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58567B1 -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567B1
KR100658567B1 KR1020050120843A KR20050120843A KR100658567B1 KR 100658567 B1 KR100658567 B1 KR 100658567B1 KR 1020050120843 A KR1020050120843 A KR 1020050120843A KR 20050120843 A KR20050120843 A KR 20050120843A KR 100658567 B1 KR100658567 B1 KR 100658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ontent
session
external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은희
박인성
조철회
박용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0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56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MBMS 서비스를 제어하는 BM-SC가 자체적으로 내부 CP 컨텐츠를 저장 관리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BM-SC가 외부 CP와 연동하여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동시에 지원하여 서비스 컨텐츠를 단말기로 제공한다. MBMS 서비스는 특성에 따라 컨텐츠의 형태나 변경 주기, 제공 방법들이 다양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특성에 의해 BM-SC 자체적으로 컨텐츠를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와, 외부 CP를 이용하는 구조가 효율적인 경우로 구분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BM-SC 운용자에 의해 MBMS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시점에서 각 서비스에 어떤 구조를 사용할 것인가와, 그 선택에 따라 관련된 정보들을 시스템에 입력하여 BM-SC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서비스 세션 시작 시점과 컨텐츠 획득 시점 및 컨텐츠 전달 시작 시점 등의 이벤트의 스케쥴링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별로 컨텐츠 제공 방식을 달리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컨텐트 전달, 이동통신 시스템, MBMS 서비스, 서비스 영역, 컨텐츠 제공자,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센터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of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도 1은 3GPP 이동통신 망을 기반으로 MBMS 서비스 제공을 위한 WCDMA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M-SC내에서 MBMS 서비스 등록시 서비스 처리를 위한 각종 타임 정보 세팅 과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M-SC에서 외부 MB 소스 서버에 의해 시작되는 컨텐츠 다운로드 과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M-SC가 서비스 시작 시점에 외부 MB 소스 서버로 컨텐츠 다운로드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M-SC가 외부 컨텐츠 제공자를 이용하여 MBMS 서비스 컨텐츠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망에서 다양한 구조의 서비스를 제공하 는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이하 MBMS로 칭함)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표준화 작업중인 점대다점(point-to-multipoint) 서비스로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에게 전달하도록 무선 자원과 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지원 기술이다.
MBMS 서비스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데이터 공급원(data source)으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해 브로드캐스팅/멀티캐스팅되어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에게 전송된다. 이러한 종류의 점 대 다점(point-to-multipoint) 서비스는 한 번의 전송으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에게 동일한 서비스를 전달할 수 있게 되므로 망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MBMS 서비스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유럽형 이동전화(GSM)망과 같은 무선 통신망 시스템 등에 주로 이용된다. MBMS 데이터 전송은 기본적으로 데이터 공급원으로부터의 컨텐츠 전송 단계, 서비스 제어 망 전송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존재하는 영역을 지원하는 무선망 전송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의 수신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MBMS 서비스를 제어 노드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센터(BM-SC)가 임의의 MBMS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단말기로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MBMS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컨텐츠의 형태나 변경 주기, 제공 방법들이 다양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특성이 상기 BM-SC 자체적으로 내부 CP 컨텐츠를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와, 외부 CP를 이용하는 구조가 효율적인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므로, MBMS 서비스의 제어 노드인 상기 BM-SC는 이러한 형태의 컨텐츠 제공 방안들을 모두 수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지 않았으며, 온라인 상에 이를 위한 선택적인 절차를 제공하지 않았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WCDMA망)에서 MBMS 서비스를 제어하는 BM-SC가 서비스별로 어떤 유형의 컨텐츠를 제공할지를 지정하고 자체적으로 내부 CP 컨텐츠를 저장 관리하여 제공하는 경우, 외부 CP/MB 소스 서버 연동되어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되는 경우, 및 상기 BM-SC가 단순히 컨텐츠의 전달 통로만을 제공하고 실제 컨텐츠의 전달 제어 기능을 자체적으로 가지는 외부 CP를 이용하는 구조로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로 필요한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다수의 노드 B(Node B), 다수의 무선망 제어기(RNC)로 구성된 UTRAN,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SGSN과 연결된 다수의 GGSN으로 구성된 코어 네트워크(CN), 상기 GGSN에 연동되어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어 노드(BM-SC)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의 컨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BM-SC가 MBMS 서비스를 위한 각종 타임 정보와 운용 정보를 설정하 는 단계; (b) 외부 컨텐츠 제공자/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소스 서버(CP/MB source)로부터 MBMS 서비스를 위한 해당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해당 컨텐츠를 전달할 무선 베어러 셋업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서비스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BM-SC가 컨텐츠 전달 모듈에 의해 해당 컨텐츠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팅/멀티캐스팅하여 컨텐츠를 전달하는 단계; 및 (e) 해당 MBMS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전달이 완료되면, 기 할당된 무선 베어러 해제를 위한 서비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다수의 노드 B(Node B), 다수의 무선망 제어기(RNC)로 구성된 UTRAN,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SGSN과 연결된 다수의 GGSN으로 구성된 코어 네트워크(CN), 상기 GGSN에 연동되어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어 노드(BM-SC)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의 컨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BM-SC에서 MBMS 서비스를 위한 각종 타임 정보와 운용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b) MBMS 서비스 세션 설정 시작 시점이 도래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해당 서비스의 컨텐츠 전달을 위한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c) 컨텐츠 전달 시점에 외부 CP로 서비스 ID와 세션 ID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요청(Contents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외부 CP/MB 소스 서버가 해당 컨텐츠 전달 시점이 도래하면, 해당 컨텐츠를 상기 BM-SC를 통해 GGSN 이하 하위의 분배 트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팅/멀티캐스팅되어 전송하는 단계; (e) 외부 CP가 상기 BM-SC로 서비스 ID와 세션 ID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완료(Contents Delivery Complete)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f) 상기 BM-SC에서 상기 컨텐츠 전달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서비스를 위해 설정되었던 서비스 세션 해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3GPP 이동통신 망을 기반으로 MBMS 서비스 제공을 위한 WCDMA 시스템 구성도이다. MBMS 서비스는 각각의 서비스들이 적용될 수 있는 서비스 영역(SA:Service Area)이 존재하며 이를 각 서비스 타입별로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 영역(SA)(700)이라 한다. MBMS 서비스가 적용될 서비스 영역은 셀영역 단위, 하나의 노드 B 영역 단위, RNC(Radio Network Controller) 관할 영역 단위,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 영역 단위,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영역 단위 등과 같이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SA(Service Area)는 상호 중첩도 가능하다.
멀티캐스트(Multicast) 서비스의 경우, 각각의 서비스 영역(SA)들(701~703)은 서로 다른 MBM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서비스 영역(SA)(700)에 존재하면서 MBMS 서비스를 받고자 등록한 사용자 단말기(UE:User Equipment)(101, 102)만이 그 서비스를 받게 된다.
그러나,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서비스의 경우, 해당 서비스 영역에 존재하는 모든 사용자 단말기들이 수신 가능하다. 단, 해당 사용자 단말기(UE)가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신할 수 있도록 지정한 경우에만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UE)는 특정 IP주소로 명시되는 멀태캐스트(Multicast) 서비스 수신을 위해 IPv4시스템인 경우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IPv6 시스템인 경우 MLD(Multicast Listener Discovery)를 기반으로 하는 Join 메시지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Join 메시지는 3GPP 시스템내의 GGSN에서 수신하게 되며, GGSN은 BM-SC와 MBMS 서비스를 수신할 UE Activation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임의의 사용 자 단말기가 MBMS 서비스를 종료하는 경우, UE Deactivation 과정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역시 IGMP 메시지 또는 MLD Leave 메시지를 상기 GGSN으로 송신하고, 상기 GGSN은 상기 IGMP 메시지 또는 MLD Leave 메시지를 트리거로 하여 BM-SC와 UE Deactivation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에 등록된 후, 상기 BM-SC가 해당 서비스의 스케쥴러에 의해 MBMS 서비스를 시작하면 방송형 컨테츠 데이타를 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별도의 서비스 등록 절차 없이 MBMS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게 된다. 즉, 사용자 단말기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설정(configuration)되어 있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상기 BM-SC가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MBMS 서비스 시작 시간에 맞추어 서비스를 시작하게 되며, 이는 BM-SC 에서 자체적으로 서비스 스케줄링에 의해 시작되는 MBMS 세션 설정 절차를 이용하여 3GPP망의 코어 네트워크(CN), 무선 망 제어기(RNC), 사용자 단말기(UE)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해당 서비스의 종료시에 설정된 세션을 해제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W-CDMA망은 사용자 단말(UE)(101-105)과 UTRAN(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tk)(200) 및 핵심망(Core Network)(300) 그리고 MBMS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노드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센터(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er;이하 BM-SC로 칭함)(400)와 MBMS 서비스를 통해 전달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소스 서버(Content Provider/Multicast Broadcast Source Server;이하 CP/MB source로 칭함)(510a~510n, 520)를 포함한다.
상기 CP/MB source(510a~510n, 520)는 공중 인터넷망(600)에서 통신 가능한 노드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상기 UTRAN(200)은 다수의 무선 망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이하 RNC로 칭함)(220a~220n)와, 상기 RNC(220a~220n)에 의해서 관리되는 다수의 노드 B들(210a~210n)를 포함한다. 상기 노드 B들(210a~210n)은 물리 계층 레벨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UE)(100)로부터 전송되는 상향 링크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UE)(100)로 하향 링크 신호들을 송신한다.
상기 노드 B들(210a~210n)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UE)(100)로/로부터의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UE)(100)를 상기 UTRAN(200)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점(Access Point) 역할을 한다. 상기 노드 B들(210a~210n)은 셀단위의 무선 자원을 관리함으로써 해당 셀에 존재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들과 무선 채널을 구성하고 통신한다.
상기 무선망 제어기(RNC)(220a~220n)는 무선 자원의 할당 및 관리를 담당하고, 상기 Node B들(210a~210n)을 상기 CN(300)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점 역할을 한다.
상기 핵심망(CN)(300)은 하나 이상의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 이하 SGSN으로 칭함)(310)과, 역시 하나 이상의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 GGSN으로 칭함)(320)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 망 제어기(RNC)(220a~220n)는 상기 핵심망(CN)(300)의 SGSN(310) 과 연결된다. 상기 SGSN(310)은 상기 GGSN(320)에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의 이동성을 관리하고, MBMS 관련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특정 무선망 제어기(RNC)에 선별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GGSN(320)은 인터넷 또는 외부 패킷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GGSN(320)은 GGSN 이하의 WCDMA 시스템과 외부 인터넷(600)과의 연결점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노드인 BM-SC(Broadcast-Multicast Service Center; 이하 BM-SC로 칭함)(400)는 MBMS 서비스 제공을 위한 W-CDMA 시스템의 하나의 기능적 요소로서 MBMS 사용자 서비스를 위해 반드시 존재해야만 하며, MBMS 서비스에 대한 관리 및 제어의 주체가 되어 MBMS 사용자 서비스의 준비 및 서비스 정보의 전달을 위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상기 BM-SC(400)는 MBMS 서비스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 관리, 해당 이동통신망내에서 MBMS 베어러 서비스 인가, 서비스 개시, MBMS 정보전송의 계획 및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BM-SC(4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UE)(100)로 MB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WCDMA 망의 패킷 전달망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GGSN(32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BM-SC(400)와 상기 GGSN(320)간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GGSN(320)이 외부 인터넷과 연결될 때 사용되는 IP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상기 BM-SC(400)는 MBMS 정보 전달을 위하여 컨텐츠제공자/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소스 서버(510a~510n, 520)에 대한 접속점(Entry Point)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컨텐츠 제공자(CP)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컨 텐츠 제공자(CP)는 컨텐츠 전달을 위한 응용기능을 포함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소스 서버(MB Source)는 단순히 컨텐츠 만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나 FTP서버와 같은 노드로써 이들은 상기 BM-SC(400)나 다른 CP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응용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UE)(100)로 전달된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UE)(100)들이 해당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요청을 등록한 후, 상기 BM-SC(400)가 특정 MBMS 서비스의 시작 시간에 따라 해당 서비스 컨텐츠 전달을 시작하면 이를 수신하게 된다. 이들 컨텐츠는 상기 GGSN(320), 상기 SGSN(310), 상기 RNC(220a ~220n), 상기 노드 B(210a ~210n)를 거처 해당 서비스 영역(SA)에서 사용되는 공용 채널을 통해 상기 사사용자 단말기(UE)(10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BM-SC(400)는 해당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UE)(101~105)를 지원하는 모든 GGSN(320)으로 해당 컨텐츠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GGSN(320)은 해당 사용자 단말기(UE)(100)를 지원하는 다수의 SGSN(310)으로 전달하며, 역시 상기 SGSN(310)은 다수의 RNC(220a~220n)로 전달하고, 상기 RNC(220a ~220n)는 다수의 노드 B(210a~210n)로 전달하고 최종적으로 노드 B(210a~210n)는 해당 서비스 영역(SA)에서 사용하는 공통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UE)(100)로 전달한다.
MBMS 서비스는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로써 해당 서비스별 방송 스케쥴에 따라 컨텐츠 전달이 시도되고, 상기 설명한 노드들이 각각 하위 노드들의 링크로 구성된 분산 트리(Distribution Tree)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UE)(100)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므로, 임의의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UE)(1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BM-SC(400)내의 CP 기능이나 상기 BM-SC(400)의 외부에 별도의 노드로 존재하는 CP(510a~510n, 520)는 서비스 시작 시간이 되면 컨텐츠를 송신하게 된다. 이로 인해 데이터 패킷 전달이 시작된다. 이 패킷들은 결국 MBMS 패킷 전달 경로를 따라 상기 BM-SC(400)가 상기 GGSN(320)으로 전달하기 전 단계까지 흘러오게 되고, 상기 BM-SC(400)가 상기 GGSN(320)으로 전달하려는 단계에서 해당 분산 트리 내에 유효한 GGSN이 없음을 판단하게 되면 이때 그 이하 노드로의 전달이 중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M-SC내에서 MBMS 서비스 등록시 서비스 처리를 위한 각종 타임 정보 세팅 과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상기 BM-SC(400)가 MBMS 서비스를 통해 제공될 서비스 등록 초기 단계에서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 제공자(CP)와의 연동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절차이다.
상기 BM-SC(400)를 운용하는 운용자는 MBMS 서비스 제공을 위해 BM-SC 운용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BM-SC 운용자는 별도의 운용자 터미널을 이용하여 MBMS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어떤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를 사용하는지를 등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사용자 정보와 서비스 사용등록 정보는 웹서버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일단 운용자가 시스템에서 제공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때(S210)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MBMS 서비스를 구성하는 세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예를들어, 어떤 방송 채널로 언제부터 언제부터 언제까지 어떤 종류의 컨텐츠를 방송할 것인지 등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환경 변수들과 운용 정보들을 저장한다. 이때, 운용자는 해당 서비스를 위한 정보 컨텐츠를 어떤 형태로 제공되는지를 지정하고 그에 따라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 입력 후 상기 BM-SC(400)는 실제 MBMS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하는 시간을 참조하여 해당 서비스를 위한 세션 설정 절차를 시작할 시점을 지정한다. 상기 세션 설정 절차는 이동 단말까지의 트래픽 전달 경로인 무선 베어러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단계로써 실제 컨텐츠가 전달되기 전에 이를 처리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적인 여유를 두고 시작되어야 한다. 상기 BM-SC(400)는 이를 감안하여 세션 설정 절차를 시작할 시간을 결정하여 세팅한다(S220).
상기 BM-SC(400)는 서비스별로 외부 MB소스 서버로부터 컨텐츠만을 입력받아 BM-SC자체적으로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와, 컨텐츠 전달 기능을 가지는 컨텐츠 제공자를 이용하여 단지 BM-SC(400)가 전달 패스 만을 제공하는 경우로 구분한다.
전자의 경우 상기 BM-SC(400)는 외부 MB 소스 서버로부터 두 가지 방법으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외부 MB소스 서버에서 컨텐츠의 변경이 일어났을 때 이를 상기 BM-SC(400)로 알리고 별도의 절차를 수행하여 얻는 방법이고, 두 번째의 방법은 상기 BM-SC(400)가 서비스 시작에 앞서 적절한 시점에 컨텐츠를 요구하여 얻는 방법이다. 이때, 상기 BM-SC(400)는 컨텐츠 제공자(CP)로부터 보내지는 컨텐츠 트래픽의 전달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BM-SC(400)는 컨텐츠 제공을 위해 MB소스 서버를 사용하는지 컨텐츠 제공자(CP)를 사용하는지를 판단하여(S225), CP를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정보 할당 없이 서비스 제공 상태로 천이하고, 내부 MB 소스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획득하여 BM-SC 자체적으로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를 실제로 전달될 시작 시점에 대한 정보를 지정한다(S230). 외부 MB 소스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MB 소스 서버에 의해 컨텐츠 획득 절차가 시작되는 경우와 상기 BM-SC(400)가 세션 설정 절차와 연계하여 세션별 컨텐츠를 획득하는 방법을 사용하는지를 판단한다(S240). 이때, 후자의 경우는 상기 BM-SC(400)가 외부 MB소스 서버로부터 세션별 컨텐츠 획득 시점을 지정해야 한다(S250). MBMS 서비스를 위해 준비된 컨텐츠의 크기와 해당 MB 소스와의 패킷 전달 성능을 감안하여 해당 작업이 실제 서비스 세션이 생성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시간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BM-SC 운용자가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시점에 각 서비스가 어떤 구조를 사용할 것인가와, 그 선택에 따라 관련된 정보들을 시스템에 입력하게 하고, BM-SC 제어 소프트웨어에서 서비스 세션 시작시점과 컨텐츠 획득 시점, 및 컨텐츠 전달 시작 시점과 같은 이벤트의 스케쥴링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별로 컨텐츠 제공 방식을 달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M-SC에서 외부 MB 소스 서버에 의해 시작되는 컨텐츠 다운로드 과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MB 소스 서버(400)를 사용하면서 해당 소스 서버가 컨텐츠 획득 절차를 시작하는 경우, 외부 MB소스 서버(510a-n)는 임의의 컨텐츠에 대한 변경이 일어났음을 판단한다(S311). 상기 외부 MB 소스 서버(510a-n)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변경 사실에 대한 컨텐츠 변경 통보(Contents Update Notification) 메시지를 상기 BM-SC(400)로 전달한다(S312). 이때, 상기 외부 MB 소스 서버(510a-n)는 해당 컨텐츠의 식별을 위해 변경된 컨텐츠가 전달돼야 하는 서비스 ID(Service ID)와 세션 ID(Session ID) 및 컨텐츠 파일이름(ContentsName)을 포함한 컨텐츠 변경 통보(Contents Update Notification) 메시지를 상기 BM-SC(400)로 전달한다.
상기 BM-SC(400)는 상기 컨텐츠 변경 통보를 받으면, 해당 컨텐츠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을 위해 서비스 ID와 세션 ID를 포함한 컨텐츠 요청(Contents Request) 메시지를 상기 외부 MB소스 서버(510a-n)로 전달한다(S313). 이후부터 상기 외부 MB소스 서버(510a-n)로부터 상기 BM-SC(400)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다(S314).
상기 외부 MB 소스 서버(510a-n)는 해당 컨텐츠의 전달을 완료한 후, 상기 BM-SC(400)로 해당 컨텐츠 파일에 대한 서비스 ID(Service ID)와 세션 ID(Session ID) 및 컨텐츠 파일이름(ContentsName)을 포함한 컨텐츠 다운로드 완료(Contents Download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한다(S315).
해당 컨텐츠를 수신한 상기 BM-SC(400)는 상기 BM-SC(400)내에 저장되어 있던 기존의 컨텐츠를 서비스별 새로운 컨텐츠로 교체 저장, 관리한다(S316). 이와 같은 컨텐츠 획득 과정은 임의의 컨텐츠가 바뀔 때마다 상기 MB소스 서버(510a-n)에 의해 시작되고 해당 컨텐츠의 다운로드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BM-SC(400)가 임의 서비스를 위한 세션 설정을 시작하면(S320), 해당 컨텐츠를 전달할 무선 베어러 셋업을 위한 서비스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S321). 이때, 서비스 세션의 시작은 도 2의 S220 단계에서 세팅한 값을 기준으로 처리된다. 상기 서비스 세션 설정 절차는 상기 BM-SC(400) 이하 GGSN(320), SGSN(310), RNC(220a-220n), UE(100)로 규격 3GPP TS 26.346에 지정된 절차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BM-SC(400)는 세션 설정 절차를 완료하면, 해당 컨텐츠의 전달 시작 시점이 도래했는지를 판단하고(S322), 이동통신망을 통해 해당 컨텐츠를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컨텐츠 전달 모듈을 구동한다(S323). 상기 컨텐츠 전달 모듈은 컨텐츠의 타입에 적합한 패킷 생성 절차에 따라 멀티캐스트 패킷을 만들어 3GPP 시스템의 접속점 역할을 하는 GGSN(320)으로 전달한다. 상기 GGSN(320)으로 전달된 컨텐츠 패킷은 GTP 터널을 이용하여 상기 SGSN(310)과 무선망 제어기(RNC)(220a-220n)로 전달되고, 상기 무선망 제어기(RNC)와 사용자 단말기(UE)(100)간에 설정된 무선 베어러를 통해 단말기까지 전달된다(S324).
상기 컨텐츠 전달 모듈은 해당 컨텐츠 파일을 전달을 모니터링하여 전달이 완료됐는지를 판단한다(S325). 상기 BM-SC(400)는 해당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이미 할당되었던 무선 베어러 해제를 위한 서비스 세션 해제 절차를 수행한다(S326). 이때, 3GPP망은 해당 서비스 전달을 위해 연결했던 무선 자원들을 해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M-SC가 서비스 시작시점에 외부 MB소스 서 버로 컨텐츠 다운로드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즉, 외부 MB 소스 서버(510a-n)를 사용하여 상기 BM-SC(400)가 서비스 시작 시점에 맞추어 컨텐츠 획득 절차를 시작하는 경우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 BM-SC(400)는 임의의 서비스를 시작돼야 하는 시점과 연계하여 컨텐츠 획득 절차를 수행한다(S410).
상기 BM-SC(400)는 도 2의 250단계에서 저장된 컨텐츠 획득 시간이 도래했는지를 판단한다(S411). 해당 서비스의 시작이 얼마 남지 않아 관련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해야 하는 시점을 의미한다. 이 시간은 해당 컨텐츠 파일의 크기와 MB소스 서버와 BM-SC사이의 다운로드 시간을 감안해서 운용자가 서비스를 입력했을 때 상기 BM-SC(400)의 제어 기능에서 지정하여 세팅한다.
실제 MBMS 서비스가 시작되어야 하는 시간보다 일정 시간 전에 상기 컨텐츠 획득 시점이 도래하면, 상기 BM-SC(400)는 해당 컨텐츠를 다운받도록 상기 외부 MB 소스 서버(510a-n)로 어느 서비스의 어느 세션을 위한 컨텐츠가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ID(Service ID)와 세션 ID(Session ID)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요청(Contents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412).
컨텐츠 파일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한 상기 외부 MB소스 서버(510a-n)는 해당 서비스의 해당 세션을 위한 컨텐츠를 찾아 다운로드시켜 상기 BM-SC(400)로 전달한다(S413). 그리고, 상기 외부 MB소스 서버(510a-n)에서 해당 컨텐츠 전달이 완료되면 상기 BM-SC(400)로 서비스 ID(Service ID)와 세션 ID(Session ID)를 포함하는 컨텐츠 다운로드 완료(Contents Download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서 비스의 해당 세션에 대한 컨텐츠 파일의 전달 완료를 알린다(S414).
이때, 상기 BM-SC(400)는 다운로드된 해당 세션을 위한 컨텐츠를 임시 저장하고(S415) 세션 시작을 준비한다.
해당 컨텐츠 획득 후, 상기 BM-SC(400)가 임의 서비스를 위한 세션 설정 시작 시간을 판단한다(S421). 상기 세션 설정 시작 시간이 되면, 해당 컨텐츠를 전달할 무선 베어러 셋업을 위한 해당 서비스에 대한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S422). 이때, 서비스 세션의 시작은 도 2의 220 단계에서 세팅한 값을 기준으로 처리되며 세션 설정 절차는 상기 BM-SC(400) 이하 GGSN(320), SGSN(310), 무선망 제어기(RNC)(220a-220n), 사용자 단말기(UE)(100)를 거처, 규격 3GPP TS 26.346에 지정된 세션 설정 절차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BM-SC(400)는 세션 설정 절차가 완료되면 해당 컨텐츠의 전달 시작 시점이 도래했는지를 판단하여(S425), 컨텐츠 전달 시작 시점이 도래하면 해당 컨텐츠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컨텐츠 전달 모듈을 구동한다(S426).
상기 컨텐츠 전달 모듈은 컨텐츠의 타입에 적합한 패킷 생성 절차에 따라 멀티캐스트 패킷을 만들어 3GPP 시스템의 접속점 역할을 하는 상기 GGSN(320)으로 전달한다. 상기 GGSN(320)으로 전달된 컨텐츠 패킷은 GTP 터널을 이용하여 SGSN(310)과 상기 무선망 제어기(RNC)(220a-220n)로 전달되고 RNC와 사용자 단말기(UE)간에 설정된 무선 베어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UE)(100)까지 전달된다(S427).
상기 컨텐츠 전달 모듈은 해당 컨텐츠 파일의 전달이 완료됐는지를 모니터링 하여, 해당 컨텐츠의 전달이 완료됐는지를 판단한다(S428). 상기 BM-SC(400)는 해당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데이터 전달이 완료되면 이미 할당되었던 무선 베어러 해제를 위한 서비스 세션 해제 절차를 수행한다(S429).
세션 해제절차 역시 상기 BM-SC(400) 이하 GGSN(320), SGSN(310), 무선망 제어기(RNC)(220a220n), 사용자 단말기(UE)(100)를 거처 규격 3GPP TS 26.346에 지정된 절차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3GPP망은 해당 서비스 전달을 위해 연결했던 무선 자원들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각 서비스별로 세션 설정 과정(S420)과 컨텐츠 획득 과정(S410)은 처리 순서를 바꾸어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MBMS 서비스를 위한 세션 설정 절차 이전에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 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세션 설정이 완료된 후 해당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든 실제 MBMS 서비스 시작 시간 전에 두 가지 작업이 모두 완료될 수 있도록 도 2에서 설명된 각 이벤트별 시작 시간들이 서비스 등록 시점에 지정되어 저장돼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처리가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M-SC가 외부 컨텐츠 제공자를 이용하여 MBMS 서비스 컨텐츠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즉, 컨텐츠 전달 기능을 가지는 외부 컨텐츠 제공자(CP)를 이용하여 단지 상기 BM-SC(400)가 전달 패스(path) 만을 제공하는 경우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 경우는 서비스 시작 시간 전에 해당 서비스를 위한 해당 컨텐츠를 미리 다운로드받아 상기 BM-SC(400) 내부적으로 전달을 책임지는 형태가 아니라 상기 BM-SC(400)가 MBMS 서비스를 위한 제어 플랜의 업무만을 수행하고 컨텐츠 트래픽에 관련된 모든 처리는 외부 컨텐츠 제공자(CP) 처리하는 방법이다.
즉, 상기 BM-SC(400)는 MBMS 서비스 세션 설정 시작 시점이 도래하면(S501),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해당 서비스의 컨텐츠 전달을 위한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한 후(S502), 컨텐츠 전달 시점에 외부 컨텐츠 제공자(CP)로 서비스 ID(Service ID)와 세션 ID(Session ID)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요청(Contents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503). 이때, 세션 설정 절차 또한 실제 서비스 시작 시간 이전에 설정되어야 하며 도 2의 S220단계에서 정해진 값을 이용하여 처리한다.
컨텐츠 전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외부 컨텐츠 제공자(CP)(510a-n)는 해당 컨텐츠의 전달이 시작되어야 할 시점을 모니터링하여 컨텐츠 전달 시점이 도래하면(S504) 실제 컨텐츠를 상기 BM-SC(400)를 통해 GGSN(320) 이하 하위의 분배 트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UE)(100)로 브로드캐스팅/멀티캐스팅되어 전송한다(S505).
해당 컨텐츠의 전달이 완료되면(S506), 외부 컨텐츠 제공자(CP)(510a-n)는 상기 BM-SC(400)로 해당 서비스에 대한 해당 컨텐츠 전달을 완료됐음을 알리기 위해 서비스 ID(Service ID)와 세션 ID(Session ID)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완료(Contents Delivery Complete) 메시지를 전달한다(S507).
상기 BM-SC(400)는 상기 컨텐츠 전달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서비스를 위해 설정되었던 서비스 세션을 해제하는 절차를 수행한다(S508).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MBMS 서비스를 제어하는 BM-SC 노드가 임의의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BM-SC 자체적으로 컨텐츠를 저장 관리하여 이를 제공하는 방법과 외부 컨텐츠 제공자(CP)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를 동시에 지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MBMS 서비스가 그 특성에 따라 컨텐츠의 형태나 변경 주기, 제공 방법들이 다양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특성에 따라 BM-SC 자체적으로 컨텐츠를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와 외부 컨텐츠 제공자를 이용하는 구조가 효율적인 경우로 구분될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대비하여 BM-SC 운용자가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시점에 각 서비스가 어떤 구조를 사용할 것인가와, 그 선택에 따라 관련된 정보들을 시스템에 입력하여 BM-SC 제어 소프트웨어에서 이를 기반 으로 서비스 세션 시작 시점과 컨텐츠 획득 시점 및 컨텐츠 전달 시작 시점 등의 이벤트 스케쥴링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별로 컨텐츠 제공 방식을 달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Claims (13)

  1. 다수의 노드 B(Node B), 다수의 무선망 제어기(RNC)로 구성된 UTRAN,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SGSN과 연결된 다수의 GGSN으로 구성된 코어 네트워크(CN), 상기 GGSN에 연동되어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어 노드(BM-SC)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BM-SC가 MBMS 서비스를 위한 각종 타임 정보와 운용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b) 외부 컨텐츠 제공자/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소스 서버(CP/MB source)로부터 MBMS 서비스를 위한 해당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해당 컨텐츠를 전달할 무선 베어러 셋업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서비스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BM-SC가 컨텐츠 전달 모듈에 의해 해당 컨텐츠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팅/멀티캐스팅하여 컨텐츠를 전달하는 단계; 및
    (e) 해당 MBMS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전달이 완료되면, 기 할당된 무선 베어러 해제를 위한 서비스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설정 절차 완료 후, 해당 컨텐츠의 전달 시작 시점이 도래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해당 컨텐츠의 전달 시작 시점이면 상기 컨텐츠 전달 모듈을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달 모듈이 해당 서비스를 위한 해당 컨텐츠 파일 전송을 모니터링하여 전달이 완료됐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MBMS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정보, 서비스를 구성하는 세션에 대한 정보 및 운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BM-SC는 실제 서비스 시간을 참조하여 해당 서비스를 위한 세션 설정 절차를 시작할 시점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BM-SC는 컨텐츠 제공을 위해 MB소스 서버를 사용하는지 컨텐츠 제공자(CP)를 사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내부 MB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획득하여 BM-SC 자체적으로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전달할 시작 시점에 대한 정보를 지정하는 단계;
    외부 MB 소스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 MB 소스 서버에 의해 컨텐츠 획득 절차가 시작되는 경우와 상기 BM-SC가 세션 설정 절차와 연계하여 세션별 컨텐츠를 획득하는 방법을 사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BM-SC가 세션 설정 절차와 연계하여 세션별 컨텐츠를 획득하는 경우, 외부 MB 소스 서버로부터 세션별 컨텐츠 획득 시점을 지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외부 MB소스 서버가 임의의 컨텐츠에 대한 변경이 일어났음을 판단하고, 해당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 ID와 세션 ID 및 컨텐츠 파일이름을 포함한 컨텐츠 변경 통보(Contents Update Notification) 메시지를 상기 BM-SC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변경 통보 메시지를 받으면, 해당 컨텐츠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를 위해 서비스 ID와 세션 ID를 포함한 컨텐츠 요청(Contents Request) 메시지를 상기 외부 MB소스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외부 MB소스 서버로부터 상기 BM-SC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
    상기 MB 소스 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의 전달을 완료한 후, 상기 BM-SC로 해당 컨텐츠 파일에 대한 서비스 ID와 세션 ID 및 컨텐츠 파일이름을 포함한 컨텐츠 다운로드 완료(Contents Download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BM-SC는 해당 컨텐츠를 수신 후, 상기 BM-SC내에 저장되어 있던 기존 컨텐츠를 서비스별 새로운 컨텐츠로 교체 저장,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실제 MBMS 서비스가 시작 시간보다 일정 시간 전에 컨텐츠 획득 시점이 도래하면, 상기 외부 MB 소스 서버로 서비스 ID와 세션 ID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요청(Contents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외부 MB 소스 서버에서 해당 서비스의 세션을 위한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시켜 상기 BM-SC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외부 MB 소스 서버에서 해당 컨텐츠 전달이 완료되면, 서비스 ID와 세션 ID를 포함하는 컨텐츠 다운로드 완료(Contents Download Complete) 메시지를 상기 BM-SC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BM-SC가 해당 세션을 위한 컨텐츠를 임시 저장하고 세션 시작을 준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BM-SC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서비스 정보 저장시, 각 서비스 세션 시작 시점, 컨텐츠 획득 시점 및 컨텐츠 전달 시작 시점에 대한 이벤트 스케쥴링을 수행하여 MBMS 서비스별로 방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설정 절차는 상기 BM-SC 이하 GGSN, SGSN, 무선망 제어기(RNC), 사용자 단말기(UE)로 규격 3GPP TS 26.346에 지정된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달 시점 전에, 각 서비스별로 세션 설정 과정 후에 컨텐츠 획득 과정의 순서로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10. 다수의 노드 B(Node B), 다수의 무선망 제어기(RNC)로 구성된 UTRAN,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SGSN과 연결된 다수의 GGSN으로 구성된 코어 네트워크(CN), 상기 GGSN에 연동되어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어 노드(BM-SC)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BM-SC에서 MBMS 서비스를 위한 각종 타임 정보와 운용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b) MBMS 서비스 세션 설정 시작 시점이 도래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해당 서비스의 컨텐츠 전달을 위한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c) 컨텐츠 전달 시점에 외부 CP로 서비스 ID와 세션 ID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요청(Contents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외부 CP/MB 소스 서버가 해당 컨텐츠 전달 시점이 도래하면, 해당 컨텐츠를 상기 BM-SC를 통해 GGSN 이하 하위의 분배 트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팅/멀티캐스팅되어 전송하는 단계;
    (e) 외부 CP가 상기 BM-SC로 서비스 ID와 세션 ID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완료(Contents Delivery Complete)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f) 상기 BM-SC에서 상기 컨텐츠 전달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서비스를 위해 설정되었던 서비스 세션 해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MBMS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정보, 서비스를 구성하는 세션에 대한 정보 및 운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BM-SC는 실제 서비스 시간을 참조하여 해당 서비스를 위한 세션 설정 절차를 시작할 시점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BM-SC는 컨텐츠 제공을 위해 MB소스 서버를 사용하는지 컨텐츠 제공자(CP)를 사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내부 MB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획득하여 BM-SC 자체적으로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전달할 시작 시점에 대한 정보를 지정하는 단계;
    외부 MB 소스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 MB 소스 서버에 의해 컨텐츠 획득 절차가 시작되는 경우와 상기 BM-SC가 세션 설정 절차와 연계하여 세션별 컨텐츠를 획득하는 방법을 사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BM-SC가 세션 설정 절차와 연계하여 세션별 컨텐츠를 획득하는 경우, 외부 MB 소스 서버로부터 세션별 컨텐츠 획득 시점을 지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BM-SC에서 전달 패스(path)만을 제공하고, 자체적으로 컨텐츠 전달 기능을 가지는 외부 컨텐츠 제공자(CP)가 방송용 컨텐츠를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BM-SC는 MBMS 서비스를 위한 제어 플랜의 업무를 수행하고, 상기 외부 컨텐츠 제공자(CP)에서 컨텐츠 전달에 관련된 모든 처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050120843A 2005-12-09 2005-12-09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0658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843A KR100658567B1 (ko) 2005-12-09 2005-12-09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843A KR100658567B1 (ko) 2005-12-09 2005-12-09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567B1 true KR100658567B1 (ko) 2006-12-15

Family

ID=3773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843A KR100658567B1 (ko) 2005-12-09 2005-12-09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62626B (zh) * 2007-03-05 2012-01-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Mbms的信道传输方法及系统、网络侧和终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62626B (zh) * 2007-03-05 2012-01-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Mbms的信道传输方法及系统、网络侧和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0933B2 (en) Method of efficiently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KR101110799B1 (ko) 사용자 장비 유닛을 카운트하는 방법,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사용자 장비 유닛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JP4739412B2 (ja) ローミング加入者用のマルチメディア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MBMS)のプロビジョン(provision)
US8107407B2 (en) EHSPA architecture
KR100640462B1 (ko) 임시 이동 그룹 식별자 생성 및 분배 방법
KR100584449B1 (ko)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사용자 단말기를호출하기 위한 서비스 컨텍스트 관리방법
KR100812995B1 (ko)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서비스 공지 방법 및시스템
KR101085685B1 (ko) 멀티미디어 방송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역방향 호환성지원 방법
WO2008113263A1 (en) Method for supporting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in evolvement of system architecture
EP1739876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erminating user session in a multicast service
KR100733911B1 (ko) Mbms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9144105B2 (en) Deactivation method of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and related device
KR101169043B1 (ko) 무선통신망에서 방송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 획득 및 공표방법
KR100772498B1 (ko) 콘텐츠 푸쉬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및 이동 단말
JP2008529447A (ja) マルチメディア・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方式サービス(mbms)のための改良されたリソース活用
JP3869417B2 (ja) ユーザ端末装置に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及び/又はブロードキャスト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
CN100442774C (zh) 在微波接入全球互通系统中提供组播业务的方法及系统
KR20060120591A (ko) Mbms용 공통 전송 채널 설정 방법
KR100691431B1 (ko)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망에서 컨텐츠 패킷 전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1946459B (zh) 用于可靠的广播/组播服务的方法和设备
KR100658567B1 (ko)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0690439B1 (ko)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 방법
KR100790130B1 (ko)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의 세션 무관심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US7839809B2 (en) Uninterrupted multicast service in a radiocommunication system
KR100828066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1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