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8795B1 -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 - Google Patents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795B1
KR100678795B1 KR1020010005088A KR20010005088A KR100678795B1 KR 100678795 B1 KR100678795 B1 KR 100678795B1 KR 1020010005088 A KR1020010005088 A KR 1020010005088A KR 20010005088 A KR20010005088 A KR 20010005088A KR 100678795 B1 KR100678795 B1 KR 100678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ic polymer
sensitive adhesive
pressure
molecular weight
par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8297A (ko
Inventor
기시오카히로아키
하리마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79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5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ydrolyzed polymers of esters of these acids
    • C08G18/6254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of esters of these acids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40Compositions for pressure-sensitive adhes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07Of polycarbo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후성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기재 중합체로 하고 가교제를 포함하되, 아크릴계 중합체가 150만 이상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아크릴계 중합체 중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비율이 10% 이하이고, 가교 구조화된 후 80℃에서의 저장 탄성률 값이 5×104Pa 내지 5×105P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AND ADHESIVE FILMS}
본 발명은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은 투명 플라스틱에 부착하는 감압성 접착 시이트 또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로서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은 도전 필름, 방현(antiglare) 필름, 열선 차폐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등 각종 기능성 필름중 하나를 기재 필름으로 하는 접착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고정 접착 재료로 사용하여 기능성 필름을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브라운관 등의 표시 장치의 표시부 표면에 부착시킨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계 수지 등의 투명 플라스틱 기판 상에 각종 필름, 특히 기능성 필름을 접착제로 부착시켜 고정시키는 접착제의 다양한 용도가 다수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도에는 가시성 손상이 없는 투명성을 가질 것이 요구됨은 물론, 고습 또는 고온고습의 조건 하에서도 접착 계면에서의 발포나 박리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내발포·내박리성(이하 내후성이라 함)을 가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고습 또는 고온고습의 조건 하에서, 아크릴계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 기판은 발포 원인이 될 수 있는 가스(기재가 흡수한 수분이나 잔류 단량체에 기인한다고 생각됨)를 내뿜기 때문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어느 정도의 차단성을 갖는 기재 필름을 접착층을 통해 상기 투명 기판에 접합시킨 것을 사용하면, 접착 계면에서 발포, 들뜸 및 박리가 발생하여 가시성을 현저히 손상시키게 된다.
종래에, 이러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는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는 기재 중합체로서 분자량을 적절한 범위로 조정한 아크릴계 중합체를 사용하거나(일본국 특허공개 제89-178567호 공보), 밀착성을 높이는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중합체를 사용하거나, 투명 기판에 대한 밀착성을 높이도록 점착 부여제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내후성 개선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아크릴계 중합체의 분자량을 적당한 범위로 조정하거나 단량체 조성을 밀착성을 높이도록 조정하는 것으로는 내후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높은 요구 수준을 만족시킬 수 없었다. 또한, 접착제에 첨가하는 점착 부여제의 비율이 증가하면 투명성을 손상시킨다는 점에서, 점착 부여제의 첨가량이 저절로 한정되어 버리기 때문에 내후성의 개선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기재 중합체로 하여 이루어진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로서, 기재 필름 상에서 내후성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와 내후성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있으며, 나아가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이 형성하는 접착층의 저장 탄성률과 내후성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혀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이들 상관 요소들을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특정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크릴계 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체가 150만 이상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아크릴계 중합체 중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비율이 10% 이하이고, 가교 구조화된 후 80℃에서의 저장 탄성률 값이 5×104Pa 내지 5×105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편,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법(이하, GPC법이라 함)에 의해 아크릴계 중합체의 0.1중량% 테트라히드로퓨란 용액을 용리액(테트라히드로퓨란)을 사용하여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측정한 것이다. 컬럼 온도는 40℃, 유속은 1.0ml/min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저장 탄성률(G')은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그 가교 구조물의 두께가 약 1.5mm가 되도록 적층하여 조제한 시험 샘플을 평형판(직경: 7.9mm)에 설치하여 어드벤스트 레오메트릭 익스펜션 시스템(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ARES)[레오메트릭 사이언티픽사(Rheometric Scientific, Inc.) 제품]에서 6.28rad/s의 속도로 측정한 값이다. 또한, 측정은 -70 내지 200℃의 온도 범위에서 5℃/min의 승온율로 실시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을 높이고, 분자량 10만 이하의 저분자량 성분의 비율을 낮춘 것이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높고 저분자량 성분의 비율이 적을수록 내후성이 향상된다는 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00만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분자량 성분의 비율은 5%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중량평균 분자량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는 700만 이하의 아크릴계 중합체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가교 구조화 후의 80℃에서의 저장탄성률 값에 의해 특정된다. 즉, 상기 저장 탄성률 값에서 가교 구조화물이 양호한 접착성을 가지며, 또한 내후성이 향상된다. 접착성의 우수성 측면에서, 상기 저장 탄성률 값은 1×105Pa 이상 3×105Pa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중합체의 평균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에 관련된 물성과, 조성물의 가교 구조화 후의 물성에 의해 특정되며, 본 발명은 이러한 물성을 특정함으로써 접착제 조성물의 우수한 접착성과 내후성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투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 필름 상에 상기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가교 구조물층이 제공되어 있는 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 접착 필름은 기재 필름 상에 상기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경화시킨 것이다. 기재 필름은 접착 필름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특히 내후성이 요구되는 기능성 필름에 적용했을 경우에 유용하다.
또한, 상기 접착 필름은 기재 필름 상에 제공된 가교 구조물층의, 아크릴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한 180° 인장 접착력이 10N/2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은 각종 투명 플라스틱에 대한 접착력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필름이 상기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가교 구조물에 의해 표시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기능성 필름이 표시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표시 장치는 내후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기재 중합체로 사용되는 아크릴계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여기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란,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의미한다{이하, "(메트)"는 동일한 의미이다}.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탄소수는 통상 1 내지 18 정도이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구체 예로서는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부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라우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에는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외에,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를 병용할 수 있다.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아세트산 비닐, 스티렌,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 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개질용 단량체로 알려진 각종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총량을 기준으로 통상 50중량% 이하의 비율로 사용된다.
임의 단량체로서는 가교제와 반응성을 갖는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저장 탄성률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데에 있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산기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알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총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며, 0.01 내지 1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중합체의 조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종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를, 예를 들어, 아조계 화합물이나 과산화물 등의 중합 개시제를 이용한 용액 중합법, 에멀젼 중합법 또는 괴상 중합법에 의해, 혹은 광 개시제를 이용한 광 중합법 또는 방사선을 조사하는 중합법에 의해 중합한 후, 수득된 중합체에 저분자량 성분만을 용해시킬 수 있는 유기 용매를 가하여 저분자량 성분만을 분별 제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본 발명의 아크릴계 중합체의 조제 방법으로서는 용액 중합법에 있어서 중합 용매로서 연쇄 이동계수가 작은 것을 사용하는 방법, 단량체 농도를 높게 하여 가능한 한 저온에서 중합시키는 방법, 및 광 개시제를 이용한 광 중합법에 있어서 중합시의 조작 조건을 적절히 선택하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의 조제 방법에 있어서의 상기 중합 조작의 선택과 상기 중합 후의 저분자량 성분의 제거 조작을 적절히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가교제로서는 종래 공지된 것을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테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량은 상기한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20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중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이외의 가교제로서는 다작용성 멜라민 화합물이나 다작용성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다작용성 멜라민 화합물로서 메틸화 메틸올 멜라민, 부틸화 헥사메틸올 멜라민 등을 들 수 있고, 다작용성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디글리시딜 아닐린, 글리세린 디글리시딜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중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및 가교제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용제 또는 점착 부여제, 가소제, 충전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은 상기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이 기재 필름 상에서 가교 구조물층으로서 제공된 것이다. 가교 구조물층은 기재 필름 상에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접착 필름의 형태는 기재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가교 구조물층(감압성 접착층)을 제공한, 소위 감압성 접착 시이트(점착 시이트)나 감압성 접착 테이프(점착 테이프) 등의 형태일 수도 있고, 표면을 박리(이형) 처리한 박리 라이너(기재 필름) 상에 가교 구조물층을 제공하여 상기와 같은 형태로 하여 기재없이 사용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기재 필름으로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트리아세틸 셀룰로즈 등의 각종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두께는 통상 10 내지 1,000㎛ 정도이다. 또한, 기재 필름이 도전 필름, 방현 필름, 열선 차폐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등 각종 기능성 필름인 경우, 그 두께는 통상 50 내지 20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필름 상에 형성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가교 구조물층의 두께는 통상 5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정도이다.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건조(경화)는 통상 80 내지 150℃ 정도에서 2 내지 5분 정도 실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표시부 표면에 본 발명의 접착 필름 형태의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등을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실시예 중, 부 및 %는 모두 중량 기준이다.
제조예 1(아크릴계 중합체의 조제)
(1) 중합체의 합성
아크릴산 에틸 60부, 아크릴산 부틸 35부, 아크릴산 5부, 아크릴산 3-히드록시프로필 0.06부 및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 에틸 45부를 3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렇게 하여 중합계내의 산소를 제거한 뒤, 과산화벤조일 0.2부를 가하고, 70℃로 승온시켜 10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그 반응액에 아세트산 에틸을 가하여 고형분 농도 30%의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A-1)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아크릴계 중합체(A-1)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00만이었고,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 비율은 14%였다.
(2) 분자량 및 기타 특성의 조정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A-1) 100부에 n-헵탄 120부를 교반하면서 6시간에 걸쳐서 적가하고, 24시간 정치시킨 후 상청액을 제거하였다. 그 후, 상청액이 제거된 중합체 용액에 톨루엔을 가하여 중합체를 용해시킨 후, n-헵탄 120부를 상기와 같이 가하여 상청액을 제거하는 조작을 추가로 5회 반복하였다. 이렇게 해서 수득된 최종 중합체 용액에 톨루엔 80부를 가한 후, 농축하여 중합체 농도가 25중량%인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A-2)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아크릴계 중합체(A-2)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60만이었고,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 비율은 5%였다.
제조예 2(아크릴계 중합체의 조제)
단량체의 종류 및 사용량을 아크릴산 메틸 45부, 아크릴산 2-에틸헥실 52부, 아크릴산 3부 및 아크릴산 3-히드록시프로필 0.06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중합 방법으로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B-1)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아크릴계 중합체(B-1)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90만이었고,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 비율은 12% 였다.
이어서,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B-1)에 대해 제조예 1(2)와 같은 조작을 하여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B-2)을 수득하였다. 아크릴계 중합체(B-2)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320만이었고,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 비율은 4%였다.
제조예 3(아크릴계 중합체의 조제)
단량체의 종류 및 사용량을 아크릴산 메틸 70부, 아크릴산 부틸 10부, 아크릴산 10부, 아크릴로니트릴 10부 및 아크릴산 3-히드록시프로필 0.06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중합 방법으로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C-1)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아크릴계 중합체(C-1)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00만이었고,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 비율은 12%였다.
이어서,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C-1)에 대해 제조예 1(2)와 같은 조작을 하여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C-2)을 수득하였다. 아크릴계 중합체(C-2)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390만이었고,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 비율은 4%였다.
제조예 4(아크릴계 중합체의 조제)
단량체의 종류 및 사용량을 아크릴산 2-에틸헥실 70부, 아크릴산 이소부틸 20부, 아크릴산 3부, 아크릴산 메톡시에틸 10부 및 아크릴산 3-히드록시프로필 0.05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중합 방법으로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D-1)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아크릴계 중합체(D-1)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50만이었고,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 비율은 17%였다.
이어서,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D-1)에 대해 제조예 1(2)와 같은 조작을 하여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D-2)을 수득하였다. 아크릴계 중합체(D-2)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20만이었고,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 비율은 4%였다.
제조예 5(아크릴계 중합체의 조제)
(1) 아크릴계 중합체의 합성
아크릴산 에틸 60부, 아크릴산 부틸 35부, 아크릴산 5부, 아크릴산 3-히드록시 프로필 0.06부 및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 에틸 100부를 3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렇게 하여 중합계내의 산소를 제거한 뒤, 과산화벤조일 0.2부를 가하고, 75℃로 승온시켜 70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그 반응액에 아세트산 에틸을 가하여 고형분 농도 30%의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E-1)을 수득하였다. 아크릴계 중합체(E-1)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90만이었고,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 비율은 15%였다.
(2) 분자량 및 기타 특성의 조정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E-1) 100부에 n-헵탄 120부를 교반하면서 6시간에 걸쳐서 적가하고, 24시간 정치한 후 상청액을 제거하였다. 그 후, 상청액이 제거된 중합체 용액에 톨루엔을 가하여 중합체를 용해시킨 후, n-헵탄 120부를 상기와 같이 가하여 상청액을 제거하는 조작을 추가로 5회 반복하였다. 이렇게 해서 수득된 최종 중합체 용액에 톨루엔 80부를 가한 후, 농축하여 중합체 농도가 25중량%인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E-2)을 수득하였다. 아크릴계 중합체(E-2)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20만이었고,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 비율은 5%였다.
실시예 1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A-2) 100부에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부를 가하여 감압성 접착 조성물(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용액을, 두께 50㎛로 표면에 이형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박리 라이너) 상에, 건조후의 두께가 약 25㎛가 되도록 유연 도포(cast coating)하여 130℃에서 3분간 가열건조하고, 추가로 50℃에서 72시간 시효경화시켜, 가교 구조화된 감압성 접착층을 갖는 감압성 접착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A-2)을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B-2)으로 대체하고,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부를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0부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압성 접착 시이트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A-2)을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C-2)으로 대체하고,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부를 트리메틸올프로판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0.8부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압성 접착 시이트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A-2)을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D-2)으로 대체하고,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부를 글리세린 디글리시딜 에테르 0.01부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압성 접착 시이트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3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A-2)을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E-2)으로 대체하고,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부를 글리세린 디글리시딜 에테르 0.015부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압성 접착 시이트를 얻었다.
비교예 4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A-2)을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A-1)으로 대체하고,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부를 트리메틸올프로판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0.6부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압성 접착 시이트를 얻었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된 감압성 접착 시이트에 대해, 저장 탄성률을 측정함과 동시에 이하의 시험에 의해 접착력 및 내후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는 참고를 위해 사용한 중합체의 GPC법에 의한 중량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 비율을 병기하였다.
<접착력 시험>
각 감압성 접착 시이트를 폴리카보네이트 시이트(두께 100㎛)에 적층한 후, 폭 20mm, 길이 120mm의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시험편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제거한 후, 시험편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이트, 아크릴계 수지판(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시이트에 각각 부착하고, 유리판 상에서 23℃의 분위기 하, 무게 19.6N의 롤러를 한번 왕복시켜 접합시켰다. 그 후, 50℃에서 하루간 방치하고, 23℃로 방냉한 후에 텐실론형 박리 시험기에 의해 300mm/min의 박리 속도로 박리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내후성 시험>
각 감압성 접착 시이트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188㎛)에 적층한 후,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고, 이를 아크릴 수지판(두께 2mm)에 부착 고정시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이들 시험편을 80℃ 또는 60℃ 및 95% R.H.의 조건하에 각각 500시간 투입하여 내후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내후성 시험 완료 후, 눈으로 보아 접착 계면에 기포나 들뜸과 같은 외관 결점이 전혀 보이지 않은 것을 ○, 결점의 정도에 상관없이 상기 기포나 들뜸이 약간이라도 보이는 것을 ×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아크릴계 중합체의 종류 A-2 B-2 C-2 D-2 E-2 A-1
중량평균 분자량(만) 260 320 390 220 120 200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비율(%) 5 4 4 4 5 14
저장 탄성률(x105Pa) 1 3.5 5.5 0.3 0.8 1
접착력 (N/20mm) PET에 대해 14 12 10 12 13 13
아크릴계 수지에 대해 18 14 11 13 16 17
PC에 대해 19 14.5 11 15 16 18
내후성 × × × ×
본 발명에 따르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분자량과 분자량 분포, 및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가교 구조화 후의 저장 탄성률 값을 특정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내후성이 우수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5)

  1. 아크릴계 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체가 150만 이상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아크릴계 중합체 중 분자량 10만 이하의 성분의 비율이 10% 이하이고, 가교 구조화된 후 80℃에서의 저장 탄성률 값이 5×104Pa 내지 5×105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2. 기재 필름 상에 제 1 항에 따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가교 구조물층이 제공되어 있는 접착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이 기능성 필름인 접착 필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가교 구조물층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180° 인장 접착력이 10N/20mm 이상인 접착 필름.
  5. 기능성 필름이 제 1 항에 따른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가교 구조물에 의해 표시 장치의 표시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표시 장치.
KR1020010005088A 2000-02-04 2001-02-02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 Expired - Fee Related KR100678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0-26963 2000-02-04
JP2000026963A JP2001214143A (ja) 2000-02-04 2000-02-04 感圧性接着剤組成物および接着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297A KR20010078297A (ko) 2001-08-20
KR100678795B1 true KR100678795B1 (ko) 2007-02-05

Family

ID=1855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0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8795B1 (ko) 2000-02-04 2001-02-02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20037413A1 (ko)
JP (1) JP2001214143A (ko)
KR (1) KR100678795B1 (ko)
TW (1) TWI28656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020B1 (ko) 2011-12-29 2014-06-24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용 점착제,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A1 (de) * 2002-01-15 2003-07-24 Basf Ag Strahlungshärtbare Beschichtungen mit verbesserter Haftung
JP4139648B2 (ja) * 2002-08-08 2008-08-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製造用シート
JP2005205781A (ja) * 2004-01-23 2005-08-0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耐発泡性積層シート及び耐発泡性積層体
CN100462241C (zh) * 2004-03-19 2009-02-18 琳得科株式会社 车辆制动盘防锈膜的压敏粘合剂
US8071212B2 (en) * 2004-07-14 2011-12-06 Panac Co., Ltd. Self-adhesive film
JP3916638B2 (ja) * 2004-12-02 2007-05-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EP1939263B1 (en) * 2005-09-05 2012-08-01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surface protective film
CN101268391B (zh) * 2005-09-20 2010-06-16 综研化学株式会社 偏振片用粘接剂组合物以及带粘接剂层偏振片
TWI394807B (zh) * 2005-09-20 2013-05-01 Soken Kagaku Kk 偏光板用黏著劑組成物及附有黏著劑層之偏光板
JP4976075B2 (ja) * 2005-12-26 2012-07-1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8059995A1 (fr) * 2006-11-17 2008-05-22 Lintec Corporation Composition adhésive sensible à la pression pour affichage
JP5277553B2 (ja) * 2007-03-23 2013-08-28 Dic株式会社 電子端末用画像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全面貼り用粘着シート
JP2010189545A (ja) * 2009-02-18 2010-09-02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型光学部材
JP2012184327A (ja) * 2011-03-05 2012-09-27 Mitsubishi Plastics Inc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JP2012207166A (ja) * 2011-03-30 2012-10-25 Mitsubishi Plastics Inc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EP2885130A4 (en) * 2012-08-16 2016-06-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ETHOD FOR PRODUCING BARRIER ARRANGEME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753B2 (ja) * 1988-06-04 1996-09-18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性接着剤組成物
JP2592875B2 (ja) * 1987-12-29 1997-03-19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性接着剤
JP2592876B2 (ja) * 1987-12-29 1997-03-19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性接着剤
KR19980079266A (ko) * 1997-04-09 1998-11-25 모토나카지마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및 편광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875B2 (ja) * 1987-12-29 1997-03-19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性接着剤
JP2592876B2 (ja) * 1987-12-29 1997-03-19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性接着剤
JP2534753B2 (ja) * 1988-06-04 1996-09-18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性接着剤組成物
KR19980079266A (ko) * 1997-04-09 1998-11-25 모토나카지마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및 편광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020B1 (ko) 2011-12-29 2014-06-24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용 점착제,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37413A1 (en) 2002-03-28
KR20010078297A (ko) 2001-08-20
JP2001214143A (ja) 2001-08-07
TWI286566B (en) 200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113B1 (ko) 감압성 접착 시이트, 및 기능성 필름의 고정방법
KR100678795B1 (ko)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
KR102567206B1 (ko) 아크릴-기반 가요성 조립체 층
EP2223983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polarizer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comprising the same
KR101289170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KR101768718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KR101374374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KR101576689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KR101089434B1 (ko) 광학 부재용 점착제, 광학 부재용 점착제의 제조 방법
JP5015648B2 (ja) 光学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KR101866606B1 (ko) 광경화성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101385038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KR20120093102A (ko) 기재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11341A (ko) 감압성 접착 시이트 및 기능성 필름의 고정방법
KR101647156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EP2905318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repeeling properties and method for repeeling same
KR101047922B1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2005115028A (ja) 粘着剤層と偏光板又は位相差板からなる積層体
KR102122602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KR101509855B1 (ko) 점착제 조성물
KR20120005681A (ko) 장식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장식 패널
JP2005196006A (ja) アクリル系粘着剤層を有する偏光板又は位相差板
KR101541579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CN113056538B (zh) 粘合剂组合物和粘合剂膜
KR20170114060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2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