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52218B1 -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218B1
KR100652218B1 KR1020040049777A KR20040049777A KR100652218B1 KR 100652218 B1 KR100652218 B1 KR 100652218B1 KR 1020040049777 A KR1020040049777 A KR 1020040049777A KR 20040049777 A KR20040049777 A KR 20040049777A KR 100652218 B1 KR100652218 B1 KR 10065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line
pixel
liquid crystal
pixel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806A (ko
Inventor
김도성
최운섭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218B1/ko
Priority to US11/168,572 priority patent/US7724336B2/en
Publication of KR20060000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218B1/ko
Priority to US12/758,564 priority patent/US8040481B2/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율 증가 및 화질 개선을 위한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에 제1방향으로 배치된 게이트라인과,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라인과 함께 화소를 정의하는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영역에 형성된 스위칭소자와, 상기 제1방향쪽으로 배치되고, 화소내에 수평전계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한쌍의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과, 상기 화소의 좌우측에 데이터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공통라인과, 적어도 두개 이상의 공통전극을 연결하되, 상기 제1 및 제2공통라인과 중첩하여 제1 및 제2공통전극 중첩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공통라인과 중첩하는 제1공통전극 중첩영역과 제2공통라인과 중첩하는 제2공통전극 중첩영역이 동일한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공통전극 연결라인과, 적어도 두개 이상의 화소전극을 연결하되, 상기 제1 및 제2공통라인과 중첩하여 제1 및 제2화소전극 중첩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공통라인과 중첩하는 제1화소전극 중첩영역과 제2공통라인과 중첩하는 제2화소전극 중첩영역이 동일한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화소전극 연결라인 및 상기 제1 및 제2기판 상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IN 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도1a 및 도1b는 일반적인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를 나타낸 도면.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4a 및 도4b는 러빙방향에 다른 액정의 구동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시야각 보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a∼도7d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평면도.
도8a∼도8d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01,301: 게이트라인 103,203,303: 데이터 라인
106,206a,206b,306: 공통전극 107,207a,207b,307: 화소전극
109a,209a,309a: 제1공통라인 109b,209b,309b: 제2공통라인
114,214,314: 스토리지전극
116a,216a,316a: 제1공통전극 연결라인
116b,216b,316b: 제2공통전극 연결라인
117a,217a,317a: 제1화소전극 연결라인
117b,217b,317b: 제2화소전극 연결라인
본 발명은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구율 증가 및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화질, 저전력의 평판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 device)로서 주로 액정표시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소자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과 칼라필터 기판이 대향하여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합착되며, 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과 칼라필터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된다.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은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그 단위화소에는 박막트랜지스터, 화소전극 및 커패시터가 형성되고, 상기 칼라필터기판은 상기 화소전극과 함께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하는 공통전극과 실제 칼라를 구현하는 RGB 칼라필터 및 블랙매트릭스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과 칼라필터기판의 대향면에는 배향막이 형성되고, 러빙이 실시되어 상기 액정층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한다. 이때, 액정은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단위 화소별로 형성된 화소전극과 칼라필터 기판의 전면에 형성된 공통전극 사이에 전계가 인가될 경우에 유전 이방성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단위화소별로 빛을 통과사키거나 차단시켜 문자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트위스트 네마틱 모드(twisted nematic mode)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는 시야각이 좁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액정분자를 기판과 거의 횡방향으로 배향하여 시야각 문제를 해결하는 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In Plane Switching mode LCD)가 최근에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의 단위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I-I'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제1기판(10) 상에 게이트라인(1) 및 데이터라인(3)이 종횡으로 배열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한다. 실제의 액정표시소자에서는 n개의 게이트라인(1)과 m개의 데이터라인(3)이 교차하여 n×m개의 화소가 존재하지만, 도면에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단지 한 화소만을 나타내었다.
상기 게이트라인(1)과 데이터라인(3)의 교차점에는 게이트전극(1a), 반도체층(5) 및 소스/드레인전극(2a,2b)으로 구성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9)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전극(1a) 및 소스/드레인전극(2a,2b)은 각각 게이트라인(1) 및 데이터라인(3)에 접속된다. 또한, 게이트절연막(8)은 기판 전체에 걸쳐서 적층되어 있다.
화소영역 내에는 상기 게이트라인(1)과 평행하게 공통라인(4)이 배열되고, 액정분자를 스위칭 시키는 적어도 한쌍의 전극 즉, 공통전극(6)과 화소전극(7)이 데이터라인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공통전극(6)은 게이트라인(1)과 동시에 형성되어 공통라인(4)에 접속되며, 화소전극(7)은 소스/드레인전극(2a,2b)과 동시에 형성되어 박막트랜지스터(9)의 드레인전극(2b)과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소스/드레인전극(2a,2b)을 포함하는 기판 전체에 걸쳐서 보호막(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통라인(4)과 중첩되어 형성되며, 화소전극(7)과 접속하는 화소전극라인(14)은 그 사이에 개재된 절연막(8)을 사이에 두고 축적용량(Cst)를 형성한다.
또한, 제2기판(20)에는 박막트랜지스터(9), 게이트라인(1) 및 데이터라인(3)으로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블랙매트릭스(21)와 칼라를 구현하기 위한 칼라필터(23)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는 칼라필터(23)를 평탄화하기 위한 오버코트막(미도시)이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판(10) 및 제2기판(20)의 대향면에는 액정의 초기 배향방향을 결정짓는 배향막(12a,12b)이 도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기판(10) 및 제2기판(20) 사이에는 상기 공통전극(6) 및 화소전극(7)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액정층(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는 구조를 갖는 종래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는 공통전극(6) 및 화소전극(7)이 동일기판 상에 배치되어 횡전계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반면에, 화면이 표시되는 화소영역 내에 불투명금속으로 이루어진 공통전극(6) 및 화소전극(7)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율(aperture ratio)이 저하되어 휘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라인(3)과 화소전극(7)간의 신호간섭에 의해 화소내에 수평전계가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으며, 데이터라인(3)과 화소전극(7)간의 신호간섭을 차단하기 위해 데이터라인(3)과 인접하는 공통전극(6)의 폭을 증가시킴에 따라, 개구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을 게이트라인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배치함으로써, 데이터라인의 신호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을 게이트라인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배치하고, 상기 두 전극을 투명한 전도성물질로 형성함으로써,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터라인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공통라인과 공통전극 연결라인 및 화소전극 연결라인에 의해 중첩되는 중첩영역의 면적이 화소의 좌우측에 대해 동일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데이터라인의 신호간섭을 좌우 동등하게 받게 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구성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상 세히 기술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는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에 제1방향으로 배치된 게이트라인과,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라인과 함께 화소를 정의하는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영역에 형성된 스위칭소자과, 상기 제1방향쪽으로 배치되고, 화소내에 수평전계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한쌍의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과, 상기 화소의 좌우측에 데이터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공통라인과, 적어도 두개 이상의 공통전극을 연결하되, 상기 제1 및 제2공통라인과 중첩하여 제1 및 제2공통전극 중첩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공통라인과 중첩하는 제1공통전극 중첩영역과 제2공통라인과 중첩하는 제2공통전극 중첩영역이 동일한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공통전극 연결라인과, 적어도 두개 이상의 화소전극을 연결하되, 상기 제1 및 제2공통라인과 중첩하여 제1 및 제2화소전극 중첩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공통라인과 중첩하는 제1화소전극 중첩영역과 제2공통라인과 중첩하는 제2화소전극 중첩영역이 동일한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화소전극 연결라인 및 상기 제1 및 제2기판 상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은 제1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1방향에 대한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의 경사각은 45°이하를 형성한다.
상기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은 보호막 상에 형성되고, 이들은 특히,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한 전도성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공통라인 및 공통전극 연결라인은 콘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공통전극 또는 화소전극 중 어느 한 전극의 일측이 꺽이도록 형성되고, 상기 꺽임 영역과 대향하는 영역이 꺽임방향쪽으로 기울어진 경사영역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기판의 러빙방향은 제2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공통전극은 공통전극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라인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라인은 화소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화소전극 연결라인으로부터 연장되며, 전단 게이트라인과 중첩하여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스토리지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공통라인의 폭은 8㎛이하의 폭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2기판은 블랙매트릭스 및 칼라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데이터라인과 제1,2공통라인 사이의 이격영역을 가리기 위한 얼라인 마진을 고려하지 않은 최소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에 제1방향으로 배치된 게이트라인과,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된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영역에 형성된 스위칭소자와,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의해 정의되며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는 화소와, 상기 제1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제1영역내에 제1수평전계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한쌍의 제1화소전극 및 제1공통전극과, 상기 제1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형성 되며, 상기 제2영역내에 제1수평전계와 상기 제1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인 방향을 갖는 제2수평전계를 발생시키는 제2화소전극 및 제2공통전극과, 상기 화소의 좌우측에 데이터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공통라인과, 상기 제1영역의 제1공통라인과 중첩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공통전극을 연결하는 제1공통전극 연결라인과, 상기 제2영역의 제2공통라인과 중첩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2공통전극을 연결하는 제2공통전극 연결라인과, 상기 제1영역의 제2공통라인과 중첩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화소전극을 연결하는 제1화소전극 연결라인과, 상기 제2영역의 제1공통라인과 중첩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2화소전극을 연결하는 제2화소전극 연결라인 및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공통라인 및 제1공통전극 연결라인의 제1공통전극 중첩영역과 제2공통라인 및 제2공통연결라인의 제2공통전극 중첩영역의 면적이 동일하고, 상기 제2공통라인 및 제1화소전극 연결라인의 제1화소전극 중첩영역과 제1공통라인 및 제2화소전극 연결라인의 제2화소전극 중첩영역의 면적이 동일한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제1,2공통전극 또는 제1,2화소전극 중 어느 한 전극의 일측이 꺽이도록 형성되며, 상기 꺽임 영역과 대향하는 영역이 꺽임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영역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2공통전극 및 제1,2화소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2공통라인과 제1,2공통전극 연결라인은 콘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기판의 러빙방향은 제2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갖는다.
상기 공통전극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공통라인 및 제2공통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라인은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화소전극 연결라인으로부터 연장되고, 전단 게이트라인과 중첩하여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스토리지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공통라인은 8㎛이하의 선폭을 갖는다.
한편, 상기 제2기판은 블랙매트릭스 및 칼라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데이터라인과 제1,2공통라인 사이의 이격영역을 가리기 위한 얼라인 마진을 고려하지 않은 최소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을 게이트라인과 나란하게 배치함으로써, 데이터라인의 신호가 화소전극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을 게이트라인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배치하고, 러빙방향을 상기 데이터라인과 수직인 방향(즉, 게이트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정해줌으로써, 상기 데이터라인을 가려주는 블랙매트릭스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구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화소의 좌우측에 배치된 공통라인과 이와 중첩하는 공통전극 연결라인 및 화소전극 연결라인 간의 중첩영역을 동일하게 해줌으로써, 데이터라인의 신호간섭의 영향을 좌우측에 동일하게 해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효과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2a는 단위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2b는 도2a에서 II-II'선의 절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100)는 투명한 제1기판(110)상에 제1방향으로 배열된 게이트라인(101)과 제2방향으로 배열된 데이터라인(103)에 의해 화소영역(P)이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라인(101)과 데이터라인(103)의 교차점에는 스위칭소자(10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소자(109)는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로써, 게이트라인(101)의 일부로 형성된 게이트전극(101a)과 상기 게이트전극(101a) 위에 형성된 반도체층(105) 및 상기 반도체층(105) 상에 소정간격 이격하여 배치된 소스/드레인전극(102a,102b)으로 구성된다.
상기 화소(P)내에는 수평전계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한쌍의 공통전극(106) 및 화소전극(10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통전극(106) 및 화소전극(107)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상기 게이트라인(101)을 기준으로 경사각(θ)을 가진다. 이때, 상기 공통전극(106) 및 화소전극(107)이 게이트라인(101)에 대하여 기울어진 경사각(θ)은 0< θ<45°범위를 갖는다.
도면에 나타내진 않았지만, 상기 게이트라인(101)을 경사지도록하여, 공통전극(106) 및 화소전극(107)과 나란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러빙방향(도면상 에 화살표로 표기)은 데이터라인(103)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러빙방향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후에 하기로 한다.
또한, 화소(P)의 좌우측에는 데이터라인(103)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공통라인(109a,109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공통라인(109a) 및 제2공통라인(109b)은 연결라인(109)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라인(109)은 화소(P)내에 공통전극 역할을한다. 상기 연결라인(109)이 제1공통라인(109a) 및 제2공통라인(109b)을 연결하는 역할만 수행한다면, 화소(P) 내에 어느 위치에든 배치될 수 있으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P)의 하부에 연결라인(109)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3에 도시된 액정표시소자는 도2에 도시된 것과 그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는 제1공통라인(109a)과 제2공통라인(109b)을 연결하는 연결라인(109)의 위치를 화소(P)내에 배치할 수 있는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2에는 화소의 상부에 배치되고, 도3에는 화소의 하부에 배치된 연결라인(109)을 각각 보여주고있다.
상기 제1 및 제2공통라인(109a,109b)은 상기 공통전극(106)에 공통신호를 공급하고, 데이터라인(103)의 신호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데이터신호에 의한 수평전계의 왜곡을 방지한다.
즉, 상기 데이터라인(103)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가 데이터라인(103)과 인접하는 영역의 화소전극(107)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계가 왜곡되는 문제가 발생하게된다. 특히, 종래와 같이, 화소전극이 데이터라인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경우( 도1a참조) 데이터라인의 신호간섭이 크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라인의 신호간섭을 차폐시키기 위해 데이터라인과 인접하는 최외곽 공통전극의 폭을 넓혀주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개구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화소전극(107)이 데이터라인(103)과 경사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데이터라인(103)의 신호간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가 있다. 따라서, 데이터라인(103)과 인접하는 제1 및 제2공통라인(109a,109b)의 폭을 종래보다 좁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화소(P)의 상부쪽에 위치하는 상기 공통전극(106)은 그 일측이 제1공통전극 연결라인(116a)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공통전극 연결라인(116a)은 제1공통라인(109a)과 중첩하여 제1공통전극 중첩영역(V1)을 형성한다. 화소(P)의 하부쪽에 위치하는 상기 공통전극(106)은 그 일측이 제2공통전극 연결라인(116b)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공통전극 연결라인(116b)은 제2공통라인(109a)과 중첩하여 제2공통전극 중첩영역(V2)을 형성한다. 이때, 제1공통전극 중첩영역(V1)과 제2공통전극 중첩영역(V2)은 동일한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중첩영역(V1,V2)에 형성된 콘택홀(119)을 통해 상기 제1공통전극 연결라인(116a)은 제1공통라인(109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공통전극 연결라인(116b)은 제2공통라인(109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화소(P)의 상부쪽에 위치하는 상기 화소전극(107)은 그 일측이 제1화소전극 연결라인(117a)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화소전극 연결라인(117a)은 제2공통라인(109b)과 중첩하여 제1화소전극 중첩영역(P1)을 형성한다. 화소(P)의 하부쪽에 위치하는 화소전극(107)은 그 일측이 제2화소전극 연결라인(117b)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화소전극 연결라인(117b)은 제1공통라인(109a)과 중첩하여 제2화소전극 중첩영역(P2)을 형성한다. 이때, 제1화소전극 중첩영역(P1)과 제2화소전극 중첩영역(P2)은 동일한 면적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화소의 좌우측에 대하여 공통라인과 중첩하는 공통전극 연결라인 및 화소전극 연결라인의 중첩영역을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은 데이터라인의 영향을 화소 좌우에 대하여 동등하게 받게하기 위한 것이다. 즉, 화소의 좌우측에 대한 데이터라인의 영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좌우측에 대한 데이터라인의 신호간섭차이에 의해 화질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소의 좌우측에 대하여 공통라인과 중첩하는 공통전극 연결라인 및 화소전극 연결라인의 중첩영역을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데이터라인의 영향을 화소 좌우에 대하여 동등하게 받게하여, 화질 저하를 막을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화소전극 연결라인(117a)으로부터 연장되고, 전단게이트라인(101)과 중첩하는 스토리지전극(114)은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Cst)를 형성하며, 상기 게이트라인(101)과 중첩하지 않는 스토리지전극(114)의 일부가 화소(P)내부에 확장되어 인접하는 연결라인(109)과 함께 화소내에 횡전계를 발생시키는 화소전극 역할을 하게된다.
상기 제2화소전극 연결라인(117b)은 박막트랜지스터(109)의 드레인전극(102b)으로부터 연장된 패턴(102b')과 중첩하고, 상기 중첩영역에 형성된 드레인콘택홀(129)을 통해 드레인전극(102b)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라인(103)은 게이트절연막(108) 상에 형성되고, 상기 공통전극(106) 및 화소전극(107)은 보호막(111)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공통전극(106) 및 화소전극(107)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한 전도성물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통전극(106) 및 화소전극(107)이 투명한 전도성물질로 형성됨에 따라, 종래에 비해 개구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즉, 종래에는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이 불투명한 금속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개구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이 모두 투명한 전도성물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공통전극(106)과 화소전극(207)이 동일 평면(보호막:111) 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 전극 사이의 액정층에 인가되는 전계가 종래에 비하여 더욱 강하게 생성된다. 이러한, 강한 전계에 의해 액정층 내의 액정분자가 더욱 빠른 속도로 스위칭되기 때문에 동화상 등의 구현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스토리지전극(114)은 게이트절연막(108) 및 보호막(111)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라인(101)과 중첩하여, 스토리지커패시터(Cst)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2기판(120)에는 빛이 새는 것을 막아주는 블랙매트릭스(121)와 칼라를 구현하기 위한 칼라필터(1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의 대향면에는 액정의 초기 배향방향을 결정짓는 제1 및 제2배향막(112a,112b)이 도포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액정층(1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배향막(112b)의 배향방향은 데이터라인(103)과 수직인 방향을 가지고 상기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의 방향과는 소정각을 가진다. 이것은 상기 데이터라인(103)과 제1 및 제2공통라인(109a,109b) 사이의 이격영역에서 발생하는 빛샘을 방지함으로써, 블랙매트릭스(121)의 형성영역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통해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4a 및 도4b는 도2a의 데이터라인(103)과 제1공통라인(109a)의 이격영역을 포함하는 A영역의 확대도면으로, 도4a는 러빙방향이 데이터라인(103)의 방향과 수직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4b는 러빙방향이 데이터라인(103)의 방향과 수직이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점선으로 나타낸 액정분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이고, 실선으로 나타낸 액정분자는 전압인가에 따른 구동을 나타낸다.
먼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빙방향이 데이터라인(103)에 대하여 수직인 경우,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액정분자(113a)는 배향막의 러빙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러빙방향이 하부에 배치되는 편광판과 평행한 경우 블랙을 나타낸다. 그리고,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분자(113a)는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에 따라 구동하게된다. 이때,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데이터라인(103)과 제1공통라인(109a) 사이에 발생되는 전계의 방향은 러빙방향과 동일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액정분자는 러빙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화면은 블랙을 나타내게 된다.
반면에,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빙방향이 데이터라인(103)에 대하여 수직이 아닌 경우,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액정분자(113a)는 러빙방향을 따라 배열 되고, 블랙화면을 나타낸다. 그러나, 데이터라인(103)과 제1공통라인(109a)에 전압에 인가된 경우, 이들 사이에는 데이터라인(103)과 수직인 방향으로 전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액정분자(113a)는 전계방향을 따라 구동하게 되며, 광을 투과시키게 된다. 더욱이, 러빙방향과 전계방향이 45°이고, 액정분자가 전계방향과 나란하게 구동하는 경우, 투과율은 최대가 된다.
따라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빙방향과 상기 데이터라인(103)과 제1공통라인(109a) 사이의 전계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영역에서 빛샘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빛샘을 막아주기 위해 제2기판에는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해야 한다. 이때, 상기 블랙매트릭스의 얼라인 마진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블랙매트릭스는 실제 빛샘영역보다 그 폭을 넓게 형성해야 하며, 이에 따라, 개구율이 감소하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빙방향과 상기 데이터라인(103)과 제1공통라인(109a) 사이의 전계방향이 일치하도록 러빙방향을 설정해줌으로써, 데이터라인(103)과 제1공통라인(109a)의 이격영역에서 빛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제2기판에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는 데이터라인과 공통라인 사이의 이격영역을 가리기 위한 얼라인 마진을 고려하지 않은 최소의 폭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구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계속해서, 도2a, 도 2b 또는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를 설명하면, 본 발명은 제1 및 제2공통전극 연결라인(116a,116b)과 접촉하지 않는 공통전극(106)의 일측과 제1 및 제2화소전극 연결라인(117a,117b)과 접촉하지 않는 화소전극(107)의 일측의 일부를 소정각으로 꺽어지도록 형성하거나(도2참조), 공통전극(106) 또는 화소전극(107)의 꺽임영역(B)과 대향하여 전계를 형성하는 영역(B')을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도3참조).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공통전극(106) 및 화소전극(107)의 일측을 꺽기만 하는 경우, 제1,2공통라인(109a,109b)의 폭은 공통전극 연결라인(116a,116b) 및 화소전극 연결라인(117a,117b)의 폭보다 넓게 형성한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꺽임영역(B)과 대향하는 면에 경사면(B')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공통라인(109a,109b)의 폭을 공통전극 연결라인(116a,116b) 및 화소전극 연결라인(117a,117b)의 폭보다 넓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전극의 일측을 꺽어 형성하거나, 꺽임영역(B)과 대향하는 영역(B')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은 공통전극(106) 및 화소전극(107)에 의한 수평전계 형성영역 중에, 화소의 외곽영역 즉, 두 전극의 양측 영역에 발생되는 전계의 방향이 화소 중심부와 다르게 형성되는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공통전극(106) 및 화소전극(107)의 양측에서 형성되는 전계는 이들 두 전극이 화소 중심에서와 같이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전계왜곡에 의한 액정 분자의 이상배열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영역에서 수평전계를 발생시키는 두 전극이 최대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화소전극(107) 또는 공통전극(109)의 일측을 꺽어주거나 혹은 꺽임영역(B)과 대응하여 전계를 형성하는 영역에 경사면(B')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의 구 동방향이 대칭성을 가지는 2-도메인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액정의 복굴절(birefringence) 특성에 의한 이상 광을 서로 상쇄시켜 색전이(color shift) 현상을 최소할 수 있다. 아울러, 화소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의 대칭성을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가 이전실시예(도2,3)과 동일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200)는 투명한 제1기판(210)상에 제1방향으로 배열된 게이트라인(201)과 제2방향으로 배열된 데이터라인(203)에 의해 화소영역(P)이 정의된다. 그리고, 화소(P)의 외곽에 데이터라인(203)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공통라인(209a,209b)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라인(203)과 수직이며, 화소의 중심을 지나는 X축을 기준으로 그 상부영역을 제1화소영역(①)이라하고, 그 하부영역을 제2화소영역(②)이라 정의한다.
상기 제1화소영역(①)에는 수평전계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한쌍의 제1공통전극(206a) 및 제2화소전극(20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게이트라인(201)을 기준으로 경사각(θ)을 가진다. 이때, 상기 제1공통전극(206a) 및 제1화소전극(207a)이 게이트라인(201)에 대하여 기울어진 경사각(θ)은 0< θ<45°범위를 갖는다. 상기 게이트라인(201)을 경사지도록 제1공통전극(206a) 및 제2화소전극(207a)과 나란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화소영역(①)의 제1공통전극(206a) 상에는 제1공통전극(206a)의 일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1공통라인(209a)과 제1공통전극 중첩영역(V1)을 형성하는 제1공통전극 연결라인(21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공통전극(206b) 상 에는 제1화소전극(207a)의 일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1공통라인(209a)과 제1화소전극 중첩영역(P1)을 형성하는 제1화소전극 연결라인(217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화소영역(②)에는 수평전계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한쌍의 제2공통전극(206b) 및 제2화소전극(20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상기 제1화소영역(①)에 배치된 제1공통전극(206a) 및 제1화소전극(207a)과 X축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즉, 상기 제2공통전극(206b) 및 제2화소전극(207b)은 X축을 기준으로 경사각(θ)을 가지고 있으며, 이 경사각(θ)은 제1공통전극(206a) 및 제1화소전극(207a)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또한, 제2화소영역(②)의 제1공통전극(206a) 상에는 제2공통전극(206b)의 일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1공통라인(209a)과 제2공통전극 중첩영역(V2)을 형성하는 제2공통전극 연결라인(216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공통전극(206b) 상에는 제2화소전극(207b)의 일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1공통라인(209a)과 제2화소전극 중첩영역(P2)을 형성하는 제2화소전극 연결라인(217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에도, 제1화소영역(①)의 제1공통전극 중첩영역(V1)과 제2화소영역(②)의 제2공통전극 중첩영역(V2)의 면적이 동일하고, 제1화소영역(①)의 제1화소전극 중첩영역(P1)과 제2화소영역(②)의 제2화소전극 중첩영역(P2)의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공통전극(206a,206b) 및 화소전극(207a,207b)의 일측을 꺽어줌으로써, 화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으며,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전극의 꺽임영역(B) 대향면에 경사면을 만들어줄 수도 있다. 즉, 상기 공통전극의 꺽인 부위와 대향하는 상기 화소전극 부위는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화소전극의 꺽인 부위와 대향하는 상기 공통전극 부위는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꺽임영역(B)의 대향면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우, 공통라인(209a,209b)의 폭은 공통전극 연결라인(216a,216b) 및 화소전극 연결라인(217a,217b)보다 넓게 형성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화소영역(①)에 형성된 제1공통전극(206a) 및 제1화소전극(207a)과 제2화소영역(②)에 형성된 제2공통전극(206b) 및 제2화소전극(207a)의 배치가 X축을 기준으로 대칭이되도록 함으로써, 2-도메인을 형성하고, 제1화소영역(①) 및 제2화소영역(②)의 액정분자(미도시)는 액정분자를 서로 대칭인 배열을 갖게된다.
한편, 상기 제1화소전극 연결라인(217a)으로부터 연장된 제1스토리지전극(214)은 전단 게이트라인과 중첩하여 제1스토리지커패시터(Cst1)를 형성하고,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의 대칭 경계면에는 제1공통라인(209a)으로 부터 화소내부로 돌출된 연장패턴(215)은 공통전극 연결라인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연장패턴(215)과 중첩하는 제2스토리지전극(214')과 함께 제2스토리지커패시터(Cst2)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전 실시예들(도2,3)에 비해, 제2스토리지커패시터(Cst2)가 증가하게 된다.
스토리지커패시터는 게이트전극에 게이트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게이트전압을 충전한 후, 다음 게이트라인의 구동시 화소전극에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기간동안 충전된 전압을 유지시켜 화소전극의 전압 변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스토리지커패시터가 증가하게 되면, 화소 전극의 전압 변동에 의한 플리커(flicker)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액정분자가 서로 대칭인 배열을 갖는 2-도메인의 경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액정분자(213a)의 a1의 복굴절값은 상기 제1액정분자(213a)의 반대방향으로 분자배열을 취하는 제2액정분자의 a2의 복굴절값이 보상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복굴절값이 약 0이 된다. 또한, c1의 복굴절값은 c2가 보상하게 된다. 따라서, 액정의 복굴절 특성에 의한 색전이 현상을 최소화 해줌으로써, 시야각에 따른 화질을 저하를 막을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는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을 투명한 물질로 형성하고, 블랙매트릭스의 형성면적을 최소화하며, 화소외곽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공통라인이 폭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 더욱이, 본 발명은 화소 양측에 배치된 공통라인에 중첩하는 공통전극 연결라인 및 화소전극 연결라인의 중첩영역을 좌우쪽에 대하여 동일하게 형성해줌으로써, 데이터라인의 영향을 좌우 동등하게 받게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데이터라인의 영향을 화소 좌우에 대하여 동등하게 받도함으로써,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화소내에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X축에 대하여 대칭인 구조를 갖는 2-도메인을 형성함으로써, 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두개의 화소를 2-도메인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7a∼도7d 및 도8a∼도8d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7a∼도7d는 공정평면도이고, 도8a∼도8d는 공정단면도이다.
먼저, 도7a 및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제1기판을 준비한 다음, 그 위에 Cu, Ti, Cr, Al, Mo, Ta, Al 합금과 같은 제1금속물질을 증착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게이트라인(301), 게이트전극(301a), 상기 게이트라인(301)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공통라인(309a,309b) 및 상기 제1공통라인(309a)과 제2공통라인(309b)을 전기적을 연결하는 연결라인(309)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게이트라인(301) 및 공통라인(304)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SiNx 또는 SiOx 등을 플라즈마 CVD 방법으로 증착하여 게이트절연막(308)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7b 및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절연막(308) 상부에 비정질 실리콘막 및 n+ 비정질 실리콘막을 적층하고 나서, n+ 비정질 실리콘막 상에 Cu, Mo, Ta, Al, Cr, Ti, Al 합금과 같은 제2금속물질을 증착한다. 이후, 상기 막들을 패터닝하여 게이트전극(301a) 상에 반도체층(305)을 형성하고, 게이트라인(301)과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게이트라인(301)과 함께 화소(P)를 정의하는 데이터라인(303) 및 상기 반도체층(305) 상에 소정간격 이격하는 소스/드레인 전극(302a/302b)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드레인전극(302b)의 연장패턴(302b')도 함께 형성된다.
그 후에, 박막트랜지스터(309)가 형성된 기판 상에 SiNx나 SiOx와 같은 무기물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나 아크릴과 같은 유기물을 도포하여 보호막(311)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7c 및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막을 식각하여 상기 제1 및 제2공통라인(309a,309b)을 노출시키는 제1콘택홀(319)과 드레인전극(302b)의 연장패턴(302b')을 노출시키는 제2콘택홀(329)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7d 및 도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콘택홀(319,329)이 형성된 보호막(311) 상에 ITO(indium tin oxide)나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을 증착한 다음, 상기 이를 패터닝하여 게이트라인(201)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화소내에 수평전계를 발생시키는 공통전극(306) 및 화소전극(307)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공통전극(306)의 일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1공통라인(309a)과 중첩하여 제1공통전극 중첩영역(V1)을 형성하는 제1공통전극 연결라인(316a) 및 제2공통라인(309b)과 중첩하여 제2공통전극 중첩영역(V2)을 형성하는 제2공통전극 연결라인(316b)이 함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화소전극(307)의 일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1공통라인(309a)과 중첩하여 제1화소전극 중첩영역(P1)을 형성하는 제1화소전극 연결라인(317a) 및 제2공통라인(309b)과 중첩하여 제2화소전극 중첩영역(P2)을 형성하는 제2화소전극 연결라인(317b)도 함께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화소전극 연결라인(317a)으로부터 연장되고, 전단 게이트라인(301)과 중첩하여 스토리지커패시터(Cst)를 형성하는 스토리지전극(314)도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화소전극(307) 및 공통전극(306)의 일측을 꺽임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꺽임영역(B)과 대향하는 영역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통전극(106)의 일측이 꺽임 구조일 경우, 상기 공통전극(106)의 꺽인 부위(B)와 대향하는 상기 화소전극(107) 부위(B`)는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소전극의 일측이 꺽임 구조일 경우, 마찬가지로, 상기 화소전극(107)의 꺽인 부위와 대향하는 상기 공통전극(106) 부위는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1배향막(312a)을 도포한 후, 블랙매트릭스(321), 칼라필터(323) 및 제2배향막(312b)가 형성된 제2기판(320)을 제1기판(310)과 합착함으로써,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를 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개구율을 갖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을 투명한 전도성물질로 형성함으로써,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횡전계를 발생시키는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을 가로방향으로 형성하고, 이를 게이트라인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데이터라인과 인접하여 데이터라인의 신호간섭을 차단하는 공통라인의 폭을 종래에 비해 줄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러빙방향을 데이터라인과 수직인 방향으로 만들어줌으로써, 데이터라인과 데이터라인과 인접하는 공통라인 사이의 빛샘을 막줌으로써, 이영역을 가리기 위한 블랙매트릭스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통전극 또는 화소전극의 일측을 꺽어주거나, 상기 전극의 꺽임영역과 대향하는 영역을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전계왜곡을 최소화하여 화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을 투명한 물질로 형성하고, 데이터라인과 인접하는 공통라인의 폭을 최소하며, 블랙매트릭스의 폭을 최소화함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소양측의 공통라인과 중접하는 공통전극/화소전극 연결라인의 중첩영역을 좌우측에 대하여 동일하게 형성하고,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의 일측을 꺽어줌으로써, 전계왜곡을 최소화하여 화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5)

  1. 제1 및 제2기판;
    상기 제1기판에 제1방향으로 배치된 게이트라인;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라인과 함께 화소를 정의하는 데이터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영역에 형성된 스위칭소자;
    상기 화소의 좌우측에 데이터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공통라인;
    상기 제1방향쪽으로 배치되며, 화소내에 수평전계를 발생시키고 상기 화소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배치된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
    상기 화소의 상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공통전극을 연결하며, 상기 제1공통라인과 중첩되는 제1공통전극 중첩영역을 가지는 제 1공통전극 연결라인;
    상기 화소의 하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공통전극을 연결하며, 상기 제2공통라인과 중첩되는 제2공통전극 중첩영역을 가지되, 상기 제 2공통전극 중첩영역은 상기 제1공통전극 중첩영역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제 2공통전극 연결라인;
    상기 화소의 상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화소전극을 연결하며, 상기 제2공통라인과 중첩되는 제1화소전극 중첩영역을 가지는 제 1화소전극 연결라인;
    상기 화소의 하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화소전극을 연결하며, 상기 제1공통라인과 중첩되는 제2화소전극 중첩영역을 가지되, 상기 제2화소전극 중첩영역은 상기 제1화소전극 중첩영역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제 2화소전극 연결라인;및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은 제1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에 대한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의 경사각은 4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은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은 보호막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은 투명한 전도성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전도성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및 IZO(indium zinc oxide)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통라인과 제1공통전극 연결라인 및 상기 제2공통라인과 제2공통전극 연결라인은 상기 보호막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제 1 공통전극 연결라인 및 제 2공통전극 연결라인과 연결되지 않은 일측이 소정 각도로 꺽이도록 형성되고,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제 1 화소전극 연결라인 및 제 2화소전극 연결라인과 연결되지 않은 일측이 소정 각도로 꺽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공통라인의 폭은 상기 제 1,제 2공통전극 연결라인 및 제 1, 제2화소전극 연결라인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제 1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공통전극의 꺽인 부위와 대향하는 상기 화소전극 부위는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화소전극의 꺽인 부위와 대향하는 상기 공통전극 부위는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공통라인의 폭은 제 1, 제2공통전극 연결라인 및 제 1,제 2화소전극 연결라인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의 러빙방향은 제2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공통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은 화소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은 화소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화소전극 연결라인으로부터 연장되며, 전단 게이트라인과 중첩하여 제 1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제 1스토리지전극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공통라인의 폭은 0.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은,
    블랙매트릭스 및 칼라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데이터라인과 공통라인 사이의 이격영역을 가리기 위한 얼라인 마진을 고려하지 않은 최소의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20. 제1 및 제2기판;
    상기 제1기판에 제1방향으로 배치된 게이트라인;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된 데이터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영역에 형성된 스위칭소자;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의해 정의되며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는 화소;
    상기 제1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제1영역내에 형성되어 제1수평전계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한쌍의 제1화소전극 및 제1공통전극;
    상기 제1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영역내에 형성되어 제1수평전계와 상기 제1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인 방향을 갖는 제2수평전계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한쌍의 제2화소전극 및 제2공통전극;
    상기 화소의 좌우측에 데이터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공통라인;
    상기 제1영역의 제1공통라인과 중첩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공통전극을 연결하는 제1공통전극 연결라인;
    상기 제2영역의 제2공통라인과 중첩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2공통전극을 연결하는 제2공통전극 연결라인;
    상기 제1영역의 제2공통라인과 중첩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화소전극을 연결하는 제1화소전극 연결라인;
    상기 제2영역의 제1공통라인과 중첩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2화소전극을 연결하는 제2화소전극 연결라인; 및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통라인과 상기 제 1공통전극 연결라인이 중첩되는 제1공통전극 중첩영역 및 상기 제 2공통라인과 상기 제 2공통전극 연결라인이 중첩되는 제1공통전극 중첩영역의 면적이 동일하고, 상기 제1공통라인과 상기 제 1화소전극 연결라인이 중첩되는 제1화소전극 중첩영역 및 상기 제2공통라인과 상기 제 2화소전극 연결라인이 중첩되는 제2화소전극 중첩영역의 면적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통전극은 상기 제 1공통전극 연결라인과 연결되지 않은 일측이 소정 각도로 꺽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화소전극은 상기 제 1 화소전극 연결라인과 연결되지 않은 일측이 소정 각도로 꺽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통전극은 상기 제 2공통전극 연결라인과 연결되지 않은 일측이 소정 각도로 꺽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화소전극은 상기 제 2 화소전극 연결라인과 연결되지 않은 일측이 소정 각도로 꺽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공통라인의 폭은 제1,2공통전극 연결라인 및 제1,2화소전극 연결라인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제 1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공통전극의 꺽인 부위와 대향하는 상기 화소전극 부위는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화소전극의 꺽인 부위와 대향하는 상기 공통전극 부위는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공통라인의 폭은 제1,2공통전극 연결라인 및 제1,2화소전극 연결라인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공통전극 및 제1,2화소전극은 투명한 전도성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전도성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및 IZO(indium zinc oxide)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은 보호막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공통라인과 제1공통전극 연결라인 및 상기 제2공통라인과 제2공통전극 연결라인은 상기 보호막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의 러빙방향은 제2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통라인 및 제2공통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은 제1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은 제2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3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소전극 연결라인으로부터 연장되어, 전단 게이트라인과 중첩하여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스토리지전극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3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공통라인의 폭은 0.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3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은,
    블랙매트릭스 및 칼라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데이터라인과 공통라인 사이의 이격영역을 가리기 위한 얼라인 마진을 고려하지 않은 최소의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KR1020040049777A 2004-06-29 2004-06-29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52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777A KR100652218B1 (ko) 2004-06-29 2004-06-29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1/168,572 US7724336B2 (en) 2004-06-29 2005-06-29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common electrode connection lines and first and second pixel electrode connection lines being formed on the same layer
US12/758,564 US8040481B2 (en) 2004-06-29 2010-04-12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common electrode connection lines and first and second pixel electrode connection linesbeing formed on the same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777A KR100652218B1 (ko) 2004-06-29 2004-06-29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806A KR20060000806A (ko) 2006-01-06
KR100652218B1 true KR100652218B1 (ko) 2006-12-01

Family

ID=3551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7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52218B1 (ko) 2004-06-29 2004-06-29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724336B2 (ko)
KR (1) KR100652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461B1 (ko) 2007-06-12 2013-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869B1 (ko) * 1999-12-16 2005-06-1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74396B1 (ko) * 2005-06-30 2011-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KR20070070726A (ko) * 2005-12-29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과 그 제조방법
JP4997624B2 (ja) * 2006-03-14 2012-08-0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横電界型液晶表示装置
KR100827459B1 (ko) * 2006-04-11 2008-05-06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횡전계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1320494B1 (ko) * 2006-04-12 2013-10-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106865B2 (en) 2006-06-02 2012-01-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255314B1 (ko) * 2006-06-30 2013-04-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82402B1 (ko) * 2006-09-15 201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307961B1 (ko) * 2006-11-29 2013-09-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1327855B1 (ko) 2006-12-22 2013-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8174655B2 (en) * 2006-12-22 2012-05-08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413275B1 (ko) * 2007-01-29 2014-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7751001B2 (en) * 2007-03-21 2010-07-06 Chimel Innolux Corporation Transflective LCD with reflective layer connected to reference voltage greater than 0.5 Vrms and less than LC threshold voltage
US8351006B2 (en) * 2007-05-14 2013-01-08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362960B1 (ko) 2007-05-14 2014-0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310381B1 (ko) * 2008-12-09 2013-09-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수평 전계형 액정표시장치
KR101323391B1 (ko) * 2008-12-12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641538B1 (ko) * 2008-12-24 2016-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US8830411B2 (en) * 2009-01-16 2014-09-09 Samsung Display Co., Ltd. Arr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85046B1 (ko) * 2009-10-28 2016-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패널
US8937699B2 (en) 2010-08-12 2015-01-20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20017351A (ko) * 2010-08-18 2012-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778009B1 (ko) * 2010-08-19 2017-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30274B1 (ko) 2011-01-28 2018-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20090371A (ko) * 2011-02-07 2012-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30027912A (ko) * 2011-09-08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140004926A (ko) * 2012-07-03 2014-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3018986B (zh) * 2012-11-27 2015-03-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备和驱动方法、液晶显示面板
CN104375341A (zh) * 2014-11-18 2015-02-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液晶显示面板
CN104570514B (zh) * 2014-12-30 2018-01-1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电极结构及液晶显示面板
CN104932162B (zh) * 2015-06-30 2019-02-1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和液晶显示面板
KR20170041929A (ko) * 2015-10-07 2017-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5762154B (zh) * 2016-02-24 2018-12-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
CN114063353B (zh) * 2020-07-29 2023-11-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装置
CN115390325A (zh) * 2022-08-29 2022-11-25 苏州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显示面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860A (ko) * 2001-04-18 2002-10-26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프린지 필드 구동 액정표시장치
KR20020081133A (ko) * 2001-04-17 2002-10-26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20020089979A (ko) * 2001-05-25 2002-11-30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KR20030082375A (ko) * 2002-04-15 2003-10-22 어드밴스트 디스플레이 인코포레이티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31341A (ko) * 2002-10-04 2004-04-1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액정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6289B2 (en) * 2000-04-19 2003-10-21 Lg.Philips Lcd Co., Ltd. In-plane switching LCD panel with multiple domains and rubbing directions symetric about a line
US6459464B1 (en) * 2000-08-14 2002-10-01 Kabushiki Kaisha Advanced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reduced weighting trace defects
JP5165169B2 (ja) * 2001-03-07 2013-03-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KR20020085244A (ko) * 2001-05-07 2002-11-16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액정표시장치
KR100820646B1 (ko) * 2001-09-05 2008-04-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과 그 제조방법
JP4047586B2 (ja) * 2002-01-10 2008-02-13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横電界方式の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KR100895017B1 (ko) * 2002-12-10 2009-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개구율이 향상된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133A (ko) * 2001-04-17 2002-10-26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20020080860A (ko) * 2001-04-18 2002-10-26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프린지 필드 구동 액정표시장치
KR20020089979A (ko) * 2001-05-25 2002-11-30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KR20030082375A (ko) * 2002-04-15 2003-10-22 어드밴스트 디스플레이 인코포레이티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31341A (ko) * 2002-10-04 2004-04-1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액정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8113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461B1 (ko) 2007-06-12 2013-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01815A1 (en) 2006-01-05
US7724336B2 (en) 2010-05-25
US20100195010A1 (en) 2010-08-05
US8040481B2 (en) 2011-10-18
KR20060000806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218B1 (ko)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388639B2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multi-domains
US7349051B2 (en) In 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particular common lines
US7206050B2 (en) IPS type LC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4316381B2 (ja) 高開口率の液晶表示装置
US20070109479A1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11142886A (ja) 液晶表示装置
KR100966452B1 (ko)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3006586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CN100390616C (zh) 面内切换型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247698B1 (ko) 액정 표시 장치
CN100399164C (zh) 面内切换模式液晶显示器件及其制造方法
KR101134932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01662A (ko)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66486A (ko) 고개구율 액정표시소자
KR101248456B1 (ko) 멀티도메인 액정표시소자
KR100585872B1 (ko)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52219B1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KR101297737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909413B1 (ko) 횡전계방식 액정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269354B1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KR20050063006A (ko) 수평구동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5049A (ko)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