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09031B1 -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031B1
KR100509031B1 KR10-2002-0078881A KR20020078881A KR100509031B1 KR 100509031 B1 KR100509031 B1 KR 100509031B1 KR 20020078881 A KR20020078881 A KR 20020078881A KR 100509031 B1 KR100509031 B1 KR 100509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pickup roller
roller
pickup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1051A (ko
Inventor
박응민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2-007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031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03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매체함(30)에 장입된 매체(m)를 일방향으로 밀어주는 밀판(32)과, 상기 밀판(32)이 매체(m)를 밀어주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밀판탄성부재(34)와, 픽업탄성부재(43)에 의해 상기 밀판(32)에 의해 밀어지는 매체(m)에 대해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려는 경향을 갖는 픽업롤러(40)와, 상기 픽업롤러(40)의 위치를 감지하는 픽업롤러 위치감지센서(50)와, 상기 위치감지센서(50)에서 감지된 픽업롤러(40)의 위치값을 기초로 상기 밀판탄성부재(34)의 탄성력을 조정하여 밀판(32)이 매체(m)를 밀어주는 힘을 조정하는 밀판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함(30)에서 매체(m)를 픽업하는 힘이 항상 일정하게 되어 매체 픽업동작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A media pickup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가 보관된 매체함에서 매체를 배출하기 위해 픽업하는 매체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Media)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은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에서 사용되는 매체함의 요부 구성이 측면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 내에는 매체함(1)이 설치된다. 상기 매체함(1)은 매체자동지급기 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별도로 구성된다.
상기 매체함(1)의 내부에는 매체(m)가 정리되어 장입된다. 상기 매체함(1)의 내부에서 매체(m)는 밀판(3)에 의해 일방향으로 밀착되어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밀판(3)은 스프링(5)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매체함(1)의 내부에서 상기 매체(m)는 픽업롤러(7)에 밀착되게 눌러진다. 상기 픽업롤러(7)는 상기 매체함(1)의 일단부에서 상기 매체함(1)의 내부에 있는 매체(m)에 밀착되어 매체(m)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픽업롤러(7)는 매체함(1) 자체에 구비되거나, 매체함(1)과는 별도로 매체자동지급기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7)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픽업롤러(7)에 의해 전달된 매체(m)를 한장 씩 분리하여 이송하는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10)가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매체(m)는 상기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10) 사이를 통과하면서 한장 씩 분리되어 이송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피드롤러(9)의 일부구간은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 상기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매체(m)가 상기 밀판(3)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7) 방향으로 밀려져 눌러진다. 이와 같이 소정의 압력으로 픽업롤러(7)에 눌러진 매체(m)는 픽업롤러(7)에 의해 상기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10)의 사이로 이송된다. 상기 픽업롤러(7)에 의해서 이송된 매체(m)는 상기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10)사이를 통과하면서 한장 씩 분리되어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매체함(1)에서 매체(m)는 밀판(3)에 의해 픽업롤러(7)에 눌러진다. 하지만 상기 매체(m)의 량이 많은 경우, 예를 들면 화살표 A의 위치, 그리고 매체(m)의 양이 적은 화살표 B의 위치에서 상기 매체(m)가 픽업롤러(7)에 눌러지는 압력은 달라진다.
상기 매체(m)가 픽업롤러(7)에 눌러지는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매체(m)가 적당하게 픽업되어 전달될 수 있으나, 상기 압력이 지나치게 크면 한번에 픽업되는 매체(m)의 수가 많아지게 되고, 상기 압력이 지나치게 작으면 매체(m)가 픽업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체함에서 매체가 픽업롤러에 밀착되는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매체함에 장입된 매체를 일방향으로 밀어주는 밀판과, 상기 밀판이 매체를 밀어주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밀판탄성부재와, 상기 매체에 접촉되어 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의 위치를 매체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 이동시키는 픽업롤러이동수단과, 상기 픽업롤러의 위치를 감지하는 픽업롤러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픽업롤러의 위치값을 기초로 상기 픽업롤러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픽업롤러가 매체에 밀착되는 힘을 변화시키는 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업롤러이동수단은 일단이 픽업롤러에 연결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픽업롤러를 매체에 대해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기 위한 픽업탄성부재를 포함하여 된다.
상기 조정수단은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타이밍벨트를 통해 전달하도록 구동풀리, 안내풀리 및 타이밍벨트를 구비하는 벨트전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벨트는 상기 픽업롤러이동수단의 연결링크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에 의하면 매체가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픽업롤러에 밀착되어 매체의 픽업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측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함(30)은 많은 양의 매체(m)를 장입한 상태로 매체자동지급기에 장착되어 매체(m)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매체함(30)의 내부에는 매체(m)를 일방향으로 밀어주는 밀판(32)이 구비된다. 상기 밀판(32)은 밀판스프링(34)에 의해 지지되어 매체(m)를 아래에서 설명될 픽업롤러(40)쪽으로 밀어준다. 상기 밀판스프링(34)은 길이가 긴 코일 스프링이다.
한편, 상기 밀판스프링(34)의 길이를 조정하여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먼저 구동원(35)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원(35)의 구동축에 구동풀리(36)가 설치된다. 상기 밀판스프링(34) 일단부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풀리(37)가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구동풀리(36)와 안내풀리(37)에는 타이밍벨트(38)가 걸어감아진다. 상기 타이밍벨트(38)에는 상기 밀판스프링(34)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원(35)이 정역회전하면 타이밍벨트(38)에 의해 밀판스프링(34)의 길이가 조정된다.
상기 밀판(32)에 의해 매체(m)가 밀어지는 방향의 단부에는 격판(39)이 설치된다. 상기 격판(39)은 매체(m)가 저장되는 공간과 매체(m)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들과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격판(39)의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을 통해 픽업롤러(40)가 일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밀판(32)에 의해 밀려지는 매체(m)는 상기 격판(39)의 통공을 통해 일부 돌출된 픽업롤러(40)에 밀착된다. 상기 픽업롤러(40)는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매체(m)를 픽업하여 이송시키기 시작한다.
상기 픽업롤러(40)는 연결링크(42)의 선단에 연결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픽업롤러(40)가 설치된 축의 양단부가 연결링크(42)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링크(42)는 픽업롤러(40)가 설치된 선단의 반대쪽 단부의 회전중심(4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링크(42)에는 픽업스프링(43)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픽업스프링(43)은 그 타단부가 상기 격판(39)측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링크(42)를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도록 탄성력을 발휘한다.
한편, 상기 연결링크(42)의 선단에 설치된 픽업롤러(4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50)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50)는 상기 픽업롤러(4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원(35)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50)는 상기 매체(m)의 압력이 지나치게 커서 상기 픽업롤러(40)가 밀려 상기 격판(39)의 통공을 통해 노출되지 않게 된 것을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픽업롤러(40)에 의해 픽업된 매체(m)는 피드롤러(60)와 콘트라롤러(62)의 사이를 통과하여 한장 씩 분리되어 이송된다. 상기 피드롤러(60)와 상기 픽업롤러(40)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콘트라롤러(62)는 상기피드롤러(6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정지되어 있어 매체(m)가 한장 씩 분리되게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매체함(30)의 내부에는 많은 양의 매체(m)가 차례로 장입되어 있고, 상기 매체(m)는 상기 밀판(32)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40)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픽업롤러(40)는 상기 픽업스프링(43)에 의해 상기 매체(m)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려는 경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매체(m)와 픽업롤러(40)의 사이에는 밀판스프링(34)에 의해 매체(m)가 픽업롤러(40)에 눌러지는 힘과 상기 픽업스프링(43)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40)가 매체에 눌러지는 힘에 의해 픽업롤러(40)가 매체(m)를 픽업하는 픽업력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픽업롤러(40)가 상기 매체(m)를 눌러주는 힘이 상대적으로 약해졌을 때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업롤러(40)가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위치감지센서(50)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50)가 상기 픽업롤러(40)를 감지하면, 상기 위치감지센서(50)의 감지신호가 상기 구동원(35)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원(35)이 구동되고, 상기 구동원(35)의 구동력은 타이밍벨트(38)로 전달되어 상기 밀판스프링(34)의 길이를 변경시킨다. 따라서, 상기 밀판(32)을 밀어주던 밀판스프링(34)의 탄성력이 약해지면서 밀판(32)이 상기 픽업롤러(40)의 픽업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지고 상기 픽업롤러(40)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상적인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픽업롤러(40)가 상기 격판(39)의 통공을 통해 일부 돌출되어 상기 매체(m)에 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픽업롤러(40)가 항상 일정하게 상기 매체(m)에 밀착된다. 결국, 상기 매체(m)는 항상 정확하게 한장 씩 픽업되어 상기 피드롤러(60)와 콘트라롤러(62)의 사이로 전달되어 이송된다.
한편, 상기 매체(m)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40)에 가해지는 힘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구동원(35)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밀판스프링(34)의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하면, 상기 밀판(32)에 의해 밀어지는 매체(m)의 힘과 픽업스프링(43)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40)가 매체(m)에 밀착되는 힘이 협력하여 매체(m)에 적절한 힘이 가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는 매체의 양에 상관없이 항상 매체와 픽업롤러가 일정한 밀착력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픽업롤러에 의한 매체의 픽업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매체함에서 매체가 보다 일정하고 원활하게 픽업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함의 요부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매체함 32: 밀판
34: 밀판스프링 35: 구동원
36: 구동풀리 37: 안내풀리
38: 타이밍벨트 40: 픽업롤러
42: 연결링크 43: 픽업스프링
50: 센서 60: 피드롤러
62: 콘트라롤러

Claims (3)

  1. 매체함에 장입된 매체를 일방향으로 밀어주는 밀판과,
    상기 밀판이 매체를 밀어주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밀판탄성부재와,
    상기 매체에 접촉되어 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의 위치를 매체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 이동시키는 픽업롤러이동수단과,
    상기 픽업롤러의 위치를 감지하는 픽업롤러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픽업롤러의 위치값을 기초로 상기 픽업롤러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픽업롤러가 매체에 밀착되는 힘을 변화시키는 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이동수단은 일단이 픽업롤러에 연결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픽업롤러를 매체에 대해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기 위한 픽업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타이밍벨트를 통해 전달하도록 구동풀리, 안내풀리 및 타이밍벨트를 구비하는 벨트전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벨트는 상기 픽업롤러이동수단의 연결링크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KR10-2002-0078881A 2002-12-11 2002-12-11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09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881A KR100509031B1 (ko) 2002-12-11 2002-12-11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881A KR100509031B1 (ko) 2002-12-11 2002-12-11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051A KR20040051051A (ko) 2004-06-18
KR100509031B1 true KR100509031B1 (ko) 2005-08-18

Family

ID=3734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8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9031B1 (ko) 2002-12-11 2002-12-11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833B1 (ko) * 2004-12-17 2006-11-27 엘지엔시스(주) 지폐 방출을 위한 가압력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택한금융단말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3739A (ja) * 1982-08-31 1984-03-10 Fujitsu Ltd 紙葉類収納箱
JPS60128139A (ja) * 1983-12-14 1985-07-09 Fujitsu Ltd 給紙機構
JPS6443034U (ko) * 1987-09-09 1989-03-15
JPH06127709A (ja) * 1992-10-15 1994-05-10 Fujitsu Ltd 給紙装置
JPH09194050A (ja) * 1996-01-20 1997-07-29 Ricoh Co Ltd 給紙装置
KR19990010923U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다목적 트레이의 중송방지장치
KR20000004373U (ko) * 1998-08-05 2000-03-06 윤종용 급지 카세트의 용지 픽업 장치
KR20000019181U (ko) * 1999-04-06 2000-11-06 윤종용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장치
KR20000020667U (ko) * 1999-05-12 2000-12-05 윤종용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3739A (ja) * 1982-08-31 1984-03-10 Fujitsu Ltd 紙葉類収納箱
JPS60128139A (ja) * 1983-12-14 1985-07-09 Fujitsu Ltd 給紙機構
JPS6443034U (ko) * 1987-09-09 1989-03-15
JPH06127709A (ja) * 1992-10-15 1994-05-10 Fujitsu Ltd 給紙装置
JPH09194050A (ja) * 1996-01-20 1997-07-29 Ricoh Co Ltd 給紙装置
KR19990010923U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다목적 트레이의 중송방지장치
KR20000004373U (ko) * 1998-08-05 2000-03-06 윤종용 급지 카세트의 용지 픽업 장치
KR20000019181U (ko) * 1999-04-06 2000-11-06 윤종용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장치
KR20000020667U (ko) * 1999-05-12 2000-12-05 윤종용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051A (ko) 200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700370A (ko) 적재장치
EP0338578B1 (en) Paper feeder for printer
KR101053728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KR100668525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KR100509031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KR10050733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KR101388325B1 (ko) 매체자동입출기의 매체스큐보정장치
US7520500B2 (en) Media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media dispenser
KR10055582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JP2005035739A (ja) 原稿読取装置
JPH05221546A (ja) 給紙装置
KR101064853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KR200378713Y1 (ko) 지폐류 취급기기용 지폐류 이송장치
KR100572859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방법 및 장치
KR10067924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KR100533281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밀판동력 전달장치
KR10052716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JP4005574B2 (ja) シート状のエレメントを搬送するための装置
JPS5834112Y2 (ja) 自動給紙装置
KR101247012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KR20060073676A (ko) 지폐류 취급기기용 지폐류 이송장치
KR101022430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JP2806762B2 (ja) 紙葉類搬送装置
US20060017212A1 (en) Paper feeding un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3895204B2 (ja) カード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