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9350B1 -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광정보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광정보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350B1
KR100669350B1 KR1020050015585A KR20050015585A KR100669350B1 KR 100669350 B1 KR100669350 B1 KR 100669350B1 KR 1020050015585 A KR1020050015585 A KR 1020050015585A KR 20050015585 A KR20050015585 A KR 20050015585A KR 100669350 B1 KR100669350 B1 KR 100669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
length
amount
light
recor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827A (ko
Inventor
유끼히사 나카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53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35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side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설정이 어려운 DVD-RW에서도 특수한 기록 패턴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할 광디스크에 최적인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단시간에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1T 스트래터지일 때,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3T, 4T, 5-14T의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수단과, 마크 길이를 측정하는 수단과,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를 저장하고, 이들로부터 각 마크의 신축량을 산출하는 수단과, 신축량으로부터,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3T, 4T, 5-14T의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켰을 때의 각 마크의 신축량의 변화율을 산출하여, 연산에 의해 각 마크의 분산을 구하고, 이 분산이 각각 최소가 되도록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하는 라이트 스트래터지 설정수단을 갖는다.
라이트 스트래터지, 펄스, 분산, 신축량, 마크

Description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광정보 기록방법{OPTICAL DISK DEVICE AND WRITING METHOD OF OPTICAL INFORMATION THEREOF}
도 1은 광디스크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처리 흐름도.
도 3은 DVD-RW의 오버라이트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멀티 펄스폭만을 변화시켰을 때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멀티 펄스폭만을 변화시켰을 때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1T 스트래터지(strategy)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1T 스트래터지에 있어서, 3T의 1st 펄스폭을 가변했을 때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1T 스트래터지에 있어서, 4T의 1st 펄스폭을 가변했을 때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1T 스트래터지에 있어서의 조정수순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2T 스트래터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2T 스트래터지에 있어서, 짝수 T의 최종 펄스의 오프셋량을 변화시켰을 때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2T 스트래터지에 있어서, 홀수 T의 최종 펄스의 오프셋량을 변화시켰을 때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2T 스트래터지에 있어서, 짝수 T의 최종 펄스폭을 변화시켰을 때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2T 스트래터지에 있어서, 홀수 T의 최종 펄스폭을 변화시켰을 때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2T 스트래터지에 있어서, 3T 펄스폭만을 변화시켰을 때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2T 스트래터지에 있어서의 조정수순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편차(deviation)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3T를 시프트한 경우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 디스크 2 : 광 픽업
3 : 헤드 앰프 4 : 데이터 디코더
6 : ROM(기억수단) 5 : 기록 길이 검출부(마크 길이 측정수단, 스페이스 길이 측정수단)
7 : RAM(기억수단)
8 : 해당 마크의 신축량 산출부(해당 마크의 신축량 산출수단)
9 : 분산산출부(분산산출수단) 10 : 기록펄스열 보정부(기록수단)
11 : 제어부(변화율 산출수단) 12 : 스트래터지 설정부(라이트 스트래터지 설정수단)
13 : 콘트롤러 14 : 데이터 인코더
15 : 레이저 구동부
본 발명은 광 디스크, 특히 DVD-RW에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광 디스크 장치 및 광정보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 등이 놀라운 기세로 보급됨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많은 정보를 주고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근래, 정보기록장치의 분야에서는 CD-R 등의 추기형(recordable) 광 디스크나 CD-RW 등과 같은 개서형(rewritable) 광 디스크가 기록매체로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레이저 광원인 반도체 레이저의 단파장화, 높은 개구수(Numerical Aperture)를 갖는 고 개구수 대물렌즈에 의한 스폿 직경의 소경화, 및 박형 기판의 채용 등으로 인해 DVD-R, DVD-RW, DVD-RAM 등의 대용량 광 디스크가 정보기록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다.
CD-R 등의 정보 기록은 PC(Personal Computer) 등으로부터 부여된 기록정보를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하여 이루어지는데, 사용할 광 디스크를 구성하는 색소기록층 등의 조성차로부터, 기록매체의 축열이나 냉각속도의 부족에 기인하는 마크의 형성불량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EFM 신호를 그대로 기록하고자 하더라도, 원하는 랜드나 스페이스를 형성할 수는 없다.
그 때문에, 기준이 되는 기록파형에 대해, 사용하는 개개의 광 디스크 고유의 기록 파라미터(이하, 이를 라이트 스트래터지라 한다)를 정해 양호한 기록품질을 유지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 라이트 스트래터지는 상기와 같이 광 디스크의 색소, 상변화재료, 색소의 막 두께 혹은 홈의 형상 등 뿐만 아니라 기록 속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라이트 스트래터지는 피트와 랜드의 비율을 가변하는 방법, 기록 펄스의 선단부에 부가 펄스를 인가하는 방법, 피트와 랜드의 조합에 의해, 펄스의 상승 혹은 하강 위치를 바꾸는 방법, 기록 펄스를 멀티펄스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피트와 랜드의 비율을 가변하는 방법은 저속 기록시에 피트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강한 기록 파워로 짧은 펄스를 광 디스크에 조사하여, 생성되는 피트의 선단 및 종단의 형상을 좋게 하는 작용이 있다.
기록 펄스의 선단부에 부가펄스를 인가하는 방법은 레이저의 조사가 열로 변환되기 어려운 피트의 선단부에 대해 부가적으로 기록 파워를 부여함으로써, 형성 되는 피트 선단부의 형상을 좋게 하는 작용이 있다.
피트와 랜드의 조합에 의해 펄스의 상승 혹은 하강 위치를 바꾸는 방법은, 예를 들면 하나 전의 피트의 열이 랜드를 따라 전달되어 다음 피트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앞의 랜드의 길이에 따라 랜드의 종단위치를 바꾸거나, 기록 피트의 열이 전방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그 기록 피트의 길이에 따라 피트의 종단위치를 바꾸거나, 기록 피트의 열이 후방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그 기록피트의 길이에 따라 피트의 종단위치를 바꾸거나, 하나 뒤의 피트의 열이 뒤의 랜드를 따라 전달되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뒤의 랜드의 길이에 따라 랜드의 선단위치를 바꿈으로써, 형성되는 피트 및 랜드의 길이의 불균일을 균일화할 수 있는 작용이 있다.
기록 펄스를 멀티 펄스화하는 방법은 CD-RW 등의 상변화형 디스크 혹은 DVD에 사용되는 방법이다. 상변화형 디스크에 연속적인 펄스로 정보를 기록하면, 자신의 열 작용에 의해 기록한 피트의 선단부분을 소거하기 때문에, 피트 사이에 냉각기간을 마련한 멀티 펄스가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라이트 스트래터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할 광 디스크를 구성하는 색소기록층 등의 조성 차이나 기록속도의 차이에 의해, 사용할 광 디스크별로 최적화되어 사용되는데, 이 라이트 스트래터지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드라이브 메이커는 이 때문에 매우 시간과 공수를 많이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시장에는 드라이브 제조업자를 다 파악할 수 없을 정도로 수많은 종류에 달하는 광 디스크가 유통되고 있기 때문에,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모든 광 디스크에 대해 미리 적절한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준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광 디스크의 테스트 영역에서 복수의 트랙에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변화시킨 복수의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 지터(jitter)가 최소가 되는 스트래터지를 선택하는 방법(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0-30254호 공보 참조)이나 특수한 기록 패턴에 의해 정보를 기록한 후, 마크와 스페이스의 조합에 의한 지터값 혹은 편차값이 가장 작아지는 조합을 구하는 방법(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3-30837호 공보 참조)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에서는 최종적으로 선택되는 라이트 스트래터지가, 설정한 라이트 스트래터지 중에서 가장 좋은 라이트 스트래터지이며, 반드시 사용할 광 디스크에 최적의 라이트 스트래터지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테스트에 필요한 기록영역만큼 트랙을 사용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자의 방법에서는 특수한 기록 패턴을 사용하는 관계로, 특정 마크 혹은 스페이스를 변화시켰을 때 다른 마크 혹은 스페이스에 대한 영향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한 번의 기록재생 테스트에 의해, 사용할 광 디스크에 최적인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DVD-RW로의 정보 기록을 생각해보면, DVD-RW에서는 고속 기록동작 시에는 짝수 T와 홀수 T에서 다른 설정의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사용하는 것을 규격으로 추천하고 있으며, 또한 스트래터지의 설정 파라미터수가 매우 많고, 게다가 그 설정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설정이 어려운 DVD-RW에서도 특수한 기록 패턴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할 광 디스크에 최적인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단시간에 설정할 수 있는 광 디스크 장치, 광정보 기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안하고 있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DVD-RW의 광 디스크 장치로서, 1T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할 경우, 기준 라이트 스트라지에 대해 3T, 4T, 5-14T의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각각의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재생한 정보로부터 각 마크의 마크 길이를 측정하는 마크 길이 측정수단과, 상기 측정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를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저장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로부터 각 마크의 신축량을 산출하는 신축량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해당 마크의 신축량으로부터, 상기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3T, 4T, 5-14T의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켰을 때의 각 마크의 신축량의 변화율을 산출하고, 각 마크의 존재확률을 이용하여 각 마크의 분산을 구하는 분산산출수단과, 3T, 4T, 5-14T의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변화시켰을 때의 상기 분산이 각각 최소가 되는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하는 라이트 스트래터지 설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DVD-RW의 광정보 기록방법으로서, 1T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할 경우,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3T, 4T, 5-14T의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한 정보로부터 각 마크의 마크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로부터 각 마크의 신축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신축량으로부터, 상기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3T, 4T, 5-14T의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켰을 때의 각 마크의 신축량의 변화율을 산출하고, 또한 수학식 2에 기초하여 각 마크의 분산을 구하는 단계와, 3T, 4T, 5-14T의 펄스폭을 각각 변화시켰을 때의 상기 분산이 각각 최소가 되는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들 발명에 따르면, 기록 스트래터지가 1T 스트래터지일 때, 기록수단의 작동에 의해,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3T의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스트래터지, 4T의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스트래터지, 5-14T의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스트래터지로 정보가 기록된다. 재생수단은 각각의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고, 마크 길이 측정수단은 재생한 정보로부터 각 마크의 마크 길이를 측정하다. 측정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는 기억수단에 저장되며, 저장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로부터 신축량 산출수단의 작동에 의해 각 마크의 고유 신출량이 산출된다. 분산산출수단은 산출한 신축량으로부터,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3T의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스트래터지, 4T의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스트래터지, 5-14T의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스트래터지로 기록했을 때의 각 마크의 신축량의 변화율을 산출하고, 또한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각 마크의 분산을 구한다. 라이트 스트래터지 설정수단은 3T, 4T, 5-14T의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변화시켰을 때의 각각의 분산이 최소가 되는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한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DVD-RW의 광 디스크 장치로서, 2T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할 경우에,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짝수 T 및 홀수 T의 최종 펄스폭, 최종 펄스의 오프셋, 3T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각각의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재생한 정보로부터 짝수 T, 홀수 T, 3T의 마크 길이를 측정하는 마크 길이 측정수단과, 상기 측정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길이를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저장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로부터 짝수 T, 홀수 T, 3T의 신축량을 산출하고, 최종 펄스폭, 최종 펄스의 오프셋, 3T 펄스폭을 변화시켰을 때의 각 마크의 신축량의 변화율을 각각 산출하는 변화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변화율로부터, 각 마크의 신축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하가 되도록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하는 라이트 스트래터지 설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DVD-RW의 광정보 기록방법으로서, 2T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할 경우,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짝수 T 및 홀수 T의 최종 펄스폭, 최종 펄스의 오프셋, 3T 펄스폭을 각각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한 정보로부터 짝수 T, 홀수 T, 3T의 마크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로부터 짝수 T, 홀수 T, 3T의 신축량을 산출하고, 최종 펄스폭, 최종 펄스의 오프셋, 3T 펄스폭을 변화시켰을 때의 각 마크의 신축량의 변화율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변화율로부터, 각 마크의 신축량이 미리 정해진 값에 근접하는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들 발명에 따르면, 기록 스트래터지가, 2T 스트래터지일 때,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짝수 T 및 홀수 T의 최종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라이트 스트래터지, 최종 펄스의 오프셋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라이트 스트래터지, 3T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한다. 재생수단은 각각의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고, 마크 길이 측정수단은 재생한 정보로부터 짝수 T, 홀수 T, 3T의 마크 길이를 측정한다. 측정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는 기억수단에 저장된다. 변화율 산출수단은 저장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로부터 짝수 T, 홀수 T, 3T의 신축량을 산출하고, 최종 펄스폭, 최종 펄스의 오프셋, 3T 펄스폭을 변화시켰을 때의 각 마크의 신축량의 변화율을 각각 산출한다. 그리고, 라이트 스트래터지 설정수단은 산출한 변화율로부터, 각 마크의 고유 신출량이 미리 정해진 값에 근접하는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한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광 디스크 장치에 대해, 상기 변화율 산출수단이, 상기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했을 때의 각 마크 길이와 상기 기준 라이트 스트래지티에 대해 짝수 T 및 홀수 T의 최종 펄스폭, 최종 펄스의 오프셋을 각각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했을 때의 각 마크 길이와의 편차 및 각 마크의 존재확률에 기초하여 각 마크의 신축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을 제안하고 있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광정보 기록방법에 대해, 상기 신축량의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했을 때의 각 마크 길이와 상기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짝수 T 및 홀수 T의 최종 펄스폭, 최종 펄스의 오프셋을 각각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했을 때의 각 마크 길이와의 편차 및 각 마크의 존재확률에 기초하여 각 마크의 신축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들 발명에 따르면, 변화율 산출수단이,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했을 때의 각 마크 길이와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짝수 T 및 홀수 T의 최종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라이트 스트래터지 및 최종 펄스의 오프셋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했을 때의 각 마크 길이와의 편차 및 각 마크의 존재확률에 기초하여 각 마크의 신축량을 산출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광 디스크 장치에 대해, 상기 라이트 스트래터지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했을 때의 3T 마크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를 측정하는 스페이스 길이 측정수단과,상기 측정한 스페이스 길이에 기초하여, 3T 마크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3T 마크의 시프트량을 설정하는 시프트량 설정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기재된 광 기록 방법에 대해, 상기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했을 때의 3T 마크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한 스페이스 길이에 기초하여, 3T 마크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3T 마크의 시프트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들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스 길이 측정수단의 작동에 의해, 라이트 스트래터지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했을 때의 3T 마크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를 측정한다. 차분값 산출수단은 측정한 스페이스 길이와 이론 길이를 비교하여 차분값을 산출하고, 시프트량 설정수단이 산출한 차분값에 기초하여, 3T 마크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의 차분값이 동일해지도록 3T 마크의 시프트량을 설정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에 대해 도 1∼도 2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DVD-RW에 대한 라이트 스트래터지의 설정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디스크(1)와, 광 픽업(2)과, 헤드 앰프(3)와, 데이터 디코더(4)와, 기록 길이 검출부(마크 길이 측정수단, 스페이스 길이 측정수단)(5)와, ROM(기억수단)(6)과, RAM(기억수단)(7)과, 해당 마크의 신축량 산출부(해당 마크의 신축량 산출수단)(8)와, 분산 산출부(분산산출수단)(9)와, 기록펄스열 보정부(기록수단)(10)와, 제어부(변화율 산출수단)(11)와, 스트래터지 설정부(라이트 스트래터지 설정수단)(12)와, 콘트롤러(13)와, 데이터 인코더(14)와, 레이저 구동부(1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고, 재생한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각 마크 길이가 다른 스트래터지별 차를 편차(deviation)라 하고, 그 마크 고유의 이론값에서 벗어난 양을 해당 마크의 신축량이라 한다.
광 디스크(1)는 반도체 레이저에 의해 정보를 기록, 재생, 소거할 수 있는 광 정보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CD-R, CD-RW, DVD-R, DVD-RW, DVD-RAM 등이 있다.
광 픽업(2)은 도시하지 않은 레이저 다이오드 등과 같은 레이저 광원이나, 콜리메이터 렌즈, 포커스 액츄에이터 혹은 트랙킹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대물렌즈, 편광 빔 스플리터, 원통형 렌즈(cylinderical lens) 등과 같은 광학 부품, 및 A, B, C, D의 4영역으로 분할되어,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4분할 혹은 2분할의 포토 디텍터(PD) 혹은 기록재생시의 레이저 출력을 모니터링하는 프론트 모니터 다이오드 등을 구비하고 있다.
헤드 앰프(3)는 광 디스크(1)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고, 검출한 반사광으로부터 반사광량을 연산하여, 4 분할 PD의 각 영역으로 반사된 광량의 총 합을 나타내는 RF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광 픽업(2)의 조사 레이저의 초점이탈을 검출한 신호인 포커스 에러 신호(FE)를 비점수차법에 의해 생성하고, 또한 광 픽업(2)의 조사 레이저의 트랙이탈을 검출한 신호인 트랙킹 에러 신호(TE)를 푸쉬풀 방법에 의해 생성한다.
데이터 디코더(4)는 헤드 앰프(3)에서 생성된 RF 신호로부터 EFM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원하는 형식의 신호로 변환하여 콘트롤러(13)에 출력한다.
기록 길이 검출부(5)는 데이터 디코더(4)로부터 EFM 신호를 입력받아, 도시하지 않은 시간계측회로에 의해, 입력받은 EFM 신호의 펄스폭을 측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3T, 4T, 5-14T의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스트래터지로 기록된 정보로부터 각 마크의 마크 길이 등을 측정한다.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란 각 마크 및 스페이스의 이론 길이, 마크의 길이와 마크의 이전 스페이스의 길이관계와 마크의 길이와 마크의 이후 스페이스의 길이관계 등을 의미한다. T란 채널클럭(Channel Clock)의 주기를 의미한다. 8비트(bit)의 데이터를 광디스크에 기록하기 위해서는 14비트(채널비트)로 변환하여 한다. 이 때 변환된 채널비트를 광디스크로 전송할 때 사용되는 클락이 채널클럭이다.
ROM(6)은 리라이트가 불가능한 기억장치로서, 광 디스크 장치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나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 각 마크 및 스페이스의 이론 길이 혹은 각 마크의 존재확률 등이 저장되고 있다. RAM(7)은 리라이트가 가능한 기억장치로서, 기록 길이 검출부(5)로부터 입력받은 기록 길이의 측정결과, 기록 길이의 측정값과 각 마크 및 스페이스의 이론 길이와의 편차값, 각 마크 및 스페이스 고유의 신축량 등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신축량 산출부(8)는 RAM(7)내에 저장된 기록 길이의 측정값과 각 마크 및 스페이스의 이론 길이로부터 각 마크의 신축량을 산출한다. 분산 산출부(9)는 신축량 산출부(8)에서 산출된 해당 마크의 신축량으로부터 다양한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했을 때의 각 해당 마크의 신축량의 변화율을 산출하여, 소정의 연산식에 기초하여 각 마크의 분산을 산출한다.
기록 펄스열 보정부(10)는 제어부(11) 혹은 스트래터지 설정부(12)로부터 라이트 스트래터지 혹은 파라미터를 입력받아, 이에 기초하여 기록 펄스열을 형성하여 레이저 구동부(15)로 출력한다. 제어부(11)는 광 디스크 장치 전체를 ROM(6)내에 저장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광 디스크에 대한 정보의 기록 및 재생동작에 관한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종 펄스폭, 최종 펄스의 오프셋, 3T 펄스폭을 변화시켰을 때의 각 마크의 신축량의 변화율을 산출하거나, 3T 마크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3T 마크의 시프트량을 설정하는 등의 기능을 갖는다.
스트래터지 설정부(12)는 1T 스트래터지의 경우에는 3T, 4T, 5-14T의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변화시켰을 때의 분산이 각각 최소가 되는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2T 스트래터지의 경우에는 각 마크의 신축량이 미리 정해진 값에 근접하는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하여, 이를 기록 펄스열 보정부(10)에 출력한다.
콘트롤러(13)는 기록신호를 데이터 인코더(14)에 공급하고, 또한 데이터 디코더(4)로부터 기록신호을 독출하는 장치이며, 데이터 인코더(14)는 콘트롤러(13)로부터의 기록 신호를 EFM 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기록 펄스열 보정부(10)로 출력한 다. 레이저 구동부(15)는 입력받은 기록 펄스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용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광 픽업(2)내의 반도체 레이저(미도시)에 공급한다.
이어, 도 2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정보 기록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광 디스크에 대한 정보의 기록 동작이 개시되면, 제어부(11)는 먼저 기록 스트래터지가 1T 스트래터지인지 2T 스트래터지인지를 판단한다(S101). 여기서, 1T 스트래터지란 DVD-RW에 있어서 주로 2배속까지의 기록 동작에 사용되는 스트래터지이며, 2T 스트래터지란 2배속보다도 빠른 고속기록동작에서 사용되는 스트래터지이다. 또한, 각 스트래터지의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T 스트래터지로 기록할 때에는 먼저 기준의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여 각 마크의 기록 길이를 RAM(7)에 저장한다(S102). 또한,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3T, 4T, 5 - 14T의 마크폭을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경하는 복수의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여 각 마크의 기록 길이를 RAM(7)에 저장한다(S103). 또한, 3T 및 4T를 변화시킨 스트래터지에 대해서는 3T와 4T를 동시에 변화시키는 스트래터지를 이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 스트래터지를 설정하기 위해 기록하는 정보를 저감함으로써 기록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RAM(7)에 각각 저장한 데이터를 신축량 산출부(8)에 출력한다. 신축량 산출부(8)에서는 RAM(7)으로부터 공급되는 각 마크의 기록 길이에 기초하여 각 마크별 신축량의 변화율을 산출한다(S104).
이어, 분산 산출부(9)는 신축량 산출부(8)에서 얻어진 각 마크의 신축량에 기초해, 각 마크의 신축량의 분산이 최소가 되는 스트래터지를 산출하여, 이 스트래터지를 기록 펄스열 보정부(10)에 출력한다(S105).
한편, 2T 스트래터지로 기록할 때에는, 먼저 기준의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여 각 마크의 기록 길이를 RAM(7)에 저장하는(S106). 또한,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최종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벗어나게 한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여 각 마크의 기록 길이를 RAM(7)에 저장한다(S107). 이어,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최종 펄스의 오프셋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벗어나게 한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여 각 마크의 기록 길이를 RAM(7)에 저장한다(S108). 또한,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3T의 펄스 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벗어나게 한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여 각 마크의 기록 길이를 RAM(7)에 저장한다(S109).
제어부(11)는 RAM(7)에 각각 저장한 데이터를 신축량 산출부(8)에 출력한다. 신축량 산출부(8)에서는 RAM(7)으로부터 공급되는 각 마크의 기록 길이에 기초하여 각 마크마다의 해당 마크의 신축량의 변화율을 산출한다(S110).
이어, 스트래터지 설정부(12)는 신축량 산출부(8)에서 얻어진 각 마크의 신축량에 기초하여, 각 마크의 신축량이 미리 정해진 값이 되는 스트래터지를 설정한다(S111). 그리고, 설정된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기록 펄스열 보정부(10)에 출력하고 정보를 기록한 후,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여(S112) 3T 마크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를 측정함과 아울러(S113),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3T의 시프트량을 설정한다(S114).
이하, 상기의 처리내용을 도면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DVD-RW 디스크의 스트래터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크게 2개의 스트래터지가 존재한다. 도 3은 1T 스트래터지(도면중, 1TWS), 2T 스트래터지(도면중, 2TWS)에 의해 4배속으로 정보의 오버라이트를 반복수행했을 때의 지터의 변화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따르면, 초기 기록일 때의 지터값에 비해, 오버라이트를 실행했을 때의 지터값 쪽이 악화되고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특히, 1회째 오버라이트시의 지터값의 악화정도가 매우 큼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초기 기록과 1회의 오버라이트에 있어서, 멀티 펄스폭을 변화시켰을 때의 지터값 및 각 마크의 편차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초기 기록과 1회의 오버라이트에서는 지터 베스트의 포인트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3∼도 5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초기 기록시보다도 오버라이트시 쪽이 기록 품위에 관한 여유도는 작기 때문에,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관한 기록 파라미터의 설정은 오버라이트 시에 최적인 설정이 좋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실행하기 위해 동일한 기록 동작을 2회이상 실시하므로,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수고를 필요로 한다.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멀티 펄스폭(도면중, Tm)이나 최종 오프 펄스폭(도 6의 Tcl)과 같이 오버라이트의 기록 특성에 커다란 영향을 주 는 파라미터를 우선하여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하면 된다. 즉, Tm, Tcl은 1T 스트래터지, 2T 스트래터지에서 공통의 파라미터이기 때문에, 도 2에서 나타낸 처리 플로우를 실행하기 전에 미리 최적의 값으로 설정해 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5회째 오버라이트시의 지터값이 가장 좋은 값이 되도록 해 둔다.
이어, 1T 스트래터지, 2T 스트래터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1T 스트래터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T 스트래지티란 1T 싸이클내에서 멀티 펄스를 동작시키는 것이며, 도면 중, Tmp는 멀티 펄스의 폭을, Tcl은 오프 펄스의 폭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 멀티 펄스폭, 오프 펄스폭은 모두 공통이다. 또한, DVD-RW의 규격서에 따르면, 이 멀티 펄스폭, 오프 펄스폭을 제외하고는 3T, 4T, 5-14T의 각 1st 펄스 폭 밖에 가변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도 10은 2T 스트래터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T 스트래터지란 2T 싸이클내에서 멀티 펄스를 동작시키는 것이며, 3T , 짝수 T, 홀수 T의 각각에 대해 스트래터지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면 중, dT3은 3T의 시프트량을, T3은 3T의 펄스폭을, 3Tcl은 3T의 오프 펄스폭을, Tmp는 멀티 펄스의 폭을, eTdlp1은 짝수 T에서의 최종 펄스의 시프트량을, Tmp+eTdlp2는 최종 펄스의 펄스폭을, eTcl은 최종 펄스의 오프 펄스폭을, oTdp1은 3T를 제외한 홀수 T에서의 최종 펄스의 시프트량을, Tmo+oTdlp2는 최종 펄스의 펄스폭을, oTcl은 최종 펄스의 오프 펄스폭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들 값에 대해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멀티 펄스폭, 오프 펄스폭은 모두 공통이다.
상기의 것을 염두에 두고, 먼저 1T 스트래터지의 설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상기와 같이, Tm, Tcl을 최적의 값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1T 스트래터지를 이용하여 2배속으로 초기 기록을 실시한 경우에, 3T의 1st 펄스폭을 가변하여 3T 마크의 폭을 바꿨을 때의 각 마크폭 및 지터의 변화 모습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마찬가지로, Tm, Tcl을 최적값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1T 스트래터지를 이용하여 2배속으로 초기 기록을 실시한 경우에, 4T의 1st 펄스폭을 가변하여 4T 마크의 폭을 바꿨을 때의 각 마크 폭 및 지터의 변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을 보면, 타겟으로 하는 마크, 즉 3T 마크 혹은 4T 마크의 편차가 제로에 가까운 포인트와, 지터값이 베스트가 되는 포인트와는 서로 약간 어긋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록한 마크 혹은 스페이스의 길이가 이론 길이와 일치하면, 지터값은 최량이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것뿐만 아니라 마크의 전후에 존재하는 스페이스 길이의 밸런스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DVD-R의 경우에는 마크를 전후로 시프트할 기능이 있었기 때문에, 이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약간의 어긋남을 보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DVD-RW에는 이러한 기능이 없다. 때문에,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마크의 편차(dev(iT))와 전체 마크의 편차의 평균값(Avg) 및 각 마크의 존재확률(R(iT))로부터 편차의 분산(K)을 구해, 이 값이 최소가 되는 각 마크폭을 구한다. 또한, 각 마크의 존재확률은 이미 알고 있던 값이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을 취하는 것은 마크의 편차의 분산이 가장 작아지는 포인트가 지터 최량의 포인트와 일치하기 때문이다(도 2의 S105에 대응).
Figure 112005009975706-pat00001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존재확률이 가장 높은 3T 마크에 대해, 편차의 분산이 최소가 되는 3T 마크폭을 연산에 의해 구한다(S201).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마크의 편차의 변화에는 선형성이 있다. 따라서, 3T 마크의 1st 펄스폭을 2포인트에서 변화시켜 각 마크의 편차를 측정하고, 이 값에 기초하여 직선을 구하면, 3T 마크의 1st 펄스폭을 변화시켰을 때의 각 마크의 편차 및 전체 마크의 편차의 평균값에 대해서는 기록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연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즉, 도 2의 S102 및 S103의 처리는 상기 각 마크의 편차의 변화를 나타내는 직선을 구하기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기록재생동작이다.
이어, 4T 마크에 대해, 편차 분산이 최소가 되도록 1st 펄스폭을 연산에 의해 구한다(S202). 이 때, 3T 마크의 편차의 분산을 구해 그 값이 최소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3T 마크의 편차의 분산이 최소가 아닐 때에는 다시 최소가 되도록 1st 펄스폭을 구한 후, 4T 마크에 대해, 편차의 분산이 최소가 되도록 1st 펄스폭을 구한다. 한편으론, 3T 마크의 편차의 분산이 최소일 때에는 5-14T 마크의 편차의 분산이 최소가 되도록 1st 펄스폭을 구하는 처리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각 마크의 분산을 마크의 존재확률이 높은 순서대로 처리하는 것은 존재확률이 높은 마크일수록 그 영향이 다른 마크에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단시간에 최적의 분산을 구할 수 있다.
이어, 2T 스트래터지의 설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2T 스트래터지를 사용하여 4배속으로 초기 기록을 실시한 경우에, 짝수 T의 최종 펄스의 오프셋량을 바꿨을 때의 각 마크 폭 및 지터의 변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마찬가지로, 2T 스트래터지를 사용하여 4배속으로 초기 기록을 실시한 경우에, 홀수 T의 최종 오프셋의 오프셋량을 바꿨을 때의 각 마크 폭 및 지터의 변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을 보면, 짝수 T에서는 4T, 6T, 8T, 10T에 대한 변화가 거의 선형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홀수 T에 대해서는 5T, 7T, 9T, 11T에 대한 변화가 거의 선형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직선에 가까울 수 있다. 즉, 짝수 T의 최종 펄스의 오프셋량 및 홀수 T의 최종 펄스의 오프셋량을 어떤 2점에서 변화시킴으로써 각 마크의 변화율을 구할 수 있다. 이 변화율을 구하기 위해, 도 2의 S106 및 S108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사용한다. 또한, 유사한 각각의 직선은 도 11에서는 짝수 T에서, 도 12에서는 홀수 T에서, 편차가 접근하는 포인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최종 펄스의 오프셋량을 바꿈으로써, 짝수 T만큼 혹은 홀수 T만큼의 편차를 어떤 값으로 조정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구체적인 처리는 도 2의 S110에 상당하는 것이다.
도 13은 2T 스트래터지를 사용하여 4배속으로 초기 기록을 실시한 경우에, 짝수 T의 최종 펄스의 펄스폭을 바꿨을 때의 각 마크 폭 및 지터의 변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마찬가지로, 2T 스트래터지를 사용하여 4배속으로 초기 기 록을 실시한 경우, 홀수 T의 최종 펄스의 펄스폭을 바꿨을 때의 각 마크 폭 및 지터의 변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을 보면, 어느 쪽 도면도 편차의 변화와 관련하여 선형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짝수 T의 최종 펄스폭 및 홀수 T의 최종 펄스폭을 어떤 2점에서 변화시킴으로써 각 마크의 변화율을 구할 수 있다. 이 변화율을 구하기 위해, 도 2의 S106 및 S107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사용한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종 펄스의 오프셋을 변화시킨 경우에 비해 짝수 T, 홀수 T내의 경사에 편차가 적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최종 펄스의 오프셋량을 바꿈으로써, 짝수 T, 홀수 T의 편차가 있는 동일한 값이 되는 곳을 정해, 그 후 최종 펄스의 펄스폭을 조정함으로써, 짝수 T 및 홀수 T의 편차를 미리 정해진 값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 구체적인 처리는 도 2의 S110에 상당하는 것이다.
도 15는 2T 스트래터지를 사용하여 4배속으로 초기 기록을 실시한 경우에, 3T 펄스폭만을 변화시켰을 때의 각 마크폭 및 지터의 변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을 보면, 최종 펄스폭을 변화시켰을 때와 마찬가지로, 짝수 T, 홀수 T내의 경사에 편차가 적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3T 펄스폭을 어떤 2점에서 변화시킴으로써 각 마크의 변화율을 구할 수 있다. 이 변화율을 구하기 위해, 도 2의 S106 및 S109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사용한다.
이상, 이들로부터 짝수 T, 홀수 T의 최종 펄스의 오프셋 및 펄스폭과 3T 펄스의 펄스폭을 교대로 변화시킴으로써, 각 마크의 편차를 모두 미리 정해진 값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즉, 최종 펄스의 오프셋을 조정함으로써, 짝수 T 및 홀수 T의 내부 편차를 저감시키기 위해 짝수 T 및 홀수 T의 편차를 어떤 값으로 집약시키고, 3T 및 최종 펄스의 펄스폭을 조정함으로써, 각 마크의 편차를 미리 정해진 값에 가깝게 한다. 이 구체적인 처리는 도 2의 S111에 상당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다른 마크에 미치는 영향도가 큰 존재확률이 가장 높은 3T 마크를 설정한다. 이 설정은 RAM(7)내에 저장된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여 측정한 3T 마크의 기록 길이와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3T의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벗어나게 한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며,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여 측정한 3T 마크의 기록 길이 및 ROM(6)내에 저장된 3T 마크의 이론 길이로부터 각각의 편차를 산출하고, 얻어진 2개의 편차으로부터 직선을 구해 3T의 신축량 K(3T)를 구한다. 직선이 구해지면, 이 직선으로부터 3T 마크의 편차가 미리 정해진 값에 가장 가까워지는 3T 펄스폭을 설정한다(S301).
이어, RAM(7)내에 저장된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여 측정한 짝수 T 마크의 기록 길이와,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최종 펄스 오프셋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벗어나게 한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며,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여 측정한 각 짝수 T 마크의 기록 길이 및 각 짝수 T 마크의 이론 길이로부터 각각의 편차를 산출하고, 각 짝수 T에 대해, 얻어진 2개의 편차으로부터 직선을 구한다. 각 짝수 T에 대해 편차의 변화를 나타내는 직선이 구해지면, 이들 직선으로부터 각 짝수 T의 편차의 불균일이 최소가 되는 짝수 T의 최종 펄스의 오프셋량을 설정한다(S302).
이 때, 3T 마크의 편차를 확인하고, 이 값이 K(3T)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3T 마크의 편차가 K(3T)이하가 아닐 때는 다시 K(3T)이하가 되도록 3T 마크의 펄스폭을 설정한 후, 짝수 T에 대해, 각 마크의 편차의 불균일이 최소가 되도록 짝수 T의 최종 펄스의 오프셋량을 재설정한다. 한편, 3T 마크의 편차가 K(3T)이하일 때에는 S303의 처리로 이행한다.
S303에서는 RAM(7)내에 저장된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여 측정한 짝수 T 마크의 기록 길이와,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최종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벗어나게 한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며,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여 측정한 각 짝수 T 마크의 기록 길이 및 각 짝수 T 마크의 이론 길이로부터 각각의 편차를 산출하고, 각 짝수 T에 대해, 얻어진 2개의 편차으로부터 직선을 구한다. 그리고, 각 짝수 T에 대해 편차의 변화를 나타내는 직선을 구해 그 신축량 K(mT)를 구하면, 이들 직선으로부터 각 짝수 T의 편차가 K(mT)이하가 되는 짝수 T의 최종 펄스폭을 설정한다(S303).
이 때, 3T 마크의 편차가 K(3T)이하인지 아닌지, 짝수 T의 각 마크의 편차의 불균일이 최소인지 아닌지가 판단되며, 어느 하나가 이미 설정한 상태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재설정을 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3T 마크의 편차가 K(3T)이하이며, 짝수 T 각 마크의 편차의 불균일이 최소인 경우에는 S304의 처리로 이행한다.
S304에서는 RAM(7)내에 저장된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여 측정한 홀수 T 마크의 기록 길이와,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최종 펄스 오프셋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벗어나게 한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며,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여 측정한 각 홀수 T 마크의 기록 길이 및 각 홀수 T 마크의 이론 길이로부터 각각의 편차를 산출하고, 각 홀수 T에 대해, 얻어진 3개의 편차로부터 직선을 구한다. 각 홀수 T에 대해 편차의 변화를 나타낸 직선이 구해지면, 이들 직선으로부터 각 홀수 T의 편차의 불균일이 최소가 되는 홀수 T의 최종 펄스의 오프셋량을 설정한다(S304).
이 때, 3T 마크의 편차가 K(3T)이하인지 아닌지, 짝수 T 각 마크의 편차의 불균일이 최소인지 아닌지, 짝수 T의 각 마크의 편차가 K(mT)이하인지 아닌지가 판단되며, 어느 하나가 이미 설정한 상태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재설정을 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으로, 3T 마크의 편차가 K(3T)이하이며, 짝수 T 각 마크의 편차의 불균일이 최소이고 짝수 T의 각 마크의 편차가 K(mT)이하인 경우에 S305의 처리로 이행한다.
S305에서는 RAM(7)내에 저장된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기록하며,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여 측정한 홀수 T 마크의 기록 길이와,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최종 펄스폭을 미리 정해진 양만큼 벗어나게 한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한 정보를 재생하여 측정한 각 홀수 T 마크의 기록 길이 및 각 홀수 T 마크의 이론 길이로부터 각각의 편차를 산출하며, 각 홀수 T에 대해, 얻어진 2개의 편차으로부터 직선을 구해 그 해당 마크의 신축량 K(nT)를 구한다. 각 홀수 T에 대해 편차의 변화를 나타내는 직선이 구해지면, 이들 직선으로부터 각 홀수 T의 편차가 K(nT)이하가 되는 홀수 T의 최종 펄스폭을 설정한다(S305).
이 때, 3T 마크의 편차가 K(3T)이하인지 아닌지, 짝수 T 각 마크의 편차의 불균일이 최소인지 아닌지, 짝수 T의 각 마크의 편차가 K(mT)이하인지 아닌지, 홀수 T 각 마크의 편차의 불균일이 최소인지 아닌지가 판단되며, 어느 하나가 이미 설정한 상태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재설정을 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으로, 3T 마크의 편차가 K(3T)이하이며, 짝수 T 각 마크의 편차의 불균일이 최소이고, 짝수 T의 각 마크의 편차가 K(mT)이하이며, 홀수 T 각 마크의 편차의 불균일이 최소인 경우에는 모든 설정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각 파라미터의 설정과 관련하여, 1)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 2)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짝수 T의 최종 펄스 오프셋을 변화시킨 스트래터지, 3)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짝수 T의 최종 펄스폭을 변화시킨 스트래터지, 4)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홀수 T의 최종 펄스 오프셋을 변화시킨 스트래터지, 5)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홀수 T의 최종 펄스폭을 변화시킨 스트래터지의 5종류를 기록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상기 방법에서는 한계가 있는 디스크의 기록 용량을 장난으로 소비해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종 펄스폭 및 최종 펄스 오프셋을 짝수 T, 홀수 T에서 동시에 변화시킨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하고, 이들 정보로부터 상기의 방법과 동일한 데이터를 얻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하, 이 방법에 대해 도 17 및 도 1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7(a)은 3T∼14T의 마크에 대해, 1)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 재생을 실시했을 때의 편차(도면중, Ref.) 2)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짝수 T의 최종 펄스폭을 변화시킨 스트래터지로 기록 재생을 실시했을 때의 편차(도면중, eTdlp1), 3)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홀수 T의 최종 펄스폭을 변화시킨 스트래터지로 기록 재생을 실시했을 때의 편차(도면중, oTdlp1), 3)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짝수 T 및 홀수 T의 최종 펄스폭을 동시에 변화시킨 스트래터지로 기록 재생을 실시했을 때의 편차(도면중, e-oTdlp1)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b)는 도 17(a) 중 Ref와 eTdlp1, oTdlp1, e-oTdlp1과의 차를 2로 나눈 것이며, 도 17(c)의 e(4T), e(6T).......e(mT) 및 o(5T), o(7T)......o(nT)는 각각 짝수 펄스, 홀수 펄스가 최소 분해능만큼 변화되었을 때의 변화율(해당 마크의 신축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Δ3T, Δ4T,......ΔmT는 짝수 T 및 홀수 T를 동시에 변화시켰을 때의 차분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7(b)에서 차를 2로 나눈 것은 도 17(a)에서는 펄스의 변화율을 최소 분해능의 2배로 했기 때문에, 도 17(b)에서는 최소 분해능분만큼 변화시킨 경우의 편차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짝수 T만을 변화시켰을 때의 변동량의 총합을 E(T)라 하고, 홀수 T만을 변화시켰을 때의 변동량의 총합을 O(T)라 한다. E(T)와 O(T)는 수학식 2,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낸다. 수학식 4에서는 짝수 T의 존재확률의 합인 R(e)을 나타내고, 수학식 5에서는 홀수 T(단, 3T를 제외한다.)의 존재확률의 합인 R(o)을 나타낸다.
Figure 112005009975706-pat00002
Figure 112005009975706-pat00003
Figure 112005009975706-pat00004
Figure 112005009975706-pat00005
도 17(b)에 있어서, 짝수, 홀수 T를 동시에 변화시켰을 때의 3T 마크의 변화율은 짝수 T와 홀수 T의 변화량에 따른 반동으로 생각된다.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112005009975706-pat00006
또한, 짝수 T에 대해서는 짝수 T 자신의 변화량에 홀수 T의 영향이 부가된 것이라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짝수 T의 변화량에 대해서는 이하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5009975706-pat00007
또한, 홀수 T의 변화량에 대해서도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5009975706-pat00008
여기서, 수학식 6∼수학식 8을 사용하여 각 마크의 신축량 e(mT), o(nT)을 구하면, 수학식 9와 같이 된다.
Figure 112005009975706-pat00009
또한, 수학식 9에 있어서, Ko는 수학식 10과 같이, Ke는 수학식 11과 같이 표시된다.
Figure 112005009975706-pat00010
Figure 112005009975706-pat00011
도 18은 짝수 T 펄스 및 홀수 T 펄스를 단독으로 변화시킨 경우와, 짝수 T 펄스 및 홀수 T 펄스를 동시에 변화시키고, 상기의 연산식을 사용하여 각 마크의 변화량을 연산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결과를 보면, 양자의 결과는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T의 값이 커지면 데이터수가 적기 때문에, 값의 편차가 커진다. 그 때문에, T의 값이 큰 부분에 관해서는 가중 평균값을 사용하고 있다.
도 19는 3T 마크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와 지터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앞의 스페이스(도면중, Previous Space) 길이와 뒤의 스페이스(도면중, Next Space) 길이가 일치하는 포인트가 거의 지터 최량의 포인트임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2T 스트래터지의 설정후, 3T 마크폭을 고정한 상태에서 그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를 동일하게 하도록 3T 마크를 시프트함으로써 스트래터지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구체적인 처리는 도 2의 S113, S114에 상당하는 것이다.
도 20은 미디어 A에 2T 스트래터지를 사용하여 4배속으로 정보를 기록한 경우의 재생 지터와 β값을, 도 21은 미디어 B에 2T 스트래터지를 사용하여 4배속으로 정보를 기록한 경우의 재생 지터와 β값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20 및 도 21로부터, 본 발명의 라이트 스트래터지는 매뉴얼에서 설정한 라이트 스트래터지와 동등 이상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술해왔는데,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수한 기록 패턴을 사용하는 일 없이, 다른 마크 및 스페이스의 영향도 고려한 최적의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DVD-RW의 규격서에 준거한 라이트 스트래터지의 설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특히 짝수 트랙, 홀수 트랙별로 라이트 펄스의 설정조건을 변경해야만 하는 2T 스트래터지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라이트 스트래터지의 설정을 실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DVD-RW의 광 디스크 장치로서,
    1T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할 경우, 기준 라이트 스트라지에 대해 3T, 4T, 5-14T의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각각의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재생한 정보로부터 각 마크의 마크 길이를 측정하는 마크 길이 측정수단과,
    상기 측정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를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저장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로부터 각 마크의 신축량을 산출하는 신축량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해당 마크의 신축량으로부터, 상기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3T, 4T, 5-14T의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켰을 때의 각각의 마크의 신축량의 변화율을 산출하고, 각 마크의 존재확률을 이용하여 각 마크의 분산을 구하는 분산산출수단과,
    3T, 4T, 5-14T의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변화시켰을 때의 상기 각 마크의 분산이 각각 최소가 되는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하는 라이트 스트래터지 설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
  2. DVD-RW의 광 디스크 장치로서,
    2T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할 경우에,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짝수 T 및 홀수 T의 최종 펄스폭, 최종 펄스의 오프셋, 3T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각각의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재생한 정보로부터 짝수 T, 홀수 T, 3T의 마크 길이를 측정하는 마크길이 측정수단과,
    상기 측정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길이를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저장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로부터 짝수 T, 홀수 T, 3T의 신축량을 산출하고, 최종 펄스폭, 최종 펄스의 오프셋, 3T 펄스폭을 변화시켰을 때의 각 마크의 신축량의 변화율을 각각 산출하는 변화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변화율로부터, 각 마크의 신축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하가 되도록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하는 라이트 스트래터지 설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율 산출수단이, 상기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했을 때의 각 마크 길이와 상기 기준 라이트 스트래지티에 대해 짝수 T 및 홀수 T의 최종 펄스폭, 최종 펄스의 오프셋을 각각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했을 때의 각 마크 길이와의 편차(deviation) 및 각 마크의 존재확률에 기초하여 각 마크의 신축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스트래터지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했을 때의 3T 마크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를 측정하는 스페이스 길이 측정수단과,
    상기 측정한 스페이스 길이에 기초하여, 3T 마크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3T 마크의 시프트량을 설정하는 시프트량 설정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
  5. DVD-RW의 광정보 기록방법으로서,
    1T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할 경우,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3T, 4T, 5 - 14T의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한 정보로부터 각 마크의 마크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로부터 각 마크의 신축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해당 마크의 신축량으로부터, 상기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3T, 4T, 5-14T의 펄스폭을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켰을 때의 각 마크의 신축량의 변화율을 산출하고, 각 마크의 존재확률을 이용하여 각 마크의 분산을 구하는 단계와,
    3T, 4T, 5-14T의 펄스폭을 각각 변화시켰을 때의 상기 분산이 각각 최소가 되는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6. DVD-RW의 광정보 기록방법으로서,
    2T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할 경우,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짝수 T 및 홀수 T의 최종 펄스폭, 최종 펄스의 오프셋, 3T 펄스폭을 각각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스트래터지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한 정보로부터 짝수 T, 홀수 T, 3T의 마크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한 마크 길이와 각 마크의 이론 길이로부터 짝수 T, 홀수 T, 3T의 해당 마크의 신축량을 산출하고, 최종 펄스폭, 최종 펄스의 오프셋, 3T 펄스폭을 변화시켰을 때의 각 마크의 신축량의 변화율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변화율로부터, 각 마크의 신축량이 미리 정해진 값에 근접하는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마크의 신축량의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했을 때의 각 마크 길이와 상기 기준 라이트 스트래터지에 대해 짝수 T 및 홀수 T의 최종 펄스폭, 최종 펄스의 오프셋을 각각 미리 정해진 양만큼 변화시킨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했을 때의 각 마크 길이와의 편차 및 각 마크의 존재확률에 기초하여 각 마크의 신축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스트래터지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라이트 스트래터지로 기록했을 때의 3T 마크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한 스페이스 길이에 기초하여, 3T 마크 전후의 스페이스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3T 마크의 시프트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KR1020050015585A 2004-11-15 2005-02-24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광정보 기록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69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30991 2004-11-15
JP2004330991 2004-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827A KR20060053827A (ko) 2006-05-22
KR100669350B1 true KR100669350B1 (ko) 2007-01-16

Family

ID=3715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5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9350B1 (ko) 2004-11-15 2005-02-24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광정보 기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3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827A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8720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情報記録方法
EP1548711A1 (en) Recording condition sett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er using same
JP4012875B2 (ja) 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装置
JP3907639B2 (ja) 光記録方法及び光記録装置
KR100645062B1 (ko) 광디스크 장치 및 그 광정보 기록방법
KR100669350B1 (ko)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광정보 기록방법
US7529169B2 (en) Optical disc device
KR100688590B1 (ko) 광 기록 장치 및 광 기록 장치의 기록 파워 설정 방법
JP2004146040A (ja) 記録条件設定方法、それを用いた情報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95894B1 (ko) 광디스크 장치 및 광정보 기록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JP4623658B2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光情報記録方法
JP2007018582A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光情報記録方法
US7489611B2 (en) Optical disc device
JP4477544B2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417889B2 (ja) 光ディスク装置、光情報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89642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4421448B2 (ja) 記録条件の設定方法及び設定装置、記録再生装置、記録条件設定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790987B1 (ko) 광정보기록장치 및 광정보기록방법
KR100684891B1 (ko) 광디스크 장치 및 그 광정보 기록방법
JP4105587B2 (ja) レーザパワー制御装置およびレーザパワー制御方法ならびに光ディスク装置
JP2007273021A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8159133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
JP2007294047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9301667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11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