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8429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429B1
KR100678429B1 KR1020010012783A KR20010012783A KR100678429B1 KR 100678429 B1 KR100678429 B1 KR 100678429B1 KR 1020010012783 A KR1020010012783 A KR 1020010012783A KR 20010012783 A KR20010012783 A KR 20010012783A KR 100678429 B1 KR100678429 B1 KR 100678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free end
uneven
region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996A (ko
Inventor
미즈타니사토시
타무라타쯔야
노다유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42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종래의 생리대에서는 누설 방지 측벽이 불규칙하게 굴곡하여 피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쉽고, 경혈이 옆으로 새기 쉬웠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에 있어서, 폭 방향의 양측에는 누설 방지 측벽(5)이 설치되어 있다. 누설 방지 측벽(5)은 측벽 시트(6)가 자유단(5c)에서 2번 접혀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 시트(6)에는 요철 주름(7)을 갖는 굽힘 강성이 높은 영역과, 기단(5b)과 자유단(5c)과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요철 주름(7)을 갖지 않는 띠형 영역(8)이 설치되어 있다. 요철 주름(7)과 띠형 영역(8a)과의 경계는 강성 경계부(11)가 되므로, 요철 주름(7)을 갖는 부분이 극단적으로 변형되지 않고 상기 띠형 영역(8a)의 부분을 경계로 하여 접히기 쉬워진다. 따라서, 누설 방지 측벽(5)이 피부와 쉽게 밀착하게 된다.
흡수성 물품, 누설 방지 측벽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생리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리대의 II-II선 단면을 포함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생리대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생리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생리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을 포함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생리대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생리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측벽 시트의 자유단 부분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측벽 시트를 형성하는 성형 롤의 사시도이다.
도 10의 (A), (B)는 도 9에 도시된 성형 롤의 성형면의 전개 평면 사시도이다.
도 11의 (A), (B)는 도 10의 (B)의 A-A선 및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요철 주름과 띠형 영역 및 강성 경계부가 형성된 측벽 시트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측벽 시트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생리대(흡수성 물품)
2 : 지지 시트
3 : 액체 흡수층
4 : 액체 투과성 시트
5 : 누설 방지 측벽
5b, 5d : 기단
5c : 자유단
6 : 측벽 시트
7, 7A, 7B : 요철 주름
7a : 물결의 정상부
7b : 물결의 저부
8, 8a : 띠형 영역
9, 9a : 탄성 부재
11, 12 : 강성 경계부
본 발명은 주로 경혈 등의 배설액을 흡수하여 보유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 수용측의 양쪽에 폭 방향의 누설 방지 측벽이 설치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대, 소변 흡수 패드, 일회용 기저귀 등의 여러 가지의 흡수성 물품이 개발되어 있다. 이들 흡수성 물품에서는 착용 중에 배설액을 액체 흡수층으로 확실하게 흡수시키고, 배설액이 흡수성 물품 밖으로 새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흡수성 물품의 액체 수용측 표면의 폭 방향의 양쪽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누설 방지 측벽을 형성한 것이 있다.
종래의 누설 방지 측벽의 구조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상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비신축성의 소수성 시트가 접합되어 있고, 이 소수성 시트에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탄성 부재가 접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탄성 부재의 세로 방향 탄성 수축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에 세로 방향으로 향하는 만곡력이 작용하는 동시에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이 흡수성 물품의 액체 수용측으로 세워지고, 이에 따라 경혈 등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 비신축성의 소수성 시트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탄성 부재가 부착된 누설 방지 측벽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의 세로 방향 탄성 수축력에 의해 상기 소수성 시트에 불규칙한 주름이 형성된다. 상기 비신축성의 소수성 시트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세로 방향으로 요철이 반복되는 불규칙한 주름이 많이 형성되면, 누설 방지 측벽은 가로 방향으로의 굽힘 강성이 커지게 되고, 가로 방향에서 누설 방지 측벽이 평면형으로 되어 누설 방지 측벽이 착용자의 피부 표면의 형상에 따르기 어려워 착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나아가서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의 굽힘 강성이 높은 부분에 큰 외력이 작용하면, 가로 방향으로 누설 방지 측벽이 접히게 되어, 그 상태인 채로 복원하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누설 방지 측벽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옆으로 새기 쉽다.
또한, 상기 불규칙한 주름이 연장되는 방향이 세로 방향이고 주름의 요철이 반복하는 방향이 가로 방향이거나, 상기 주름이 연장되는 방향이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이면, 흡수성 물품이 신체에 장착된 상태로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기 소수성 시트가 흡수성 물품의 액체 수용측에서 뭉쳐지거나 불규칙하게 접히거나 하여 누설 방지 측벽과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이 불안정하게 되고, 누설 방지 측벽과 피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쉬우므로, 이 경우도 옆으로 새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탄성 부재에 의해 수축력이 부여된 누설 방지 측벽에 가로 방향으로의 굽힘 강성이 강한 영역을 미리 형성하고, 또한 가로 방향으로 강성차를 갖게 함으로써 누설 방지 측벽이 가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만곡할 수 있게 하며, 착용자의 피부의 형상에 맞추어 3차원 입체 형상이 되기 쉬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지 시트, 액체 흡수층, 상기 액체 흡수층을 덮는 액체 투과성 시트 및 액체 수용측 표면의 폭 방향의 양측에 기단이 접합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자유단이 액체 수용측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누설 방지 측벽이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은 열가소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또는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와 세로 방향으로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을 구성하는 상기 부직포에는 물결의 정상부와 저부가 상기 기단에서 자유단을 향해 연장되면서 물결이 세로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요철 주름이 성형된 강성 영역이 있고, 또한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의 기단과 자유단과의 중간 영역에는 상기 요철 주름이 불연속되는 강성 경계부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는, 누설 방지 측벽을 형성하는 부직포가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 부직포가 가압·가열 성형됨으로써 규칙적인 요철 주름이 부형 성형되어 있다. 이 요철 주름은 누설 방지 측벽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요철 주름이 형성된 강성 영역에서는 가로 방향의 굽힘 강성이 높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강성 영역은 외력에 의해 극단적으로 구부러지는 일이 없고, 가로 방향으로의 직선으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단, 기단과 자유단과의 중간 영역에 강성 경계부가 설치됨으로써 누설 방지 측벽은 이 강성 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가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굽힘 변형되게 된다. 따라서, 누설 방지 측벽은 가로 방향을 향해 착용자의 피부의 만곡 형상에 따라 만곡하기 쉽게 되고, 누설 방지 측벽이 3차원 입체 형상이 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누설 방지 측벽이 피부에 밀착하기 쉽게 되어 옆으로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누설 방지 측벽은 부직포로 제조되어 유연하며, 또한 상기 요철 주름의 피치를 0.3∼1.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0 mm 정도로 미세하게 해 두면, 피부와의 접촉이 부드러워서 착용자가 위화감을 쉽게 느끼지 않게 된다.
예컨대,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의 상기 기단과 자유단과의 중간 영역에는 상기 요철 주름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요철 주름의 요철 높이가 낮은 띠형 영역이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 주름과 상기 띠형 영역과의 경계선이 상기 강성 경계부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누설 방지 측벽에서는 자유단에 상기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강성 경계부 부근에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어도 좋다.
또는, 상기 누설 방지 측벽에서는 상기 강성 경계부 부근에 상기 탄성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자유단에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것이어도 좋다.
혹은, 상기 누설 방지 측벽에서는 상기 자유단과 상기 강성 경계부 부근의 양쪽에 상기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지만, 이 경우 상기 자유단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 부재의 탄성 수축력이 상기 강성 경계부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 부재의 탄성 수축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은 상기 기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직포가 자유단에서 되꺾여 상기 기단에 도달함으로써, 또는 기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부직포가 상기 자유단 또는 다른 영역에서 세로 방향으로 접합됨으로써 적어도 2장의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2장의 부직포에서는 상기 강성 영역과 상기 강성 경계부가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누설 방지 측벽이 2장의 부직포로 구성됨으로써 누설 방지 측벽의 누설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상기 강성 영역의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강성 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누설 방지 측벽을 유연하게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생리대를 액체 수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을 포함하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누설 방지 측벽의 종단면도이며, 도 8은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의 자유단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생리대(1)는 주로 속옷 등의 외부 장착체와 접촉하게 되는 지지 시트(2)와, 착용자에 위치하여 배설액을 흡수하는 액체 흡수층(3)과, 액체 흡수층(3)의 액체 수용측 표면을 덮는 액체 투과성 시트(4)를 갖고 있다.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4)의 폭 방향(X 방향)으로 향하는 측단부(4a)는 액체 흡수층(3)의 측방에 있어서 상기 지지 시트(2)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다.
상기 생리대(1)의 폭 방향(X 방향)으로 향하는 양측부에서는,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쌍을 이루는 누설 방지 측벽(5, 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의 누설 방지 측벽(5)이 1장의 측벽 시트(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 시트(6)는 소수성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 시트(6)의 일단부(5a)는 지지 시트(2) 상에서 액체 투과성 시트(4)의 측단부(4a) 위에 걸쳐 접합되어 있고, 측벽 시트(6)는 액체 투과성 시트(4)의 측단부(4a)의 상면을 기단(5b)으로 하여 지지 시트(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자유단(5c)에 서 되접어 꺾여 있다. 또한, 지지 시트(2)측으로 되돌아가서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4)의 측단부(4a) 상에 기단(5d)이 접합된 상태로 측벽 시트(6)의 다른 단부(5e)는 상기 지지 시트(2)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누설 방지 측벽(5)은 2장의 측벽 시트(부직포: 6)가 폭 방향(X 방향)으로 겹쳐진 2중 구조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 시트(6)에는 물결 형상의 요철 주름(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 주름(7)은 정상부(7a)와 저부(7b)가 세로 방향(Y 방향)으로 반복되는 물결 형상이고, 상기 정상부(7a)와 저부(7b)는 누설 방지 측벽(5)의 기단(5b, 5d)에서 자유단(5c)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것에서는, 상기 요철 주름(7)이 완전히 찌그러지거나 또는 상기 요철 주름(7)보다 요철이 제한된 띠형 영역(8, 8a)이 형성되고, 이 띠형 영역(8, 8a)은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누설 방지 측벽(5)에서는, 자유단(5c)에 있어서 측벽 시트(6)가 상기 띠형 영역(8) 부분에서 되접어 꺾여 있다. 그리고, 이 띠형 영역(8)이 되접어 꺾여 있는 상기 자유단(5c)에는 내측에 탄성 부재(9)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띠형 영역(8a)은 누설 방지 측벽(5)에 있어서 기단(5b, 5d)과 자유단(5c)과의 중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띠형 영역(8a)은 세로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단, 상기 띠형 영역(8a)이 간격을 두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 방지 측벽(5)을 구성하는 2장의 측벽 시트(6, 6: 자유단(5c)에서 되접어 꺾인 2장의 측벽 시트(6, 6))의 각각에 있어서, 거의 같은 높이에 상기 요철 주름(7)과 띠형 영역(8a)이 형 성되어 있다.
이 누설 방지 측벽(5)에서는, 다수의 요철 주름(7)이 규칙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영역이 기단(5b, 5d)에서 자유단(5c)을 향해(가로 방향; X 방향으로) 굽힘 강성이 높은 강성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띠형 영역(8a)은 상기 강성 영역에 비하여 상기 기단에서 자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굽힘 강성이 낮은 저강성 영역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요철 주름(7)이 형성되어 있는 강성 영역과, 상기 띠형 영역(8)인 저강성 영역과의 경계선이 강성 경계부(11)로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 방지 측벽(5)이 되접어 꺾인 2장의 측벽 시트(6, 6)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양쪽의 측벽 시트(6, 6)의 같은 위치에 상기 강성 경계부(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 시트(6)는 그 자체가 비신축성 또는 저신축성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요철 주름(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요철 주름(7)의 신축에 의해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약간의 탄성 수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유단(5c)에 상기 탄성 부재(9)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자유단(5c)에는 세로 방향(Y 방향)으로의 강한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1)의 세로 방향(Y 방향)의 양단부에서는 누설 방지 측벽(5)이 폭 방향의 외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액체 수용측 표면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9)에 의한 Y 방향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생리대(1)는 세로 방향(Y 방향)을 향해 액체 수용측이 오목형이 되도록 만곡하고, 또한, 누설 방지 측벽(5)은 자유단(5c)이 지지 시트(2)로부터 멀어지도록 세워진다. 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기단(5b, 5d)에 대하여 자유단(5c)이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하도록 누설 방지 측벽(5, 5)은 기울어진 방향으로 세워진다.
이 생리대(1)의 상기 누설 방지 측벽(5)을 형성하는 측벽 시트(6)에서는 요철 주름(7)을 갖고 있는 부분에서는 기단(5b, 5d)에서 자유단(5c)을 향하는 방향에서의 굽힘 강성이 높은 강성 영역으로 되어 있지만, 기단(5b, 5d)과 자유단(5c)과의 중간 영역에 저강성 영역인 띠형 영역(8a) 및 강성 경계부(1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띠형 영역(8a) 또는 상기 강성 경계부(11)를 경계로 하여 누설 방지 측벽(5)이 도 3에 있어서 (i) 및 (ii)에서 도시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한편, 누설 방지 측벽(5)은 요철 주름(7)의 요철이 늘어서는 방향인 세로 방향(Y 방향)으로는 유연하게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누설 방지 측벽(5) 전체는 신체의 가랑이부의 형상에 따라 3차원 입체 형상을 따라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요철 주름(7)이 형성되어 있는 강성 영역에서는, 굽힘 강성이 높아 평면 형상을 유지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띠형 영역(8a) 및 강성 경계부(11) 이외의 부분의 상기 요철 주름(7)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 누설 방지 측벽(5)이 불규칙하게 절곡되거나, 또한 불규칙하게 되접어 꺾인 채로 복원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누설 방지 측벽(5)은 피부의 표면 형상을 따라 피부에 밀착하기 쉽고, 피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어렵게 되어 옆으로 새는 것의 방지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누설 방지 측벽(5)을 형성하는 측벽 시트(6)가 부직포로서, 상기 요철 주름(7)의 요철 피치가 0.3 mm 이상이고 1.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이고 1.0 mm 이하의 미세한 것이기 때문에, 피부에의 접촉이 유연하며,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3차원 입체 형상으로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착용자는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이 맞닿을 때의 불쾌감을 느끼기 어렵다.
이 생리대(1)의 액체 수용측에 의해 받아내어진 경혈은 액체 투과성 시트(4)를 투과하여 액체 흡수층(3)으로 흡수되지만, 누설 방지 측벽(5)의 상기 액체 흡수층(3)측에 닿는 측벽 시트(6)에 경혈이 부여되었을 때에는 경혈이 측벽 시트(6)의 표면에서는 요철 주름(7)의 저부(7b)를 걸쳐 액체 투과성 시트(4) 상에 유도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흡수층(3)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액체 투과성 시트(4)의 측단부(4a) 상에 누설 방지 측벽(5)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측벽 시트(6)의 표면을 통해 기단측으로 전해진 경혈은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4)에 부여되어 상기 액체 흡수층(3)으로 더욱 유도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설 방지 측벽(5)이 액체 흡수층(3) 위를 덮는 액체 투과성 시트(4)의 상면으로부터 세워지는 구조로 하면, 측벽 시트(6)의 표면을 통해 전해진 경혈이 상기 액체 투과 시트(4)를 투과하여 상기 액체 흡수층(3)으로 흡수되기 쉽게 된다.
도 9는 측벽 시트(6)에 요철형 주름(7) 및 띠형 영역(8a: 및 띠형 영역(8))을 형성하고, 동시에 요철 주름(7)과 띠형 영역(8a)과의 경계선에 강성 경계부(11)를 형성하기 위한 열 프레스 공정의 설명도이다. 또, 도 9에서는, 하나의 띠형 영 역(8a)만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도 9와 동일한 열 프레스 공정으로 복수의 띠형 영역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열 프레스 공정에서는, 열가소성 섬유로 형성되거나 또는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멜트 블로우 부직포 등의 부직포를 성형 롤(21)과 성형 롤(22)에 끼워 열 프레스한다. 성형 롤(21)과 성형 롤(22)은 서로 맞물린 상태로 α 방향과 β 방향으로 회전한다.
성형 롤(21)의 표면에는 성형면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의 (A)는 성형 롤(21) 표면의 성형면을 평면으로 전개하여 도시하고 있다. 성형 롤(21)의 성형면은 롤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라이프 엠보스형 성형 리브(23)와 홈(24)이 회전 방향(α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반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성형 롤(21)의 축 방향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성형 리브(23)의 상면으로 연속하면서 회전 방향(α 방향)으로 연속하는 볼록 주위면(25)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의 (B)는 다른 쪽 성형 롤(22) 표면의 성형면을 전개하여 도시하고 있다. 성형 롤(22) 표면의 성형면에서는 롤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라이프 엠보스형 성형 리브(26)와 홈(27)이 회전 방향(β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반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성형 롤(22)의 축 방향의 중앙부에서는, 홈(27)의 저부에 연속하는 오목 주위면(28)이 회전 방향(β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성형 롤(21)과 성형 롤(22)이 맞물리면, 성형 롤(21)의 성형 리브(23)가 성형 롤(22)의 홈(27) 내에, 성형 롤(22)의 성형 리브(26)가 성형 롤(21)의 홈(24)에 들어가도록 성형 리브(23)와 리브(26)가 맞물린다. 이 때, 성형 롤(21)의 볼록 주 위면(25)이 성형 롤(22)의 오목 주위면(28)내에 맞물려 들어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6A)를 성형 롤(21)과 성형 롤(22) 사이에 끼워 롤 회전에 의해 조출(繰出)하면, 성형 롤(21, 22)의 성형면에 의해 물결 형상의 요철 주름(7)과 띠형 영역(8a) 및 강성 경계부(11)가 동시에 형성되어 측벽 시트(6)를 얻을 수 있다.
측벽 시트(6)는 멜트 블로우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멜트 블로우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등이다. 단, 부직포와 수지 필름과의 라미네이트재이어도 좋다.
이들 부직포(6A)는 PE, PP, PET 섬유, 또는 PE/PP, PE/PET 등의 심초형(芯硝型)이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합성 섬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1의 (A)는 성형 롤(22)의 성형면을 도시한 도 10의 (B)의 A-A선 단면도, 도 11의 (B)는 도 10의 (B)의 B-B선 단면도이다. 성형 롤(21)과 성형 롤(22)의 성형면은 예컨대 상기 부직포(6A)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에서 10℃에서 50℃ 낮은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의 (A)에서는, 성형 리브(26)의 회전 방향(β 방향)에서의 배열 피치를 β1, 상기 배열 피치(β1) 사이에 있어서 성형 리브(26)와 홈(27)을 통과하는 연장 치수를 β2로 표시하고 있다. 성형 롤(21)과 성형 롤(22)에 의해 부직포(6A)가 끼워진 상태로 조출될 때, 부직포(6A)에는 성형 왜곡(β2-β1)/β1이 부여된다. 이 때의 성형 왜곡은 부직포의 조출 방향으로의 파단 신도(파단 왜곡)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부직포(6A)에는 물결 형상의 요철 주름(7)이 파단되는 일없이 형 성된다.
도 11의 (B)에 있어서, 상기 오목 주위면(28)의 개구단의 롤 축 방향의 거리를 O1, 상기 오목 주위면(28)의 폭 방향의 요철을 가미한 연장 치수를 O2라고 하면, 부직포(6A)에는 롤 축 방향(부직포(6A)의 폭 방향)으로 성형 왜곡(O2-01)/O1이 부여된다. 이 성형 왜곡도 부직포(6A)의 폭 방향으로의 파단 신도(파단 왜곡) 이하로 설정된다. 이 때, 성형 롤(21)과 성형 롤(22)에 의해 부직포(6A)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조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 영역(8a)이 형성되는 동시에 요철 주름(7)과 평탄면(8a)과의 경계선에 강성 경계부(11)가 형성된다.
또, 부직포에 파단을 일으키지 않고 상기 강성 경계부(1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오목 주위면(28)의 폭 방향 양 측부가 세워진 각도(θ)가 90°이상이고 13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측벽 시트(6)의 상기 띠형 영역(8a)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주름(7)에서는, 물결의 정상부(7a)와 저부(7b)에 있어서 섬유 밀도가 높게 되어 있고, 물결의 측벽(7c)에 있어서 섬유 밀도가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요철 주름(7)은 쿠션성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띠형 영역(8a: 띠형 영역(8))에서는, 부직포(6A)를 구성하는 섬유가 압축되어 섬유 밀도가 높아지고 있다. 단, 띠형 영역(8a)에서는 측벽 시트(6)의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이 상기 요철 주름(7)이 형성되어 있는 강성 영역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상기 정상부(7a)와 저부(7b) 및 띠형 영역(8a: 및 띠형 영역(8))의 고밀도 부분의 밀도는 O.1 g/cm3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11의 (A)에 도시된 피치 β1 즉 요철 주름(7)의 피치는 0.3∼1.5 mm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 mm 정도이다. 이 성형면에서 짧은 피치의 요철 주름(7)을 형성하면, 착용자의 피부에의 접촉 감촉이 양호해진다. 또한, 누설 방지 측벽(5)의 기단(5b)에서 자유단(5c)까지 세워진 높이 치수는 5∼25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누설 방지 측벽(5)의 자유단(5c)에 부착되는 상기 탄성 부재(9)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로 형성할 수 있고, 그 형상으로는 실형, 필라멘트형, 필름형, 띠형(벨트형)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는 엘라스틱 스펀 본드 부직포나 엘라스틱 멜트 블로우 부직포 등의 신축성 부직포로부터 절단한 것 등도 사용 가능하다.
탄성 부재(9)가 설치된 한 쌍의 측벽 시트(6)는 1.2∼1.8배 정도 신장시킨 상태로 생리대(1)에 접합되어 있다.
지지 시트(2)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지 시트(2)는 통기성 수지 필름, 발수 처리된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 혹은 부직포의 이면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것이다. 또, 지지 시트(2)의 이면에는 속옷 등의 외부 장착체 등에 걸리게 하기 위한 점착층이 설치되고, 생리대의 사용시까지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4)는 친수 처리된 PE 섬유, PP 섬유, PET 섬유, 또는 이들 복합 섬유 등으로 형성된 부직포로서, 스펀 본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이다. 혹은 개공 처리가 실시된 수지 시트이다.
액체 흡수층(3)은 분쇄 펄프 혹은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의 혼합물 등에 의해 형성되고, 분쇄 펄프 혹은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와의 혼합물이 티슈 등의 흡수성 시트로 둘러싸인 것이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은 상기 부직포(6A)로 형성된 누설 방지 측벽(5)의 변형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으로는 부직포(6A)로 형성된 측벽 시트(6)가 상기 기단부(6b)에서 세워지고, 자유단(5c)에서 되접어 꺾여 있지만, 되접어 꺾인 말단(5d)이 자유단(5c) 부분에서 멈추어져 있다. 따라서, 누설 방지 측벽(5)은 실질적으로 1장의 측벽 시트(6)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1장의 측벽 시트(6)에 요철 주름(7)과 띠형 영역(8a) 및 강성 경계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시트(6)가 자유단(5c)에서 되접어 꺾여 누설 방지 측벽(5)이 2장의 측벽 시트(6)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액체 흡수층(3)에 닿아 있는 쪽의 도 3의 좌측의 측벽 시트(6)에만 요철 주름(7) 및 띠형 영역(8a)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향하는(도시 우측의) 측벽 시트(6)는 상기 요철 주름(7)을 지니지 않는 평탄한 부직포이어도 좋다.
도 5와 그 단면도인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에서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거의 같은 구조의 누설 방지 측벽(5)을 갖고 있지만, 이 누설 방지 측벽(5)에서는, 자유단(5c)에 탄성 부재(9)가 설치되는 동시에 중턱에 설치된 상기 띠형 영역(8a)에 다른 탄성 부재(9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9a)도 상기 탄성 부재(9)와 마찬가지로 세로 방향(Y 방향)으로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 부재(9, 9a)는 모두 도 1에 도시된 생리대(1)의 세로 방향의 양단까지 연장되어 누설 방지 측벽(5)의 세로 방향 양단부와 함께 액체 수용측 표면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것에서는 누설 방지 측벽(5)이 상기 탄성 부재(9a)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 세로 방향의 장력이 커지고 있고, 이 장력이 큰 탄성 부재(9a)의 부분을 경계로 하여 누설 방지 측벽(5)이 절곡되기 쉽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자유단(5c)측에 설치된 탄성 부재(9)의 수축력이 상기 탄성 부재(9a)의 수축 장력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9)의 수축 장력을 크게 해둠으로써 이 탄성 부재(9)가 설치된 자유단(5c)이 중간의 탄성 부재(9a)가 설치된 부분보다도 액체 수용측에 있어서 지지 시트(2)로부터 멀어진 위치가 되고, 그 결과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 방지 측벽(5)이 く자 형상으로 절곡된 상태로 세워진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측벽 시트(6)가 자유단(5c)에서 되접어 꺾여 2층 구조의 누설 방지 측벽(5)이 형성되어 있다. 단, 자유단(5c)에는 탄성 부재(9)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중간의 띠형 영역(8a) 부분에만 탄성 부재(9a)가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9a)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누설 방지 측벽(5)이 액체 수용측으로부터 세워지게 된다. 단, 탄성 부재(9a)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부터 앞 부분이 자유롭게 변형하기 쉽고, 탄성 부재(9a)에서 자유단(5c)까지의 부분은 피부에 부드럽게 피트하게 된다.
도 13은 측벽 시트(6)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것에서는, 요철 주름(7A)과 요철 주름(7B)의 물결의 주기가 부호 12의 부분에서 어긋나 있다. 즉, 요철 주름(7A)의 물결의 정상부(7a)가 요철 주름(7B)의 물결의 저부(7b)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요철 주름(7A)과 요철 주름(7B)이 서로 불연속이며, 그 불연속 부분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강성 경계부(12)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요철 주름(7A)이 형성되어 있는 강성 영역과, 요철 주름(7B)이 형성되어 있는 강성 영역을 상기 강성 경계부(12)를 경계로 하여 절곡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누설 방지 측벽(5)의 기단(5b, 5d)과 자유단(5c)과의 중간 영역에 하나의 띠형 영역(8a)이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중간 영역에 복수의 띠형 영역(8a)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요철 주름(7)의 피치가 누설 방지 측벽(5)의 기단(5b)측에서 좁고, 자유단(5c)측으로 넓어지도록 요철 주름(7)이 기단(5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측벽 시트(6)에 부착된 경혈은 요철 주름(7)을 따라 기단측으로 흐를 때에, 기단(5b)측에서 모여지게 되고, 누설 방지 측벽(5)을 통해 전해진 경혈이 액체 흡수층(3)에 모여져 흡수되게 된다.
또한, 도 2 이하에 도시한 것에서는 누설 방지 측벽(5)이 1장의 측벽 시트(6)를 되접어 꺾어 형성되어 있지만, 복수의 측벽 시트(6)가 기단으로부터 얼어서고, 자유단(5c) 부분 또는 그 이외의 영역에서 2장의 측벽 시트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선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이 생리대인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 소변 흡수 패드나 다른 흡수성 물품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설 방지 측벽은 피부에 맞닿았을 때에 불쾌감이 없고, 또한 누설 방지 측벽이 신체의 피부 표면을 따라 3차원 입체 형상으로 변형되기 쉬우며, 또한 불규칙하게 꺾이는 일이 없다. 따라서, 누설 방지 측벽과 피부의 밀착성이 좋아 옆으로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지지 시트, 액체 흡수층, 상기 액체 흡수층을 덮는 액체 투과성 시트, 및 액체 수용측 표면의 폭 방향의 양측에 기단이 접합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자유단이 액체 수용측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누설 방지 측벽이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은 열가소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또는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세로 방향으로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을 구성하는 상기 부직포에는 물결의 정상부와 저부가 상기 기단에서 자유단을 향해 연장되면서 물결이 세로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요철 주름이 성형된 강성 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의 기단과 자유단의 중간 영역에는 상기 요철 주름이 불연속되는 강성 경계부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되,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의 상기 기단과 자유단의 중간 영역에는 상기 요철 주름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요철 주름의 요철 높이가 낮은 띠형 영역이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 주름과 상기 띠형 영역과의 경계선이 상기 강성 경계부로 되어 있고,
    상기 누설 방지 측벽에서는 상기 강성 경계부 부근에 상기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자유단에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지 아니한 흡수성 물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 측벽에서는 상기 자유단과 상기 강성 경계부 부근의 쌍방에 상기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 부재의 탄성 수축력이 상기 강성 경계부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 부재의 탄성 수축력보다 큰 흡수성 물품.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은 상기 기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직포가 자유단에서 되접어 꺾여 상기 기단에 도달함으로써 또는 기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부직포가 상기 자유단 또는 다른 영역에 세로 방향으로 접합됨으로써 2장 이상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2장 이상의 부직포에서는 상기 강성 영역과 상기 강성 경계부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KR1020010012783A 2000-03-13 2001-03-13 흡수성 물품 Expired - Fee Related KR100678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68352A JP3859420B2 (ja) 2000-03-13 2000-03-13 吸収性物品
JP2000-068352 2000-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996A KR20010091996A (ko) 2001-10-23
KR100678429B1 true KR100678429B1 (ko) 2007-02-05

Family

ID=1858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78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8429B1 (ko) 2000-03-13 2001-03-13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475200B2 (ko)
EP (1) EP1133965B1 (ko)
JP (1) JP3859420B2 (ko)
KR (1) KR100678429B1 (ko)
CN (1) CN1168425C (ko)
AU (1) AU777170B2 (ko)
BR (1) BR0100961B1 (ko)
CA (1) CA2340559A1 (ko)
DE (1) DE60141727D1 (ko)
ID (1) ID29647A (ko)
MY (1) MY122537A (ko)
SG (1) SG95634A1 (ko)
TW (1) TW49342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2469B2 (ja) * 2000-03-13 2006-12-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96774B2 (ja) * 2005-12-06 2013-05-15 小林製薬株式会社 多層吸収性衛生物品
JP4753726B2 (ja) * 2006-01-20 2011-08-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TE525993T1 (de) * 2006-04-07 2011-10-15 Procter & Gamble Hygiene produkt für frauen mit wellenförmiger struktur
JP4822923B2 (ja) * 2006-04-28 2011-11-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749284B2 (ja) * 2006-09-04 2011-08-1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749283B2 (ja) * 2006-09-04 2011-08-1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367961B2 (ja) * 2006-07-07 2013-12-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シート部材およびプリーツシートの製造方法
WO2008029558A1 (fr) * 2006-09-04 2008-03-13 Kao Corporation Article absorbant
KR20090096623A (ko) 2006-12-08 2009-09-11 유니 참 코포레이션 신축성 부직포,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
JP5140374B2 (ja) * 2007-10-09 2013-02-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22444B2 (ja) * 2007-11-30 2010-08-1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91698B2 (ja) * 2008-01-30 2012-12-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95467B2 (ja) * 2008-03-27 2012-12-1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90705B2 (ja) * 2008-11-07 2013-09-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771250B2 (en) * 2009-10-29 2014-07-08 Sca Hygiene Products Ab Inverse standing gathers for an absorbent article
JP5953649B2 (ja) * 2011-02-16 2016-07-2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CN102871804A (zh) * 2012-10-17 2013-01-16 厦门兰海贸易有限公司 用于卫生用品的防勒伤立体护围
JP6249708B2 (ja) * 2013-09-30 2017-1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CA2952003A1 (en) * 2014-06-13 2015-12-17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exhibiting controlled deformation in use
JP6607778B2 (ja) * 2015-12-28 2019-11-2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920070B2 (ja) * 2017-02-14 2021-08-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025172B2 (ja) * 2017-10-12 2022-0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伸縮性シー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吸収性物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0800A (en) * 1996-06-27 1998-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lexure resistant elasticized cuffs
JP5810800B2 (ja) * 2011-09-27 2015-11-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5278A (en) * 1985-10-11 1987-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cuffs
US5181563A (en) * 1987-03-16 1993-01-26 Mcneil-Ppc, Inc. Anatomically shaped absorbent pad
CA2090797A1 (en) * 1992-12-02 1994-06-03 Mary Anne Bruemmer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barrier means
US5518801A (en) * 1993-08-03 1996-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b materials exhibiting elastic-like behavior
KR100324166B1 (ko) * 1993-09-29 2002-07-03 데이비드 엠 모이어 탄성 플리트를 갖는 흡수제품
GB2296445B (en) * 1994-12-27 1998-12-30 Kao Corp Sanitary napkin
JP2909877B2 (ja) * 1995-02-02 1999-06-23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
EP1101746A1 (en) * 1999-11-19 2001-05-23 Rockwool International A/S Manufacture of mineral wool products
JP3748023B2 (ja) * 1999-11-19 2006-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0800A (en) * 1996-06-27 1998-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lexure resistant elasticized cuffs
JP5810800B2 (ja) * 2011-09-27 2015-11-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810800
미국특허공보 제5810800호(1998.09.2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425C (zh) 2004-09-29
ID29647A (id) 2001-09-13
AU2645801A (en) 2001-09-20
CN1318354A (zh) 2001-10-24
BR0100961B1 (pt) 2010-06-15
MY122537A (en) 2006-04-29
SG95634A1 (en) 2003-04-23
JP3859420B2 (ja) 2006-12-20
CA2340559A1 (en) 2001-09-13
AU777170B2 (en) 2004-10-07
KR20010091996A (ko) 2001-10-23
US20010021838A1 (en) 2001-09-13
EP1133965B1 (en) 2010-04-07
EP1133965A2 (en) 2001-09-19
TW493428U (en) 2002-07-01
BR0100961A (pt) 2001-10-30
JP2001252306A (ja) 2001-09-18
DE60141727D1 (de) 2010-05-20
US6475200B2 (en) 2002-11-05
EP1133965A3 (en) 200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429B1 (ko) 흡수성 물품
KR100706044B1 (ko) 흡수성 물품
CN101541275B (zh) 吸收性物品及其制造方法
US8173858B2 (en) Absorptive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323786B2 (ja) 縦長の圧縮溝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4653537B2 (ja) 吸収性物品
KR100648156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CN100425219C (zh) 体液吸收性物品
JP5161491B2 (ja) 吸収性物品
JP3859419B2 (ja) 吸収性物品
JP3732339B2 (ja) 生理用ナプキン
KR100857485B1 (ko) 흡수성 물품
WO2009107791A1 (ja) 吸収性物品
WO2008062872A1 (en) Absorptive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09139248A1 (ja) 吸収性物品
KR100792194B1 (ko) 흡수성 물품
CN1689540B (zh) 吸收性物品
KR100710653B1 (ko) 흡수성 물품
JP5096041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4023934B2 (ja) 吸収性物品
JP5232502B2 (ja) 吸収性物品
JP2013121486A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3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