 복수 쌍의 1,2방전전극들과, 상기 제1,2방전전극들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방전셀들을 둘러싸면서 연장되는 어드레스전극들과,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된 형광체층들과, 상기 방전셀들 내에 있는 방전가스를 구비하고, 단위 픽셀들은 소정의 개수의 상기 서브픽셀들을 포함하며, 적어도 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단위 픽셀들이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방전전극들, 제2방전전극들 또는 어드레스전극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단위 픽셀들이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단위 픽셀들의 사이의 이격 부분이 비방전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인접하는 단위 픽셀들을 한정하는 격벽들이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단위 픽셀들은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공유하여 배치되며, 상기 인접하는 단위 픽셀들에 의하여 공유된 상기 격벽들의 폭이 상기 단위 픽셀들 내부에 배치된 격벽들의 폭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격벽들은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격벽부들 및 상기 가로격벽부들과 교차하는 세로격벽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픽셀을 한정하는 세로격벽부들의 폭이 상기 단위 픽셀의 내부에 배치된 세로격벽부들의 폭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 픽셀을 한정하는 가로격벽부들의 폭이 상기 단위픽셀의 내부에 배치된 가로격벽부들의 폭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픽셀은 3개 또는 4개의 서브픽셀들을 구비하며, 상기 단위 픽셀은 정방형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예)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방전셀들 및 전극들의 개략적인 배치도이고,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라 취한 방전셀들, 서브픽셀들 및 단위 픽셀들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도이고, 도 6은 도 3의 Ⅵ-Ⅵ선에 따라 취한 방전셀들, 서브픽셀들 및 단위 픽셀들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면기판(120), 형광체층(126)들, 격벽(128)들, 제1방전전극(114)들, 제2방전전극(115)들, 어드레스전극(113)들, 보호층(119)들 및 배면기판(110)을 구비한다.
배면기판(110)과 전면기판(120)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그들 사이에 격벽(128)들에 의하여 구획되는 다수개의 방전셀(130)들을 한정한다. 이러한 방전셀(130)들은 각각 적색 서브픽셀(150R), 녹색 서브픽셀(150G), 청색 서브픽셀(150Ba, 150Bb) 중의 어느 하나에 대응되며, 소정의 개수의 서브픽셀들은 단위 픽셀(150)을 형성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방전셀(130)들로부터 발생되는 가시광이 투과되는 전면기판(120)은, 유리와 같이 광투과성이 우수한 재료로 제조된다. 배면기판(110)도 유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전셀(130)들에서 생성된 가시광이 전면기판(120)을 통하여 외부로 출사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시광 이 배면기판(110)을 통하여 외부로 출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면기판(120) 및 배면기판(110)을 통하여 양면 발광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전셀(130)들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격벽(128)들은 방전셀(130)들의 횡단면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격벽(128)들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방전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패턴의 격벽들, 예컨대 와플, 델타 등과 같은 격벽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방전셀의 횡단면이, 사각형이외에도,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 등으로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단위 픽셀(150)들이 실질적으로 정방형의 형상을 갖도록, 방전셀(130)들의 횡단면이 실질적으로 정방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방전셀(130)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처리도어 있는데, 이는 모서리 부분에서 방전이 집중되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방전셀(130) 내에서 방전이 균일하게 발생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격벽(128)들은 어드레스전극(113)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격벽부(128b)들 및 가로격벽부(128b)들과 교차하는 세로격벽부(128a)들을 구비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28)들 내에는 일 방향(y방향)으로 배치된 방전셀(130)을 둘러싸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제1방전전극(114)들 및 제2방전전극(115)들이 배치되어 있다. 각 방전셀(130)들에서 일 제1방전전극(114)과 제2방전전극(115)은 쌍을 이루며, 면방전을 한다. 각 제1방전전극(114)은 방전셀(130)들을 각각 둘러싸는 루프부(114a)들 및 루프부(114a)들을 연결하는 연 결부(114b)들을 구비한다. 또한, 각 제2방전전극(115)도 방전셀(130)들을 각각 둘러싸는 루프부(115a)들 및 루프부(115a)들을 연결하는 연결부(115b)들을 구비한다. 방전셀(130) 내에서의 방전의 균일화를 위하여, 제1방전전극의 루프부(114a) 및 제2방전전극(114)의 루프부(115a)는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방전전극(114)들 및 제2방전전극(115)들이 연장되는 방향(y방향)과 교차하는 방향(x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방전셀(130)들을 둘러싸면서 연장되는 어드레스전극(113)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어드레스전극(113)들은 격벽(128)들 내에 매립되어 있다. 어드레스전극(113)들은 제1방전전극(114)과 제2방전전극(115) 간의 유지방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어드레스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지방전이 개시되는 전압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어드레스방전은 주사전극과 어드레스전극 간에 일어나는 방전으로서, 어드레스방전이 종료되면 주사전극 측에 양이온이 축적되고 공통전극 측에 전자가 축적되며, 이로써 주사전극과 공통전극 간의 유지방전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주사전극과 어드레스전극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어드레스전압이 감소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방전전극(115)들이 주사전극의 기능을 수행하며, 제1방전전극(114)들이 공통전극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어드레스방전은 제2방전전극(115)들과 어드레스전극(113)들 사이에서 발생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기판(120)에 실질적으로 수직방향(-z방향)으로 제1방전전극(114), 제2방전전극(115), 어드레스전극(113)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지 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드레스전극(113)이 제1방전전극(114)과 제2방전전극(115) 사이에 배치되거나, 어드레스전극(113)이 전면기판(120)에 가장 인접하도록 어드레스전극(113), 제1방전전극(114), 제2방전전극(115)의 순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어드레스전극(113)들이 배면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의 경우들에서 어드레스 방전 전압을 낮추기 위하여, 어드레스전극(113)과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된 제1방전전극(114) 또는 제2방전전극(115)이 주사전극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방전전극(114)들 및 제2방전전극(115)들은, 격벽(128)들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방(z방향)으로의 가시광 투과율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방전전극(114)들 및 제2방전전극(115)들은 ITO 대신에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은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길이 방향으로의 전압 강하가 작아져서, 안정적인 신호전달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어드레스전극(113)들도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은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128)들은 인접한 제1방전전극(114)들, 제2방전전극(115)들, 어드레스전극(113)들 간에 직접 통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양이온, 전자 등의 입자들이 전극들(113, 114, 115)에 직접 충돌하여 전극들(113, 114, 115)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벽전하를 축적할 수 있는 유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전셀(130)들을 대향하는 전면기판(120) 상에는, 그루브(120a)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120a)들은 방전셀(130)들마다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방전셀 (130)들의 중심부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그루브(120a)들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그루브(120a)들은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그루브(120a)들에 의하여 전면기판(120)의 두께가 감소되기 때문에, 전방(z방향)으로의 가시광 투과율이 증가된다.
그루브(120a)들 내에는 각각 적색, 녹색, 청색 발광 형광체층(126)들이 소정 두께로 도포된다. 하지만, 형광체층(126)들이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방전셀(130) 내에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투과형 구조를 가지기 위하여, 형광체층(126)은 전면기판(120)과 제1방전전극들(11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색발광 형광체층이 배치되는 적색 방전셀(130R)은 적색 서브픽셀(150R)에 대응하고, 녹색발광 형광체층이 배치되는 녹색 방전셀(130G)은 녹색 서브픽셀(150G)에 대응하고, 청색발광 형광체층이 배치되는 청색 방전셀(130B)은 청색 서브픽셀(150Ba, 150Bb)에 대응한다.
형광체층(126)들은 자외선을 받아 가시광선을 발생하는 성분을 가지는데, 적색 방전셀(130R)에 형성된 적색발광 형광체층은 Y(V,P)O4:Eu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하고, 녹색 방전셀(130G)에 형성된 녹색발광 형광체층은 Zn2SiO4:Mn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하며, 청색 방전셀(130B)에 형성된 청색발광 형광체층은 BAM:Eu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한다.
격벽(128)들의 측면에는 보호층(119)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호층(119)들은 플라즈마 입자의 스퍼터링에 의해 유전체로 형성된 격벽(128)들과 제1방전전극(114)들, 제2방전전극(115)들 및 어드레스전극(115)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2차전자를 방출하여 방전전압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보호층(119)들은 격벽(128)들의 측면에 산화마그네슘(MgO)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119)들은 주로 스퍼터링(sputtering), 전자빔 증착(E-beam epaporation)법으로 박막(thin film)으로 형성된다.
방전셀(130)들에는 Ne, Xe 등 및 이들의 혼합기체와 같은 방전가스가 봉입된다. 본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경우, 방전면이 증가하고 방전영역이 확대될 수 있어, 형성되는 플라즈마의 양이 증가하므로, 저 전압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고농도 Xe 가스를 방전가스로 사용하더라도 저 전압 구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발광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고농도 Xe 가스를 방전가스로 사용할 경우 저 전압 구동이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서브픽셀(150R, 105G, 150Ba 150Bb)들 및 단위 픽셀(150)들의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각 단위 픽셀(150)은 4개의 서브픽셀들(150R, 150G, 150Ba, 150Bb)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 방전셀(130)들의 횡단면(x-y평면)으로 볼 때, 각 서브픽셀은 방전셀(130)을 둘러싸는 제1방전전전극(114), 제2방전전극(115), 어드레스전극(113) 부분들과, 상기 전극들(113, 114, 115)이 매몰된 격벽(128)들의 소정의 부분까지 포함하는 가상의 영역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위 픽셀은 1개의 적색 서브픽셀(150R), 1개의 녹색 서브픽셀(150G), 2개의 청색 서브픽셀들(150Ba, 150Bb)을 구비한다.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청색 방전셀에서 발생되는 청색광의 휘도가 낮다. 따라서, 청색광의 휘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단위 픽셀에 구비된 청색 서브픽셀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단위 픽셀에 배치된 서브픽셀들(150R, 150G, 150Ba, 150Bb)은 일 회전 방향으로 적색 서브픽셀(150R), 녹색 서브픽셀(150G), 청색 서브픽셀(150Ba), 청색 서브픽셀(150Bb)이 배치되어 있지만, 단위 픽셀 내에서 서브픽셀들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단위 픽셀에서, 적색 서브픽셀 또는 녹색 서브픽셀의 개수를 상대적으로 더 많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위 픽셀(150)은 전체적으로 가로길이(C1)와 세로길이(C2)가 같은 정방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적인 형상을 자유롭게 하는데 이점이 있다. 단위 픽셀(150)이 정방형을 형상을 갖도록, 각 서브픽셀도 정방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방전전극(114) 또는 제2방전전극(115)들이 연장되는 방향(y방향)으로 배치된 단위 픽셀(150)들이 소정의 간격(k1)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단위 픽셀들 사이의 간격은 다양한 구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 픽셀(150)을 한정하는 가로격벽부들의 폭(A1)이 단위 픽셀 내부에 배치된 가로격벽부들의 폭(A2)보다 넓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어드레스전극(113)들이 연장되는 방향(x방향)으로 배 치된 단위 픽셀(150)들이 소정의 간격(d1)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단위 픽셀들 사이의 간격은 다양한 구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 픽셀(150)을 한정하는 세로격벽부들의 폭(E1)이 단위 픽셀 내부에 배치된 세로격벽부들의 폭(E2)보다 넓도록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단위 픽셀들 사이의 간격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인접하는 전극들 사이의 거리가 매우 가깝다. 따라서, 전극들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인접하는 전극들 사이에 무효전력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무효전력은 변위전류(diplacement current)에 의하여 발생되는데, 변위전류는 정전용량 및 시간에 대한 전압의 변화에 비례한다. 따라서, 인접하는 전극들 사이에 서로 다른 전압 펄스가 인가될 경우, 전압의 변화에 의하여 변위전류가 발생된다. 이 때, 대응하는 전극들 사이의 전기용량은 비유전율과 전극 대향면적에 비례하고, 전극들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전극들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정전용량이 증가하여 변위전류가 증가하고, 곧 무효전력이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주사전극으로 작용하는 제2방전전극(115)들과, 어드레스전극(113)들에 동일하지 않는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예를 들면, 특정 어드레스 방전을 일으키도록 의도된 서브픽셀에 배치된 어드레스전극(113)들에는 어드레스전압 펄스가 인가되고, 나머지 어드레스전극(113)들에는 어드레스전압 펄스가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어드레스 방전을 일으키도록 의도된 서브픽셀에 배치된 제2방전전극(115)들에도 주사 펄스가 인가되고, 나머지 제2방전전극(115)들에는 주사 펄스가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어드레스전극 (113)들 및 2방전전극(115)들에 인가되는 전압 펄스의 변화는, 특정 패턴(예를 들면 도트 온 오프(dot-on-off) 패턴)에서 더 크게 발생한다. 이러한, 어드레스전극(113)들 및 2방전전극(115)들 사이의 전압 펄스의 불일치는 변위 전류를 유도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무효전력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어드레스전극(113)들 사이의 거리 및 제2방전전극(115)들 사이의 거리를 이격하는 것이 무효전력 소비를 줄이는데 바람직하다. 하지만, 모든 어드레스전극(113)들 사이의 거리 및 제2방전전극(115)들 사이의 거리를 이격할 경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정세화가 힘들어진다. 만일, 동일한 크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정할 경우, 어드레스전극(113)들 사이의 거리 및 제2방전전극(115)들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면, 단위 픽셀의 수가 감소되거나 방전셀의 크기가 감소될 수밖에 없다. 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성능에 해상도 또는 휘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모든 어드레스전극(113)들 사이의 거리 및 제2방전전극(115)들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기보다는, 인접하는 단위 픽셀들 사이의 거리들(d1, k1)을 이격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단위 픽셀들에 배치된 어드레스전극(113) 사이의 거리(P1)와 제2방전전극들 사이의 거리(B1)만 증가시키고, 단위 픽셀 내에 배치된 어드레스전극(113) 사이의 거리(P2) 및 제2방전전극들 사이의 거리(B2)는 이보다 좁게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위 픽셀(150)을 한정하는 가로격벽부들의 폭(A1)이 단위 픽셀 내에 배치된 가로격벽부들의 폭(A2)보다 넓고, 단위 픽셀(150)을 한정하는 세로격벽부들의 폭(E1)이 단위 픽셀 내에 배치된 세로격벽부들의 폭(E2)보다 넓기 때문에, 상기의 바 람직한 단위 픽셀들의 배치 구조가 구현된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정세화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무효전력도 감소되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실시예의 구조를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이격된 부분에 의한 방전셀(130)의 횡단면의 감소에 따른 플라즈마 방전량의 감소가, 방전셀(130)의 깊이 방향(z방향)으로의 증가를 통하여 보완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에는 제1방전전극(214)들의 배치 구조에 대한 것은 제2방전전극(215)들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패널(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드레스전극(113)과 제2방전전극(115) 간에 어드레스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어드레스방전이 일어나고, 이 어드레스방전의 결과로 유지 방전이 일어날 방전셀(130)이 선택된다. 그 후 상기 선택된 방전셀(130)의 제1방전전극(114)과 제2방전전극(115) 사이에 유지전압이 교호하게 반복되어 인가되면, 제1방전전극(114)과 제2방전전극(115)에 쌓여 있던 벽전하들의 이동으로 유지 방전을 일으키고, 이 유지 방전 시에 여기된 방전가스의 에너지 준위가 낮아지면서 자외선이 방출된다. 그리고 이 자외선이 방전셀(130) 내에 도포된 형광체(126)를 여기시키는데, 이 여기된 형광체(126)의 에너지준위가 낮아지면서 가시광이 방출되며, 이 가시광이 전면기판(120)을 투과하여 출사되면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에 있어서는, 유지전극들(21, 22) 간의 유지방전이 수평방향으로 일어나게 되어 방전면적이 상대적으로 협 소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지방전은 방전셀(130)을 한정하는 모든 측면에서 일어날 뿐만 아니라, 방전면적이 상대적으로 넓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유지방전은 방전셀(130)의 측면을 따라 폐곡선으로 형성되었다가 점차적으로 방전셀(130)의 중앙부로 확산된다. 이로 인하여, 유지방전이 일어나는 영역의 부피가 증가되고, 또한 종래에는 잘 사용되지 않았던 방전셀 내의 공간전하도 발광에 기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항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광효율 향상이라는 결과로 귀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유지방전이 방전셀의 중심 부분에서만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문제점이었던 하전 입자에 의한 형광체의 이온 스퍼터링이 방지되고, 이로 인하여 같은 화상을 오랜 시간 동안 표시하여도 영구잔상이 생기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에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형예에 따른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130R',130G', 130B'), 적색, 녹색, 청색 서브픽셀(150R',150G', 150B') 및 단위 픽셀(150')들의 배치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제1실시예의 도 5에 대응되며, 제2방전전극(114')들, 보호층(119')들, 세로격벽부(128a')들 및 가로격벽부(128b')들을 포함하는 격벽(128')들에 대한 사항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들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변형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서브픽셀들(150R',150G', 150B')이 장방형 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즉, 서브픽셀들(150R',150G', 150B')의 가로 길이(Q1)와 세로 길이(Q2)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 길이(Q1)보다 세로 길이(Q2)가 더 길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위 픽셀(150')들은 각각 1개의 적색 서브픽셀(150R'), 1개의 녹색 서브픽셀(150G'), 1개의 청색 서브픽셀(150B')을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단위 픽셀의 가로길이(C1')와 세로길이(C2')가 같은 정방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변형예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x방향으로 배치된 단위 픽셀(150')들이 소정의 간격(d1')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이는 제2방전전극(114')들 사이의 거리(B1')를 증가시킴으로써, 무효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y방향으로 배치된 단위 픽셀들이 소정의 간격(k1')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전면기판(220), 형광체층(226)들, 배면기판(210), 격벽(228)들, 제1방전전극(214)들, 제2방전전극(215)들, 어드레스전극(213)들을 구비한다.
격벽(228)들 내에는 일 방향(y방향)으로 배치된 방전셀(230)을 둘러싸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제1방전전극(214)들 및 제2방전전극(215)들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방전전극(214)들 및 제2방전전극(215)들이 연장되는 방향(y방향) 과 교차하는 방향(x방향)으로 배치된 방전셀(230)들을 둘러싸면서 연장되는 어드레스전극(213)들이 격벽(228)들 내에 배치되어 있다.
유전체로된 격벽(228)들은 어드레스전극(213)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격벽부(228b)들 및 가로격벽부(228b)들과 교차하는 세로격벽부(228a)들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단위 픽셀(250)들 사이에 이격된 부분(240)이 유전체로 채워지지 않고, 비방전영역(240, 241)을 형성한다는 점이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제2방전전극(215)들(또는 제1방전전극(214)들)이 연장되는 방향(y방향)으로 배치된 단위 픽셀(250)들 사이가 소정의 거리(h1)로 이격되어 있다. 이격된 부분(240)의 형성을 위하여, 제2방전전극(214)들이 연장되는 방향(y방향)으로 배치된 단위 픽셀(250)들을 각각 한정하는 가로격벽부(228b)들 사이가 소정의 거리(h1)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비방전영역(240)이 형성된다. 다만, 상기의 비방전영역(240)에 제1,2방전전극들(214, 215)이 노출될 경우, 제1,2방전전극들(214, 215)의 손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가로격벽부(228b)들 사이에 노출되는 제1,2방전전극들(214, 215)은 유전체층(275)에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되는 제1,2방전전극들(214, 215) 부분을 별도의 유전체층(275)으로 덮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유전체층(275)을 가로격벽부(228b)들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폭 (A1)을 가지는 가로격벽부(228b)들의 하측에 그루브를 형성하는 것이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어드레스전극(213)들이 연장되는 방향(x방향)으로 배치된 단위 픽셀(250)들 사이가 소정의 거리(g1)로 이격되어 있다. 이격된 부분(241)의 형성을 위하여, 어드레스전극(213)들이 연장되는 방향(x방향)으로 배치된 단위 픽셀(250)들을 각각 한정하는 세로격벽부(228a)들 사이가 소정의 거리(g1)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비방전영역(241)이 형성된다. 다만, 상기의 비방전영역(241)에 어드레스전극(213)들이 노출될 경우, 어드레스전극(213)들의 손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상기 세로격벽부(228a)들 사이에 노출되는 어드레스전극(213)들은 유전체층(276)에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이한 단위 픽셀(250)들에 배치된 제2방전전극(215)들(또는 제1방전전극(214)들) 사이와, 상이한 단위 픽셀(250)들에 배치된 어드레스전극(213)들 사이에 비방전영역들(240, 24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방전전극(213)들 사이 및 제2방전전극(214)들 사이의 비유전율이 감소한다. 또한, 단위 픽셀(213) 내에 배치된 제2방전전극(215)들 사이의 거리(F2)에 비하여, 상기 상이한 단위 픽셀(250)들에 배치된 제2방전전극(215)들 사이의 거리(F1)가 증가한다. 비록 도시되지 않지만, 인접하는 단위 픽셀(250)들에서 이웃하는 어드레스전극(213)들 사이의 거리가, 단위 픽셀 내에 배치된 어드레스전극(213)들 사이의 거리보다 증가한다.
따라서, 인접하는 단위 픽셀들에 배치된 제2방전전극(215)들 사이와, 인접하는 단위 픽셀들에 배치된 어드레스전극(213)들 사이의 전기용량이 감소하여, 변위 전류가 감소하게 되고, 이는 곧 무효전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밖에, 제2방전전극(215)들 및 어드레스전극(213)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단위 픽셀들 사이의 이격으로 인한, 무효전력의 감소 등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를 참조하면 된다.
그루브(220a)가 형성된 전면기판(220), 형광체층(226)들, 보호층(219)들, 제1방전전극(213)들, 제2방전전극(214)들, 배면기판(210), 방전가스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구조 및 작용이 유사하므로 이를 참조하면 된다. 또한, 적색발광 방전셀(230R)들, 녹색발광 방전셀(230G)들, 청색발광 방전셀(230B)들에 각각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정방형의 적색 서브픽셀(250R)들, 녹색 서브픽셀(250G)들, 청색 서브픽셀(250Ba, 250Bb)들과, 1개의 적색 서브픽셀(250R), 1개의 녹색 서브픽셀(250G) 및 2개의 청색 서브픽셀들(250Ba, 250Bb)을 구비하는 실질적으로 정방형의 단위 픽셀(250)들에 대한 사항도 전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작동도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단위 픽셀들 사이의 거리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무효전력이 감소되어, 발광효율이 향상된다.
둘째, 면 방전이 방전공간을 형성하는 모든 측면에서 발생될 수 있으므로, 방전면이 크게 확대될 수 있다.
셋째, 방전이 방전셀을 형성하는 측면에서 발생하여 방전셀의 중앙부로 확산되므로, 방전영역이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됨으로써 방전셀 전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전압으로도 구동이 가능하게 되어 발광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저 전압 구동이 가능하므로, 고농도 Xe 가스를 방전가스로 사용하더라도 저 전압 구동이 가능하게 되어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방전 응답 속도가 빠르고, 저 전압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방전전극이 가시광선이 투과하는 전면기판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방전셀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방전전극으로서 저항이 큰 투명전극을 사용할 필요가 없이 저항이 낮은 전극, 예컨대 금속 전극을 방전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방전 응답 속도가 빠르게 되고, 파형의 왜곡없이 저 전압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여섯째, 영구잔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방전공간의 측면에 형성된 방전전극에 인가된 전압에 의한 전계가 플라즈마를 방전공간의 중앙부로 집중시켜 모이게 하므로, 장시간의 방전이 있더라도 방전에 의해 생성된 이온이 전계에 의해 형광체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온 스퍼터링(ion sputtering)에 의한 형광체 손상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영구잔상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고농도 Xe 가스를 방전가스로 사용할 경우 영구잔상의 문제는 매우 심각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영구잔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배면기판;
    상기 배면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된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과 함께 서브픽셀들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격벽들;
    일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방전셀들을 둘러싸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방전을 일으키는 복수 쌍의 1,2방전전극들;
    상기 제1,2방전전극들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방전셀들을 둘러싸면서 연장되는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된 형광체층들; 및
    상기 방전셀들 내에 있는 방전가스;를 구비하고,
    단위 픽셀들은 소정의 개수의 상기 서브픽셀들을 포함하며, 적어도 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단위 픽셀들이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전전극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단위 픽셀들이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전전극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단위 픽셀들이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단위 픽셀들이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단위 픽셀들의 사이의 이격 부분이 비방전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인접하는 단위 픽셀들을 한정하는 격벽들이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단위 픽셀들은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공유하여 배치되며,
    상기 인접하는 단위 픽셀들에 의하여 공유된 상기 격벽들의 폭이 상기 단위 픽셀들 내부에 배치된 격벽들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은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격벽부들 및 상기 가로격벽부들과 교차하는 세로격벽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픽셀을 한정하는 세로격벽부들의 폭이 상기 단위픽셀의 내부에 배치된 세로격벽부들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픽셀을 한정하는 가로격벽부들의 폭이 상기 단위픽셀의 내부에 배치된 가로격벽부들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픽셀은 4개의 서브픽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픽셀은 1개의 적색 서브픽셀, 1개의 녹색 서브픽셀 및 2개의 청색 서브픽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픽셀들은 정방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픽셀들은 정방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픽셀은 3개의 서브픽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픽셀들은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픽셀들은 정방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전전극들과 상기 제2방전전극들은 상기 전면기판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격벽들 내에 배치되며,
    상기 격벽들은 유전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은 상기 격벽들 내에 배치되며,
    상기 격벽들은 유전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들은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제1,2방전전극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들을 대향하는 상기 전면기판 상에는 그루브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들은 상기 그루브들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들은 상기 방전셀들마다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보호층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50034492A 2005-04-26 2005-04-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xpired - Fee Related KR100683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492A KR100683770B1 (ko) 2005-04-26 2005-04-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103447A JP4390152B2 (ja) 2005-04-26 2006-04-04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EP06112232A EP1737016B1 (en) 2005-04-26 2006-04-05 Plasma display panel
DE602006014472T DE602006014472D1 (de) 2005-04-26 2006-04-05 Plasmaanzeigetafel
US11/401,939 US7656090B2 (en) 2005-04-26 2006-04-12 Plasma display panel design resulting in improved luminous efficiency and reduced reactive power
CN200610075432A CN100594574C (zh) 2005-04-26 2006-04-14 等离子体显示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492A KR100683770B1 (ko) 2005-04-26 2005-04-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077A KR20060112077A (ko) 2006-10-31
KR100683770B1 true KR100683770B1 (ko) 2007-02-20

Family

ID=3667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4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3770B1 (ko) 2005-04-26 2005-04-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56090B2 (ko)
EP (1) EP1737016B1 (ko)
JP (1) JP4390152B2 (ko)
KR (1) KR100683770B1 (ko)
CN (1) CN100594574C (ko)
DE (1) DE60200601447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411A (ko) * 2004-05-01 2005-11-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52B1 (ko) * 2004-11-29 2006-05-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0130B1 (ko) 2005-05-16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9858B1 (ko) * 2005-09-07 2007-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마이크로 디스차아지형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829747B1 (ko) * 2006-11-01 2008-05-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38072B1 (ko) * 2006-11-22 2008-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TWI359626B (en) * 2007-03-22 2012-03-01 Au Optronics Corp Electro-luminescence display
KR20210148682A (ko) * 2020-06-01 2021-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및 이미지 센서의 센싱 감도 제어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6467A (ja) * 1991-12-13 1993-07-02 Noritake Co Ltd カラー放電表示管
JPH11176338A (ja) * 1997-12-09 1999-07-02 Oki Electric Ind Co Ltd 気体放電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0123740A (ja) * 1998-10-09 2000-04-28 Hitachi Ltd 表示用放電管
JP2002313240A (ja) * 2001-04-09 2002-10-25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3132805A (ja) * 2001-08-14 2003-05-09 Sony Corp プラズマ表示装置
JP2004235042A (ja) * 2003-01-30 2004-08-19 Noritake Co Ltd ガス放電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111173A (ko) * 2004-05-21 2005-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71967A (ko) 1971-12-28 1973-09-28
JP2917279B2 (ja) 1988-11-30 1999-07-12 富士通株式会社 ガス放電パネル
US6097357A (en) 1990-11-28 2000-08-01 Fujitsu Limited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JP3259253B2 (ja) 1990-11-28 2002-02-25 富士通株式会社 フラット型表示装置の階調駆動方法及び階調駆動装置
JPH0770289B2 (ja) * 1991-11-29 1995-07-31 株式会社ティーティーティー 表示用放電管
EP1231590A3 (en) 1991-12-20 2003-08-06 Fujitsu Limited Circuit for driving display panel
EP0554172B1 (en) 1992-01-28 1998-04-29 Fujitsu Limited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JP3025598B2 (ja) 1993-04-30 2000-03-27 富士通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及び表示駆動方法
JP2891280B2 (ja) 1993-12-10 1999-05-17 富士通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CA2149289A1 (en) * 1994-07-07 1996-01-08 Yoshifumi Amano Discharge display apparatus
JP3163563B2 (ja) 1995-08-25 2001-05-08 富士通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845183B2 (ja) 1995-10-20 1999-01-13 富士通株式会社 ガス放電パネル
US5906527A (en) * 1996-10-30 1999-05-25 Ferro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plasma display panels
KR19990004791A (ko) * 1997-06-30 1999-01-25 엄길용 플라즈마 표시소자
JPH11306996A (ja) 1998-02-23 1999-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基板
JP3424587B2 (ja) 1998-06-18 2003-07-07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4030685B2 (ja) 1999-07-30 2008-01-09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25888A (ja) 2000-03-09 2001-11-22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JP4069583B2 (ja) * 2000-03-28 2008-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03324B1 (ko) 2003-11-29 2006-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519629B2 (ja) 2003-12-24 2010-08-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部材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KR100647657B1 (ko) * 2004-11-18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방법
KR100670245B1 (ko) * 2004-12-09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6467A (ja) * 1991-12-13 1993-07-02 Noritake Co Ltd カラー放電表示管
JPH11176338A (ja) * 1997-12-09 1999-07-02 Oki Electric Ind Co Ltd 気体放電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0123740A (ja) * 1998-10-09 2000-04-28 Hitachi Ltd 表示用放電管
JP2002313240A (ja) * 2001-04-09 2002-10-25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3132805A (ja) * 2001-08-14 2003-05-09 Sony Corp プラズマ表示装置
JP2004235042A (ja) * 2003-01-30 2004-08-19 Noritake Co Ltd ガス放電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111173A (ko) * 2004-05-21 2005-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14472D1 (de) 2010-07-08
US20060238123A1 (en) 2006-10-26
EP1737016A2 (en) 2006-12-27
CN100594574C (zh) 2010-03-17
CN1855349A (zh) 2006-11-01
US7656090B2 (en) 2010-02-02
EP1737016B1 (en) 2010-05-26
JP2006310292A (ja) 2006-11-09
EP1737016A3 (en) 2007-02-28
KR20060112077A (ko) 2006-10-31
JP4390152B2 (ja)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015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5004551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24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4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5103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15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16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1157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3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16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23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0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4950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777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38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29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6018B1 (ko) 투과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9500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378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3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4111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10288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37446A (ko) 서로 교차하는 방전전극들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KR2006011230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