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793B1 -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4793B1 KR100624793B1 KR1020040049732A KR20040049732A KR100624793B1 KR 100624793 B1 KR100624793 B1 KR 100624793B1 KR 1020040049732 A KR1020040049732 A KR 1020040049732A KR 20040049732 A KR20040049732 A KR 20040049732A KR 100624793 B1 KR100624793 B1 KR 1006247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air
- indoor unit
- air conditioner
- indo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21392 nano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717 electrostatic precipit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에 흡입 그릴과 필터 유닛이 선택적으로 배치되므로, 흡입 그릴의 배치시 비용이 저감되고, 필터 유닛의 배치시 공기 정화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ction grill and a filter unit selectively disposed at an air inlet in which indoor air is sucked, the cost is reduced when the suction grill is disposed, and the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when the filter unit is disposed. There is an advantage.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 공기 흡입구, 흡입 그릴, 필터 유닛, 필터 케이스, 필터Remote air conditioners, indoor unit, air intake, suction grille, filter unit, filter case, filt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에 필터 유닛이 장착되고 실내기가 작동 중일 때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when a filter unit is mounted to an indoor unit first embodimen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door unit is in opera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에 필터 유닛이 장착되고 실내기가 작동 정지중일 때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ilter unit is mounted on the indoor unit first embodiment of the spli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door unit is stopped operatin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에 흡입 그릴이 장착되고 실내기가 작동 중일 때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suction grille is mounted on the indoor unit first embodiment of the split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door unit is in opera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에 흡입 그릴이 장착되고 실내기가 작동 정지중일 때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when the suction grill is mounted on the indoor unit first embodiment of the spli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door unit is stopped operatin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에 필터 유닛이 장착되고 실내기가 작동 중일 때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filter unit is mounted to the indoor unit first embodiment of the split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door unit is in opera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에 흡입 그릴이 장착되고 실내기가 작동 중일 때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suction grill is mounted on the indoor unit first embodiment of the spli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door unit is in operation;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필터 유닛의 분해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illustrated in FIGS. 5 and 6;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작동 중 일 때의 필터 유닛의 확대 단면도,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lter unit when the indoor unit first embodiment of the spli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pera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작동 정지 중일 때의 필터 유닛의 확대 단면도,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lter unit when the indoor unit first embodimen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ppe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4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단면도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51: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2: 섀시51: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52: chassis
53: 배면 공기 흡입구 54: 프론트 프레임53: rear air intake 54: front frame
55: 전면 공기 흡입구 56: 상면 공기 흡입구55: front air inlet 56: top air inlet
57: 공기 토출구 58: 배출홀57: air discharge port 58: discharge hole
59: 조작부 겸용 디스플레이 60: 프론트 패널59: control panel combined display 60: front panel
61: 디스플레이 61′: 디스플레이61:
61″: 디스플레이 62: 전기 집진기61 ″: display 62: electrostatic precipitator
63: 프리 필터 65: 제 1 링크63: prefilter 65: first link
66: 제 2 링크 67: 피니언66:
68: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 69: 랙68: motor for front panel rotation 69: rack
70: 필터 유닛 71: 필터 케이스70: filter unit 71: filter case
71′: 필터 케이스 71a: 흡입홀71 ':
71a′: 흡입홀 71b: 연통홀71a ′:
71c: 필터 출입홀 72: 필터71c: filter entrance hole 72: filter
72a: 프리 필터 72b: 나노 구리 필터72a: pre-filter 72b: nano copper filter
72c: 나노 은 필터 72d: 전기 집진기72c: nano
73: 가이드 74: 프론트 커버73: guide 74: front cover
75: 루버 75′: 그릴75:
76: 루버 회동용 모터 77: 전원 공급판76: louver rotating motor 77: power supply plate
78: 전원 인가판 80: 흡입 그릴78: power supply plate 80: suction grill
90: 송풍기 92: 송풍용 모터90: blower 92: blower motor
94: 송풍팬 96: 실내 열교환기94: blower fan 96: indoor heat exchanger
97: 수직부 98: 제 1 경사부97: vertical portion 98: first inclined portion
99: 제 2 경사부 102: 응축수 받이부99: second inclined portion 102: condensate receiving portion
104: 루버 106: 베인 104: louver 106: vane
108: 토출 그릴 110: 컨트롤 박스108: discharge grill 110: control box
112: 상부 장식 패널 114: 하부 장식 패널112: upper decorative panel 114: lower decorative panel
120: 실외기 122: 냉매배관120: outdoor unit 122: refrigerant piping
124: 산소 발생기 126: 안내호스124: oxygen generator 126: guide hose
본 발명은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 흡입구에 흡입 그릴과 필터 유닛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capable of selectively mounting a suction grill and a filter unit at an air inlet.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공기 조화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하며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나누어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또는 split type)이 있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heater, an air conditioner, an air conditioner, etc., which is installed to cool or heat a room or purify the air, and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a human being. The air conditioner is divided into a window type and a separate or split type. type).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The one-piece type and the separate type are functionally the same, but the one-piece type integrates the function of cooling heat dissipation, and is directly installed by drilling a hole in a wall of a house or by hanging a device on a window. The separate type installs a cooling device on the indoor side and heat dissipation on the outdoor side. And a compression device to connect the two devi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refrigerant pipe.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 중 분리형은 크게 냉각기능을 수행하도록 실내 열교환기가 내장된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기능을 수행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와 팽창기구가 내장된 실외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으로 구 성된다. The separate type of the air conditioner is an indoor unit having an indoor heat exchanger to perform a cooling function largely, an outdoor heat exchanger performing a heat dissipation and compression function, an outdoor unit having a compressor and an expansion device, and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connected to each other. It consists of refrigerant piping.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단면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2)와, 상기 섀시(2)의 전면에 결합되고 공기 흡입구(4) 및 흡입 그릴(6)이 형성되며 전면 하측 또는 저면에 공기 토출구(8)가 형성된 프론트 프레임(10)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흡입 그릴(12)과, 상기 섀시(2)에 장착되는 모터(14)와, 상기 모터(14)에 연결된 송풍팬(16)과, 상기 송풍팬(16)과 상기 공기 흡입구(4) 및 흡입그릴(6)의 사이에 배치된 열교환기(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4 to 16, the indoor unit of the conventional separate air conditioner is coupled to 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은 전면에 전면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상면 흡입 그릴(6)이 일체 형성된다.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5)가 배치된다.The
상기 필터(5)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름되는 프리 필터이다.The
상기 흡입 그릴(12)은 상부가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열교환기(1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받이부(19)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 토출구(8)로 토출되 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변경시키는 루버(20)와 상하 풍향을 변경시키는 베인(22)을 포함하는 토출 그릴(24)이 장착된다.A louver for forming a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팬(16)이 회전되면,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전방의 실내 공기가 상기 흡입 그릴(12)을 통과한 후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를 통과하면서 상기 필터(5)에 의해 이물질이 걸름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10)과 섀시(2)의 사이 공간으로 흡입된다.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lowing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상측의 실내 공기가 상기 상면 흡입 그릴(6)을 통과하여 상기 프론트 프레임(10)과 섀시(2)의 사이 공간으로 흡입된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of the upper side of the
상기와 같이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8)를 통과하면서 상기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고, 상기 송풍팬(16)을 통과한 후 상기 루버(20) 및 베인(22)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공기 토출구(8)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The indoor air sucked as described above is cooled or heated by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만이 상기 프리 필터(5)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후 열교환되고, 상면 흡입 그릴(6)을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공기 정화 없이 열교환되므로, 공기 정화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따르고, 실내를 정화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공기 정화장치를 설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indoor unit of the detachab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heat exchanged only after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out by the
한편, 상기 상면 흡입 그릴(6)을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상기 실내기 내에 별도의 필터를 설치하는 경우, 필터와 상기 필터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의 설치로 인해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nstalling a separate filter in the indoor unit to purify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upper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유닛을 흡입 그릴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공기 정화 능력을 향상시키거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that can be equipped with a filter unit for purifying the air selectively with the suction grill to improve the air purification capacity or reduce the cost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한 후 실내로 토출시키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에 배치되고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과 상기 실내기의 내부와 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된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장착된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in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which sucks and air-conditions the indoor air and discharges it into the room, the indoor air is disposed at the air intake port where the indoor air is sucked and A filter case having a suction hole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indo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ter mounted to the filter case.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새시와; 상기 새시의 전방에 배치되고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공기 흡입구에 배치되고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과 상기 실내기의 내부와 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된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장착된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hassis; A front frame disposed in front of the chassis and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 filter case disposed at the air inlet and having a suction hole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an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indo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ter mounted to the filter case.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새시와; 상기 새시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면 및 상면에 공기 흡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전면 하부 또는 저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에 배치되고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과 상기 실내기의 내부와 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된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장착된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hassis; A front frame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chassis and having air inlets formed at front and top surfaces thereof, and air outlets formed at a bottom or bottom of the front surface; A filter case disposed at the upper air inlet and having a suction hole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an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indo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ter mounted to the filter case.
또한,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흡입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루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louver rotatably disposed in the suction hole.
또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흡입홀에 그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ll is formed in the suction hole.
또한, 상기 필터 케이스는 필터가 출입되는 필터 출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필터의 장착시 상기 필터 출입홀을 막는 필터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entry hole is the filter entry hole is formed,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 filter cover for blocking the filter entrance hole when the filter is mounted.
또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필터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uide for guiding the sliding of the filter.
또한,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필터 케이스와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흡입 그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ction grill which is selectively disposed with the filter case.
또한, 상기 필터는 프리 필터와, 전기 집진 필터와, 헤파 필터와, 나노 카본 필터와, 나노 구리 필터와, 나노 은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may be at least one of a prefilter,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a hepa filter, a nano carbon filter, a nano copper filter, and a nano silver filt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에 필터 유닛이 장착되고 실내기가 작동 중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 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에 필터 유닛이 장착되고 실내기가 작동 정지중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에 흡입 그릴이 장착되고 실내기가 작동 중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에 흡입 그릴이 장착되고 실내기가 작동 정지중일 때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unit mounted in a first embodiment of the detachab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door unit is in operation, and FIG. 2 is a filter unit of the indoor unit first embodiment of the detachab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indoor unit is stopped operating,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suction grill is mounted on the indoor unit first embodimen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door unit is in operation, Figure 4 is the present invention Indoor unit 1 of the detachab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FIG. 1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suction grill is mounted and the indoor unit is in opera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1)는 섀시(52)의 전방에 프론트 프레임(54)이 장착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은 상기 섀시(52)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섀시(52)와의 사이에 후술하는 열교환기와 송풍기 등이 수용되도록 소정의 내측 공간이 형성된다.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은 전면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전면 공기 흡입구(55)가 형성되고, 상면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상면 공기 흡입구(56)가 형성된다. 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은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의 하측인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하부 또는 저면부에 공기 토출구(57)가 형성된다.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은 전면 공기 흡입구(55)의 좌우 중 일측에 산소가 배출되거나 습공기가 배출되거나 실외의 신선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58)이 형성된다.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은 전면 공기 흡입구(55)의 좌우 중 타측에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공기조화기의 강제 운전 등의 각종 운전을 누름 조작되는 조작부 겸용 디스플레이(59)가 장착된다.The
상기 조작부 겸용 디스플레이(59)는 인쇄회로 기판과,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실장된 복수개의 엘이디와, 상기 엘이디의 불빛이 확산되도록 상기 엘이디의 전방에 배치되고 누름 동작되는 확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쇄회로 기판의 후방에는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의해 눌림되고 상기 공기조화기를 강제 운전시키도록 스위칭하는 탯 스위치가 배치된다.The combined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에는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1)의 작동시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의 전방을 열고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작동 정지시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의 전방을 막는 프론트 패널(6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프론트 패널(60)의 전면에는 거울이 부착되거나 특정 색상의 색상 패널이 부착되거나 액자가 부착된다.The front of the
상기 프론트 패널(60)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61)가 장착된다.The
상기 디스플레이(61)는 상기 LED나 LCD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디스플레이(61)는 운전 정보가 문자 등이 스크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도록 LCD 등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상면에는 필터 유닛(70)과 흡입 그릴(80)이 선택적으로 장착된다.The
즉,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필터 유닛(70)과 흡입 그릴(8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에 위치되게 장착되는 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유닛(70)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 유닛(70)을 통과하면서 정화되므로 공기 정화 성능이 향상되게 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그릴(80)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구조가 간단하여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That is,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is mounted such that any one of the
상기 필터 유닛(70)과 흡입 그릴(80)은 둘 중 어느 하나가 본드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상면에 고정 장착되거나, 후크에 의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상면에 걸림 장착되어 사용자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간편하게 교체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참조 부호 120은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가 장착된 실외기이다.
참조부호 122는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1)와 실외기(120)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이다.
참조 부호 124는 상기 실외기(120)에 설치되어 산소가 발생하거나 습공기가 발생하거나 실외의 신선한 공기가 실내기로 송풍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 발생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참조 부호 130은 상기 산소 발생기(124)에 연결되어 상기 산소 발생기(124)에서 발생된 산소를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배출홀(58)로 안내하는 안내호스이다.
한편,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1)와 실외기(120) 중 일측에는 팽창기구(미도시)가 설치된다.Meanwhile, an expansion mechanism (not shown)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에 필터 유닛이 장착되고 실내기가 작동 중일 때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에 흡입 그릴이 장착되고 실내기가 작동 중일 때의 단면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indoor unit of the detachab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detachab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lter unit is mounted and the indoor unit is in operation. Fig. 7 is a cross sectional view when the suction grill is mounted to the indoor unit first embodiment of the spli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door unit is in operation.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섀시(52)는 상부에 배면 공기 흡입구(53)가 형성된다.5 to 7, 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내측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전기 집진기(62)가 장착된다.An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내측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름되는 프리 필터(63)가 장착된다.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하부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60)이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프리 필터(63)의 착탈시 상기 프론트 패널(60)이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1)의 전방 하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60)을 지지하는 링크수단(64)이 장착된다.The
상기 링크수단(64)은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하부에 연결된 제 1 링크(65)와, 상기 제 1 링크(65)에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60)의 배면 하부에 연 결된 제 2 링크(66)로 구성된다.The link means 64 includes a
상기 제 1 링크(65)는 일단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에 구속/해제되도록 연결된다.One end of the
상기 제 2 링크(65)는 일단이 상기 프론트 패널(6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링크(65)의 타단에 힌지 연결된다.One end of the
한편,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상부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60)을 회동시키기 위해 피니언(67)이 축설된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가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0)의 배면 상부에는 상기 피니언(67)에 치합되는 랙(69)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In addition, a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1)는 실내 공기를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와 전면 공기 흡입구(55)와 상면 공기 흡입구(56)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프론트 프레임(54)과 섀시(52)의 사이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기 토출구(57)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시키는 송풍기(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송풍기(90)는 상기 섀시(52)의 전면에 장착되고 회전축(91)이 돌출된 송풍용 모터(92)와, 상기 송풍용 모터(92)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91)이 연결된 송풍팬(94)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송풍팬(94)은 횡류팬으로서, 상기 섀시(52)의 전방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다.The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54)과 섀시(52)의 사이로 흡입된 실내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 또는 가열되도록 하는 실내 열교환기(96)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n indoor heat exchanger (96) to allow the indoor air sucked between the front frame (54) and the chassis (52) to exchange heat with the refrigerant to cool or heat.
상기 실내 열교환기(96)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 후방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부(97)와, 상기 수직부(97)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 1 경사부(98)와, 상기 제 1 경사부(98)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 2 경사부(99)로 구성된다.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받이부(10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 토출구(57)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변경시키는 루버(104)와 상하 풍향을 변경시키는 베인(106)을 포함하는 토출 그릴(108)이 장착된다.A louver for forming a
참조 부호 110은 상기 송풍기(90)의 송풍용 모터(94)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전장부품이 장착된 컨트롤 박스이다.
참조 부호 112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상단측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 상부 장식 패널이다.
참조 부호 114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하단측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 하부 장식 패널이다.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필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작동 중일 때의 필터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작동 정지 중일 때의 필터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다.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shown in FIGS. 5 and 6, FIG.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lter unit when the indoor unit first embodiment of the split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peration, and FIG. 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lter unit when the indoor unit of the spli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pped.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유닛(70)은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71a)과 상기 실내기의 내부와 통하는 연통홀(71b)이 형성된 필터 케이스(71)와,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필터(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8 to 10, the
상기 필터 케이스(71)는 상면에 상기 흡입홀(71a)이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연통홀(71b)이 형성된다.The
상기 필터 케이스(71)에는 상기 필터(72)의 출입을 위한 필터 출입홀(71c)이 형성된다.The
상기 필터 케이스(71)는 전면측에 상기 필터 출입홀(71c)이 형성된다.The
상기 필터 케이스(71)에는 상기 필터(72)가 슬라이딩 출입되도록 상기 필터(7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73)가 형성된다.The
상기 가이드(73)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좌우 내측면에 돌출되고 길게 형성된다.The
상기 필터 유닛(70)은 상기 필터(72)의 장착시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막는 필터 커버(7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필터 커버(74)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양측면에 회전축(74a,74b)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상기 필터 유닛(70)은 상기 흡입홀(65a)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루버(7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루버(75)는 상기 흡입홀(71a)을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흡입홀(71a)을 향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좌우 양측에 회전축(75a,75b)이 돌출된다.The
상기 필터 유닛(70)은 상기 루버(75)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설치된 루버 회동용 모터(7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상기 필터(72)는 프리 필터와, 전기 집진기와, 헤파 필터와, 나노 카본 필터와, 나노 구리 필터와, 나노 은 필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리 필터(72a)와 나노 구리 필터(72b)와 나노 은 필터(72c)와 전기 집진기(72d)가 장착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filter 72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prefilter,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 hepa filter, a nano carbon filter, a nano copper filter, and a nano silver filter,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상기 필터(72a,72b,72c,72d)는 적어도 하나(72a)가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의 전방 부위가 절곡된다. The
참조 부호 77은 상기 전기 집진기(72d) 또는 루버 회동용 모터(76)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에 설치된 전원 공급판이다.
참조 부호 78은 상기 필터 유닛(70)의 장착시 상기 전원 공급판(77)에 접촉되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설치되어 공급된 전원을 상기 전기 집진기(72d) 또는 루버 회동용 모터(76)로 인가시키는 전원 인가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도 1과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상면에 필터 유닛(70)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를 냉방 혹은 난 방 작동시키면, 상기 실외기(120)의 압축기는 구동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는 개방 모드로 구동되며, 상기 루버 회동용 모터(76)는 개방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송풍기(90)의 송풍용 모터(92)는 구동된다.First, as shown in FIGS. 1, 2, and 6, when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is cooled or heated in a state where the
상기 실외기(120)의 압축기가 구동되면, 상기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에는 냉매가 순환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96)는 주변의 열을 빼앗거나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여 주변의 공기를 냉각/가열시킨다.When the compressor of the
한편,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가 개방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피니언(67)은 회전되어 상기 랙(69)을 전진시키고, 상기 프론트 패널(6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링크(65)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과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1)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통한 실내 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ront
그리고, 상기 루버 회동용 모터(76)가 개방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루버(75)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흡입홀(71a)을 개방한다.When the
그리고, 상기 송풍기(90)의 송풍용 모터(92)가 구동되면, 상기 송풍팬(94)은 회전되고,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1)의 전방과 상측과 후방의 실내 공기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와 상면 공기 흡입구(56)와 배면 공기 흡입구(53)로 흡입된다.Then, when the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측에 장착된 프리 필터(63)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프리 필터(63)에 걸름된다.As shown in FIG. 6,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front
상기 프리 필터(63)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름된 실내 공기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측에 장착된 상기 전기 집진기(62)를 통과하면서 상기 프리 필터(63)에서 걸름되지 못한 작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이온화하여 포집한다.The indoor air, through which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63, passes through the
상기와 같이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의 수직부(97) 또는 제 1 경사부(98)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가열된다.The purified indoor air is cooled / heated by the refrigerant while passing through the
한편,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유닛(70)을 통과하면서 필터(72)에 의해 정화된 후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의 제 1 경사부(98) 또는 제 2 경사부(99)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가열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indoor air sucked into the upper surface
상기 필터 유닛(70)의 정화 작용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흡입홀(71a)를 통과하여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프리 필터(72a)와 나노 구리 필터(72b)와 나노 은 필터(72c)와 전기 집진기(72d)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걸름되고, 항균 또는 살균되며, 작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이온화되어 포집되고, 상기 연통홀(71b)를 통과하여 상기 새시(52)와 프론트 프레임(54)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다. The purifying action of the
반면에,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72a,72b,73c,74d) 중에서,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의 전 방으로 연장,절곡된 필터(72a)에 의해 정화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의 제 2 경사부(99)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가열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rear
상기와 같이 냉각/가열된 실내 공기는 상기 송풍팬(94)을 통과한 후 상기 토출 그릴(108)의 루버(104) 및 베인(106)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공기 토출구(5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The indoor air cooled / heated as described above is guided by the
한편,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상면에 필터 유닛(70)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를 청정 작동시키면,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는 구동되지 않고, 상기 루버 회동용 모터(76)는 개방 모드로 구동되며, 상기 송풍기(90)의 송풍용 모터(92)는 구동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s cleanly operated while the
상기 루버 회동용 모터(76)가 개방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송풍용 모터(92)가 구동되면,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상측에 있던 실내 공기는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냉방 혹은 난방 작동시와 같이, 상기 필터 유닛(70)을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실내 열교환기(96)를 열교환없이 통과하며, 상기 송풍팬(94)을 통과한 후 상기 토출 그릴(108)의 루버(104) 및 베인(106)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공기 토출구(5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When the
한편,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청정 작동시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가 상기 루버 회동용 모터(76)와 같이 개방 모드로 구동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즉, 상기와 같은 청정 작동시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가 개방 모 드로 구동되면, 실내 공기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통해서도 흡입되고,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전면 프레임(54)의 전면측에 설치된 프리 필터(63)와 전기 집진기(62)에 의해서 정화된 후 상기 필터 유닛(70)을 통과한 공기와 함께 상기 공기 토출구(5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That is, when the front
반면에,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를 작동 정지시키면, 상기 실외기(120)의 압축기는 구동 정지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는 밀폐 모드로 구동되며, 상기 루버 회동용 모터(76)는 밀폐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송풍기(90)의 송풍용 모터(92)는 구동 정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s deactivated, the compressor of the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가 밀폐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피니언(67)은 역회전되어 상기 랙(69)을 후진시키고, 상기 프론트 패널(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링크(65)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공기 흡입구(55) 전방을 막는다.When the front
그리고, 상기 루버 회동용 모터(76)가 밀폐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루버(7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흡입홀(71a)을 밀폐한다.When the
도 3 및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상면에 흡입 그릴(80)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실외기(120)의 압축기는 구동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는 개방 모드로 구동되며, 상기 송풍기(90)의 송풍용 모터(92)는 구동된다.3, 4, and 7, when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while the
상기 실외기(120)의 압축기의 구동에 따른 동작과,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의 개방 모드 구동에 따른 동작과,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통한 실 내 공기의 흡입 동작과, 상기 열교환기(96)에 의한 냉각/가열 작용과, 공기 토출구(57)를 통한 실내 공기의 토출 동작은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상면에 필터 유닛(70)을 장착했을 때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of the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그릴(80)을 통과하여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의 제 1 경사부(98) 또는 제 2 경사부(99)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가열된다.As shown in FIG. 7,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upper surface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을 통과하여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의 제 2 경사부(99)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가열된다.As shown in FIG. 7,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rear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60)에 일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61′)에 아바타가 표시되어 운전 정보를 표시한다.As shown in FIG. 11,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splays an operation information by displaying an avatar on a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60)의 전면 전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61″)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 레이(61″)에 아바타가 표시되어 운전 정보를 표시한다.As shown in FIG. 12, the indoor unit of the detachab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4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케이스(71′)의 흡입홀(71a′)에 그릴(75′)이 형성되고, 상기 그릴(75′)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3,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a grille 75 'formed i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에 흡입 그릴과 필터 유닛이 선택적으로 배치되므로, 흡입 그릴의 배치시 비용이 저감되고, 필터 유닛의 배치시 공기 정화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electively disposed at the air intake port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sucked, the cost is reduced when the suction grill is disposed and the filter unit is dispo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또한,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실내기의 전면과 상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흡입 그릴과 필터 유닛은 상기 실내기의 상면에 형성된 상면 공기 흡입구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필터 유닛이 배치될 경우, 상기 실내기의 상면을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air intake port is formed on the fron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door unit, respectively, and the suction grill and the filter unit is selectively disposed in the upper air intake po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door unit, when the filter unit is dispo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clean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필터는 프리 필터와, 전기 집진 필터와, 헤파 필터와, 나노 카본 필터와, 나노 구리 필터와, 나노 은 필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 공기 정화 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pre-filter,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a hepa filter, a nano carbon filter, a nano copper filter, and a nano silver filter, which has an advantage of high air purification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청정 작동시키면, 실내 공기가 필터 유닛을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열교환없이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실내로 다시 토출되므로,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공기 청정기로도 사용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is cleanly operated, the indoor air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and discharged back into the room after pass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without heat exchan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can also be used as an air purifier.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9732A KR100624793B1 (en) | 2004-06-29 | 2004-06-29 |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
PCT/KR2004/003272 WO2006001563A2 (en) | 2004-06-29 | 2004-12-13 | Indoor device of separable air conditioner |
EP04808403.2A EP1774226B1 (en) | 2004-06-29 | 2004-12-13 | Indoor device of separable air conditioner |
ES04808403T ES2426578T3 (en) | 2004-06-29 | 2004-12-13 | Inside device of separable air conditioner |
CN2005100558076A CN1715791B (en) | 2004-06-29 | 2005-03-16 | Air conditioner |
US11/081,750 US7350371B2 (en) | 2004-06-29 | 2005-03-17 | Indoor device of separable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9732A KR100624793B1 (en) | 2004-06-29 | 2004-06-29 |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0768A KR20060000768A (en) | 2006-01-06 |
KR100624793B1 true KR100624793B1 (en) | 2006-09-20 |
Family
ID=3582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49732A KR100624793B1 (en) | 2004-06-29 | 2004-06-29 |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4793B1 (en) |
CN (1) | CN1715791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3198B1 (en) * | 2006-02-07 | 2013-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KR101315421B1 (en) * | 2006-02-07 | 2013-10-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JP5007112B2 (en) * | 2006-12-14 | 2012-08-22 |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WO2009044976A1 (en) * | 2007-10-05 | 2009-04-09 | Lg Electronics Inc. | Plasma display device |
KR20090035195A (en) * | 2007-10-05 | 2009-04-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lasma display device |
KR20090044778A (en) * | 2007-11-01 | 2009-05-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device using same |
KR100895333B1 (en) * | 2007-11-01 | 2009-05-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device using same |
CN104728928A (en) * | 2013-12-20 | 2015-06-24 | 广东科龙空调器有限公司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CN105066244B (en) * | 2015-05-28 | 2018-05-29 |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 The control method of indoor unit of wall hanging type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
CN112119265B (en) * | 2018-05-16 | 2022-07-05 | 三菱电机株式会社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
CN111974113B (en) * | 2020-08-26 | 2022-06-28 | 南京亘丰智能环境科技有限公司 | Purification device capable of self-cooling |
CN115788975B (en) * | 2022-12-01 | 2023-06-06 | 鹤山市民强五金机电有限公司 | Tube-wind type indoor ventilation fan and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2002314572A1 (en) * | 2001-06-19 | 2003-01-02 | Lg Electronics Inc. | Air conditioner |
-
2004
- 2004-06-29 KR KR1020040049732A patent/KR100624793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5
- 2005-03-16 CN CN2005100558076A patent/CN1715791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715791B (en) | 2012-03-21 |
CN1715791A (en) | 2006-01-04 |
KR20060000768A (en) | 2006-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3316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733296B1 (en) | Air conditioner | |
US7350371B2 (en) | Indoor device of separable air conditioner | |
KR100624793B1 (en) |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 |
KR100727461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60010086A (en) | Front pane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indoor unit | |
KR101123314B1 (en) | Indoor unit of spilt type air conditioner | |
KR100744458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60010085A (en) | Front pane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indoor unit | |
KR20060016003A (en) | Operation method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 |
KR101162164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688164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362317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60016008A (en)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60016007A (en)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
CN100424434C (en) | Air suct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
KR100688186B1 (en) | Air conditioner | |
CN100532993C (en) | Air conditioner | |
KR20060016009A (en) | Air conditioner | |
KR20060016010A (en) | Removing / mounting structure of indoor unit prefilter | |
KR20050083415A (en) | Air cleaner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
KR20060022444A (en) | Air conditioner | |
JP2001221494A (en) | Indoor machine of air-conditioner | |
KR100505259B1 (en) | A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60016006A (en)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