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0857B1 -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857B1
KR100640857B1 KR1020040105330A KR20040105330A KR100640857B1 KR 100640857 B1 KR100640857 B1 KR 100640857B1 KR 1020040105330 A KR1020040105330 A KR 1020040105330A KR 20040105330 A KR20040105330 A KR 20040105330A KR 100640857 B1 KR100640857 B1 KR 100640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indoor unit
pipe
refrigerant
refrigerant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6839A (ko
Inventor
하도용
최진하
성시경
강재식
박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5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857B1/ko
Priority to US11/204,167 priority patent/US7513125B2/en
Priority to DE602005008543T priority patent/DE602005008543D1/de
Priority to EP05018294A priority patent/EP1672296B1/en
Publication of KR2006006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85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와 냉매배관으로 각각 연결되고 송풍팬이 구비된 복수개의 실내기와,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 각각의 냉매배관에 구비된 복수개의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온도센서로 해당되는 냉매배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측정 단계; 상기 감지된 온도 중 0℃ 이하의 온도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판단 단계; 상기 감지된 온도 중 0℃ 이하의 온도가 있는 경우, 냉매배관의 온도가 0℃ 이하인 배관결빙 실내기의 송풍팬의 RPM을 제1설정시간(t1) 동안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제1설정시간(t1) 경과 후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와 제1설정온도(T1)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가 상기 제1설정온도(T1) 이상인 경우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송풍팬의 RPM을 정상으로 복원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가 상기 제1설정온도(T1) 미만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내기의 송풍팬의 RPM을 제2설정시간(t2) 동안 증가시키는 협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멀티 공기조화기, 실외기, 실내기

Description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MULTI-AIRCONDITIONER}
도 1은 일반적인 멀티 공기조화기의 통신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일반적인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20,30:실내기 13,23,33:송풍팬
40:실외기
본 발명은 멀티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기의 결빙된 냉매배관의 추가적인 온도 저하를 방지하고 결빙된 냉매배관과 연결된 실내기의 써멀 오프(thermal off)를 방지할 수 있는 멀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개의 실내기를 연결한 것으로, 실외기를 공용으로 사용하면서 복수개의 실내기 각각을 냉방기 또는 난방기로 사용하는 공기조화기다.
이러한, 종래의 멀티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실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실내기로서 A실 실내기(10), B실 실내기(20), C실 실내기(30)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40)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하며, 필요에 따라 난방운전 및 냉방운전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4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41)와, 운전 조건(냉방 또는 난방)에 따라 상기 압축기(41)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기체 냉매의 흐름을 변환시키는 사방밸브(42)와, 냉방 운전시 상기 압축기(41)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기체 냉매를 저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응축시키는 실외열교환기(43)와, 상기 실외열교환기(43)에서 열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외열교환기(43)로 송풍하는 실외팬(44)과, 상기 실외열교환기(43)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토출가스온도를 제어하여 냉방 운전시 과열도 조절 및 난방 운전시 과냉각도 조절하는 주(main)전자팽창밸브(45)와, 각 실내기(10,20,30)의 운전조건에 따라 각각의 실내 공간을 선택적으로 공기조화시키도록 도시되지 않은 제어 수단에 의해 온/오프되어 냉매 분배 및 냉매의 흐름을 개폐시키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43)에서 냉각 응축된 저온 고압의 액상 냉매를 상기 주전자팽창밸브(45)를 매개로 인가받아 증발하기 쉬운 저온 저압의 무상 냉매로 감압 팽창시키는 A실, B실, C실 전자팽창밸브[11,21,31:이하, 부(sub)전자팽창밸브라 칭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10,20,30)에는 냉방 운전시 상기 A실, B실, C실 부전자팽창밸브(11,21,31)를 통과한 저온 저압의 무상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저온 저압의 완전 기체 상태의 냉매 가스로 변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12,22,32)와, 상기 실내열교환기(12,22,32)에서 열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팬(13,23,3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A실, B실, C실 실내기(10,20,30)가 냉방 운전이면, 사방밸브(42)가 오프되어 도 2의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냉매싸이클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실외기(40)의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사방밸브(42)를 통해 실외열교환기(43)에 유입되면, 상기 실외열교환기(43)에서는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기체 냉매를 실외팬(4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강제 냉각시켜 응축시킨다.
상기 실외열교환기(43)에서 응축된 저온 고압의 액상 냉매는 주전자팽창밸브(45)를 매개로 각 실내기(10,20,30)의 운전 조건에 따라 운전 실내기의 냉매를 분배하고, 비난방운전 실내기의 냉매흐름을 차단하는 A실, B실, C실 부전자팽창밸브(11,21,31)로 유입되어 증발하기 쉬운 저온 저압의 무상 냉매로 팽창되어 실내기(10,20,30)내에 각각 설치된 실내열교환기(12,22,32)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12,22,32)에서는 A실, B실, C실 부전자팽창밸브(11,21,31)를 통해 감압된 저온 저압의 무상 냉매가 여러개의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증발하여 기화할때 실내팬(13,23,33)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서 열을 빼앗아 실내 공기를 냉각시킨 다음, 그 냉각된 공기(냉풍)를 실내로 토출해서 각 실내기(10,20,30)의 냉방 운전을 행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2,22,32)에서 냉각된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는 다시 압축기(41)로 유입되어 압축기(41)의 단열압축작용에 의해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로 변환되어 위에서 설명한 냉매싸이클을 반복하는데, 이때에 각 실내기(10,20,30)의 운전 조건에 따라 주전자팽창밸브(45)는 과열도 조절을 실시하고, A실, B실, C실 부전자팽창밸브(11,21,31)는 운전 실내기의 냉매를 분배하고, 비난방운전 실내기의 냉매흐름을 차단한다.
반면, A실, B실, C실 실내기(10,20,30)가 난방 운전이면, 사방밸브(42)가 온되어 도 2의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냉매사이클이 이루어지는데, 실외기(40)의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사방밸브(42)를 통해 실내기(10,20,30)내에 각각 설치된 실내열교환기(12,22,32)로 유입되면, 실내열교환기(12,22,32)에서는 실내팬(13,23,33)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상온의 냉각수 또는 공기에 의해 열교환하여 상온 고압의 냉매로 냉각시킴에 따라 따뜻해진 공기(온풍)를 실내로 토출해서 각 실내기(10,20,30)의 난방운전을 행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2,22,32)에서 액화된 냉매는 각 실내기(10,20,30)의 운전조건에 따라 운전 실내기의 냉매를 분배하고, 비난방운전 실내기의 냉매흐름을 차단하는 A실, B실, C실 부전자팽창밸브(11,21,31)로 유입되어 증발하기 쉬운 저온 저압의 무상 냉매로 감압 팽창되어 주전자팽창밸브(45)를 매개로 실외열교환기(43)에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열교환기(43)에서는 저온 저압의 무상 냉매를 실외팬(44) 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냉각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43)에서 냉각된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는 사방밸브(42)를 통해 다시 압축기(41)로 유입되어 압축기(41)의 단열압축작용에 의해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로 변환되어 위에서 설명한 냉매싸이클을 반복하는데, 이때에 각 실내기(10,20,30)의 운전 조건에 따라 주전자팽창밸브(45)는 과냉각도 조절을 실시하고, A실, B실, C실 부전자팽창밸브(11,21,31)는 운전 실내기의 냉매를 분배하고, 비난방운전 실내기의 냉매흐름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은 운전제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10,20,30)에 각각 설치된 마이콤으로 구성된 A실 제어부(15), B실 제어부(25), C실 제어부(35)와, 실외기(40)에 설치된 마이콤으로 구성된 실외기 제어부(46)와의 사이에서 각 제어신호를 통신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즉, A실 실내기(10)에 설치된 운전조작부의 운전키를 누르면, A실 제어부(15)는 운전조작부로부터의 운전신호를 입력받고 해당 운전신호에 따라 A실 실내기(10)내에서 필요한 구동수단들(예컨대, 실내팬구동수단, 풍향구동수단, 실내온도감지수단,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 등)에 대한 제어를 담당함과 동시에, 통신제어신호를 실외기 제어부(46)로 출력함으로써 실외기 제어부(46)에 의해 압축기(41), 사방밸브(42), 실외팬(44), 주전자팽창밸브(45) 등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B실 실내기 및 C실 실내기에 의한 제어도 상기한 A실 실내기에 의한 제어와 동일하다.
한편, 종래 멀티 공기조화기는 냉방운전중에 압축기(41)의 흡입압력 즉, 저압이 낮아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실내기(10,20,30)측 냉매배관의 온도가 영하 로 떨어지게 됨에 따라 실내기(10,20,30)측 냉매배관이 결빙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이 냉매배관이 결빙되는 경우, 압축기(41)에서의 액압축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결빙에 의해 열교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결빙이 더 진행될 위험까지 있었다.
또한, 실내기(10,20,30)측 냉매배관의 온도가 영하로 떨어진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면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공기의 온도가 너무 낮아 불쾌감을 유발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실내기(10,20,30)측 냉매배관의 온도가 영하로 떨어진 상태가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해당되는 실내기(10,20,30)를 써멀 오프(thermal off)시켜서 결빙된 냉매배관의 온도가 다시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경우에만 운전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실내기(10,20,30)를 써멀 오프시키는 시간동안 사용자가 원하는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결빙 해소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냉매배관의 추가적인 온도 저하를 방지하고 상기 실내기가 써멀 오프(thermal off)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멀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와 냉매배관으로 각각 연결되고 송풍팬이 구비된 복수개의 실내기와,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 각각의 냉매배관에 구비된 복수개의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온도센서로 해당되는 냉매배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측정 단계; 상기 감지된 온도 중 0℃ 이하의 온도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판단 단계; 상기 감지된 온도 중 0℃ 이하의 온도가 있는 경우, 냉매배관의 온도가 0℃ 이하인 배관결빙 실내기의 송풍팬의 RPM을 제1설정시간(t1) 동안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제1설정시간(t1) 경과 후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와 제1설정온도(T1)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가 상기 제1설정온도(T1) 이상인 경우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송풍팬의 RPM을 정상으로 복원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가 상기 제1설정온도(T1) 미만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내기의 송풍팬의 RPM을 제2설정시간(t2) 동안 증가시키는 협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설정시간(t2) 경과 후,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와 제2설정온도(T2)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T2) 이상인 경우, 상기 실내기의 송풍팬의 RPM을 모두 정상으로 복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T2) 미만인 경우, 상기 협조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설정온도(T2)는 상기 제1설정온도(T1) 보다 더 작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는 실외기(40:도 1참조)와, 상기 실외기(40)와 냉매배관으로 각각 연결되고 송풍팬(13,23,33:도 1참조)이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실내기(10,20,30:도 1참조)와,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10,20,30) 각각의 냉매배관에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온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멀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개의 온도센서로 해당되는 냉매배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측정 단계(S10)와, 상기 감지된 온도중 0℃ 이하의 온도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판단 단계(S20)와, 상기 판단 결과 감지된 온도가 0℃ 이하인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조정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멀티 공기조화기가 운전될 경우 상기 실내기측 냉매배관에 각각 구비된 온도센서로 해당되는 냉매배관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중에 냉매배관의 온도가 0℃ 이하의 온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감지된 온도가 0℃ 이하인 냉매배관이 있을 경우, 상기 냉매배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조정 단계(S30)가 수행되는데, 상기 조정 단계(S30)는 0℃ 이하의 온도를 갖는 냉매배관을 갖는 실내기(이하, 배관결빙 실내기라 약칭함)에 구비된 송풍팬의 RPM을 일정비율로 소정시간(t1) 동안 증가시켜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를 설정온도(T1)까지 상승시키는 단계이다.
그리하여, 상기 소정시간(t1) 경과후,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가 설정온도(T1) 이상이 되면, 상기 실내기의 송풍팬 RPM을 정상으로 복원시켜 시스템 운전을 수행하면 된다.
한편, 소정시간(t1) 동안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송풍팬의 RPM을 증가시켰는데도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가 설정온도(T1) 미만이면, 다른 실내기의 송풍팬의 RPM을 소정시간(t2) 동안 증가시켜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를 설정온도(T2)까지 상승시키는 협조 단계(S33)가 더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협조 단계(S33)에서의 설정온도(T2)는 상기 조정 단계(S30)에서의 설정온도(T1)보다 좀 더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 소정시간(t2) 경과후,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가 설정온도(T2) 이상이 되면, 상기 실내기의 송풍팬 RPM을 모두 정상으로 복원시켜 시스템 운전을 수행하면 된다.
한편, 소정시간(t2) 동안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송풍팬의 RPM을 증가시켰는데도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가 설정온도(T2) 미만이면, 상기 협조 단계로 다시 리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결빙 해소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유도하여 상기 냉매배관의 추가적인 온도 저하를 방지하고 상기 실내기가 써멀 오프(thermal off)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멀티 공기조화기의 성능 향상 및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와 냉매배관으로 각각 연결되고 송풍팬이 구비된 복수개의 실내기와,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 각각의 냉매배관에 구비된 복수개의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온도센서로 해당되는 냉매배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측정 단계;
    상기 감지된 온도 중 0℃ 이하의 온도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판단 단계;
    상기 감지된 온도 중 0℃ 이하의 온도가 있는 경우, 냉매배관의 온도가 0℃ 이하인 배관결빙 실내기의 송풍팬의 RPM을 제1설정시간(t1) 동안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제1설정시간(t1) 경과 후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와 제1설정온도(T1)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가 상기 제1설정온도(T1) 이상인 경우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송풍팬의 RPM을 정상으로 복원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가 상기 제1설정온도(T1) 미만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내기의 송풍팬의 RPM을 제2설정시간(t2) 동안 증가시키는 협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설정시간(t2) 경과 후,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와 제2설정온도(T2)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T2) 이상인 경우, 상기 실내기의 송풍팬의 RPM을 모두 정상으로 복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결빙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T2) 미만인 경우, 상기 협조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설정온도(T2)는 상기 제1설정온도(T1) 보다 더 작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040105330A 2004-12-14 2004-12-14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40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330A KR100640857B1 (ko) 2004-12-14 2004-12-14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US11/204,167 US7513125B2 (en) 2004-12-14 2005-08-16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DE602005008543T DE602005008543D1 (de) 2004-12-14 2005-08-23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Klimaanlage
EP05018294A EP1672296B1 (en) 2004-12-14 2005-08-23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330A KR100640857B1 (ko) 2004-12-14 2004-12-14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839A KR20060066839A (ko) 2006-06-19
KR100640857B1 true KR100640857B1 (ko) 2006-11-02

Family

ID=36035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3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0857B1 (ko) 2004-12-14 2004-12-14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13125B2 (ko)
EP (1) EP1672296B1 (ko)
KR (1) KR100640857B1 (ko)
DE (1) DE60200500854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79152B (zh) * 2006-05-09 2012-07-04 开利公司 具有自动线路检测的气温控制系统
JP5405076B2 (ja) * 2008-09-29 2014-02-05 三洋電機株式会社 空調冷凍システム
GB0818867D0 (en) * 2008-10-14 2008-11-19 Hardman Steven J Occupancy sensor/controller
WO2010109627A1 (ja) * 2009-03-26 2010-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空調装置の情報伝達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605A (ja) 1997-10-29 1999-05-21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0873B (en) * 1989-02-27 1993-10-06 Toshiba Kk Multi-system air conditioning machine
EP0431491A1 (en) 1989-12-06 1991-06-12 Kabushiki Kaisha Toshiba Heat pump type h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233447B2 (ja) 1992-06-02 2001-11-2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5531076A (en) 1995-04-26 1996-07-02 Carrier Corporation Multi-split fan control
JP3378724B2 (ja) 1996-04-09 2003-02-17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除霜制御方法
KR19990042257A (ko) 1997-11-26 1999-06-1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제어방법
JP4302874B2 (ja) 2000-12-26 2009-07-29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105413B2 (ja) * 2001-08-08 2008-06-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マルチ式空気調和機
KR100474335B1 (ko) 2002-06-04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에어컨의 냉방저온시 전자팽창밸브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605A (ja) 1997-10-29 1999-05-21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42257 *
102003009456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839A (ko) 2006-06-19
DE602005008543D1 (de) 2008-09-11
EP1672296B1 (en) 2008-07-30
US7513125B2 (en) 2009-04-07
US20060123813A1 (en) 2006-06-15
EP1672296A2 (en) 2006-06-21
EP1672296A3 (en)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382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3972860B2 (ja) 冷凍装置
US7984621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321546B1 (ko) 공기조화기
KR10064085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1621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KR100640855B1 (ko)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US8322159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7241880B2 (ja) 空気調和装置
CN110940138B (zh) 冰箱化霜控制方法及冰箱
JP3835453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640856B1 (ko)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90040671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2377986A (zh) 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KR100640857B1 (ko)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3668750B2 (ja) 空気調和装置
JP3661014B2 (ja) 冷凍装置
JP7018775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60124960A (ko)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
KR100736794B1 (ko) 차량의 에어컨 시스템의 증발기 과냉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JP2523534B2 (ja) 空気調和機
KR10063948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과부하 제어방법
KR20070074797A (ko) 열교환장치
JP2002286309A (ja) 冷凍装置
JP2004205142A (ja) 冷凍空調装置およびその運転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