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2995B1 -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서비스 공지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서비스 공지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995B1
KR100812995B1 KR1020060090159A KR20060090159A KR100812995B1 KR 100812995 B1 KR100812995 B1 KR 100812995B1 KR 1020060090159 A KR1020060090159 A KR 1020060090159A KR 20060090159 A KR20060090159 A KR 20060090159A KR 100812995 B1 KR100812995 B1 KR 100812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bms
notification
area
announ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은희
조철회
박용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90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995B1/ko
Priority to US12/441,626 priority patent/US8064820B2/en
Priority to PCT/KR2007/004414 priority patent/WO200803588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41Directories for service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서비스 공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별로 서비스를 공지하기 위한 서비스 공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시스템의 BM-SC((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er)에서 서비스 공지 문서를 제공하기 위한 MBMS 서비스 공지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공지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서비스 공지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서비스 공지 영역으로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서비스 공지 문서를 제공하기 위하여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공지 영역으로 해당 서비스 공지 문서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공지 문서는, 서비스 공지 영역별 공지 영역 디렉토리를 포함하고, 상기 공지 영역 디렉토리는, 해당 서비스 공지 영역에서 제공될 서비스별로 서비스 디렉토리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MBMS 시스템 등에 이용됨.
Figure R1020060090159
3GPP,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BM-SC, 멀티캐스트 베어러, 서비스 공지

Description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서비스 공지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announcement using MBMS multicast beare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3GPP 기반의 MBMS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BMS 멀티캐스트 서비스 영역, 서비스 공지 영역 및 서비스 공지를 위한 멀티캐스트 서비스 할당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BM-SC에서 서비스 공지 문서를 관리하는 체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별 서비스 공지 절차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사용자 단말기(UE) 20: UTRAN
30: 코어 네트워크(CN) 40: BM-SC
52: CP/MB 소스 서버 21a~21n: Node B
22a~22n: RNC
본 발명은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서비스 공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망에서 MBMS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별로 서비스를 공지하기 위한 서비스 공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는 데이터 공급원(data source)인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 CP) 또는 MB(Multicast Broadcast) 소스 서버로부터 획득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패킷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들로 브로드캐스팅 또는 멀티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러한 외부 컨텐츠 공급원들은 MBMS를 관리 및 제어하는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어 노드(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Center: BM-SC)와 연동하고, BM-SC는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게이트웨이로 동작하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ing Node: GGSN)와 연동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달된다.
이와 같은 점 대 다점(point-to-multipoint) 서비스는 MBMS 컨텐츠를 CP/MB 소스 서버로부터 한 번의 브로드캐스팅/멀티캐스팅 형태의 전송으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에 의해 공유되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채널로 동시에 전달하게 되므로 이동통신망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MBMS 서비스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망(WCDMA망), 유럽형 이동전화망(예: GSM망) 등의 무선 통신망 시스템에 주로 이용되며, MBMS 서비스 관리를 위해 정의된 네트워크 요소인 BM-SC를 중심으로 기존 패킷 서비스를 위한 패킷 코어 망과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 제공하는 베어러를 이용하여 동시에 여러 단말로 컨텐츠를 전달하게 된다.
이동통신망에서 MB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임의의 단말이 임의의 지역에서 어떤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BM-SC는 이동 단말로 사용 가능한 멀티캐스트 서비스 리스트 및 관련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알리기 위해 서비스를 공지하여야 하며, 이동 단말들은 공지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단말기 환경을 세팅하고 사용자에게 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MBMS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통신망 환경에서 이러한 서비스 공지는 MBMS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SMS(Short Message Service), CBS(Call Broadcast Service),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과 같은 이동통신망에서 제공되는 기존의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활용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유선 인터넷에서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브라우저 간의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형태의 서비스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CBS를 제외한 상기 다른 방법들은 모두 유니캐스트 모드의 통신 방식을 따르게 되는데, 임의의 지역 내에서는 동일한 내용을 모든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환경에서 각 단말이 서비스 정보를 얻기 위해 유니캐스트 채널을 사용하는 것은 자원의 점유와 프로세싱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한 번의 데이터 전송으로 여러 단말이 동시에 같은 정보를 수신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MBMS 서비스의 도입의 취지를 그대로 적용하여 MBMS 베어러를 이용하는 방안이 매우 합리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브로드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할 경우에는 BM-SC가 브로드캐스트 모드로 모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망으로 전달하게 되며, 이동통신망은 모든 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이를 전달하게 되므로 모든 단말들이 동일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는 자신이 위치한 해당 지역에서 서비스되지 않는 서비스 정보까지 모두 수신하고 그 정보들 중 해당 영역에 해당하는 서비스만을 요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고, 이러한 서비스 공지 절차가 주기적으로 수행되므로 무선 자원을 통해 불필요한 정보가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결국 무선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서비스 공지는 주기적으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게 되므로 무선 구간에 주기적으로 그 지역에 제공되지 않는 다른 서비스들의 정보까지 전달되는 것은 한정된 무선자원을 낭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실제 MBMS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해당 서비스가 제공되는 영역에만 그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보냄으로써, 무선 구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이고 이를 수신한 이동 단말이 별도의 조작 없이 공지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BMS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공지는 서비스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서비스 리스트와 해당 서비스가 전달할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여야 한다. 하지만, MBMS 서비스의 브로드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하는 경우 모든 단말기들이 어떤 지역에 있더라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서만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게 되므로 BM-SC는 서비스 가능한 모든 MBMS 서비스 리스트와 각 서비스에 의해 전달될 컨텐츠들의 정보들을 해당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전달하여야 한다. 이는 서비스 공지를 수신한 단말기에서 자신의 위치에서 수신 가능한 서비스들만을 골라내는 부수적인 작업이 필요하게 하며, 무선 자원을 통해 불필요한 정보들이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MBMS 베어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공지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MBMS 서비스 영역 전체를 대상으로 가능한 모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한꺼번에 공지하는 형태인 브로드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하는 방법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리적인 영역별로 수신되는 서비스가 서로 다른 경우에 해당 영역에 제공 가능한 서비스들만을 선별하여 공지할 수 있는 기술의 구현이 요구된다.
한편, 서비스 공지를 위한 단위 영역당 하나씩의 서비스 공지용 MBMS 멀티캐스트 채널을 할당하고 BM-SC에서는 서비스 공지를 통해 단말로 전달되어야 하는 정보들을 각 서비스 공지를 위한 단위 영역별로 관리하여 해당 공지 영역에 해당하는 정보들만 그 지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서비스 공지를 위한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 설정 과정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일반적으로 임의의 단말이 임의의 MBMS 멀티캐스트 서비스 그룹에 가입하고자 하는 IGMP(또는 IPv6인 경우에는 MLD)를 송신했을 경우에 일어나게 된다.
하지만, 서비스 공지는 단말이 서비스 공지를 수신하고자 하는 의도와 상관 없이 항상 수신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어야 하므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IGMP나 MLD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별로 서비스를 공지하기 위한 서비스 공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개입 없이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별로 서비스를 공지하기 위한 서비스 공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시스템의 BM-SC((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er)에서 서비스 공지 문서를 제공하기 위한 MBMS 서비스 공지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공지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서비스 공지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서비스 공지 영역으로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서비스 공지 문서를 제공하기 위하여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공지 영역으로 해당 서비스 공지 문서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공지 문서는, 서비스 공지 영역별 공지 영역 디렉토리를 포함하고, 상기 공지 영역 디렉토리는, 해당 서비스 공지 영역에서 제공될 서비스별로 서비스 디렉토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시스템의 UTRAN(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서 서비스 공지 문서를 제공하기 위한 MBMS 서비스 공지 방법에 있어서, MBMS 서비스 공지용 IP 세션 설정을 위한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MBMS 서비스를 공지할 서비스 공지 영역의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가상 IGMP 또는 MLD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공지 영역으로 서비스 공지 문서를 전달하기 위한 MBMS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공지 영역에 대한 무선 멀티캐스트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및 BM-SC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공지 문서를 상기 무선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공지 문서는, 서비스 공지 영역별 공지 영역 디렉토리를 포함하고, 상기 공지 영역 디렉토리는, 해당 서비스 공지 영역에서 제공될 서비스별로 서비스 디렉토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MBMS 서비스 공지 시스템으로서,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어 노드(BM-SC)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 노드를 포함하는 상기 MBMS 서비스 공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BM-SC는, 서비스 공지 영역별 공지 영역 디렉토리를 포함하고, 상기 공지 영역 디렉토리는 하위 디렉토리로서 해당 서비스 공지 영역에서 제공될 서비스별로 서비스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서비스 공지 문서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 노드는, 상기 서비스 공지 문서를 해당 서비스 공지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서비스 공지를 위한 단위 영역당 하나씩의 서비스 공지용 MBMS 멀티캐스트 채널을 할당하고 BM-SC에서는 서비스 공지를 통해 단말로 전달되어야 하는 정보들을 각 서비스 공지를 위한 단위 영역별로 관리하여 해당 공지 영역에 해당하는 정보들만 그 지역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서비스 공지를 위한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 설정 과정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일반적으로 임의의 단말이 임의의 MBMS 멀티캐스트 서비스 그룹에 가입하고자 하는 IGMP(IPv6인 경우 MLD)를 송신했을 경우 일어나게 된다. 하지만, 서비스 공지는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 공지를 수신하고자 하는 의도와 상관없이 항상 수신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어야 하므로 임의의 단말로부터의 IGMP나 MLD를 기대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비스 공지를 위한 멀티캐스트 베어러 설정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의 개입 없이 일반적인 MBMS 멀티캐스트 서비스처럼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UTRAN에 서비스 공지를 위한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또는 MLD(Multicast Listener Discovery) 메시지 송신과 같은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단말과 UTRAN, 코어 망 그리고 BM-SC에서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관리하는 절차를 그대로 이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GPP 기반의 MBMS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MBMS 서비스는 지역에 따라 제공되며, 하나의 MBMS 서비스가 제공되는 영역을 그 MBMS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영역(SA: Service Area)이라 한다.
상기 서비스 영역(SA)은 셀 영역 단위, 하나의 노드 B(Node B) 영역 단위, RNC(Radio Network Controller) 관할 영역 단위,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 영역 단위,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영역 단위 등의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서비스 영역(SA)은 상호 중첩도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멀티캐스트(Multicast) 서비스의 경우, 각각의 서비스 영역(SA)들(71~73)은 서로 다른 MBM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서비스 영역(SA)(71)에 존재하면서 MBMS 서비스를 받고자 등록한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11, 12)들만 해당 MBMS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한편,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서비스의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 영역(SA)에 존재하는 모든 사용자 단말기들이 수신 가능하다. 단, 해당 서비스 영역(SA)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기들(UE)(11-15)이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신할 수 있도록 지정한 경우에만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BMS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10), UTRAN(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20),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30),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어 노드(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er: BM-SC)(40), 및 컨텐츠 제공자/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Content Provider/Multicast Broadcast: CP/MB) 소스 서버(51a~51n, 52)를 포함한다.
UTRAN(20)은 방송형 멀티미디어 컨텐츠 패킷을 수신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UE)(10)를 관리하기 위한 다수의 노드 B(21a-21n), 및 다수의 노드 B(21a-21n)들을 관리하기 위한 다수의 무선망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22a-22n)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CN)(30)는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31) 및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32)을 포함한다.
BM-SC(40)는 GGSN(32)에 연동되어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UE)(11-15)로 컨텐츠가 브로드캐스팅/멀티캐스팅 전송되도록 멀티미디어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를 제어하고 관리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UE)(11-15)는 GGSN(32) 하위 노드들의 링크로 각각 구성된 분산 트리(distribution tree)를 통해 MBMS 서비스를 등록한 멀티캐스트 세션에 조인된다(joined to multicast session).
CP/MB 소스 서버(51a~51n, 52)는 BM-SC(40)에 연결되거나 또는 인터넷(60)과 연결되어 MBMS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해당 MBMS 서비스별 방송 스케쥴에 따라 내부 컨텐츠 제공자(CP)의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 컨텐츠 및 인터넷에 연결된 외부 CP의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한다.
노드 B(21a~21n)는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레벨에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UE)(11-15)로부터 전송되는 상향 링크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UE)(10)로 하향 링크 신호들을 송신한다. 즉, 노드 B들(21a~21n)은 사용자 단말기(UE)(10)와 신호들을 송수신하며, 사용자 단말기(UE)(10)들을 UTRAN(20)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점(Access Point) 역할을 한다. 또한, 노드 B들(21a~21n)은 셀 단위의 무선 자원을 관리함으로써 해당 셀(cell)에 존재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UE)(10)들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한다.
RNC(22a~22n)는 다수의 노드 B들(21a-21n)에 대한 무선 자원의 할당 및 관리를 담당하고, 노드 B들(21a~21n)을 코어 네트워크(CN)(30)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점 역할을 한다.
무선 망 제어기(RNC)(22a~22n)는 코어 네트워크(CN)(30)의 SGSN(31)과 연결된다.
SGSN(31)은 GGSN(32)에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UE)(10)의 이동성을 관리하고, MBMS 관련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특정 RNC(22a~22n)로 선별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GGSN(32)은 인터넷 또는 외부 패킷 네트워크(packet network)와의 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 GGSN(32)은 BM-SC(40)를 통해 외부 인터넷(60)과 연결된다.
BM-SC(40)는 MBMS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노드이고, MB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W-CDMA 시스템의 하나의 기능적 요소로서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BM-SC(40)는 MBMS 서비스에 대한 관리 및 제어의 주체가 되어, MBMS 사용자 단말기들의 서비스의 준비 및 서비스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BM-SC(40)는 MBMS 서비스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 관리, 이동통신망에서 MBMS 베어러 서비스 인가, 서비스 개시, MBMS 정보 전송을 계획 및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가 해당 지역에서 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와 해당 서비스로부터 수신받을 컨텐츠들의 성격 및 통신을 위해 필요한 파라메터들을 전달하는 서비스 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BM-SC(40)는 사용자 단말기들(UE)(11-15)로 MB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W-CDMA망의 패킷 전달망의 접속점인 GGSN(32)과 연결된다. BM-SC(40)와 GGSN(32)과의 인터페이스는 GGSN(32)이 외부 인터넷(60)과 연결될 때 사용되는 IP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BM-SC(40)는 MBMS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CP/MB 소스 서버(51a~51n, 52)에 대한 접속점(Entry Point) 역할을 하며, 자체적으로 컨텐츠 제공자(CP)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자(CP)는 컨텐츠 전달을 위한 응용 기능을 포함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MB) 소스 서버는 단순히 컨텐츠 만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나 FTP(File Transfer Protocol) 서버와 같은 노드이다.
CP/MB 소스 서버(51a~51n, 52)는 BM-SC(40)나 다른 컨텐츠 제공자(CP)로부터 제공되는 MBMS 서비스 응용에 따라 방송형 컨텐츠를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UE)로 전송되도록 제공한다. CP/MB 소스 서버(51a~51n, 52)는 인터넷(60)을 통해 노드 형태로 통신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UE)(10)는 BM-SC(4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공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서비스의 리스트 및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MBMS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사용자가 특정 MBMS 서비스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UE)(10)는 BM-SC(40)로 해당 서비스에 대한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사용자 단말기(UE)(10)는 해당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요청을 BM-SC(40)로 등록하고, 해당 MBMS 서비스의 시작시간에 BM-SC(40)로부터 해당 MBMS 서비스 컨텐츠를 전달받아 수신한다.
BM-SC(40)는 MBMS 서비스 제어에 따라 CP/MB 소스 서버(52, 51a-n)로부터의 MBMS 서비스 컨텐츠를 GGSN(32), SGSN(31), RNC(22a ~22n) 및 노드 B(21a ~21n)를 경유하여 해당 서비스 영역(SA1)에서 사용되는 공용 채널을 통해 해당 서비스 영역(SA)(71)의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1,12)로 전달한다.
이때, BM-SC(40)는 해당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 12)를 지원하는 모든 GGSN(32)으로 해당 컨텐츠를 전달한다.
GGSN(32)은 해당 컨텐츠를 해당 서비스 영역(SA1)(71)의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UE)(11, 12)를 지원하는 다수의 SGSN(31)으로 전달한다.
SGSN(31)은 다수의 RNC(22a~22n)로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고, 해당 RNC(22a)는 다수의 노드 B(21a~21n)로 전달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노드 B(21a~21n)는 해당 서비스 영역(SA1)(71)에서 사용하는 공통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UE)(11, 12)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MBMS 서비스는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로서 해당 서비스별 방송 스케쥴에 따른 BM-SC(40)의 제어에 의해 CP/MB 소스 서버(52, 51a-n)로부터 GGSN(32) 이하 각각의 하위 노드들의 링크로 구성된 분산 트리(distribution tree)를 통해 MBMS 서비스를 요청한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UE)(11, 12)들로 컨텐츠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서비스 공지 환경에서 MBMS 멀티캐스트 서비스 영역(Service Area)과 서비스 공지 영역 및 서비스 공지를 위한 멀티캐스트 서비스 할당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MBMS 베어러를 이용한 서비스 공지 기능은 MBMS 다운로드 타입의 서비스 처리 절차를 따른다. 3GPP 규격은 다운로드 타입의 MBMS 서비스를 위해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제안된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와 BM-SC에 FLUTE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구동됨으로써 컨텐츠 다운로드를 수행한다.
서비스 공지 자체를 하나의 MBMS 서비스로 간주하고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정의로서 FLUTE 세션에서 사용될 IP 멀티캐스트 주소와 포트를 할당한다.
이러한 시스템 정보들은 BM-SC와 사용자 단말기 간에 공유되며 사용자 단말기는 미리 컨피규레이션 될 수도 있고 가변적으로 UTRAN을 통해 수신받을 수도 있다.
이렇게 정의된 정보를 이용하여 BM-SC, CN 및 UTRAN은 서비스 공지를 위한 MBMS 베어러를 설정하고 BM-SC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될 서비스 공지 정보들을 데이터 형태로 전달한다. 물론, 전달되는 데이터의 인코딩과 디코딩 규칙은 사용자 단말기와 BM-SC 사이에 약속된 규칙을 따른다.
MBMS 서비스 영역(MBMS 멀티캐스트 서비스 영역과 MBMS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영역을 포함)이란 임의의 서비스에 대해 해당 서비스가 전달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최소 단위는 셀이다. 즉, 서비스 영역은 임의의 MBMS 서비스가 전달될 셀의 집합이 된다. 이러한 정의 하에서 하나의 서비스 측면에서 보면 각 서비스 영역으로 해당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공지가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다수의 MBMS 서비스가 제공되는 환경에서 임의의 지역은 서로 다른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영역에 속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예를 들어, C05, C06, C07, C08, C09의 5개 셀을 서비스 영역 1(101)로 C01, C02, C03, C04, C05, C06까지의 6개 셀을 서비스 영역 2(102)로 정의할 경우 C05와 C06은 두 서비스 영역에 모두 속하게 된다(103). 즉, MBMS 서비스 1은 SA1(101)에 MBMS 서비스 2는 SA2(102)에 전달된다고 가정하면 C05와 C06셀은 MBMS 서비스 1과 MBMS 서비스 2가 모두 제공되는 지역이 된다. 따라서 서비스 영역별로 서비스 공지를 위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정의한다면 "103" 영역에 속하는 단말기는 두 개의 서비스 공지를 수신하여야 한다.
또한, C10, C11, C12, C13, C14까지의 5개 셀이 하나의 서비스 영역인 SA3(104)에 포함된다고 가정할 때, 이들 셀들이 서로 다른 UTRAN으로부터 제어를 받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UTRAN을 구성하는 NodeB/RNC4(204)와 NodeB/RNC6(206)은 동일한 MBMS 멀티캐스트 주소를 서비스 공지 서비스에 할당하여야 하는데 둘 중 하나의 UTRAN이 다른 서비스 영역을 정의한다면(예: C13과 C14를 다른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영역으로 정의한다면) SA3을 위한 새로운 IP 멀티캐스트 주소가 지정되고 C13와 C14는 또 다른 서비스 공지를 수신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 영역별로 서비스 공지를 위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정할 경우, 두 개의 서비스 영역이 중복되는 셀 지역에 존재하는 단말들은 두 개의 서비스 공지 서비스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게 되고 결국 임의의 셀은 해당 셀이 포함된 서비스 영역의 수만큼의 서비스 공지를 수신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단말의 입장에서 보면 서비스 공지를 수신하기 위해 다수의 IP 멀티캐스트 세션을 준비하고 여러 개의 멀티캐스트 채널로부터 서비스 공지 정보의 수신을 관리하고 유지하여야 하며 새로운 서비스가 추가되거나 기존의 서비스가 삭제됨에 따라 UTRAN으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공지를 수신하기 위한 IP 멀티캐스트 세션 설정이 수정되어야 한다.
하지만, MBMS 브로드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하여 서비스 공지를 수신하는 방법에서 임의의 단말이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서비스 공지 정보를 수신하듯이 임의의 지역에서 하나의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해 사용 가능한 모든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비스 영역별 서비스 공지를 위해서는 IP 멀티캐스트 주소와 멀티캐스트 채널을 서비스 영역별로 할당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구별 가능한 가장 작은 영역인 셀을 서비스 공지를 위한 단위 영역으로 정의하고 각 셀당 서비스 공지를 위한 MBMS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정의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이 임의의 지역에서 해당 지역을 위해 존재하는 서비스 공지 채널을 통해 서비스 공지를 수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BM-SC에서 서비스 공지 문서를 관리하는 체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공지 문서들의 관리 체계는 첫 번째 단계에서 서비스 공지 영역 식별자(Anouncement Area ID 1, …, Anouncement Area ID n)를 디렉토리 식별자로 정의하여 서비스 공지 영역별로 공지 영역 디렉토리(310)를 구성하고, 공지 영역 디렉토리 하위에 그 공지 영역에서 제공될 서비스별로 서비스 식별자(Service ID 1, …, Service ID n)를 부여하여 서비스 디렉토리(311)를 유지한다. 서비스 디렉토리 하위에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정보 파일들과 그 서비스를 구성하고 있는 세션들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세션 디렉토리(312)인 세션 식별자(Session ID 1, …, Session ID n)가 존재한다.
서비스에 대한 정보파일로는 서비스 정의와 정보를 기술하고 있는 SD(Service Description)파일(304)과 서비스 공지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에서 상기 SD파일을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ME(MetaData Envelop)파일(303)이 존재한다.
서비스 디렉토리 하위의 세션 디렉토리는 해당 서비스를 구성하는 세션마다 해당 세션에 대한 시작시간이나 종료시간, 해당 세션이 전달할 컨텐츠의 송수신을 위한 파라메터 등을 정의하는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파일(301)과 이 SDP 파일을 디코딩하기 위한 ME(MetaData Envelop)파일(302)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지 영역을 하나의 셀로 정의하였다. 하지만, 두 개 이상의 셀의 집합을 서비스 공지 영역으로 정의할 경우에도 이러한 디렉토리 관리 체계는 적용 가능하다.
BM-SC는 임의의 셀에 대한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가 설정된 후 해당 서비스 공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는 모든 MBMS 서비스와 그 서비스를 구성하는 세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즉, 임의의 셀에 대해 "320"과 같은 디렉토리 체계 하의 모든 파일들이 서비스 공지 문서로서 단말에 전달된다.
이때, 하나의 서비스 공지를 통해 전달되는 파일들의 개수 및 해당 파일을 파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서비스 영역 ID-FDT 파일(305)로 생성되어 전달된다. 상기 서비스 영역 ID-FDT 파일은 MBMS 다운로드 형태의 MBMS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FLUTE 세션에서 활용되는 파일로서, 하나의 FLUTE 세션에 전달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렇게 전달된 서비스 공지 문서는 단말에서 그대로 번역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있는 위치에서 어떤 서비스들이 사용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해당 서비스가 어떠한 세션들로 구성되어 언제 어떤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지를 알게 된다.
이때,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가 다양하고 동일 시간대에 다양한 컨텐츠들이 전달되는 상황이라면 서비스에 대한 그룹핑이나 분류가 필요할 수 있는데, 이때 각 셀의 디렉토리(310) 이하에, 즉 "310"과 "311" 사이에 분류하고자 하는 단계만큼의 디렉토리 체계를 추가함으로써 수용 가능하다. 이러한 분류 체계는 단말기로 전달된 후에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자 할 때 그대로 활용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BM-SC에서 서비스 공지 문서를 관리하는 체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350"과 "360"은 두 개의 서비스 공지 영역인 셀을 의미하고, 해당 셀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가 셀1(350)의 경우 서비스1(351), 서비스2(352), 서비스 3(353)이 제공됨을 나타낸다.
첫 번째 서비스(351)는 하나의 세션(361)을 가지며, 두 번째 서비스(352)는 두개의 세션(362,363)을 갖고, 세 번째 서비스(353)는 하나의 세션(364)을 갖는다.
두 번째 셀(360)은 서비스 1(354), 서비스 4(355), 서비스 5(356)가 제공되며, 서비스 1(354)은 하나의 세션을, 서비스 4(355)는 두 개의 세션을, 서비스 5(356)는 하나의 세션으로 구성되며, 서비스 1(351, 354)은 동일한 서비스로서 두 개의 셀에 모두 제공됨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별 서 비스 공지 절차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선, BM-SC는 서비스 영역별 서비스 공지 문서 관리 단계(400)를 처리한다. "400" 단계에서, BM-SC는 서비스 공지를 위해 MBMS 서비스가 등록될 때 해당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공지 문서를 전술한 관리 체계에 따라 제작하여 저장 관리한다. 또한, BM-SC는 기 등록된 서비스의 삭제나 서비스의 내용이 변경될 때마다 해당 변경 내용이 상기 저장된 서비스 공지 문서에 반영될 수 있도록 관리한다. 특히, BM-SC는 서비스 공지 영역별로 차별화된 서비스 공지를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 공지 영역별로 서비스 공지 문서를 관리하는 도 3 또는 도 4와 같은 디렉토리 체계를 유지한다.
한편, UTRAN은 서비스 공지용 IP세션 설정을 위한 정보 관리 단계(401)를 처리한다. "401" 단계에서 UTRAN은 자신이 관할하는 영역 내에 어떠한 형태로 서비스 공지 영역이 설정되었는지를 컨피규레이션 파일로 관리하고 해당 서비스 공지 영역마다 서비스 공지용으로 사용한 MBMS 멀티캐스트 서비스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이들 정보는 추후 서비스 공지를 위한 무선 채널 할당이 완료되면 두 정보간 매핑관계가 유지 관리된다.
이어서, UTRAN은 공지 영역별 서비스 공지용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가상 IGMP(또는 MLD) 송신 및 서비스 공지 영역 식별자 전송 단계(402)를 처리한다.
"402" 단계에서 UTRAN은 시스템 초기 구동 시에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구동되기 시작하면 이미 컨피규레이션 되어 있는 각 서비스 공지 영역별로 서비스 공지 정보를 검색하여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가 해당 서비스에 대한 IGMP(또는 MLD)를 송신한 것과 동일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가상 IGMP(또는 MLD)를 해당 서비스 공지 영역 식별자와 함께 CN으로 송신한다. 즉, UTRAN이 사용자 단말기를 대신하여 서비스 공지를 위한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활성화 절차가 시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UTRAN과 CN 간에 별도의 자체 메시지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CN에 추가적인 변화를 주지 않기 위해 마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IGMP 또는 MLD 패킷이 보내진 것처럼 UTRAN이 패킷을 제작하여 CN으로 송신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UTRAN은 가상 IGMP(또는 MLD)와 함께 서비스 공지 영역 식별자를 전송함으로써, CN이 어떤 서비스 공지 영역으로부터 서비스 활성화 요청이 발생하는 것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GGSN은 MBMS 멀티캐스트 활성화 과정 중에 이를 BM-SC로 전달한다.
이어서, MBMS 서비스 활성화(Activation) 단계(403)가 수행된다. MBMS 서비스 활성화 단계를 통해 RNC, SGSN, GGSN, 및 BM-SC에 걸친 멀티캐스트 트리가 구성된다.
이어서, BM-SC는 서비스 공지 영역 검색 단계(404)를 수행한다. "404" 단계에서 BM-SC는 MBMS 멀티캐스트 활성화 단계 처리 중에 CN으로부터 전달받은 서비스 공지에 대한 IGMP(또는 MLD)에 의해 지정된 IP 멀티캐스트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요청이 어느 서비스 공지 영역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공지 요청인지를 검색한다.
이어서, BM-SC는 세션 설정 단계(405)를 수행한다. "405" 단계는 BM-SC가 해당 서비스 공지 영역으로의 서비스 공지를 위한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 설정을 위해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어서, 서비스 공지 문서 전달을 위한 MBMS 베어러 설정 단계(406)가 수행된다. "406" 단계는 BM-SC로부터 시작된 세션 설정 절차에 따라 이동통신망의 코어 네트워크와 UTRAN을 통해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어서, UTRAN이 해당 셀에 대해 서비스 공지 정보가 전달될 무선 멀티캐스트 채널을 설정하면(407), BM-SC로부터 해당 서비스 공지 문서가 전달된다(408).
이어서,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가 UTRAN의 해당 영역으로 들어와 UTRAN이 발송하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서비스 공지를 위한 멀티캐스트 서비스 정보를 수신받으면, 사용자 단말기는 서비스 공지 패킷을 수신할 수 있도록 멀티캐스트 채널 설정 및 다운로드 패킷 수신 패스 설정 절차를 수행하여 패스 설정 정보를 전달 받음으로써(409), 서비스 공지 문서 수신 준비 단계를 처리하면(410), 서비스 공지 문서가 BM-SC로부터 사용자 단말기까지 전달된다(411).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해당 영역에 들어온 모든 사용자 단말기는 서비스 공지를 위한 하나의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해 동일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받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서비스 공지 문서를 디코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리스트를 제공한다(412). 이때, 사용자 단말기는 서비스 공지를 통해 수신된 서비스, 세션, 컨텐츠에 대한 정보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공된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로부터 특정 서비스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413), MBMS 사용자 서비스에 대한 멀티캐스트 그룹 가입 단계(414)가 수행된다. "414" 단계에서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MBMS 서비스 활성화 절차가 수행되어, 해당 MBMS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시키고 멀티캐스트 패킷이 전달될 패스가 설정된다.
"414" 단계까지 수행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는 자신이 선택한 MBMS 서비스가 시작되는 시점에 컨텐츠의 전달을 예약한 상태가 되고, 실제 서비스의 시작시간이 되면, BM-SC는 해당 서비스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MBMS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415).
이어서, 이동통신망의 코어 네트워크(CN)와 UTRAN 간의 연동으로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 설정 절차가 수행되고(416), UTRAN과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멀티캐스트 채널 설정 작업이 수행된다(417).
"415", "416" 및 "417" 단계가 수행되는 도중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서비스 공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 수신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데이터 패킷 수신을 대기하여 MBMS 사용자 서비스 수신 준비 절차를 수행한다(418).
이어서, BM-SC가 송신하는 MBMS 서비스 컨텐츠가 상기 과정을 통해 할당된 MBMS 베어러와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해 전달된다(419).
이동통신망에서 MB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가 임의의 지역에서 어떤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MBMS 서비스 프레임 워크에서는 서비스 공지 기능을 두며 BM-SC로부터 단말로 해당 단말이 현재 존재하는 위치에서 어떠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를 알리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 공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들이 존재 하지만 동일한 정보가 임의의 영역에 위치한 모든 단말들에 동시에 전달되어야 하는 특징을 갖는 서비스 공지를 위해 MBMS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베어러를 활용하는 방안이 시스템의 자원활용 면에서 우수한 방안이다. 하지만, MBMS 브로드캐스트 베어러를 사용하게 되면 시스템의 모든 영역에 제공 가능한 모든 서비스들이 공지된다.
임의의 MBMS 서비스는 해당 서비스가 적용될 서비스 영역을 가지는데 임의의 단말이 해당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별로 서로 다른 서비스 정보가 공지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하여 서비스 공지 영역 단위로 서비스 공지용 MBMS 멀티캐스트 채널을 할당하고 BM-SC에서 서비스 공지 영역 단위로 서비스 공지 문서를 관리한다. 또한, CN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IGMP(또는 MLD)를 수신받았을 때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절차를 수행하듯이 서비스 공지가 전달될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의 설정을 위해 CN이 단말로부터 IGMP(또는 MLD)를 수신한 것처럼 동작할 수 있게 하는 가상 IGMP(또는 MLD) 송신 기능을 UTRAN에 추가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별로 서비스를 공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개입 없이 서비스 영역별로 서비스를 공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MBMS 서비스 프레임워크에서 MBMS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처리하는 스킴을 그대로 활용하여 해당 지역에서 서비스가 가능한 MBMS 서비스에 대한 정보만을 공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무선 자원 상에 불필요하게 전송될 정보들을 제거하고 서비스 공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가 수신된 서비스 공지 문서에서 해당 지역에서 서비스 가능한 서비스만을 골라 내는 등의 부가적인 처리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시스템의 BM-SC((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er)에서 서비스 공지 문서를 제공하기 위한 MBMS 서비스 공지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공지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서비스 공지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서비스 공지 영역으로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설정하여 상기 서비스 공지 문서를 제공하기 위하여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공지 영역으로 해당 서비스 공지 문서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공지 문서는,
    서비스 공지 영역별 공지 영역 디렉토리를 포함하고,
    상기 공지 영역 디렉토리는,
    해당 서비스 공지 영역에서 제공될 서비스별로 서비스 디렉토리
    를 포함하는 MBMS 서비스 공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디렉토리는,
    해당 서비스를 구성하는 세션 정보를 저장한 세션 디렉토리
    를 포함하는 MBMS 서비스 공지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디렉토리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기술한 서비스 기술 파일; 및
    상기 서비스 기술 파일을 디코딩하기 위한 정보를 기술한 메타데이터 파일
    을 포함하는 MBMS 서비스 공지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디렉토리는,
    해당 세션에 대한 기술 정보 및 해당 세션을 통해 전달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는 세션 기술 파일; 및
    상기 세션 기술 파일을 디코딩하기 위한 정보를 기술하는 메타데이터 파일
    을 포함하는 MBMS 서비스 공지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지 영역 디렉토리는,
    한 번의 서비스 공지를 통해 전달될 파일 개수 및 해당 파일을 파싱하기 위한 정보를 기술하는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공지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서비스 공지 영역 단위로 서비스 공지 문서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공지 영역 단위로 서비스 공지 문서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MBMS 서비스 공지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공지 영역은,
    하나 이상의 셀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지 영역 디렉토리는,
    서비스 공지 영역 식별자를 디렉토리 식별자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방법.
  9.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시스템의 UTRAN(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서 서비스 공지 문서를 제공하기 위한 MBMS 서비스 공지 방법에 있어서,
    MBMS 서비스 공지용 IP 세션 설정을 위한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MBMS 서비스를 공지할 서비스 공지 영역의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가상 IGMP 또는 MLD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공지 영역으로 서비스 공지 문서를 전달하기 위한 MBMS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공지 영역에 대한 무선 멀티캐스트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및
    BM-SC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공지 문서를 상기 무선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공지 문서는,
    서비스 공지 영역별 공지 영역 디렉토리를 포함하고,
    상기 공지 영역 디렉토리는,
    해당 서비스 공지 영역에서 제공될 서비스별로 서비스 디렉토리
    를 포함하는 MBMS 서비스 공지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디렉토리는,
    해당 서비스를 구성하는 세션 정보를 저장한 세션 디렉토리
    를 포함하는 MBMS 서비스 공지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지 영역 디렉토리는,
    한 번의 서비스 공지를 통해 전달될 파일 개수 및 해당 파일을 파싱하기 위한 정보를 기술하는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IGMP 또는 MLD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MBMS 서비스를 공지할 서비스 공지 영역에 대한 서비스 공지 영역 식별자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공지 영역은,
    하나 이상의 셀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지 영역 디렉토리는,
    서비스 공지 영역 식별자를 디렉토리 식별자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방법.
  15.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MBMS 서비스 공지 시스템으로서, 방송형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어 노드(BM-SC)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 노드를 포함하는 상기 MBMS 서비스 공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BM-SC는,
    서비스 공지 영역별 공지 영역 디렉토리를 포함하고, 상기 공지 영역 디렉토리는 하위 디렉토리로서 해당 서비스 공지 영역에서 제공될 서비스별로 서비스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서비스 공지 문서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 노드는,
    상기 서비스 공지 문서를 해당 서비스 공지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BM-SC는,
    서비스 공지를 위한 단위 영역별로 서비스 공지를 위한 MBMS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하나씩 할당하고, 각 서비스 공지 영역과 해당 서비스 공지 영역에 할당된 MBMS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매핑 관계를 저장 및 관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BM-SC는,
    새로운 MBMS 서비스가 등록될 때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서비스를 구성하는 세션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공지 영역 단위로 구성한 서비스 공지 문서를 생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BM-SC는,
    상기 서비스 공지 문서를 서비스 공지 영역 단위로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BM-SC는,
    서비스 공지를 위한 MBMS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활성화 절차를 처리하고, 해당 서비스 공지 영역으로 해당 서비스 공지 문서를 전달하기 위하여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 설정을 위한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시스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 노드는,
    자신의 관할 하에 있는 지역에 적용된 서비스 공지 영역별로 공지 영역 식별자, 멀티캐스트 주소, 포트, 무선 채널 식별자와 같은 서비스 공지 업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시스템.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 노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공지 문서를 수신하기 위해 준비할 수 있도록, 자신의 관할 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서비스 공지를 위한 FLUTE 세션 설정 및 무선 채널 설정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시스템.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 노드는,
    서비스 공지를 위해 할당된 MBMS 멀티캐스트 서비스별로 멀티캐스트용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시스템.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 노드는,
    시스템 구동 후 자신의 관할 하에 있는 지역에 적용된 서비스 공지 영역별로, 해당 지역의 사용자 단말기가 코어 네트워크로 서비스 공지를 위해 IGMP(또는 MDL)를 송신한 것과 같이, 코어 네트워크가 MBMS 멀티캐스트 활성화 절차를 시작할 수 있도록 트리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시스템.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 노드는,
    해당 서비스 공지가 적용될 서비스 공지 영역의 식별자를 송신하여 서비스 공지를 위한 MBMS 멀티캐스트 활성화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공지 시스템.
KR1020060090159A 2006-09-18 2006-09-18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서비스 공지 방법 및시스템 KR100812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159A KR100812995B1 (ko) 2006-09-18 2006-09-18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서비스 공지 방법 및시스템
US12/441,626 US8064820B2 (en) 2006-09-18 2007-09-12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announcement using MBMS multicast bearer
PCT/KR2007/004414 WO2008035880A1 (en) 2006-09-18 2007-09-12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announcement using mbms multicast bear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159A KR100812995B1 (ko) 2006-09-18 2006-09-18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서비스 공지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995B1 true KR100812995B1 (ko) 2008-03-13

Family

ID=3920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159A KR100812995B1 (ko) 2006-09-18 2006-09-18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서비스 공지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64820B2 (ko)
KR (1) KR100812995B1 (ko)
WO (1) WO200803588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043B1 (ko) * 2008-12-19 2012-07-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망에서 방송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 획득 및 공표방법
KR101218949B1 (ko) * 2009-12-21 2013-0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bms 베어러 설정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23017871A1 (ko) * 2021-08-12 2023-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5978B2 (ja) * 2008-05-20 2013-10-23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複数の受信器において利用できるコンテンツマップの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
TWI414190B (zh) * 2009-06-16 2013-11-01 Innovative Sonic Corp 改善群播控制通道監聽機制的方法及通訊裝置
JP5744065B2 (ja) * 2010-02-08 2015-07-01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マシン型通信におけるmbmsベースのコンテンツ伝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2158808B (zh) * 2010-02-11 2016-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cch信息的接收方法及装置、用户设备
CN102158807B (zh) 2010-02-11 2015-0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cch通知信息的监听方法及装置、用户设备
US8488527B2 (en) 2010-07-12 2013-07-1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radio resource dimensioning for communication services
US9173192B2 (en) 2011-03-17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Target cell selection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continuity
US9781649B2 (en) 2012-08-02 2017-10-03 Qualcomm Incorporated MBMS support in heterogeneous network and in-venue
US9288746B2 (en) * 2012-09-20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of available services in a broadcast network
US9781181B2 (en) * 2013-06-17 2017-10-03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protocol sessions for a service
US9756494B2 (en) * 2015-02-27 2017-09-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at a current location
US10470000B2 (en) 2016-02-12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MBMS content provisioning and content ingestion
US10542409B2 (en) * 2016-10-07 2020-01-21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for group call services through a broadcast channel
US10560814B2 (en) 2017-02-10 2020-02-11 Harris Corporation Wireless PTT communication system with enhanced location reporting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8751A (ja) 2001-06-12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キャスト通信システム
KR20030089779A (ko) * 2002-05-18 200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캐스트 시스템의 선택적 서비스 방법
KR20040016334A (ko) * 2002-08-16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20050017580A (ko) * 2003-08-14 2005-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서비스 식별자를 효율적으로사용하는 방법
KR20060015194A (ko) * 2004-08-13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지역화 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식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2565A2 (en) * 2000-01-14 2001-07-1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selectively sized data transport blocks
US6839565B2 (en) * 2002-02-19 2005-01-0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multicast service announcement in a cell
US6684081B2 (en) * 2002-05-10 2004-01-2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parating control information and user data from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GB2390785B (en) 2002-07-12 2005-10-19 Nokia Corp Information service broadcasting or multicasting
CN1476198A (zh) 2002-08-15 2004-02-18 ��������ͨ�ż����о����޹�˾ 利用小区广播的mbms的业务广告或业务指示的方法
US7054619B2 (en) * 2002-11-29 2006-05-30 Nokia Corporation Method of determining the validity of service announcements
KR100742244B1 (ko) 2002-12-18 2007-07-24 노키아 코포레이션 세션들을 고지하는 방법
US7869399B2 (en) * 2003-01-06 2011-01-1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multimedia broadcast services
GB2406997B (en) * 2003-10-02 2005-10-19 Nec Technologies Mobile radio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and communications system
KR100689390B1 (ko) 2003-10-02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서비스 유효성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CN1286332C (zh) * 2004-08-12 2006-11-22 华为技术有限公司 Mbms业务传输方法
KR101073912B1 (ko) 2005-03-29 2011-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점대다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제어정보 송수신방법
US8526350B2 (en) * 2008-05-23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arrying broadcast services over a mobile broadcast network
US20100010975A1 (en) * 2008-07-10 2010-01-14 Morris Robert P Methods And Systems For Resolving A Query Region To A Network Identifier
US20100142401A1 (en) * 2008-12-04 2010-06-10 Morris Robert 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A Network Identifier Of A Node Providing A Type Of Service For A Geospatial Region
US8320292B2 (en) * 2009-11-18 2012-11-27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to control a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MBMS) mode of a MBMS se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302782B1 (ko) * 2009-12-21 2013-09-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영역 변경 시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기지국, 단말기 및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8751A (ja) 2001-06-12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キャスト通信システム
KR20030089779A (ko) * 2002-05-18 200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캐스트 시스템의 선택적 서비스 방법
KR20040016334A (ko) * 2002-08-16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20050017580A (ko) * 2003-08-14 2005-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서비스 식별자를 효율적으로사용하는 방법
KR20060015194A (ko) * 2004-08-13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지역화 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식별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043B1 (ko) * 2008-12-19 2012-07-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망에서 방송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 획득 및 공표방법
US8743767B2 (en) 2008-12-19 2014-06-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s of obtaining service information to receive broadcasting service in user equipment, and service information announcement methods performable in service center and server
KR101218949B1 (ko) * 2009-12-21 2013-0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bms 베어러 설정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23017871A1 (ko) * 2021-08-12 2023-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35880A1 (en) 2008-03-27
US8064820B2 (en) 2011-11-22
US20090264064A1 (en)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995B1 (ko)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서비스 공지 방법 및시스템
EP2011349B1 (en) Method of establishing a mbms communication and a corresponding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951026B1 (ko)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 간의 그룹 통신들에 있어서 voip데이터 패킷들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640462B1 (ko) 임시 이동 그룹 식별자 생성 및 분배 방법
US7565138B2 (en) Method for managing service context for paging user equipment in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AU2003230334B8 (en)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289892B2 (en) System for controllin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for load distribu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427576B2 (ja) マルチメディア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におけるセル情報の変化の通知方法
JP5706343B2 (ja) モビリティ管理装置、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配信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US90309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multicasting content from mobile user equipment over an MBMS network
EP1987693B1 (en) Handling multiple point-to-multipoint services
KR101169043B1 (ko) 무선통신망에서 방송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 획득 및 공표방법
KR100996051B1 (ko)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JP4712095B2 (ja) 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501532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mcbcsとマクロダイバーシティのためのmcbcsプロキシ選定を支援する装置及び方法
CN111556539A (zh) Ue执行的方法及ue、以及smf实体执行的方法及smf实体
CN115315965A (zh) 多播或广播会话建立和管理
GB2449797A (en) Broadcast or multicast servic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93512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CN102246546A (zh) 管理用于无线通信网络内的群组通信的发射协议
KR20120040410A (ko)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 서비스 제공 노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JP2023019722A (ja) 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通信方法
CN117412249A (zh) 基站及其执行的方法
KR20050097384A (ko) 이동통신 방송서비스에 할당된 fa에서 단말기 페이징결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