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8525B1 -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525B1
KR100668525B1 KR1020030097717A KR20030097717A KR100668525B1 KR 100668525 B1 KR100668525 B1 KR 100668525B1 KR 1020030097717 A KR1020030097717 A KR 1020030097717A KR 20030097717 A KR20030097717 A KR 20030097717A KR 100668525 B1 KR100668525 B1 KR 100668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pickup
plate
medium
be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6428A (ko
Inventor
남선우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30097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525B1/ko
Priority to US11/006,545 priority patent/US7451976B2/en
Priority to EP04030148A priority patent/EP1553531B1/en
Priority to DE602004026151T priority patent/DE602004026151D1/de
Publication of KR2005006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52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with means for raising the stack of articles to permit delivery of the topmos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세트바디(22)의 내부에 채워진 매체(m)를 카세트바디(22)의 배출구(24) 방향으로 밀어주는 밀판(30)과, 상기 밀판(30)이 상기 매체(m)를 상기 배출구(24)방향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배출구(24)측에 인접한 위치에 탄성부재(48)에 의해 상기 밀판(30) 방향으로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밀판(30)에 의해 밀어지는 매체(m)에 탄성력을 가지고 접촉되어 매체카세트(20)에서 매체(m)를 분리하여 내는 픽업롤러(45)와, 상기 픽업롤러(45)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원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센서(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m)와 픽업롤러(45)가 항상 일정한 힘으로 접촉되어 매체(m)를 매체카세트(20)에서 한장 씩 분리하여 내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매체, 자동지급, 매체카세트, 픽업, 밀판, 압력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A media pickup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픽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매체카세트에서 밀판에 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매체카세트 22: 카세트바디
24: 배출구 26: 도어
28: 경사안내부 30: 밀판
32: 벨트모터 34: 구동풀리
34': 종동풀리 35: 타이밍벨트
36: 클러치기어 37: 클러치플레이트
37': 회전중심 38: 연동부
39: 잠금키이 39': 키이캠
40: 매체자동지급기 42: 피드샤프트
43: 픽업가이드 44: 롤러축
45: 픽업롤러 46: 연장부
47: 감지슬롯 48: 스프링
49: 지지축 50: 센서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에게 전달될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카세트에서 매체를 한장 씩 분리해 내는 매체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Media)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이고, 매체자동지급기는 이와 같은 매체를 고객의 요청에 따라 자동으로 지급하는 장치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에서 매체카세트의 매체를 한장 씩 분리해내는 매체픽업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 내에는 매체카세트(1)가 설치된다. 상기 매체카세트(1)는 매체자동지급기 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별도로 구성된다.
상기 매체카세트(1)의 내부에는 매체(m)가 정리되어 채워진다. 상기 매체카세트(1)의 내부에서 매체(m)는 밀판(3)에 의해 배출구 방향으로 밀착되어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밀판(3)은 스프링(5)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매체카세트(1)의 내부에서 상기 매체(m)는 픽업롤러(7)에 밀착되게 눌러진다. 상기 픽업롤러(7)는 상기 매체카세트(1)의 일단부에서 상기 매체카세트(1)의 내부에 있는 매체(m)에 밀착되어 여러장이 차례로 있는 매체(m)를 하나 씩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픽업롤러(7)는 매체카세트(1) 자체에 구비되거나, 매체카세트(1)와는 별도로 매체자동지급기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7)에 의해 전달된 매체(m)를 한장 씩 분리하여 이송하는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10)가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매체(m)는 상기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10) 사이를 통과하면서 한장 씩 분리되어 이송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피드롤러(9)의 일부구간은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 상기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매체(m)가 상기 밀판(3)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7) 방향으로 밀려져 눌러진다. 이와 같이 소정의 압력으로 픽업롤러(7)에 눌러진 매체(m)는 픽업롤러(7)에 의해 상기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10)의 사이로 이송된다. 상기 픽업롤러(7)에 의해서 이송된 매체(m)는 상기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10)사이를 통과하면서 한장 씩 분리되어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매체카세트(1)의 내부에 채워지는 지폐(m)의 양에 따라 상기 밀판(3)이 상기 매체(m)를 픽업롤러(7)에 눌러주는 힘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매체(m)와 픽업롤러(7)사이의 접촉마찰력이 매체(m)의 양에 따라 달라져 매체(m)를 정확하게 한장 씩 픽업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밀판(3)을 픽업롤러(7) 방향으로 눌러주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오랜 사용에 의해 열화되거나 어떤 다른 원인에 의해 그 힘이 변하는 경우에도 픽업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체자동지급기에서 매체와 픽업롤러 사이에서 발생하는 픽업력이 항상 균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카세트바디의 내부에 채워진 매체를 카세트바디의 배출구 방향으로 밀어주는 밀판과, 상기 밀판의 일측에 벨트가 연결되게 구성되어 벨트의 구동에 의해 밀판을 이동시키는 벨트기구와, 상기 벨트기구를 통해 상기 밀판이 상기 매체를 상기 배출구방향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배출구측에 인접한 위치에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밀판 방향으로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밀판에 의해 밀어지는 매체에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접촉되어 매체카세트에서 매체를 분리하여 내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원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상기 픽업롤러는 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축의 양단은 피드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픽업가이드의 선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픽업가이드의 양단에는 상기 픽업롤러가 상기 밀판방향으로 이동되려는 경향을 가지도록 탄성부재가 각각 연결설치된다.
상기 픽업가이드의 일측에는 상기 센서가 픽업롤러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감지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픽업가이드의 일측에는 그 회전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 상기 감지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벨트기구측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카세트바디의 내부에 채워진 매체를 카세트바디의 배출구 방향으로 밀어주는 밀판과, 상기 밀판과 벨트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벨트기구와, 상기 벨트기구를 통해 상기 밀판이 상기 매체를 상기 배출구방향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벨트 기구측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기구와, 상기 배출구측에 인접한 위치에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밀판 방향으로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밀판에 의해 밀어지는 매체에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접촉되어 매체카세트에서 매체를 분리하여 내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원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벨트기구는 밀판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벨트와 상기 벨트가 걸어감아지는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원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벨트기구에는 벨트의 일단이 연결되는 구동풀리에 구비된 풀리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클러치기구는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풀리기어부에 동시에 접촉하거나 이탈되는 클러치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러치기구는 클러치기어와 일단에는 상기 클러치 기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연동부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카세트 바이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세트 바디에는 상기 클러치기구를 연동시키는 잠금기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카세트 내의 매체와 픽업롤러가 항상 일정한 힘으로 접촉되어 매체의 픽업작업이 원활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픽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이 개략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밀판에 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카세트(20)는 많은 매수의 매체(m)를 장입한 상태로 매체자동지급기(40)에 장착되어 매체(m)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매체카세트(20)의 외관을 카세트바디(22)가 형성하는데, 카세트바디(22)의 내부에는 매체(m)가 채워지는 공간(23)이 구비된다.
상기 카세트바디(22)의 일측 선단에는 배출구(24)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24)는 카세트바디(22)의 내부에 있던 매체(m)가 매체자동지급기(40)의 이송경로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배출구(24)는 도어(26)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도어(26)는 매체카세트(20)가 매체자동지급기(4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구(24)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출구(24)를 자동으로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26)의 구성은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26)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했다.
상기 카세트바디(22)의 배출구(24)를 향해서 매체(m)를 안내하도록 경사안내부(28)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안내부(28)는 소정의 경사지게 형성된 것으로, 매체(m)의 양단을 안내할 수 있고 그 중간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될 픽업롤러(45)가 매체(m)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세트바디(22)의 내부에는 밀판(30)이 설치된다. 상기 밀판(30)은 상기 공간(23)내에서 매체(m)를 상기 경사안내부(28)쪽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밀판(30)의 전면은 상기 경사안내부(28)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30')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밀판(30)에 매체(m)를 밀어주는 힘을 조절하여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카세트바디(22)에는 벨트모터(32)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모터(32)의 구동축(32')에는 구동기어(33)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33)와 인접하여 구동풀리(34)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33)와 구동풀리의 구동축은 서 로 연결되지는 않으나 그 연장선이 일치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풀리(34)에는 풀리기어부(34')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풀리(34)와 풀리기어부(34')는 동축으로 구성되어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구동풀리(34)와 대응되게 상기 카세트바디(22)의 내부 선단에는 종동풀리(34')가 구비된다. 상기 종동풀리(34')와 구동풀리(34)에는 타이밍벨트(35)가 걸어 감아진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벨트(35)의 일측에는 상기 밀판(30)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타이밍벨트(35)가 구동되면 상기 밀판(30)이 상기 카세트바디(22)의 내부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풀리(34)의 풀리기어부(34')와 구동기어(33)의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클러치기어(36)가 설치된다. 상기 클러치기어(36)는 상기 풀리기어부(34')와 구동기어(33)에 동일치가 동시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33)와 구동풀리(34)는 상기 클러치기어(36)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클러치기어(36)의 두께는 적어도 상기 구동기어(33)와 풀리기어부(34')와 맞물리는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클러치기어(36)는 상기 클러치플레이트(37)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클러치플레이트(37)는 회전중심(3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카세트바디(22)에 설치된다.
상기 클러치기어(36)가 설치된 클러치플레이트(37)의 반대쪽에는 연동부(38)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동부(38)는 상기 클러치기어(36)와 상기 회전중심(37')을 중심으로 서로 시이소오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카세트바디(22)의 일측에는 잠금키이(39)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키이(39)는 상기 카세트바디(22)의 내부로 매체(m)를 삽입하는 부분을 개폐하는 별도의 도어(도시되지 않음)를 잠그는 것이다. 상기 잠금키이(39)의 내측에는 그 잠금과 해제를 위한 동작시 함께 회전되는 키이캠(39')이 구비된다. 상기 키이캠(39')은 상기 잠금키이(39)의 회전중심에서 키이캠(39')의 외주면 까지의 거리가 위치에 따라 달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주면은 상기 연동부(38)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키이(39)의 회전에 따라 상기 키이캠(39')이 연동부(38)에 접촉되는 부분이 달라지면서 상기 클러치플레이트(37)가 회전중심(37')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한다.
이때, 상기 클러치플레이트(37)가 회전중심(37')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서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동부(38)에 접촉되는 키이캠(39')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클러치플레이트(37)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클러치플레이트(37)를 스프링으로 지지시켜 둘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카세트바디(22)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매체(m)를 분리하여 내는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매체카세트(20)가 장착되는 매체자동지급기(40)의 부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세트바디(22) 내부에 채워진 매체(m)를 분리하기 위한 구성들이 구비된다.
즉, 피드샤프트(42)의 양단에는 픽업가이드(43)가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픽업가이드(43)의 선단은 롤러축(44)으로 연결된다. 상기 픽업가이드(43)는 상기 피드샤프트(42)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다. 상기 롤러축(44)에는 픽업롤러(45)가 설치된다. 상기 픽업롤러(45)는 상기 카세트바디(22)의 내부에 있는 매체(m)를 분리하여 내는 것이다. 상기 픽업롤러(45)는 매체(m)의 폭에 따라서 그 갯수를 달리할 수 있고,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픽업가이드(43)의 일측에는 연장부(46)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46)에는 감지슬롯(47)이 형성된다. 상기 감지슬롯(47)이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픽업가이드(43)의 회전중심인 피드샤프트(42)에서 상대적으로 먼 곳이다. 이는 상기 픽업가이드(43)의 회전정도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감지슬롯(47)은 아래에서 설명될 센서(50)가 상기 픽업롤러(45)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픽업롤러(45)가 상기 밀판(30)방향으로 힘을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축(44)의 양단에 인접한 픽업가이드(43)에는 스프링(48)이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48)은 상기 픽업롤러(45)가 상기 밀판(30) 방향으로 힘을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48)의 타단부는 각각 지지축(49)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45)는 그 양단에서 가해지는 스프링(4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매체(m)에 밀착된다.
상기 픽업가이드(43)의 감지슬롯(47)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센서(50)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50)는 상기 픽업롤러(45)가 상기 매체(m)에 적절한 압력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적정한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50)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센서(50)의 발광부에서 나온 광이 상기 감지슬롯(47)을 통과해 수광부에서 검출되면 상기 픽업롤러(45)가 적절한 위치에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매체카세트(20)는 매체자동지급기(4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그 내부로 매체(m)가 채워진다. 즉, 상기 잠금키이(39)를 해제하여 도어를 열고, 상기 공간(23)의 밀판(30)과 경사안내부(28)의 사이에 매체(m)를 차곡차곡 채운다. 이때, 상기 밀판(30)은 상기 구동풀리(34)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매체(m)가 거의 방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밀판(30)은 상기 경사안내부(28)에 인접한 상태이다.
상기 밀판(3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경사안내부(28)측에서 상기 구동풀리(34)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클러치기어(36)는 상기 벨트모터(32)의 구동기어(33) 및 상기 구동풀리(34)의 풀리기어부(34')와의 치합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는 상기 키이캠(39')중 상대적으로 잠금키이(39)의 회전중심에 가까운 외주면이 연동부(38)에 닿아 있어, 상기 클러치플레이트(37)가 상대적으로 상기 회전중심(3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기어(36)는 상기 구동기어(33) 및 풀리기어부(34')와의 치합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잠금키이(39)가 잠금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풀리(34)와 벨트모터(32)가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밀판(30)을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벨트모터(32)에는 전혀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밀판(30)을 자유롭게 이동시키면서 매체(m)를 채워 넣을 수 있다.
상기 공간(23)의 내부에 매체(m)를 다 채운 후에는, 도어를 닫고 상기 잠금키이(39)를 채워 잠근다. 상기 잠금키이(39)가 회전되면, 상기 잠금키이(39)와 일체로 회전되는 키이캠(39')중 잠금키이(39)의 회전중심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외주면이 연동부(38)에 닿게 되면서 상기 클러치플레이트(37)가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플레이트(37)에 설치된 클러치기어(36)가 상기 구동기어(33)와 풀리기어(34')에 동시에 치합되어 이들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매체카세트(20)를 매체자동지급기(40)에 장착하면 상기 도어(26)가 개방되고, 상기 픽업롤러(45)가 상기 경사안내부(28)에 안착되어 있는 매체(m)에 접촉된다. 이는 상기 픽업롤러(45)를 상기 밀판(30) 방향으로 밀어주는 상기 스프링(48)의 탄성력 때문이다.
한편, 상기 픽업롤러(45)와 매체(m)가 정해진 압력으로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센서(50)가 동작하는 것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50)의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이 수광부에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벨트모터(32)를 구동시켜 상기 밀판(30)이 상기 매체(m)들을 밀어주는 힘을 달리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밀판(30)이 매체(m)를 밀어주는 힘을 달리하는데, 이와 같은 동작은 상기 센서(50)의 발광부에서 나온 광이 상기 감지슬롯(47)을 통과해 수광부에서 감지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감지슬롯(47)을 통해 센서(50)의 발광부에서 나온 광이 수광부에서 감지되면, 매체(m)를 매체카세트(20)에서 방출할 준비가 된 것이다.
상기 센서(50)의 감지동작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동작중에 반복하여 이루어진 다. 이는 상기 매체카세트(20)에서 매체(m)가 방출되면, 매체(m)의 수가 줄어들어 상기 픽업롤러(45)와 매체(m)가 접촉되는 접촉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에 맞춰 상기 벨트모터(32)가 동작되면서 상기 밀판(30)이 매체(m)를 이동시켜 매체(m)와 픽업롤러(45)가 적절한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센서(50)가 상기 감지슬롯(47)의 위치를 감지하여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밀판(30)이 벨트모터(32)에 의해 구동되어 이동하여 매체(m)와 픽업롤러(45)가 적절한 접촉력을 가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에서 매체를 분리하여 내는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센서가 감지한 데이터를 기초로 밀판이 매체를 픽업롤러 측으로 눌러주는 정도를 달리 하므로, 픽업롤러가 매체에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구동되면서 한장 씩 정확하게 매체를 분리하여 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밀판이 매체를 밀어주는 힘을 벨트모터가 제공하므로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매체가 픽업롤러에 눌러지는 압력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어, 매체자동지급기의 동작신뢰성이 오랜 기간 유지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2)

  1. 카세트바디의 내부에 채워진 매체를 카세트바디의 배출구 방향으로 밀어주는 밀판과,
    상기 밀판의 일측에 벨트가 연결되게 구성되어 벨트의 구동에 의해 밀판을 이동시키는 벨트기구와,
    상기 벨트기구를 통해 상기 밀판이 상기 매체를 상기 배출구방향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배출구측에 인접한 위치에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밀판 방향으로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밀판에 의해 밀어지는 매체에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접촉되어 매체카세트에서 매체를 분리하여 내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원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는 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축의 양단은 피드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픽업가이드의 선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가이드의 양단에는 상기 픽업롤러가 상기 밀판 방향으로 이동되려는 경향을 가지도록 탄성부재가 각각 연결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가이드의 일측에는 상기 센서가 픽업롤러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감지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가이드의 일측에는 그 회전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 상기 감지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벨트기구측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8. 카세트바디의 내부에 채워진 매체를 카세트바디의 배출구 방향으로 밀어주는 밀판과,
    상기 밀판과 벨트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벨트기구와,
    상기 벨트기구를 통해 상기 밀판이 상기 매체를 상기 배출구방향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벨트 기구측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기구와,
    상기 배출구측에 인접한 위치에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밀판 방향으로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밀판에 의해 밀어지는 매체에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접촉되어 매체카세트에서 매체를 분리하여 내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원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기구는 밀판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벨트와,
    상기 벨트가 걸어감아지는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벨트기구에는 벨트의 일단이 연결되는 구동풀리에 구비된 풀리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클러치기구는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풀리기어부에 동시에 접촉하거나 이탈되는 클러치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구는 클러치기어와 일단에는 상기 클러치 기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연동부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카세트 바이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바디에는 상기 클러치기구를 연동시키는 잠금기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KR1020030097717A 2003-12-26 2003-12-26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68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717A KR100668525B1 (ko) 2003-12-26 2003-12-26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US11/006,545 US7451976B2 (en) 2003-12-26 2004-12-08 Media pickup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EP04030148A EP1553531B1 (en) 2003-12-26 2004-12-20 Media pickup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DE602004026151T DE602004026151D1 (de) 2003-12-26 2004-12-20 Vorrichtung zur Abnahme von Medien für einen Medienausge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717A KR100668525B1 (ko) 2003-12-26 2003-12-26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428A KR20050066428A (ko) 2005-06-30
KR100668525B1 true KR100668525B1 (ko) 2007-01-16

Family

ID=3458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7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8525B1 (ko) 2003-12-26 2003-12-26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51976B2 (ko)
EP (1) EP1553531B1 (ko)
KR (1) KR100668525B1 (ko)
DE (1) DE60200402615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054B1 (ko) * 2007-02-05 2013-11-2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자동 지급기
US20090283963A1 (en) * 2008-05-13 2009-11-19 Bowe Bell+ Howell Company Automatic feeder control system to account for input variations
US8113504B2 (en) * 2008-11-06 2012-02-14 Lexmark International, Inc. Media sheet feeding method for overcoming at least one media handling failure mode
KR101135326B1 (ko) * 2008-12-23 2012-04-1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US8727336B2 (en) * 2011-10-31 2014-05-20 Ncr Corporation Condition determining
KR101478580B1 (ko) * 2013-04-11 2015-01-02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매체 인출기용 카세트 및 이를 통해 매체를 인출하는 방법
EP2977967B1 (en) * 2014-07-24 2018-10-10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Method for feeding notes of value to a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1627424B1 (ko) * 2014-10-16 2016-06-0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CN115072075B (zh) * 2021-03-12 2025-06-06 深圳市迈思特生物医学工程有限公司 供盒装置和包装设备
CN113075746B (zh) * 2021-03-29 2024-01-12 陕西泰诺特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pe管道探测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3432A (ja) * 1991-05-10 1992-11-20 Nec Corp 紙葉類繰り出し装置
JP2001310835A (ja) * 2000-04-28 2001-11-06 Fujitsu Ltd 可変式紙葉類分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9509A (en) * 1971-12-20 1973-09-18 Honeywell Inf Systems Document loader
DE2851545C2 (de) * 1978-11-29 1986-03-20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Vorrichtung zur vereinzelten Abgabe von Briefen u.ä. flachen Sendungen aus einem Stapel
US4447097A (en) * 1981-08-31 1984-05-08 Lafevers James O Dispenser cassette
JPS5957841A (ja) 1982-09-24 1984-04-03 Ricoh Co Ltd シ−ト送り装置
JPS5974841A (ja) 1982-10-16 1984-04-27 Ricoh Co Ltd シ−ト送り装置
US4980543A (en) * 1983-01-26 1990-12-25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Multiple denominator bank note depositor/dispenser with automatic loading to and from storage section
JPH01246690A (ja) 1988-03-29 1989-10-02 Toshiba Corp 貨幣収納装置
JP2928069B2 (ja) 1993-11-12 1999-07-28 甲府日本電気株式会社 紙幣繰出し装置
DE4408551C2 (de) * 1994-03-14 1998-02-19 Siemens Nixdorf Inf Syst Blattabzugseinrichtung mit einer Kassette zur Aufnahme eines Blattstapels
JPH09110188A (ja) 1995-10-16 1997-04-28 Ricoh Co Ltd 給紙装置
JPH1087087A (ja) 1996-09-11 1998-04-07 Oki Electric Ind Co Ltd 媒体分離繰り出し装置
US6032946A (en) * 1997-12-19 2000-03-07 Ncr Corporation Document feeder
JP3780705B2 (ja) 1998-06-17 2006-05-31 株式会社リコー 原稿給送装置
JP2001106355A (ja) 1999-08-04 2001-04-17 Ricoh Co Ltd 自動原稿給紙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3432A (ja) * 1991-05-10 1992-11-20 Nec Corp 紙葉類繰り出し装置
JP2001310835A (ja) * 2000-04-28 2001-11-06 Fujitsu Ltd 可変式紙葉類分離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4333432
1331083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26151D1 (de) 2010-05-06
KR20050066428A (ko) 2005-06-30
US20050189708A1 (en) 2005-09-01
EP1553531A2 (en) 2005-07-13
EP1553531A3 (en) 2006-05-17
US7451976B2 (en) 2008-11-18
EP1553531B1 (en)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849B1 (ko) 프린터
KR880700370A (ko) 적재장치
KR100668525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WO1999049421B1 (en) Note holding and dispensing device with cassette
WO2000021043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e billets de banque
JPS62215461A (ja) 紙幣収納装置
KR100431006B1 (ko) 프린팅기기의 용지 카트리지
EA009270B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EP0260015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H0313820Y2 (ko)
KR100533281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밀판동력 전달장치
US7364157B2 (en) Compact backnote dispensing device with banknote length sensor
US6715671B2 (en) Automatic bill dispensing apparatus with a sorting device
KR101165099B1 (ko) 매체카세트장치
KR10055582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JP4279596B2 (ja) 紙幣識別装置
KR100509031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US20040108647A1 (en) Banknote dispensing device
JPH06156844A (ja) 紙幣収納装置
JP2558977Y2 (ja) 紙幣取扱装置
KR20010011917A (ko) 아이씨카드 발급기
KR200399932Y1 (ko) 지폐식별장치
JP2567046Y2 (ja) 紙幣取扱装置
JP4560343B2 (ja) 紙幣識別装置
JP4813948B2 (ja) 使用済み媒体廃棄装置及び媒体発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1221

Appeal identifier: 2006101001048

Request date: 20060206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3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9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7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308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926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206

Effective date: 2006122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6122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60206

Decision date: 20061221

Appeal identifier: 2006101001048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4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7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