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2629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629B1
KR100642629B1 KR1020000040819A KR20000040819A KR100642629B1 KR 100642629 B1 KR100642629 B1 KR 100642629B1 KR 1020000040819 A KR1020000040819 A KR 1020000040819A KR 20000040819 A KR20000040819 A KR 20000040819A KR 100642629 B1 KR100642629 B1 KR 100642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
clock signal
response
word line
memor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7078A (ko
Inventor
이중언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629B1/ko
Publication of KR20020007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62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2Bit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equalising circuits, for bit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8Word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for word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0Deco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공개한다. 그 장치는 로우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복수개의 워드 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한 로우 디코더, 클록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워드 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을 출력하고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중 하나의 워드 라인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워드라인 제어회로,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사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메모리 셀들을 구비한 메모리 셀 어레이, 클록신호 및 스캔 클록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을 프리차지하기 위한 프리차지 회로, 및 스캔 클록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어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래치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캔 데이터 출력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캔 동작을 위하여 메모리 셀들 각각에 추가되는 스캔 회로들과 스캔 라인을 프라차지하기 위한 프리차지 회로가 제거됨으로써 레이아웃 면적이 감소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도1은 종래의 스캔 기능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스캔 기능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도2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캔 동작을 위하여 사용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내의 트랜지스터들을 제거함으로써 레이아웃 면적을 줄일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스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내의 메모리 셀들 각각이 두 개의 트랜지스터들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메모리 셀을 구성하는 6개의 트랜지스터들이외에 스캔 동작을 위한 2개의 트랜지스터들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메모리 셀 어레이의 레이아웃 면적이 증가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1은 종래의 스캔 기능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메모리 셀 어레이(10), 로우 디코더(12), 스캔 디코더(14), 데이터 입출력 게이트(16), 프리차지 회로들(18, 26), 스캔 데이터 출력회로(20), 워드 라인 제어회로(24), 스캔 제어회로(22), 및 인버터들(I1, I2, I3, I4)로 구성되어 있다.
워드 라인 제어회로(24)는 로우 디코더(12)의 출력신호들과 클록신호(CK)를 반전한 신호를 각각 비논리합하기 위한 NOR게이트(NOR1)로 구성된다. 스캔 제어회로(22)는 스캔 디코더(14)의 출력신호들과 스캔 클록신호(SCK)를 반전한 신호를 각각 비논리합하기 위한 NOR게이트(NOR2)로 구성된다. 프리차지 회로(18)는 "로우"레벨의 클록신호(CK)에 응답하여 비트 라인쌍들(BL, BLB) 각각을 프리차지한다. 프리차지 회로(26)는 "로우"레벨의 스캔 클록신호(SCK)에 응답하여 스캔 라인(SL)을 프리차지한다. 스캔 데이터 출력회로(20)는 스캔 클록신호(SCK)에 응답하여 스캔 라인(SL)의 데이터를 각각 래치하여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들(I7, I8)로 구성된 래치(L2)로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10)내의 메모리 셀(MC)들 각각은 NMOS트랜지스터들(N1, N2)와 인버터들(I5, I6)로 구성된 래치(L1)로 구성된 셀과 NMOS트랜지스터들(N3, N4)로 구성된 스캔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스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리차지 회로(26)는 "로우"레벨의 스캔 클록신호(SCK)에 응답하여 PMOS트랜 지스터(P2)가 온되어 스캔 라인(SL)을 "하이"레벨로 프리차지한다. 프리차지 회로(18)는 "로우"레벨의 클록신호(CK)에 응답하여 PMOS트랜지스터(P1)가 온되어 비트 라인쌍(BL, BLB)을 "하이"레벨로 프리차지한다. 스캔 제어회로(22)는 "하이"레벨의 스캔 클록신호(SCK)에 응답하여 스캔 디코더(14)의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스캔 데이터 출력회로(20)는 "하이"레벨의 스캔 클록신호(SCK)에 응답하여 스캔 라인(SL)의 데이터를 래치하여 출력한다.
메모리 셀(MC)내의 스캔 회로는 "로우"레벨의 스캔 클록신호(SCK)에 응답하여 스캔 라인(SL)이 프리차지되고, "하이"레벨의 스캔 제어회로(22)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래치(L1)에 래치된 데이터를 스캔 라인(SL)으로 출력한다. 래치(L1)의 출력신호가 "하이"레벨이면 스캔 라인(SL)에 프리차지된 레벨이 NMOS트랜지스터들(N3, N4)를 통하여 방전되어 스캔 라인(SL)이 "로우"레벨로 되고, 출력신호가 "로우"레벨이면 스캔 라인(SL)에 프리차지된 레벨이 유지된다. 스캔 데이터 출력회로(20)는 "하이"레벨의 스캔 클록신호(SCK)에 응답하여 스캔 라인(SL)의 데이터를 래치하고 반전하여 스캔 데이터(S1, S2, ...)를 발생한다.
즉, 도1에 나타낸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스캔 동작은 스캔 제어회로(22)에 의해서 로우 방향으로 위치한 메모리 셀(MC)에 포함된 NMOS트랜지스터(N4)가 제어된다. 그러면, 메모리 셀(MC)에 포함된 NMOS트랜지스터(N4)가 래치(L1)에 래치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스캔 라인(SL)으로 데이터를 발생한다.
반면에, 정상 동작 수행시에는 클록신호(CK)에 응답하여 리드 및 라이트 동작을 수행한다.
그런데, 종래의 스캔 기능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어레이(10)내의 메모리 셀(MC)들 각각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6개의 트랜지스터들이외에 스캔 동작을 위한 2개의 트랜지스터들을 더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써 레이아웃 면적이 증가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 셀 어레이내의 메모리 셀들 각각에 스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2개의 트랜지스터들을 제거함으로써 레이아웃 면적을 줄일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로우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복수개의 워드 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한 로우 디코더, 클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을 출력하고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중 하나의 워드 라인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워드라인 제어수단,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사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메모리 셀들을 구비한 메모리 셀 어레이, 상기 클록신호 및 스캔 클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을 프리차지하기 위한 프리차지 수단, 및 상기 스캔 클록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어 상기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래치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캔 데이터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스캔 기능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메모리 셀 어레이(30), 로우 디코더(12), 스캔 디코더(14), 데이터 입출력 게이트(16), 프리차지 회로(18), 스캔 데이터 출력회로(20), 워드 라인 제어회로(24), 인버터들(I1, I2, I4), 및 NOR게이트(NOR3)로 구성되어 있다.
도2에서, 도1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과 동일한 블록, 및 회로들은 동일한 번호, 부호로 표시하였다.
도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스캔 기능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도1에 나타낸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에서 메모리 셀 어레이내의 메모리 셀들 각각에 포함된 2개의 트랜지스터들(N3, N4)을 제거하고, 스캔 라인을 프리차지하기 위한 프리차지 회로(26)를 제거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이아웃 면적이 감소된다. 그리고, 스캔 데이터 출력회로(20)는 인버터(I2)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래치들(L2)의 인버터들(I7, I8)의 동작이 인에이블되어 비트 라인(BLB)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여 스캔 데이터(S1, S2, ...)로 발생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도로서, 클록신호(CK), 스캔 클록신호(SCK), 및 비트 라인쌍(BL, BLB)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3을 이용하여 도2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정상 동작 및 스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은 정상 동작과 스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는 없다. 즉, 정상 동작은 클록신호(CK)에 응답하여 이루어지며, 스캔 동작은 스캔 클록신호(SCK)에 응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록신호(CK)와 스캔 클록신호(SCK)가 교대로 인가된다.
첫 번째 구간(Ⅰ)에서, "로우"레벨의 클록신호(CK)와 스캔 클록신호(SCK)에 응답하여 프리차지 회로(18)를 구성하는 PMOS트랜지스터(P1)가 온되어 비트 라인쌍들(BL, BLB)이 프리차지된다. 도3에서, PRE로 나타내었다.
두 번째 구간(Ⅱ)에서, "하이"레벨의 클록신호(CK)에 응답하여 NOR게이트(NOR3)는 "로우"레벨로의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워드 라인 제어회로(24)는 "로우"레벨의 NOR게이트(NOR3)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워드 라인 인에이블 신호들(WL1, WL2, ...)을 발생한다. 그러면, 워드 라인 인에이블 신호들(WL1, WL2, ...)중의 하나의 워드 라인이 인에이블되어 해당 워드 라인에 연결된 메모리 셀(MC)에 저장된 데이터가 비트 라인쌍(BL, BLB)으로 출력된다. 도3에서, EVA로 나타내었다.
세 번째 구간(Ⅲ)에서, 첫 번째 구간(Ⅰ)에서와 마찬가지로 비트 라인쌍들(BL, BLB)이 프리차지된다.
네 번째 구간(Ⅳ)에서, "하이"레벨의 스캔 클록신호(SCK)에 응답하여 NOR게이트(NOR3)는 "로우"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워드 라인 제어회로(24)는 "로우"레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워드 라인 인에이블 신호들(WL1, WL2, ...)을 발생한다. 그러면, 워드 라인 인에이블 신호들(WL1, WL2, ...)중의 하나의 워드 라인이 인에이블되어 해당 워드 라인에 연결된 메모리 셀(MC)에 저장된 데이터가 비트 라인쌍(BL, BLB)으로 출력된다. 이때, 인버터들(I5, I6)은 "하이"레벨의 스캔 클록신 호(SCK)를 입력하여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스캔 데이터 출력회로(20)는 "하이"레벨의 스캔 클록신호(SCK)에 응답하여 래치들(L2)이 인에이블되고, 워드 라인 제어회로(24)에 의해서 인에이블된 워드 라인에 연결된 메모리 셀들(MC)로부터 출력되는 반전 데이터를 래치하고 반전하여 스캔 데이터(S1, S2, ...)로 출력한다.
다섯 번째, 여섯 번째 구간들(Ⅴ, Ⅵ)에서는 첫 번째, 두 번째 구간들(Ⅰ, Ⅱ)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이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정상 동작과 스캔 동작을 서로 교대로 수행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스캔 동작을 위하여 메모리 셀들 각각에 추가되는 스캔 회로들과 스캔 라인을 프라차지하기 위한 프리차지 회로가 제거됨으로써 레이아웃 면적이 감소된다.

Claims (3)

  1. 로우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복수개의 워드 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한 로우 디코더;
    클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 인에이블 신호들을 출력하고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중의 하나의 워드 라인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워드라인 제어수단;
    상기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사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메모리 셀들을 구비한 메모리 셀 어레이;
    상기 클록신호 및 스캔 클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을 프리차지하기 위한 프리차지 수단; 및
    상기 스캔 클록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어 상기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래치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캔 데이터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신호와 상기 스캔 클록신호의 인에이블 시점이 서로 상이하며, 상기 클록신호에 응답하여 정상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스캔 클록신호에 응답하여 스캔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 수단은
    상기 클록신호와 상기 스캔 클록신호의 디스에이블 구간의 겹치는 구간에서 상기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을 프리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000040819A 2000-07-15 2000-07-15 반도체 메모리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42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819A KR100642629B1 (ko) 2000-07-15 2000-07-15 반도체 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819A KR100642629B1 (ko) 2000-07-15 2000-07-15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078A KR20020007078A (ko) 2002-01-26
KR100642629B1 true KR100642629B1 (ko) 2006-11-10

Family

ID=1967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819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2629B1 (ko) 2000-07-15 2000-07-15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766B1 (ko) * 2011-03-18 2013-08-02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메모리 워드 라인 드라이버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013B1 (ko) * 2006-02-21 2007-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캔래치 및 비트 셀의 회로가 동일한 스캔 리드 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9994A (ja) * 1985-10-25 1987-05-09 Nec Corp 半導体メモリ−セル回路
JPH04263195A (ja) * 1991-02-18 1992-09-18 Nec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930024322U (ko) * 1992-04-15 1993-11-27 엘지반도체주식회사 디램의 비트라인 분리회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9994A (ja) * 1985-10-25 1987-05-09 Nec Corp 半導体メモリ−セル回路
JPH04263195A (ja) * 1991-02-18 1992-09-18 Nec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930024322U (ko) * 1992-04-15 1993-11-27 엘지반도체주식회사 디램의 비트라인 분리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766B1 (ko) * 2011-03-18 2013-08-02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메모리 워드 라인 드라이버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078A (ko) 200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1968B1 (ko) 고속동작용디램
US5003510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flash write mode of operation
US6359813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improved data transfer rate without providing a register for holding write data
US5546355A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having a self-timed write pulse independent of clock frequency and duty cycle
JPH02177196A (ja) スタティック型半導体メモリ
WO20181829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design for testability (dft) for bitline drivers of memory circuits
US60551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lumn select lines in a synchronous memory device
US5357479A (en) Static random access memory capable of preventing erroneous writing
KR100297717B1 (ko) 반도체메모리의입출력선프리차아지회로및이를사용하는반도체메모리
KR100391147B1 (ko) 멀티 파이프라인 구조를 가지는 고속 동기 반도체 메모리및 그의 동작방법
KR100460141B1 (ko) 듀얼 포트 정적 메모리 셀 및 이 셀을 구비한 반도체메모리 장치
KR20030009356A (ko) 메모리 배열
US7483289B2 (en) Synchronous SRAM capable of faster read-modify-write operation
KR20010009561A (ko) 늦은 라이트 타입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바이패스 동작 에러방지 및 사이클 타임구간 개선방법과 그에 따른 멀티플렉서 회로
US6741493B1 (en) Split local and continuous bitline requiring fewer wires
KR10064262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483770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72335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ress generation
JPH0845278A (ja) 共用データバス用制御回路
KR0172518B1 (ko) 싱글 에스램 셀을 사용한 이중 포트 에스램
US5812485A (en) Synchronous graphic RAM having block write control function
US7248520B2 (en) Semiconductor memory and data read method of the same
KR100206411B1 (ko) 정적전류 감소를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H05128866A (ja) 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の書き込み、読出し制御回路
KR100234371B1 (ko) 동기식 스태틱 렌덤 엑세스 메모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7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