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0185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185B1
KR100640185B1 KR1020040034524A KR20040034524A KR100640185B1 KR 100640185 B1 KR100640185 B1 KR 100640185B1 KR 1020040034524 A KR1020040034524 A KR 1020040034524A KR 20040034524 A KR20040034524 A KR 20040034524A KR 100640185 B1 KR100640185 B1 KR 100640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electrode
display device
unit solid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171A (ko
Inventor
쿠보마스미
야마모토아키히로
오치타카시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39157A external-priority patent/JP42124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39156A external-priority patent/JP4215562B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18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36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the birefringence of the liquid crystal being electrically controlled, e.g. ECB-, DAP-, HAN-, PI-LC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42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for homeotropic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제1 기판의 액정층측에 제공된 제1 전극 및 상기 액정층을 통해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 기판에 제공된 제2 전극에 의해, 복수의 화소 영역이 규정되는 액정표시장치이다. 각 화소 영역에 있어서, 제1 전극은,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를 포함하는 솔리드부를 갖고, 액정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수직 배향상태를 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제1 전극의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의 단부에 생성되는 경사 전계에 의해,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에 대향하는 영역에,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를 취하는 액정 도메인을 형성한다.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은, 예각화된 4개의 코너부를 갖고, 상기 4개의 코너부는 각각 표시면의 상측, 하측, 우측 및 좌측을 향하고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의 하나의 화소 영역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도1a는 평면도이고, 도1b는 도1a의 선 1B-1B'를 따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2a 및 도2b는 인가 전압이 있는 경우의 액정 표시 장치(100)의 액정층(30)을 도시하고, 도2a는 배향이 변화하기 시작한 상태(초기의 온(ON)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도2b는 정상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3a ~ 도3d의 각각은 전기력선과 액정 분자의 배향 사이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4a ~ 도4c는 기판의 법선 방향에서 조망되는, 액정 표시 장치(100)에서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5는 편광판의 투과축 각도와 투과율비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6은 편광축 각도와 단위 솔리드부의 코너(corner)부가 지시하는 방향과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7a ~ 도7c는 예시적인 액정 분자의 방사상 경사 배향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8a 및 도8b는 단위 솔리드부의 코너부를 예각으로 제공하여 얻어진 작용을 도시한다.
도9a ~ 도9c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단위 솔리드부의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또 다른 화소 전극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액정 표시 장치(200)의 하나의 화소 영역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2는 액정 표시 장치(200)에 사용되는 또 다른 화소 전극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3a 및 도13b는 도12에 도시된 화소 전극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의 편광 현미경 사진이고, 도13a는 백색 표시(6.2 V의 인가 전압 존재시)에서의 편광 현미경 사진이고, 도13b는 중간조 레벨 표시(3.0 V의 인가 전압 존재시)에서의 편광 현미경 사진이다.
도14a 및 도14b는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의 편광 현미경 사진이고, 도14a는 백색 표시(6.2 V의 인가 전압의 존재시)에서의 편광 현미경 사진이고, 도14b는 중간조 표시(3.0 V의 인가 전압의 존재시)에서의 편광 현미경 사진이다.
도15는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6a 및 도16b는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의 편광 현미경 사진 이고, 도16a는 백색 표시(6.2 V의 인가 전압의 존재시)에서의 편광 현미경 사진이고, 도16b는 중간조 표시(6.2 V의 인가 전압의 존재시)에서의 편광 현미경 사진이다.
도17a 및 도17b는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의 편광 현미경 사진이고, 도17a는 백색 표시(6.2 V의 인가 전압의 존재시)에서의 편광 현미경 사진이고, 도17b는 중간조 표시(6.2 V의 인가 전압의 존재시)에서의 편광 현미경 사진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액정 표시 장치(300)의 하나의 화소 영역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9a ~ 도19d는 배향 규제 구조(28)를 포함하는 대향 기판(300b)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20a ~ 도20c는 액정 표시 장치(300)의 하나의 화소 영역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20a는 인가 전압이 없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20b는 배향이 변화하기 시작하는 상태(초기의 온 상태)를 도시하고, 도20c는 정상 상태를 도시한다.
도2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액정 표시 장치(400)의 4개 화소 영역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액정 표시 장치(500)의 4개 화소 영역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3a ~ 도23c는 액정 표시 장치(500)의 하나의 화소 영역을 모식적으로 도 시하는 단면도이고, 도23a는 인가 전압이 없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23b는 배향이 변화하기 시작한 상태(초기의 온 상태)를 도시하고, 도23c는 정상 상태를 도시한다.
도24a ~ 도24c는 2층 구조 전극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600)의 하나의 화소 영역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24a는 인가 전압이 없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24b는 배향이 변화하기 시작한 상태(초기의 온 상태)를 도시하고, 도24c는 정상 상태를 도시한다.
도25a ~ 도25c는 2층 구조 전극을 갖는 다른 액정 표시 장치(700)의 하나의 화소 영역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25a는 인가 전압이 없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25b는 배향이 변화하기 시작한 상태(초기의 온 상태)를 도시하고, 도25c는 정상 상태를 도시한다.
도26은 2층 구조 전극을 갖는 또 다른 액정 표시 장치(800)의 하나의 화소 영역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 넓은 시야각 특성을 갖고 고품위의 표시를 생성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얇고 경량성의 액정 표시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디스플레이 및 PDA(휴대 정보 단말기기) 디스플레이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트위스트 네마틱(twist nematic)(TN)형 및 수퍼 트위스트 네마틱(STN)형 액정 표시 장치는 좁은 시야각을 갖는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졌다.
TN 또는 STN형 액정 표시 장치의 시야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은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광학 보상판을 부가하는 것이다. 다른 방식은 기판 평면에 대해 수평방향의 전계가 액정층을 통해 인가되는 횡전계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횡전계 모드 액정 표시 장치는 주목받아서 최근에 양산화되고 있다. 또 다른 기술은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네마틱 액정 재료가 액정 재료로서 사용되고 수직 배향막이 배향막으로서 사용되는 DAP(deformation of vertical aligned phase)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투과율이 액정 분자의 복굴절을 사용하여 제어되는,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모드의 한 유형이다.
횡전계 모드는 시야각을 개선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식인 반면,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통상의 TN형 장치에 비해 생산 마진이 상당히 낮게 되어서, 장치의 안정한 생산을 실현하기 어렵다. 이것은 표시 휘도 또는 콘트라스트비가 기판 사이의 갭(gap)의 변동이나 액정 분자의 배향축에 대해 편광판의 투과축(편광축) 방향의 어긋남에 의해 상당히 영향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치의 안정한 생산을 실현하고 이들 요인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더욱 필요하다.
DAP 모드 액정 표시 장치로 표시 불균일없이 균일한 표시를 실현하기 위해, 배향 제어가 필요하다. 배향 제어는 배향막의 표면을 러빙(rubbing)하여 배향 처리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수직 배향막이 러빙 처리되면, 표시 화상에 러 빙 스트리크 (streak)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양산화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자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개구부와 솔리드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전극 구조가 액정층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전극 중 한쪽 전극에 사용되어, 방사상 경사 배향을 각각 취하는 복수의 액정 도메인이 상기 개구부의 에지부에서 생성된 경사 전계에 의해 개구부 및 솔리드부 각각에 형성되는 다른 방법을 제안하였다(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No. 2003-043525). 이 방법에서, 방사상 경사 배향을 갖는 액정 도메인은 높은 연속성을 가지면서 안정하게 형성될 수 있어, 시야각 특성과 표시 품위를 향상시킨다.
그러나, 액정 표시 장치가 더욱더 보급됨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표시 특성 요구가 증가되었고, 표시 휘도 및 응답 속도와 같은 표시 특성의 더한 향상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시야각 특성과 바람직한 표시 특성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기판;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제공된 액정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화소 영역은 상기 액정층에 더 인접한 제1기판의 한 쪽에 제공된 제1전극과 상기 액정층을 통해 상기 제1전극을 대향하도록 상기 제2기판에 제공된 제2전극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1전극은,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 각각에서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를 포함하는 솔리드부를 포함하고, 그에 의해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인가 전압이 없는 경우에 수직 배향 상태를 취하고,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단위 솔리드부 주변에 생성된 경사 전계에 의해 상기 제1전극의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로 되는 액정 도메인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는 각각 표시면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향하는 4개의 예각화된 코너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층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편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편광판 중 하나의 투과축은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에 대략 평행하고, 상기 한 쌍의 편광판 중 다른 하나의 투과축은 상기 표시면의 좌우 방향에 대략 평행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 각각의 형상은 회전 대칭성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 각각의 형상은 4회 회전 대칭성을 갖는 대략 성형(星形)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크기를 갖고, 회전 대칭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전극의 솔리드부는 단위 솔리드부의 부분으로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각각 갖는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 각각의 주변을 따라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대략 상기 단위 솔 리드부의 1/2에 상당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서브 단위 솔리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대략 상기 단위 솔리드부의 1/4에 상당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서브 단위 솔리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보적인 방식으로 회전 대칭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공히 상기 단위 솔리드부 형상의 정수개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기판은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적어도 인가 전압이 있는 경우에 액정층의 액정 분자에 배향 규제력을 발현하는 배향 규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배향 규제 구조에 의한 배향 규제 방향은 상기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의 주변에 생성된 경사 전계에 의한 배향 규제 방향과 정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향 규제 구조는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인가 전압이 없을 때에도 배향 규제력을 발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향 규제 구조는 상기 제2기판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으로 돌출하는 돌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 각각에서, 상기 제1전극은 적 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액정층은 또한,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응답하여 경사 전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로 되는 액정 도메인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대칭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각 형상은 회전 대칭성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기판은 상기 액정층으로부터 떨어진 제1전극의 한쪽에 제공된 유전체층 및 상기 유전체층을 통해 상기 제1전극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대향하는 제3전극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기판은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의 각각에 대응하여 제공된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은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 각각에 대해 제공되고 스위칭 소자에 의해 스위치 온/오프되는 화소 전극이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을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향 전극이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다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기판;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제공된 액정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화소 영역은 상기 액정층에 인접한 상기 제1기판의 한쪽에 제공된 제1전극 및 상기 액정층을 통해 상기 제1전극을 대향하도록 상기 제2기판상에 제공되는 제2전극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인가 전압이 없는 경우에 수직 배향 상태를 취하고; 상기 제1전극은,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 각각에서 4개의 예각화된 코너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대략 성형인 도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부 각각의 4개의 코너부는 각각 표시면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액정층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편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편광판 중 하나의 투과축은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에 대략 평행하고, 상기 한 쌍의 편광판 중 다른 하나의 투과축은 상기 표시편의 좌우 방향에 대략 평행하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기판;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제공된 액정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화소 영역은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서 규정되고,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의 각각에 대해 상기 액정층에 인접한 상기 제1기판의 한쪽에 제공된 화소 전극; 상기 액정층을 통해 상기 화소 전극을 대향하도록 상기 제2기판에 제공된 대향 전극; 상기 화소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 및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기판에 제공되는 주사 배선 및 신호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 각각에서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를 포함하는 솔리드부를 포함하고, 그에 의해 상기 액정층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의 인가 전압이 없는 경우에 수직 배향 상태를 취하고,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화소 전극의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의 주변에 형성된 경사 전계에 의해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에 서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로 되는 액정 도메인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은 표시면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향하는 4개의 예각화된 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에 제공된 주사 배선 및 신호 배선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세그먼트이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의 각각에서 복수회 굴곡되면서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 배선 및 신호 배선의 적어도 하나의 각 부분은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 약 45°로 경사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 배선 및 신호 배선 둘다는 상기 제1기판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 각각의 주변을 따라 배치된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적어도 일부는 소정의 피치(pitch)로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주사 배선 및 신호 배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정 피치의 약 1/2로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 배선 및 신호 배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규정된 화소 전극의 외연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액정층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편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편광판 중 하나의 투과축은 일반적으로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한 쌍의 편광판 중 다른 하나 의 투과축은 일반적으로 상기 표시면의 좌우 방향에 평행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의 형상은 회전 대칭성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의 형상은 4회 회전 대칭성을 갖는 대략 성형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고, 회전 대칭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화소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경사 전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또한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를 취하는 액정 도메인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대칭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형상은 회전 대칭성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기판은 상기 액정층으로부터 떨어진 제1전극의 한쪽에 제공된 유전체층 및 상기 유전체층을 통해 상기 제1전극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분을 대향하는 제3전극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기판은,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적어도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인가 전압이 있는 경우에 상기 액정층의 액정 분자를 방사상 경사 배향시키는 배향 규제력을 발현하는 배향 규제 구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배향 규제 구조는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의 중앙 부근의 영역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액정 도메인에서, 상기 배향 규제 구조에 의한 배향 규제 방향은 경사 전계에 의해 형성된 방사상 경사 배향 방향과 정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배향 규제 구조는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인가 전압이 없는 경우에도 배향 규제력을 발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배향 규제 구조는 상기 대향 전극으로부터 액정층으로 돌출한 돌기이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다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기판;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제공된 액정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화소 영역은 액정 표시 장치에서 규정되고,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의 각각에 대해 액정층에 인접한 제1기판의 한쪽에 제공된 화소 전극; 상기 액정층을 통해 상기 화소 전극을 대향하도록 상기 제2기판에 제공된 대향 전극; 상기 화소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 및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기판에 제공되는 주사 배선 및 신호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인가 전압이 없는 경우에 수직 배향 상태를 취하고; 상기 화소 전극은 각각 표시면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으로 향하는 4개의 예각화된 코너부를 갖는, 복수의 대략 성형인 도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에 제공된 주사 배선 및 신호 배선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세그먼트이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의 각각에서 복수회 굴곡되면서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 배선 및 신호 배선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일부분은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 약 45°로 경사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 배선 및 신호 배선 양쪽은 상기 제1기판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의 각각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도전부 중 적어도 일부는 소정의 피치로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주사 배선 및 신호 배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정 피치의 약 1/2로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굴곡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 배선 및 신호 배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도전부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규정되는 화소 전극의 외연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액정층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편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편광판의 하나의 투과축은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에 대략 평행하고, 상기 한 쌍의 편광판의 다른 하나의 투과축은 상기 표시면의 좌우 방향에 대략 평행하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화소 영역의 액정층을 통해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 중 하나는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를 포함하는 솔리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층은 인가 전압이 없는 경우에 수직 배향 상태를 취하고, 인가 전압이 있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 주변에 생성된 경사 전계에 의한 복수의 액정 도메인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액정 도메인 각각은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를 취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응답하여 각각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를 취하는 복수의 액정 도메인을 형성하기 위해 경사 전계가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 주변에 생성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하나의 외형이 규정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액정층은 부의 유전 이방성을 갖는 액정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액정층의 배향은 상기 양측에 제공된 수직 배향층(예를 들어, 수직 배향막)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액정 도메인은 상기 단위 솔리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경사 전계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의 액정 도메인의 배향은 상기 인가 전압에 따라 변화하고, 그에 의해 표시가 행해진다. 각각의 액정 도메인은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를 취하고, 고도의 회전 대칭성을 갖는 배향 상태를 취하기 때문에, 표시 품위의 시야각 의존성이 작고, 따라서 넓은 시야각 특성이 실현된다.
여기서, 도전막이 존재하는 전극의 부분은 "솔리드부"로 지칭되고, 단일 액 정 도메인을 형성하는 전계를 생성하는 솔리드부의 일부분은 "단위 솔리드부"로 지칭된다. 각 솔리드부는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도전막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은 4개의 예각화된 코너부를 갖기 때문에, 여러 방위각 방향으로 배향되는 액정 분자의 존재 확률에 대해 고회전 대칭성을 유지하면서, 특정 방위각 방향으로 배향되는 액정 분자의 존재 확률이 증가될 수 있다(또는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정 분자의 존재 확률에서 높은 지향성이 유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4개의 예각화된 코너부는 각각 표시면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으로 향하기 때문에, 이들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하는 액정 분자, 즉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하는 액정 분자의 존재 확률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이들 방향, 즉, 표시면의 우상-좌하 방향 또는 우하-좌상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배향되는 액정 분자의 존재 확률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표시면의 12시 방향, 6시 방향, 3시 방향 및 9시 방향은 각각 "상측", "하측", "우측" 및 "좌측" 방향으로 지칭된다.
따라서, 상기 액정층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편광판 중 하나의 투과축이 일반적으로 표시면의 상하 방향에 평행한 반면, 상기 다른 편광판의 투과축은 표시면의 좌우 방향에 대략 평행한 배치에서 밝은 표시가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분자의 존재 확률에서 높은 지향성이 유도되기 때문에, 상기 투과축에 대략 평행하거나 수직으로 배향하는 액정 분자, 즉 입사광에 대해 실질적으로 위상차를 제공하지 않는 액정 분자의 존재 확률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투과축에 대해 45°로 경사진 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배향되는 액정 분자, 즉 상기 입사광에 대해 실질적인 위상차를 제공하는 액정 분자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하나의 편광판의 투과축이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반면, 상기 다른 편광판의 투과축이 상기 표시면의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도록 한 쌍의 편광판이 배치되는 구성에서, 경사진 시야각으로부터의 흑표시 품위의 저하가 작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진 시야각으로부터의 표시 품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밝은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위 솔리드부의 4개 코너부의 각각은 예각화되는 경우, 경사 전계가 생성되는 전극 주변의 총 길이는 용이하게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경사 전계는 더 많은 액정 분자에 작용될 수 있고, 따라서 고속의 응답 속도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4개 코너부의 각각은 예각화되어 있고, 전극 주변으로부터 단위 솔리드부 내의 액정 분자까지의 거리는 짧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단위 솔리드부 내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효율적으로 규제할 수 있어, 바람직한 응답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예각화 코너부"는 2개의 직선이 그 사이에 90°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는 코너부 뿐 아니라, 곡선 및 직선, 또는 2개 곡선이 그 사이에 90°미만의 각도(즉, 그 교점에서의 2개 선의 접선 사이의 각도)를 형성하는 코너부를 지칭한다. 더욱이, 상기 코너부는 선택적으로 정점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층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편광판을, 하나의 편광판의 투과축이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에 대략 평행한 반면 다른 하나의 편광 판의 투과축이 상기 표시면의 좌우 방향에 대략 평행하도록 배치하는 구성에서, 경사 시야각 (표시면의 법선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부터 흑표시 품위의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경사진 시야각으로부터 관찰되는 경우의 흑표시 품위의 저하(구체적으로, 광 누출)는 크로스-니콜(crossed-Nicols) 배치에서의 편광판 쌍이 경사진 시야각으로부터 관찰되는 경우에(90°를 초과하는 투과축 사이의 각도로) 직교에서 어긋난 투과축 사이의 명백한 관계에 기인한다. 그러나, 상술한 투과축 구성에서, 상기 투과축은 시야각이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우에 서로 분명하게 직교하고, 표시면을 관찰하는 경우에 시야각이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는 일이 많다.
각각의 단위 솔리드부의 형상이 회전 대칭성(기판 법선 방향에서 보여진 형상)을 갖기 때문에, 상기 단위 솔리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액정 도메인의 방사상 경사 배향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액정 도메인의 시야각 의존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단위 솔리드부의 형상이 높은 회전 대칭성을 갖는 것이(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회 회전 대칭성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회 회전 대칭성)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솔리드부의 형상은,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구형의 각 사이드를 내부로 구부리거나 만곡하여 얻어진 성형이다. 일반적으로 성형 단위 솔리드부는 바람직하게는 2회 회전 대칭성을 갖고(2회 회전 대칭축을 갖음) 더욱 바람직하게는 4회 회전 대칭성을 갖는다(4회 회전 대칭축을 갖음).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고, 회전 대칭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형성하기 때문에, 복수의 액정 도메인은 각각의 단위 격자에 대해 높은 대칭성으로 배치될 수 있고, 그에 의해 표시 품위의 시야각 의존성을 개선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전체 화소 영역을 단위 격자로 분할함으로써, 전체 화소 영역을 통해 상기 액정층의 배향을 안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는 상기 단위 솔리드부의 중심이 정방 격자를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화소 영역이 보조 용량 배선(storage capacitance line)과 같은 불투명한 요소에 의해 분할되는 경우, 단위 격자는 상기 표시에 기여하는 각 영역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를 포함하는 솔리드부를 갖는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가 전극에 제공되면, 단위 솔리드부가 상기 전극의 외형을 규정함으로써만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각각의 화소 영역에서 용이하게 많은 수의 단위 솔리드부를 형성할 수 있고, 용이하게 많은 수의 액정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가 제공됨에 따라, 단위 솔리드부 주변, 즉 개구부의 에지부에서 생성되는 경사 전계에 의해 개구부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역에서 또한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를 취하는 액정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솔리드부에 형성된 액정 도메인 및 상기 개구부에 형성된 액정 도메인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둘다 경사 전계에 의해 형성되고, 그에 의해 이들 액정 도메인은 서로 인접하여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인접한 액정 도메인 사이의 액정 분자의 배향은 본질적으로 연속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에 형성된 액정 도메인과 상기 솔리드부에 형성된 액정 도메인 사 이의 경계를 따라 디스클리네이션 라인(disclination line)이 형성되지 않고, 표시 품위는 디스클리네이션 라인에 의해 저하되지 않고, 상기 액정 분자의 배향 안정성이 높다.
액정 분자가 전극의 솔리드부에 대응하는 영역 뿐 아니라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를 취하는 경우, 높은 액정 분자의 배향의 연속성으로 안정한 배향이 실현되고, 그에 의해 표시 불균일 없이 균일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응답 특성(즉, 고속 응답 속도)을 실현하기 위해, 액정 분자의 배향을 제어하는 경사 전계는 많은 액정 분자에 작용되는 것이 필요하고, 이것은 개구 영역의 총 면적(에지부의 총 길이)이 클 것을 필요로 한다. 안정한 방사상 경사 배향을 갖는 액정 도메인이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경우, 응답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개구 영역의 총 면적이 증가되더라도, 표시 품위의 저하(표시 불균일의 발생)를 억제할 수 있다.
방사상 경사 배향이 솔리드부(단위 솔리드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한, 각 화소 영역에서의 액정 분자 배향의 연속성은 보장되고, 그에 의해,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액정 도메인이 방사상 경사 배향을 취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솔리드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액정 도메인의 방사상 경사 배향을 안정화한다. 특히, 개구부의 면적이 작은 경우, 개구부는 표시에 대한 기여가 아주 작아서, 방사상 경사 배향을 취하는 액정 도메인이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지 않더라도, 표시 품위는 두드러지게 저하하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실질적으 로 동일한 크기를 갖고, 회전 대칭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형성하는 경우에, 복수의 액정 도메인은 각 단위 격자마다 높은 대칭성으로 배치될 수 있고, 그에 의해 표시 품위의 시야각 의존성을 향상할 수 있다. 더욱이, 전체 화소 영역을 단위 격자로 분할함으로써, 전체 화소 영역을 통해 상기 액정층의 배향을 안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는 상기 개구부의 중심이 정방 격자를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화소 영역이 보조 용량 배선과 같은 불투명한 요소에 의해 분할되는 경우, 단위 격자는 표시에 기여하는 영역마다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일반적으로 단위 격자를 형성하는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의 각각의 형상이 회전 대칭성을 갖는 경우(기판 법선 방향에서 볼때), 개구부에 형성된 액정 도메인의 방사상 경사 배향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액정 도메인의 시야각 의존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단위 솔리드부의 형상이 높은 회전 대칭성(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회 회전 대칭성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회 회전 대칭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는 일반적으로 십자형 또는 일반적으로 사방형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개구부의 형상은 2개의 원호(일반적으로 열호)로 이루어진 원호 이각형(아몬드 유사형)일 수 있다.
한 쌍의 전극 중 하나에 개구부가 제공되는 상술한 전극 구조에서,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액정층을 통해 충분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수 있고, 충분한 리타데이션(retardation) 변화가 얻어지지 않아, 광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전체층은 액정층으로부터 떨어진 개구부를 갖는 전극의 한 쪽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유전체층을 통해 상위 전극의 개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도록 부가 전극이 제공되어(즉, 2층 구조 전극),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액정층을 통해 충분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그에 의해 광 효율 및 응답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소 영역은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에 평행한 2개 사이드와 상기 표시면의 좌우 방향에 평행한 2개 사이드로 구성된 구형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단위 솔리드부의 4개의 예각화된 코너부가 각각 상기 표시면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으로 향하는 경우에, 상기 단위 솔리드부는 상기 화소 영역의 중앙부에서와 동일한 밀도로 상기 화소 영역의 주변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없고, 그에 의해 상기 화소 영역의 주변에 고밀도로 상기 솔리드부에 대응하는 액정 도메인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상기 전극의 솔리드부가 각각 단위 솔리드부의 일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가 상기 화소 영역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액정층을 통해 인가된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 단위 솔리드부 주변에 경사 전계가 생성되고, 액정 도메인은 또한 상기 경사 전계에 의해 상기 서브 단위 솔리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소 영역을 통해 전적으로 안정한 배향 상태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상기 화소 영역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화소 영역에서 솔리드부의 면적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에 의해 생성된 전계에 의해 직접 영향받는 액정층의 면적(기판 법 선 방향에서 볼 때)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실효 개구율(투과율)을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더 밝은 표시가 실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소 영역의 주변을 따라 서브 단위 솔리드부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솔리드부에 대응하는 액정 도메인은 또한 고밀도로 상기 화소 영역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상기 화소 영역을 통해 전적으로 안정한 배향 상태를 얻으면서 더 밝은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일반적으로 단위 솔리드부의 1/2에 상당하는 형상을 갖는 서브 단위 솔리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상기 단위 솔리드부의 1/4에 상당하는 형상을 갖는 서브 단위 솔리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단위 솔리드부의 1/2에 상당하는 형상을 갖는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상기 화소 영역의 각 사이드를 따른 영역에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단위 솔리드부의 1/4에 상당하는 형상을 갖는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상기 화소 영역의 각 코너를 따른 영역에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품위의 시야각 의존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각 액정 도메인은 상기 화소 영역을 통해 전적으로 회전 대칭성을 갖고, 상기 화소 영역의 주변에 형성된 액정 도메인이 상기 화소 영역의 중심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인접 액정 도메인과 함께 회전 대칭성을 갖는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서브 단위 솔리드부 각각은 상기 단위 솔리드부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회전 대칭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어, 상기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상기 단위 솔리드부 중 적어도 하나와 공히 상보적인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형성한다).
게다가, 상기 표시 품위의 시야각 의존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각 화소 영역의 상기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공히 상기 단위 솔리드부의 형상의 정수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상기 단위 솔리드부의 일부분에 상당하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상기 서브 단위 솔리드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액정 도메인은 상기 단위 솔리드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액정 도메인만큼 안정한 배향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솔리드부를 포함하는 전극을 갖는 기판에 대향하는 기판은, 상기 서브 단위 솔리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적어도 인가 전압이 존재하는 경우에 액정층의 액정 분자에 배향 규제력을 발현하는 배향 규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배향 규제 구조에 의한 배향 규제 방향은 경사 전계에 의한 배향 규제 방향과 정합하여, 상기 서브 단위 솔리드부에 형성된 액정 도메인의 배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향을 안정화하는 효과는 적어도 인가 전압이 존재하는 경우에 배향 규제 구조가 배향 규제력을 발현하는 한 얻어질 수 있지만, 인가 전압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 배향 규제력이 발현되도록 하는 구성이 채용되면, 상기 인가 전압의 레벨에 관계없이 배향이 안정화될 수 있다는 부가의 이점을 얻게 된다.
배향 규제 구조는, 예를 들어, 상기 액정층으로 돌출하는 돌기일 수 있다. 그러한 돌기는 인가 전압이 없는 경우에도 배향 규제력을 발현할 수 있다. 게다가, 그러한 돌기는 간단한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따라서 생산 효율면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화소 영역마다 TFT와 같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고, 상술한 단위 솔리드부를 포함하는 전극은 상기 스위칭 엘리먼트에 의해 스위치 온 및 오프되는 화소 전극이고, 다른 전극은 다수의 화소 전극을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향 전극이다. 따라서, 액정층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기판 중 하나에 단위 솔리드부를 제공함으로써만, 안정한 방사상 경사 배향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전막을 화소 전극에 패터닝하는 과정에서 소망하는 형상의 단위 솔리드부가 소망하는 구성으로 형성되고 배치되도록, 포토마스크를 수정하면서 공지된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는 대향 전극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특징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이 제공되는 기판(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에 제공되는 주사 배선 및 신호 배선 중 하나가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 소정의 부분이 경사지도록 복수번 굴곡지면서 연장되는(즉,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장됨)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그 코너부가 상기 표시면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방향을 각각 향하는 상기 단위 솔리드부는 일반적으로 화소 영역의 중앙부에서와 동일한 밀도로 상기 화소 영역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가 전압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솔리드부에 대응하는 액정 도메인은 일반적으로 화소 영역의 중앙부에서와 동일한 밀도로 화소 영역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그에 의해 화소 영역을 통해 전적으로 안정한 배향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단위 솔리드부는 일반적으로 화소 영역의 중앙부에서와 동일한 밀도로 상기 화소 영역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화소 영역의 솔리드부의 면적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극에 의해 생성되는 전계에 의해 직접 영향받는 액정층(30)의 면적(기판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실효 개구율(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더 밝은 표시가 실현된다.
효율적으로 화소 영역을 이용하기 위해, 즉 화소 영역의 주변의 단위 솔리드부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굴곡된 배선 중 적어도 하나(즉,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에 제공된 주사 배선 및 신호 배선 중 적어도 하나)는, 화소 영역의 주변을 따라 존재하는 단위 솔리드부의 일부에 의해 규정되는 화소 전극의 외연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화소 영역의 주변을 따라 존재하는 단위 솔리드부는 소정의 피치로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굴곡부가 소정의 피치의 약 1/2로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굴곡 배선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굴곡 배선은 용이하게 상기 화소 전극의 외연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곡 배선은 상기 배선의 각 부분이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 약 45°로 경사지도록 복수회 구부러질 수 있다. 물론, 경사각은 상기 45°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소 전극의 외연은 상기 화소 영역의 주변을 따라 존재하는 단위 솔리드부에 의해 규정되기 때문에, 경사각은 굴곡 배선이 상기 화소 전극의 외연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단위 솔리드부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가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같은 3단자 능동 소자인 경우에, 주사 배선 및 신호 배선 양쪽은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에 제공된다. 스위칭 소자가 MIM(Metal Insulator Metal) 소자와 같은 2단자 능동 소자인 경우에, 주사 배선 및 신호 배선 중 하나가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에 제공되고, 다른 배선은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을 대향하는 기판(대향 기판)에 제공된다. 어떤 경우에도, 적어도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에 제공된 배선을 구부림으로써 상술한 기능 및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화소 전극을 갖는 기판을 대향하는 기판(대향 기판)은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적어도 인가 전압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액정층의 액정 분자를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로 배향하는 배향 규제력을 발현하는 배향 규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적어도 인가 전압이 존재하는 경우에, 단위 솔리드부를 갖는 전극으로부터의 배향 규제력 및 상기 배향 규제 구조로부터의 배향 규제력은 액정 도메인의 액정 분자에 작용하고, 그에 의해 상기 액정 도메인의 방사상 경사 배향을 안정화하고 상기 액정층에의 응력 인가로 인한 표시 품위의 저하(예를 들어, 잔상 현상의 발생)를 억제할 수 있다.
배향 규제 구조가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의 중앙 부근의 영역에 제공되면, 방사상 경사 배향의 중심축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상기 응력에 대한 상기 방사상 경사 배향의 내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향 규제 구조에 의한 배향 규제 방향이 단위 솔리드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액정 도메인에서 경사 전계에 의해 형성된 방사상 경사 배향의 방향과 정합한다면, 상기 배향의 연속성 및 안정성은 증가하고, 그에 의해 표시 품위 및 응답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배향을 안정화하는 효과는 적어도 인가 전압이 존재하는 경우에 배향 규제 구조가 배향 규제력을 발현하는 한 얻어질 수 있는 반면, 인가 전압이 없는 경우에도 배향 규제력이 발현되는 구성이 사용된다면, 상기 인가 전압의 레벨에 관계없이 배향이 안정화될 수 있는 부가의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배향 규제 구조의 비교적 약한 배향 규제력도 소망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화소의 크기에 비해 작은 구조라도 여전히 배향을 충분하게 안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배향 규제력은 단위 솔리드부를 갖는 화소 전극에서보다 약한 배향 규제력을 발현하는데만 필요하기 때문에, 여러 구조 중 임의의 구조가 배향 규제 구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향 규제 구조는, 예를 들어, 상기 기판으로부터 액정층으로 돌출하는 돌기일 수 있다. 그러한 돌기는 인가 전압이 없는 경우에도 배향 규제력을 발현할 수 있다. 게다가, 그러한 돌기는 간단한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따라서 생산 효율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배향 규제 구조는 상기 액정층에 인접한 기판의 한쪽에 제공된 수평 배향성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배향 규제 구조는 상기 전극에 제공된 개구부일 수 있다. 이들 구조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로 이하에 기술된다.
(실시예 1)
먼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전극 구조 및 그 기능이 기술된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바람직한 표시 특성을 갖고, 따라서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사용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기술된다.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지만, 선택적으로 MIM 구조를 사용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 또는 패시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기술되는 반면,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지 않지만, 선택적으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이후에 기술되는 투과-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의 최소 단위인 "화소"에 대응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영역은 "화소 영역"으로 지칭된다. 컬러 액정 표시 장치에서, R, G 및 B "화소"는 하나의 "픽셀"에 대응한다.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 화소 영역은 화소 전극 및 상기 화소 전극을 대향하는 대향 전극에 의해 규정된다. 패시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 화소 영역은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배열된 열전극 중 하나가 상기 열전극에 수직인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배열된 행전극 중 하나를 교차하는 영역으로서 규정된다. 블랙 매트릭스를 갖는 구성에서, 엄격하게 말하면, 화소 영역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소정의 표시 상태에 따라 전압이 인가되는 각 영역의 일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의 하나의 화소 영역의 구조는 도1a 및 도1b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다음의 기술에서, 컬러 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는 간편화를 위해 생략된다. 게다가, 이하의 도면에서, 액정 표시 장치(100)의 대응하는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각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고 이하에서 더 기술된다. 도1a는 기판의 법선 방향에서 조망된 평면도이고, 도1b는 도1a의 라인 1B-1B'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1b는 액정층을 통해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100)는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이후에 "TFT 기판"으로 지칭됨) (100a), 대향 기판("컬러 필터 기판"으로 지칭됨)(100b) 및 상기 TFT 기판(100a)과 대향 기판(100b) 사이에 제공된 액정층(30)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층(30)의 액정 분자 (30a)는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고, 상기 액정층(30)에 더 인접한 TFT 기판(100a) 및 대향 기판(100b)의 각각의 하나의 표면에 제공된 수직 배향층으로서의 수직 배향막에 의해,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 전압이 없는 경우에 액정층(30)을 통해 수직 배향막(도시되지 않음)의 표면에 수직 배향된다. 이러한 상태는 액정층(30)이 수직 배향 상태인 것으로 기술된다. 그러나, 수직 배향 상태의 액정층(30)의 액정 분자(30a)는 사용되는 액정 재료의 종류나 수직 배향막의 종류에 따라 상기 수직 배향막의 표면(기판의 표면)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부터 서서히 경사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직 배향은 액정 분자축("축방위"라고도 칭함)이 수직 배향막의 표면에 대해 약 85°또는 그 이상의 각도로 경사지는 상 태로 규정된다.
액정 표시 장치(100)의 TFT 기판(100a)은 투명 기판(예를 들어, 유리 기판)(11) 및 상기 투명 기판(11)의 표면에 제공된 화소 전극(14)을 포함한다. 상기 대향 기판(100b)은 투명 기판(예를 들어, 유리 기판)(21) 및 상기 투명 기판(21)의 표면에 제공된 대향 전극(22)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층(30)의 배향은 상기 화소 전극(14)과, 액정층(30)을 통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대향 전극(22)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따른 화소 영역마다 변화한다. 상기 액정층(30)을 통과하는 광의 편광 상태 또는 광량은 상기 액정층(30)의 배향 상태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표시가 행해진다.
액정 표시 장치(100)는 액정층(30)을 통해 서로 대향하고 그 투과축(도1a에서 화살표 PA로 지시됨)이 서로 수직하도록(즉, 크로스-니콜 배치) 배치되는 한 쌍의 편광판(40a, 40b)을 포함하고, 노멀리 블랙 모드(normally black mode)에서 영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100)는 수직 배향 상태인 액정층(30)과 크로스-니콜 배치 상태인 한 쌍의 편광판(40a, 40b)으로 흑표시를 행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100)의 흑표시는 표시면에 대한 법선 방향에서 조망될 때 바람직한 흑표시가 관찰되는 반면, 표시면 법선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에서 조망되는 경우(이하에는 "경사 시야각"으로 칭함), 광 누출이 발생하여 흑표시 품위를 저하시킬 수 있다.
경사 시야각으로부터의 광 누출의 원인은 크로스-니콜 상태의 한 쌍의 편광판 (40a, 40b)의 투과축이 경사 시야각으로부터 관찰되면 서로 더이상 명백하게 직 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90°를 초과하는 투과축 사이의 각도). 상기 광 누출로 인한 표시 품위의 저하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편광축(PA)이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다른 편광축(PA)은 상기 표시면의 좌우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상기 편광판(40a, 40b)을 배치함으로써 억제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시야각이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우에 투과축은 서로 명백하게 직교하고, 시야각이 상기 표시면의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은 표시면을 관찰할때 종종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면의 12시 방향, 6시 방향, 3시 방향 및 9시 방향은 각각 "상측", "하측", "우측" 및 "좌측" 방향으로 지칭된다.
액정 표시 장치(100)의 화소 전극(14)은 복수의 개구부(14a) 및 솔리드부(14b)를 포함한다. 각 개구부(14a)는 도전막이 제거된, 도전막(예를 들어, ITO막)으로부터 형성된 화소 전극(14)의 부분이고, 솔리드부(14b)는 도전막이 존재하는 부분(개구부 (14a)와는 다른 나머지 부분)이다. 복수의 개구부(14a)가 각 화소 전극에 형성되는 반면, 솔리드부(14b)는 기본적으로 도전막의 단일 연속부분이다.
개구부(14a)는 그 각각의 중심이 정방 격자를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하나의 단위 격자를 형성하는 4개의 격자점에 각각의 중심이 위치하는 4개의 개구부(14a)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솔리드부(14b)의 부분(14b')은 "단위 솔리드부"로 지칭된다. 단위 솔리드부(14b')는 일반적으로 그 중심에 4회 회전축을 갖는(즉, 그 형상은 4회 회전 대칭성을 갖음), 4개 정점을 갖는 성형 형상을 갖는다. 개구부(14a)는 일반적으로 각각 그 중심에 4회 회전축을 갖는 십자형이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도1a에서 실선 정방형은 단일 도전층으로부터 형성된 종래의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외형)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화소 전극(14)과 대향 전극(22)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경사 전계는 단위 솔리드부(14b') 근처에(그 주변에), 즉, 개구부(14a)의 에지부에서 생성되고, 그에 의해 각각 방사상 경사 배향을 갖는 복수의 액정 도메인을 생성한다. 상기 액정 도메인은 개구부(14a)에 대응하는 각 영역 및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각 영역에서 생성된다.
화소 전극(14)의 외형은 상기 솔리드부(14b)가 단위 솔리드부(14b')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개구부(14a)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단위 솔리드부(14b')와는 다른 부분을 포함하고, 액정 도메인은 그러한 부분에 대응하는 각 영역에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부분은 또한 "단위 솔리드부"로 지칭된다. 따라서, 하나의 액정 도메인을 형성하는 전계를 생성하는 솔리드부(14b)의 각 부분은 "단위 솔리드부"로 지칭된다.
따라서, 화소 전극(14)의 솔리드부(14b)는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14b')를 포함하는데, 더욱 구체적으로, 개구부(14a)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단위 솔리드부 (14b'), TFT 기판(100a)의 개구 영역(15)(도전막이 형성되지 않은 화소 전극(14)의 주변 영역)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단위 솔리드부(14b') 및 개구 영역(15) 및 개구부(14a)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단위 솔리드부(14b')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들 성형 단위 솔리드부(14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다시 말해, 화소 전극(14)은 복수의 대략 성형인 도전부를 포함한다. 인접한 단위 솔리드부(14b')는 단위 솔리드부(14b')가 함께 단일 도전막으로 실질적으로 기능하는 솔리드부(14b)를 형성한다.
각각의 화소 영역이 도시된 예에서 복수의 개구부(14a)를 포함하는 반면, 하나의 개구부만을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액정 도메인이 화소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a의 파선으로 각각 구분되는 4개의 단위 영역으로 구성되는 정방형 영역이 화소 전극이라 가정하면, 화소 전극은 하나의 개구부(14a) 및 상기 개구부(14a)를 둘러싸는 4개의 단위 솔리드부(14b')를 포함하지만, 각각 방사상 경사 배향을 취하는 5개의 액정 도메인은 인가 전압이 존재하는 경우에 형성된다.
더욱이, 복수의 액정 도메인은 소정의 개구부(14a)를 형성하지 않고, 화소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a의 파선으로 각각 구분되는 2개의 인접한 단위 영역으로 구성되는 정방형 영역이 화소 전극이라 가정하면, 화소 전극은 2개의 단위 솔리드부(14b')만을 포함하고 개구부(14a)를 포함하지 않지만, 각각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를 취하는 2개의 액정 도메인은 인가 전압이 존재하는 경우에 형성된다. 따라서, 인가 전압이 존재하는 경우에 복수의 액정 도메인이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를 취하여 형성되도록 화소 전극이 단위 솔리드부를 포함하는 한(다시 말해, 화소 전극이 그러한 외형을 갖는 한), 각 화소 영역에서 액정 분자의 배향에서 충분한 정도의 연속성을 얻을 수 있고, 그에 의해 상기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여 형성된 각각의 액정 도메인에서 안정한 방사상 경사 배향을 실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 전계에 의해 액정 도메인이 형성되는 메카니즘은 도2a 및 도2b를 참조로 기술된다. 도2a 및 도2b 각각은 도1b에 도시된 액정층(30)에 전압이 인가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2a는 액정 분자(30a)의 배향이 상기 액정층(30)을 통해 인가된 전압에 따라 변화하기 시작하는 상태(초기의 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2b는 액정 분자(30a)의 배향이 변화한 후 인가된 전압에 따라 정상으로 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2a 및 도2b의 곡선(EQ)은 등전위선을 나타낸다.
화소 전극(14) 및 대향 전극(22)이 동일한 전위에 있는 경우(액정층(30)을 통해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 각각의 화소 영역의 액정 분자(30a)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 21)의 표면에 수직으로 배향된다.
전압이 액정층(30)을 통해 인가되면, 도2a에 도시된 등전위선(EQ)(전기력선에 수직임)에 의해 표시되는 전위 구배가 생성된다. 등전위선(EQ)은 상기 화소 전극(14)의 솔리드부(14b)와 대향 전극(22) 사이에 위치한 액정층(30)에서 상기 솔리드부(14b)와 대향 전극(22)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화소 전극(14)의 개구부(14a)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떨어진다. 등전위선(EQ)의 경사 부분에 의해 표시되는 경사 전계는 개구부의 에지부(EG)(그 경계를 포함하는 개구부(14a)의 주변부 및 그 내부) 상위의 액정층(30)에서 생성된다.
액정 분자(30a)의 축방위를 등전위선(EQ)에 평행하게(전기력선에 수직함) 배향하도록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 분자(30a)에 토크(torque)가 작용한다. 따라서, 도2a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도2a의 우측 에지부(EG) 위의 액 정 분자(30a)는 시계 방향으로 경사지고(회전하고), 좌측 에지부(EG) 위의 액정 분자(30a)는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진다(회전한다). 그 결과, 상기 에지부(EG) 위의 액정 분자 (30a)는 상기 등전위선(EQ)의 대응하는 부분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도3a ~ 도3d를 참조하여, 액정 분자(30a)의 배향 변화가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된다.
액정층(30)에 전계가 생성되면, 그 축방위를 등전위선(EQ)에 평행하게 배향하도록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 분자(30a)에 토크(torque)가 작용한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 분자(30a)의 축방위에 수직한 등전위선(EQ)에 의해 표시된 전계가 생성되면, 액정 분자(30a)가 시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촉구하는 토크나 또는 액정 분자(30a)가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촉구하는 토크가 동일한 확률로 발생한다.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평행 평판형 전극 사이의 액정층(30)은 시계 방향 토크를 받는 일부의 액정 분자(30a) 및 반시계 방향 토크를 받는 일부의 다른 액정 분자(30a)를 갖는다. 그 결과, 액정층(30)을 통해 인가된 전압에 따른 액정 배향 상태에의 변화가 스무스하게(smoothly) 발생하지 않는다.
액정 분자(30a)의 축방위에 대해 경사진 등전위선(EQ)의 부분에 의해 표시된 전계(경사 전계)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100)의 개구 영역(15)의 에지부(EG)에서 생성되고, 액정 분자(30a)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분자(30a)가 등전위선(EQ)에 평행하도록 적은 회전량을 필요로 하는 방향(도시된 예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진다. 액정 분자(30a)의 축방위에 수직 한 등전위선(EQ)에 의해 표시되는 전계가 생성되는 영역의 액정 분자(30a)는,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배향이 등전위선(EQ)의 경사 부분에 위치한 액정 분자(30a)의 배향과 연속하도록(정합하도록) 등전위선(EQ)의 경사 부분상에 위치한 액정 분자(30a)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다.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전위선(EQ)이 연속한 요철 패턴을 형성하도록 전계가 인가되면, 등전위선(EQ)의 평탄한 부분에 위치한 액정 분자(30a)는 등전위선(EQ)의 인접한 경사 부분에 위치한 액정 분자(30a)에 의해 규정되는 배향 방향과 정합하도록 배향된다. 여기에 사용된 "등전위선(EQ)상에 위치된다"는 문장은 "등전위선(EQ)에 의해 표시되는 전계내에 위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등전위선(EQ)의 경사 부분에 위치한 액정 분자(30a)로부터 시작하여, 액정 분자(30a)의 배향 변화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진행하고, 도2b에 모식적으로 도시되는 정상 상태에 도달한다. 개구부(14a)의 중앙부 부근에 위치한 액정 분자(30a)는 개구부 (14a)의 대향 에지부(EG)에서 액정 분자(30a)의 각각의 배향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영향받고, 따라서 상기 등전위선(EQ)에 수직한 배향을 유지한다. 개구부(14a)의 중앙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액정 분자(30a)는 더 인접한 에지부(EG)에서 다른 액정 분자(30a)의 배향의 영향에 의해 경사지고, 그에 의해 상기 개구부(14a)의 중심(SA)에 대해 대칭하는 경사 배향을 형성한다. 액정 표시 장치(100)의 표시면에 수직인 방향에서(기판(11, 21)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 볼 때의 배향 상태는 액정 분자(30a)가 개구부(14a)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 축방위(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상태이다. 본 명세서에서, 그러한 배향 상태는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로 지칭 된다. 또한, 단일의 중심에 대한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를 취하는 액정층(30)의 영역은 "액정 도메인"으로 지칭된다.
액정 분자(30a)가 방사상 경사 배향을 취하는 액정 도메인은 또한, 개구부(14a)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형성된다. 상기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영역의 액정 분자(30a)는 상기 개구부(14a)의 각 에지부(EG)에서 액정 분자(30a)의 배향에 의해 영향받아, 단위 솔리드부(14b')의 중심 (SA)(개구부(14a)에 의해 형성된 단위 격자의 중심에 대응함)에 대해 대칭인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를 취한다. 게다가, 전압이 액정층(30)을 통해 인가되면, 개구부 (14a)의 에지부(EG)에서와 같이 경사 전계는 개구 영역(15)의 에지부(EG)에서 생성되고, 그에 의해 액정 분자(30a)가 방사상 경사 배향을 취하는 액정 도메인은 또한 실질적으로 개구 영역(15)에 의해 둘러싸인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영역 및 상기 개구 영역(15) 및 개구부(14a)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형성된다.
단위 솔리드부(14b')에 형성된 액정 도메인에서의 방사상 경사 배향 및 개구부(14a)에 형성된 방사상 경사 배향은 서로 연속하고, 양쪽다 개구부(14a)의 에지부(EG)에서 액정 분자(30a)의 배향과 정합한다. 개구부(14a)에 형성된 액정 도메인의 액정 분자(30a)는 상측으로 열리는(기판(100a)측) 콘형상으로 배향하고, 단위 솔리드부 (14b')에 형성된 액정 도메인의 액정 분자(30a)는 하측으로 열리는(기판(100a)측) 콘형상으로 배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14a)에 형성된 액정 도메인에서의 방사상 경사 배향 및 단위 솔리드부(14b')에 형성된 액정 도메인에서의 방사상 경사 배향은 서로 연속한다. 따라서, 그 사이의 경계를 따라 디스클리네이션 라인(배향 결함)이 형성되지 않고, 그에 의해 디스클리네이션 라인의 발생으로 인한 표시 품위의 감소를 방지한다.
전체 방위각에서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품위인 시야각 의존성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방위각 방향으로 배향된 액정 분자(30a)의 존재 확률은 바람직하게는 각 화소 영역에서 회전 대칭성을 갖는다. 따라서, 전체 화소 영역에 형성된 모든 액정 도메인이 회전 대칭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체 화소 영역에서 회전 대칭성을 달성할 필요는 없지만, 화소 영역의 액정층은 회전 대칭적으로 배치된 액정 도메인(예를 들어, 정방 격자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액정 도메인)의 집합체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된 모든 복수의 개구부(14a)는 회전 대칭적으로 배치된 개구부(예를 들어, 정방 격자 구성으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의 집합체로서 나타나는 한, 전체 화소 영역에서 회전 대칭적으로 배치될 필요가 없다. 이것은 또한 복수의 개구부(14a)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단위 솔리드부(14b')의 배치에 적용한다. 더욱이, 각각의 액정 도메인의 형상이 회전 대칭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각 개구부(14a)의 형상 및 각각의 단위 솔리드부(14b')의 형상이 회전 대칭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14a)의 중앙 부근에 액정층(30)을 통해 충분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의해 상기 개구부(14a)의 중앙부 근처의 액정층(30)은 표시에 기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개구부(14a)의 중앙부 근처의 액정층(30)의 방사상 경사 배향이 어느정도 방해되더라도(예를 들어, 중심축이 개구부(14a)의 중심에서 벗어나더라도), 상기 표시 품위는 감소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여 형성된 각각의 액정 도메인이 회전 대칭성을 갖는 한, 본 발명의 장점은 얻어질 수 있다.
도2a 및 도2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100)의 화소 전극(14)은 복수의 개구부(14a)를 포함하고, 화소 영역의 액정층(30)에서, 경사 부분을 갖는 등전위선(EQ)에 의해 표시되는 전계를 생성한다. 인가 전압이 없는 경우에 수직 배향 상태로 되는 액정층(30)에서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 분자(30a)는, 등전위선(EQ)의 경사 부분에 위치한 액정 분자(30a)의 배향 변화를 트리거로 이용하여 그 배향 방향을 변화한다. 따라서, 안정한 방사상 경사 배향을 갖는 액정 도메인은 개구부(14a) 및 솔리드부(14b)에 형성된다. 액정층을 통해 인가된 전압에 따라 액정 도메인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변화함으로써 표시가 행해진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100)의 화소 전극(14)의 개구부(14a)의 형상(기판 법선 방향에서 볼때) 및 배치가 기술된다.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특성은, 액정분자의 배향상태(광학적 이방성)에 기인한 방위각 의존성을 나타낸다. 표시특성의 방위각 의존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액정분자가 모든 방위각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등한 확률로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화소영역내의 액정분자가 모든 방위각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등한 확률로 배향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 (100)는, 액정분자(30a)를 모든 방위각에 대하여 동등한 확률로 배향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개구부(14a)는, 각각의 화소영역내의 액정분자(30a)가 모든 방위각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등한 확률로 배향되도록, 액정 도메인을 형성하도록 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개구부(14a)의 형상은, 각 개구(14a)의 중심(법선방향)을 대칭축으로 하는 회전대칭성(바람직하게는 2회 회전대칭성 이상의 대칭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의 개구부(14a가 회전대칭성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위 솔리드부(14b')의 형상도 회전대칭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위 솔리드부(14b')도 회전대칭성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개구부(14a)나 단위 솔리드부(14b')가 화소영역 전체에 걸쳐 회전대칭성을 갖도록 배치될 필요는 없고, 도1a에 보인 바와 같이, 예컨대 각각 정방격자(4회 회전대칭성을 갖는 대칭성)를 최소 단위로 하고, 각각의 조합에 의해 화소영역이 구성되는 한, 화소영역 전체에 걸쳐 액정분자를 모든 방위각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등한 확률로 배향시킬 수 있다.
도1a에 도시한, 공히 회전대칭성을 갖는 대략 십자형의 개구부(14a) 및 대략 성형의 단위 솔리드부(14b)가 정방격자 패턴으로 배열된 경우의 액정분자(30a)의 배향상태를 도4a∼도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a∼도4c는 각각, 기판의 법선방향에서 액정분자(30a)의 배향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4b 및 4c 등, 기판의 법선방향에서 본 액정분자(30a)의 배향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에서, 타원상으로 도시한 액정분자(30a)의 흑점 선단은, 그 단부가 타단보다도, 개구부(14a)를 갖는 화소전극(14)이 제공되어 있는 기판측 에 가깝도록, 액정분자(30a)가 경사져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이하의 도면에서도 동일하다. 도1a에 보인 화소영역중 하나의 단위 격자(4개의 개구부 14a에 의해 형성)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4a∼도4c중 대각선을 따른 단면은, 도1b, 도2a 및 2b에 각각 대응하고, 이들 도면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소전극(24)과 대향전극(22)이 동일한 전위일 때, 즉 액정층(30)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TFT기판(100) 및 대향기판(100b)의 액정층(30) 측 표면의 제공된 수직배향층(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배향방향이 규제되어 있는 액정분자(30a)는, 도4a에 보인 바와 같이, 수직 배향상태를 취한다.
액정층(30)에 전계를 인가하고, 도2a에 보인 등전위선(EQ)으로 표시되는 전계가 발생하면, 부의 유전률 이방성을 갖는 액정분자(30a)에는, 축방위가 등전위선(EQ)에 평행하게 되도록 한 토크가 발생한다. 도3a∼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액정분자(30a)의 분자축에 대하여 수직인 등전위선(EQ)으로 표시되는 전계 하의 액정분자(30a)는, 액정분자(30a)가 경사(회전)지는 방향이 일의적으로 정해지지 않기 때문에(도3a), 배향의 변화(경사 또는 회전)가 용이하게 일어나지 않는 것에 대해, 액정분자(30a)의 분자축에 대하여 경사진 등전위선(EQ) 밑에 있는 액정분자(30a)는, 경사(회전)지는 방향이 일의적으로 정해지므로, 배향의 변화가 용이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도4b에 보인 바와 같이, 등전위선(EQ)에 대하여 액정분자(30a)의 분자축이 경사져 있는 개구부(14a)의 에지부로부터 액정분자(30a)가 경사지기 시작한다. 다음, 도3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개구부(14a)의 에지부의 경사진 액정분자(30a)의 배향과 정합성을 취하도록 주위의 액정분자(30a)도 경사지고, 도4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액정분자(30a)의 축방위는 안정하게 된다(방사상 경사배향).
이와 같이 개구부(14a)가 회전대칭성을 갖는 형상일 경우, 화소영역내의 액정분자(30a)는, 전압 인가시에, 개구부(14a)의 에지부로부터 개구부(14a)의 중심을 향해 액정분자(30a)가 경사지기 때문에, 에지부로부터의 액정분자(30a)의 배향규제력이 조화되는 개구부(14a)의 중심 부근의 액정분자(30a)는 기판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된 상태를 유지하고, 그 주위의 액정분자(30a)가 개구부(14a)의 중심 부근의 액정분자(30a)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경사지며, 이 때 경사 각도는 개구부(14a)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져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대략 성형의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영역의 액정분자(30a)도, 개구부(14a) 및/또는 개구영역(150의 에지부에 생성되는 경사전계에 의해 경사진 액정분자(30a)의 배향과 정합하도록 경사진다. 에지부로부터의 액정분자(30a)의 배향규제력이 조화되는 단위 솔리드부(14b')의 중심부근의 액정분자(30a)는 기판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한 상태를 유지하고, 그 주위의 액정분자(30a)가 단위 솔리드부(14b')의 중심부근의 액정분자(30a)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경사지며, 이 때 그 경사각도는 단위 솔리드부(14b')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져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이와 같이, 화소영역 전체에 걸쳐, 액정분자(30a)가 방사상 배향상태를 취하는 액정 도메인이 정방격자상으로 배열되면, 각각의 축방위의 액정분자(30a)의 존재 확률이 회전대칭성을 가짐으로써, 모든 시각 방향에 대해 균일한 고품위의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방사상 배향상태를 갖는 액정도메인의 시각의존성을 감소시키 기 위해서는, 액정도메인이 높은 회전대칭성(2회 회전축 이상이 바람직하고, 4회 회전축 이상이 더욱 바람직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소영역 전체의 시각의존성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화소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액정도메인이, 높은 회전대칭성(2회 회전축 이상이 바람직하고, 4회 회전축 이상이 더욱 바람직함)을 갖는 단위(예컨대 단위 격자)의 조합으로 표시되는 배열(예컨대 정방격자)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100)에서는, 방사상 경사배향을 취하는 액정도메인이 높은 안정도로, 높은 연속성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시야각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100)에서는, 화소전극(14)의 단위 솔리드부(14b')의 각각이 도1a에 보인 바와 같이, 예각화된 4개의 코너부(14c)를 갖고, 각 단위 솔리드부(14b')가 갖는 4개의 코너부(14c)는, 하나가 표시면의 상측을 향하고, 다른 하나가 표시면의 하측을 향하고, 또 다른 하나가 표시면의 우측을 향하고, 나머지 하나가 표시면의 좌측을 향하고 있다.
단위 솔리드부(14b')가 예각화된 4개의 코너부(14c)를 가지면, 모든 방위각 방향의 각각을 따라 배향하는 액정분자(30a)의 존재 확률이 높은 회전대칭성을 유지하면서 특정의 방위각 방향을 따라 배향하는 액정분자(30a)의 존재 확률을 높일 수(또는 낮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단위 솔리드부(14b')의 형상이 대략 원추형이나 대략 사각형인 경우에 비해, 특정의 방위각 방향을 따라 배향하는 액정분자(30a)의 존재 확률을 높일 수(또는 낮게 할 수) 있다. 즉, 모든 방위각 방 향의 각각을 따라 배향하는 액정분자(30a)의 존재 확률에 높은 지향성을 갖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각화된 4개의 코너부(14c)는 각각 표시면의 상측, 하측, 우측 및 좌측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향하는 액정분자(30a), 즉 표시면의 상하방향(12시-6시방향)에 평행하게 배향하는 액정분자(30a) 및 표시면의 좌우방향(3시-9시방향)에 평행하게 배향하는 액정분자(30a)의 존재 확률을 상대적으로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간의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하는 액정분자(30a), 표시면의 우상-좌하방향(1시30분-7시30분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하는 액정분자(30a) 및 표시면의 우하-좌상방향(4시30분-10시30분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하는 액정분자(30a)의 존재 확률을 상대적으로 높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판(40a 및 40b)의 일방의 투과축이 표시면의 상하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타방의 투과축이 표시면의 좌우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밝은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분자(30a)의 존재 확률이 높은 지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광입사측의 편광판의 투과축에 대하여 대략 수직 또는 평행하게 배향하는 액정분자(30a), 즉 입사광에 대하여 위상차를 거의 갖지 않는 액정분자(30a)의 존재 확률을 상대적으로 낮게할 수 있고, 또한 광입사측의 편광판의 투과축에 대하여 45°경사진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배향하는 액정분자(30a), 즉 입사광에 대하여 큰 위상차를 갖는 액정분자(30a)의 존재 확률을 상대적으로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사각 형상의 화소전극에서는, 화소전극의 4개의 코너부는 각 각 표시면의 우상, 우하, 좌상 및 좌하를 향하고 있다. 그러나, 예각화된 4개의 코너부(14c)를 각각 각각 표시면의 우상, 우하, 좌상 및 좌하로 향하게 하면, 도1a에 보인 투과축 설정에서는 오히려 어두운 표시로 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100)에서는, 예각화된 4개의 코너부(14c)가 이들 방향(표시면의 우상, 우하, 좌상 및 좌하)로부터 약 45°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도1a의 투과축 설정(시야각을 경사시킬때의 표시품위의 저하가 억제되는 설정)에 있어서, 밝은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도5에, 편광판의 투과축의 방향과 코너부(14c)가 향하고 있는 방향의 관계에 대한 광투과율(백표시상태의 투과율)을 도시한다. 또한, 도5에 사용된 투과축 각도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너부(14c)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 편광판의 투과축이 45°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상태를 0°로 하고, 그 상태에서 투과축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를 정,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를 부로 하고 있다. 또한, 도5에서는, 최대의 투과율을 1로 한 투과율비를 나타내고 있고, 비교를 위해, 배럴(barrel) 모양(코너부가 원호상의 대략 사각형)의 단위 솔리드부(도6에서 점선으로 표시)(1014b')를 사용한 경우의 투과율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위 솔리드부가 배럴 모양인 경우에는, 투과축의 각도가 거의 0°에서 최대의 투과율이 얻어진다. 이에 따라, 코너부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 투과축이 45°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 밝은 표시가 실현된다.
반면, 본 실시예와 같이 각 코너부(14c)가 예각을 갖는 경우, 투과축각 45° 와 -45°에 대해 일반적으로 최고의 투과율을 얻을 수 있고, 투과축각 0° 근처에서는 낮은 투과율만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너부(14c)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 투과축이 거의 일치하고 있으면, 밝은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편광판 중 하나의 투과축이 표시면의 상하 방향, 타 편광판의 투과축이 좌우 방향으로 거의 평행한 경우에는, 예각화된 4개의 코너부(14c)를 각각 표시면의 상하좌우 방향을 향할 때 높은 투과율이 얻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5에 있어서 투과율이 최대로 되는 각도가 45°와 -45°로부터 약간 시프트 되어 있다. 이것은, 도5에 투과율을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 분자(30a)의 방사상 경사 배향이, 도7(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순한 방사상 경사 배향이 아니고, 도7(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의 나선형을 갖는 방사상 경사 배향이기 때문이다.
도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순한 방사상 경사 배향의 경우, 투과율은 45°와 -45°에서 거의 최대로 된다. 도7(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의 나선형을 갖는 방사상 경사 배향은, 도7(a)에 나타낸 단순한 방사상 경사 방향보다도 안정되어 있다. 상기 나선형 배향은, 액정 분자(30a)의 배향 방향이 액정층(3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변화하는 통상의 트위스트 배향과는 상이하다. 나선형 배향에 있어서, 액정 분자(30a)의 배향 방향은 미소 영역에 대해, 액정층(3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대부분 변화하지 않는다. 즉, 액정층(30)의 어느 두께에서도 단면(층면에 평행한 면내에서의 단면)에 있어서의 방향은 도7(b) 또는 도7(c)와 같이, 액정층(30)의 두께 방향에 따른 트위스트 변화가 실질적으로 없 다. 그러나, 액정 도메인의 전체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트위스트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부의 유전 이방성을 갖는 네마틱 액정 재료에 키랄제를 첨가하여 얻어진 재료를 사용하면, 전압 인가시에, 액정 분자(30a)는 도7(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14a) 및 단위 솔리드부(14b′)를 중심으로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의 나선형 방사상 경사 배향을 취한다. 상기 나선형이 시계 방향인지 반시계 방향인지의 여부는 사용하는 키랄제의 종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전압 인가시에 개구부(14a) 내의 액정층(30)을 나선형 방사상 경사 배향으로 제어함으로써, 기판면에 수직으로 서 있는 타 액정 분자(30a)에 대해 방사상으로 경사진 액정 분자(30a)의 나선형의 방향을 모든 액정 도메인 내에서 일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기판면에 수직으로 서 있는 액정 분자(30a) 주위의 나선형의 방향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액정층(30)에 전압을 인가할 때의 응답 속도도 향상된다. 또한, 많은 양의 키랄제를 첨가하면, 전압을 충분히 인가한 상태에서 액정층(30)의 두께 방향을 따라 트위스트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중간 계조 표시로 관찰되는 십자형의 소광 패턴이 사라지고, 투과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단위 솔리드부(14b′)의 각 코너부(14c)가 예각으로 제공됨으로써, 응답 특성도 향상된다. 이하, 그 이유를 설명한다.
도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솔리드부(14b′)의 각 코너부(14c)가 예각 으로 제공되면, 도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각의 코너부(1014c′)가 사용된 경우에 비해, 경사 전계를 생성하기 위한 전극의 총 변의 길이가 늘어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액정 분자(30a)에 경사 전계를 작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계에 응답하여 최초로 기울어지기 시작하는 액정 분자(30a)의 수가 증가하여, 회소 영역 전역에 걸쳐 방사상 경사 배향의 형성에 요구되는 시간이 짧아진다. 그 결과, 응답 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각 코너부(14c)가 예각으로 제공되면, 전극변으로부터 단위 솔리드부(14b′) 내의 액정 분자(30a)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단위 솔리드부(14b′)내의 액정 분자(30a)의 배향 규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로써도 바람직한 응답 특성이 얻어진다. 예를 들면, 단위 솔리드부가 직사각형을갖는 경우, 대향하는 코너부 사이를 연결하는 대각선 부근의 액정 분자는 전극변으로부터 더 멀다. 따라서, 상기 액정 분자는 에지부 주변에 생성되는 경사 전계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경사 전계에 대한 응답이 더 늦다. 반면, 단위 솔리드부(14b′)의 각 코너부(14c)가 예각으로 제공되면, 전극변과 대각선 부근의 액정 분자(30a)로부터의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대각선 부근의 액정 분자(30a)의 응답이 향상되어, 그에 따라 응답 속도가 빨라진다.
또한, 본 예에서서는, 4개의 예각 코너부(14c)를 갖는 단위 솔리드부(14b′)가 실질적으로 직선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단위 솔리드부(14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9(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솔리드부(14b′)는, 곡선을 선택적으로 포함해도 되고, "예각 코너부"는 2직선이 90°미만의 각을 형성하고 있는 코너부 뿐만 아니라, 곡선과 직선 또는 2곡선이 90°미만의 각을 형성하고 있는(교점 부근에서의 접선이 90°미만의 각을 형성하고 있는)코너부도 포함한다. 또한, 도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솔리드부(14b′)의 코너부(14c)는 정점을 갖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인접하는 단위 솔리드부(14b′)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지부(접속 전극)의 위치는, 도1(a)에 나타낸 것에 한하지 않는다. 도1(a)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두 단위 솔리드부(14b′)의 내측으로 오목한 부분끼리를 접속하도록 지부가 제공되어 있다. 택일적으로,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단위 솔리드부(14b′)끼리가 코너부(14c)를 통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개구부(14a)는 일반적으로 사방형을 갖는다. 또한, 도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솔리드부(14b′)가 각 코너부(14c)를 통해 서로 인접하는 경우, 개구부의 형상은 2개의 원호(전형적으로는 열호)로 이루어진 약원호 2각형(소위 아몬드형)으로 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100)의 구성은, 회소전극(14)이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14b′)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공지의 수직 배향형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공지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부의 유전 이방성을 갖는 액정 분자를 수직으로 배향시키기 위해, 액정층(30)에 더 근접해 있는 대향전극(22) 및 회소전극(14) 각각의 일면에 수직 배향층(도시하지 않음)이 제공되어 있다. 액정 재료로 부의 유전 이방성을 갖는 네마틱 액정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200)를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100)에 있어서, 솔리드부(14b)는 단위 솔리드부(14b′)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면, 액정표시장치(200)의 솔리드부(14b)는, 회소 영역의 단부를 따라,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를 포함하고, 각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는 단위 솔리드부(14b′)의 일부분과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도11에서는, 회소 전극(14)를 온/오프로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주사배선(2) 및 신호배선(4)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200)에서는, 회소전극(14)의 솔리드부(14b)는, 단위 솔리드부(14b′)에 더해, 단위 솔리드부(14b′)의 약 2분의 1에 상당하는 형태를 각각 갖는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1)과, 단위 솔리드부(14b′)의 약 4분의 1에 상당하는 형태를 각각 갖는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2)를 포함한다.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1)는 회소 영역의 주변을 따라 제공되고,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2)는 회소 영역의 코너부에 제공되어 있다.
액정층(30)에 전압이 인가되면, 각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의 주변에도 경사 전계가 생성되고, 이 경사 전계에 의해,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에 대응하는 영역에 액정 도메인이 형성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200)에서는, 회소 영역의 전체에 걸쳐 안정한 배향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200)에서는, 회소 영역의 단부를 따라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소 영역에 있어서의 솔리드부(14b)의 면적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회소전극(14)에 의해 생성되는 전계의 영향을 직 접적으로 받는 액정층(30)의 면적(기판 법선 방향에서 볼 때)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실효개구율(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밝은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회소 영역은, 표시면의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두 변과, 표시면의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두 변으로 구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4개의 예각 코너부(14c)가 각각 표시면의 상하좌우로 향할 경우, 솔리드부(14b)를 단위 솔리드부(14b′)만으로 구성하면, 회소 영역의 단부 근처에 회소 영역의 중앙부와 같은 밀도인 단위 솔리드부(14b′)를 배치할 수 없고, 회소 영역의 단부 근처에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액정 도메인을 고밀도로 형성하는 것은 어렵다.
반면,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소 영역의 단부를 따라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를 배치하면, 회소 영역의 단부 근처에 고밀도로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액정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회소 영역의 전체에 걸쳐 배향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보다 밝은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표시 품위의 시각 의존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회소 영역의 전체에 걸쳐 액정 도메인이 회전 대칭성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회소 영역의 단부 근처에 형성되는 액정 도메인에도, 회소 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액정 도메인과 함께 회전 대칭성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는,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14b′)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회전 대칭성을 갖도록 배열(예컨대,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솔리드부(14b′)와 함께 상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형성하도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목적을 위해, 각 회소 영역내의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가, 상보적으로 단위 솔리드부(14b′)의 형상을 정수배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표시장치(200)의 경우, 각 회소 영역은, 단위 솔리드부(14b′)의 약 2분의 1에 상당하는 형상을 각각 갖는 13개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1)와 단위 솔리드부(14b′)의 약 4분의 1에 상당하는 형상을 각각 갖는 2개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1)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는 7개의 전체 단위 솔리드부(14b′)를 상보적으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바람직한 시야각 특성이 얻어진다.
물론,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를 회소 영역의 단부를 따라 배치함으로써 상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회소 전극의 패턴은 도11에 나타낸 회소전극(14)의 패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10에 나타낸 패턴에 대해서도,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를 회소 영역의 단부를 따라 배치함으로써,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도13(a) 및 13(b)의 각각은, 도12에 나타낸 회소전극(14)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회소 영역의 배향 상태를 나타내는 편광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13(a)은 백표시 상태(6.2V 인가 상태), 도13(b)는 중간 계조 레벨 표시 상태(3.0V 인가 상태)에 상당한다. 또한, 편광판의 투과축은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이하, 상기 투과축 배치를 "+형 배치"라 칭한다).
도13(a,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영역 뿐만 아니라, 회소 영역의 단부를 따라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에 대응하는 영 역에도 액정 도메인이 형성되어 있다.
비교를 위해, 도14(a,b)에, 도12에 나타낸 회소전극(14)을 사용한 경우 및편광판의 투과축을 우상-좌하 방향, 좌상-우하 방향으로 연장된(이하에서는 "×배치"라 칭한다.)경우의 편광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13(a,b)와, 도14(a,b)의 비교로 알 수 있듯이, 4개의 예각 코너부(14c)가 표시면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각각 향하는 경우, "×형 배치" 보다 "+형 배치" 가 더 밝은 표시가 된다.
또한,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예각 코너부가 각각 표시면의 우상, 우하, 좌하 및 좌상으로 향하는 비교예에 대한 회소전극(1014)을 사용한 때의 편광 현미경 이미지를 도16(a,b)와 도17(a,b)에 나타낸다. 도16(a,b)는, 편광판의 투과축을 "+형 배치"로 배치한 경우, 도17(a,b)는 편광판의 투과축을 " ×형 배치"로 배치한 경우의 편광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16(a,b)와 도17(a,b)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4개의 코너부가 각각 표시면의 우상, 우하, 좌하 및 좌상의 방향으로 향하는 비교예에 대한 회소전극(1014)을 사용한 경우, "+형 배치"는 "×형 배치" 보다 어두운 표시로 되어 버린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2와 같이, 회소 영역의 단부를 따라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는 단위 솔리드부(14b′)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에 따라 형성된 액정 도메인은 단위 솔리드부(14b′)에 따라 형 성된 액정 도메인의 경우와 같이 안정된 배향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에 의해 형성된 액정 도메인의 배향 안정성은,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에 대응하는 대향 기판의 영역에 배향규제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다.
도18은 대향 기판상에 배향규제구조(28)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 (300)의 대향 기판은 회소전극(14)의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각 영역과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에 대응하는 각 영역에 배향규제구조(28)를 포함한다.
도19(a)~19(d)의 각각은 배향규제구조(28)를 포함하는 대향 기판(300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19(a)~19(d)에 나타낸 배향규제구조(28)는, 적어도 회소전극(14)과 대향전극(22)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 있어서 액정층(30)의 액정 분자(30a)를 방사상 경사 배향으로 배향시키기 위해 배향 규제력을 발현한다. 배향규제구조(28)에 의한 배향 규제의 방향은 단위 솔리드부(14b′)나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 주위에서 생성되는 경사 전계에 의한 배향 규제의 방향과 정합한다.
도19(a)에 나타낸 배향규제구조(28)는 대향전극(22)의 개구(22a)에 의해 형성된다. 수직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은 액정층(30)에 더 가까운 대향기판(300b)의 일면에 제공된다.
상기 배향규제구조(28)는 전압 인가시에만 배향 규제력을 발현한다. 배향규제구조(28)는, 회소전극(14)의 솔리드부(14b)에 의해 형성되는 각 액정 도메인내의 액정 분자에 대해 배향 규제력을 작용할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개구부(22a)의 크 기는, 회소전극(14)에 제공되는 개구부(14a)보다 작고, 단위 솔리드부(14b′)(예컨대 도1(a)참조)보다 작다. 예를 들면, 개구부(14a)나 단위 솔리드부(14b′)의 면적의 절반 이하이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대향전극(22)의 개구부(22a)를 회소전극(14)의 단위 솔리드부(14b′)의 중앙부에 대향하는 단위로 제공함으로써, 액정 분자의 배향의 연속성이 높게 되고, 또한, 방사상 경사 배향의 중심축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압의 인가시에만 배향 규제력을 작용하는 구조가 배향 규제 구조로서 채용될 경우, 실질적으로 모든 액정층(30)의 액정 분자(30a)는 전압 무인가시의 수직 배향 상태를 취한다. 따라서, 노멀리 블랙 모드를 채용할 경우, 흑표시에 있어서 광누설이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아, 바람직한 콘타라스트비를 갖는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전압 무인가시에 상기 배향 규제력은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방사상 경사 배향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인가 전압이 낮을 경우, 약한 배향 규제력만이 존재하여, 액정 패널에 큰 응력이 가해지면 잔상이 관찰될 수 있다.
도19(b)~19(d)에 나타낸 각 배향규제구조(28)는 전압의 인가/무인가에 관계없이 배향 규제력을 발현하여, 어떠한 표시 계조에서도 안정된 방사상 경사 배향을 얻을 수 있고, 응력에 대해 높은 내성이 제공된다.
우선, 도19(b)에 나타낸 배향규제구조(28)는, 액정층(30)으로 돌출하도록 대향전극(22)상에 제공되는 돌출부(22b)를 포함한다. 돌출부(22b)의 재료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수지 등의 유전체 재료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액정층(30)측으로 더 가까운 대향기판(300b)의 표면에는 수직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이 제공되어 있다. 돌출부(22b)는, 그 표면(수직 배향성을 갖는)의 형상 효과에 의해, 액정분자(30a)를 방사상으로 경사 배향시킨다. 또한, 열에 의해 변형되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면, 패터닝 후의 열처리를 통해, 도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소 완만한 단면부를 갖는 돌출부(22b)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점을 갖는 다소 완만한 단면부(예컨대, 구의 일부)를 갖는 돌출부(22b)나 원추형 돌출부는 방사상 경사 배향의 중심 위치를 고정하는 바람직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19(c)에 나타낸 배향규제구조(28)는, 대향전극(22)의 아래(즉, 기판(21)측에 가까운 대향전극(22)의 일면)에 형성된 유전체층(23)의 개구부(즉, 오목부)(23a)에 제공되는 액정층(30)에 대해 수평 배향력을 갖는 표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23a)를 피복하지 않은 채, 액정층(30)측에 가까운 대향기판 (300b)의 일면을 피복하도록 수직 배향막(24)이 제공되어, 상기 개구부(23a) 내의 표면을 수평 배향성 표면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택일적으로, 도1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23a) 내에만, 수평 배향막(25)을 제공할 수 있다.
도19(d)에 나타낸 수평 배향막은, 예컨대, 일단 대향기판(300b)의 전체면에 걸쳐 수직배향막(24)을 제공한 후, 수직 배향성을 저하시키도록, 개구부(23a) 내의 수직배향막(24)의 일부를 자외선으로 선택적 조사를 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배향규제구조(28)에 요구되는 수평 배향력은, TN형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배향막과 같이 프리틸트 각이 클 필요는 없고, 예컨대, 프리틸트 각이 45°이하이면 충분 하다.
도19(c,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23a) 내의 수평 배향 표면상에는, 액정분자(30a)가 기판면에 대해 수평으로 배향되어 있다. 그 결과, 수직 배향막(24)상에 주위의 수직 배향된 액정분자(30a)의 배향과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배향이 형성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방사상 경사 배향이 얻어진다.
대향전극(22)의 표면에 오목부(유전체층(23)의 개구부에 의해 형성된)를 제공하지 않고, 대향전극(22)의 평탄한 표면상에, 수평 배향성 표면(예컨대, 전극의 표면 또는 수평 배향막 등)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방사상 경사 배향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오목부의 표면 형상 효과에 의해, 방사상 경사 배향을 더욱 안정화시킬 수 있다.
대향기판(300b)의 액정층(30)측의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해, 예컨대, 유전체층(23)으로서, 컬러 필터층이나 컬러 필터층의 오버코트층을 사용하면, 프로세스가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도19(c,d)에 나타낸 구조는, 도19(a)에 나타낸 구조와 같이, 돌출부(22b)를 통해 액정층(30)에 걸쳐 전압이 인가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광이용효율의 저하가 거의 없다.
도20(a)는 상기 배향규제구조(28)를 갖는 액정표시장치(3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0(a)는, 도18 중 20A-20A′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액정표시장치(300)는, 솔리드부(14b)를 포함하는 회소전극(14)을 갖는 TFT기판(100a)과, 배향규제구조(28)를 갖는 대향기판(300b)을 포함한다. 배향규제구조(28)로서, 전압 무인가시에도 배향 규제력을 발현하는 구조가(도19(b)~(d)) 사용되지만, 도19(a)에 나타낸 배향규제구조(28)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20(a)에서는,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되는 배향규제구조(28)를 나타내고 있지만,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되는 배향규제구조(28)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대향기판(300b)에 제공되어 있는 배향규제구조(28)는, 회소전극(14)의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영역과,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액정층(30)에 전압을 인가한 상태, 즉, 회소전극(14)과 대향전극(22)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 있어서, 단위 솔리드부(14b′)의 주변에 생성되는 경사 전계에 의한 배향 규제 방향과, 배향규제구조(28)가 발현하는 배향 규제력에 의한 배향 규제 방향이 정합하고, 방사상 경사 배향이 안정화된다. 이것을 도20(a)~(c)에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20(a)는 전압 무인가시를 나타내고, 도20(b)는 전압 인가 후에 배향이 변화하기 시작한 상태(온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도20(c)는 전압 인가 중의 정상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배향규제구조(도19(b)~(d))에 의해 발현되는 배향 규제력은, 도2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압 무인가 상태에 있어서도, 근접한 액정분자(30a)에 작용하여, 방사상 경사 배향을 형성한다.
전압을 인가하기 시작하면, 도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전압선 EQ로 나타낸 전계가 생성되고(솔리드부(14b)에 의한), 액정분자(30a)가 방사상 경사 배향을 갖는 액정 도메인이, 개구부(14a)및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각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액정층(30)은 도2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 상태에 도달한다. 각 액정 도메인 내의 액정분자(30a)의 경사 방향은,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된 배향규제구조(28)의 배향 규제력에 의해 액정분자(30a)는 경사진 방향과 일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대향기판(300b)상에 배향규제구조(28)를 제공함으로써, 회소전극(14)에 의해 형성되는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를 보다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에 대응하는 영역 뿐만 아니라,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영역에도 배향규제구조(28)를 제공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하는 배향규제구조(28)는 택일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적어도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향규제구조(28)를 제공함으로써 충분히 안정된 배향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배향규제구조(28)는,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영역의 중앙부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에 대응하는 배향규제구조(28)는, 반드시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에 대응하는 영역내에 그 전부가 포함될 필요는 없다. 도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향규제구조(28)의 일부(예컨대 약 2분의1 또는 약 4분의1)가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에 대응하는 영역내에 포함되어 있으면, 서브 단위 솔리드부(14d)에 대응하여 형성된 액정 도메인의 배향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영역에도 배향규제구조(28)를 제공함으로써, 더 안정된 배향 상태를 실현할 수 있고, 액정 셀로의 응력의 인가에 기인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정상 상태에 있는 액정표시장치(300)에 응력이 인가되면, 액정층(30)의 방사상 경사 배향은 일단 붕괴되지만, 응력이 제거되면, 회소전극(14) 및 배향규제구조(28)에 의한 배향 규제력이 액정분자(30a)에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는 복원된다. 따라서, 응력에 의한 잔상의 발생이 억제된다. 배향규제구조(28)에 의한 배향 규제력이 너무 강하면, 전압 무인가시에도 방사상 경사 배향에 의한 리타데이션이 발생하고, 표시 콘트라스트비를 저하시킨다. 그러나, 배향규제구조(28)에 의한 배향 규제력은, 회소전극(14)에 의해 형성되는 방사상 경사 배향의 안정화 및 중심축 위치를 고정화하는 효과만 가지면 되기 때문에, 강한 배향 규제력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표시 품위를 저하시킬 정도의 리타데이션을 야기시키지 않을 정도의 배향 규제력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도19(b)에 나타낸 돌출부(22b)를 채용할 경우, 약 30㎛~약 35㎛의 직경을 갖는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해, 직경이 약 15㎛이고, 높이(두께)가 약 1㎛인 돌출부(22b)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배향 규제력이 얻어지고, 또한, 리타데이션에 의한 콘트라스비의 저하도 실용적 레벨로 억제된다.
또한, 배향규제구조(28)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회소전극(14)의 형상은, 도11이나 도12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9나 도10에 나타낸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실시예4)
도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400)를 설명한다. 도21은, 액정표시장치(400)의 4개의 회소 영역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액정표시장치(400)가 갖는 회소전극(14)은, 실시예1에 있어서의 회소전극(14)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개구부(14a)와, 단위 솔리드부(14b′)를 포함하는 솔리드부(14b)를 포함하고, 전압 인가시에 단위 솔리드부(14b′)의 주변에 경사 전계를 생성하여 방사상 경사 배향을 취하는 액정 도메인을 형성하도록 그 외형이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광시약각 특성이 실현된다. 또한, 도21에서는, 동일 회소 영역내의 일정한 단위 솔리드부(14b′)끼리를 서로 접속하는 지부(접속전극)가 나타나 있지 않다. 단위 솔리드부(14b′)는, 4개의 예각 코너부(14c)를 포함하고, 4개의 코너부(14c)는 각각 표시면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향해 있기 때문에, 밝은 표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400)는, TFT 기판상에 제공되는 주사배선(2) 및 신호배선(4)을 포함한다. 주사배선(2)은, 스위칭 소자로서의 TFT(도시하지 않음)에 주사신호를 공급한다. 신호배선(4)은 주사배선(2)에 교차하고, TFT로 표시 신호를 공급한다. TFT는 회소전극(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TFT에 의해 회소전극(14)이 온/오프 스위칭된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주사배선이나 신호배선은, 표시면의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직선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400)에서는, 주사배선(2) 및 신호배선(4)은, 각 회소 영역에 있어서,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 모든 세그멘트가 경사지도록, 복수회 굴곡되어 있다. 즉, 각 주사배선(2) 및 신호배선(4)은, 지그재그형으로(3각파형 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사배선(2) 및 신호배선(4)의 각 세그멘트는,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 약 45°경사져 있다. 회소 영역의 단부를 따라 배치된 단위 솔리드부(14b′)가,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 P로 배치되어 있는 것에 반해, 주사배선(2)은 표시면의 좌우 방향을 따라 피치 P의 약 절반의 피치(즉 P/2)로 배치된 복수의 굴곡부(2a)를 포함하고, 신호배선(4)은 표시면의 상하 방향을 따라 피치 P의 약 절반의 피치(P/2)로 배치된 복수의 굴곡부(4a)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400)에서는, TFT기판(100a)상에 제공되어 있는 각 주사배선(2) 및 신호배선(4)이,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복수회 굴곡해 있기 때문에, 코너부(14c)가 표시면의 상하좌우를 향해 있는 단위 솔리드부(14b′)를 회소 영역의 단부 근처에 회소 영역의 중앙부와 같은 정도의 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압 인가 상태에 있어서, 회소 영역의 단부 근처에, 회소 영역의 중앙부와 같은 정도의 밀도로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액정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회소 영역 전체에 걸쳐 안정된 배향 상태가 얻어진다. 또한, 단위 솔리드부(14b′)를 회소 영역의 단부 근처에 회소 영역의 중앙부와 같은 정도의 밀도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회소 영역에 있어서의 솔리드부(14b)의 면적 비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회소전극(14)에 의해 생성되는 전계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액정층(30)의 면적(기판 법선 방향에서 볼 때)을 크게 할 수 있고, 실효 개구율(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밝은 표시가 실현된다.
회소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 즉 회소 영역의 단부 근처에 가능한한 단위 솔리드부(14b′)를 효과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각 주사배선(2) 및 신호배선(4)이, 회소 영역의 단부를 따라 존재하는 단위 솔리드부(14b′)에 의해 규정되는 회소전극(14)의 외연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서
회소영역의 단부를 따라 배치된 단위 솔리드부(14b′)가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을 따라 각각 소정의 피치(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방향으로도 피치 P)로 배치되어 있는 본 실시예에서는, 주사배선(2)은 표시면의 좌우 방향을 따라 그 절반의 피치(즉 P/2)로 배치된 복수의 굴곡부(2a)를 포함하고, 신호배선(4)은 표시면의 상하 방향을 따라 그 절반의 피치(P/2)로 배치된 복수의 굴곡부(4a)를 포함하고, 회소전극(14)의 외연에 거의 평행하게 각 주사배선(2) 및 신호배선(4)이 연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13인치 VGA 패널에 있어서, 각 회소 영역의 크기는 약 136㎛ ×414㎛ 이고, 단위 솔리드부(14b′)를 20㎛ ~80㎛ 정도의 피치로 배치하면 안정된 방사상 경사 배향이 얻어지기 때문에, 주사배선(2) 및 신호배선(4)의 굴곡부(2a,4a)를 그 절반, 구체적으로는 10㎛ ~40㎛ 정도의 피치로 배치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주사배선(2) 및 신호배선(4)은,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 약 45°경사져 있지만, 경사 각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소전극(14)의 외연은, 회소영역의 단부에 배치된 단위 솔리드부(14b′)에 의해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주사배선(2) 및 신호배선(4)이 회소전극(14)의 외연에 실질적으로 따르도록, 단위 솔리드부(14b′)의 형상에 따라 경사 각도를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단위 솔리드부(14b′)의 형상이 4회 회전 대칭성을 갖는 약성형의 경우에는, 경사 각도가 약 45°인 경우, 회소 영역의 단부 근처에 단위 솔리드부(14b′)의 배치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느, 스위칭 소자로서 TFT가 제공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로서 3단자 능동 소자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뿐만 아니라, MIM 소자 등의 2단자 능력 소자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MIM 소자 등의 2단자 능동 소자를 구비해 있는 경우에는, 주사배선 및 신호배선의 일방이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상에 제공되고, 타방이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에 대향하는 기판(대향기판)상에 제공되기 때문에,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상에 제공된 배선을 굴곡시킴으로써 같은 동작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개구율을 높게 하여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블랙 매트릭스도 주사배선(2)이나 신호배선(4)과 같이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컬러 필터도 그 외주가 회소전극(14)의 외연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반드시 그와 같이 할 필요는 없고, 스트라이프상(또는 격자상)의 블랙 매트릭스를 회소 영역 단부를 따라 단위 솔리드부(14b′)의 일부(예컨대 외측 절반)에 겹치도록 제공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회소 영역의 중앙부와 같은 밀도로 회소 영역의 외부 근처에 단위 솔리드부(14b′)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회소 영역의 전체에 걸쳐 액정분자의 배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400)의 구성은, 회소전극(14)이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14b′)를 포함하는 전극인 것과, 주사배선(2) 및 신호배선(4)이 굴곡해 있는 것 이외에는, 공지의 수직 배향형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공지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5)
도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500)를 설명한다. 도22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500)는, 대향 기판상에 배향규제구조(28)를 구비해 있는 점에 있어서 액정표시장치(400)와 상이하다.
액정표시장치(500)의 대향 기판은 도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소전극(14)의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향규제구조(28)를 구비해 있고, 그것에 의해 보다 배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향규제구조(28)는,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배향규제구조(28)와 실질적으로 같은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배향규제구조(28)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500)의 단면 구성을 도23(a)에 나타낸다. 도23(a)은, 도22 중 23A1-23A1′선 또는 23A2-23A′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에 해당한다.
액정표시장치(500)는 솔리드부(14b)를 포함하는 회소전극(14)을 갖는 TFT 기판과, 배향규제구조(28)를 갖는 대향기판(500b)을 갖고 있다. 여기서는, 배향규제구조(28)로서, 전압 무인가시에도 배향 규제력을 발현하는 것(도19(b)~(d))을 예시하지만, 도19(a)에 나타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대향기판(500b)에 제공되어 있는 배향규제구조(28)는, 회소전극(14)의 단위 솔리드부(14b′)에 대응하는 영역,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위 솔리드부(14b′)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액정층(30)에 전압을 인가한 상태, 즉, 회소전극(14)과 대향전극(22)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 있어서, 솔리드부(14b)의 주변에 생성되는 경사 전계에 의한 배향 규제 방향과, 배향규제구조(28)가 발현하는 배향 규제력에 의한 배향 규제 방향이 정합하고, 방사상 경사 배향이 안정화된다. 이를 도23(a)~(c)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23(a)은 전압 무인가 상태를 나타내고, 도23(b)는 전압 인가 후에 배향이 변화하기 시작한 상태(온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도23(c)는 전압 인가 중의 정상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대향기판(500b)상에 배향규제구조(28)를 제공함으로써, 회소전극(14)에 의해 형성되는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를 보다 안정화할 수 있고, 액정 셀로의 응력의 인가 등에 기인한 표시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6)
회소전극에 개구부를 제공한 구성에서는,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액정층에 충분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충분한 리타데이션 변화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광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액정층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개구부를 제공하는 전극(상층 전극)의 일면에 유전체층을 제공하고, 이 유전체층을 통해 상층 전극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하는 전극(하층 전극)을 제공함(즉 2층 구조 전극이라고 한다)으로써, 개구부에 대응하는 액정층에 충분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광효율이나 응답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24(a)~(c)는, 하층전극(12), 상층전극(14) 및 이들 사이에 제공된 유전체층(13)을 포함하는 회소전극(2층 구조 전극)(16)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600) 중 하나의 회소영역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회소전극(16)의 상층전극(14)은, 상기 회소전극(14)과 실질적으로 같고, 상기 각각의 형상 및 배치의 개구부 및 솔리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4에 있어서의 주사배선(2)나 신호배선(4)와 같이, 모든 세그멘트가 표시면의 상하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액정표시장치(600)의 주사배선이나 신호배선을 복수회 굴곡시켜도 된다. 이하, 2층 구조를 갖는 회소전극(16)의 기능을 설명한다.
액정표시장치(600)의 회소전극(16)은, 복수의 개구부(14a)(14a1 및 14a2를 포함한다)를 포함한다. 도24(a)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액정층(30)내의 액정분자(30a)의 배향 상태(오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24(b)는, 액정층(30)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액정분자(30a)의 배향이 변화하기 시작한 상태(온 초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24(c)는, 액정분자(30a)의 배향이 인가한 전압에 따라 변화하여 정상 상태에 도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24에서는, 유전체층(13)을 통해 개구부(14a1) 및 (14a2)에 대향하도록 제공된 하층전극(12)은, 개구부(14a1) 및 (14a2)의 각각과 중첩되고, 또한, 개구부(14a1) 및 (14a2) 사이의 영역(상층전극(14)이 존재하는 영역)에도 연장된다. 그러나, 하층전극(12)의 배치는 이에 한하지 않고, 개구부(14a1) 및 (14a2) 각각에 대해, 하층전극(12)의 면적=개구부(14a)의 면적, 또는, 하층전극(12)의 면적<개구부(14a)의 면적이 되도록 택일적으로 해도 된다. 즉, 하층전극(12)이 유전체층(13)을 통해 개구부(14a)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도록 제공되어 있으면, 하층전극(12)의 구조는 특정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 하층전극(12)이 개구부(14a)내에 형성된 구성에 있어서는, 기판(11)의 법선 방향에서 본 평면내에, 하층전극(12) 및 상층전극(14)의 어디에도 잔존하지 않는 영역(간극 영역)이 있고, 이 간극 영역에 대향하는 영역의 액정층(30)에 충분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액정층(30)의 배향을 안정화 하도록, 이 간극 영역의 폭을 충분히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는, 약 4㎛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전체층(13)을 통해 상층전극(14)의 도전층이 존재하는 영역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하층전극(12)은, 액정층(30)에 인가되는 전계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패터닝할 수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2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소전극(16)과 대향전극(22)이 동전위일 때(액정층(3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는, 회소 영역 내의 액정분자(30a)는, 양기판(11) 및(21)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해 있다. 여기서는, 간단히, 회소전극(16)의 상층전극(14)과 하층전극(12)의 전위는 서로 같은 것으로 한다.
액정층(30)에 전압을 인가하면, 도24(b)에 등전위선 EQ로 나타낸 전위 구배가 형성된다. 회소전극(16)의 상층전극(14)과 대향전극(22)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30) 내에는, 상층전극(14) 및 대향전극(22)의 표면에 대해 평행한 등전위선 EQ로 나타낸, 균일한 전위 구배가 형성된다. 상층전극(14)의 개구부(14a1) 및 (14a2) 상에 위치하는 액정층(30)에는, 하층전극(12)과 대향전극(22)의 전위차에 따른 전위 구배가 형성된다. 이 때, 액정층(30)내에 형성되는 전위 구배가, 유전체층(13) 에 의한 전압 강하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액정층(30)내에 형성되는 등전위선 EQ는, 개구부(14a1) 및 (14a2)에 대응하는 영역에 떨어진다(등전위선 EQ에 복수의 "트로프(trough)"가 형성된다). 유전체층(13)을 통해 개구부(14a1) 및 (14a2)에 대향하는 영역에 하층전극(1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14a1) 및 (14a2) 각각의 중앙부근상에 위치하는 액정층(30) 내에도, 상층전극(14) 및 대향전극(22)의 면에 대해 평행한 등전위선 EQ로 나타낸 전위 구배가 형성된다(등전위선 EQ의 "트로프의 저면"). 개구부(14a1) 및 (14a2)의 에지부(개구부의 경계(외연)를 포함하는 개구부의 내측 주변) EG상의 액정층(30) 내에는, 등전위선 EQ의 경사부로 나타내진 경사 전계가 형성된다.
도24(b)와 도2(a)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600)는 하층전극(12)을 갖기 때문에, 개구부(14a)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액정 도메인의 액정 분자에도 충분한 크기의 전계를 작용시킬 수 있다.
부의 유전이방성을 갖는 액정분자(30a)에는, 액정분자(30a)의 축방향을 등전위선 EQ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시키도록 하는 토크가 작용한다. 따라서, 에지부 EG상의 액정분자(30a)는, 도24(b)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중 우측 에지부 EG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도면중 좌측 에지부 EG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기울어진다. 그 결과, 에지부 EG상의 액정분자(30a)는 등전위선 EQ의 대응부와 평행하게 배향된다.
도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600)의 개구부(14a1) 및 (14a2)의 에지부 EG에 있어서, 액정분자(30a)의 축방위에 대해 경사진 등전위선 EQ로 나 타내진 전계(경사 전계)가 발생하면,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부자(30a)는, 등전위선 EQ와 평행해지기 위해 경사량이 작은 방향(도시한 예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진다. 또한, 액정분자(30a)의 축방위에 대해 수직인 등전위선 EQ로 나타내진 전계가 발생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액정분자(30a)는, 도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진 등전위선 EQ상에 위치하는 액정분자(30a)와 배향이 연속으로 되도록(정합하도록), 경사진 등전위선 EQ상에 위치하는 액정분자(30a)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진 등전위선 EQ상에 위치하는 액정분자(30a)로부터 시작하는 배향의 변화가 진행되고, 정상 상태에 도달하면, 도24(c)에 개략적으로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14a1)와 (14a2) 각각의 중심 SA에 관해 대칭인 경사 배향(방사상 경사 배향)을 형성한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개구부(14a1) 및 (14a2)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층전극(14)의 영역상의 액정분자(30a)도, 개구부(14a1) 및 (14a2)의 에지부의 액정분자(30a)와 배향이 연속되도록(정합하도록), 경사 배향을 취한다. 개구부(14a1)의 에지와 개구부(14a2)의 에지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액정분자(30a)는, 각 에지부의 액정분자(30a)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각 개구부(14a1) 및 (14a2)의 중앙부 근처에 위치하는 액정분자(30a)와 같이, 수직 배향 상태를 유지한다. 그 결과, 인접하는 2개의 개구부(14a1)와 (14a2) 사이의 상층전극(14)상의 액정층도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로 된다. 단, 개구부(14a1) 및 (14a2) 내의 액정층의 방사상 경사 배향과 개구부(14a1)와 (14a2) 사이의 액정츠의 방사상 경사 방향에서는, 액정분자의 경사 방향이 상이하다. 도24(c)에 나타낸, 각각의 방사상 경사 배향을 갖는 각 영역의 중앙에 배치하는 액정분자(30a) 부근의 배향에 주목하면, 개구부(14a1) 및 (14a2) 내에서는, 대향전극을 향해 스프레드되는 콘을 형성하도록 액정분자(30a)가 경사져 있고, 개구부간에는, 상층전극(14)을 향해 스프레드되는 콘을 형성하도록 액정분자(30a)가 경사져 있다. 또한, 모든 방사상 경사 배향은 에지부의 액정분자(30a)의 경사 배향과 정합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방사상 경사 배향은 서로 연속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정층(30)에 전압을 인가하면, 상층전극(14)에 제공된 복수의 개구부(14a1) 및(14a2) 각각의 에지부 EG상의 액정분자(30a)로부터 경사지기 시작하고, 그 후 주변 영역의 액정분자(30a)가 에지부 EG상의 액정분자(30a)의 경사 배향과 정합하도록 경사지게 함으로써, 방사상 경사 배향이 형성된다. 따라서, 각 회소 영역 내에 형성하는 개구부(14a)의 수가 증가할수록, 전계에 응답하여 최초로 경사지기 시작하는 액정분자(30a)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회소영역 전체에 걸쳐 방사상 경사 배향이 형성되는 것에 요구되는 시간이 짧아진다. 즉, 회소 영역마다 회소전극(16)에 형성하는 개구부(14a)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소전극(16)을 상층전극(14)과 하층전극(12)을 포함하는 2층 구조 전극을 채용함으로써, 개구부(14a)에 대응하는 영역의 액정분자에도 충분한 전계를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의 응답 특성이 향상된다.
회소전극(16)의 상층전극(14)과 하층전극(12) 사이에 제공되는 유전체층(13)이, 상층전극(14)의 개구부(14a) 내에 홀(홀) 또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2층 구조의 회소전극(16)은, 상층전극(14)의 개구부(14a) 내에 위치하는 유전체층(13)이 전체가 소거된(홀이 형성된) 구조 또는 일부가 소거된(오목부가 형성된)구조를 가져도 된다.
우선, 도25를 참조하여, 유전체층(13)에 홀이 형성된 회소전극(16)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700)의 구조와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간단히, 상층전극(14)에 형성되 하나의 개부구(14a)에 대해 설명한다.
액정표시장치(700)는, 회소전극(16)의 상층전극(14)이 개구부(14a)를 포함하고, 하층전극(12)과 상층전극(14)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유전체층(13)은, 상층전극(14)의 개구부(14a)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개구부(13a)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13a)를 통해 하층전극(12)이 노출되어 있다. 유전체층(13)의 개구부(13a)의 측벽은, 일반적으로 테이프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액정표시장치(700)는, 유전체층(13)이 개구부(13a)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액정표시장치(600)와 실질적으로 같은 구조를 갖고 있고, 2층 구조의 회소전극(16)은, 실질적으로 액정표시장치(600)의 회소전극(16)과 같은 방식으로 작용하고, 전압 인가시에 액정층(30)에 방사상 경사 배향 상태를 취한 액정 도메인을 형성한다.
액정표시장치(700)의 동작을 도25(a)~(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5(a)~(c)는, 액정표시장치(600)를 나타내는 도24(a)~(c)에 각각 대응한다.
도2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압 무인가시(오프 상태)에는, 회소 영역 내의 액정분자(30a)는, 양 기판(11) 및(21)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다. 여기서는, 간단히, 개구부(13a)의 측벽에 의한 배향 규제력은 무시한다.
액정층(30)에 전압을 인가하면, 도25(b)에 나타낸 등전위선 EQ로 나타낸 전위 구배가 형성된다. 등전위선 EQ가 상층전극(14)의 개구부(14a)에 대응하는 영역에 속해 있다("트로프"가 형성되어 있다). 액정표시장치(700)의 액정층(30)에도 도24(b)에 나타낸 전위 구배와 같이, 경사 전계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회소전극(16)의 유전체층(13)이, 상층전극(14)의 개구부(14a)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부(13a)를 포함하기 때문에, 개구부(14a)내(개구부(13a)내)에 대응하는 영역의 액정층(30)에 인가되는 전압은, 하층전극(12)과 대향전극(22)의 전위차 그 자체이고, 유전체층(13)에 의한 전압 강하(용량 분할)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상층전극(14)과 대향전극(22) 사이에 도시한 7개의 등전위선 EQ는, 액정층(30) 전체에 걸쳐 상층전극(14)과 대향전극(22) 사이에 있고(도24(b)에서는, 5개의 등전위선 EQ 중 하나가 유전체층(13) 내에 삽입되어 있는 것에 대해), 회소 영역 전체에 걸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유전체층(13)에 개구부(13a)를 형성함으로써, 개구부(13a)에 대응하는 액정층(30)에도, 액정층(30)의 타영역에 인가되는 것과 같이, 동일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압이 인가되는 액정층(30)의 두께가 각 회소 영역 내의 장소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전압 인가시에 리타데이션의 변화가 장소에 따라 변하고, 그 정도가 현저하게 크면, 표시 품위가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25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는, 상층전극(개구부(14a) 이외의 솔리드부)(14) 상의 액정층(30)의 두께 d1과, 개구부(14a)( 및 홀(13a)) 를 통해 노출된 하층전극(12) 상의 액정층(30)의 두께 d2는, 유전체층(13)의 두께분만큼 상 이하다. 두께 d1의 액정층(30)과 두께 d2의 액정층(30)을 같은 전압 범위에서 동작하면, 액정층(30)의 배향 변화에 수반하는 리타데이션의 변화량은, 각각이 액정층(30)의 두께의 영향을 받아 서로 상이하다. 인가 전압과 액정층(30)의 리타데이션량의 관계가 장소에 따라 현저하게 다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표시 품위를 중시한 설계에 있어서는 투과율이 희생되고, 투과율을 중시하면 백표시의 색온도가 시프트하여, 표시 품위가 희생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700)를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유전체층(13)의 두께는 얇은 편이 바람직하다.
다음, 회소전극의 유전체층이 오목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800)의 일 회소영역의 단면 구조를 도26에 나타내었다.
액정표시장치(800)의 회소전극(16)을 구성하는 유전체층(13)은, 상층전극(14)의 개구부(14a)에 대응하는 오목부(13b)를 포함한다. 그 이외의 구조는, 도25에 나타낸 액정표시장치(700)와 실질적으로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액정표시장치(800)에 있어서는, 회소전극(16)이 갖는 상층전극(14)의 개구부(14a) 내에 위치하는 유전체층(13)은 완전하게 제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개구부(14a) 내에 위치하는 액정층(30)의 두께 d3은, 액정표시장치(700)에 있어서의 개구부(14a) 내에 위치하는 액정층(30)의 두께 d2보다도, 오목부(13b) 내의 유전체층(13)의 두께분만큼 얇다. 또한, 개구부(14a) 내에 위치하는 액정층(30)에 인가되는 전압은, 오목부(13b) 내의 유전체층(13)에 의한 전압 강하(용량 분할)를 받기 때문에, 상층전극(개구부(14a)를 제외한 영역)(14) 상의 액정층(30)에 인가되는 전압보다도 낮아진다. 따라서, 오목부(13b) 내의 유전체층(13)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액정층(30)의 두께가 상이함에 기인하는 리타데이션 양의 변화와, 장소에 의존하는 액정층(30)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개구부(14a) 내의 액정층에 인가되는 전압의 저하량)의 관계를 제어하고, 인가 전압과 리타데이션의 관계가 회소 영역 내의 장소에 의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엄밀하게는, 액정층의 복굴절율, 액정층의 두께, 유전체층의 유전율 및 유전체층의 두께 및 유전체층의 오목부의 두께(오목부의 깊이)를 조정함으로써, 인가 전압과 리타데이션의 관계를 회소 영역 내의 장소에서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고, 고품위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특히, 표면이 평탄한 유전체층을 갖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와 비교하여, 상층전극(14)의 개구부(14a)에 대응하는 영역의 액정층(30)에 인가되는 전압의 저하에 의한 투과율의 감소(광효율의 저하)가 억제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설명에는, 회소전극(16)을 구성하는 상층전극(14)과 하층전극(12)에 같은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하층전극(12)과 상층전극(14)에 다른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하면, 균일한 표시가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의 배리에이션(variation)을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층전극(14)의 개구부(14a)내에 유전체층(13)이 제공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상층전극(14)에 인가하는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을 하층전극(12)에 인가함으로써, 액정층(30)에 인가되는 전압이 회소 영역의 장소에 따라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유전체층(13)에 의한 전압 강하분만큼 증가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층전극(14)상의 액정층과 하층전극(12)상의 유전체층(13)상의 액정층에 같은 강도의 전계가 발생하면, 상층전극(14)의 에 지부에 있어서 경사 전계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배향 제어를 제공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상층전극(14)상의 액정층에 작용하는 전계의 강도가 하층전극(12)상의 유전체층(13)상의 액정층에 작용하는 전계의 강도보다 클 필요가 있다.
2층 구조의 회소전극(16)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는, 투과형이나 반사형 뿐만 아니라, 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장치(예컨대, 특허공개공보 11-101992호 공보 참조)를 구성할 수 있다.
투과-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이하, "투웨이 액정표시장치"로 약칭한다)는, 회소 영역 내에, 투과 모드로 표시를 행하는 투과 영역 T와, 반사 모드로 표시를 행하는 반사 영역 R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한다(도24(a)참조). 투과 영역 T 및 반사 영역 R은, 전형적으로는, 투명 전극 및 반사 전극에 의해 규정된다. 반사 전극을 대신하여, 반사층과 투명 전극을 조합한 구조에 의해, 반사 영역을 규정할 수 있다.
상기 투웨이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영상은 반사 모드와 투과 모드를 절환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영상을 양 표시 모드로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주변광이 밝은 환경하에서는 반사 모드의 표시를, 어두운 환경에서는 투과 모드의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양 표시 모드를 동시에 사용하면, 투과 모드의 액정표시장치를 주변광이 밝은 환경하(형광등의 빛이나 태양광이 직접 특정의 각도로 표시면에 입사하는 상태)에서 사용한 때에 나타나는 콘트라스트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웨이 액정표시장치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투과 영역 T와 반사 영역 R의 면적의 비율은, 액정표시장치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오로지 투과형으로서만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반사 모드로의 표시가 불가능할 정도까지 반사 영역의 면적 비율을 작게 해도,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다.
도2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600)의 상층전극(14)을 반사 전극으로 하고, 하층전극(12)을 투과전극으로 함으로써, 투웨이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 투웨이 액정표시장치는, 본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층전극(14) 및 하층전극(12) 내의 어느 일방을 투명 도전층으로 하고, 타방을 반사도전층으로 채용함으로써 얻어진다. 단, 반사 모드와 투과 모드의 표시의 전압-투과율 특성을 서로 정합시키기 위해서는, 반사 영역 R의 액정층(30)의 두께(예컨대 도25(a)의 d1)가, 투과 영역 T의 액정층(30)의 두께(예컨대 도25(a)의 d2)의 약 절반으로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액정층의 두께를 조정하는 대신, 상층전극(14)에 인가하는 전압과, 하층전극(12)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시야각 특성을 갖고, 표시 특성이 우수한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따르면, 방사상 경사 배향을 갖는 액정 도메인이 안정되고, 높은 연속성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광시야각 특성을 갖는 액정 표시장치의 표시 품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회소 영역 내에서,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도전부)의 각각이 4개의 예각 코너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액정분자의 존재 확률이 높은 지향성을지닐 수 있고 밝은 표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4개의 예각 코너부는 표시면의 상하좌우를 향해 있기 때문에, 경사진 시각 방향에서 관찰한 때의 흑표시 품위의 저하가 작은 편광판 배치를 채용하면서, 밝은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코너부는 코너부이므로, 응답 특성도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국면에 의하면, 주사배선 및 신호배선 중 적어도 하나가 회소전극을 구비한 기판상에 제공되어 있는 것이 표시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또한, 복수회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회소 영역의 전체에 걸쳐 안정된 배향 상태를 얻을 수 있고. 유효 개구율(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본 공개 발명에 대해 다양한 방식 및 실시예를 통해 개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개량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속하게 된다.

Claims (42)

  1. 제1 기판;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제공된 액정층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액정층 측에 제공된 제1 전극 및 상기 액정층을 통해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 기판에 제공된 제2 전극에 의해, 복수의 화소 영역이 규정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를 포함하는 솔리드부를 갖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수직 배향상태를 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전극의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의 단부에 생성되는 경사 전계에 의해,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에 대향하는 영역에, 방사상 경사 배향상태를 취하는 액정 도메인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은, 예각화된 4개의 코너부를 갖고, 상기 4개의 코너부는 각각 표시면의 상측, 하측, 우측 및 좌측을 향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편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편광판의 일방의 투과축은 표시면의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고, 상기 한쌍의 편광판의 타방의 투과축은 표시면의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액정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의 형상은, 2회 또는 4회 회전대칭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의 형상은, 4회 회전대칭성을 갖는 성형(星形)인 액정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는, 같은 형상 및 같은 크기를 갖고, 또한 2회 또는 4회 회전대칭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형성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솔리드부는, 각각이 상기 단위 솔리드부의 일부분과 같은 형상을 갖는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의 각각의 단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상기 단위 솔리드부의 1/2에 상당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 단위 솔리드부를 포함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상기 단위 솔리드부의 1/4에 상당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 단위 솔리드부를 포함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2회 또는 4회 회전대칭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적어도 하나와 함께 상보적으로 형성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단위 솔리드부와 동일한 형상을 정수개 형성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적어도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액정층의 액정분자에 대하여 배향규제력을 발현하는 배향 규제 구조를 갖고,
    상기 배향 규제 구조에 의한 배향규제방향은, 상기 복수의 서브 단위 솔리드 부의 각각의 단부에 생성되는 경사 전계에 의한 배향규제방향과 정합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규제 구조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도 배향규제력을 발현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규제 구조는, 상기 제2 기판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으로 돌출된 돌기인 액정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경사 전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도, 방사상 경사 배향상태를 취하는 액정 도메인을 형성하는 액정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같은 형상 및 같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적어도 하나는 2회 또는 4회 회전대칭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형성하는 액정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형상은, 2회 또는 4회 회전대칭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의 각각에 대응하여 제공된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 마다 제공되고, 또한 상기 스위칭소자에 의해 온/오프 스위칭되는 화소전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에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향전극인 액정표시장치.
  18. 제1 기판;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제공된 액정층을 갖는 액정표시장차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액정층측에 제공된 제1 전극 및 상기 액정층을 통해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2 기판에 제공된 제2 전극에 의해, 복수의 화소 영역이 규정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수직 배향상태를 취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수직 배향상태를 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각각이 예각화된 4개의 코너부를 갖는 성형의 복수의 도전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도전부 각각의 4개의 코너부는, 각각 표시면의 상측, 하측, 우측 및 좌측을 향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편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편광판의 일방의 투과축은 표시면의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고, 상기 한쌍의 편광판의 타방의 투과축은 표시면의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액정표시장치.
  20. 제1 기판;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제공된 액정층을 갖고,
    복수의 화소 영역이 규정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액정층측에 복수의 화소영역마다 제공된 화소전극;
    상기 제2 기판에 제공되고 상기 화소전극에 액정층을 통해 대향하는 대향전극;
    상기 화소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칭소자;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기판상에 제공된 주사배선 및 신호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를 구비하는 솔리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수직 배향상태를 취하고, 상기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화소 전극의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의 단부에 생성되는 경사 전계에 의해,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에 대향하는 영역에, 방사상 경사 배향상태를 취하는 액정 도메인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은 예각화된 4개의 코너부를 갖고, 상기 4개의 코너부는 각각 표시면의 상측, 하측, 우측 및 좌측을 향하고,
    상기 주사배선 및 신호배선 중 상기 제1 기판상에 제공된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그의 임의의 세그먼트가 표시면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복수회 굴곡되면서 연장되는, 액정표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배선 및 신호배선의 적어도 일부분은, 표시면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 대하여 약 45°경사져 있는, 액정표시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배선 및 신호배선 모두, 상기 제1 기판상에 제공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 중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의 각각의 단부에 배치된 적어도 일부의 단위 솔리드부는, 표시면의 상하방향, 좌우방향 또는 상하좌우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주사배선 및 신호배선의 적어도 일부분은, 표시면의 상하방향, 좌우방향 또는 상하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소정 피치의 1/2의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굴곡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배선 및 신호배선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 중 적어도 일부의 단위 솔리드부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화소전극의 외주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액정표시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편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편광판의 일방의 투과축은 표시면의 상하 방향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한쌍의 편광판의 타방의 투과축은 표시면의 좌우 방향에 대해 평행한, 액정표시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의 형상은, 2회 또는 4회 회전대칭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의 형상은, 4회 회전대칭성을 갖는 성형(星形)인 액정표시장치.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는, 같은 형상 및 같은 크기를 갖고, 2회 또는 4회 회전대칭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형성하는 액정표시장치.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경사 전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도, 방사상 경사 배향상태를 취하는 액정 도메인을 형성하는 액정표시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같은 형상 및 같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의 개구부는 2회 또는 4회 회전대칭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형성하는 액정표시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의 개구부의 각각의 형상은, 2회 또는 4회 회전대칭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액정층의 액정분자를 적어도 상기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방사상 경사배향시키는 배향규제력을 발현하는 배향 규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규제 구조는,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의 중앙 부근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솔리드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상기 액정 도메인내에 있어서, 상기 배향규제구조에 의한 배향규제방향은, 상기 경사전계에 의한 방사상 경사배향의 방향과 정합되는 액정표시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규제 배향 규제 구조는, 상기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배향규제력을 발현하는 액정표시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규제 구조는, 상기 대향 기판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으로 돌출된 돌기인 액정표시장치.
  37. 제1 기판;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제공된 액정층을 갖고, 복수의 화소 영역이 규정되는 액정표시장치로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액정층 측에 복수의 화소영역마다 제공된 화소전극;
    상기 제2 기판에 제공되고 상기 화소전극에 액정층을 통해 대향하는 대향전극;
    상기 화소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칭소자;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기판상에 제공된 주사배선 및 신호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수직 배향 상태를 취하고,
    상기 화소 전극은 각각이 예각화된 4개의 코너부를 갖는 성형의 복수의 도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부의 각각이 갖는 4개의 코너부는, 각각 표시면의 상측, 하측, 우측 및 좌측을 향하고 있고;
    상기 주사배선 및 신호배선 중 상기 제1 기판상에 제공된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그의 임의의 세그먼트가 표시면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복수회 굴곡되면서 연장되는, 액정표시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배선 및 신호배선의 적어도 일부분은, 표시면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 대하여 45°경사져 있는, 액정표시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배선 및 신호배선 모두, 상기 제1 기판상에 제공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부중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의 각각의 단부에 배치된 적어도 일부의 도전부는, 표시면의 상하방향, 좌우방향 또는 상하좌우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주사배선 및 신호배선의 적어도 일부분은, 표시면의 상하방향, 좌우방향 또는 상하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소정 피치의 1/2의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굴곡부를 갖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배선 및 신호배선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복수의 도전부 중 적어도 일부의 도전부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화소전극의 외주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액정표시장치.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편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편광판의 일방의 투과축은 표시면의 상하 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한쌍의 편광판의 타방의 투과축은 표시면의 좌우 방향에 평행한, 액정표시장치.
KR1020040034524A 2003-05-16 2004-05-15 액정 표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40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39157A JP4212410B2 (ja) 2003-05-16 2003-05-16 液晶表示装置
JP2003139156A JP4215562B2 (ja) 2003-05-16 2003-05-16 液晶表示装置
JPJP-P-2003-00139156 2003-05-16
JPJP-P-2003-00139157 2003-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171A KR20040099171A (ko) 2004-11-26
KR100640185B1 true KR100640185B1 (ko) 2006-10-30

Family

ID=3355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5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0185B1 (ko) 2003-05-16 2004-05-15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95826B2 (ko)
KR (1) KR100640185B1 (ko)
CN (1) CN1550835B (ko)
TW (1) TWI3074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2489B2 (ja) 2003-06-11 2005-04-2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642488B2 (ja) * 2003-06-11 2005-04-2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338511B2 (ja) * 2003-12-24 2009-10-0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680103B1 (ko) * 2004-02-02 2007-02-2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JP3891995B2 (ja) 2004-04-26 2007-03-1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07015458A1 (ja) * 2005-08-03 2007-02-08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7978298B2 (en) 2006-03-23 2011-07-12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2116965B (zh) * 2006-04-04 2014-12-17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WO2008001595A1 (fr) * 2006-06-30 2008-01-03 Sharp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 dispositif d'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US7755654B2 (en) * 2006-07-25 2010-07-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ixel
JP4927851B2 (ja) 2006-09-12 2012-05-09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付き液晶表示パネ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ATE556348T1 (de) 2006-09-28 2012-05-15 Sharp Kk Flüssigkristallanzeigeschirm mit mikrolinsenarray,herstellungsverfahren dafür und flüssigkristallanzeigeanordnung
KR20080030244A (ko) * 2006-09-29 200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WO2008047788A1 (fr) * 2006-10-18 2008-04-24 Sharp Kabushiki Kaisha Écran à cristaux liquides et procédé de fabrication associé
US8243236B2 (en) 2006-10-18 2012-08-14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CN101568877B (zh) * 2006-12-18 2011-05-11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CN101578549B (zh) 2007-01-11 2011-08-17 夏普株式会社 带微透镜阵列的液晶显示面板和液晶显示装置
US20080225212A1 (en) * 2007-03-13 2008-09-18 Ong Hiap L Pixel designs for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liquid crystal display
US20100118227A1 (en) * 2007-03-28 2010-05-13 Satoshi Shibata Liquid cystal display panel with microlens ar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629842B2 (en) * 2008-07-11 2014-01-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8928597B2 (en) 2008-07-11 2015-01-0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342176B2 (en) * 2008-07-21 2016-05-1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058106B1 (ko) * 2009-08-06 2011-08-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223721B1 (ko) * 2010-03-11 2013-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03792A (ko) * 2014-03-03 2015-09-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3956364B (zh) * 2014-04-22 2017-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60092151A (ko) * 2015-01-26 2016-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19620471A (zh) * 2024-12-27 2025-03-14 广州铁路职业技术学院(广州铁路机械学校) 一种液晶微结构调制装置及其控制方法、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4710A (ja) 1998-06-01 1999-12-14 Nec Corp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530B1 (ko) * 1987-09-18 1994-09-22 가부시끼가이샤 한도 따이에네르기 겐꾸쇼 액정 전기 광학 장치
JP3306986B2 (ja) 1993-04-15 2002-07-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の製造方法
JPH10186366A (ja) * 1996-12-26 1998-07-14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TW509808B (en) * 1997-06-12 2002-11-11 Sharp Kk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481843B2 (ja) * 1997-12-26 2003-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306800B1 (ko) * 1998-05-29 2002-06-20 박종섭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6384889B1 (en) * 1998-07-24 2002-05-07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with sub pixel regions defined by sub electrode regions
US6965422B2 (en) * 1998-07-24 2005-11-15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504592B1 (en) * 1999-06-16 2003-01-07 Nec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1091925A (ja) * 1999-07-16 2001-04-06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3601786B2 (ja) * 2000-08-11 2004-12-1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712637B2 (ja) * 2000-08-11 2005-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欠陥修正方法
JP3544348B2 (ja) * 2000-09-12 2004-07-2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720093B1 (ko) * 2000-10-04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7292300B2 (en) * 2000-10-31 2007-11-06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with radially-inclined liquid crystal in unit solid portions arranged in a single direction
JP3601788B2 (ja) * 2000-10-31 2004-12-1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4710A (ja) 1998-06-01 1999-12-14 Nec Corp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50835B (zh) 2010-04-28
KR20040099171A (ko) 2004-11-26
TW200426442A (en) 2004-12-01
US6995826B2 (en) 2006-02-07
US20050001964A1 (en) 2005-01-06
TWI307425B (en) 2009-03-11
CN1550835A (zh) 200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185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483410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620933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803128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773205B1 (ko) 액정 표시 장치
US696542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44984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767945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507586B1 (ko) 액정 표시 장치
JP4215562B2 (ja) 液晶表示装置
JP4275049B2 (ja) 液晶表示装置
JP4212410B2 (ja) 液晶表示装置
JP4703145B2 (ja) 液晶表示装置
CN100412633C (zh) 液晶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