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1277B1 - 유리 보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적재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보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적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277B1
KR100621277B1 KR1020040039099A KR20040039099A KR100621277B1 KR 100621277 B1 KR100621277 B1 KR 100621277B1 KR 1020040039099 A KR1020040039099 A KR 1020040039099A KR 20040039099 A KR20040039099 A KR 20040039099A KR 100621277 B1 KR100621277 B1 KR 100621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rotective film
laminated
film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541A (ko
Inventor
김영택
심재헌
이수영
유석봉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3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27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423/00 - C08J2453/00
    • C08J2455/02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시디 유리 생산 후 보관, 운송 및 가공 시 표면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보호함과 동시에 유리 표면과 접착되지 않는 이면에는 소정의 벌크비 이상을 갖는 엠보싱 처리가 되어 유리 적재시 별도의 간지가 필요 없는 유리 보호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적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적층되는 유리 표면을 보호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으로서, 유리 표면과 부착되는 부드러운 면으로 구비되는 제 1면 및 유리와 부착되지 않는 이면인 제 2면을 구비하며, 적층된 유리 사이에서 상기 제 2면은 서로 맞닿도록 적층되며, 상기 필름의 비부피는 1.5 내지 4 ㎝3/g이고, 제 2면에는 기계적인 엠보싱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리 보호 필름

Description

유리 보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적재 방법{GLASS PROTECTION FILM AND GLASS STACK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보호 필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보호 필름의 비부착면에 형성된 엠보싱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3중 면으로 구성되는 유리 보호 필름을 생성하는 장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장치에 사용되는 고무롤의 음각 형상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된 고무롤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보호 필름을 사용하여 유리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기호에 대한 설명 *****
1: 유리 10: 유리 보호 필름
11: 접촉면 12: 비접촉면
13: 매개층 121: 스틸롤
122: 고무롤
본 발명은 엘시디 유리 보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적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름은 소정 범위 내의 벌크비를 유지하면서 유리표면과 접착되지 않는 이면에는 기계적인 엠보싱 처리가 되어 유리 적재시 별도의 간지가 필요없는 유리 보호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적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시디 유리 상에는 크린룸에서 상부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박막 공정이 수행되므로 높은 청정도를 요구한다. 따라서 엘시디 유리는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 이송 시에는 유리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 중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유리 사이에 간지만을 사용하는 방법과 각 유리의 표면에 유리 보호용 필름을 부착시키고 유리 보호용 필름이 부착된 각각의 필름 사이에 간지를 삽입하여 이송하는 방법이 있다.
유리 사이에 간지만을 사용하여 이송하는 방법은 간지가 유리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미세한 스크래치(scratch)를 일으키므로 유리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과 간지에서 발생한 이물질이 유리에 달라 붙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간지로 인하여 유리 표면에 달라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유리 표면에 박막 공정을 적용하기 전에 유리 세정을 강화하여야 하며 세정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세정제가 유리 표면에 남게 되는 부차적인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유리를 이송하는 또 다른 방법은 각 유리의 표면에 유리 보호용 필름을 부착하고 유리 보호용 필름이 부착된 각각의 필름 사이에 간지를 삽입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전술한 간지만을 사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유리 표면의 스크래치(scratch)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간지를 사용하지 않으면 유리를 적층한 후 유리를 한 장씩 옮길 때 뒷 유리가 딸려와 깨지거나 넘어짐에 의해 작업성을 나쁘게 하기 때문에 간지 사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간지의 사용은 작업 공정을 번거롭게 하고, 엘시디용 유리 제조 비용에 간지 사용 비용이 부가되고, 종이에서 발생하는 분진으로 인해 높은 청정도가 요구되는 엘시디 기판 유리의 제조 공정에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간지없이 두 사람 이상이 수작업에 의해 유리를 적재 및 취출하더라도 엘시디용 기판의 크기가 커지고 박판화됨에 따라 유리 깨짐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간지가 없음으로 인해 유리를 적재 및 이동 시 유리 표면에 점착된 보호필름과 보호 필름 사이에 존재하는 미세 이물질에 대한 완충 작용이 없으므로 표면 손상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간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유리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유리 보호용 필름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리 표면과 부착되지 않는 유리 보호 필름면에 엠보싱 처리를 함으로써 별도의 간지를 사용하지 않는 유리 보호 필름으로 복수 개의 유리를 적재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적층되는 유리 표면을 보호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으로서, 유리 표면과 부착되는 부드러운 면으로 구비되는 제 1면 및 유리와 부착되지 않는 이면인 제 2면을 구비하며, 적층된 유리 사이에서 상기 제 2면은 서로 맞닿도록 적층되며, 필름의 비부피는 1.5 내지 4 ㎝3/g를 유지하면서, 제 2면에는 기계적인 엠보싱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층되는 유리 표면을 보호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으로서, 유리 표면과 부착되는 부드러운 면으로 구비되는 제 1면 및 유리와 부착되지 않는 이면인 제 2면을 구비하며, 적층된 유리 사이에서 상기 제 2면은 서로 맞닿도록 적층되며, 상기 제 2면은 표면조도 Ry의 최대치가 20㎛ 이상으로 엠보싱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보호 필름의 측면도이다. 유리 보호 필름(1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11)과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면(12)으로 구성되는 이중면으로 구성하거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면(11)과 비접촉면(12) 사이에 매개층(13)을 한 층 이상 개재시켜 3 중면 이상의 구조로 구성한다.
유리 보호 필름(10)은 접촉면(11)의 점착제 사용 여부에 따라 점착성 필름과 자착성(점착제 및 접착제 코팅없이 접착력을 발휘) 필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점착성 필름은 유리 기판과 점착하는 접촉면(11)에 점착제를 구비하는 것으로, 제거 후에 유리 표면에 점착 잔유물이 남아 있으므로 엘시디 유리에 사용할 경우에는 점착 잔유물로 인한 불량 문제 등으로 인하여 사용이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비해 자착성 필름의 경우는 접촉면(11)에 별도의 점착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보호 필름(10)은 접촉면(11)이 점착성이거나 자착성을 구분하지 않고 어느 필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보호 필름(10)은 비부피가 1.5 내지 4 ㎝3/g를 가지면서, 비접촉면(12)에는 기계적인 엠보싱 처리가 되거나 또는 표면조도 Ry의 최대치가 20㎛ 이상으로 엠보싱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의 유리 보호 필름(10)의 용량은 단위 평방 미터당 30g 내지 100g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유리 보호 필름(10)의 용량이 단위 평방 미터당 30g 이하일 경우에는 원하는 필름의 비부피를 1.5 ㎝3/g 이상으로 유지하기 어려우며, 비접촉면에는 충분한 사이즈의 엠보싱을 형성할 수 없으며, 유리 보호 필름 용량이 단위 평방 미터당 100g 이상인 경우에는 단위 용기에 적재되는 유리 수량 감소 및 필름 무게가 무거워짐에 따라 필름이 유 리 표면에 달라 붙어 있기 위해서 점착력을 높여 주어야 한다. 이렇게 점착력을 높일 경우 보호 필름을 제거하는 후공정에서 보호 필름이 용이하게 벗겨지지 않거나 벗길 시 유리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비부피(spcecific volume bulk)란 필름의 일정 무게에 대한 부피로서, 밀도 혹은 긴밀도에 대한 역수로 표현된다. 즉, 비부피는 수학식 1로 정의된다.
Figure 112004024618942-pat00007
비부피가 1.5 ㎝3/g 보다 작을 경우에는 비접촉면(12)에 완충 효과가 없어 필름 외부에 부착된 이물질이 유리 표면에 스크래치를 내어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비부피가 4 ㎝3/g 보다 큰 경우에는 필름 자체의 요철 무늬로 인해 유리 찍힘이 발생하여 공정내 스테인(stain)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유리 보호 필름(10) 자체의 무게 증가로 인하여 유리표면에 접촉면(11)이 점착되도록 하려면 점착력을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박리 시 문제가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보호 필름의 비접촉면에 형성된 엠보싱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 Ry는 ANSI/ASME 테스트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표면 거칠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조도 Ry는 유리 보호 필름(10)의 표면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엠보싱의 크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형성되는 엠보싱의 표면 조도의 크기는 전자 현미경이나 고배율의 현미경으로 단면 사진으로 찍은 후 측정할 수 있으며, 표면 조도를 보다 간단히 어림잡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은 필름 평량에 따른 필름의 기본 두께와 음각 고무롤의 표면전사에 의한 엠보싱에 의해 형성된 두께 차이를 계산하는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보호 필름(10)의 비접촉면(12)에는 최대 표면 조도를 갖는 엠보싱(21)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듬성듬성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최대 표면 조도를 갖는 엠보싱(21)의 형성 간격보다 작은 사이즈의 이물질(31)이 최대 표면 조도를 갖는 엠보싱(21) 사이에 내포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사이즈의 이물질이 유리 적재시 공중으로 부양되어 유리 보호 필름이 부착되지 않는 유리 측면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하였다. 도 2(b)는 두 장의 유리(1)가 적층되고,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각각 접촉면(11-1,12-1)이 접촉되고, 필름의 비접촉면(11-2,12-2)이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최대 표면 조도를 갖는 엠보싱(21) 사이에 작은 사이즈의 이물질(31)이 내포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보호 필름(10)의 접촉면(11)은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보호 필름(10)의 비접촉면(12)은 100 중량%의 필름 재료 중에 용융유동지수(MFI, melt flow index)가 1g/10min 이하인 고밀도폴리에틸렌을 20~70 중량% 포함시켜 제조하는 방법, 100 중량%의 필름 재료 중에 무기재료를 10 중량%이상 혼가하는 방법 또는 녹는점 130℃이상의 폴리머를 3중량%이상 혼가하는 방법 중에서 한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녹는점 130℃이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머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공중합물, 스티렌을 포함하는 공중합물,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카보네이트(PC, Poly Carbonate), 폴리스틸렌(PS)등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3중 면으로 구성되는 유리 보호 필름을 생성하는 장치 구성도이다. 유리 보호 필름을 생성하는 장치는 접촉면 압축기(101), 매개층 압축기(102), 비접촉면 압축기(103), 3층 필름을 생성하는 다이스(110), 스틸롤(121), 고무롤(122) 및 권취롤(130)로 구성된다. 접촉면 압축기(101), 매개층 압축기(102) 및 비접촉면 압축기(103)는 각각 보호 필름(10)의 접촉면(11), 매개층(13) 및 비접촉면(12)을 구성하는 물질을 혼합하여 압축하는 장치이고, 압축 생성된 각 층은 다이스(110)에서 3층 필름으로 형성되어 엠보싱이 형성되지 않은 3층 필름(120)이 형성된다. 엠보싱이 형성되지 않은 3층 필름(120)은 스틸롤(121)과 고무롤(122) 사이를 통과하면서 고무롤(122)에 형성된 음각홈에 의해 비접촉면(12)에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때 스틸롤(121)은 접촉면(11)을 냉각시키고, 고무롤(122)는 비접촉면(12)을 냉각시키게 된다. 고무 롤의 재질로는 실리콘 고무롤을 사용하였다. 엠보싱이 형성된 보호 필름은 권취롤(130)에 감겨 보관하게 되며, 도 3의 장치에 의해 도 1(b)에 도시된 3중 유리 보호 필름이 형성된다.
도 4는 도 3의 장치에 사용되는 고무롤의 음각 형상 및 음각 형상이 형성되는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고무롤(122)의 표면에는 음각(안쪽으로 파여진)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엠보싱이 형성되지 않은 유리 보호 필름은 스틸롤(121)과 고무롤(122) 사이에 투입되면, 압출 냉각 성형되면서 비접촉면(12) 상에 엠보싱이 형성된다. 고무롤(122) 표면은 최대 크기를 갖는 엠보싱이 대략 1mm 내외의 규칙적이거나 또는 불규칙적인 깊이 및 폭의 홈이 음각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고무롤(122)의 음각홈을 충실하게 비점착면에 조성하자면 보호 필름의 용량을 30g/m2 이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호 필름의 용량이 30g/m2 이하이면 필름에 전사되는 고무의 바탕 질감이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나타난다. 보호 필름의 용량이 클수록 홈의 깊은 곳까지 조면을 형성하기 용이해져서 엠보싱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고, 형성된 엠보싱의 사이즈가 20㎛ 이상이 될수록 간지가 필요없는 엘시디 기판용 유리 보호 필름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고무롤(122)에 구비된 음각홈에 의해 형성되는 엠보싱을 보다 자세히 살펴 보기 위하여 원안에 확대된 도면을 도시하였다. 비접촉면(12)을 구성하는 물질이 고물롤(122)과 스틸롤(121) 사이의 압력으로 인해 고무롤(122)의 음각홈에 밀려 들 어가게 되고, 밀려 들어간 물질은 양각의 엠보싱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려 들어온 비접촉면(12)의 조성물은 고무롤(122)의 음각홈을 따라 완전히 충진되지 못하고 일부 공간을 두고 직접 접촉되지 않으면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엠보싱을 갖는 비접촉면(12)은 유광면을 포함하는 특징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광면을 가지면서 최대 표면 조도가 20㎛ 이상인 엠보싱을 갖는 유리 보호 필름을 사용할 경우 간지없이 유리를 원활히 적재하거나 취출하더라고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된 실시예의 일부로서 고무롤의 다양한 표면 형상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보호 필름을 사용하여 유리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각각의 유리(1)에는 양면에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보호 필름(10)이 부착되고, 유리 보호 필름(10)이 부착된 유리는 간지없이 서로 적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서로 이웃하는 유리(1)의 보호 필름(11) A 및 B에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A면과 B면의 표면 요철의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A면 또는 B면 중 한 면만 본 발명의 엠보싱이 구비된 필름을 사용하고 다른 한 면은 엠보싱이 20㎛보다 작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요철이 20㎛보다 작은 필름의 경우에 있어서도 먼지 등에 의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유리를 충분히 보호하기 위하여 유리 보호 필름의 용량이 30g/m2 내지 100g/m2 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적재 방법은 제 1유리 및 제 2유리를 준비하고(제 1단계), 제 1유리의 양면에 부드러운 면으로 구비되는 제 1면과 거친 면으로 구성되는 제 2면을 갖는 보호 필름을 상기 제 1면이 유리 표면과 부착되도록 부착하고(제 2단계), 제 2유리의 양면에 부드러운 면으로 구비되는 제 1면과 거친 면으로 구성되는 제 2면을 갖는 보호 필름을 상기 제 1면이 유리 표면과 부착되도록 부착한다(제 3단계). 그 후 보호 필름이 부착된 제 2 투명 유리를 보호 필름이 부착된 제 1 투명 유리상에 간지없이 직접적으로 적층하여, 제 2투명 유리에 부착된 보호 필름의 제 2면이 제 1투명 유리에 부착된 보호 필름의 제 2면과 직접 맞닿게 적층함으로써 적층되는 유리 사이에 별도의 간지를 삽입하지 않고 유리를 적층할 수 있게 된다.
*** 실시예 1 ***
도 3의 필름 형성 장치에서, 저밀도폴리에틸렌 30중량부, 알파올레핀코폴리머 69.5중량부, 석유수지(코오롱유화사 HP-100) 0.5중량부를 압출기(101)에서 유리 접촉면(11)을 재료를 녹이고;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매개층(13) 재료로 압출기(102)에서 녹이고; 저밀도 폴리에틸렌 50중량부, 고밀도 폴리프로필렌 37중량부, 하이 임펙트 폴리스틸렌 3중량부, CaCO3 10중량부를 비접촉면(12) 재료로 압출기(103)에서 혼합하여 녹이고, 이들 3층 재료를 다이스(110)에서 3층 필름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복합 필름의 층별 두께 할당은 엘시디 유리 접촉면 25%, 매개층이 50%, 엘시디 유리 비접촉면 25%로 하고 3층 복합 필름의 폴리머 용량을 25g/ ㎡로 하였다. 상기 성형 필름의 접촉면은 스틸롤(121)에서 냉각시키고, 비접촉면은 고무롤(122)에서 냉각시켜 필름의 표면을 요철처리하고 와인더에 권취하여 간지를 사용하지 않는 엘시디용 유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고무롤(122)은 실리콘 고무에 평균입도 40㎛의 규사를 30중량% 혼합한 고무롤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
필름의 용량을 32g/㎡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같이 시행하여 간지를 사용하지 않는 엘시디용 유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
실시예 1과 같이 간지를 사용하지 않는 엘시디용 유리 보호필름을 제조하고 폭과 깊이가 1mm 내외인 세로 홈을 불규칙하게 배열한 실리콘 롤을 냉각 고무롤로 사용하고, 유리 보호 필름의 용량이 32g/㎡되게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
실시예 3과 같이 간지를 사용하지 않는 엘시디용 유리 보호필름을 제조하고 요철 높이가 20㎛ 이상이고, 유리 보호 필름의 용량이 42g/㎡되게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
필름의 용량이 50g/㎡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같이 간지를 사용하지 않는 엘시디용 유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
필름의 용량이 100g/㎡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같이 간지를 사용하지 않는 엘시디용 유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종래 보호 필름으로서 평량이 26 g/m2이고, 최대 엠보싱 높이(Ry)가 2㎛인 상용 필름을 사용하였다.
표 1은 상기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각각의 유리 보호 필름(10)과 비교예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No. 평량(g/m2) 엠보싱 전 두께(㎛) 엠보싱 후 두께(㎛) 최대 엠보싱 높이(㎛) 비부피 (cm3/g)
1 25 27 27 0 1.1
2 32 34 34 0 1.1
3 32 34 52 18 1.6
4 42 45 81 36 1.9
5 50 54 102 48 2.1
6 100 120 350 230 3.5
비교예 26 28 28 2 1.1
표 1에 따르면 실시예 4 내지 6의 유리 보호 필름이 비부피 1.5 내지 4cm3/g의 범위를 가지며, 최대 엠보싱 높이가 20㎛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시험 결과 ***
표 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장의 유리(1)의 양면에 각각 유리 보호 필름(10)으로 A와 B에 표 1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생산된 유리 보호 필름을 조합하여 부착한 상태에서 실시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2는 도 6과 같이 양면에 필름 A, B를 부착한 유리(1)를 중첩하고, 외측 유리(1)를 옮길 때, 차순위 유리(1)가 이동 유리(1)에 붙어오는 빈도와 표면 불량을 관찰한 결과이다. A필름과 B필름으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필름과 비교예의 필름을 사용하였다.
시험 번호 A 필름 B 필름 유리가 붙어 오는 빈도 표면 불량 발생 유무
1 실시예 1 실시예 2 76%
2 비교예 실시예 2 63%
3 실시예 2 실시예 3 2%
4 실시예 3 실시예 4 0%
5 비교예 실시예 5 0%
6 실시예 1 실시예 6 0%
7 비교예 비교예 85%
표 2의 시험결과와 같이 필름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필름 표면 요철이 클수록 필름의 비점착 특성이 우수함을 보이고 있다. 표 2의 결과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의 유리 보호 필름을 사용한 경우 유리가 붙어 오는 빈도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표면 불량도 발생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보호 필름에 의해 간지를 사용하지 않고 유리를 적재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간지 사용에 따른 개발 비용, 생산 비용 및 물류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간지 사용으로 인하여 작업 공정이 번거롭게 되고, 간지의 재질인 종이에서 발생하는 분진으로 인해 높은 청정도가 요구되는 엘시디 기판 유리의 제조 공정에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19)

  1. 적층되는 유리 표면을 보호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으로서,
    유리 표면과 부착되는 부드러운 면으로 구비되는 제 1면; 및
    유리와 부착되지 않는 이면인 제 2면을 구비하며,
    적층된 유리 사이에서 상기 제 2면은 서로 맞닿도록 적층되며, 필름의 비부피는 1.5 내지 4 ㎝3/g이고, 상기 제 2면에는 기계적인 엠보싱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
  2. 적층되는 유리 표면을 보호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으로서,
    유리 표면과 부착되는 부드러운 면으로 구비되는 제 1면; 및
    유리와 부착되지 않는 이면인 제 2면을 구비하며,
    적층된 유리 사이에서 상기 제 2면은 서로 맞닿도록 적층되며, 상기 제 2면은 표면조도 Ry의 최대치가 20㎛ 이상으로 엠보싱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면이 유광면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면은 100 중량%의 폴리머 필름 중에 용융유동지수가 1g/10min 이하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20 내지 70 중량% 구비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면은 100 중량%의 폴리머 필름 중에 무기재료를 10 중량% 구비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면은 100 중량%의 폴리머 필름 중에 녹는 점 130℃이상의 폴리머를 3 중량% 구비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녹는 점 130℃이상의 폴리머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5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5 내지 50 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 5 내지 50 중량부 및 폴리스티렌 5 내지 50 중량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는 엘시디용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
  9. 복수 개의 투명한 유리; 및
    상기 유리 표면을 보호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리 보호용 필름은
    유리 표면과 부착되는 부드러운 면으로 구비되는 제 1면; 및
    유리와 부착되지 않는 이면인 제 2면을 구비하며,
    적층된 유리 사이에서 상기 제 2면은 서로 맞닿도록 적층되며, 필름의 비부피는 1.5 내지 4 ㎝3/g이고, 상기 제 2면에는 기계적인 엠보싱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적층된 투명 유리.
  10. 복수 개의 투명한 유리; 및
    상기 유리 표면을 보호하는 유리 보호용 필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리 보호용 필름은
    유리 표면과 부착되는 부드러운 면으로 구비되는 제 1면; 및
    유리와 부착되지 않는 이면인 제 2면을 구비하며,
    적층된 유리 사이에서 상기 제 2면은 서로 맞닿도록 적층되며, 상기 제 2면은 표면조도 Ry의 최대치가 20㎛ 이상으로 엠보싱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적층된 투명 유리.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면이 유광면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적층된 투명 유리.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면은 100 중량%의 폴리머 필름 중에 용융유동지수가 1g/10min 이하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20 내지 70 중량% 구비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적층된 투명 유리.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면은 100 중량%의 폴리머 필름 중에 무기재료를 10 중량% 구비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적층된 투명 유리.
  14.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면은 100 중량%의 폴리머 필름 중에 녹는 점 130℃이상의 폴리머를 3 중량% 구비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적층된 투명 유리.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녹는 점 130℃이상의 폴리머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5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5 내지 50 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 5 내지 50 중량부 및 폴리스티렌 5 내지 50 중량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적층된 투명 유리.
  16.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는 엘시디용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적층된 투명 유리.
  17. 제 1유리 및 제 2유리를 준비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유리의 양면에 부드러운 면으로 구비되는 제 1면과 거친 면으로 구성되는 제 2면을 갖는 보호 필름을 상기 제 1면이 유리 표면과 부착되도록 부착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유리의 양면에 부드러운 면으로 구비되는 제 1면과 거친 면으로 구성되는 제 2면을 갖는 보호 필름을 상기 제 1면이 유리 표면과 부착되도록 부착하는 제 3단계; 및
    보호 필름이 부착된 제 2 투명 유리를 보호 필름이 부착된 제 1 투명 유리상에 직접적으로 적층하여, 제 2투명 유리에 부착된 보호 필름의 제 2면이 제 1투명 유리에 부착된 보호 필름의 제 2면과 직접 맞닿게 적층하는 제 4단계를 구비하여, 적층되는 유리사이에 별도의 간지를 삽입하지 않고 유리를 적층하는 유리 적층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의 비부피가 1.5 내지 4 ㎝3/g 인 엠보싱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적층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의 제 2면은 표면조도 Ry의 최대치가 20㎛ 이상으로 엠보싱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적층 방법.
KR1020040039099A 2003-10-21 2004-05-31 유리 보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적재 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621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358 2003-10-21
KR20030073358 2003-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541A KR20050038541A (ko) 2005-04-27
KR100621277B1 true KR100621277B1 (ko) 2006-09-14

Family

ID=3724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099A Expired - Lifetime KR100621277B1 (ko) 2003-10-21 2004-05-31 유리 보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적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197B1 (ko) * 2006-06-20 2007-11-29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유리 보호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434301B1 (ko) * 2013-04-15 2014-08-27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리기판 보호패드 및 유리기판 포장 컨테이너
KR101531905B1 (ko) * 2014-01-09 2015-06-26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리기판 보호패드 및 대면적 유리기판 보호패드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5988A (ja) * 1994-12-09 1996-06-18 Fujimori Kogyo Kk 透明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性シート
KR20010109278A (ko) * 1999-01-11 2001-12-08 추후기재 폴리머 코딩된 유리 박막 기판
KR200284805Y1 (ko) 2002-05-22 2002-08-07 주식회사 세일하이텍 표면 보호용 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5988A (ja) * 1994-12-09 1996-06-18 Fujimori Kogyo Kk 透明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性シート
KR20010109278A (ko) * 1999-01-11 2001-12-08 추후기재 폴리머 코딩된 유리 박막 기판
KR200284805Y1 (ko) 2002-05-22 2002-08-07 주식회사 세일하이텍 표면 보호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541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663B1 (ko) 이형 표면을 갖는 보호 필름
US6863956B1 (en)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TW200518925A (en) Surface protective film
EP2551754A2 (en) Protective sheet for touch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EP0434180B1 (en) Film coating for rigid, smooth surfaces
CN105150619A (zh) 一种表面保护膜及制造方法和该保护膜的袋及制造方法
EP0311425B1 (en) Coating method for rigid, smooth surfaces, and coated articles
JP2015505746A (ja) 立体パターンを示すインモールド射出用転写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72203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EP2216382A1 (en) Masking film with improved wetting properties
WO2005026066A2 (en) Surface protection coating for glass sheets
JP2008296938A (ja) ガラス板用合紙、合紙挟込ガラス、ガラス板の保護方法および運搬方法
JP2023055721A (ja) 基材間のインターリーフとして使用されるフィルム
KR100621277B1 (ko) 유리 보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적재 방법
EP4318050A3 (en) Optical laminate, articl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602784B1 (ko) 유리 보호 필름
JP2010143145A (ja) 共押出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84805Y1 (ko) 표면 보호용 시트
JP2022519339A (ja) 基材間のインターリーフとして使用される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57969B1 (ko) 교체가 용이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JP2009299022A (ja) 粘着フィルムロール
CA2549785C (en)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TW201946782A (zh) 多層膜
JPS59108906A (ja) 板状物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3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5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1130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