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4912B1 -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912B1
KR100624912B1 KR1020050023471A KR20050023471A KR100624912B1 KR 100624912 B1 KR100624912 B1 KR 100624912B1 KR 1020050023471 A KR1020050023471 A KR 1020050023471A KR 20050023471 A KR20050023471 A KR 20050023471A KR 100624912 B1 KR100624912 B1 KR 100624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concentration
pmos transistor
high voltage
ion impla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환
김태균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50023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912B1/ko
Priority to US11/297,147 priority patent/US7384844B2/en
Priority to JP2005357154A priority patent/JP2006270044A/ja
Priority to TW094146419A priority patent/TWI286369B/zh
Priority to CNB2006100549546A priority patent/CN100431138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10B41/42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 H10B41/49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comprising different types of peripheral transis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모리 셀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함에 있어서, 저전압 소자 영역에 실시하는 저농도 n형 이온 주입 공정을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에도 실시하여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의 전류 패스 구간에 보다 많은 보론 이온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온 전류(on current) 마진을 향상시키고,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에 주입하는 고농도 p형 불순물 이온으로 BF2를 사용하여 보론 이온이 하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억제시키어 고농도 P형 이온주입영역과 n웰간 농도차이를 최소화시키어 정션 브레이크다운 전압(JBV)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정션 브레이크다운 전압(JBV), 온 전류

Description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flash memory device}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공정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공정 단면도
도 3은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의 농도에 따른 정션 브레이크다운 전압(JBV)을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반도체 기판 21 : 게이트
22 : 재산화막 23 :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
24 : 저농도 n형 이온주입 영역 25 : 고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의 정션 브레이크다운 전압(Junction Breakdown Voltage) 및 온 전류(on current) 마진을 확보하기 위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낸드 플래쉬(NAND flash) 소자에서 프로그램/소거(program/erase)시 고전압 바이어스(high voltage bias)를 사용한다. 이 고전압 바이어스를 셀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워드라인(wordline)과 비트라인(bitline) 끝단에 고전압 트랜지스터(High Voltage transistor)를 위치시켜 원활하게 고전압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원 셀(one cell)당 1비트(bit)를 저장하는 싱글 레벨 셀(Single Level Cell : 이하, SLC라 함)에서는 프로그래밍(programming)시 16V에서 19.5V까지 500mV 스텝으로 프로그래밍하고 있으나, 원 셀 당 2 비트 이상을 저장하는 멀티 레벨 셀(Multi Level Cell : MLC)에서는 셀 분포(Cell distribution)를 싱글 레벨 셀(Single Level Cell : SLC)에 비해 작게 가져가야 하므로, 공정 마진(margin)이 타이트(tight)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멀티 레벨 셀(MLC)에서는 셀 문턱전압 분포 개선의 목적으로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공정 단면도로,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 제조는 먼저,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을 포함하는 p형 도전형 반도체 기판의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에 n웰(10a)을 형성하고, 소자분리 공정을 통해 반도체 기판(10)을 활 성영역과 필드 영역으로 구분한다.
그런 다음,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상에 터널 산화막(11a), 플로팅 게이트용 폴리실리콘막(11b), 층간 유전막(11c), 컨트롤 게이트용 폴리실리콘막(11d)을 적층하고, 포토 및 식각 공정으로 상기 컨트롤 게이트용 폴리실리콘막(11d)과 층간 유전막(11c)과 플로팅 게이트용 폴리실리콘막(11b)을 선택 식각하여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상에 게이트(11)들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식각 공정시 상기 게이트(11)에 발생되는 데미지(damage)를 완화하기 위하여 재산화(reoxidation) 공정으로 상기 게이트(11)의 측면 및 상면에 재산화막(12)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에 제 1 포토레지스트(PR1)를 도포하고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이 노출되도록 노광 및 현상 공정으로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PR1)를 패터닝한다.
이어, 상기 패터닝된 제 1 포토레지스트(PR1)를 마스크로 p- 이온을 주입하여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의 게이트(11) 양측 n웰(10a)내에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13)을 형성한다.
상기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13)은 n웰(10a)과 차후에 형성되는 고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간 농도차이로 인한 정션 브레이크다운 전압(Junction Breakdown Voltage : 이하, JBV라 함) 감소 현상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저농도의 도핑 레벨로 형성한다.
그런 다음,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PR1)를 마스크로 p+ 이온을 주입하여 상기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13)내에 고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14)을 형성한다.
이로써, 상기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13)에 둘러싸인 고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14)으로 구성되는 DDD(Double Doped Drain) 구조의 소오스 및 드레인 접합이 완성된다.
이어,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PR1)를 제거한 다음, 전면에 제 2 포토레지스트(PR2)로 딥(dip) UV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다. 그런 다음, 도 1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저전압 소자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PR2)를 패터닝한다.
이어서, 상기 패터닝된 제 2 포토레지스트(PR2)를 마스크로 n- 이온 예를 들어, 1E13ions/㎠ 이하의 농도를 갖는 P31 및 As75 이온을 주입하여 저전압 소자 영역의 게이트(11) 양측 반도체 기판(10)내에 저농도 n형 이온주입 영역(15)을 형성한다.
이후,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PR2)를 제거하고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의 게이트(11) 양측면에 스페이서(spacer)를 형성하고 저전압 소자 영역의 게이트(11) 및 스페이서 양측 반도체 기판(10)내에 n+ 이온을 주입하여 고농도 n형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고농도 PMOS 트랜지스터가 높은 정션 브레이크다운 전압(JBV)을 유기하 기 위해서는 상기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13)의 농도를 낮추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13)의 농도가 낮아지면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의 온 전류(on current)가 낮아져 전류 유도능력(current derivability)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정션 브레이크다운 전압(JBV)의 저하 없이 전류 유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상에 다수개의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의 게이트 양측 반도체 기판내에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에 고농도 BF2 이온을 주입하여 상기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내에 고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에 저농도의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상에 다수개의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의 게이트 양측 반도체 기판내에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에 저농도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단계와,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에 고농도 BF2 이온을 주입하여 상기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내에 고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공정 단면도로,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을 갖는 p형 도전형 반도체 기판(20)의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에 n웰(20a)을 형성하고, 소자분리 공정을 통해 반도체 기판(20)을 활성영역과 필드 영역으로 구분한다.
그런 다음, 반도체 기판(20)상에 터널 산화막(21a), 플로팅 게이트용 폴리실 리콘막(21b), 층간 유전막(21c), 컨트롤 게이트용 폴리실리콘막(21d)을 적층 형성하고, 포토 및 식각 공정으로 상기 컨트롤 게이트용 폴리실리콘막(21d)과 층간 유전막(21c)과 플로팅 게이트용 폴리실리콘막(21b)을 선택 식각하여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상에 게이트(21)들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식각 공정시 상기 게이트(21)에 발생되는 데미지(damage)를 완화하기 위하여 재산화(reoxidation) 공정으로 상기 게이트(21)의 상면 및 측면에 재산화막(22)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전면에 제 1 포토레지스트(PR1)를 도포하고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이 노출되도록 노광 및 현상 공정으로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PR1)를 패터닝한다.
이어, 상기 패터닝된 제 1 포토레지스트(PR1)를 마스크로 p- 이온 예를 들어, 2.0E12~8.0E12ions/㎠ 농도의 B11 이온을 주입하여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의 게이트(21) 양측 n웰(20a)내에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23)을 형성한 후,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PR1)를 제거한다.
상기 B11 이온 주입시 이온주입 에너지는 25~50KeV가 되도록 하고, 이온주입시 틸트(tilt)각을 0ㅀ로 하여도 되나, 상기 게이트(21)와 소오스 및 드레인 접합간 오버랩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틸트각이 3~7ㅀ가 되도록 한다.
도 3은 게이트와 오믹 콘택간 거리(CtCsp)가 1.0㎛, 0.6㎛인 경우에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의 농도에 따른 정션 브레이크다운 전압(JBV) 변화를 나타낸 그 래프로, 도 3의 내용에 따르면 정션 브레이크다운 전압(JBV)을 22V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23)의 농도를 4.0E12~6.0E12ions/㎠로 유지하여야 하고, 이 이상이 농도 범위에서는 정션 브레이크다운 전압(JBV)이 급격히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MOSFET 동작에서 설계 마진을 늘리기 위해서는 온 전류(on current)의 증진이 요구되고, 온 전류 증진을 위해서는 소오스 및 드레인 접합의 농도를 올려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소오스 및 드레인 접합의 농도가 증가되면 온 전류는 증가되지만 정션 브레이크다운 전압(JBV)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전압 소자 영역의 저농도 n형 이온주입 영역(24)을 형성하기 위한 n- 이온주입 공정을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에도 실시한다.
즉, 상기 저전압 소자 영역과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에 n- 이온 예를 들어, 저농도의 인(P)과 아세닉(As) 이온 등을 주입하여 저전압 소자 영역의 게이트(21) 양측 반도체 기판(20)내에 저농도 n형 이온주입 영역(24)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에서는 상기 주입된 n형 이온에 의하여 전류 패스 구간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보론 이온을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생겨 온 전류의 증진 효과를 가져 올 수 있게 된다.
이어, 전면에 제 2 포토레지스트(PR2)를 도포하고 도 2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이 노출되도록 노광 및 현상 공정으로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PR2)를 패터닝한다.
그런 다음, 상기 패터닝된 제 2 포토레지스트(PR2)를 마스크로 상기 고농도 BF2 이온을 주입하여 상기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23) 내에 고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2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이온 주입시 B11을 사용하면 후속 열처리 공정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20) 하부로 보론(B) 이온이 과도하게 확산(diffusion)되어 만족할만한 정션 브레이크다운 전압(JBV) 확보가 어렵게 되므로, 접합 깊이가 보다 얕으면서도 고농도 접합 형성이 가능하도록 고농도의 BF2 이온을 주입해서 플로린(F) 이온이 표면으로 아웃 디퓨젼(out diffusion)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보론(B)의 반도체 기판(20) 하부로의 확산을 억제시킨다. 그 결과, 상기 고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25)은 반도체 기판(20) 표면에서 하부쪽으로 갈수록 저농도의 프로파일을 갖게 되어 고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25)과 n웰(20a)간의 농도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정션 브레이크다운 전압(JBV)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PR2)를 제거하고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의 게이트(21) 양측면에 스페이서(spacer)를 형성하고 저전압 소자 영역의 게이트(21) 및 스페이서 양측 반도체 기판(20)내에 고농도 n형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여 LDD(Light Doped Drain) 구조의 소오스 및 드레인 접합을 형성한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n-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도 2c) 이후에 고농도의 BF2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도 2d)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들 공정 순서를 바꾸어서 고농도 의 BF2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도 2d) 이후에 n-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도 2c)을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p- 이온주입시 사용한 제 1 포토레지스트(PR1)를 고농도 BF2 이온 주입 공정시에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 2 포토레지스트(PR2)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저농도 소자 영역에 n- 이온주입시에 딥 UV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고 가의 딥 UV 마스크 사용에 따른 생산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둘째, 딥 UV 마스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TAT(Turn Around Time)을 단축시킬 수 있다.
셋째,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에 n- 이온을 주입하여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의 전류 패스 구간에 보다 많은 보론 이온 주입이 가능케 함으로써 온 전류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에 주입하는 p+ 이온으로 BF2를 사용하여 보론 이온이 하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억제시키어 고농도 p형 이온주입영역과 n웰간 농도차이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정션 브레이크다운 전압(JBV)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8)

  1. (a)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상에 다수개의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의 게이트 양측 반도체 기판내에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에 고농도 BF2 이온을 주입하여 상기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내에 고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에 저농도의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및 (c) 단계는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을 오픈하는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를 이용하여 저농도 p형 이온을 주입하여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의 게이트 양측 반도체 기판내에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를 이용하여 고농도 BF2 이온을 주입하여 상기 저농도 p형 이온 주입 영역내에 고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P형 이온으로 2.0E12~8.0E12ions/㎠의 농도를 갖는 B11 이온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p형 이온 주입시 이온주입 에너지는 25~50K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주입된 고농도 BF2 이온의 플루오르(F) 성분의 아웃 디퓨젼 현상에 의하여 보론(B) 성분이 반도체 기판 하부로의 확산이 억제되어 상기 고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은 반도체 기판 표면에서 하부로 갈수록 낮은 농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6. (a)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상에 다수개의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의 게이트 양측 반도체 기판내에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 및 저전압 소자 영역에 저농도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단계; 및
    (d)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에 고농도 BF2 이온을 주입하여 상기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내에 고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을 오픈하는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를 이용하여 저농도 p형 이온을 주입하여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의 게이트 양측 반도체 기판내에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고전압 PMOS 트랜지스터 영역을 오픈하는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를 이용하여 고농도 BF2 이온을 주입하여 상기 저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내에 고농도 p형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50023471A 2005-03-22 2005-03-22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24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471A KR100624912B1 (ko) 2005-03-22 2005-03-22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11/297,147 US7384844B2 (en) 2005-03-22 2005-12-07 Method of fabricating flash memory device
JP2005357154A JP2006270044A (ja) 2005-03-22 2005-12-12 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の製造方法
TW094146419A TWI286369B (en) 2005-03-22 2005-12-23 Method of fabricating flash memory device
CNB2006100549546A CN100431138C (zh) 2005-03-22 2006-02-27 制造快闪存储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471A KR100624912B1 (ko) 2005-03-22 2005-03-22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912B1 true KR100624912B1 (ko) 2006-09-19

Family

ID=3703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471A KR100624912B1 (ko) 2005-03-22 2005-03-22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84844B2 (ko)
JP (1) JP2006270044A (ko)
KR (1) KR100624912B1 (ko)
CN (1) CN100431138C (ko)
TW (1) TWI2863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1616B2 (en) * 2004-03-15 2009-02-17 Nxp B.V.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dopant introduction
KR100816755B1 (ko) 2006-10-19 2008-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026544B2 (en) * 2009-03-30 2011-09-27 Sandisk Technologies Inc. Fabricating and operating a memory array having a multi-level cell region and a single-level cell region
CN104347501B (zh) * 2013-08-07 2017-07-14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半导体器件的形成方法
US11018259B2 (en) * 2015-12-17 2021-05-2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gate structure and doped gate spacer
CN108109908B (zh) * 2016-11-25 2021-02-26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CN110797342B (zh) * 2019-10-17 2022-05-27 上海华力集成电路制造有限公司 存储器件的制造方法及该存储器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414A (ko) * 1999-12-28 2001-07-07 박종섭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38041A (ko) * 2001-11-08 2003-05-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전압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008520A (ko) * 2002-07-18 2004-01-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제조방법
KR20040062276A (ko) * 2003-01-02 200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주변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4134A (ja) * 1992-06-01 1994-12-02 Seiko Instr & Electron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431647B2 (ja) * 1992-10-30 2003-07-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とその作製方法およびメモリ装置の作製方法およびレーザードーピング処理方法
JPH0774355A (ja) * 1993-08-31 1995-03-17 Ne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426039B2 (ja) * 1994-10-05 2003-07-14 三菱電機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US5880502A (en) * 1996-09-06 1999-03-09 Micron Display Technology, Inc. Low and high voltage CMOS devices and process for fabricating same
US6180470B1 (en) * 1996-12-19 2001-01-30 Lsi Logic Corporation FETs having lightly doped drain regions that are shaped with counter and noncounter dorant elements
TW432719B (en) * 1997-12-24 2001-05-01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Flash memory structure with split gate and source-side injection and its manufacturing
JP3381147B2 (ja) * 1999-04-16 2003-02-2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501183B2 (ja) * 1999-09-14 2010-07-14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1196476A (ja) * 2000-01-07 2001-07-19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297108B1 (en) * 2000-03-10 2001-10-02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of forming a high voltage MOS transistor on a semiconductor wafer
JP2002033397A (ja) * 2000-07-18 2002-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2002043436A (ja) * 2000-07-28 2002-02-08 Denso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2118177A (ja) * 2000-10-11 2002-04-19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SE519382C2 (sv) * 2000-11-03 2003-02-25 Ericsson Telefon Ab L M Integrering av självinriktade MOS-högspänningskomponenter samt halvledarstruktur innefattande sådana
US6605506B2 (en) * 2001-01-29 2003-08-12 Silicon-Based Technology Corp. Method of fabricating a scalable stacked-gate flash memory device and its high-density memory arrays
JP2003051552A (ja) * 2001-08-03 2003-02-21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KR100493025B1 (ko) * 2002-08-07 2005-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493061B1 (ko) * 2003-06-20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가 내장된 단일 칩 데이터 처리 장치
KR100542394B1 (ko) * 2003-09-08 2006-01-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전극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414A (ko) * 1999-12-28 2001-07-07 박종섭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38041A (ko) * 2001-11-08 2003-05-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전압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008520A (ko) * 2002-07-18 2004-01-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제조방법
KR20040062276A (ko) * 2003-01-02 200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주변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1708A (zh) 2006-10-04
US20060223264A1 (en) 2006-10-05
TW200634996A (en) 2006-10-01
US7384844B2 (en) 2008-06-10
TWI286369B (en) 2007-09-01
CN100431138C (zh) 2008-11-05
JP2006270044A (ja) 200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4052B2 (en) Methods of fabricating non-volatile memory devices including double diffused junction regions
US804445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0431138C (zh) 制造快闪存储装置的方法
CN110739313B (zh) 一种非易失性存储器单元、阵列及制备方法
CN106206748B (zh) Sonos器件及其制造方法
US7429512B2 (en) Method for fabricating flash memory device
KR100525911B1 (ko) 반도체 소자의 고전압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100596851B1 (ko) 반도체 소자의 셀 채널 이온 주입 방법
KR10062824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6455376B1 (en) Method of fabricating flash memory with shallow and deep junctions
KR20090077300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접합영역 및 그의 형성 방법
KR100503366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20060102193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pmos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680488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20150008507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20216B1 (ko) 반도체소자제조방법
KR10073996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70012181A (ko) 메모리 셀들 및 관련 구조에서 단락 채널 효과들을감소시키는 방법
US20030201501A1 (en) Structure of a mask ROM device
KR20100074900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80074573A (ko) 온 셀 영역에서 단채널을 갖는 마스크롬의 제조 방법 및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롬
KR20060066389A (ko) 난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09397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KR20060082947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40059994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