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802B1 - 다양한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적층 칩 소자 - Google Patents
다양한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적층 칩 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8802B1 KR100638802B1 KR1020030052560A KR20030052560A KR100638802B1 KR 100638802 B1 KR100638802 B1 KR 100638802B1 KR 1020030052560 A KR1020030052560 A KR 1020030052560A KR 20030052560 A KR20030052560 A KR 20030052560A KR 100638802 B1 KR100638802 B1 KR 1006388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conductor pattern
- conductor
- pattern
- opposite end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D89/00
- H01L25/0657—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8—Layout of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01L23/64—Impedance arrangements
- H01L23/642—Capacitive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2)
- 삭제
- 제1 도전체 패턴이 양 대향 단부를 가로질러 단위 소자당 각각 배치되도록 연속적으로 복수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시트와,제2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1 시트 상에 형성된 상기 제1 도전체 패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위 소자들을 가로질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와,제3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1 도전체 패턴과 상기 제2 도전체 패턴 사이의 영역에 상기 단위 소자당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시트를 포함하고,상기 제1 도전체 패턴의 양 대향 단부는 각각 입출력 단자인 제1 및 제2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체 패턴의 적어도 일 단부는 공통 단자인 제3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의 사이에는 제3 시트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제1 도전체 패턴이 양 대향 단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시트와,상기 제1 도전체 패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면적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영역으로 구성된 제2 도전체 패턴이 양 대향 단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를 포함하고,상기 제1 도전체 패턴의 양 대향 단부는 각각 입출력 단자인 제1 및 제2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체 패턴 각 영역에서 적어도 일 단부는 공통 단자인 제3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상기 제1 시트 및 제2 시트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제1 도전체 패턴이 양 대향 단부를 가로질러 단위 소자당 각각 배치되도록 연속적으로 복수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시트와,상기 제1 도전체 패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면적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영역으로 구성된 제2 도전체 패턴이 상기 단위 소자들을 가로질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를 포함하고,상기 제1 도전체 패턴의 양 대향 단부는 각각 입출력 단자인 제1 및 제2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체 패턴 각 영역에서 적어도 일 단부는 공통 단자인 제3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상기 제1 시트 및 제2 시트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양 대향 단부 측에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 제1 및 제2 도전체 영역과, 상기 이들 도전체 영역과 이격되고 이들 사이에서 상기 양 대향 단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3 도전체 영역으로 구성된 제1 도전체 패턴이 형성된 제1 시트와,상기 제1 및 제3 도전체 영역의 일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2 및 제3 도전체 영역의 일부와 중첩되며 서로 이격된 제4 및 제5 도전체 영역으로 구성된 제2 도전체 패턴이 형성된 제2 시트를 포함하고,상기 제1 도전체 패턴의 제1 및 제2 도전체 영역의 일 단부는 각각 입출력 단자인 제1 및 제2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도전체 영역의 적어도 일 단부는 공통 단자인 제3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시트 및 제2 시트는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제5항에 있어서, 제3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1 도전체 패턴의 제3 도전체 영역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양 대향 단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제3 시트와,제4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3 도전체 영역과 동일한 방향으로 양 대향 단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제4 시트를 포함하고,제3 도전체 패턴의 양 대향 단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외부 단자와 연결되고,제4 도전체 패턴의 적어도 일 단부는 상기 제3 외부 단자와 연결되고,상기 제1 시트와 제3 시트 사이에는 제4 시트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단위 소자당 각기 배치되도록 양 대향 단부 측에 각기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1 및 제2 도전체 영역과, 상기 양 대향 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위 소자들을 가로질러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3 도전체 영역를 포함하는 제1 도전체 패턴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시트와,상기 단위 소자당 각기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3 도전체 영역의 일부와 중첩되며, 상기 제2 및 제3 도전체 영역의 일부와 중첩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4 및 제5 도전체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도전체 패턴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를 포함하고,상기 제1 도전체 패턴의 복수의 제1 및 제2 도전체 영역의 일 단부는 각각 입출력 단자인 제1 및 제2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도전체 영역의 적어도 일 단부는 공통 단자인 제3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시트 및 제2 시트는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제7항에 있어서, 제3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1 도전체 패턴의 제3 도전체 영역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양 대향 단부를 가로질러 상기 단위 소자당 각각 배치되도록 복수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시트와,제4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3 도전체 영역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단위 소자들을 가로질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4 시트를 포함하고,상기 제3 도전체 패턴의 양 대향 단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외부 단자와 연결되고,상기 제4 도전체 패턴의 적어도 일 단부는 상기 제3 외부 단자와 연결되고,상기 제1 시트와 제3 시트 사이에는 제4 시트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시트는 복수개이고, 복수의 제4 시트의 상기 제4 도전체 패턴은 서로 다른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제1 도전체 패턴이 양 대향 단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시트와,제2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1 시트 상에 형성된 제1 도전체 패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양 대향 단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와,제3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1 도전체 패턴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시트를 포함하고,제4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1 도전체 패턴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4 시트를 포함하고,상기 제1 도전체 패턴의 양 대향 단부는 각각 입출력 단자인 제1 및 제2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체 패턴의 적어도 일 단부는 공통 단자인 제3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도전체 패턴의 대향하는 각각의 일 단부는 각 시트의 대응하는 일 단부까지 연장되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상기 제3 시트와 상기 제4 시트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시트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제1 도전체 패턴이 양 대향 단부를 가로질러 단위 소자당 각각 배치되도록 연속적으로 복수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시트와,제2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1 시트 상에 형성된 상기 제1 도전체 패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위 소자들을 가로질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와,제3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1 도전체 패턴과 동일 방향으로 상기 단위 소자당 각각 배치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시트를 포함하고,제4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1 도전체 패턴과 동일 방향으로 상기 단위 소자당 각각 배치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4 시트를 포함하고,상기 제1 도전체 패턴의 양 대향 단부는 각각 입출력 단자인 제1 및 제2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체 패턴의 적어도 일 단부는 공통 단자인 제3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도전체 패턴의 대향하는 각각의 일 단부는 각 시트의 대응하는 일 단부까지 연장되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상기 제3 시트와 상기 제4 시트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시트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제1 도전체 패턴이 양 대향 단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시트와,제2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1 시트 상에 형성된 제1 도전체 패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양 대향 단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와,제3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1 도전체 패턴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시트를 포함하고,상기 제1 도전체 패턴의 양 대향 단부는 각각 입출력 단자인 제1 및 제2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체 패턴의 적어도 일 단부는 공통 단자인 제3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도전체 패턴의 일 단부는 시트의 일 단부까지 연장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외부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상기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사이에는 상기 제3 시트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제1 도전체 패턴이 양 대향 단부를 가로질러 단위 소자당 각각 배치되도록 연속적으로 복수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시트와,제2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1 시트 상에 형성된 제1 도전체 패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위 소자들을 가로질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트와,제3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1 도전체 패턴과 동일 방향으로 상기 단위소자당 각기 배치되도록 복수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시트를 포함하고,상기 제1 도전체 패턴의 양 대향 단부는 각각 입출력 단자인 제1 및 제2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체 패턴의 적어도 일 단부는 공통 단자인 제3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도전체 패턴의 일 단부는 시트의 일 단부까지 연장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외부 단자에 연결되고,상기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사이에는 상기 제3 시트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제5항에 있어서, 저항체 패턴을 포함하는 제3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1 도전체 패턴의 제3 도전체 영역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양 대향 단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제3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도전체 패턴의 양 대향 단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외부 단자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제7항에 있어서, 저항체 패턴을 포함하는 제3 도전체 패턴이 상기 제1 도전체 패턴의 제3 도전체 영역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양 대향 단부를 가로질러 상기 단위 소자당 각각 배치되도록 복수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도전체 패턴의 양 대향 단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외부 단자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도전체 패턴 및 상기 제3 도전체 패턴은 저항체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삭제
-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도전체 패턴은 Ag, Pt 및 Pd 중 어느 하나의 금속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시트는 세라믹 시트, 배리스터 시트, PTC 서미스터 시트 및 NTC 서미스터 시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칩 소자.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2560A KR100638802B1 (ko) | 2003-07-30 | 2003-07-30 | 다양한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적층 칩 소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2560A KR100638802B1 (ko) | 2003-07-30 | 2003-07-30 | 다양한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적층 칩 소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4094A KR20050014094A (ko) | 2005-02-07 |
KR100638802B1 true KR100638802B1 (ko) | 2006-10-25 |
Family
ID=3722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52560A Expired - Lifetime KR100638802B1 (ko) | 2003-07-30 | 2003-07-30 | 다양한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적층 칩 소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880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8189A (ko) | 2016-12-29 | 2018-07-09 |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 복합 소자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KR20180078190A (ko) | 2018-06-08 | 2018-07-09 |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 복합 소자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KR20200117844A (ko) | 2019-04-05 | 2020-10-14 |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34121B2 (ja) | 2005-09-30 | 2010-03-17 | Tdk株式会社 | コネクタ |
KR100653859B1 (ko) * | 2005-12-20 | 2006-12-05 | 주식회사 아모텍 | 칩 소자 |
KR100706703B1 (ko) * | 2006-03-13 | 2007-04-12 | 주식회사 아모텍 | 적층 칩 모듈의 제조 방법 |
KR100848192B1 (ko) * | 2006-11-21 | 2008-07-24 | 주식회사 아모텍 | 칩 소자 |
KR101067670B1 (ko) * | 2009-06-22 | 2011-09-27 | 전자부품연구원 | 저역 통과 필터 및 그의 배치구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4103A (ja) * | 1991-06-27 | 1993-01-22 | Murata Mfg Co Ltd | ノイズフイルタ |
JPH05299292A (ja) * | 1992-04-22 | 1993-11-12 | Murata Mfg Co Ltd | ノイズフィルタ |
JPH06244058A (ja) * | 1993-02-19 | 1994-09-02 | Murata Mfg Co Ltd | チップ型貫通コンデンサ |
KR20000072029A (ko) * | 2000-07-10 | 2000-12-05 | 엄우식 | 고주파 적층 칩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
-
2003
- 2003-07-30 KR KR1020030052560A patent/KR100638802B1/ko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4103A (ja) * | 1991-06-27 | 1993-01-22 | Murata Mfg Co Ltd | ノイズフイルタ |
JPH05299292A (ja) * | 1992-04-22 | 1993-11-12 | Murata Mfg Co Ltd | ノイズフィルタ |
JPH06244058A (ja) * | 1993-02-19 | 1994-09-02 | Murata Mfg Co Ltd | チップ型貫通コンデンサ |
KR20000072029A (ko) * | 2000-07-10 | 2000-12-05 | 엄우식 | 고주파 적층 칩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8189A (ko) | 2016-12-29 | 2018-07-09 |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 복합 소자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KR20180078124A (ko) | 2016-12-29 | 2018-07-09 |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KR20180078190A (ko) | 2018-06-08 | 2018-07-09 |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 복합 소자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KR20200117844A (ko) | 2019-04-05 | 2020-10-14 |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4094A (ko) | 2005-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60590B2 (ja) | 複合積層チップ素子 | |
KR100799475B1 (ko) | 서지 흡수 소자 | |
WO2002011160A1 (en) | Integrated dual frequency noise attenuator and transient suppressor | |
EP3070722B1 (en) | Laminated chip device | |
JP2716022B2 (ja) | 複合積層電子部品 | |
JP2004516676A (ja) | 電気的な多層半導体および該素子を備えている障害防止回路 | |
JP3211816B2 (ja) | 複合部品 | |
KR100638802B1 (ko) | 다양한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적층 칩 소자 | |
JP2626143B2 (ja) | 複合積層電子部品 | |
JPH04257112A (ja) | 積層チップt型フィルタ | |
KR100470115B1 (ko) | 다양한 등가인덕턴스 값을 갖는 적층 칩 소자 | |
KR100578295B1 (ko) | 저항-인덕터-커패시터 복합 적층 칩 소자 | |
KR100711092B1 (ko) | 적층형 칩 소자 | |
KR100470116B1 (ko) | 복합 적층 칩 소자 | |
KR100578296B1 (ko) | 인덕터-커패시터 복합 적층 칩 소자 | |
KR20150090445A (ko) | 적층칩 소자 | |
KR100733816B1 (ko) | 적층형 칩소자 | |
KR20090037099A (ko) | 적층 칩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0490503B1 (ko) | 어레이 칩 | |
KR100672235B1 (ko) | 바리스터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502281B1 (ko) | 복수 소자가 결합된 복합 어레이칩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470117B1 (ko) | 도전체 패턴과 외부 전극의 단락 방지를 위한 칩 소자 | |
KR20070090677A (ko) | 적층형 칩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0786416B1 (ko) | 적층형 칩 소자 | |
KR100372848B1 (ko) | 고주파 저인덕턴스형 적층 칩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8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240130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