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3809B1 - 카드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메모리 카드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메모리 카드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809B1
KR100663809B1 KR1020057005654A KR20057005654A KR100663809B1 KR 100663809 B1 KR100663809 B1 KR 100663809B1 KR 1020057005654 A KR1020057005654 A KR 1020057005654A KR 20057005654 A KR20057005654 A KR 20057005654A KR 100663809 B1 KR100663809 B1 KR 100663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cavity
card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4986A (ko
Inventor
야스요시 마쯔모또
미쯔히로 도미따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5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80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6Guiding cards; Checking correct operation of card-conveying mechanisms
    • G06K13/067Checking presence, absence, correct position, or moving status of c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메모리 카드 커넥터(14)는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캐비티(22)와 연통하는 전방 리셉터클 영역을 형성하는 절연 하우징(16)을 포함한다. 복수의 단자(20)가 하우징의 후방부를 횡단방향으로 가로질러 측방향나열 어레이로 하우징상에 장착된다. 단자(20)는 메모리 카드의 상단 측부상의 접점과 결합하기 위해 캐비티의 후방부에 접촉부(20b)를 갖는다. 박판 금속 외피(18)는 절연 하우징(16)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설된 덮개판을 포함한다. 외피(18)는 덮개판으로부터 형성되어 카드가 캐비티내로 적절히 삽입될 때 캐비티내로, 그리고, 메모리 카드의 상단부내의 슬롯내로 연장하는 오삽입 방지 돌출부(78)를 포함한다. 돌출부는 오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단자의 접촉부와 결합하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78)는 캐비티내로 오삽입될 때, 메모리 카드의 손상 또는 균열을 방지하도록 엘보우형 단면 구조로 굴곡된다.
Figure 112005017290705-pct00001
단자, 메모리 카드, 오삽입 방지 돌출부, 박판 금속 외피, 캐비티

Description

카드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메모리 카드 커넥터{MEMORY CARD CONNECTOR WITH MEANS FOR PREVENTING ERRONEOUS CARD INSER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 기술에 관련하며, 구체적으로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관련한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커넥터내로의 메모리 카드의 오삽입 또는 비정상 삽입의 경우에 카드 커넥터의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련한다.
메모리 카드는 본 기술에 공지되어 있으며, 메모리 회로 또는 다른 전자 프로그램 형태의 지능구조를 포함한다. 소정 형태의 카드 판독기는 카드상에 저장된 정보 또는 메모리를 판독한다. 이런 카드는 오늘날의 전자 사회에서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정화상 카메라, 스마트폰, 뮤직 플레이어, ATM, 케이블 텔레비전 디코더, 장난감, 게임, PC 어뎁터, 멀티미디어 카드 및 기타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응용처에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메모리 카드는 카드 커넥터를 통한 카드 판독기 시스템 및, 그후, 외부 장비로의 접속을 위해 접점 또는 단자 어레이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카드의 삽입 및 제거를 쉽게 수용하여, 카드상의 정보 및 프로그램에 대한 신속한 억세스를 제공한다. 카드 커넥터는 메모리 카드의 접점 어레이에 유연하게 결합하기 위한 단자를 포함한다. 카드 커넥터에 대한 메모리 카드의 삽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종종 배출 장치가 제공된다.
이런 카드 커넥터에서, 전후반전 배향 또는 상하반전 배향 같은 오배향 상태로 카드 수용 캐비티내로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오삽입은 교정되지 않는 경우 단자의 접촉부에 대한 손상 또는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카드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 유형의 카드 커넥터는 절연 하우징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리브를 구비한다. 리브는 카드가 상하반전 배향 또는 전후 배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단자의 접촉부와 결합하기 이전에, 카드가 리브에 접하도록 카드 수용 캐비티내로 돌출한다. 예로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60458호 참조.
카드 오삽입 방지 수단을 가지는 카드 커넥터의 다른 예가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365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정지 돌출부가 캐비티의 일 종방향 측부로부터 내향 연장하여 카드가 상하반전 배향 또는 전후반전 배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카드가 단자의 접촉부와 결합하는 것을 방지한다. 불행히, 이 배열체는 카드 커넥터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킨다.
카드 커넥터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오삽입-방지 카드 커넥터의 다른 예가 본 명세서의 도1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금속 외피 "a"는 카드 수용 캐비티 "c"내로 연장하는 현수 돌출부 "b"를 갖도록 스탬핑 및 성형된다. 카드가 적절히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는 카드의 상단부의 슬롯내로 연장한다. 카드가 커넥터에 대해 오배향되는 경우, 카드는 현수 돌출부 "b"와 접촉하여, 카드가 단자의 접촉부와 결합하는 것이 방지된다. 불행히, 현수 돌출부 "b"는 매우 얇으며(약 0.2mm 두께의 음영표시된 두께 "bb" 참조), 돌출부는 얇거나 예 리한 돌출부에 대하여 카드가 반복적으로 밀려질 때, 카드의 파열성 플라스틱 케이싱을 손상 또는 균열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설명된 종래 기술에 대한 개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드 오삽입 방지부를 가지는 신규하고 개선된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메모리 카드 커넥터는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캐비티와 연통하는 전방 리셉터클 영역을 형성하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한다. 복수의 단자가 하우징의 후방부를 횡단방향으로 가로질러 측방향나열(side-by-side) 어레이로 하우징상에 장착된다. 단자는 메모리 카드의 상단측상의 접점과 결합하기 이한 캐비티의 후방부의 접촉부를 갖는다. 박판 금속 외피는 절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설된 덮개판을 포함한다. 외피는 덮개판으로부터 형성되어 카드가 캐비티내에 적절히 삽입될 때, 캐비티내로, 그리고, 메모리 카드의 상단부내의 슬롯내로 하향 연장하는 오삽입 방지 돌출부를 갖는다. 돌출부는 오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단자의 접촉부와 결합하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는 캐비티내로 오삽입될 때 메모리 카드의 손상 또는 균열을 방지하도록 라운딩된 엘보우(elbow)형 단면 구조로 굴곡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서, 오삽입 방지 돌출부는 실질적인 U-형 구조로 굴곡된다. 돌출부는 실질적인 L-형 구조나 J-형 구조 또는 V-형 구조로 굴곡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메모리 카드와 결합하는 라운딩된 엘보우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박판 금속 외피는 덮개판의 대향한 종방향 에지와 일체이면서, 그로부터 현수되는 한 쌍의 현수 대향 측벽을 포함한다. 측벽은 회로 보드상에 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한 벽의 저면 에지에서 외향 굴곡된 장착 탭을 포함한다.
첨부 도면과 연계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신규한 것으로 간주되는 본 발명의 특징은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유사 참조 번호가 도면내의 유사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어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기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그 목적 및 장점과 함께, 본 발명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의 개념을 구현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정면도이며, 도1b는 도1a의 원 부분 "A"의 확대도이다.
도2는 카드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3은 카드 커넥터의 후면도이다.
도4는 도2의 우수측에서 본, 카드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5는 도2의 좌수측에서 본, 카드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6은 단자가 하우징내에 장착되어 있는 커넥터의 영역을 통한 확대 수직 단면도이다.
도7은 오삽입 방지 돌출부가 금속 외피의 덮개판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의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8은 금속 외피가 제거된 상태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의, 도1b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10은 금속 외피의 측벽 중 하나에 장착 탭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의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대안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1b 및 도9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13은 "종래기술" 부분에서 설명된 종래 기술의 도면이다.
도면을 상세히 참조하면, 먼저 도1a 내지 도5 및 도8에서는 본 발명이 총체적으로 14로 표시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구현되어 있으며, 이는 총체적으로 16으로 표시되어 있는 절연 하우징 및 절연 하우징을 덮고 있는, 총체적으로 18로 표시되어 있는 스탬핑 및 성형된 시트 금속 외피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총체적으로 20으로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도전성 단자를 장착하고 있으며, 이는 도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후방부를 횡단방향으로 가로질러 측방향나열 어레이로 하우징상에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 및 금속 외피(18)는 화살표 "A"(도2 및 도8) 방향으로 커넥터의 전방 리셉터클 영역(26)(도2)내로 삽입된, 총체적으로 24로 표시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총체적으로 22(도1)로 표시되어 있는 내부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조합되어 있다.
도8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24)는 커넥터내로의 삽입을 위해 적절히 배향될 때, 전방 선도 에지(28), 후방 추종 에지(30), 상단 평탄면(32) 및 저부 평탄면(34)을 포함한다. 복수의 접촉 슬롯(36)이 상단 평탄면(32)내로 절삭되며, 슬롯은 카드의 전방 선도 에지(28)에서 개구한다. 접점(38)은 단자(20)의 접촉부와 결합하기 위한 슬롯의 저면에 배치된다. 오삽입 방지 슬롯(40)도 카드의 상단 평탄면(32)내로 절삭된다. 최종적으로, 리세스(42)가 후술된 목적을 위해 카드의 일 측부 에지내로 절삭된다.
절연 하우징(16)은 도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으며, 도2에 연계하여서도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은 단자 장착 구획의 일 단부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종방향 측벽 구획(46)과 함께 하우징의 후방부를 횡단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는 단자 장착 구획(44)을 형성하도록 실질적인 L-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단자는 장착 구획내의 개구(48)를 통해 연장한다.
도4와 연계하여 도6을 참조하면, 각 단자(20)는 메모리 카드(24)내의 각 접촉 슬롯(36)내의 접점(38) 중 각각의 하나와 결합하기 위한 접촉부(20b)내에서 종결하며, 카드 수용 캐비티(22)내로 전향 외팔보형 접촉 아암(20a)을 포함한다. 접촉 아암(20a)은 하우징의 단자 장착 구획(44)내의 개구(48) 중 각각의 하나내로 억지끼워맞춤하는 단자의 장착 베이스(20c)로부터 전향 돌출한다. 단자의 납땜 미부(20d)는 하우징의 후방부의 외측으로 돌출하며, 인쇄 회로 보드(미도시)상의 각 회로 트레이스에 대한 납땜 연결을 위해 납땜 패드(20e)내에서 종결한다. 하우징은 인쇄 회로 보드내의 적절한 장착 구멍내로의 삽입을 위해 복수의 장착 페그(50)(도 1a, 도3 내지 도5 및 도7)를 갖는다.
하우징(16)의 종방향 측벽 구획(46)은 총체적으로 52로 표시되어 있으면서, 또한 도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푸시/풀(push/pull)형 카드 배출 메커니즘을 장착하고 있다. 카드 배출 메커니즘은 본 기술에 공지된 유형으로 이루어지며, 커넥터로부터 메모리 카드(24)를 배출 및 제거하기 위해 제공된다. 카드 베출 메커니즘은 측벽 구획상에서 활주가능한 활주체(54), 커넥터의 전방 리셉터클 영역(26)(도2)을 향해 활주체를 압박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56), 활주체의 심장형상 캡 슬롯(미도시)과 상호협력하는, 측벽 구획(46)과 활주체(54) 사이에 위치된 핀 부재(58)를 포함한다. 푸시/풀형 카드 배출 메커니즘(52)은 본 기술에 잘 알려져 있다. 메모리 카드(24)가 카드 수용 캐비티(22)내로 삽입될 때, 활주체의 로킹 아암(60)은 슬라이더가 코일 스프링(56)을 압박하면서 그 삽입 방향으로 카드와 함께 이동하도록 카드의 측부 에지내의 리세스(42)에 의해 포획된다. 카드가 비고정 상태가될 때, 이는 코일 스프링(56)의 힘하에 카드 수용 캐비티로부터 배출된다. 메모리 카드의 초기 및 완전 삽입 위치가 도2, 도4 및 도5에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금속 외피(18)는 얇은 박판 금속 재료로 스탬핑 및 성형되며, 절연 하우징(16)에 의해 형성된 실질적인 전체 영역을 덮기에 충분히 크다. 금속 외피는 상단 덮개판(66) 및 커넥터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현수 대향 측벽(68, 70)을 포함한다. 측벽(68)은 카드 배출 메커니즘(52)을 덮는다. 측벽(70)은 도1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수용 캐비티(22)의 대향 측부를 형성한다. 측벽(70)은 금속 외피가 하우징과의 결합 상태로 스냅결합될 수 있도록 하우징상의 복수의 래치 돌출부(76)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74)를 갖는다. 유사하게, 후방 래치 탭(78)(도3)은 커넥터의 후방부에서 하향 현수되고, 하우징상의 래치 돌출부(76)와의 결합상태로의 스냅결합을 위해 개구(74)를 또한 갖는다. 일반적으로, 금속 외피(18)는 실질적인 반전된 U-형 부재의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1, 도2 및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박판 금속 외피(18)의 상단 덮개판(66)내의 구멍(80)(도7) 외측으로 스탬핑 및 성형된 오삽입 방지 돌출부(78)를 고려한다. 돌출부는 라운딩된 엘보우형 단면 구조로 굴곡된다. 달리 말해서, 도7은 돌출부(78)가 상단 덮개판(66)으로부터 78a에서 하향 굴곡되고, 78b에서 상향으로 다시 굴곡되어 라운딩된 엘보우(78c)를 형성한다. 도8을 다시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24)가 그 적절한 배향으로 커넥터내로 삽입될 때, 돌출부(78)는 메모리 카드의 상단 평탄면(32)내의 슬롯(40)내로 쉽게 이동한다. 그러나, 카드가 상하반전 배향으로 커넥터내로 삽입되는 경우, 카드의 선도 에지(28)는 돌출부(78)에 접하고, 에지가 단자(20)의 접촉부(20b)와 결합하는 것을 방지한다. 유사하게, 메모리 카드가 전후반전 배향으로 커넥터내로 삽입되는 경우, 메모리 카드의 후방 에지(30)가 돌출부(78)에 접하고, 다시, 카드의 에지가 단자(20)의 접촉부(20b)와 결합하는 것이 방지된다. 돌출부(78)를 라운딩된 엘보우형 단면 구조로 성형함으로써, 카드가 커넥터내로 오삽입될 때, 메모리 카드의 손상 또는 균열이 방지된다. 도1, 도2 및 도7의 돌출부의 구조는 U-형상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9는 돌출부가 실질적인 L-형 구조 단면으로 굴곡되어 있는 오삽입 방지 돌 출부(78)의 대안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는 상단 덮개판으로부터 하향 굴곡되어 수직 다리부(78a) 및 수평 다리부(78b)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라운딩된 엘보우(78c)를 형성한다.
도11은 오삽입 방지 돌출부(78)가 상단 덮개판으로부터 하향 굴곡되어 수직 다리부(78a)와 상향굴곡 다리부(78b)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라운딩된 엘보우(78c)를 형성하는 다른 대안 실시예를 도시한다. 사실, 도11의 돌출부(78)는 실질적인 J-형 구조로 굴곡된다.
도12는 오삽입 방지 돌출부(78)가 상단 덮개판(66)으로부터 하향 굴곡되어 각진 다리부(78a)와 상향굴곡 각진 다리부(70b)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라운딩된 엘보우(78c)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다른 대안 실시예를 도시한다. 사실, 도12의 돌출부(78)는 실질적인 V-형 구조로 굴곡된다.
도1 및 도7의 U-형 돌출부, 도9의 L-형 구조, 도11의 J-형 구조 및 도12의 V-형 구조 모두는 카드가 커넥터내로 잘못된 배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메모리 카드와 결합하는 라운딩된 엘보우를 제공한다. 이는 메모리 카드의 손상 또는 균열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도10은 금속 외피(18)의 측벽(70)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장착 탭(72)을 도시한다. 장착 탭은 그 저면에 형성된 수평 구획(80)을 가지며, 이 수평 구획은 단자(20)의 납땜 패드(20e)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수평 구획(80)은 라운딩된 에지(80a)를 갖는다. 커넥터는 인쇄 회로 보드(82)에 장착된다. 그 원주 둘레로 완전히 수평 구획(80)을 입히는 것이 곤란하며, 따라서, 납땜은 파선 "a"가 아닌 실선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고, 그에 의해, 박리력에 대한 양호한 저항이 제공될 수 없다. 그 원주(80a) 둘레로 수평 구획(80)이 라운딩된 상태에서, 납땜 재료(84)는 수평 구획의 저면 및 구획의 원주 둘레로 이주하여 양호한 납땜 필릿(filet)을 제공하여 박리내성을 제공한다. 비록, 금속 외피의 측벽(70)상에 단 하나의 장착 탭(72)이 도시되어 있지만, 외피의 각 측벽을 따라 하나 이상의 장착 탭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금속 피팅 네일(도5 및 도8)이 하우징의 종방향 측벽 구획(46)에 매설되고, 인쇄 회로 보드상의 납땜 패드에 납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개념 및 핵심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 및 구현예는 모든 관점에서 예시적이며 비제한적으로서 고려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제공된 세부사항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7)

  1. 메모리 카드(24)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캐비티(22)와 연통하는 전방 리셉터클 영역(24)을 형성하는 절연 하우징(16)과,
    메모리 카드의 상단측(32)상의 점점(38)과의 결합을 위해, 캐비티의 후방부에 접촉부(20b)를 가지며, 하우징의 후방부(44)를 횡단방향으로 가로질러 측방향나열(side-by-side) 어레이로 하우징상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위에 배설된 덮개판(66)을 포함하고, 절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박판 금속 외피(18)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14)에 있어서,
    외피는 상기 덮개판(66)으로부터 형성되어, 카드가 캐비티내로 적절히 삽입될 때, 캐비티(22)내로, 그리고, 메모리 카드의 상단의 슬롯(40)내로 하향 연장하는 오삽입 방지 돌출부(78)를 구비하고,
    돌출부(78)는 오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단자(20)의 접촉부(20b)와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며, 메모리 카드(24)가 캐비티내로 오삽입될 때, 메모리 카드(24)의 손상 또는 균열을 방지하도록 하향 및 역방향 상향으로 엘보우형 단면 구조로 굴곡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삽입 방지 돌출부(78)는 실질적인 U-형상 구조로 굴곡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삽입 방지 돌출부(78)는 실질적인 L-형상 구조로 굴곡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삽입 방지 돌출부(78)는 실질적인 J-형상 구조로 굴곡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삽입 방지 돌출부(78)는 실질적인 V-형상 구조로 굴곡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금속 외피(18)는 상기 덮개판(66)의 대향 종방향 에지와 일체인 한 쌍의 현수 대향 측벽(68, 70)을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68,70)은 회로보드상에 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해 벽의 저면 에지에서 외향 굴곡된 장착 탭(72)을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KR1020057005654A 2002-10-03 2003-09-26 카드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메모리 카드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663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90654 2002-10-03
JP2002290654A JP2004127731A (ja) 2002-10-03 2002-10-03 カード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986A KR20050054986A (ko) 2005-06-10
KR100663809B1 true KR100663809B1 (ko) 2007-01-03

Family

ID=3206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65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3809B1 (ko) 2002-10-03 2003-09-26 카드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메모리 카드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546999A1 (ko)
JP (1) JP2004127731A (ko)
KR (1) KR100663809B1 (ko)
CN (1) CN1689030B (ko)
AU (1) AU2003277002A1 (ko)
WO (1) WO20040320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5172A (ja) * 2003-05-01 2004-11-25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
JP2008041286A (ja) * 2006-08-01 2008-02-21 Smk Corp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8059856A (ja) * 2006-08-30 2008-03-13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JP5803773B2 (ja) * 2011-12-02 2015-11-04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4035736A (ja) * 2012-08-10 2014-02-24 Panasonic Corp 携帯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87622U (en) * 1997-11-03 2000-04-11 Hon Hai Prec Ind Co Ltd Memory card connector
TW406879U (en) * 1998-11-20 2000-09-21 Hon Hai Prec Ind Co Ltd Padding up device of laminated electronic card connector
WO2002007269A2 (en) * 2000-06-29 2002-01-24 Molex Incorporated Ic card connector
JP3713428B2 (ja) * 2000-09-27 2005-11-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32036A1 (en) 2004-04-15
CN1689030B (zh) 2010-04-14
CN1689030A (zh) 2005-10-26
EP1546999A1 (en) 2005-06-29
WO2004032036B1 (en) 2004-06-24
KR20050054986A (ko) 2005-06-10
JP2004127731A (ja) 2004-04-22
AU2003277002A1 (en) 200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912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US6146209A (en)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6830472B1 (en)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having locking member
US6447338B1 (en) One-piece smart card connector
US7435117B2 (en) Card connector
US5281165A (en) Electrical connector shroud adapted for shorting bar removal
US7238034B2 (en) Memory card connector
US20100159740A1 (en) Cable assembly having hold-down arrangement
KR20110103901A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19990036996A (ko) 카드 커넥터 조립체
JP2001167833A (ja) コネクタ
EP0851539A2 (en) Electrical connnector for flat cables
US20060172603A1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means for preventing erroneous card insertion
US7255604B2 (en) Card connector
KR100663809B1 (ko) 카드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메모리 카드커넥터
US7004774B2 (en) Memory card connector
CN100449878C (zh) 记忆卡连接器
JPS6211467B2 (ko)
JP2001257022A (ja) コネクタ
US6394828B1 (en) Card connector equipped with 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card removal
US7559792B2 (en) Connector with easily replacement of a slider
EP0147075A2 (en)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 retainers
US7214098B2 (en) Memory card connector
US6203346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700088B1 (ko) 메모리 카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212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122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