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4926B1 - 다이렉트 프린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이렉트 프린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926B1
KR100664926B1 KR1020040079558A KR20040079558A KR100664926B1 KR 100664926 B1 KR100664926 B1 KR 100664926B1 KR 1020040079558 A KR1020040079558 A KR 1020040079558A KR 20040079558 A KR20040079558 A KR 20040079558A KR 100664926 B1 KR100664926 B1 KR 100664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data
image
identifier
prin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0698A (ko
Inventor
류석
이광철
임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9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926B1/ko
Priority to JP2005270783A priority patent/JP4177365B2/ja
Priority to CNA2005101056166A priority patent/CN1758698A/zh
Priority to EP05256235A priority patent/EP1645991A2/en
Priority to US11/242,958 priority patent/US20060072155A1/en
Publication of KR2006003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92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6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input data format or job format or job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6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handling markup languages, e.g. XSL, XML, HTM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Direct printing, e.g. sending document file, using memory stick, printing from a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01Input data handling means
    • G06K15/1803Receiving particular commands
    • G06K15/1806Receiving job control commands
    • G06K15/1809Receiving job control commands relating to the printing proc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01Input data handling means
    • G06K15/1822Analysing the received data before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48Generation of the printable image
    • G06K15/1852Generation of the printable image involving combining data of different ty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 G06K2215/0082Architecture adapted for a particular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3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connected apparatus by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렉트 프린팅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프린팅을 위한 데이터 제공 방법은 이미지 공급 장치가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와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된 마크업 문서를 전송하는 단계, 마크업 문서를 수신한 인쇄 장치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 공급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통해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 식별자를 획득한 인쇄 장치로부터 데이터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 공급 장치와 인쇄 장치 간의 다이렉트 프린팅시 이미지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들을 함께 인쇄할 수 있다.
다이렉트 프린팅, 이미지, 텍스트

Description

다이렉트 프린팅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 printing}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이렉트 프린팅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급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급 장치가 생성한 마크업 문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급 장치와 인쇄 장치 간의 통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이미지 데이터 식별자 전송 과정(S245)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5의 이미지 데이터 식별자 전송 과정(S245)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5의 이미지 데이터 정보 전송 과정(S245)을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크업 문서나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 과정을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0, 310 : 디스플레이부 220, 32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30 : 촬영부 240, 340 : 제어부
250 :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260 : 인코딩부
270, 370 : 저장부 330 : 인쇄부
350 :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360 : 디코딩부
본 발명은 다이렉트 프린팅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 공급 장치와 인쇄 장치 간의 다이렉트 프린팅 작업시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들을 함께 인쇄할 수 있는 다이렉트 프린팅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이 내장된 휴대폰 등 이미지 캡쳐 기능을 갖는 휴대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이하 촬영 장치라 한다)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촬영 장치는 주변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이하 이미지 데이터라 한다)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사용자는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프린터와 같은 인쇄 장치를 통해 인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촬영 장치가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 되어왔다.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 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서는 먼저 촬영 장치로부터 인 쇄 중계 장치(예컨데 개인용 컴퓨터)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시킨다.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 받은 인쇄 중계 장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인쇄할 이미지의 레이아웃, 해상도 등을 조절하여 인쇄를 위한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그 후 인쇄 장치는 인쇄 중계 장치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고, 인쇄 중계 장치에 의해 설정된 인쇄 조건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각종 인쇄 조건을 설정하는 인쇄 중계 장치에 의하지 않고서도 촬영 장치와 인쇄 장치 간의 직접적인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하 다이렉트 프린팅(direct printing)이라 한다)이 개발되었다. 다이렉트 프린팅 기술에 따르면 촬영 장치와 인쇄 장치가 데이터 전송 매체(예컨데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를 통해 직접 연결되어 촬영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곧바로 인쇄 장치를 통해 인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이렉트 프린팅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최초 사용자가 USB 케이블과 같은 전송 매체를 이용하여 촬영장치(110)와 인쇄 장치(120)를 연결하면 촬영장치(110)는 인쇄 장치(120)의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S110). 이때 인쇄장치(120) 또한 촬영장치(110)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인쇄장치(120)와의 연결이 확인된 경우, 촬영장치(110)는 인쇄장치(120)가 갖고 있는 기능을 확인한다(S120). 이때 촬영장치(110)는 인쇄 가능한 용지의 종류 및 사이즈,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의 포맷, 출력 가능한 레이아웃 및 기타 옵션 등 인쇄 장치(120)의 각종 인쇄 기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인쇄 장치(120)의 기능이 확인되면 촬영장치(110)는 인쇄 장치(120)에게 인쇄 작업을 시작하도록 지시한다(S130). 이때 촬영장치(110)는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 식별자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식별자는 촬영 장치(110)와 인쇄 장치(120)간에 전송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인쇄장치(120)는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를 촬영장치(110)에게 전송하여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를 요청한다(S140).
이에 따라 촬영장치(110)는 데이터 식별자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장치(120)에게 전송하고(S150), 인쇄장치(120)는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하게 된다(S160).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시(S150) 촬영장치(110)는 인쇄될 이미지 데이터의 레이아웃, 해상도, 인쇄 용지의 지정 등, 인쇄 조건을 설정하는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과정 사이에 인쇄 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이미지 데이터의 인쇄가 마쳐지면 인쇄장치(120)는 인쇄 작업이 종료되었음을 촬영장치(110)에게 알릴 수 있으며(S170), 촬영장치(110)가 이에 대한 확인 응답을 전송함으로써(S180) 다이렉트 프린팅 작업이 완료된다.
이러한 종래의 다이렉트 프린팅 기술은 촬영 장치와 인쇄 장치 간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 및 인쇄에 관한 내용만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향후 사용자의 요구가 더욱 다양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미지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미지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와 함께 인쇄 할 수 있는 다이렉트 프린팅 기술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다이렉트 프린팅시 이미지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와 함께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지 공급 장치와 인쇄 장치 간에 마크업 문서를 사용하여,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프린팅을 위한 데이터 제공 방법은 이미지 공급 장치가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와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된 마크업 문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마크업 문서를 수신한 인쇄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통해 상기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 식별자를 획득한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프린팅 방 법은 인쇄 장치가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 및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크업 문서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통해 상기 파싱된 마크업 문서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파싱된 마크업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와 함께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급 장치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저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 영역에 하나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와 텍스트 데이터를 소정의 마크업 언어로 컴포징하는 인코딩부, 인쇄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 상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인코딩부의 컴포징 결과 생성된 마크업 문서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소정의 데이터 전송 매체를 통해 인쇄 장치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인쇄 장치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인쇄 장치에게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를 소정의 데이터 전송 매체를 통해 이미지 공급 장치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 및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크업 문서를 파싱하는 디코딩부,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요청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요청 결과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파싱된 마크업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와 함께 인쇄하는 인쇄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미지 공급 장치란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 전송 매체를 통해 인쇄 장치와 직접 연결되어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 장치에게 전송함으로써 다이렉트 프린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장치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을 통해 설명한 촬영장치뿐만 아니라,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은 없으나 다른 장치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 받아 저장할 수 있는 장치, 예컨데 PDA나 휴대폰과 같은 장치들도 이미지 공급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급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이미지 공급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제어부(24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50), 인코딩부(260) 및 저장부(270)를 포함한다. 이미지 공급 장치(200)가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 캡쳐 기능을 갖는 촬영 장치인 경우 이미지 공급 장치(200)는 촬영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촬영부(23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 저장부(24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로 입력되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이미지 공급 장치(200)가 인쇄 장치(300)와 연결되어 다이렉트 프린팅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10)는 인쇄 조건 및 인쇄 진행 과정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다이렉트 프린팅을 위한 인쇄 진행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사용자가 이미지 공급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키패드나 터치 스 크린(touch scree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인쇄 조건 설정,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 선택 및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인쇄할 텍스트 입력 또는 기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 선택 등 다이렉트 프린팅 작업을 위한 인쇄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공급 장치(200)가 촬영부(230)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이미지 공급 장치(200)를 제어하여 각종 촬영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디스플레이부(210)와 함께 하나의 기능성 블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촬영부(230)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이미지 데이터는 저장부(270)에 저장되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거나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인쇄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 공급 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기능성 블록들의 동작 및 다이렉트 프린팅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인쇄 장치(300)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다이렉트 프린팅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인쇄 장치(300)와의 통신시 수행되는 제어부(240)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240)는 저장부(270)에 하나 이상의 논리적 저장영역을 생성하거나 삭제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이미지 데이터, 마크업 문서 등 저장부(270) 에 저장된 데이터에 데이터 식별자를 할당하고, 저장부(270)를 구성하는 저장 영역에 저장영역 식별자를 할당한다. 또한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40)는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부(270)의 임시 저장 영역에 복사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들이 인쇄 장치(300)에 의해 인쇄된 경우 제어부(240)는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들을 삭제시킬 수도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5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인쇄 장치(300)로 전송하거나, 인쇄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50)는 USB, IEEE1394와 같이 유선 전송 매체를 이용하거나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과 같이 무선 전송 매체를 이용하여 인쇄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코딩부(2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지정 받은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와 텍스트 데이터를 소정의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로 컴포징(composing)한다. 텍스트 데이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에 의해 직접 입력되거나 저장부(270)에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는 저장부(27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검색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이다. 예컨데 링크 정보는 저장부(270) 상에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된 폴더 및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 이름과 같이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한편 인코딩부(260)는 인쇄될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의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도 함께 컴포징할 수 있다. 인코딩부(260)에 의해 컴포징된 마크 업 문서의 일 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인쇄 형태를 마크업 언어 중 하나인 XHTML로 작성한 문서이다. 도시된 예에서 A라인은 인쇄할 텍스트 데이터를 나타내며, B라인 및 C라인은 텍스트 데이터와 함께 인쇄될 이미지 데이터를 링크 정보 images/ryuri.jpg 및 images/Frame_4x3.png에 의해 얻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저장부(270)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인코딩부(260)에 의해 컴포징된 마크업 문서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270)에 저장된 각 데이터들에는 촬영 장치(100)와 인쇄 장치(300)간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식별 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식별자가 할당될 수 있다. 예컨데 이미지 공급 장치(200)와 인쇄 장치(300)간의 데이터 교환이 PTP(Picture Transfer Protocol for Digital Still Photography Devices, PIMA 15740:2000, 5 July 2000)에 의해 수행된다면, 데이터 식별자는 PTP에서 사용되는 Object Handle(Objhandle)일 수 있다.
한편 저장부(270)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분된 하나 이상의 저장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저장 영역에는 저장 영역을 식별할 수 있는 저장 영역 식별자(예컨데 PTP의 StorageID)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면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들은 다른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영역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분된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던 기존의 저장 영역 또한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데이터가 인쇄 장치(300)에 의해 인쇄되면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들은 삭제될 수도 있다.
임시 저장 영역이 다른 저장 영역으로부터 논리적으로 구분된 저장 영역인 경우, 임시 저장 영역은 제어부(240)에 의해 생성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인쇄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3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 인쇄부(330), 제어부(34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350), 디코딩부(360) 및 저장부(37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10)는 인쇄 장치(300)의 각종 인쇄 진행 상황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인쇄 장치(300)가 이미지 공급 장치(200)와 연결되어 다이렉트 프린팅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10)는 다이렉트 프린팅 작업 수행 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는 사용자가 인쇄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는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인쇄 조건 지정, 인쇄 용지 설정, 급지/배지 조절 등 각종 인쇄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인쇄 장치(300)가 이미지 공급 장치(200)와 연결되어 다이렉트 프린팅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이미지 공급 장치(200)에 의해 인쇄조건이 설정될 수도 있다.
인쇄부(330)는 디코딩부(360)에 의해 파싱 결과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 및 텍 스트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인쇄한다. 이미지 데이터는 제어부(340)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 공급 장치(200)로부터 전송된다.
제어부(340)는 인쇄 장치(300)를 구성하는 각 기능성 블록들의 동작 및 다이렉트 프린팅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이미지 공급 장치(200)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다이렉트 프린팅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이미지 공급 장치(200)와의 통신시 수행되는 제어부(340)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350)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이미지 공급 장치(200)로 송신하거나, 이미지 공급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350)는 USB, IEEE1394와 같이 유선 전송 매체를 이용하거나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과 같이 무선 전송 매체를 이용하여 이미지 공급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디코딩부(360)는 이미지 공급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마크업 문서를 파싱한다. 마크업 문서에는 인쇄될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 텍스트 데이터 및 이들의 레이아웃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크업 문서의 일 예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저장부(370)는 이미지 공급 장치(200)의 저장부(27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 및 링크 정보등 이미지 공급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각종 데이터(예컨데 이미지 공급 장치(20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들)나 인쇄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350)와 이미 지 공급 장치(200) 간의 연결이 해지된 경우 제어부(340)에 의해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70)는 인쇄 가능한 용지의 종류 및 사이즈, 인쇄 조건, 이미지 데이터의 포맷, 용지 사이즈에 대해 출력 가능한 레이아웃 및 기타 옵션 등 인쇄 장치(300)의 각종 인쇄 기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급 장치와 인쇄 장치 간의 통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 및 이하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이미지 공급 장치(200)와 인쇄 장치(300) 간에 전송되는 각종 명령, 요청 및 데이터는 각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50, 350)를 통해 전송된다.
최초 사용자가 USB 케이블과 같은 전송 매체를 이용하여 이미지 공급 장치(200)와 인쇄 장치(300)를 연결하면 이미지 공급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인쇄 장치(300)와의 연결을 확인 한다(S210). 이때 인쇄장치(300)의 제어부(340) 또한 이미지 공급 장치(200)와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호간 연결이 확인된 경우 이미지 공급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인쇄장치(300)가 갖고 있는 기능을 확인한다(S215). 이를 위해 인쇄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저장부(370)에 저장된 인쇄 기능에 관한 정보를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해 이미지 공급 장치(200)에게 전송시킨다. 따라서 이미지 공급 장치(200)는 인쇄 가능한 용지의 종류 및 사이즈, 인쇄 조건, 이미지 데이터의 포맷, 용지 사이즈에 대해 출력 가능한 레이아웃 및 기타 옵션 등 인쇄 장치(300)의 각종 인쇄 기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확인 과정(S210) 및 인쇄 장치 기능 확인 과정(S215)은 종래 기술에 따를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이들의 레이아웃을 지정하여 인쇄 명령을 입력하면, 인코딩부(260)는 지정된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와 텍스트 데이터 및 이들의 레이아웃을 소정의 마크업 언어로 컴포징한다(S220).
컴포징 결과 마크업 문서가 생성되면 제어부(240)는 생성된 마크업 문서에 데이터 식별자를 할당하여 저장부(270)에 저장시키고, 마크업 문서의 데이터 식별자를 인쇄 작업 명령과 함께 인쇄 장치(300)에게 전송시킨다(S225).
인쇄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인쇄할 데이터를 얻기 위해, 인쇄 작업 명령과 함께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데이터를 이미지 공급 장치(200)에게 요청한다(S230).
인쇄 장치(300)의 데이터 전송 요청을 받은 이미지 공급 장치(200)는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데이터(단계 S220에서 생성된 마크업 문서)를 저장부(270)에서 검색하여 인쇄 장치(300)에게 전송한다(S235).
한편 사용자가 사전에 생성된 마크업 문서에 따른 인쇄를 원하는 경우, 단계 S220은 사전에 저장부(270)에 저장된 마크업 문서가 선택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235에서 전송되는 마크업 문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마크업 문서이다.
이미지 공급 장치(200)로부터 마크업 문서가 수신되면, 인쇄 장치(300)의 디 코딩부(360)는 수신된 마크업 문서를 파싱한다(S240). 파싱 결과에 의해 인쇄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인쇄할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 및 이들의 레이아웃 등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얻기 위해 제어부(340)는 이미지 공급 장치(200)로부터 이미지 공급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S245).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는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 데이터 형식, 데이터 크기, 압축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45의 과정은 이미지 공급 장치(200)와 인쇄 장치(300)의 정상적인 연결이 확립된 후(바람직하게는 단계 S215 이후)라면 도 5에 도시된 순서에 비해 미리 수행될 수도 있다.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 전송 과정(S245)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미지 공급 장치(2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인쇄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수신된 정보를 통해 마크업 문서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와 동일한 링크 정보를 갖는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검색 한다(S250).
한편 제어부(340)는 이미지 공급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부(370)에 저장시켜 두었다가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350)와 이미지 공급 장치(200) 간의 연결이 해지된 경우 이를 삭제시킬 수도 있다.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획득한 인쇄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이미지 공급 장치(200)에게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시킴으로써 해당 데이터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S255). 이때 이미지 공급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부(270)에서 검색하여 인쇄 장치(300)에게 전송시킨다(S260).
만약 이미지 공급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마크업 문서가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단계 S250 내지 단계 S260의 과정을 반복 함으로써 인쇄 장치(300)는 인쇄에 필요한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공급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마크업 문서가 또 다른 마크업 문서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단계 S250을 통해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획득한 후 단계 S245를 제외한 단계 S230 내지 S260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인쇄 장치(300)는 인쇄에 필요한 이미지 데이터들 및 텍스트 데이터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인쇄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단계 S240에서 수행된 마크업 문서의 파싱 결과를 인쇄부(330)로 출력하고, 인쇄부(330)는 파싱 결과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인쇄하게 된다(S265).
이미지 공급 장치(200)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이 종료되면 인쇄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이미지 공급 장치(200)에게 인쇄 작업 종료를 통보하고(S270), 이미지 공급 장치(200)가 이에 대해 응답을 발송 함으로써(S275) 다이렉트 프린팅에 따른 인쇄 작업이 종료된다.
도 6은 도 5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 전송 과정(S245)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인쇄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이미지 공급 장치(200)에게 이미지 공급 장치(200)의 저장부(270)를 구성하는 저장 매체의 저장 영역을 식별할 수 있는 저장 영역 식별자를 요청한다(S310).
이에 따라 이미지 공급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저장부(270)를 구성하는 각 저장 영역에 할당된 저장 영역 식별자를 인쇄 장치(300)에게 전송시킨다(S320).
인쇄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수신된 저장 영역 식별자를 이미지 공급 장치(200)에게 전송시키면서 해당 저장 영역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요청한다(S330).
이미지 공급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수신된 저장 영역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들의 데이터 식별자를 인쇄 장치(300)에게 전송시킨다(S340).
만약 단계 S320의 과정에서 복수의 저장 영역 식별자가 전송되었다면, 각 저장 영역 식별자에 대해 단계 S330 및 단계 S340의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수신한 인쇄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이미지 공급 장치(200)에게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350).
이에 따라 이미지 공급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가 지시하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인쇄장치(300)에게 전송시킨다(S360).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는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 데이터 형식, 데이터 크기, 압축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단계 S340의 과정에서 복수의 데이터 식별자가 전송되었다면, 각 데이터 식별자에 대해 단계 S350 및 단계 S360의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쇄 장치(300)는 각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와 링크 정보를 획득하게 되며, 이로써 도 5의 단계 S250에서 마크업 문서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정보와 동일한 링크정보를 갖는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인쇄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이미지 공급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 및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부(37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도 5의 인쇄 과정(S265)이 마쳐지면 제어부(340)는 저장부(370)에 저장시켜두었던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 및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들을 삭제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이미지 데이터 식별자 전송 과정(S245)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인쇄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이미지 공급 장치(200)에게 이미지 공급 장치(200)의 저장부(270)를 구성하는 저장 매체의 저장 영역을 식별할 수 있는 저장 영역 식별자를 요청한다(S410).
이때 이미지 공급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들을 저장부(270)의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고(S415), 임시 저장 영역의 저장 영역 식별자를 인쇄 장치(300)에게 전송시킨다(S420).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는 단계(S415) 는 사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데 이미지 공급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가 지정되면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 저장 영역에 복사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7의 단계 S415는 도 5의 단계 S220 직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인쇄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수신된 저장 영역 식별자를 이미지 공급 장치(200)에게 전송시키면서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요청한다(S430).
이미지 공급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수신된 저장 영역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들의 데이터 식별자를 인쇄 장치(300)에게 전송시킨다(S440).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수신한 인쇄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이미지 공급 장치(200)에게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450).
이에 따라 이미지 공급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가 지시하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인쇄장치(300)에게 전송시킨다(S460).
만약 단계 S440의 과정에서 복수의 데이터 식별자가 전송되었다면, 각 데이터 식별자에 대해 단계 S450 및 단계 S460의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이하 이미지 공급 장치(200)와 인쇄 장치(300)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PTP 아키텍쳐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 되지 않으며 이미지 공급 장치(200)와 인쇄 장치(300)간에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형태의 프로토콜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구현 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이미지 데이터 정보 전송 과정(S245)을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인쇄 장치(300)는 GetStorageID 커맨드를 통해 이미지 공급 장치(200)에게 저장 영역 식별자(StorageID)를 요청한다(S510). 인쇄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 공급 장치(200)는 저장부(270)를 구성하는 저장 매체 상의 저장 영역을 식별하는 저장 영역 식별자(StorageID)를 전송시키고(S520), 이 후 과정을 수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린다(S530).
단계 S510 내지 단계 S530은 도 6의 단계 S310 및 단계 S320 또는 도 7의 단계 S410 및 단계 S420의 과정을 구현한 것이다.
그 후 인쇄 장치(300)는 GetObjectHandle 커맨드를 통해 이미지 공급 장치(200)의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Object Data)의 데이터 식별자(Object Handle)를 요청한다(S540). 이때 인쇄 장치(300)는 단계 S520에서 수신된 저장 영역 식별자(StorageID)를 GetObjectHandle 커맨드의 파라미터로써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공급 장치(200)는 수신된 저장 영역 식별자(StorageID)를 통해 저장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Object Data)들의 데이터 식별자(Object Handle)를 인쇄 장치(300)에게 전송시킨다(S550).
그 후, 이미지 공급 장치(200)는 인쇄 장치(300)에게 다음 과정을 수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린다(S560).
만약 단계 S520의 과정에서 복수의 저장 영역 식별자(StorageID)가 전송되었다면, 각 저장 영역 식별자(StorageID)에 대해 단계 S540 내지 단계 S560의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540 내지 단계 S560은 도 6의 단계 S330 및 단계 S340 또는 도 7의 단계 S430 및 단계 S440의 과정을 구현한 것이다.
데이터 식별자(Object Handle)를 수신한 인쇄 장치(300)는 GetObjectInfo 커맨드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ObjectInfo Dataset)를 요청한다(S570). 이때 단계 S550에서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Object Handle)를 GetObjectInfo 커맨드의 파라미터로써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공급 장치(200)는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Object Handle)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하고 식별된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ObjectInfo Dataset)를 인쇄 장치(300)에게 전송시킨다(S580).
그 후, 이미지 공급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인쇄 장치(300)에게 다음 과정을 수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린다(S590).
단계 S550의 과정에서 복수의 데이터 식별자(Object Handle)가 전송되었다면, 각 데이터 식별자(Object Handle)에 대해 단계 S570 내지 단계 S590의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570 내지 단계 S590은 도 6의 단계 S350 및 단계 S360 또는 도 7 의 단계 S450 및 단계 S460의 과정을 구현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크업 문서나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 과정을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마크업 문서의 전송 과정을 설명하면 도 5의 인쇄 작업 명령 과정(S225) 등을 통해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인쇄할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Object Handle)를 수신한 인쇄 장치(300)는 GetObject 커맨드를 통해 인쇄할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S610). 이때 인쇄 장치(240)는 인쇄할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Object Handle)를 GetObject 커맨드의 파라미터로써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공급 장치(200)는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Object Handle)를 통해 마크업 문서(Object Data)를 식별하고 식별된 마크업 문서(Object Data)를 인쇄 장치(300)에게 전송한다(S620).
그 후, 이미지 공급 장치(200)는 인쇄 장치(300)에게 다음 과정을 수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린다(S630).
이러한 과정은 도 5를 통해 설명한 단계 S230 및 단계 S235를 구현한 예가 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 과정 또한 동일한 과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의 데이터 식별자 검색 과정(S250) 등을 통해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Object Handle)를 획득한 인쇄 장치(300)는 GetObject 커맨드를 통해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S610). 이때 인쇄 장치(240)는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Object Handle)를 GetObject 커맨드의 파라미터로써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공급 장치(200)는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Object Handle)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Object Data)를 식별하고 식별된 이미지 데이터(Object Data)를 인쇄 장치(300)에게 전송한다(S620).
그 후, 이미지 공급 장치(200)는 인쇄 장치(300)에게 다음 과정을 수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린다(S630).
이러한 과정은 도 5를 통해 설명한 단계 S255 및 단계 S260을 구현한 예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이미지 공급 장치(200)와 인쇄 장치(300) 간의 기타 통신 과정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 구현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내용은 Picture Transfer Protocol for Digital Still Photography Devices, PIMA 15740:2000, 5 July 2000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이렉트 프린팅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이렉트 프린팅시 이미지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와 함께 인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 공급 장치와 인쇄 장치 간에 마크업 문서를 사용하여,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4)

  1. 인쇄 작업을 위한 이미지 공급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와, 상기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인쇄할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된 마크업 문서를 인쇄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마크업 문서를 수신한 상기 인쇄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에 포함된 소정의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통해 상기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 식별자를 획득한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문서를 인쇄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지정받는 단계;
    상기 지정된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크업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마크업 문서를 상기 인쇄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 장치의 제1 요청에 따라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에 포함된 저장 매체 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분된 하나 이상의 저장 영역을 식별할 수 있는 저장 영역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쇄 장치의 제2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 영역 식별자로 식별되는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장치의 제3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전송된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영역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영역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별된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장치의 제1 요청에 따라 상기 임시 저장 영역의 저장 영역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인쇄한 경우,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가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식별자는 상기 인쇄 장치 및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 간에 사용되는 이미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상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식별자인 인쇄 작업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은 PTP(Picture Transfer Protocol)인 인쇄 작업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문서는 상기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인쇄 형태를 나타내는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10. 인쇄 장치의 인쇄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 및 상기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인쇄할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크업 문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마크업 문서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파싱된 마크업 문서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 식별자를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파싱된 마크업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와 함께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통해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에 포함된 저장 매체 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분된 하나 이상의 저장 영역을 식별할 수 있는 저장 영역 식별자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1 요청 단계;
    상기 제1 요청에 따라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저장 영역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저장 영역 식별자로 식별되는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 전송을 요청하는 제2 요청 단계;
    상기 제2 요청에 따라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3 요청 단계; 및
    상기 제3 요청에 따라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 및 상기 링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와의 연결이 해지된 경우,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저장한 데이터 식별자 및 링크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식별자는 상기 인쇄 장치 및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 간에 사용되는 이미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상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식별자인 인쇄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은 PTP(Picture Transfer Protocol)인 인쇄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문서는 상기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의 인쇄 형태를 나타내는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방법.
  18.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저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 영역에 하나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 및 상기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인쇄할 텍스트 데이터를 소정의 마크업 언어로 컴포징하는 인코딩부;
    인쇄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 상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인코딩부의 컴포징 결과 생성된 마크업 문서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소정의 데이터 전송 매체를 통해 인쇄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인쇄 장치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인쇄 장치에게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공급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장치의 제1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 영역을 식별할 수 있는 저장 영역 식별자를 송신하고, 상기 인쇄 장치의 제2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 영역 식별자로 식별되는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하며, 상기 인쇄 장치의 제3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이미지 공급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전송된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공급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포함된 저장 영역 중, 다른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영역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별된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는 이미지 공급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에게 송신되는 저장 영역 식별자는 상기 임시 저장 영역의 저장 영역 식별자인 이미지 공급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인쇄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삭제시키는 이미지 공급 장치.
  24.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식별자는 상기 인쇄 장치에게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식별자인 이미지 공급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에게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PTP(Picture Transfer Protocol)인 이미지 공급 장치.
  26.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부는 상기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의 인쇄 형태를 나타내는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와 함께 컴포징 하는 이미지 공급 장치.
  27. 소정의 데이터 전송 매체를 통해 이미지 공급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 및 상기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인쇄할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마크업 문서를 파싱하는 디코딩부;
    상기 파싱된 마크업 문서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요청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요청 결과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파싱된 마크업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와 함께 인쇄하는 인쇄부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 식별자를 획득하는 인쇄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에 포함된 저장 매체 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분된 하나 이상의 저장 영역을 식별할 수 있는 저장 영역 식별자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저장 영역 식별자의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저장 영역 식별자로 식별되는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자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데이터 식별자의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며,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의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인쇄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를 통해 식별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
  31.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 식별자 및 링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와의 연결이 해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식별자 및 링크 정보를 삭제하는 인쇄 장치.
  32.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식별자는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 받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식별자인 인쇄 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공급 장치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 받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PTP(Picture Transfer Protocol)인 인쇄 장치.
  34.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문서는 상기 인쇄할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의 인쇄 형태를 나타내는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
KR1020040079558A 2004-10-06 2004-10-06 다이렉트 프린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64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558A KR100664926B1 (ko) 2004-10-06 2004-10-06 다이렉트 프린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5270783A JP4177365B2 (ja) 2004-10-06 2005-09-16 ダイレクトプリンティング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A2005101056166A CN1758698A (zh) 2004-10-06 2005-09-28 用于直接打印的设备及方法
EP05256235A EP1645991A2 (en) 2004-10-06 2005-10-05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 printing
US11/242,958 US20060072155A1 (en) 2004-10-06 2005-10-05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 prin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558A KR100664926B1 (ko) 2004-10-06 2004-10-06 다이렉트 프린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698A KR20060030698A (ko) 2006-04-11
KR100664926B1 true KR100664926B1 (ko) 2007-01-04

Family

ID=3612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55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4926B1 (ko) 2004-10-06 2004-10-06 다이렉트 프린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72155A1 (ko)
EP (1) EP1645991A2 (ko)
JP (1) JP4177365B2 (ko)
KR (1) KR100664926B1 (ko)
CN (1) CN17586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3897A1 (en) * 2006-05-26 2007-11-29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Print systems and methods
JP4501985B2 (ja) * 2007-10-04 2010-07-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ラベルデータ作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821402B2 (ja) * 2011-08-22 2015-11-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319813B2 (ja) * 2012-03-14 2013-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020742A (zh) * 2016-05-05 2016-10-12 北京瑞工科技发展有限公司 动态交互的打印控制系统及方法
CN107728965B (zh) * 2017-10-23 2021-07-02 台州市吉吉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条码打印机自动打印中文字的方法及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1574A (ja) 1999-06-21 2001-01-09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ト装置及び画像加工装置
JP2003280874A (ja) 2002-03-22 2003-10-02 Canon Inc 記録装置、記録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20030094512A (ko) * 2002-06-04 2003-12-1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촬상 장치, 인쇄 시스템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KR20040004179A (ko) * 2002-07-05 2004-01-1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기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108302A (ko) * 2004-05-12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렉트 프린팅 방법 및 장치
KR20050108303A (ko) * 2004-05-12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렉트 프린팅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2378A (ja) * 1997-12-09 1999-08-27 Canon Inc デジタルカメラ、そのデジタルカメラを用いた文書処理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可読の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コード送出装置
JP4199659B2 (ja) * 2001-07-16 2008-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データ転送方法、画像形成装置、画像印刷システム
WO2003065199A1 (fr) * 2002-01-29 2003-08-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d'impression, systeme d'impression et imprimante
US7864350B2 (en) * 2002-12-12 2011-01-04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050262049A1 (en) * 2004-05-05 2005-11-24 Nokia Corporation System, method, device, and computer code product for implementing an XML templat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1574A (ja) 1999-06-21 2001-01-09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ト装置及び画像加工装置
JP2003280874A (ja) 2002-03-22 2003-10-02 Canon Inc 記録装置、記録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20030094512A (ko) * 2002-06-04 2003-12-1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촬상 장치, 인쇄 시스템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KR20040004179A (ko) * 2002-07-05 2004-01-1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기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108302A (ko) * 2004-05-12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렉트 프린팅 방법 및 장치
KR20050108303A (ko) * 2004-05-12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렉트 프린팅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0417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07485A (ja) 2006-04-20
EP1645991A2 (en) 2006-04-12
CN1758698A (zh) 2006-04-12
US20060072155A1 (en) 2006-04-06
KR20060030698A (ko) 2006-04-11
JP4177365B2 (ja)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2859B2 (en) Print system and print control method
CN102131028B (zh) 显示预览图像的图像形成设备和方法
US20050254081A1 (en) Direct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829973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6238443A (ja) 画像出力にウォーターマークを選択的に挿入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5234910A (ja) データ蓄積装置、電子装置、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送信方法
KR100664926B1 (ko) 다이렉트 프린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984211A (zh) 使用从图像获得装置输入的数据形成图像的方法和设备
JP4343057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US7830538B2 (en) Method of providing multimedia data for direct printing, direct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4374916B2 (ja) 画像入力装置、画像出力装置、および画像出力システム
KR100943743B1 (ko) 인쇄 작업을 위한 데이터 제공 방법, 인쇄 방법, 및 이를위한 장치
KR100714678B1 (ko) 다이렉트 프린팅 방법 및 장치
JP2005150892A (ja) 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および画像データ記憶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JP2009113376A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2007011979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752578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2007129556A (ja) 複数の機器に合わせてデータ変換を行う情報端末
JP2008067019A (ja) 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印刷装置、電子機器、印刷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6060605A (ja) 多機能型画像形成装置、および多機能型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パネルの表示方法
JP200605469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5352960A (ja) 画像出力指示装置、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システム、画像出力指示方法および画像出力方法
JP2006260423A (ja) 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9146291A (ja) 複数の画像処理装置からなる印刷システム
JP2010055477A (ja) カメラ、印刷機及び写真印刷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