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6008A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16008A KR20060016008A KR1020040064428A KR20040064428A KR20060016008A KR 20060016008 A KR20060016008 A KR 20060016008A KR 1020040064428 A KR1020040064428 A KR 1020040064428A KR 20040064428 A KR20040064428 A KR 20040064428A KR 20060016008 A KR20060016008 A KR 200600160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case
- air
- unit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필터 케이스와 필터 사이에 필터 인출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 인출 수단을 작동시키는 조작 버튼이 설치되므로, 상기 조작 버튼을 조작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기 필터 인출 수단에 의해 상기 필터가 자동적으로 인출되고, 상기 필터의 교체 및 청소도 간편하게 실시되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a filter extracting means is formed between a filter case and a filter, and one side of the filter case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for operating the filter extracting means. The filter is automatically taken out by the filter extracting means only by a simple operation,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replacement and cleaning of the filter are also easily performed.
공기조화기, 실내기, 공기 흡입구, 필터 유닛, 조작 버튼, 먼지 센서, 필터 인출 수단Air Conditioner, Indoor Unit, Air Intake, Filter Unit, Operation Button, Dust Sensor, Filter Outle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작동 중 일 때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per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작동 정지 중 일 때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topped;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작동 중 일 때의 실내기가 도시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door unit when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per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이 도시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이 도시된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이 도 시된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51: 실내기 52: 섀시51: indoor unit 52: chassis
53: 배면 공기 흡입구 54: 프론트 프레임53: rear air intake 54: front frame
55: 전면 공기 흡입구 56: 상면 공기 흡입구55: front air inlet 56: top air inlet
57: 공기 토출구 58: 배출홀57: air discharge port 58: discharge hole
59: 디스플레이 60: 프론트 패널59: display 60: front panel
61: 디스플레이 62: 전기 집진기61: display 62: electric dust collector
63: 프리 필터 64: 링크 수단63: prefilter 64: link means
65: 제 1 링크 66: 제 2 링크65: first link 66: second link
67: 피니언 68: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7: pinion 68: motor for front panel rotation
69: 랙 70,70',70'': 필터 유닛69:
71,71',70'': 필터 케이스 71a: 흡입홀71,71 ', 70' ':
71b: 연통홀 71c: 필터 출입홀
71b:
72,72',72'': 필터 72a,72a',72a'': 프리 필터72,72 ', 72' ':
72b,72b',72b'': 나노 구리 필터 72c,72c',72c'': 나노 은 필터72b, 72b ', 72b' ': Nano Copper Filter 72c, 72c', 72c '': Nano Silver Filter
72d,72d',72d'': 전기 집진기 73,73',73,,: 가이드72d, 72d ', 72d' ': Electrostatic Precipitator 73,73', 73 ,,: Guide
74: 프론트 커버 75: 루버74: front cover 75: louver
76: 루버 회동용 모터 77: 전원 공급판76: louver rotating motor 77: power supply plate
78: 전원 인가판 80,80',80'': 필터 인출 수단78:
82,82',82'': 필터 인출용 모터 84,84',84'': 필터 인출 기구82,82 ', 82' ':
84a,82a',82a'': 필터 인출용 피니언 84a, 82a ', 82a' ': Pinion for filter extraction
84b,84b',84b'': 필터 인출용 랙84b, 84b ', 84b' ': Rack for filter takeout
86,86'': 조작 스위치 88,88'': 먼지 센서86,86 '':
90: 실내 송풍기 92: 실내 송풍용 모터90: indoor blower 92: motor for indoor blowing
94: 실내 송풍팬 96: 실내 열교환기94: indoor blower fan 96: indoor heat exchanger
97: 수직부 98: 제 1 경사부97: vertical portion 98: first inclined portion
99: 제 2 경사부 102: 응축수 받이부99: second inclined portion 102: condensate receiving portion
104: 루버 106: 베인104: louver 106: vane
108: 토출 그릴 110: 컨트롤 박스108: discharge grill 110: control box
111: 제어부 112: 상부 장식 패널111: control unit 112: upper decorative panel
114: 하부 장식 패널 120: 실외기114: lower decorative panel 120: outdoor unit
122: 냉매배관 124: 산소 발생기 122: refrigerant pipe 124: oxygen generator
130: 안내호스
130: Information hos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기의 공기 흡입구에 필터 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필터 유닛의 필터를 간편하게 교체 및 청소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e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filter unit is installed at an air inlet of an indoor unit, and the filter of the filter unit can be easily replaced and cleaned.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공기 정화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하며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나누어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또는 split type)이 있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heater, an air conditioner, an air purifier, etc., which is installed to cool / heat the room or purify the air and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human beings. The air conditioner is divided into a window type and a separate type or a separate type. split type).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The one-piece type and the separate type are functionally the same, but the one-piece type integrates the function of cooling heat dissipation, and is directly installed by drilling a hole in a wall of a house or by hanging a device on a window. The separate type installs a cooling device on the indoor side and heat dissipation on the outdoor side. And a compression device to connect the two devi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refrigerant pipe.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 중 분리형은 크게 냉각기능을 수행하도록 실내 열교환기가 내장된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기능을 수행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와 팽창기구가 내장된 실외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으로 구성된다.
The separate type of the air conditioner is an indoor unit having an indoor heat exchanger to perform a cooling function largely, an outdoor heat exchanger performing a heat dissipation and compression function, an outdoor unit having a compressor and an expansion device, and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connected to each other. It consists of refrigerant piping.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11 is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door unit.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2)와, 상기 섀시(2)의 전면에 결합되고 전면 공기 흡입구(4) 및 상면 흡입 그릴(6)이 형성되며 전면 하측 또는 저면에 공기 토출구(8)가 형성된 프론트 프레임(10)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면 흡입 그릴(12)과, 상기 섀시(2)에 장착되는 모터(14)와, 상기 모터(14)에 연결된 송풍팬(16)과, 상기 송풍팬(16)과 상기 공기 흡입구(4) 및 흡입그릴(6)의 사이에 배치된 열교환기(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ndoor unit of the detachab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upled to 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은 전면에 전면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상면 흡입 그릴(6)이 일체 형성된다.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5)가 배치된다.The
상기 필터(5)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름되는 프리 필터이다.The
상기 전면 흡입 그릴(12)은 상부가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열교환기(1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받이부(19)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 토출구(8)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변경시키는 루버(20)와 상하 풍향을 변경시키는 베인(22)을 포함하는 토출 그릴(24)이 장착된다.A louver for forming a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팬(16)이 회전되면,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전방의 실내 공기가 상기 전면 흡입 그릴(12)을 통과한 후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를 통과하면서 상기 필터(5)에 의해 이물질이 걸름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10)과 섀시(2)의 사이공간으로 흡입된다.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10)의 상측의 실내 공기가 상기 상면 흡입 그릴(6)을 통과하여 상기 프론트 프레임(10)과 섀시(2)의 사이 공간으로 흡입된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of the upper side of the
상기와 같이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8)를 통과하면서 상기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고, 상기 송풍팬(16)을 통과한 후 상기 루버(20) 및 베인(22)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공기 토출구(8)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The indoor air sucked as described above is cooled or heated by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만이 상기 프리 필터(5)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후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면 흡입 그릴(6)을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공기 정화 없이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공기 정화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따르며, 실내를 정화시키기 위해 별도의 공기 정화기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indoor unit of the detachab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eats up only after the foreign material is filtered by the
또한, 상기 상면 흡입 그릴(6)을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정화되도록 상 기 실내기 내에 별도의 필터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필터 및 상기 필터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의 설치로 인해 비용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의 착탈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a separate filter is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to purify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upper
또한, 상기와 같이 필터의 착탈이 복잡하게 되면, 상기 필터의 교체 및 청소가 어려워져 사용자의 불만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filter is complicat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placement and cleaning of the filter is difficult, causing user dissatisfaction.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조건에 따라 상기 필터의 교체 시점과 청소 시점이 변경되므로, 상기 필터의 교체 및 청소 시점이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lter replacement time and the cleaning time point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placement and cleaning time point of the filter is not accurately determin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의 공기 흡입구에 공기 정화 성능이 우수한 필터 유닛을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정화 성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필터 유닛의 필터를 간편하게 교체 또는 청소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filter unit having excellent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in the air inlet of the indoor unit to improve the purification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er, the filter of the filter unit It is to provide a filte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can be easily replaced or cleaned.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은 실내기의 공기 흡입구에 연통되게 장착된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형성된 필터 출입홀을 통해 상기 필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 케이스와 실내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와, 상기 필터와 필터 케이스에 설치 되고 상기 조작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의 외부로 상기 필터를 인출시키는 필터 인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filter case moun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inlet of the indoor unit, and a filter installed inside the filter case through a filter entrance hole formed in the filter case; And a filter extracting means installed at one of the filter case and the indoor unit, and a filter extracting means installed at the filter and the filter case and operated by the operation switch to draw out the filter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case.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은 실내기의 공기 흡입구에 연통되게 장착된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형성된 필터 출입홀을 통해 상기 필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 케이스와 필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의 오염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필터와 필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오염도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작동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의 외부로 상기 필터를 인출시키는 필터 인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case moun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inlet of the indoor unit, a filter installed inside the filter case through a filter entrance hole formed in the filter case, and the filter case and A sensor installed at any one of the filters to detect contamination of the filter, and installed at the filter and the filter case and operated whe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detected by the sensor exceeds a set value to draw the filter out of the filt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ter withdrawing mea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은 실내기의 공기 흡입구에 연통되게 장착된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형성된 필터 출입홀을 통해 상기 필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 케이스와 필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의 오염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필터 케이스와 실내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필터의 오염도와 청소시점을 알려주는 필터오염 지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case moun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inlet of the indoor unit, a filter installed inside the filter case through a filter entrance hole formed in the filter case, and the filter case and A sensor installed on one of the filters to detect the contamination of the filter, and a filter contamination indicating means installed on any one of the filter case and the indoor unit to notify the contamination and cleaning time of the filter detected by th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은, 상기 필터와 필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오염도가 설정치를 초과하게 되면 작동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의 외부로 상기 필터를 인출시키는 필터 인출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filte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the filter and the filter case and is further activated filter extraction means for drawing out the filter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case when the pollution degree detected by the sensor exceeds a set valu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은, 상기 필터와 필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의 외부로 상기 필터를 인출시키는 필터 인출 수단과, 상기 필 터 케이스와 실내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인출 수단을 작동시키는 조작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the filte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the filter and the filter case, the filter withdrawing means for drawing out the filter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case, and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filter case and the indoor unit is the filter withdrawal And an operation switch for activating the means.
상기 필터 인출 수단은 상기 필터 케이스에 설치된 필터 인출용 모터와, 상기 필터 인출용 모터와 필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인출용 모터에 의해 상기 필터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필터 인출 기구로 구성된다.The filter takeout means is constituted by a filter takeout motor provided in the filter case, and a filter takeout mechanism provided between the filter takeout motor and the filter to take out the filter to the outside by the filter takeout motor.
상기 필터 인출 기구는 상기 필터 인출용 모터의 회전축에 형성된 피니언과, 상기 필터의 일측에 형성된 랙을 포함한다.The filter take-out mechanism includes a pinion form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filter take-out motor and a rack formed on one side of the filter.
상기 필터오염 지시수단은 실내기와 필터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이다.
The filter contamination indicating means is a display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indoor unit and the filter ca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작동 중 일 때 및 작동 정지 중 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작동 중 일 때의 실내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spli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in operation and during stop operation, and FIG. 3 is a split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door unit,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door unit when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pera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51)에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상기 실내기(51)는 섀시(52)와, 상기 섀시(52)의 전방에 장착된 프론트 프레임(54)을 포함한다.The
상기 섀시(52)는 상부에 배면 공기 흡입구(53)가 형성된다.
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은 상기 섀시(52)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섀시(52)와의 사이에 후술하는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 송풍기 등이 수용되도록 소정의 내측 공간이 형성된다.The
상기와 같은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부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전면 공기 흡입구(55)가 형성되고, 상면부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상면 공기 흡입구(5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은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의 하측 또는 저면부에 공기 토출구(57)가 형성된다.A front
한편,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은 전면 공기 흡입구(55)의 좌우 중 일측에 산소가 배출되거나 습공기가 배출되거나 실외의 신선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58)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의 좌우 중 타측에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강제 운전 등의 각종 운전을 누름 조작되는 디스플레이(59)가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디스플레이(59)는 인쇄회로 기판과,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실장된 복수개의 엘이디와, 상기 엘이디의 불빛이 확산되도록 상기 엘이디의 전방에 배치되고 누름 동작되는 확산판로 구성된다.The
상기 디스플레이(59)의 후방에는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의해 눌림되고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강제 운전 등의 각종 운전을 스위칭하는 탯 스위치가 배치된다.At the rear of the
또한,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에는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1)의 작동시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의 전방을 열고 상기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작동 정지시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의 전방을 막는 프론트 패널(6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상기 프론트 패널(60)의 전면에는 거울이 부착되거나 특정 색상의 색상 패널이 부착되거나 액자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다.The front of the
상기 프론트 패널(60)의 일측에는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61)가 장착된다.One side of the
상기 디스플레이(61)는 LED나 LCD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디스플레이(61)는 운전 정보가 문자 등이 스크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도록 LCD 등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또한,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측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전기 집진기(62)가 장착되고, 상기 전기 집진기(62)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름되는 프리 필터(63)가 장착된다.In addition, an
또한,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60)이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프리 필터(63)의 착탈시 상기 프론트 패널(60)이 상기 실내기(51)의 전방 하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60)을 지지하는 링크수단(64)이 장착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링크수단(64)은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하부에 연결된 제 1 링크(65)와, 상기 제 1 링크(65)에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60)의 배면 하부에 연 결된 제 2 링크(66)로 구성된다.The link means 64 includes a
상기 제 1 링크(65)는 일단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에 구속/해제되도록 연결된다.One end of the
상기 제 2 링크(65)는 일단이 상기 프론트 패널(6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링크(65)의 타단에 힌지 연결된다.On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상부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60)을 회동시키기 위해 피니언(67)이 축설된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가 장착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60)의 배면 상부에는 상기 피니언(67)에 치합되는 랙(69)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In addition, a front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와 전면 공기 흡입구(55)와 상면 공기 흡입구(56)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프론트 프레임(54)과 섀시(52)의 사이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기 토출구(57)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시키는 실내 송풍기(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sucks indoor air through the rear
상기 실내 송풍기(90)는 상기 섀시(52)의 전면에 장착되고 회전축(91)이 돌출된 실내 송풍용 모터(92)와, 상기 실내 송풍용 모터(92)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91)이 연결된 실내 송풍팬(94)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실내 송풍팬(94)은 횡류팬으로서, 상기 섀시(52)의 전방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다.The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54)과 섀시(52)의 사이로 흡입된 실내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 또는 가열되도록 하는 실내 열교환기(96)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n indoor heat exchanger (96) to allow the indoor air sucked between the front frame (54) and the chassis (52) to exchange heat with the refrigerant to cool or heat.
상기 실내 열교환기(96)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 후방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부(97)와, 상기 수직부(97)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 1 경사부(98)와, 상기 제 1 경사부(98)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 2 경사부(99)로 구성된다.The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받이부(10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 토출구(57)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변경시키는 루버(104)와 상하 풍향을 변경시키는 베인(106)을 포함하는 토출 그릴(108)이 장착된다.A louver for forming a
한편,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은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를 통과하는 공기가 정화될 수 있도록,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에 필터 유닛(70)이 착탈 가능토록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참조 부호 110은 상기 송풍기(90)의 송풍용 모터(94)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전장부품이 장착된 컨트롤 박스이다.
참조 부호 112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상단측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 상부 장식 패널이다.
참조 부호 114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하단측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 하부 장식 패널이다.
참조 부호 120은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가 장착된 실외기이다.
참조부호 122는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1)와 실외기(120)를 연결 하는 냉매배관이다.
참조 부호 124는 상기 실외기(120)에 설치되어 산소가 발생하거나 습공기가 발생하거나 실외의 신선한 공기가 실내기로 송풍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 발생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참조 부호 130은 상기 산소 발생기(124)에 연결되어 상기 산소 발생기(124)에서 발생된 산소를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배출홀(58)로 안내하는 안내호스이다.
한편,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1)와 실외기(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팽창기구(미도시)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이 도시된 단면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lte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e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유닛(70)은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71a)과 상기 실내기의 내부와 통하는 연통홀(71b)이 형성된 필터 케이스(71)와,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필터(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상기 필터 케이스(71)는 상면에 상기 흡입홀(71a)이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연통홀(71b)이 형성된다.The
상기 필터 케이스(71)에는 상기 필터(72)의 출입을 위한 필터 출입홀(71c)이 형성된다.The
상기 필터 케이스(71)는 전면에 상기 필터 출입홀(71c)이 형성된다.The
상기 필터 케이스(71)에는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통해 상기 필터(72)가 슬라이딩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7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73)가 형성된다.The
상기 가이드(73)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좌우 내측면에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상기 필터 유닛(70)은 상기 필터(72)의 장착시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막는 프론트 커버(7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프론트 커버(74)는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커버(74)의 양측단에는 회전축(74a,74b)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상기 필터 유닛(70)은 상기 흡입홀(65a)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루버(7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루버(75)는 상기 흡입홀(71a)을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흡입홀(71a)을 향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좌우 양측에 회전축(75a,75b)이 돌출된다.The
상기 필터 유닛(70)은 상기 루버(75)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설치된 루버 회동용 모터(7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상기 필터(72)는 프리 필터와, 전기 집진기와, 헤파 필터와, 나노 카본 필터 와, 나노 구리 필터와, 나노 은 필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리 필터(72a)와 나노 구리 필터(72b)와 나노 은 필터(72c)와 전기 집진기(72d)가 장착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상기 필터(72a,72b,73c,74d)는 적어도 하나(72a)가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의 전방 부위가 절곡된다. The
한편,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통해 상기 필터(72)가 간편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71)와 필터(72)에는 필터 인출 수단(80)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인출 수단(80)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필터 유닛(70)과 실내기(51) 중 어느 하나에는 조작 스위치(86)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조작 스위치(86)는 누름 가능하게 설치된 누름 버튼이다.The
상기 필터 인출 수단(80)은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설치된 필터 인출용 모터(82)와, 상기 필터 인출용 모터(82)와 필터(7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인출용 모터(82)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필터(72)를 필터 케이스(71)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필터 인출 기구(84)로 구성된다.Th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필터 인출 수단(80)과 조작 스위치(86)는 상기 필터 유닛(70)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설치되는 바, 도 5와 도 6에는 상기 필터 인출 수단(8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 인출 수단(80)과 조작 스위치(86)를 살펴보면, 상기 필터 인출 기구(84)는 상기 필터 인출용 모터(82)의 회전축에 형성된 필터 인출용 피니언(84a)과, 상기 필터 인출용 피니언(84a)과 치합되도록 상기 필터(72)의 양측단 하면에 형성된 필터 인출용 랙(84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그리고, 상기 필터 인출용 모터(82)는 상기 필터 인출용 피니언(84a)과 필터 인출용 랙(84b)이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72a,72b,72c,72d)의 하측에 각각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좌우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설치된다.The filter take-out
상기 조작 스위치(86)는 상기 프론트 커버(74)가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필터 출입홀(71c)이 개방될 때 외측에 드러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전면에 설치되고, 누름 조작됨에 따라 상기 필터 인출용 모터(82)의 구동을 조절하게 된다.The
이와 같은 조작 스위치(86)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설치된 복수개의 필터(72a,72b,72c,72d)가 동시에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단수개가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필터(72a,72b,72c,72d) 중 원하는 필터만 선택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복수개가 설치된다.The
물론, 상기 조작 스위치(86)는 실내기(51)에 형성된 조작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참조 부호 77은 상기 전기 집진기(72d) 또는 루버 회동용 모터(76)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에 설치된 전원 공급판이다.
참조 부호 78은 상기 필터 유닛(70)의 장착시 상기 전원 공급판(77)에 접촉되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설치되어 공급된 전원을 상기 전기 집진기(72d) 또 는 루버 회동용 모터(76)로 인가시키는 전원 인가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에 대한 작동과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filte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상면 공기 흡입구(56)에 필터 유닛(70)이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기능 및 공기청정 기능이 함께 작동되는 경우, 상기 실외기(120)의 압축기와 실외 송풍기는 구동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와 루버 회동용 모터(76)는 개방 모드로 구동되며, 상기 실내기(51)의 실내 송풍기(90)도 정방향으로 구동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and FIG. 4, the cooling / heating function and the air cleaning function of the air conditioner are provided in the state where the
즉, 상기 실외기(120)의 압축기와 실외 송풍기가 구동되면, 상기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에는 냉매가 순환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96)는 주변의 열을 빼앗거나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여 주변의 공기를 냉각/가열시키게 된다.That is, when the compressor and the outdoor blower of the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가 개방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피니언(67)이 회전되어 상기 랙(69)은 전진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60)은 상기 제 1 링크(65)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과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기(51)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통한 실내 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When the front
상기 루버 회동용 모터(76)가 개방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루버(75)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흡입홀(71a)을 개방시키게 된다.When the
상기 실내 송풍기(90)의 실내 송풍용 모터(92)가 구동되면, 상기 실내 송풍 팬(94)이 회전되어 상기 실내기(51) 전방과 상측 및 후방의 실내 공기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와 상면 공기 흡입구(56)와 배면 공기 흡입구(53)로 흡입된 후 공기 토출구(57)로 토출된다.When the
여기서,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측에 장착된 프리 필터(63)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프리 필터(63)에 걸름된다.Here,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상기 프리 필터(63)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름된 실내 공기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측에 장착된 상기 전기 집진기(62)를 통과하면서 상기 프리 필터(63)에서 걸름되지 못한 작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이온화하여 포집한다.The indoor air, through which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63, passes through the
상기와 같이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의 수직부(97) 또는 제 1 경사부(98)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가열된다.The purified indoor air is cooled / heated by the refrigerant while passing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 유닛(70)을 통과하면서 필터(72)에 의해 정화된 후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의 제 1 경사부(98) 또는 제 2 경사부(99)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가열된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upper surface
상기 필터 유닛(70)의 정화 작용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흡입홀(71a)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프리 필터(72a)와 나노 구리 필터(72b)와 나노 은 필터(72c)와 전기 집진기(72d)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걸름되고, 항균 또는 살균되며, 작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이온화되어 포집되고, 상기 연통홀(71b)을 통과하여 상기 새시(52)와 프론트 프레임(54)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다. In more detail, the purifying action of the
또한,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72a,72b,73c,74d) 중에서,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의 전방으로 연장 절곡된 필터(72a)에 의해 정화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의 제 2 경사부(99)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가열된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rear
상기와 같이 냉각/가열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 송풍팬(94)을 통과한 후 상기 토출 그릴(108)의 루버(104) 및 베인(106)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공기 토출구(5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The indoor air cooled / heated as described above is guided by the
한편,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상면 공기 흡입구(56)에 필터 유닛(7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기능은 정지되고 공기청정 기능만 작동되는 경우, 상기 실외기(120)의 압축기와 실외 송풍기는 정지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는 밀폐 모드로 구동되며, 상기 루버 회동용 모터(76)는 개방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실내기(51)의 실내 송풍기(90)는 역방향으로 구동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oling / heating func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stopped and only the air cleaning function is operated while the
즉, 상기 실외기(120)의 압축기와 실외 송풍기가 정지되면, 상기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에는 냉매가 순환되지 않아,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에 의한 실내 공기의 냉각/가열이 불가능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compressor and the outdoor blower of the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가 밀폐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피니언(67)이 회전되어 상기 랙(69)은 후진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60)은 상기 제 1 링크(65)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밀폐시키게 되며, 상기 실내기(51)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통 한 정화된 공기의 토출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When the front
상기 루버 회동용 모터(76)가 개방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루버(75)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흡입홀(71a)을 개방시키게 된다.When the
상기 실내 송풍기(90)의 실내 송풍용 모터(92)는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작동시와는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는 바, 상기와 같이 실내 송풍용 모터(92)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실내 송풍팬(94)이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서 상기 실내기(51) 하측의 실내 공기는 상기 공기 토출구(57)로 흡입된 후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와 배면 공기 흡입구(53)로 토출된다.The
상기 공기 토출구(57)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공기 토출구(57)에 설치된 토출그릴(108)의 루버(104) 및 베인(106)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실내기(51)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실내기(51)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 송풍팬(94)과 실내 열교환기(96)를 통과하게 된다.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이때, 상기 실내 열교환기(96)와 실내 공기 사이에는 열교환 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실내 공기는 냉각/가열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와 배면 공기 흡입구(53)로 토출된다.At this time, since the heat exchange action does not occur between the
여기서,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로 토출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 유닛(70)을 통과하면서 필터(72)에 의해 정화된 후 실내로 토출된다.Here, the indoor air discharged to the upper surface
그리고,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로 토출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72a,72b,73c,74d) 중에서,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53)의 전방으로 연장 절곡된 필터(72a)에 의해 정화되고, 상기 필터(72)에 의해 정화된 실내 공기가 상기 배 면 공기 흡입구(53)를 통해 실내기(51) 후방으로 배출된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discharged to the rear
따라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내 열교환기에 의한 실내 공기의 냉/난방은 불가능하나, 상기 필터 유닛(70)의 필터(72)에 의한 공기 정화는 가능하여 상기 공기조화기는 공기 정화기로 사용된다.Accordingly, the air conditioner is not capable of cooling / heating the indoor air by the indoor heat exchanger, but air purification by the
상기와 같이 실내 송풍기(9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공기조화기에 의해 실내 공기가 정화되는 경우, 상기 실내기(51)의 하부로 실내 공기가 흡입된 후 상기 실내기(51)의 상부로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므로, 실내에 거주자에게 정화된 공기가 직접 토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불쾌감이 저하된다.When the indoor air is purified by the air conditioner while the
예를 들어, 겨울철에는 정화된 공기가 사람에게 직접 토출됨으로서, 토출되는 공기로 인한 추위를 방지하게 된다.For example, in winter, purified air is discharged directly to a person, thereby preventing cold caused by the discharged air.
반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이 정지되어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기능과 공기청정 기능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실외기(120)의 압축기와 실외 송풍기는 정지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와 루버 회동용 모터(76)는 밀폐 모드로 구동되며, 상기 실내기(51)의 실내 송풍기(90)는 구동이 정지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when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stopped and the cooling / heating function and the air cleaning function of the air conditioner are not operated, the compressor and the outdoor blower of the
즉, 상기 프론트 패널 회동용 모터(68)가 밀폐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피니언(67)은 역회전되어 상기 랙(69)을 후진시키고, 상기 프론트 패널(60)은 상기 제 1 링크(65)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프론트 프레임(54)의 전면 공기 흡입구(55)를 막게 된다.That is, when the front panel
상기 루버 회동용 모터(76)가 밀폐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루버(75)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흡입홀(71a)을 밀폐시키게 된다.When the louver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 기능이 장시간 수행되면, 상기 필터 유닛(70)의 필터(72)에는 실내 공기로부터 걸름된 각종 이물질이 축적되어 상기 필터(72)의 성능이 저하되고, 아울러 상기 필터(72)의 유동 저항에 의해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56)로 흡입되는 공기량이 저감되어 공기조화기의 성능이 저하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ir cleaning func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performed for a long time, various foreign substances filtered from the indoor air are accumulated in the
따라서, 상기 필터 유닛(70)은 정기적으로 상기 필터(72)를 청소하거나, 상기 필터(72a,72b,72c,72d) 중 공기 정화 성능이 저하된 필터를 새로운 필터로 교체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상기 필터 유닛(70)의 필터 인출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전면에 장착된 프론트 커버(74)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필터 출입홀(71c)을 개방시킨 후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전면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86)를 누르게 된다. Looking at the filter withdrawal method of the
상기 조작 스위치(86)가 눌러짐에 따라 필터 인출용 모터(82)가 구동되어 상기 필터 인출용 모터(82)의 회전축에 설치된 필터 인출용 피니언(84a)이 회전된다.As the
그리고, 상기 필터 인출용 피니언(84a)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필터 인출용 피니언(84a)과 치합된 필터 인출용 랙(84b)에 의해 상기 필터(72)는 가이드(73)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통해 상기 필터(72)가 인출된다.And, as the filter pull-out
이때,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단수개의 조작 스위치(86)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조작 스위치(86)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필터 인출용 모터(82)가 함께 구동되어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통해 복수개의 필터(72a,72b,72c,72d)가 동시에 인출된다. 반면에,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복수개의 필터 인출용 모터(82)와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조작 스위치(86)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조작 스위치(86)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필터 인출용 모터(82)가 각각 별개로 구동되어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통해 복수개의 필터(72a,72b,72c,72d)가 선택적으로 인출된다.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operation switches 86 are installed in the
상기와 같이 필터 케이스(71)로부터 인출된 필터(72)는 표면에 적층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고,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통해 재생된 필터(72)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내부로 다시금 슬라이딩 끼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상기 조작 스위치(86)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필터 인출용 모터(8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필터(72)는 필터 케이스(71)의 내부에 자동적으로 장착된다.At this time, when the filter take-out
상기 필터(72)가 필터 케이스(71)의 내부에 설치되면 상기 프론트 커버(74)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필터 출입홀(71c)을 막게 된다. When the
물론, 상기 필터(72)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 순서로 필터(72)의 교체 작업이 진행된다.
Of course, even whe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유닛이 도시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above-mention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70')은 필터 케이스(71') 또는 필터(72')의 일측에 먼지 센서(88)가 설치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내부에 장착된 필터(72')의 오염도가 감지되고, 상기 먼지 센서(88)에 의해 감지된 오염도가 설정치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필터 인출 수단(80')이 작동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내부로부터 상기 필터(72')가 자동적으로 인출되며, 상기 조작 스위치가 생략된 것을 제외한 모든 구성과 작동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the
상기 먼지 센서(88)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가이드(73')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필터(72')의 표면에 직접 설치된다.The
상기 먼지 센서(88)는 상기 필터(72a',72b',72c',72d')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드(73') 또는 상기 필터(72)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72a',72b',72c',72d')의 표면에 축적된 먼지량을 각각 감지하게 된다.The
상기 필터 인출 수단(80')은 상기 필터 케이스(71')에 설치된 필터 인출용 모터(82')와, 상기 필터 인출용 모터(82')와 필터(7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인출용 모터(82')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필터(72')를 필터 케이스(71')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필터 인출 기구(84')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 인출용 모터(82')는 상기 먼지 센서(88)의 감지값에 따라 구동이 조절된다.The filter extracting means 80 'is provided between the filter extracting motor 82' installed in the filter case 71 'and between the filter extracting motor 82' and the filter 72 '. The filter take-out mechanism 84 'which draws out the said filter 72' to the exterior of the filter case 71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82' is comprised, The said filter taking-out motor 82 'is The driv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tected value of the
즉, 상기 먼지 센서(88)에 의해 감지된 필터(72')의 오염도가 설정값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필터 인출용 모터(82')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필터 인출용 모터(82')은 구동된다.
That is, whe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lter 72 'detected by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이 도시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uni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above-mention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70'')은 필터 케이스(71'') 또는 필터(72'')의 일측에 먼지 센서(88'')가 설치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내부에 장착된 필터(72'')의 오염도가 감지되고, 상기 필터오염 지시수단을 통해 상기 먼지 센서(88'')의 감지값이 외부로 표시되며, 그 이외의 구성과 작동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된다.As shown in FIG. 8, the
상기 먼지 센서(88'')는 상기 필터 케이스(71'')의 가이드(73'')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필터(72'')의 표면에 직접 설치된다.The dust sensor 88 '' is installed on the guide 73 '' of the filter case 71 '' or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72 ''.
상기 먼지 센서(88'')는 상기 필터(72a'',72b'',72c'',72d'')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드(73'') 또는 상기 필터(72'')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72a'',72b'',72c'',72d'')의 표면에 축적된 먼지량을 각각 감지하게 된다.The dust sensor 88 '' is installed in the guide 73 '' or the filter 72 ''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상기 필터오염 지시수단은 실내기(51)의 디스플레이(61)이다.The filter contamination indicating means is the
즉, 상기 디스플레이(61)를 통해 상기 먼지 센서(88'')에 의해 감지된 오염도가 정량적인 수치로 표시되어 상기 필터(72'')의 오염도와 청소시점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1)에 의해 필터(72'')의 오염도와 청소시점이 간편하게 인지됨으로서, 상기 필터(72'')는 최적의 시점에 교체 및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That is, the pollution degree detected by the
상기와 간이 디스플레이(61)를 통해 필터(72'')의 교체 및 청소시점이 파악되면, 조작 스위치(86'')의 조작에 의해 필터 인출 수단(80'')이 작동되어 상기 필터(72'')가 필터 케이스(71'')의 외부로 인출된다. When the time point for replacing and cleaning the
물론, 상기 먼지 센서(88'')의 오염도가 설정치를 초과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조작도 입력받지 않은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필터 인출 수단(80'')이 자동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필터오염 지시수단은 상기 필터(72'')의 오염도만 표시되도록 상기 필터 유닛(7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도 사용 가능하다.
Of course, whe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dust sensor 88 '' exceeds a set value, if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without any operation input from the user, the filter extracting means 80 '' may be automatically activated. have. In addition, the filter contamination indicating means may also be a display installed i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variations may be possibl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은 필터 케이스와 필터 사이에 필터 인출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 인출 수단을 작동시키는 조작 버튼이 설치되므로, 상기 조작 버튼을 조작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기 필터 인출 수단에 의해 상기 필터가 자동적으로 인출되고, 상기 필터의 교체 및 청소도 간편하게 실시되는 이점이 있다. In the filte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filter withdrawing means is formed between the filter case and the filter, and one side of the filter case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for operating the filter withdrawing means. The filter is automatically taken out by the filter extracting means only by a simple operation of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lter can be easily replaced and clean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은 필터 케이스와 필터 사이에 필터 인출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 또는 필터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의 오염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므로,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값에 따라 상기 필터 인출 수단이 작동되어 상기 필터가 자동적으로 인출되고, 상기 필터의 교체 및 청소도 간편하게 실시되며, 상기 필터의 교체 및 청소 시점도 정확하게 파악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filte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withdrawing means is formed between the filter case and the filter, and a sensor for detecting contamination of the filter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lter case or the filter. The filter withdrawing means is activated by the sensor according to the detected value, and the filter is automatically taken out, the filter can be easily replaced and cleaned, and the filter replacement and cleaning time can be accurately grasp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유닛은 필터 케이스와 필터 사이에 필터 인출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 또는 필터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의 오염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실내기에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필터의 오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필터의 오염이 정량적인 수치로 확인될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의 교체 및 청소 시점도 정확하게 파악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filte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withdrawing means is formed between the filter case and the filter, and a sensor for detecting contamination of the filter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lter case or the filter. Since the indoor unit is provided with a display displaying the contamination of the filter detected by the sensor, the display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tamination of the filter is not only quantitatively identified but also the replacement and cleaning time of the filter is accurately identified.
또한,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의 슬라이딩 착탈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필터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간편하게 착탈되고, 상기 필터가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 guide for guiding sliding detachment of the filter is formed inside the filter case, so that the filter is easily detached from the inside of the filter case in a sliding manner, and the filter is stably installed in the filter case. There is this.
또한, 상기 필터는 프리 필터와, 전기 집진 필터와, 헤파 필터와, 나노 카본 필터와, 나노 구리 필터와, 나노 은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필터 유닛에 의해 실내 공기의 정화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filt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e-filter,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a hepa filter, a nano carbon filter, a nano copper filter, and a nano silver filter, whereby the air conditioner purifies indoor air by a filter unit. The performance is improved.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4428A KR20060016008A (en) | 2004-08-16 | 2004-08-16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ES04808325T ES2329248T3 (en) | 2004-08-16 | 2004-12-07 | FILTER UNIT FOR AIR CONDITIONING. |
AT04808325T ATE438456T1 (en) | 2004-08-16 | 2004-12-07 | FILTER UNIT OF AN AIR CONDITIONER |
EP04808325A EP1778385B1 (en) | 2004-08-16 | 2004-12-07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DE602004022467T DE602004022467D1 (en) | 2004-08-16 | 2004-12-07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ING |
AU2004322350A AU2004322350B2 (en) | 2004-08-16 | 2004-12-07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PCT/KR2004/003194 WO2006019207A1 (en) | 2004-08-16 | 2004-12-07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US11/079,202 US7670414B2 (en) | 2004-08-16 | 2005-03-15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4428A KR20060016008A (en) | 2004-08-16 | 2004-08-16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6008A true KR20060016008A (en) | 2006-02-21 |
Family
ID=3712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4428A Ceased KR20060016008A (en) | 2004-08-16 | 2004-08-16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16008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6881B1 (en) * | 2006-03-22 | 2007-04-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Heat exchanger |
KR101880462B1 (en) * | 2016-12-15 | 2018-07-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 |
KR20200111566A (en) * | 2019-03-19 | 2020-09-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20200111650A (en) * | 2019-03-19 | 2020-09-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
2004
- 2004-08-16 KR KR1020040064428A patent/KR2006001600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6881B1 (en) * | 2006-03-22 | 2007-04-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Heat exchanger |
KR101880462B1 (en) * | 2016-12-15 | 2018-07-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 |
KR20200111566A (en) * | 2019-03-19 | 2020-09-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20200111650A (en) * | 2019-03-19 | 2020-09-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3316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733296B1 (en) | Air conditioner | |
US7670414B2 (en)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768002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624793B1 (en) |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 |
KR100865090B1 (en) | Air conditioner | |
CN101779084A (en) | Air conditioner | |
KR20060016008A (en)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60010086A (en) | Front pane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indoor unit | |
KR20060016003A (en) | Operation method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 |
KR101123314B1 (en) | Indoor unit of spilt type air conditioner | |
KR20080057662A (en) | Air conditioner | |
KR20060010085A (en) | Front pane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indoor unit | |
KR20060016007A (en)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162164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60016009A (en) | Air conditioner | |
KR100869780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305324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505259B1 (en) | A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897426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60016010A (en) | Removing / mounting structure of indoor unit prefilter | |
KR100829226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688186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306124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865092B1 (en) |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8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8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1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5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1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1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410 Appeal identifier: 2012101001523 Request date: 20120213 |
|
J801 | Dismissal of trial |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213 Effective date: 20120410 |
|
PJ0801 | Rejection of trial |
Patent event date: 20120410 Patent event code: PJ08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Request for Trial (Dismissal of Decision) Decision date: 20120410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2101001523 Request date: 2012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