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6038B1 - 자동차용 내장재 에프엠에이치 취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내장재 에프엠에이치 취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038B1
KR100666038B1 KR1020050078632A KR20050078632A KR100666038B1 KR 100666038 B1 KR100666038 B1 KR 100666038B1 KR 1020050078632 A KR1020050078632 A KR 1020050078632A KR 20050078632 A KR20050078632 A KR 20050078632A KR 100666038 B1 KR100666038 B1 KR 100666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mh
rib
type
headliner
driving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석
박준형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전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전병길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5007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038B1/ko
Priority to CNB2006100577743A priority patent/CN100441469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03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자동차의 내장재인 헤드라이너(head liner)에 사고로 인한 충돌시 충격을 흡수,상쇄시켜 탑승자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리브(rib)형 FMH 또는 발포(foam)형 FMH(free motion head-foam)를 부착시 지그(jig)를 이용하여 부착함에 따라 FMH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FMH의 부착위치 산포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내장재 FMH 취부장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FMH 취부장치에 있어서,
제1구동수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와,
제1구동수단 구동으로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체와,
회동체에 장착되는 제2구동수단 구동으로 승강되며,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리브형 FMH를 지지하는 안착대와,
헤드라이너에 대해 리브형 FMH의 장착위치 산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리브형 FMH에 형성된 고정핀에 대응되게 안착대에 형성되는 결합공과,
헤드라이너에 대해 리브형 FMH의 이종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리브형 FMH에 형성된 이종결합방지용 핀의 결합에 따라 리브형 FMH의 사양을 구분하는 검출편을 구비한다.
자동차, 내장재, FMH, 취부장치

Description

자동차용 내장재 에프엠에이치 취부장치{FMH assembling device of interior decoration material for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내장재 리브형 FMH 취부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내장재 리브형 FMH 취부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내장재 리브형 FMH 취부장치에서 FMH가 안착대에 안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내장재 리브형 FMH 취부장치에서 사양이 상이한 FMH가 안착대에 안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내장재 발포형 또는 리브형 FMH 취부장치의 개략도,
도 6(a,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내장재 발포형 또는 리브형 FMH 취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제1구동수단
101; 본체
102; 회동체
103; 제2구동수단
104; 리브형 FMH
105; 안착대
106; 헤드라이너
107; 고정핀
108; 결합공
109; 이종결합방지용 핀
110; 검출편
111; 공기압 분사구
112; 베어링 하우징
113; 힌지핀
200; 발포형 FMH
201; 제3구동수단
202; 취부블럭
204; 취부핀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장재인 헤드라이너(head liner)에 리브(rib)형 FMH 또는 발포(foam)형 FMH(free motion head-foam; 사고로 인한 충돌시 충격을 흡수,상쇄시켜 탑승자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임)를 부착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내장재 FMH 취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리브형 FMH 또는 발포형 FMH를 부착시 지그(jig)를 이용하여 부착함에 따라 FMH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FMH의 부착위치 산포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내장재 FMH 취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헤드라이너에 내장되는 충격 흡수용 내장재는 자동차 사고시에 탑승자 머리를 충격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으로서, 내충격성, 흡차음성, 단열성 및 형상유지성 등과 같은 기능적인 특징이 요구되고, 폴리우레탄 폼, 폴리프로필렌 폼 또는 폴리에틸렌 폼, 스치로 폼 등을 발포성형하거나, 또는 허니컴, 격자형,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갖도록 사출성형되는 합성수지재의 리브(rib)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FMH를 감안한 자동차 설계는 프론트 필러, 센터 필러 및 리어 필러와 이들의 외부를 덮고 있는 필러 트림에 맞추어지고 있다. 즉 FMH를 대비한 보강 필러를 자동차 필러와 필러 트림사이에 내장시키거나, 필러 트림 내부에 다양한 형상 을 갖는 리브를 형성시켜주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 헤드라이너에 FMH를 부착하는 작업시 FMH의 이종취부 또는 부착위치 산포(散布)로 인해 각종 내장제가 가조립된 헤드라이너를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차체에 조립할 경우, 차체 또는 상대 부품의 간섭으로 인해 조립이 불가능하여 작업이 지연됨은 물론 품질 불량으로 처리된다.
또한, FMH의 사양 다양화로 인한 설비 제작수량이 증가되어 투자비 상승을 초래하고, 또한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해야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헤드라이너에 리브형 FMH 또는 발포형 FMH를 부착시 지그를 이용하여 부착하므로 FMH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FMH의 도포(bonding)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자 피로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내장재 FMH 취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라이너에 대한 FMH의 부착위치 산포를 줄이고, FMH 이종조립되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내장재 FMH 취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동일한 생산라인에서 리브형 FMH 또는 발포형 FMH를 선택적으로 취부할 수 있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설비와 관련된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내장재 FMH 취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FMH 취부장치에 있어서,
제1구동수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와,
제1구동수단 구동으로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체와,
회동체에 장착되는 제2구동수단 구동으로 승강되며,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리브형 FMH를 지지하는 안착대와,
헤드라이너에 대해 리브형 FMH의 장착위치 산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리브형 FMH에 형성된 고정핀에 대응되게 안착대에 형성되는 결합공과,
헤드라이너에 대해 리브형 FMH의 이종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리브형 FMH에 형성된 이종결합방지용 핀의 결합에 따라 리브형 FMH의 사양을 구분하는 검출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FMH 취부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FMH 취부장치에 있어서,
제1구동수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와,
제1구동수단 구동으로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체와,
회동체에 장착되는 제2구동수단 구동으로 승강되며,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발포형 FMH 또는 리브형 FMH를 지지하는 안착대와,
안착대 상면에 교체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발포형 FMH를 지지하는 취부블럭과,
회동체에 장착되는 제3구동수단 구동으로 승강가능하게 취부블럭사이에 설치되며, 제3구동수단 신장구동으로 취부블럭에 대해 상승되어 리브형 FMH를 지지하는 취부핀을 구비하여,
제3구동수단 신장구동시 상승되는 취부핀 및 취부블럭에 의해 리브형 FMH를 지지하고, 제3구동수단 수축구동시 취부핀이 하강되어 취부블럭에 의해 발포형 FMH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FMH 취부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안착대에 형성되고, 리브형 FMH에 도포되는 접착제 응고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도포면에 공기압을 분사시키는 공기압 분사구를 더 구비한다.
또한, 전술한 제1,2구동수단으로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내장재 리브(rib)형 FMH 취부장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FMH 취부장치에 있어서,
제1구동수단(100)(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음)이 힌지핀(11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101)와,
전술한 제1구동수단(103) 구동시 본체(101)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베어링하우징(112)에 의해 고정되는 회동체(102)와,
헤드라이너(106)에 대해 리브형 FMH(104)를 고정할 수 있도록 회동체(102)에 장착되는 제2구동수단(103)(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음) 구동으로 승강되며, 리브형 FMH(104)를 지지하는 안착대(105)와,
헤드라이너(106)에 대해 리브형 FMH(104)의 장착위치 산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리브형 FMH(104)에 형성된 고정핀(107)에 대응되게 안착대(105)에 형성되는 결합공(108)과,
헤드라이너(106)에 대해 리브형 FMH(104)의 이종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리브형 FMH(104)에 형성된 이종결합방지용 핀(109)의 결합에 따라 리브형 FMH(104)의 사양을 구분(사양이 상이한 복수의 리브형 FMH(104)가 안착대(105)에 공급될 경우 이들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을 말함)하는 검출편(110)을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안착대(105)에 형성되고, 리브형 FMH(104)에 도포되는 접착제(핫멜트(hot-melt)형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음) 응고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외부의 공기압 공급수단으로 부터 토출되는 공기압을 도포면에 분사시키는 공기압 분사 구(1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내장재 리브형 FMH 취부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리브형 FMH의 취부위치 산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사고시 탑승자 머리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탑승자 상해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되는 리브형 FMH(104)를 헤드라이너(106)에 부착하기 위하여 안착대(105)에 안착시킬 경우, 리브형 FMH(104)에 형성된 고정핀(107)이 안착대(105)에 형성된 결합공(108)에 결합되므로, 고정핀(107)과 결합공(108)사이의 공차를 최소화하여 리브형 FMH(104)를 항시 일정한 위치의 헤드라이너(106)에 부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라이너(106)에 부착되는 리브형 FMH(104)의 취부위치를 일정하게 장착하므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켜 동업종분야에서 경쟁력을 갖는다.
나)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리브형 FMH의 이종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MH 종류의 다양화로 인해 사양이 상이한 리브형 FMH(104)를 안착대(105)에 공급할 경우, 리브형 FMH(104)에 형성된 이종결 합방지용 핀(109)이 안착대(105)에 형성된 검출편(110)위에 밀착되므로 리브형 FMH(104)는 안착대(105)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다.
이와 반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형 FMH(104)를 안착대(105)위에 안착시킬 경우, 안착대(105)에 형성된 검출편(110)으로 부터 벗어난 위치에 리브형 FMH(104)의 이종결합방지용 핀(109)이 안착됨에 따라, 리브형 FMH(104)는 안착대(105)로 부터 돌출되어 작업자는 리브형 FMH(104) 사양이 상이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유사한 모델의 리브형 FMH(104)가 헤드라이너(106)에 부착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리브형 FMH에 접착제를 간단하게 도포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리브형 FMH(104)를 헤드라이너(106)에 부착하기 위하여 리브형 FMH(104)에 핫멜트 등과 같은 접착제를 용이하게 도포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안착대(105)위에 리브형 FMH(104)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핫멜트 등의 접착제를 소정의 도포장치(미도시됨)를 이용하여 리브형 FMH(104)에 분사한다.
이때, 제2구동수단(103) 구동으로 인해 안착대(105)에 안착된 리브형 FMH(104)가 지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므로 리브형 FMH(104)의 도포면으로 부터 접 착제 액이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안착대(105)에 형성된 공기압 분사구(111)로 부터 토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접착제 응고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된 리브형 FMH(104)를 헤드라이너(106)에 부착시킬 경우, 리브형 FMH(104)를 헤드라이너(106) 부착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본체(101)에 장착된 제1구동수단(100)(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음) 신장 구동시 회동체(102)는 베어링하우징(112)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동시에 회동체(102)에 장착된 제2구동수단(103)(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음) 신장 구동시 안착대(105)는 도 2의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선회되므로, 안착대(105)에 안착된 리브형 FMH(104)는 헤드라이너(106)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브형 FMH(104)에 접착제를 도포시킨후 헤드라이너(106)에 부착시킬 경우, 제1,2구동수단(100,103)을 이용하여 부착하므로 작업자 피로도를 줄이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켜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내장재 리브형 또는 발포형 FMH 취부장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FMH 취부장치에 있어서,
제1구동수단(100)(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음)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101)와,
제1구동수단(100)(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음) 구동으로 본체(101)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체(102)와,
회동체(102)에 장착되는 제2구동수단(103) 구동으로 승강되며, 헤드라이너(106)에 부착되는 발포(polyurethane foam)형 FMH(200) 또는 리브(rib)형 FMH(203)를 지지하는 안착대(105)와,
안착대(105) 상면에 교체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발포형 FMH(200)를 지지하는 취부블럭(202)과,
회동체(102)에 장착되는 제3구동수단(201)(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음) 구동으로 승강가능하게 취부블럭(202)(사이에 설치되며, 제3구동수단(201) 신장구동으로 취부블럭에 대해 상승되어 리브형 FMH(203)를 지지하는 취부핀(204)을 구비하여,
제3구동수단(201) 신장구동시 상승되는 취부핀(204) 및 취부블럭(202)에 의해 리브형 FMH(203)를 지지하고, 제3구동수단(201) 수축구동시 취부핀(204)이 하강되어 취부블럭(202)에 의해 발포형 FMH(200)를 지지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300은 리브형 FMH(203) 또는 발포형 FMH(200)의 기준면이 되는 일단을 지지하는 브라킷이다.
이때, 발포형 FMH(200)를 지지하는 취부블럭(202)과, 리브형 FMH(203)를 지지하는 취부블럭(202) 및 취부핀(204)을 제외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 한 리브형 FMH 취부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 것임을 밝혀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내장재 리브형 또는 발포형 FMH 취부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는 발포형 FMH를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전술한 회동체(102)에 장착된 제3구동수단(201)(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음) 수축구동으로 인해 리브형 FMH(203)를 지지하는 취부핀(204)(일예로서, 도면에 3개가 표시됨)이 안착대(105)쪽으로 하강됨에 따라, 안착대(105) 상면에 교체가능하도록 취부블럭(202)(일예로서, 도면에는 3개가 표시됨)에 의해 헤드라이너(106)에 부착되는 발포형 FMH(20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6(b)는 리브형 FMH를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전술한 제3구동수단(201)(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음) 신장구동으로 인해 리브형 FMH(203)를 지지하는 취부핀(204)이 안착대(105) 상면으로 부터 상승됨에 따라, 상승된 취부핀(204) 및 취부블럭(202)에 의해 헤드라이너(106)에 부착되는 리브형 FMH(203)를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생산라인에서 제3구동수단(201) 신장구동시 상승되는 취부핀(204) 및 취부블럭(202)에 의해 리브형 FMH(203)를 지지하고, 제3구동수단(201) 수축구동시 취부핀(204)이 하강되므로 취부블럭(202)에 의해 발포형 FMH(200)를 지지하므로, 생산라인에서 설비 이중투자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내장재 FMH 취부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자동차 헤드라이너에 리브형 FMH 또는 발포형 FMH를 부착시 지그를 이용하여 부착하므로 FMH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FMH의 도포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자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헤드라이너에 대해 FMH의 부착위치 산포를 줄이고, FMH 이종조립되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킴에 따라, 원가비용을 줄이고 동업종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는다.
또한, 동일한 생산라인에서 리브형 FMH 또는 발포형 FMH를 선택적으로 취부할 수 있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중복라인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4)

  1. 자동차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FMH 취부장치에 있어서:
    제1구동수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
    상기 제1구동수단 구동으로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체;
    상기 회동체에 장착되는 제2구동수단 구동으로 승강되며,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리브형 FMH를 지지하는 안착대;
    상기 헤드라이너에 대해 리브형 FMH의 장착위치 산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리브형 FMH에 형성된 고정핀에 대응되게 안착대에 형성되는 결합공; 및
    상기 헤드라이너에 대해 리브형 FMH의 이종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리브형 FMH에 형성된 이종결합방지용 핀의 결합에 따라 리브형 FMH의 사양을 구분하는 검출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FMH 취부장치.
  2. 자동차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FMH 취부장치에 있어서:
    제1구동수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
    상기 제1구동수단 구동으로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체;
    상기 회동체에 장착되는 제2구동수단 구동으로 승강되며, 헤드라이너에 부착 되는 발포형 FMH 또는 리브형 FMH를 지지하는 안착대;
    상기 안착대 상면에 교체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발포형 FMH를 지지하는 취부블럭; 및
    상기 회동체에 장착되는 제3구동수단 구동으로 승강가능하게 취부블럭사이에 설치되며, 제3구동수단 신장구동으로 취부블럭에 대해 상승되어 상기 리브형 FMH를 지지하는 취부핀을 구비하여,
    상기 제3구동수단 신장구동시 상승되는 취부핀 및 취부블럭에 의해 리브형 FMH를 지지하고, 제3구동수단 수축구동시 취부핀이 하강되어 취부블럭에 의해 발포형 FMH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FMH 취부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에 형성되고, 상기 리브형 FMH에 도포되는 접착제 응고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도포면에 공기압을 분사시키는 공기압 분사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FMH 취부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3구동수단으로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FMH 취부장치.
KR1020050078632A 2005-08-26 2005-08-26 자동차용 내장재 에프엠에이치 취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66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632A KR100666038B1 (ko) 2005-08-26 2005-08-26 자동차용 내장재 에프엠에이치 취부장치
CNB2006100577743A CN100441469C (zh) 2005-08-26 2006-02-27 车辆用内装材料fmh的安装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632A KR100666038B1 (ko) 2005-08-26 2005-08-26 자동차용 내장재 에프엠에이치 취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038B1 true KR100666038B1 (ko) 2007-01-19

Family

ID=37777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6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6038B1 (ko) 2005-08-26 2005-08-26 자동차용 내장재 에프엠에이치 취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66038B1 (ko)
CN (1) CN100441469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162B1 (ko) 2006-04-28 2007-10-31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로봇을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 공급장치
KR100991556B1 (ko) 2010-04-12 2010-11-04 최영호 자동차 헤드 라이너 내장재 회전식 에프엠에이치 부착장치
KR101051154B1 (ko) 2010-02-01 2011-07-21 길엔지니어링(주) 헤드라이너 리브형 에프엠에이치 취부장치
KR20190117945A (ko) 2018-04-09 2019-10-1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제조방법 및 그 헤드라이너
CN114379679A (zh) * 2021-12-15 2022-04-22 上工富怡智能制造(天津)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全自动调整紧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4238B1 (en) * 1999-09-28 2001-07-24 Daimlerchrysler Corporation Reactive surface rib cartridge countermeasure for vehicle interior hard trim applications
DE10059247A1 (de) * 2000-11-29 2002-06-13 Seeber Ag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Retainers auf der Innenseite eines Innenverkleidungsteils eines Kraftfahrzeuges
JP3633537B2 (ja) * 2001-09-27 2005-03-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内装部品の取付構造
KR100475966B1 (ko) * 2002-11-15 2005-03-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KR100526796B1 (ko) * 2003-10-01 2005-1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
CN100372722C (zh) * 2004-02-06 2008-03-05 韩一理化株式会社 安装天窗顶蓬的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162B1 (ko) 2006-04-28 2007-10-31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로봇을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 공급장치
KR101051154B1 (ko) 2010-02-01 2011-07-21 길엔지니어링(주) 헤드라이너 리브형 에프엠에이치 취부장치
KR100991556B1 (ko) 2010-04-12 2010-11-04 최영호 자동차 헤드 라이너 내장재 회전식 에프엠에이치 부착장치
KR20190117945A (ko) 2018-04-09 2019-10-1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제조방법 및 그 헤드라이너
CN114379679A (zh) * 2021-12-15 2022-04-22 上工富怡智能制造(天津)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全自动调整紧固装置
CN114379679B (zh) * 2021-12-15 2022-10-21 上工富怡智能制造(天津)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全自动调整紧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41469C (zh) 2008-12-10
CN1919680A (zh)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68106B1 (en) Roofliner for a motor vehicle
EP2644458B1 (en) Interior panels having integrated airbag deployment doors for motor vehicl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20080174152A1 (en) Process For In-Molding An Energy-Absorbing Countermeasure To A Headliner
US9010800B1 (en) Interior panels having integrated airbag doors for motor vehicl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9193141B2 (en) Prestressing fixture to eliminate automotive P.S.I.R. door-chute vibration weld visibility
US20070262062A1 (en) Motor Vehicle Internal Paneling Section and Marking Method
KR100666038B1 (ko) 자동차용 내장재 에프엠에이치 취부장치
JP6015921B2 (ja) 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JPH11147233A (ja) 自動車用内装部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20040155441A1 (en) Side impact protective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occupant
US20040222673A1 (en) Headliner apparatus with foam imbedded NVH pad
KR101051154B1 (ko) 헤드라이너 리브형 에프엠에이치 취부장치
JP2016203944A (ja) 車両の成形天井材及びその成形天井材を使用した車両のルーフ構造
KR101519927B1 (ko) 초음파 펀칭 및 용착장치
KR100772162B1 (ko) 로봇을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 공급장치
US7334309B2 (en) Method of mounting a roof assembly into the interior of a vehicle; as well as such roof assembly and a vehicle
KR20190117945A (ko)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제조방법 및 그 헤드라이너
JP4656276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CN1718987B (zh) 车门结构
KR20160054876A (ko) 에어백 도어
KR100991556B1 (ko) 자동차 헤드 라이너 내장재 회전식 에프엠에이치 부착장치
KR101584287B1 (ko) 차량용 에어댐의 단부 체결 장치
JP3528596B2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
KR20190002964U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의 핫멜트 도포 장치
CN223084085U (zh) 一种汽车门板焊接辅助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09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