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59193B1 - 가요성 기판 커넥터 그리고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연결 구조체 - Google Patents

가요성 기판 커넥터 그리고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연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193B1
KR100659193B1 KR1020050025306A KR20050025306A KR100659193B1 KR 100659193 B1 KR100659193 B1 KR 100659193B1 KR 1020050025306 A KR1020050025306 A KR 1020050025306A KR 20050025306 A KR20050025306 A KR 20050025306A KR 100659193 B1 KR100659193 B1 KR 100659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ircuit board
casing
flexible board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814A (ko
Inventor
구니히로 사또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19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9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moving connector housing parts linearly, e.g. sli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케이싱(2)은 회로 기판(40)의 관통 구멍(41) 내에 배열되고, 케이싱(2)의 상부 단부의 인접부로부터 돌출하는 접촉부(3)의 외부 접촉부(3b)는 회로 기판의 상부 표면 상의 연결 단자(43)에 연결된다. 케이싱(2)의 상부 구멍(6) 또는 하부 구멍(7)으로부터 삽입 개구(9) 내로 가요성 기판(30)의 단부를 삽입시켜 외부 접촉부(3b)측을 향해 압력 편(8)을 활주시킴으로써, 접촉부의 내부 접촉부(3a) 그리고 가요성 기판의 단부는 추력 블록(10)과 압력 편(8) 사이에 견고하게 보유된다.
가요성 기판 커넥터, 케이싱, 접촉부, 클램프, 제1 구멍

Description

가요성 기판 커넥터 그리고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FLEXIBLE BOARD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LEXIBLE BOARD TO CIRCUIT BOARD}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가요성 기판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회로 기판 내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짧은 측면 방향으로의 단면도.
도3은 가요성 기판 커넥터에 의해 회로 기판에 회로 기판의 상부 측면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도3으로부터 계속하여 회로 기판에 회로 기판의 상부 측면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5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에 의해 회로 기판에 회로 기판의 하부 측면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도5로부터 계속하여 회로 기판에 회로 기판의 하부 측면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8은 도7의 구성 부품으로 구성된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 조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9는 종래 기술의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종래 기술의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11은 종래 기술의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요성 기판 커넥터
2: 케이싱
3, 3a, 3b: 전도성 접촉부
6: 상부 구멍
8: 압력 편
8a: 커버부
23: 측면 표면
25, 32: 돌출부
30: 가요성 기판
31: 연결 단자
40: 회로 기판
41: 관통 구멍
43: 연결 단자
본 발명은 회로 기판에 가요성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 전화, 비디오 카메라 등의 전자 장치는 다수개의 붙박이 전자 구성 요소를 내부적으로 포함하면서 그 크기 및 중량의 감소를 추진하고 있다. 다수개의 전자 구성 요소는 회로 기판 상에 배열된 구성 요소 장착 랜드에 납땜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드 및 단자를 갖는다. 크기 감소가 추진되고 있는 휴대 전화에서, LCD 모듈 및 키패드 등 비교적 큰 구성 요소가 회로 기판 상에 배열되고, 복수개의 이러한 회로 기판이 흔히 채용된다. 복수개의 회로 기판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다수개의 가요성 기판이 채용된다. 더욱이, 가요성 기판은 회로 기판에 카메라 모듈 등의 다른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채용된다. 이러한 가요성 기판은 때때로 설계의 제한으로 인해 회로 기판의 상부 표면 상에 전자 구성 요소와 더불어 배열된 커넥터에 회로 기판의 하부 표면측으로부터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종래 기술로부터, 다음의 연결 구조체가 하부 표면측으로부터 회로 기판의 커넥터에 가요성 기판을 연결하도록 채택되었다.
(1)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면 상에 전자 구성 요소(51)가 배열되는 회로 기판(52)에는 그 상부 표면 상의 커넥터(53) 그리고 관통 구멍(52a)이 제공된다. 가요성 기판(54)은 관통 구멍(52a)을 통해 회로 기판(52)의 하부 표면측으로부터 상부 표면측으로 안내되고, 가요성 기판(54)의 연결부는 커넥터(53)에 연결된다.
(2)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63)는 그 상부면 상에 전자 구성 요소(61)가 배열되는 회로 기판(62)의 모서리부의 인접부 내에 제공되고, 가요성 기판(64)의 연결부는 기판이 회로 기판(62)의 하부 측면측으로부터 모서리부를 덮도록 가요성 기판(64)을 굽힘으로써 커넥터(63)에 연결된다.
(3)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73)는 그 상부면 상에 전자 구성 요소(71)가 배열되는 회로 기판(72)의 하부 표면 상에 제공되고, 하부 표면측 상의 가요성 기판(74)은 상부 표면측으로 안내되지 않고 커넥터(73)에 연결된다.
종래의 커넥터(53, 63, 73) 중 일부는 회로 기판에 고정된 기부와 기부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피벗부 사이에 가요성 기판의 연결부를 보유 및 고정한다. 더욱이, 회로 기판에 고정되며 결합 폴 및 접촉 단자를 포함하며 가요성 기판의 결합 구멍과 결합 폴을 결합하며 가요성 기판의 연결 단자에 접촉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있다.
그러나, 아이템 (1)의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는, 관통 구멍(52a)을 통과한 가요성 기판(54)이 관통 구멍(52a)의 모서리와 접촉된 상태로 진동 또는 충격을 수용하면, 가요성 기판(54) 상에 형성된 배선부가 모서리에 의해 절단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관통 구멍(52a)의 모서리를 챔퍼링하는 방법, 모서리를 덮도록 커버를 배열하는 방법 그리고 기판이 모서리 등과 접촉된 상태가 되지 않게 하는 형상으로 가요성 기판(54)을 성형하는 지그를 사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방법은 비용 증가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더욱이, 아이템 (2)의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는 회로 기판 설계에 대한 제한이 아이템 (1)과 유사한 문제점에 추가하여 회로 기판(52)의 모서리부에서 배열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가요성 기판(64)의 전체 길이가 길어진다는 추가의 문제점이 있다. 아이템 (3)의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는 커넥터(73)를 위한 배선부가 전자 구성 요소(71)가 회로 기판(72)의 상부 표면 상에만 배열되더라도 하부 표면 상에도 배열될 필요가 있으므로 전자 구성 요소 및 커넥터가 상부 표면 상에 배열될 때보다 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크기 및 중량의 감소가 추진되고 있는 전자 장치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두께의 감소이다. 따라서, 전자 구성 요소 등의 크기 및 두께의 감소에 따라, 가요성 기판을 위한 커넥터는 크기 및 두께가 감소될 것도 요구된다.
그러나,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를 위해 채용되는 아이템 (1), (2) 및 (3)의 커넥터(53, 63, 73)는 종래 기술에 따라 회로 기판(52, 62, 72)의 상부 표면 또는 하부 표면 상에 배열되었다. 따라서, 모든 커넥터(53, 63, 73)는 회로 기판(52, 62, 7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따라서, 이는 상호 연결된 상태의 회로 기판(52, 62, 72) 및 가요성 기판(54, 64, 74)이 비교적 큰 두 께를 갖게 된다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커넥터(53, 63, 73) 내에 포함된 절연체, 단자 등의 구성 요소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불리하게도 구조적 강도의 감소, 결함성 연결 등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요성 기판이 회로 기판의 상부 표면측 또는 하부 표면측 상에 위치되는지에 관계없이 회로 기판에 가요성 기판을 연결할 수 있으며 두께가 감소되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싱과,
케이싱 내측에 위치된 내부 접촉부 그리고 케이싱의 측면 표면 상의 상부 모서리의 인접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외부 접촉부를 갖는 접촉부와,
케이싱 내에 부분적으로 배열되며 케이싱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클램핑 표면을 가지며 케이싱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클램핑 표면과 접촉부의 내부 접촉부 사이에 한정된 삽입 개구를 협소하게 할 수 있는 클램프와,
삽입 개구에 인접하며 케이싱의 하부 표면 상에 제공되는 제1 구멍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를 제공한다.
전술된 구성에 따르면, 접촉부의 외부 접촉부는 예컨대 회로 기판 상의 회로의 연결 단자에 연결된다. 더욱이, 가요성 기판의 일부는 클램프의 클램핑 표면과 접촉부의 내부 접촉부 사이에 형성된 삽입 개구 내로 삽입되고, 가요성 기판의 일부는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된다. 이러한 배열로써, 예컨대 가요성 기판의 일부 내 에 형성된 연결 단자는 내부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가요성 기판의 일부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에 고정된다.
더욱이, 외부 접촉부는 케이싱의 측면 표면 상의 상부 모서리의 인접부로부터 돌출하므로, 외부 접촉부는 케이싱이 예컨대 회로 기판에 형성된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회로 기판의 상부 표면 상에 위치된 연결 단자 등에 연결된다. 즉, 가요성 기판 커넥터는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회로 기판을 중첩하는 상태에서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가요성 기판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상부 표면 상에 배열된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서보다 회로 기판으로부터의 돌출량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요성 기판 커넥터는 회로 기판 및 가요성 기판의 두께의 증가량을 억제하면서 회로 기판에 신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가요성 기판 커넥터를 채용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크기는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가요성 기판 커넥터는 외부 접촉부를 연결될 회로 기판의 연결 단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며 내부 접촉부를 연결될 가요성 기판의 연결 단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이한 가요성 기판 및 회로 기판에 대해 채용된다. 즉, 접촉부의 형상만을 변화시킴으로써 상이한 가요성 기판 및 회로 기판에 적용될 수 있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는 높은 융통성을 가지므로,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삽입 개구에 인접하는 제1 구멍은 케이싱의 하부 표면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의 관통 구멍 내에 케이싱을 배열하거나 유사한 치수를 취 함으로써, 제1 구멍은 회로 기판의 하부 표면과 마주보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써, 회로 기판의 하부 측면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은 회로 기판에 제공된 관통 구멍을 통하지도 않고 종래 기술의 경우와 다르게 회로 기판의 모서리부 주위를 굽히지도 않고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가요성 기판이 종래 기술의 경우와 다르게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로 기판의 모서리부에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커넥터를 배열하고, 회로 기판의 모서리부 주위를 굽히기 위해 가요성 기판의 치수를 증가시켜야 할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요성 기판의 내구성의 감소를 방지하고, 회로 기판의 회로 설계의 자유도를 개선시키고, 가요성 기판의 비용 증가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 커넥터는 삽입 개구에 인접하며 케이싱의 상부 표면 상에 제공되는 제2 구멍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의 상부 측면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은 예컨대 제2 구멍을 통해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가요성 기판은 가요성 기판이 케이싱의 하부 측면 또는 상부 측면 상에 위치되는지에 무관하게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높은 융통성이 얻어진다. 더욱이, 제1 구멍을 통해 회로 기판에 케이싱의 하부 측면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을 연결하며 제2 구멍을 통해 회로 기판에 케이싱의 상부 측면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가요성 기판 커넥터는 하나의 커넥터로써 케이싱에 대해 상호 상이한 측면 상에 위치된 2개의 가요성 기판을 회로 기판에 연결할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실시예의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는,
전술된 가요성 기판 커넥터와,
기판, 기판 상에 형성된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되며 회로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 그리고 연결 단자에 인접하게 기판에서 형성된 관통 구멍을 갖는 회로 기판과,
가요성을 갖는 기부, 기부 상에 형성된 배선부 그리고 기부 상에 형성되며 배선부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갖는 제1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고,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케이싱은 회로 기판의 관통 구멍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회로 기판의 연결 단자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접촉부의 외부 접촉부에 연결되고,
제1 가요성 기판은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제1 구멍을 통해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삽입 개구 내로 삽입된 부분을 갖고, 삽입 부분은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되고, 연결 단자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접촉부의 내부 접촉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외부 접촉부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케이싱의 적어도 일부가 회로 기판의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회로 기판의 연결 단자에 연결되고,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내부 접촉부는 가요성 기판의 연결 단자에 연결된다. 이러한 배열로써, 회로 기판 및 가요성 기판은 회로 기판으로부터 돌출하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일부가 종래 기술의 경우에서보다 더욱 작은 상태에서 함께 연결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는 종래 기술의 경우에서보다 효과적으로 감소된 두께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가 전자 장치를 위해 채용될 때, 전자 장치는 크기 및 두께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가요성 기판의 일부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케이싱의 하부 표면 상에 제공된 제1 구멍을 통해 삽입 개구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의 하부 측면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은 회로 기판의 관통 구멍을 통하지도 않고 종래 기술의 경우와 다르게 회로 기판의 모서리부 주위를 굽히지 않고도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따라서, 가요성 기판이 종래 기술의 경우와 다르게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로 기판의 모서리부에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위치 내에 커넥터를 배열하고, 회로 기판의 모서리부 주위를 굽히도록 가요성 기판의 치수를 증가시킬 필요성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가요성 기판의 내구성의 감소를 방지하고, 회로 기판의 회로 설계의 자유도를 개선시키고, 가요성 기판의 비용 증가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는,
가요성을 갖는 기부, 기부 상에 형성된 배선부 그리고 기부 상에 형성되며 배선부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갖는 제2 가요성 기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가요성 기판 커넥터는 삽입 개구에 인접하며 케이싱의 상부 표면 상에 제공되는 제2 구멍을 갖고,
제2 가요성 기판은 그 일부가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제2 구멍을 통해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삽입 개구 내로 삽입되며 삽입 부분이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되며 연결 단자가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접촉부의 내부 접촉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가요성 기판은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제2 구멍을 통해 삽입 개구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에 대해 서로 상이한 측면 상에 위치되는 제1 가요성 기판 및 제2 가요성 기판은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더욱이,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케이싱의 적어도 일부는 회로 기판의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으로부터의 돌출량은 비교적 작다. 따라서, 2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가 두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얻어질 수 있다.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의 삽입 부분 그리고 제2 가요성 기판의 삽입 부분은 삽입 부분들이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삽입 개구 내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는 형상을 가지며 대략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가요성 기판은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삽입 개구 내로 삽입되고 기판들이 삽입 개구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는 형상을 가지며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부분들이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가요성 기판은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상부 측면 및 하부 측면 모두 상에 배열되면서 회로 기판에 연결되므로, 높은 융통성이 얻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요성 기판 커넥터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측에 위치된 내부 접촉부 그리고 케이싱의 측면 표면 상의 상부 모서리의 인접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외부 접촉부를 갖는 접촉부와; 케이싱 내에 부분적으로 배열되며 케이싱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클램핑 표면을 가지며 케이싱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클램핑 표면과 접촉부의 내부 접촉부 사이에 한정된 삽입 개구를 협소하게 할 수 있는 클램프와; 삽입 개구에 인접하며 케이싱의 하부 표면 상에 제공되는 제1 구멍을 포함한다. 따라서, 회로 기판의 관통 구멍 내에 케이싱을 배치하고, 가요성 기판의 전기적 및 기계적 고정을 위해 제1 개구를 통해 케이싱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가요성 기판의 일부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회로 기판의 하부 측면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은 배선부의 절단, 길이 등의 증가의 문제점을 유발시키지도 않으며 전체 두께를 크게 증가시키지도 않고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설명으로만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더욱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가요성 기판 커넥터(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가요성 기판 커넥터(1)는 회로 기판(40)에 가요성 기판(30)을 고정하며 회로 기판(40)의 회로에 가요성 기판(30)의 배선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가요성 기판 커넥터(1)는 대략 직사각형 평행 6면체 케이싱(2)을 갖고, 케이싱(2)은 회로 기판(40)에서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 관통 구멍(41) 내에 배열된다. 케이싱(2)은 회로 기판(4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부 단부를 갖는다.
가요성 기판 커넥터(1)는 가요성 기판(30)의 배선부에 회로 기판(40)의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전도성 접촉부(3)를 갖는다.
접촉부(3)는 각각 케이싱(2) 내측에 위치된 내부 접촉부(3a) 그리고 케이싱(2) 외측에 위치된 외부 접촉부(3b)를 갖는다. 접촉부(3)의 외부 접촉부(3b)는 회로 기판(4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케이싱(2)의 부분의 측면 표면인 측면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며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복수개의 접촉부(3)는 케이싱(2)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며 케이싱(2)의 짧은 측면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연장한다.
접촉부(3)의 외부 접촉부(3b)는 회로 기판(40)의 관통 구멍(41)의 인접부 내에 형성된 연결 단자(43)에 납땜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단자(43)는 회로 기판(40)의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케이싱(2)은 케이싱(2)의 상부 표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그 직사각형 형상 상에 갖는 제2 구멍으로서의 상부 구멍(6)을 포함한다. 상부 구멍(6)은 접촉부(3)의 외부 접촉부(3b)가 돌출하는 측면 표면(23)에 인접하다. 상부 구멍(6)은 케이싱(2) 내에 형성된 삽입 개구에 인접하고, 가요성 기판(30)의 단부는 개구 내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가요성 기판(30)의 단부에서의 후방 표면, 즉 도1에서 가요성 기판 커넥터(1)를 향해 마주보는 표면 상에는 가요성 기판의 배선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연결 단자(31)가 형성된다. 더욱이, 가요성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2개의 돌출부(32, 32)는 가요성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모든 모서리에서 연결 단자(31)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더욱이, 2개의 돌출부(25)는 2개의 돌출부(25)는 케이싱(2)의 측면 표면(23) 에 대해 마주보는 측면 표면에 인접하게 케이싱(2)의 짧은 측면 방향으로 측면 표면 모두 상에 제공된다. 돌출부(25)는 케이싱(2)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며 회로 기판(40)의 관통 구멍(41)에 인접한 얕은 결합 구멍(42)과 결합된다. 돌출부(25)는 납땜 등으로써 결합 구멍(42)의 내부 측면 표면에 접합되어, 커넥터(1)가 변위되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싱(2)의 상부 표면의 대부분에는 클램프로서 역할하는 압력 편(8)의 상부가 덮인다. 압력 편(8)의 상부는 평면도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긴 측면의 치수는 케이싱(2)의 길이 방향으로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케이싱(2)의 측면 표면을 따라 연장된 지지부는 압력 편(8)의 상부의 짧은 모서리에 인접하고, 결합 폴은 지지부의 내부 측면 표면 상에 형성된다. 결합 폴은 케이싱(2)의 측면 표면 상에 형성된 안내 홈(26)과 결합되고, 압력 편(8)은 화살표 A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안내 홈(26)을 따라 짧은 측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조된다. 커버부(8a)는 압력 편(8)의 상부의 긴 측면의 모서리부에서 형성되고, 커버부(8)는 케이싱의 측면 표면(23)을 향한 압력 편(8)의 이동에 따라 케이싱(2)의 상부 구멍(6)보다 위에 위치된다.
도2는 회로 기판(40) 내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 커넥터(1)의 짧은 측면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은 그 하부 표면 상에 제1 구멍으로서 역할하는 하부 구멍(7)을 갖는다. 하부 구멍(7)은 상부 구멍(6)의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를 갖고, 케이싱(2)의 평면도에서 상호 대향 측면 상에 형성된다.
접촉부(3)의 내부 접촉부(3a)는 케이싱(2) 내에 배열된다. 내부 접촉부(3a)는 외부 접촉부(3b)에 인접하며 케이싱(2)의 내부 측면 표면 그리고 케이싱(2) 내에 배열된 웨지형 추력 블록(10)의 상부 표면을 따라 연장된다. 두께가 증가되는 접촉 단자(3d)는 제1 접촉부(3)의 내부 접촉부(3a)의 단부에서 형성된다. 케이싱(2)의 저부를 향해 연장된 고정부(3c)는 접촉부(3)의 내부 접촉부(3a)와 외부 접촉부(3b) 사이에 위치된 부분에 일체로 연결되고, 고정부(3c)는 케이싱(2) 내측에 형성된 고정 구멍과 결합된다.
케이싱(2)에서, 삽입 개구(9)는 압력 편(8)의 하부 표면인 클램핑 표면(8b), 접촉부(3)의 내부 접촉부(3a), 케이싱(2)의 내부 표면 그리고 추력 블록(10)의 상부 표면에 의해 한정된다. 삽입 개구(9)는 케이싱(2)의 상부 구멍(6)과 케이싱의 하부 구멍(7) 사이에서 연통된다. 삽입 개구(9)는 케이싱(2)의 저부 표면에 대해 경사진다. 가요성 기판(30)은 화살표 B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의 상부 구멍(6)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고, 가요성 기판(30)은 삽입 개구(9) 내로 화살표 C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의 하부 개구(7)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삽입 개구(9)보다 아래에는 압력 편(8)과 일체로 형성되어 압력 편(8)과 더불어 이동되는 활주 편(8c)이 배열된다. 활주 편(8c)의 상부 표면 상에는 커넥터의 짧은 방향으로의 단면도에서 외부 접촉부(3b)측을 향해 외향으로 경사지는 경사 표면이 형성된다. 추력 블록(10)은 활주 편(8c) 상에 배열된다. 활주 편(8c)과 접촉된 상태로 위치된 추력 블록(10)의 표면은 외부 접촉부(3b)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 표면이다. 반면에, 삽입 개구(9)측 상에 위치된 추력 블록(10)의 표면은 외부 접촉부(3b)측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는 경사 표면이다. 삽입 개구(9)측 상의 추력 블록(10)의 표면 그리고 내부 접촉부(3a)의 하부 표면은 서로에 인접하게 대략 평행으로 위치된다.
도3 및 도4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1)로써 회로 기판(40)에 회로 기판(40)의 상부 측면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30)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커버부(8a)가 케이싱의 상부 구멍(6)보다 위에 위치될 때, 압력 편(8)은 외부 접촉부(3b)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되고, 다음에 상부 구멍(6)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노출된다. 압력 편(8)이 외부 접촉부(3b)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될 때, 활주 편(8c)은 외부 접촉부(3b)로부터 떨어져 압력 편(8)과 더불어 이동되고, 그 결과 하부 표면이 활주 편(8c)의 경사 상부 표면과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는 추력 블록(10)은 케이싱(2)의 저부 표면측으로 이동한다.
가요성 기판의 연결 단자(31)가 형성되는 단부는 노출된 상부 구멍(6)으로부터 케이싱(2) 내로 삽입된다. 가요성 기판(30)의 단부의 인접부 내에 형성되는 돌출부(32, 32)는 케이싱의 상부 구멍(6)의 모서리부와 결합되고, 그 결과 가요성 기판(30)의 단부는 소정 길이만큼 케이싱(2) 내로 삽입된다. 케이싱(2) 내로 삽입된 가요성 기판(30)의 단부는 압력 편(8)의 클램핑 표면(8b)과 내부 접촉부(3) 사이의 삽입 개구(9) 내에 배치된다.
다음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편(8)은 외부 접촉부(3b)측을 향해 이동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압력 편(8)의 클램핑 표면(8b)은 가요성 기판(30)을 가압한다. 더욱이, 활주 편(8c)은 외부 접촉부(3b)측을 향해 압력 편(8)과 더 불어 이동되고, 그 결과 추력 블록(10)은 상향으로 이동된다. 결국, 추력 블록(10)의 상부 표면은 접촉부(3)의 내부 접촉부(3a)를 상향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삽입 구멍(9)은 협소해지고, 가요성 기판(30)의 일부 그리고 접촉부의 내부 접촉부(3a)는 압력 편(8)의 클램핑 표면(8b)과 추력 블록(10)의 상부 표면 사이에 보유된다. 결과적으로, 가요성 기판(30)의 연결 단자(31) 그리고 접촉부의 접촉 단자(3d)는 신뢰 가능하게 서로와 접촉된 상태로 되어,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는 회로 기판(40)의 상부 표면 측면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30)에 대해 얻어진다.
도5 및 도6은 가요성 기판 커넥터(1)로써 회로 기판(40)에 회로 기판(40)의 하부 측면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30)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커버부(8a)가 케이싱의 상부 구멍(6)보다 위에 위치될 때, 즉 삽입 구멍(9)이 협소해질 때, 압력 편(8)은 외부 접촉부(3b)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되어, 삽입 개구(9)의 폭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의 하부 구멍(7)의 폭과 대략 동일해진다.
가요성 기판(40)의 하부 표면측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의 단부는 하부 구멍(7)으로부터 케이싱(2) 내로 삽입된다. 연결 단자(31)는 가요성 기판의 단부에서 형성된다. 단부의 인접부 내에 형성된 돌출부(32, 32)는 케이싱의 하부 구멍(7)의 모서리부와 결합되고, 그 결과 가요성 기판(30)의 단부는 소정 길이만큼 케이싱(2) 내로 삽입된다. 케이싱(2) 내로 삽입된 가요성 기판(30)의 단부는 압력 편(8)의 클램핑 표면(8b)과 내부 접촉부(3) 사이의 삽입 개구(9) 내에 배치된다.
다음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편(8)은 외부 접촉부(3b)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압력 편(8)의 클램핑 표면(8b)은 가요성 기판(30)을 가압한다. 더욱이, 활주 편(8c)은 외부 접촉부(3b)측을 향해 압력 편(8)과 더불어 이동되고, 그 결과 추력 블록(10)은 상향으로 이동된다. 결국, 추력 블록(10)의 상부 표면은 접촉부(3)의 내부 접촉부(3a)를 상향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삽입 구멍(9)은 협소해지고, 가요성 기판(30)의 일부 그리고 접촉부의 내부 접촉부(3a)는 압력 편(8)의 클램핑 표면(8b)과 추력 블록(10)의 상부 표면 사이에 보유된다. 결과적으로, 가요성 기판(30)의 연결 단자(31) 그리고 접촉부의 접촉 단자(3d)는 신뢰 가능하게 서로와 접촉된 상태로 되어,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는 회로 기판(40)의 하부 표면 측면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30)에 대해 얻어진다.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 커넥터(1)는 상부 구멍(6) 또는 하부 구멍(7)을 통해 회로 기판(40)에 회로 기판(40)의 상부 측면 또는 하부 측면 중 하나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40)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40)의 하부 측면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40)은 종래 기술의 경우와 다르게 회로 기판의 관통 구멍을 통하지도 않고 회로 기판의 모서리부 주위를 굽히지도 않고 회로 기판(40)에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요성 기판의 절단의 문제점, 가요성 기판의 크기 및 길이를 증가시키는 문제점 그리고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배열 위치를 제한하는 문제점은 종래 기술의 경우와 다르게 방지 될 수 있다. 더욱이, 회로 기판의 하부 표면 상에 회로 기판 커넥터를 배열하도록 하부 표면 측면으로 회로 기판의 회로의 연결 단자를 유도할 필요성이 없다. 즉, 회로 기판은 상부 측면 상의 회로를 위한 배선부 그리고 하부 측면 상의 연결 단자를 위한 배선부로서 양측 상에 배선부가 제공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요성 기판의 내구성의 감소를 방지하고, 회로 기판의 회로 설계의 자유도를 개선시키며, 가요성 기판의 비용 증가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가요성 기판 커넥터(1)는 가요성 기판(30)이 회로 기판(40)의 상부 표면측 또는 하부 표면측 상에 위치되는지에 무관하게 회로 기판(40)에 가요성 기판(30)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높은 융통성이 얻어진다. 예컨대, 가요성 기판 커넥터(1)가 전자 장치에 채택되며 가요성 기판(40)이 예컨대 LCD 모듈, 카메라 모듈 등에 연결되면, LCD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은 회로 기판(40)에 대한 그 배열 위치의 제한을 겪지 않고 높은 자유도로써 배열될 수 있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회로 기판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는 도1의 가요성 기판 커넥터로 구성되며 가요성 기판의 단부의 형상이 변화된다는 점에서 도3 내지 도6의 연결 구조체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부품은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해 표시되고, 어떠한 상세한 설명도 이를 위해 제공되지 않는다. 회로 기판(40)은 도7 및 도8에서 2개의 가요성 기판(130, 130) 사이에 두께 방향으로 위치되지만, 회로 기판(40)은 도면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요성 기판(130)은 폭 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떨어져 부분적으로 절단되도록 단부 형상을 갖는다. 2개의 가요성 기판(130, 130) 모두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가요성 기판(130)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된 다른 부분 상에서, 연결 단자(131)는 도7 및 도8에서 하부 표면측 상에 즉 가요성 기판 커넥터(1)의 하부 구멍(7)이 배열되는 하부 측면 상에 형성된다. 더욱이, 연결 단자(131)에 인접하게 가요성 기판의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2개의 돌출부(132, 132)는 가요성 기판(1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양측 상의 모서리에 제공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의 상부 표면측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130)의 단부는 화살표 D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케이싱의 상부 구멍(6)으로부터 케이싱(2) 내로 삽입된다. 가요성 기판(130)의 단부는 상부 구멍(6)의 모서리부와 돌출부(132, 132)를 결합함으로써 소정 길이만큼 케이싱(2) 내로 삽입된다. 더욱이, 회로 기판의 하부 표면측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130)의 단부는 화살표 E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케이싱의 하부 구멍(7)으로부터 케이싱(2) 내로 삽입된다. 가요성 기판(130)의 단부는 하부 구멍(7)의 모서리부와 돌출부(132, 132)를 결합함으로써 소정 길이만큼 케이싱(2)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가요성 기판 커넥터(1)에 대해 상호 반대로 삽입 개구(9) 내에 배치되는 2개의 가요성 기판(130, 130)의 단부는 삽입 개구(9)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다음에, 외부 접촉부(3b)를 향해 가요성 기판 커넥터 의 압력 편(8)을 이동시킴으로써, 가요성 기판(130, 130)의 단부는 압력 편(8)의 클램핑 표면(8b)과 추력 블록(10)의 상부 표면 사이에 보유된다. 결국, 2개의 가요성 기판(130, 130)의 단부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1)를 통해 회로 기판에 고정되고, 2개의 가요성 기판(130, 130)의 연결 단자(131, 131)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1)의 회로 기판의 연결 단자(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회로 기판의 상부 표면측 및 하부 표면측 상에 위치된 2개의 가요성 기판(130, 130)과 회로 기판의 연결 구조체가 얻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130)의 단부는 단부가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삽입 개구(9)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는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회로 기판의 상부 및 하부 표면측 모두 상에 위치된 2개의 가요성 기판(130, 130)은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표면측 모두 상에 위치된 2개의 가요성 기판(130, 130)의 단부는 본 실시예에서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지만, 단부는 상호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가요성 기판(130)의 단부에서의 연결 단자(131)가 형성되는 부분의 폭을 증가시키며 다른 가요성 기판(130)의 단부에서의 연결 단자(131)가 형성되는 부분의 폭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단부가 가요성 기판 커넥터(1)의 삽입 개구(9)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는 형상을 가질 것이 요구되는 것은 기본적이다. 가요성 기판의 단부에서 형성될 연결 단자(131)의 개수는 물론 2개의 가요성 기판(130, 130) 상에서 변화될 수 있다. 더욱이, 2개의 가요성 기판(130, 130)의 연결 단자(131, 131)의 전체 개수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접촉부(3)의 전체 개수 보다 작을 수 있다.
압력 편의 커버부(8a)에 의해 상부 구멍(6) 내에 삽입된 가요성 기판(130)이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측을 향해 신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신장된 돌출부(8a)는 케이싱(2)의 상부 구멍(6)보다 위에 위치되며 케이싱(2)의 삽입 개구(9) 외측에 위치되는 가요성 기판(130)의 부분은 압력 편(8)이 외부 접촉부(3b)측을 향해 이동됨에 따라 케이싱(2)의 상부 표면을 향해 얇아진다. 이러한 배열로써, 삽입 개구(9) 외측에 위치되는 가요성 기판(130)의 부분은 회로 기판(40)의 상부 표면에 대략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으며 회로 기판(40)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가요성 기판 커넥터(1)는 회로 기판의 관통 구멍(41)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케이싱(2)을 갖지만, 관통 구멍(41) 내에 전체 케이싱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배열로써, 가요성 기판 커넥터는 회로 기판(40)으로부터 거의 돌출하지 않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접촉부가 케이싱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 적절하다.
더욱이, 케이싱(2) 내의 출력 블록(10)은 제거될 수 있다. 즉, 삽입 개구(9)는 압력 편(8)에 의해서만 협소해질 수 있다.
더욱이, 가요성 기판 커넥터(1)는 상부 구멍(6)을 제공하지 않고 단지 하부 구멍(7)만 갖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써, 회로를 위한 배선부 그리고 그 상부 표면 상에만 형성된 연결 단자를 위한 배선부를 갖는 회로 기판은 양면 배선부를 제공하지 않고 하부 표면측 상의 가요성 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개의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분명한 바와 같은 모든 이러한 수정예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이 회로 기판의 상부 표면측 또는 하부 표면측 상에 위치되는지에 관계없이 회로 기판에 가요성 기판을 연결할 수 있으며 두께가 감소되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케이싱과,
    케이싱 내측에 위치된 내부 접촉부 그리고 케이싱의 측면 표면 상의 상부 모서리의 인접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외부 접촉부를 갖는 접촉부와,
    케이싱 내에 부분적으로 배열되며 케이싱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클램핑 표면을 가지며, 케이싱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클램핑 표면과 접촉부의 내부 접촉부 사이에 형성된 삽입 개구를 협소하게 할 수 있는 클램프와,
    삽입 개구에 인접하며 케이싱의 하부 표면 상에 제공되는 제1 구멍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삽입 개구에 인접하며 케이싱의 상부 표면 상에 제공되는 제2 구멍을 더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
  3.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이며,
    제1항에 기재된 가요성 기판 커넥터와,
    기판, 기판 상에 형성된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되며 회로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 그리고 연결 단자에 인접하게 기판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갖는 회로 기판과,
    가요성을 갖는 기부, 기부 상에 형성된 배선부 그리고 기부 상에 형성되며 배선부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갖는 제1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고,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케이싱은 회로 기판의 관통 구멍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회로 기판의 연결 단자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접촉부의 외부 접촉부에 연결되고,
    제1 가요성 기판은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제1 구멍을 통해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삽입 개구 내로 삽입된 부분을 갖고, 상기 삽입 부분은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되고, 연결 단자는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접촉부의 내부 접촉부에 연결되는 연결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가요성을 갖는 기부, 기부 상에 형성된 배선부 그리고 기부 상에 형성되며 배선부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갖는 제2 가요성 기판을 더 포함하고,
    가요성 기판 커넥터는 삽입 개구에 인접하며 케이싱의 상부 표면 상에 제공되는 제2 구멍을 갖고,
    제2 가요성 기판은, 그 일부가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제2 구멍을 통해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삽입 개구 내로 삽입되며, 상기 삽입되는 부분이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되며, 연결 단자가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접촉부의 내부 접촉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제1 가요성 기판의 삽입 부분 그리고 제2 가요성 기판의 삽 입 부분은 삽입 부분들이 가요성 기판 커넥터의 삽입 개구 내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는 형상을 가지며 대략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갖는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 연결 구조체.
KR1020050025306A 2004-03-29 2005-03-28 가요성 기판 커넥터 그리고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연결 구조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659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94409A JP4014575B2 (ja) 2004-03-29 2004-03-29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付き回路基板および回路基板とフレキシブル基板との接続構造
JPJP-P-2004-00094409 2004-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814A KR20060044814A (ko) 2006-05-16
KR100659193B1 true KR100659193B1 (ko) 2006-12-21

Family

ID=3487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3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59193B1 (ko) 2004-03-29 2005-03-28 가요성 기판 커넥터 그리고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연결 구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01220B2 (ko)
EP (1) EP1583178B1 (ko)
JP (1) JP4014575B2 (ko)
KR (1) KR100659193B1 (ko)
CN (1) CN100385744C (ko)
DE (1) DE602005001644T2 (ko)
TW (1) TWI2526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4289A1 (fr) * 2006-07-05 2008-01-10 Fujitsu Limited Plaque de circuit imprimé, unité de plaque de circuit imprimé et appareil électronique
CN201018028Y (zh) * 2006-12-15 2008-02-06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1312268B (zh) * 2007-05-21 2011-01-19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器及电子组件的组装方法
PL2209165T3 (pl) * 2009-01-19 2012-11-30 Erea Nv Złącze umożliwiające niezawodne mechaniczne oraz elektryczne połączenie przewodów
TW201112525A (en) * 2009-09-24 2011-04-01 Hannstar Display Corp Connector for mount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5594631B2 (ja) * 2011-07-15 2014-09-24 ホシデン株式会社 端子ボックス
US8430684B1 (en) * 2011-08-04 2013-04-30 George F. Glatts, III Ribbon cable connector
KR101920623B1 (ko) * 2012-01-30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케이블, 케이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케이블 연결장치
CN102629723B (zh) * 2012-04-24 2014-10-22 东莞宇球电子股份有限公司 扁平式导体用电连接器
JP6272660B2 (ja) * 2013-05-17 2018-01-3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コネクタ
US9474154B2 (en) * 2014-07-18 2016-10-18 Starkey Laboratories, Inc. Reflow solderable flexible circuit board — to —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reinforcement
WO2017003474A1 (en) * 2015-07-01 2017-01-05 Intel Corporation Fpc connector for better signal integrity and design compaction
JP2017152335A (ja) * 2016-02-26 2017-08-3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764370B2 (ja) 2017-05-10 2020-09-30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63340B2 (ja) 2017-05-10 2020-09-30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7214151B4 (de) * 2017-08-14 2020-01-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lachleiter mit mehreren nebeneinander in einem Isoliermaterial verlaufenden Leiterbahnen sowie Buchsengehäuse
CN111555811B (zh) * 2020-04-22 2023-07-14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光模块
JP2022166864A (ja) * 2021-04-22 2022-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ンターポーザ組品および電子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9336A (en) * 1975-04-28 1976-11-02 Molex Incorporated Flexible circuit connector assembly
JPH0218878A (ja) * 1988-07-07 1990-01-23 Olympus Optical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の導体接続方法
JPH0922760A (ja) 1995-07-04 1997-01-21 Oki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におけるfpcと基板の接続構造
US5688143A (en) * 1995-09-26 1997-11-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JPH09199241A (ja) * 1996-01-19 1997-07-31 Smk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の中継用コネクタ
JP3479960B2 (ja) 1996-07-10 2003-12-15 住友電装株式会社 Fpc用コネクタ
JPH10233267A (ja) * 1997-02-18 1998-09-02 Amp Japan Ltd フレキシブル回路板用コネクタ
JPH10302914A (ja) 1997-04-25 1998-11-13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
JP3446136B2 (ja) * 2000-06-05 2003-09-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3666445B2 (ja) * 2001-11-13 2005-06-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CN2519448Y (zh) * 2001-11-26 2002-10-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121465B2 (ja) * 2004-01-30 2008-07-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回路基板とフレキシブル基板と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5744C (zh) 2008-04-30
EP1583178A1 (en) 2005-10-05
EP1583178B1 (en) 2007-07-18
DE602005001644T2 (de) 2008-04-10
DE602005001644D1 (de) 2007-08-30
US20050215109A1 (en) 2005-09-29
JP4014575B2 (ja) 2007-11-28
CN1677753A (zh) 2005-10-05
TW200536192A (en) 2005-11-01
US7101220B2 (en) 2006-09-05
KR20060044814A (ko) 2006-05-16
TWI252610B (en) 2006-04-01
JP2005285409A (ja)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193B1 (ko) 가요성 기판 커넥터 그리고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연결 구조체
US8029294B2 (en) Connector set and jointer for use therein
US7086902B1 (en)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member
US7281954B1 (en) Socket connector improved in adaptability to a terminal position of a connection object
US7025613B2 (en) Flexible board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ircuit board and flexible board
KR100681650B1 (ko) 복수의 카드 수용부들을 구비하고 소형화될 수 있는 카드장착 기구
WO2005096456A1 (ja) コネクタ
KR100715015B1 (ko) 전자부품부착용 소켓
KR101064800B1 (ko) 가동형 커넥터용 보강 탭 및 이것을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US7445506B2 (en) Shielded connector
US8011943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having same
KR100567587B1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US7559799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JP2019033036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相手接続体との組立体
US640630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mpression terminal module therein
EP1803195A1 (en) Socket for digital camera module
KR102283488B1 (ko)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EP1517404A1 (en) Connecting device
JP2005011533A (ja) コネクタ
CN111725990A (zh) 电子模块和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