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0488B1 -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488B1
KR100680488B1 KR1020050003322A KR20050003322A KR100680488B1 KR 100680488 B1 KR100680488 B1 KR 100680488B1 KR 1020050003322 A KR1020050003322 A KR 1020050003322A KR 20050003322 A KR20050003322 A KR 20050003322A KR 100680488 B1 KR100680488 B1 KR 10068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ion implantation
implantation layer
photoresis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647A (ko
Inventor
김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50003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488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123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 H10D84/0126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 H10D84/0156Manufacturing their doped w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01L21/26506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in group IV semiconductors
    • H01L21/2651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in group IV semiconductors of electrically active species
    • H01L21/2652Through-implan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채널 스탑 이온주입층을 저전압 트랜지스터의 레트로그레이드 웰 형성시에 함께 형성함으로써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채널 스탑 이온주입층 형성과 관련된 공정 스텝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정 단순화를 통한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채널스탑 이온주입층, 공정 단순화

Description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flash memory device}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P형 반도체 기판 11 : 트리플 N웰
12 : 제 1 포토레지스트 13 : 제 1 N웰
13a : 제 1 문턱전압 이온주입층 14 : 제 2 포토레지스트
15 : 제 2 N웰 15a : 채널스탑 이온주입층
15b : 펀치 쓰루 이온주입층 15c : 제 2 문턱전압 이온주입층
16 : 소자분리막 17 : 게이트 산화막
18 : 게이트 전극 19 : 스페이서
20, 21 : 소오스/드레인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정을 단순화시키기에 적합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낸드 플래쉬 메모리(NAND flash memory)의 펌프 아웃(pump out)단에서 고전압(high voltage)을 트랜스퍼(transfer)하기 위해 고전압 N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면서 워드라인 바이어스(wordline bias)에 수백 mV 레벨의 노이즈(noise)를 발생시켜 셀 분포(cell distribution)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회로 디자인(circuit design)을 변경하는 방법이 도입되었으나, 여전히 많은 노이즈(noise)가 발생되고 있다.
90nm급 기술을 적용한 SLC(single Level Cell)에서는 프로그램 셀 분포 마진(distribution margin)이 어느 정도 있었으나, 동일 기술을 적용한 MLC(Multi Level Cell)에서는 단일 셀에 여러 가지 프로그램 스테이트(program state)를 구현하게 되면서 타이트(tight)한 프로그램 셀 분포를 요구하게 되었고, 셀 프로그램시 워드라인에 가해지는 노이즈의 개선이 필수적이게 되었다.
현재, 펌프 회로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를 MLC 소자에 추가하는 방법이 도입되었으나,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게 되면서 추가로 5~6 스텝(step)의 이온주입관련 마스크 공정이 추가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공정 단순화를 통해 원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필드 영역과 활성 영역이 정의된 고전압 소자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상에 고전압 소자 영역을 노출하는 제 1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를 마스크로 문턱전압, 웰의 연속 공정으로 표면내에 문턱전압 이온주입층을 갖는 제 1 레트로그레이드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고전압 소자 영역의 필드영역과 상기 저전압 소자 영역을 노출하는 제 2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를 마스크로 문턱전압(Vt), 펀치쓰루, 채널 스탑, 웰의 연속 공정으로 표면내에 문턱전압 이온주입층, 펀치쓰루 이온주입층, 채널스탑 이온주입층을 갖는 제 2 레트로그레이드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필드 영역의 반도체 기판에 상기 채널스탑 이온주입층에 의해 하부가 감싸지는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공정 단면도이다.
우선,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드 영역 및 활성 영역을 갖는 고전압 소자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이 정의된 P형 반도체 기판(10)에 딥 N 웰인 트리플 N웰(TN-well)(11)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P형 반도체 기판(10)상에 고전압 소자 영역을 오픈하는 제 1 포토레지스트(12)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12)를 마스크로 하는 문턱전압(Vt), N웰의 연속 공정으로 상기 P형 반도체 기판(10)의 표면내에 제 1 문턱전압 이온주입층(13a)을 갖는 레트로그레이드 웰(retrograde well) 구조의 제 1 N웰(NWell-1)(13)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12)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P형 반도체 기판(10)상에 상기 고전압 소자 영역의 필드 영역과 저전압 소자 영역을 오픈하는 제 2 포토레지스트(14)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14)를 마스크로 하는 문턱전압(Vt), 펀치쓰루(punch through), 채널 스탑(channel stop), 웰(well)의 연속 공정으로 P형 반도체 기판(10)의 표면내에 제 2 문턱전압 이온주입층(15c), 펀치쓰루 이온주입층(15b), 채널스탑 이온주입층(15a)을 갖는 레트로그레이드 웰(retrograde well) 구 조의 제 2 N웰(NWell-2)(15)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14)를 제거한다.
그러고 나서,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채널스탑 이온주입층(15a)이 노출되도록 필드 영역의 P형 반도체 기판(10)에 트렌치를 형성하고, 상기 트렌치에 산화막을 매립하여 STI(Shallow Trench Isolation) 구조의 소자분리막(16)을 형성한다.
상기 소자분리막(16)의 형성으로 고전압 소자 영역의 필드 영역에 형성된 제 2 문턱전압 이온주입층(15c)과 펀치쓰루 이온주입층(15b)은 제거되게 되고, 가장 하부의 채널스탑 이온주입층(15a)만이 남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자분리막(16)을 STI 구조로 형성하였으나, LOCOS 구조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런 다음, 활성영역의 제 1, 제 2 N 웰(13)(15)의 일정영역상에 게이트 산화막(17)을 개재하여 게이트 전극(18)을 형성하고, 게이트 보호를 위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18) 양측에 스페이서(19)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게이트 전극(18) 및 스페이서(19)를 마스크로 P형 반도체 기판(10)에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20)(21)을 형성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 제조를 완성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PMOS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나, NMOS 트랜지스터의 제조시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채널 스탑 이온주입층을 저전압 트랜지스터의 레트로그레이드 웰 형성시에 함께 형성함으로써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채널 스탑 이온주입층 형성과 관련된 공정 스텝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정 단순화를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필드 영역과 활성 영역이 정의된 고전압 소자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상에 상기 고전압 소자 영역을 노출하는 제 1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를 마스크로 문턱전압, 웰의 연속 공정으로 표면내에 문턱전압 이온주입층을 갖는 제 1 레트로그레이드 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고전압 소자 영역의 필드영역과 상기 저전압 소자 영역을 노출하는 제 2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를 마스크로 문턱전압(Vt), 펀치쓰루, 채널 스탑, 웰의 연속 공정으로 표면내에 문턱전압 이온주입층, 펀치쓰루 이온주입층, 채널스탑 이온주입층을 갖는 제 2 레트로그레이드 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드 영역의 반도체 기판에 상기 채널스탑 이온주입층에 의해 하부가 감싸지는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분리막을 형성한 이후에 활성 영역의 반도체 기판상에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양측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및 스페이서를 마스크로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50003322A 2005-01-13 2005-01-13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80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322A KR100680488B1 (ko) 2005-01-13 2005-01-13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322A KR100680488B1 (ko) 2005-01-13 2005-01-13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647A KR20060082647A (ko) 2006-07-19
KR100680488B1 true KR100680488B1 (ko) 2007-02-08

Family

ID=3717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322A KR100680488B1 (ko) 2005-01-13 2005-01-13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4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317A (ko) * 1997-03-05 1998-11-25 기다오까다까시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10105584A (ko) * 2000-05-16 2001-11-29 김순택 리튬 2차전지
KR20050002250A (ko) * 2003-06-30 2005-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317A (ko) * 1997-03-05 1998-11-25 기다오까다까시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10105584A (ko) * 2000-05-16 2001-11-29 김순택 리튬 2차전지
KR20050002250A (ko) * 2003-06-30 2005-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80079317
1020010005584
102005000225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647A (ko)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21849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960036093A (ko) 플래쉬 이이피롬 셀 및 그 제조방법
KR100624912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80488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85620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429512B2 (en) Method for fabricating flash memory device
JP2006319296A (ja) 半導体素子の素子分離膜およびその形成方法
KR100624922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937665B1 (ko) 노어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JP2007067027A (ja) 埋め込み型不揮発性メモリーの製作方法
KR20040079057A (ko)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85624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90077300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접합영역 및 그의 형성 방법
US6455376B1 (en) Method of fabricating flash memory with shallow and deep junctions
KR100973093B1 (ko) 0.25 μm 128 M 마스크 롬 제조방법
KR10080074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67029B1 (ko) 마스크 롬 제조방법
KR100487504B1 (ko) 서로 다른 게이트 스페이서 형성 방법
KR100587606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429178B1 (ko) 비휘발성메모리소자의제조방법
KR20100074900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99069B1 (ko) 로직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46350B1 (ko) 플래시이이피롬및그제조방법
KR20010045477A (ko)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070050173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1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