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0932B1 -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삭제 방법, 데이터 표시 방법, 기록 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삭제 방법, 데이터 표시 방법, 기록 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932B1
KR100620932B1 KR1020047008227A KR20047008227A KR100620932B1 KR 100620932 B1 KR100620932 B1 KR 100620932B1 KR 1020047008227 A KR1020047008227 A KR 1020047008227A KR 20047008227 A KR20047008227 A KR 20047008227A KR 100620932 B1 KR100620932 B1 KR 10062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ntry
file
record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2662A (ko
Inventor
기야마지로
이와노유리
야마구찌다까요시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2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파일 사이즈에 상한이 있기 때문에 생성되는 참조 무비를, 인덱스 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는 형태로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덱스 파일에서, 관리하고 있는 각 파일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또는 숨길지, 오리지널인지 또는 비파괴 편집 완료인지 등을 구별하는 정보를 관리하여,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삭제 처리나 일람 표시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고, 참조 무비를 인덱스 파일로 관리할 수 있다.
인덱스 파일, AVI 파일, 호스트 CPU,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클럭

Description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삭제 방법, 데이터 표시 방법, 기록 장치, 및 기록 매체{DATA RECORDING METHOD, DATA DELETION METHOD, DATA DISPLAY METHOD,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광 디스크 등의 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하여,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기록·삭제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삭제 방법, 데이터 표시 방법, 기록 장치,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미디어를 이용한 비디오의 디지털 기록 재생 장치(이하, 비디오 디스크 레코더라 함)가 보급되고 있다. 그 기록 포맷으로는 PC(퍼스널 컴퓨터)와의 친화성을 높이기 위해, PC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예를 들면 QuickTime(등록 상표) 파일 포맷이나 AVI(Audio Video Interleave) 파일 포맷의 이용이 주로 행해진다.
이러한 PC용 파일 포맷을 이용한 경우의 디스크 내에서의 콘텐츠의 관리 방법에 대해서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특개2001-84705호 공보(공개일 : 2001년 3월 30일)」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도 33을 이용하여 그 개요를 설명한다. 디스크(2105) 내의 파일(2101∼2103)은 녹화한 각 신(scene) 혹은 샷에 대응하여 각각 1개의 QuickTime 파일(이하, QuickTime 무비 파일이라 함)이다.
인덱스 파일(2100)은 디스크(2105) 내의 데이터의 목차 정보를 저장하는 파 일이다. 각 QuickTime 무비 파일마다 엔트리가 존재한다. 각 엔트리에는 대응하는 신(scene)의 대표 화면의 축소 화상(썸네일 화상) 데이터(2111∼2113)와, 그신(scene)이 포함되는 파일의 파일명이 저장된다.
사용자에게 인덱스 화면을 제시할 때는 각 엔트리의 축소 화상 데이터(2111∼2113)를 디코드한 축소 화상(2121∼2123)을 콘텐츠 선택 화면(2107)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콘텐츠 선택 화면(2107)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축소 화상 중에서 재생이나 편집하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축소 화상(2123)을 선택하여, 재생을 지시하면, 축소 화상(2123)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포함되는 파일의 파일명인 파일(2103)을 취득하여, 파일(2103)의 재생을 개시한다.
인덱스 파일(2100)에는 디스크(2105) 내의 모든 콘텐츠에 관하여, 그 콘텐츠를 저장한 파일로의 포인터와 축소 화상 데이터가 포함된다. 이 때문에, 인덱스 파일(2100)을 디스크(2105)로부터 판독하는 것만으로, 콘텐츠 선택 화면(2107)의 표시가 가능하여, Index 화면(콘텐츠 선택 화면) 표시에 필요한 시간을 적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콘텐츠 선택 화면(2107)은 빈번히 표시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표시 시간의 단축은 전체적인 체감 응답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구성에 따르면,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참조 무비를 관리할 때에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게 될 우려가 있다.
여기서, PC용 파일 포맷을 이용할 때에 문제로 되는 것은, 대용량 비디오 데이터의 취급이다. 전술한 QuickTime 파일 포맷이나 AVI 파일 포맷에서는, 32 bit 의 정보로 어드레스를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파일 사이즈의 상한은 232, 즉 약 4GB(바이트)로 된다. 비트 레이트 10Mbps의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기록 시간은 약 60분 걸리므로,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등의 녹화에는 불충분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참조 무비라 부르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하, 참조 무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성은 다음의 (1)부터 (4)의 수순으로 행한다. (1) 녹화 개시한 시점에 파일(2201)에 데이터를 기록해 간다. (2) 파일(2201)이 파일 사이즈의 상한에 근접하면, 파일(2201)로의 기록을 그만두고, 이어지는 파일(2202)에 기록해 간다. (3) 파일(2202)의 파일 사이즈가 상한에 근접하면 마찬가지로 파일(2203)에 기록을 행한다. (4) 녹화가 종료한 시점에, 파일(2204)에 관리 정보를 작성한다.
재생 시에는 파일(2204)을 지정하고, 거기에 기록되어 있는 관리 정보를 기초로, 순서대로 파일(2201∼2203)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파일(2204)이 삭제된 경우라도 재생이 가능하도록, 파일(2201∼2203)에도 상기 관리 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여기서는, 파일(2201∼2203)을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이라 하며, 파일(2204)을 통괄 무비 파일이라 한다.
이러한 참조 무비(자동 분할 무비, 통괄 무비)를 전술한 인덱스 파일을 이용한 방법으로 관리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도 35를 이용하여 그 이유를 설명한다. 상기한 파일(2201∼2204)을 각각의 대표 화면의 축소 화상 데이터와 함께 인덱스 파일(2100)에 등록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콘텐츠 선택 화면(2107)에 는 파일(2201∼2204)에 대응하는 대표 화면(2221∼2224)이 표시되게 되어, 사용자는 위화감을 느끼게 된다. 그 이유는, 사용자가 촬영한 신(scene)은 1개임에도 불구하고, 4개의 대표 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이다.
또한, 참조 무비를 삭제할 때에도, 1개의 신(scene)에 대하여 4개의 대표 화면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삭제를 어떻게 할지 분명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는 형태로, 참조 무비를 인덱스 파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삭제 방법, 데이터 표시 방법, 기록 장치,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삭제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복수의 분할 데이터와 상기 분할 데이터를 참조하는 통괄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를 일괄하여 관리하는 테이블을 갖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테이블 내의 엔트리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으로서, 상기 삭제 시에, 등록되어 있는 엔트리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삭제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구성에서, 상기 등록되어 있는 엔트리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상기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가 분할 기록되었는지 여부의 정보 및 다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와의 관련 정보 및 작성 시간에 기 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엔트리에 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엔트리에 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구성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적어도 복수의 분할 데이터와 상기 분할 데이터를 참조하는 통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구성에서, 상기 엔트리에 다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와의 관련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구성에서, 상기 테이블을 파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삭제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복수의 분할 데이터와 상기 분할 데이터를 참조하는 통괄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갖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테 이블 내의 엔트리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엔트리에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삭제 시에, 삭제 대상의 데이터가 상기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 및 다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와의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삭제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삭제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갖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테이블 내의 엔트리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데이터를 관리하는 엔트리에 그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 및 다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와의 관련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삭제 시에, 상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표시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갖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테이블을 판독하여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데이터를 관리하는 엔트리에 그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서, 상기 엔트리에 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서, 상기 엔트리에 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엔트리에 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엔트리에 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술한 어느 하나의 데이터 삭제 방법, 또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데이터 기록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술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 상의 각 파일이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인지 여부를 구별하는 정보와 오리지널인지 여부를 구별하는 정보에 기초함으로써,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이 있는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삭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지널인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를 디스크 상에 저장함으로써,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이 있는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확실하게 삭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엔트리에 대응하는 AV 파일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보이게 하지 않을지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를 디스크 상에 저장함으로써, 파일의 참조를 행하고 있었던 경우라도 사용자가 임의의 콘텐츠를 외관상 삭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기재에 의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디지털 기록 재생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의 (a)는 QuickTime 파일 포맷에서의 관리 정보와 AV 스트림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2의 (b)는 QuickTime 파일 포맷에서의 관리 정보와 AV 스트림 관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의 (c)는 QuickTime 파일 포맷에서의 관리 정보와 AV 스트림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QuickTime 파일 포맷에서의 Movie atom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QuickTime 파일 포맷에서의 Track atom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QuickTime 파일 포맷에서의 Track header atom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QuickTime 파일 포맷에서의 Media atom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QuickTime 파일 포맷에서의 Media information atom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QuickTime 파일 포맷에서의 Sample table atom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Sample table atom에 의한 데이터 관리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QuickTime 파일 포맷에서의 Edit atom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의 (a)는 Edit list atom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의 (b)는 샘플의 일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1의 (c)는 샘플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QuickTime 파일 포맷에서의 User data atom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AV 스트림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Video Unit(VU)의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QuickTime에 의한 AV 스트림 관리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은 레퍼런스 디바이스 모델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7은 AV Index 파일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8은 속성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pe-flags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0은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기록 후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비파괴 편집 후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삭제 가능성의 판정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오리지널인지 비파괴 편집 결과인지를 판정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pe-flags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기록 후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비파괴 편집 후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pe-flags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 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기록 후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비파괴 편집 후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후기록 후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삭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3은 종래 기술에서의 인덱스 파일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4는 종래 기술에서의 참조 무비의 개념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5는 종래 기술에서의, 참조 무비를 관리하는 인덱스 파일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6은 종래 기술에서의, 참조 무비를 관리하는 인덱스 파일의 개량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의 설명은, 본 발명에서 공통으로 이용하는 구성, 개개의 실시 형태에 고유한 내용 등의 순으로 행하여 간다.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서 공통으로 이용하는, 디스크 미디어를 이용한 비디오의 디지털 기록 재생 장치(비디오 디스크 레코더)의 구성도이다. 이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100), 호스트 CPU(101), RAM(102), ROM(103), 사용자 인터페이스(104), 시스템 클럭(105), 광 디스크(106), 픽업(107), ECC(Error Correcting Coding) 디코더(108), ECC 인코더(109), 재생용 버퍼(110), 기록/후기록용 버퍼(111), 디멀티플렉서(112), 멀티플렉서(113), 다중화용 버퍼(114), 오디오 디코더(115), 비디오 디코더(116), 오디오 인코더(117), 비디오 인코더(118), 및 도시하지 않은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후기록(after recording)이란 초기 기록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뒤에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추가 기록하는 기능을 가리킨다.
호스트 CPU(101)는, 버스(100)를 통해 디멀티플렉서(112), 멀티플렉서(113), 픽업(107),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오디오 디코더(115), 비디오 디코더(116), 오디오 인코더(117), 비디오 인코더(118)의 제어를 행한다.
재생 시에는, 광 디스크(106)로부터 픽업(107)을 통해 판독된 데이터는, ECC 디코더(108)에 의해 오류 정정되어, 재생용 버퍼(110)에 일단 저장된다. 호스트 CPU(101)는 재생 중인 데이터에 대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디코더(115), 비디오 디코더(116)로부터의 데이터 송신 요구에 따라, 재생용 버퍼(110) 내의 데이터를 그 종별에 따라 적당한 디코더로 분류하도록 디멀티플렉서(112)에 지시를 공급한다.
한편, 기록 시에는 오디오 인코더(117)와 비디오 인코더(118)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데이터는 다중화용 버퍼(114)에 일단 전송되고, 멀티플렉서(113)에 의해 AV 다중화되며, 기록/후기록용 버퍼(111)에 전송된다. 기록/후기록용 버퍼(111) 내의 데이터는 ECC 인코더(109)에 의해 오류 정정 부호가 부가되어, 픽업(107)을 통해 광 디스크(106)에 기록된다.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에는 MPEG-1 Layer-Ⅱ를,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에는 MPEG-2를 각각 이용한다.
광 디스크(106)는 외주로부터 내주를 향해 나선 형상으로 기록 재생이 행해지는 탈착 가능한 광 디스크로 한다. 2048 byte를 1 섹터로 하고, 오류 정정을 위해 16 섹터로 ECC 블록을 구성한다. ECC 블록 내의 데이터를 재기입할 경우, 그 데이터가 포함되는 ECC 블록 전체를 판독하여, 오류 정정을 행하고, 대상의 데이터를 재기입하여, 다시 오류 정정 부호를 부가하여, ECC 블록을 구성하고, 기록 매체에 기록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광 디스크(106)는 기록 효율을 높이기 위해 ZCAV(존 각속도 일정)를 채용하고 있으며, 기록 영역은 회전 수가 상이한 복수의 존으로 구성된다.
<파일 시스템>
광 디스크(106) 상의 각종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을 이용한다. 파일 시스템에는, PC(퍼스널 컴퓨터)와의 상호 운용을 고려하여 UDF(Universal Disk Format)를 사용한다. 파일 시스템 상에서는, 각종 관리 정보나 AV 스트림은 파일로서 취급된다.
상기 구성의 비디오 디스크 레코더에서는, 호스트 CPU(101)가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광 디스크(106)로의 기록, 또는 광 디스크(106)로부터의 재생을 행하게 된다. 즉, 호스트 CPU(101)가, 파일 시스템에서의 파일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 삭제 등을 행하는 파일 관리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파일의 속성 정보 등의 파일에 대한 정보도, 호스트 CPU(101)가 관리하여, 광 디스크(106)에 기록을 행하거나, 또는 광 디스크(106)로부터 판독을 행하게 된다.
사용자 에리어는 2048 byte의 논리 블록(섹터와 일대일 대응)으로 관리된다. 각 파일은 정수개의 익스텐트(extent)(연속한 논리 블록)로 구성되며, 익스텐트 단위로 분산하여 기록해도 된다. 빈 영역은 Space Bitmap을 이용하여 논리 블록 단위로 관리된다.
<파일 포맷>
AV 스트림 관리를 위한 포맷으로서, QuickTime 파일 포맷을 이용한다. QuickTime 파일 포맷이란, 애플(Apple)사가 개발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관리용 포맷으로, PC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QuickTime 파일 포맷은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 등(이들을 총칭하여 미디어 데이터, AV 스트림이라 함)과 관리 정보로 구성된다. 양자를 합쳐서 여기서는 QuickTime 무비(생략하여 무비)라 한다. 양자는 동일한 파일 내에 존재해도 되며, 별개의 파일에 존재해도 된다.
동일한 파일 내에 존재할 경우에는,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한다. 각종 정보는 atom이라는 공통의 구조에 저장된다. 관리 정보는 Movie atom이라는 구조에 저장되며, 미디어 데이터는 Movie data atom이라는 구조에 저장된다. 또한, Movie atom 내의 관리 정보에는, 미디어 데이터 중 임의의 시간에 대 응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파일 중에서의 상대 위치를 유도하기 위한 테이블이나, 미디어 데이터의 속성 정보나, 후술하는 외부 참조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즉, Movie atom 내의 관리 정보에는, 예를 들면 복수의 데이터를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관리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를 별개의 파일에 저장한 경우에는,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한다. 관리 정보는 Movie atom이라는 구조에 저장되지만, 미디어 데이터는 atom에는 저장될 필요는 없다. 이 때, Movie atom은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한 파일을 「외부 참조」하고 있다고 한다.
외부 참조는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AV 스트림 파일에 대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구조에 의해, AV 스트림 자체를 물리적으로 이동하지 않고, 외관상 편집을 행한 것처럼 보이는, 소위 「비선형 편집」 「비파괴 편집」이 가능해진다.
그러면, 도 3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QuickTime의 관리 정보의 포맷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공통의 정보 저장 포맷인 atom에 대하여 설명한다. atom의 선두에는 그 atom의 사이즈인 Atom size, 그 atom의 종별 정보인 Type이 반드시 존재한다. Type은 4 문자로 구별되어, 예를 들면 Movie atom에서는 'moov'로, Movie data atom에서는 'mdat'로 되어 있다.
각 atom은 다른 atom을 포함할 수 있다. 즉, atom 간에는 계층 구조가 있다. Movie atom의 구성을 도 3에 도시한다. Movie header atom은 그 Movie atom이 관리하는 무비의 전체적인 속성을 관리한다. Track atom은 그 무비에 포함되는 비디오나 오디오 등의 트랙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User data atom은 독자적으로 정의 가능한 atom이다.
Track atom의 구성을 도 4에 도시한다. Track header atom은 그 트랙의 전체적인 속성을 관리한다. Edit atom은 미디어 데이터의 어떤 구간을 무비의 어떤 타이밍에서 재생할지를 관리한다. Track reference atom은 다른 트랙과의 관계를 관리한다. Media atom은 실제의 비디오나 오디오 등의 데이터를 관리한다.
Track header atom의 구성을 도 5에 도시한다. 여기서는 이후의 설명에 필요한 것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Flags는 속성을 나타내는 플래그의 집합이다. 대표적인 것으로서, Track enabled 플래그가 있으며, 이 플래그가 1이면, 그 트랙은 재생되고, 0이면 재생되지 않는다. Layer는 그 트랙의 공간적인 우선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화상을 표시하는 트랙이 복수 있으면, Layer의 값이 작은 트랙일수록 화상이 전면에 표시된다. Edit atom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Media atom의 구성을 도 6에 도시한다. Media header atom은 그 Media atom이 관리하는 미디어 데이터에 관한 전체적인 속성 등을 관리한다. Handler reference atom은, 미디어 데이터를 어떤 디코더에 의해 디코드할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다. Media information atom은 비디오나 오디오 등 미디어 고유의 속성 정보를 관리한다.
Media information atom의 구성을 도 7에 도시한다. Media information header atom은 비디오나 오디오 등 미디어 고유의 속성 정보를 관리한다. Handler reference atom은 Media atom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Data information atom은 그 QuickTime 무비가 참조하는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의 이름을 관리하는 atom인 Data reference atom을 포함한다. Sample table atom은 데이터의 사이즈나 재생 시간 등을 관리하고 있다.
다음으로, Sample table atom에 대하여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먼저 QuickTime에서의 데이터의 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QuickTime에서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예를 들면 비디오 프레임)를 샘플이라고 부른다. 개개의 트랙마다, 샘플에는 재생 시간 순서로 1부터 번호(샘플 번호)가 매겨져 있다.
또한, QuickTime 포맷에서는 개개의 샘플의 재생 시간 길이 및 데이터 사이즈를 관리하고 있다. 또한, 동일한 트랙에 속하는 샘플이 재생 시간 순서로 파일 내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된 영역을 청크라고 부른다. 청크에도 재생 시간 순서로, 1부터 번호가 매겨져 있다.
또한, QuickTime 포맷에서는, 개개의 청크의 파일 선두에서부터의 어드레스 및 개개의 청크가 포함하는 샘플 수를 관리하고 있다.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임의의 시간에 대응하는 샘플의 위치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Sample table atom의 구성을 도 8에 도시한다. Sample description atom은 개개의 청크의 데이터 포맷(Data format)이나 샘플이 저장되어 있는 파일의 청크의 Index 등을 관리한다. Time-to-sample atom은 개개의 샘플의 재생 시간을 관리한다.
Sync sample atom은 개개의 샘플 중, 디코드 개시 가능한 샘플을 관리한다. Sample-to-chunk atom은 개개의 청크에 포함되는 샘플 수를 관리한다. Sample size atom은 개개의 샘플의 사이즈를 관리한다. Chunk offset atom은 개개의 청크의 파일 선두에서부터의 어드레스를 관리한다.
여기서, Edit atom에 대하여 설명한다. Edit atom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Edit list atom을 포함한다. Edit list atom은 Number of entries로 지정되는 개수분의, Track duration, Media time, Media rate 값의 조(엔트리)를 갖는다. 각 엔트리는 트랙 상에서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구간에 대응하여, 그 트랙 상에서의 재생 시간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Track duration은 그 엔트리가 관리하는 구간의 트랙 상에서의 재생 시간, Media time은 그 엔트리가 관리하는 구간의 선두에 대응하는 미디어 데이터 상에서의 위치, Media rate는 그 엔트리가 관리하는 구간의 재생 스피드를 나타낸다. 또한, Media time이 -1인 경우에는 그 엔트리의 Track duration만큼, 그 트랙에서의 샘플의 재생을 정지한다. 이 구간의 것을 empty edit라 한다.
이와 같이, QuickTime 파일 포맷에서는,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Movie atom에 포함되는 Track atom 내의, Edit atom에, 복수의 데이터를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기 위한 Edit list atom이 포함되어 있다.
도 11에 Edit list의 사용예를 나타낸다. 도 11의 (a), (b), (c)는 Edit atom에 의한 재생 범위 지정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서는, Edit list atom의 내용이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내용이며, 또한 샘플의 구성이 도 11의 (b)라고 한다. 또한, 여기서는 i번째의 엔트리의 Track duration을 D(i), Media time 을 T(i), Media rate를 R(i)로 한다. 이 때, 실제의 샘플의 재생은 도 11의 (c)에 나타내는 순서로 행해진다. 이것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엔트리 #1은 Track duration이 13000, Media time이 20000, Media rate가 1이기 때문에, 그 트랙의 선두에서부터 13000의 구간은 샘플 내의 시각 20000부터 33000의 구간을 재생한다. 다음으로, 엔트리 #2는 Track duration이 5000, Media time이 -1이기 때문에, 트랙 내의 시각 13000부터 18000의 구간에서는 아무것도 재생을 행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엔트리 #3은 Track duration이 10000, Media time이 0, Media rate가 1이기 때문에, 트랙 내의 시각 18000부터 28000의 구간에서, 샘플 내의 시각 0부터 10000의 구간을 재생한다.
도 12에 User data atom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atom에는 QuickTime 포맷으로 정의되지 않은 독자적인 정보를 임의 개수만큼 저장할 수 있다. 1개의 독자 정보는 1개의 엔트리로 관리되며, 1개의 엔트리는 Size와 Type과 User data로 구성된다. Size는 그 엔트리 자체의 사이즈를 나타내며, Type은 독자 정보를 각각 구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나타내며, User data는 실제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AV 스트림의 형태>
본 발명에서 공통으로 이용되는 AV 스트림의 구성에 대하여, 도 13 및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AV 스트림은 정수개의 Record Unit(RU)으로 구성된다. RU는 디스크 상에서 연속적으로 기록하는 단위이다. RU의 길이는 AV 스트림을 구성하는 RU를 어떻게 디스크 상에 배치하여도 심리스 재생(재생 중에 화상이나 음성이 도중에 끊기지 않고 재생될 수 있는 것)이나 리얼타임 후기록(후기록 대상인 비디오를 심리스 재생하면서 오디오를 기록하는 것)이 보증되도록 설정된다. 이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RU 경계가 ECC 블록 경계와 일치하도록 스트림을 구성한다. RU의 이들 성질에 의해, AV 스트림을 디스크에 기록한 후에도, 심리스 재생을 보증한 채로, 디스크 상에서 RU 단위의 배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RU는 정수개의 Video Unit(VU)으로 구성된다. VU는 단독 재생 가능한 단위이며, 그것으로부터 재생 시의 엔트리 포인트로 될 수 있다.
VU 구성을 도 14에 도시한다. VU는 1초 정도의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한 정수개의 GOP(그룹 오브 픽쳐)와, 이들과 동일한 시간에 재생되는 메인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 정수개의 AAU(오디오 액세스 유닛)로 구성된다.
또한, GOP는 MPEG-2 비디오 규격에서의 화상 압축의 단위이며, 복수의 비디오 프레임(전형적으로는, 15 프레임 정도)으로 구성된다. AAU는 MPEG-1 Layer-Ⅱ 규격에서의 음성 압축의 단위로, 1152점의 음파형 샘플점에 의해 구성된다. 샘플링 주파수가 48㎑인 경우, AAU당 재생 시간은 0.024초로 된다. VU 내에서는 AV 동기 재생를 위해 필요하게 되는 지연을 작게 하기 위해, AAU, GOP의 순으로 배치한다.
또한, VU 단위로 독립 재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VU 내의 비디오 데이터의 선두에는 Sequence Header(SH)를 둔다. VU의 재생 시간은 VU에 포함되는 비디오 프레임 수에 비디오 프레임 주기를 곱한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VU를 정수개 조 합하여 RU를 구성할 경우, RU의 시종단(始終端)을 ECC 블록 경계에 맞도록, VU의 말미를 0으로 저장한다.
<AV 스트림 관리 방법>
AV 스트림의 관리 방법은 전술한 QuickTime 파일 포맷을 베이스로 하고 있다. 도 15에 AV 스트림 관리 형태를 나타낸다.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비디오 트랙, 오디오 트랙으로 관리하며, 비디오 트랙은 1 비디오 프레임을 1 샘플, VU 내의 GOP의 열을 1 청크로서 관리한다. 오디오 트랙은 AAU를 1 샘플, VU 내의 AAU의 열을 1 청크로서 관리한다.
<RU 단위 결정 방법>
다음으로, RU 단위 결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결정 방법에서는, 기준으로 되는 디바이스(레퍼런스 디바이스 모델)를 상정하고, 또한 심리스 재생이 실패하지 않도록 연속 기록 단위를 정한다.
그러면 먼저, 레퍼런스 디바이스 모델에 대하여,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레퍼런스 디바이스 모델은 1개의 픽업과 그것에 연결되는 ECC 인코더 디코더(501), 트랙 버퍼(502), 디멀티플렉서(503), 후기록용 버퍼(504), 오디오 인코더(509), 비디오 버퍼(505), 오디오 버퍼(506), 비디오 디코더(507), 오디오 디코더(508)에 의해 구성된다.
본 모델에서의 심리스 재생은 VU의 디코드 개시 시에 트랙 버퍼(502) 상에 적어도 1개 VU가 존재하면 보증되는 것으로 한다. 오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ECC 인코더(501)로의 데이터의 입력 속도 및 ECC 디코더(501)로부터 데이터의 출력 속도 는 Rs로 한다.
또한, 액세스에 의한 판독, 기록이 정지되는 최대 기간을 Ta로 한다. 또한, 짧은 액세스(100 트랙 정도)에 필요한 시간을 Tk로 한다. 이들 기간에는 씨크 시간, 회전 대기 시간, 액세스 후에 최초로 디스크로부터 판독한 데이터가 ECC로부터 출력되기까지의 시간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Rs=20Mbps, Ta 1초, Tk=0.2초로 한다.
상기 레퍼런스 디바이스 모델에서 재생을 행한 경우,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면, 트랙 버퍼(502)의 언더 플로우가 없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조건을 나타내기 전에 먼저, 기호의 정의를 행한다. AV 스트림을 구성하는 i번째의 연속 영역을 C#i로 하며, C#i 내에 포함되는 재생 시간을 Tc(i)로 한다. Tc(i)는 C#i 내에 선두가 포함되어 있는 VU의 재생 시간의 합계로 한다. 또한, C#i로부터 C#i+1로의 액세스 시간을 Ta로 한다.
또한, 재생 시간 Tc(i)분의 VU 판독 시간을 Tr(i)로 한다. 이 때, 트랙 버퍼(502)를 언더 플로우시키지 않는 조건이란, 분단 점프를 포함시킨 최대 판독 시간을 Tr(i)로 했을 때, 임의의 C#i에서,
Tc(i)≥Tr(i)+Ta…<식 1>
이 성립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 식은 심리스 재생의 충분 조건인,
Σi Tc(i)≥Σi (Tr(i)+Ta)를 만족하는 충분 조건이기 때문이다.
<식 1> 중 Tr(i)에, Tr(i)=Tc(i)×(Rv+Ra)/Rs를 대입하고, Tc(i)에 대하여 풀면 심리스 재생이 보증 가능한 Tc(i)의 조건
Tc(i)≥(Ta×Rs)/(Rs-Rv-Ra)…<식 2>
가 얻어진다.
즉, 각 연속 영역에 선두가 포함되는 VU의 합계가 상기 식을 만족하도록 하면, 심리스 재생이 보증 가능하다. 이 때, 각 연속 영역에는 합계의 재생 시간이 상기 식을 만족하는 완전한 VU군을 포함하도록 제한해도 된다.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이라도 <식 2>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 단, 선두의 자동 분할 무비의 최초의 RU 및 말미의 자동 분할 무비의 최후의 RU는 <식 2>를 만족하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선두에 대해서는 기록 매체로부터의 데이터 판독 개시보다 재생 개시를 늦춤으로써 흡수할 수 있고, 말미에 대해서는 다음에 계속되는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연속 재생을 걱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선두와 말미에서 조건을 늦춤으로써, 짧은 빈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인덱스 파일>
광 디스크(106) 내에 포함되는 QuickTime 무비나 정지 화상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각종 파일(이후, AV 파일이라 함)을 관리하기 위해, AV Index 파일이라는 특별한 QuickTime 무비 파일을 디스크 내에 1개 둔다. 도 17에, AV Index 파일의 구성을 나타낸다. AV Index 파일은 통상의 QuickTime 무비 파일과 마찬가지로, 관리 정보인 Movie atom(1791)과 데이터 자체의 Movie data atom(1792)으로 구성된다.
AV Index 파일은 복수의 엔트리를 관리한다. 디스크 내의 각 AV 파일은 각각 1개의 엔트리로 관리된다. 또한, 각 AV 파일을 통합하기 위해 포함시키는 것(이후 폴더라 함) 등도 각각 1개의 엔트리로 관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크(광 디스크(106)) 내의 파일을 AV Index 파일을 이용하여 엔트리로 관리한다. 이와 같이, 엔트리를 관리하는 테이블은 이 AV Index 파일에 저장된다.
Movie atom(1791)은 각 엔트리의 속성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Property track(1793), 각 엔트리의 타이틀 문자열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Title track(1794), 각 엔트리의 대표 화상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Thumbnail track(1795), 각 엔트리의 대표 오디오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Intro music track(1796)의 총 4 종류의 트랙으로 구성된다.
각 엔트리에 관한 속성 정보나 타이틀 문자열 데이터, 대표 화상 데이터, 대표 오디오 데이터는 각각의 1793∼1795의 트랙의 샘플로서 관리된다. 예를 들면, AV 파일(1741)에 관한 속성 정보는 Property track(1793) 상의 샘플(1701), 타이틀 문자열 데이터는 Title track(1794) 상의 샘플(1711), 대표 화상 데이터는 Thumbnail track(1795) 상의 샘플(1721), 대표 오디오 데이터는 Intro music track(1796) 상의 샘플(1731)로 관리한다. 샘플 간의 대응은, 각 샘플의 재생 개시 시간에 기초하여 행한다. 즉, 트랙 사이에서 동일한 시각에 위치하는 샘플이 동일한 엔트리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Movie Atom(1791)은 각 AV 파일에 관한 속성 정보나, 타이틀 문자열 데이터, 대표 화상 데이터, 대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속성 정보는 도 18에 도시하는 구성을 취한다. 각 필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version은 파일 포맷의 버젼을 나타낸다. pe-flags는 각종 플래그를 통합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parent-entry-number는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엔트리가 속하는 폴더에 대응하는 엔트리의 entry-number를 저장하며, entry-number는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엔트리의 entry-number를 저장한다. 이 2개의 정보로, 파일과 폴더의 포함 관계를 나타낸다. set-dependent-flags 및 user-private-flags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creation-time 및 modification time은 이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엔트리가 작성된 일시(작성 시간), 수정된 일시를 나타낸다. duration은 이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엔트리의 재생 시간을 나타낸다. binary-file-identifier는 이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엔트리가 파일에 대응하고 있었던 경우, 그 파일의 패스명을 고정 길이로 인코딩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ed-counter는 이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엔트리가 관리하는 파일이 다른 파일로부터 참조되고 있는 횟수를 저장한다. 즉, referred-counter는 다른 엔트리가 관리하는 파일과의 관련 정보에 상당한다. referring file list는 실제로 참조하고 있는 파일의 패스명의 리스트를 저장한다. URL file identifier는 관리할 파일을 상기 binary-file-identifier로 인코드할 수 없는 경우에 URL(Unified Resource Locator) 형식으로, 파일의 패스를 저장한다.
Movie atom(1791)에 저장되는 그 밖의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대표 화 상 데이터로는, 160×120 화소로 축소된 JPEG 압축된 데이터, 타이틀 문자열 데이터에는 텍스트 데이터, 대표 오디오 데이터에는 MPEG-1 Audio Layer Ⅱ로 압축된 데이터를 각각 이용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9 내지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AV Index 파일의 속성 정보에,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인지의 여부를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포함하게 한다. 이에 따라, 적절한 표시, 파일의 삭제 등을 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한다.
<관리 정보 포맷>
QuickTime 무비 파일 및 AV Index 파일의 포맷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 중, AV Index 파일의 속성 정보(도 18)의 pe-flags 필드를 도 19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이하, 각 필드의 정의를 설명한다. Attribute of Entry는 이 Property 엔트리에 대응하는 엔트리가 속하는 레이어의 종별을 저장한다. 레이어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Type of Entry는 대응하는 엔트리가 파일인지 폴더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Usage of Entry 및 Status of Entry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Data reference of corresponding AV File은 대응하는 엔트리가 AV 파일을 관리하고 있었던 경우에, 다른 AV 파일을 참조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플래그이다.
Structur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은 대응하는 엔트리가 자동 분 할 무비 파일인지의 여부를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이며,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인 경우 1이 세트된다. Security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은 대응하는 엔트리가 AV 파일을 관리하고 있는 경우에, 암호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플래그이다.
Content type of corresponding AV File은 대응하는 엔트리가 AV 파일을 관리하고 있는 경우에, 그 파일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종별을 저장하는 필드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AV Index 파일의 Movie atom 내의,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referred-counter의 항목에 따라, 대응하는 엔트리가 관리하는 파일이 다른 파일로부터 참조되고 있는 횟수를 구별한다. 또한, AV Index 파일의 Movie atom 내의,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pe-flags에서의, Structur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의 플래그에 의해, 대응하는 엔트리가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인지의 여부를 구별한다. 이하, 이들의 필드를 포함시킨 속성 정보를 어떻게 이용할지를 설명한다.
<기록 시의 처리>
사용자로부터 녹화가 지시된 경우의 처리를 도 20을 따라 설명한다.
이 때, 기록할 AV 스트림은 비디오의 비트 레이트 Rv=5Mbps, 오디오의 샘플링 주파수 48㎑, 비트 레이트 Ra=256kbps인 것으로 한다. 이미, 파일 시스템의 관리 정보는 RAM(102) 상에 판독되어 있도록 한다.
먼저, 스트림의 구성이나 연속 영역의 구성을 결정한다(단계(S)701). 1VU를 1GOP=30 프레임으로 구성한다고 했을 때, <식 2>에 Rs=20Mbps, Ta=1초, Rv=5Mbps, Ra=256kbps를 대입하여, Tc(i)의 범위인 1.36초 이상이 얻어진다. 1VU의 재생 시간을 0.5초로 하고 있기 때문에, RU 재생 시간은 2초로 한다.
다음으로, 무비 파일 기록 준비를 행한다(단계 702). 구체적으로는, 파일을 오픈하여, 1개의 RU를 연속적으로 기록 가능한 빈 영역을 찾는다. 존재하지 않으면 녹화를 중지하고, 녹화할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오디오 인코더(117), 비디오 인코더(118)를 각각 기동한다(단계 703). 다음으로, 기록용 버퍼(111)에 1RU 분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704).
저장되어 있으면, 기록용 버퍼(111) 내의 1RU 분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광 디스크(106)에 기록한다(단계 705). 다음으로, 현재 기록 중인 파일의 사이즈를 조사하여(단계 706), 다음 RU를 기록하면 파일 사이즈가 4GB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현재 기록 중인 무비 파일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고(단계 707), 이후의 데이터를 다른 무비 파일에 기록할 수 있도록 신규 무비 파일 기록의 준비를 행한다(단계 708). 또한, 단계 708 후에는, 다음의 1RU분의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단계 703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706에서, 다음 RU를 기록해도 파일 사이즈가 4GB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도, 단계 703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704에서, 1RU분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기록 종료가 지시되어 있지 않은지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709), 지시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704를 실행하고, 지시되어 있으면 이하의 기록 종료 처리를 행한다. 먼저, 현재 기록 중인 무비 파일에 나머지 데이터를 기록하고(단계 710), 관리 정보를 기록한다(단계 711).
다음으로, 자동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712), 자동 분할되었으면, 통괄 무비 파일을 작성한다(단계 713). 마지막으로, AV Index 파일에 금회 작성한 QuickTime 무비 파일을 등록한다(단계 714). 자동 분할된 경우에는 자동 분할 무비 파일 및 통괄 파일을 등록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1개의 QuickTime 무비 파일을 등록한다. 또한, 단계 712에서, 자동 분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단계 714로 진행한다.
도 21을 이용하여, AV Index 파일(1800)에 등록할 속성 정보를 어떻게 세트할지를 설명한다. 먼저, 자동 분할에 의해 자동 분할 무비 파일(1801, 1802)과 통괄 무비 파일(1803)로 분할되어 기록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 자동 분할 무비 파일(1801, 1802)이 분할 데이터에 상당하며, 통괄 무비 파일(1803)이 분할 데이터를 참조하는 통괄 데이터에 상당한다.
자동 분할 무비 파일(1801, 1802)에 대해서는, 자동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pe-flags의 Structur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을 1(auto-divided)로 세트한다. 또한, 통괄 무비 파일(1803)에 의해 참조되어 있기 때문에, 속성 정보 엔트리의 referred-counter를 1로 세트한다. 또한, referring-file-list에는 통괄 무비 파일(1803)의 entry-number인 3을 세트한다.
한편, 통괄 무비 파일(1803)에 대해서는 다른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referred-counter에는 0을 세트한다. 또한, 자동 분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pe-flags의 Structur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에는 0을 세트한 다.
다음으로, 자동 분할되지 않고 기록된 통상 기록 무비 파일(1804)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기록 무비 파일(1804)에 대해서는 다른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referred-counter는 0으로 세트한다. 또한, 자동 분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pe-flags의 Structur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은 0으로 세트한다.
<비파괴 편집 시의 처리>
비파괴 편집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AV Index 파일의 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동 분할되어 있지 않은 QuickTime 무비를 비파괴 편집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AV Index 파일(1800)에 통상 무비 파일(1804)이 등록되어 있고, 이 파일을 부분적으로 참조하는 비파괴 편집 결과 무비 파일(1805)을 작성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때, AV Index 파일(1800)에 등록되어 있는 통상 무비 파일(1804)의 속성 정보 엔트리 내의 값은 비파괴 편집 결과 무비 파일(1805)로부터 참조되어 있기 때문에, referred-counter에는 1이 세트된다. 또한, referred-file-list에는 비파괴 편집 결과 무비 파일(1805)의 entry-number인 5가 저장된다.
또한, 자동 분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pe-flags의 Structur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은 0으로 세트된다. 한편, 비파괴 편집 결과 무비 파일(1805)의 속성 정보 엔트리 내의 값은 다른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referred-counter에는 0이 세트된다. 또한, 자동 분할되어 있지 않기 때문 에, pe-flags의 Structur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에는 0이 세트된다.
다음으로, 자동 분할된 QuickTime 무비를 비파괴 편집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자동 분할에 의해 자동 분할 무비 파일(1801, 1802)과 통괄 무비 파일(1803)로 분할되어 기록된 QuickTime 무비의 일부를 참조하는 비파괴 편집 결과 무비 파일(1806)을 작성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때, AV Index 파일(1800)에 등록되어 있는 자동 분할 무비 파일(1801, 1802)의 속성 정보 엔트리 내의 값은 통괄 무비 파일(1803) 및 비파괴 편집 결과 무비 파일(1806)로부터 참조되어 있기 때문에, referred-counter에는 2가 세트된다. 또한, referred-file-list에는 통괄 무비 파일(1803) 및 비파괴 편집 결과 무비 파일(1806)의 entry-number인 3, 6이 저장된다.
또한, 자동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pe-flags의 Structur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은 1로 세트된다. 통괄 무비 파일(1803) 및 비파괴 편집 결과 무비 파일(1805, 1806)의 속성 정보 엔트리 내의 값은 다른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referred-counter에는 0이 세트된다. 또한, 자동 분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pe-flags의 Structur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에는 0이 세트된다.
<콘텐츠 선택 화면 표시 처리>
사용자에게는 속성 정보 엔트리 내의 pe-flags의 Structur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이 0인 엔트리에 대하여 썸네일 화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22의 경우, entry-number가 3, 4, 5, 6인 썸네일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무비 데이터의 속성 정보 엔트리 내의, 대응하는 엔트리가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인지의 여부를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분할 기록되었는지 여부의 정보)에 따라, 콘텐츠 선택 화면에 썸네일 화상을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해도 된다. 사용자는 이 콘텐츠 선택 화면으로부터, 원하는 파일에 대응한 썸네일 화상을 선택하여, 그 파일을 재생, 삭제 등을 할 수 있다.
<삭제 시의 처리>
콘텐츠 선택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삭제를 지시받은 경우의 운용 방침으로서, 다음의 2 종류를 생각할 수 있다.
(운용 방침 1) 비파괴 편집에 의해 작성된 AV 파일은 삭제 가능으로 하고, 그것 이외의 AV 파일은 비파괴 편집 무비에 의해 참조되어 있지 않으면 삭제 가능으로 한다.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이 비파괴 편집 무비로부터 참조되어 있는 경우, 그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을 통괄하는 통괄 무비 파일도 그 비파괴 편집 무비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는 것으로서 취급한다.
(운용 방침 2) 다른 AV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지 않은 AV 파일은 삭제 가능으로 한다.
(운용 방침 1)은 사용자가 기록한 오리지널(초기 기록) 데이터와 거기로부터 파생하는 편집 결과를 구별하여, 오리지널 데이터를 가능하면 보호하도록 한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운용 방침 2)는 삭제에 의해 다른 AV 파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된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여기서, 오리지널 데이터란, 예를 들면 녹화·녹음된 그대로의 파일을 의미 한다. 한편, 오리지널이 아닌 데이터란, 예를 들면 녹화·녹음된 데이터 그 자체가 아니라, 편집에 의해 작성된 AV 파일을 의미한다. 즉, 예를 들면 비파괴 편집된 파일은 오리지널이 아닌 데이터이다.
또한,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에 액세스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오리지널 데이터의 파일을 오리지널 파일로 표현하고, 또한 예를 들면 오리지널 파일의 엔트리를 오리지널 엔트리로 표현한다.
이하, 각각의 방침을 실시할 때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삭제 시의 처리(운용 방침 1)>
도 22의 경우, entry-number가 5, 6인 엔트리는 비파괴 편집에 의해 작성된 무비에 상당하며, 3, 4인 엔트리는 entry-number가 5, 6인 무비에 참조되어 있는 오리지널 데이터에 대응한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삭제 대상으로서 entry-number가 5, 6인 엔트리를 지정받으면, 삭제하고, entry-number가 3, 4인 엔트리를 지정받으면, 삭제에 대한 거절하거나 혹은 경고를 내게 된다.
이하, 삭제 가능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처리 수순에 대하여,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지정된 엔트리에 대응하는 AV 파일이 다른 AV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지 않은지를 조사하기 위해, 지정된 엔트리의 referred-counter를 조사한다. 1 이상인 경우, 참조되어 있기 때문에 삭제 불가로 판단한다(단계 801). 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서, 무비 파일(1804)은 referred-counter가 1이기 때문에, 삭제 불가로 판단된다. referred-counter가 0인 경우에는 단계 802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지정된 엔트리에 대응하는 AV 파일이 다른 AV 파일을 외부 참조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참조하지 않은 경우, 삭제 가능으로 판단한다(단계 802). 외부 참조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Data reference of corresponding AV File을 참조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혹은 다른 엔트리의 referred-file-list를 조사하여, 지정된 엔트리의 entry number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정된 AV 파일이 비파괴 편집에 의해 작성된 무비인지, 그것 이외인지를 조사한다(단계 803). 그 수순에 대하여, 도 24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지정된 엔트리의 entry-number가 포함되는 referred-file-list를 갖는 엔트리를 전부 리스트 업하고, 그 엔트리의 Structur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의 값을 조사한다(단계 901). 이것에 의해, 그 엔트리가 분할 기록(자동 분할)된 것인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1개라도 1(auto-divided)이 아니면, 비파괴 편집에 의해 작성된 무비로 판단한다(단계 902). 전부 1이면, 다음에 그 엔트리에 대응하는 것이 통괄 무비 파일인지 비파괴 편집 무비 파일인지를 식별한다. 구체적으로는, 리스트 업된 엔트리의 referred-counter를 체크하여(단계 903), 1개라도 2 이상인 것이 없을 경우에는, 통괄 무비 파일이라고 하여, 오리지널 파일이라고 판단한다(단계 904). 즉, 비파괴 편집에 의해 작성된 무비 파일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다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와의 관련 정보로서의 referred-counter에 따라 판별을 행한다.
단계 904에서 referred-counter의 값이 2 이상인 것이 있으면, 그 엔트리에 대응하는 파일을 참조하고 있는 다른 파일에 대응하는 엔트리와 creation-time(작성 시간)을 비교하여, 가장 오래된 경우, 통괄 무비 파일(오리지널 파일)이라고 판단하고, 그것 이외의 경우는 비파괴 편집 무비 파일이라고 판단한다(단계 905).
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서, 통괄 무비 파일(1803)에 대하여 상술한 수순을 실행하면, 단계 901, 902, 903, 904를 거쳐, 단계 905에서, 다른 무비 파일(1806)과 creation-time을 비교하여, 오리지널 파일이라고 판별되게 된다. 또한, 무비 파일(1805, 1806)에 대해서는 상술한 수순에 의해 비파괴 편집 무비 파일이라고 판별된다.
여기서는 속성 정보 엔트리 내의 creation-time으로 판단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duration을 이용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참조처의 AV 파일의 duration의 합계와 지정된 무비의 duration이 일치하면 통괄 무비 파일, 즉 비파괴 편집에 의해 작성된 무비 파일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비파괴 편집 무비 파일이라고 판단한다.
여기서, 다시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지정된 엔트리에 대응하는 AV 파일이 오리지널이 아니면 삭제 가능으로 판단하고(단계 804), 오리지널이면 다음 단계 805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지정된 엔트리에 대응하는 AV 파일이 참조하고 있는 AV 파일의 referred-counter를 체크하여(단계 805), 전부 1이면 삭제 가능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삭제 불가로 판단한다(단계 806).
다음으로, 삭제 가능으로 판단하여, 실제로 삭제를 행한 후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삭제된 것이 통괄 무비 파일인 경우, 통괄 무비 파일뿐만 아니라 거기 로부터 참조되어 있는 자동 분할 무비 파일도 삭제를 행한다.
비파괴 편집 무비 파일인 경우, 비파괴 편집 무비 파일을 삭제하고, 또한 그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는 AV 파일에 대응하는 엔트리의 referred-counter를 1 감소시키며, 또한 referring-file-list로부터 그 비파괴 편집 무비 파일에 대응하는 엔트리의 entry-number를 삭제한다. 그것 이외의 AV 파일인 경우, 그 AV 파일을 삭제하기만 하여도 된다. 또한 물론, 삭제한 AV 파일에 대응하는 AV Index 파일의 엔트리도 삭제한다.
이와 같이, 단계 803, 804에서, 엔트리가 오리지널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그 엔트리가 삭제 가능한지 삭제 불가인지를 판단하여, 이것에 따라 삭제한다. 따라서,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이 있는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삭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 804에서 오리지널인지의 여부(초기 기록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오리지널이라고 판별한 파일을, 단계 806에서 참조처의 referred-counter가 모두 1인 경우에는 삭제 가능하다고 판별하고, 참조처의 referred-counter가 모두 1이 아닌 경우에는 삭제 불가로 판별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괄 무비 파일(1803)에 대하여 삭제 여부를 판별할 경우에는, 참조처의 파일(1801, 1802)의 referred-counter가 모두 1이 아니며, 다른 무비 파일(1806)로부터도 참조되어 있기 때문에, 삭제 불가로 판별한다.
또한, 통괄 무비 파일(1803)에 대하여, 도 2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삭제 여부를 판별할 경우에는, 참조처의 파일(1801, 1802)의 referred-counter가 모두 1이기 때문에, 삭제 가능으로 판별한다. 그리고, 삭제할 때에는 통괄 무비 파일(1803) 외에, 참조처의 파일(1801, 1802)도 삭제한다.
이와 같이,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이 있는 경우라도,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이 통괄 무비 파일만으로부터 참조되어 있으며, 다른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지 않을 때에만 삭제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삭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참조 무비(자동 분할 무비 통괄 무비)를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등록되어 있는 엔트리가 오리지널인지 여부를 판단할 때에는, 단계 901∼905에서, 분할 기록되었는지 여부의 정보, 다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와의 관련 정보, 및 작성 시간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오리지널인지 여부를 확실히 판별할 수 있다.
<삭제 시의 처리(운용 방침 2)>
도 22의 경우, entry-number가 3, 5, 6인 엔트리에 대하여, referred-counter가 0이기 때문에, 다른 엔트리에 대응하는 AV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삭제 대상으로서 entry-number가 3, 5, 6인 엔트리를 지정받으면 삭제하고, entry-number가 4인 엔트리를 지정받으면, 삭제를 거절하거나 혹은 경고를 내게 된다.
실제의 삭제는 이하의 수순으로 행한다. 먼저, 삭제를 지정받은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는 AV 파일에 대응하는 엔트리의 referred-counter를 1 감소시키고, referring-file-list로부터 그 AV 파일에 대응하는 엔트리의 entry-number를 삭제한다. 만일, referred-counter가 0이 된 경우, 그 AV 파일을 삭제한다. 마지막으로, 삭제를 지정받은 AV 파일을 삭제한다. 또한 물론, 삭제한 AV 파일에 대응하는 AV Index 파일의 엔트리도 삭제한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25 내지 도 2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AV Index 파일의 속성 정보에,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인지의 여부를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 이외에,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플래그를 포함하게 한다. 이것에 따라, 적절한 표시, 파일의 삭제 등을 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한다. 제2 실시 형태는,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 기록 기기의 내장 시계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실시 형태이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점이 많기 때문에, 여기서는 다른 점에만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다.
<관리 정보 포맷>
QuickTime 무비 파일 및 AV Index 파일의 포맷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AV Index 파일의 Property 엔트리 내의 pe-flags 필드는, 도 25와 같이 정의되어 있다. pe-flags에는, 예를 들면 Structur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의 플래그도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지만, Type of corresponding AV File이라는, 이 엔트리에 대응하는 AV 파일 이 오리지널인지 편집에 의해 작성된 것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가 추가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Type of corresponding AV File의 값이 0이면 오리지널(녹화·녹음된 그대로)인 AV 파일로 되며, 1이면 편집에 의해 작성된 AV 파일로 된다. 즉, AV Index 파일에서의, Type of corresponding AV File이라는 플래그는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에 상당한다.
이 플래그의 설명은 다음에 행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삭제 시에 오리지널 파일인지 비파괴 편집 파일인지를 구별한다. 여기서, 오리지널 파일이란, 사용자가 촬영한 초기 기록 파일이다. 그 때,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creation-time을 참조하여 판단을 행하고 있지만, 기록 기기의 내장 시계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처리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플래그를 도입함으로써, 기록 기기의 내장 시계에 의존하지 않고 오리지널 파일인지 비파괴 편집 파일인지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AV Index 파일의 Movie atom 중,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referred-counter의 항목에 따라, 대응하는 엔트리가 관리하는 파일이 다른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는 횟수를 구별하는 점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기록 시의 처리>
사용자로부터 녹화가 지시된 경우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단,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AV Index 파일의 속성 정보 엔트리에 추가된 Type of corresponding AV File에 0을 설정하는 점이 상이하다.
<비파괴 편집 처리>
비파괴 편집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AV Index 파일의 관리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단,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파괴 편집 결과 무비(1805, 1806)에 대응하는 AV Index 파일의 속성 정보 내의 Type of corresponding AV File에 1을 설정하는 점이 상이하다.
<콘텐츠 선택 화면 표시 처리>
사용자에게는 속성 정보 엔트리 내의 pe-flags의 Structur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이 0인 엔트리에 대하여 썸네일 화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27인 경우, entry-number가 3, 4, 5, 6인 썸네일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삭제 시의 처리>
콘텐츠 선택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삭제를 지시받은 경우의 운용 방침으로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운용 방침 1) 및(운용 방침 2)의 2 종류를 생각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방침을 실시할 때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삭제 시의 처리(운용 방침 1)>
콘텐츠 선택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삭제를 지시받은 경우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에서 도 23,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거의 동일하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3의 단계 803에서, 지정된 엔트리에 대응하는 AV File이 비파괴 편집에 의해 작성된 것인지 오리지널인지를 판단하는데, 지정된 엔트리의 pe-flags의 Type of corresponding AV File을 참조하여, 1이면 비파괴 편집으로 판단하고, 0이면 오리지널로 판단한다. 이 점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AV Index 파일에서의, Type of corresponding AV File이라는 플래그를 이용하여, 파일이 오리지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이 플래그는 기록 또는 비파괴 편집 등에 의한, 파일의 작성 시에 설정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파일이 오리지널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creation-time을 참조하여 판단을 하기 때문에, 기록 기기의 내장 시계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처리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내장 시계의 정확성에 처리가 의존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파일의 삭제 시에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이 있는 경우라도,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이 통괄 무비 파일만으로부터 참조되어 있고, 다른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지 않을 때에만 삭제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삭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참조 무비(자동 분할 무비, 통괄 무비)를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고 관리할 수 있다.
<삭제 시의 처리(운용 방침 2)>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즉, 도 27의 경우, entry-number가 3, 5, 6인 엔트리에 대하여, referred-counter가 0이기 때문에, 다른 엔트리에 대응하는 AV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삭제 대상으로서 entry-number가 3, 5, 6인 엔트리를 지정받으면 삭제하고, entry-number가 4인 엔트리를 지정받으면, 삭제를 거절하거나 혹은 경고를 내게 된다.
실제의 삭제는 이하의 수순으로 행한다. 먼저, 삭제를 지정받은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는 AV 파일에 대응하는 엔트리의 referred-counter를 1 감소시키고, referring-file-list로부터 그 AV 파일에 대응하는 엔트리의 entry-number를 삭제한다. 만일, referred-counter가 0이 된 경우, 그 AV 파일을 삭제한다. 마지막으로, 삭제를 지정받은 AV 파일을 삭제한다. 또한 물론, 삭제한 AV 파일에 대응하는 AV Index 파일의 엔트리도 삭제한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28 내지 도 3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AV Index 파일의 속성 정보에,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인지의 여부를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플래그 이외에,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에 관한 플래그를 포함하게 한다. 이것에 따라, 적절한 표시, 파일의 삭제 등을 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한다.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점이 많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차이점에만 초점을 둔다.
<관리 정보 포맷>
QuickTime 무비 파일 및 AV Index 파일의 포맷은 상술한 바와 같다. AV Index 파일의 Property 엔트리 내의 pe-flags 필드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의되어 있다. pe-flags에는, 예를 들면 Structur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의 플래그나, Type of corresponding AV File의 플래그도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지만, Visual status of Type of corresponding AV File이라는, 이 엔트리를 콘텐츠 선택 화면 등으로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0인 경우) 숨길지(1인 경우)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추가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이 AV Index 파일의 Visual status of Type of corresponding AV File이라는 플래그는,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에 상당한다.
이 필드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삭제의 운용 방법에 비해, 다른 운용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V Index 파일의 Movie atom 내의,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referred-counter의 항목에 따라, 대응하는 엔트리가 관리하는 파일이 다른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는 횟수를 구별하는 점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기록 시의 처리>
사용자로부터 녹화가 지시된 경우의 처리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단,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AV Index 파일의 속성 정보 엔트리에 추가된 Visu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에, 자동 분할 무비 파일(1801 및 1802)에 대해서는 1을 설정하고, 통괄 무비 파일(1803) 및 통상 무비 파일(1804)에 대해서는 0을 설정하는 점이 상이하다.
<비파괴 편집 처리>
비파괴 편집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AV Index 파일의 관리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단,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파괴 편집 결과 무비(1805, 1806)에 대응하는 AV Index 파일의 속성 정보 엔트리 내의 Visu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에 0을 설정하는 점이 상이하다.
<후기록 시의 처리>
도 29의 AV 파일(1804)에 대하여, 오디오 후기록을 행하고,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무비와는 다른 AV 파일(1807)에 저장하며, AV 파일(1804)로부터 외부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AV 파일(1807)에 대응하는 엔트리(entry-number=5인 엔트리)의 referred-counter는 AV 파일(1804)로부터 참조되어 있기 때문에 1로 되며, referring-file-list에는 AV 파일(1804)에 대응하는 entry-number인 4가 저장된다.
또한, AV 파일(1807)은 AV 파일(1804)의 부속물로서 독립적인 콘텐츠로서 취급되지 않기 때문에, 콘텐츠 선택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Visu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의 값은 1(Invisible)로 설정한다.
<콘텐츠 선택 화면 표시 처리>
사용자에게는 속성 정보 엔트리 내의 pe-flags의 Visu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이 0인 엔트리에 대하여 썸네일 화상을 표시한다. 즉, Visu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의 플래그에 기초하여,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도 30의 경우, entry-number가 3, 4, 5, 6인 썸네일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도 31의 경우, entry-number가 3, 4인 썸네일 화상이 표시되며, 독립적인 콘텐츠로서 취급되지 않는 AV 파일(1807)에 대응하는 썸네일은 표시되지 않는다. 불필요한 정보를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가능성이 낮아진다. 이것은 본 실시 형태에서 도입된 Visu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이라는 정보로 가능하게 된다.
<삭제 시의 처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선택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삭제를 지시받은 경우의 운용 방침은 제1, 제2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에 추가하여, 다음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운용 방침 3) 모든 AV 파일은 삭제 가능으로 한다.
(운용 방침 3)은 사용자에게 오리지널과 편집 결과의 차이를 가능하면 의식하게 하지 않는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여기서, (운용 방침 3)은 제3 실시 형태에서 도입된 관리 정보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하, 각각의 방침을 실시할 때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삭제 시의 처리(운용 방침 1)>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즉, 콘텐츠 선택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삭제를 지시받은 경우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에서 도 23,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거의 동일하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3의 단계 803에서, 지정된 엔트리에 대응하는 AV File이 비파괴 편집에 의해 작성된 것인지 오리지널인지를 판단하는데, 지정된 엔트리의 pe-flags의 Type of corresponding AV File을 참조하여, 1이면 비파괴 편집으로 판단하고, 0이면 오리지널로 판단한다. 이 점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AV Index 파일에서의, Type of corresponding AV File이라는 플래그를 이용하여, 파일이 오리지널인지 여부를 판 단하는 구성이다. 이 플래그는 기록 또는 비파괴 편집 등에 의한, 파일의 작성 시에 설정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파일이 오리지널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내장 시계의 정확함에 처리가 의존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파일의 삭제 시에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이 있는 경우라도,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이 통괄 무비 파일만으로부터 참조되어 있고, 다른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지 않을 때에만 삭제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삭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참조 무비(자동 분할 무비, 통괄 무비)를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고 관리할 수 있다.
<삭제 시의 처리(운용 방침 2)>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즉, 도 30의 경우, entry-number가 3, 5, 6인 엔트리에 대하여, referred-counter가 0이기 때문에, 다른 엔트리에 대응하는 AV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삭제 대상으로서 entry-number가 3, 5, 6인 엔트리를 지정받으면 삭제하고, entry-number가 4인 엔트리를 지정받으면, 삭제를 거절하거나 혹은 경고를 내게 된다.
실제의 삭제는 이하의 수순으로 행한다. 먼저, 삭제를 지정받은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는 AV 파일에 대응하는 엔트리의 referred-counter를 1 감소시키고, referring-file-list로부터 그 AV 파일에 대응하는 엔트리의 entry-number를 삭제한다. 만일, referred-counter가 0이 된 경우, 그 AV 파일을 삭제한다. 마지막으로, 삭제를 지정받은 AV 파일을 삭제한다. 또한 물론, 삭제한 AV 파일에 대응하는 AV Index 파일의 엔트리도 삭제한다.
<삭제 시의 처리(운용 방침 3)>
콘텐츠 선택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삭제를 지시받은 엔트리는 전부 삭제 가능이라는 운용을 행할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삭제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도 3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지정된 엔트리에 대응하는 AV 파일이 다른 AV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지 않은지를 조사하기 위해, 지정된 엔트리의 referred-counter를 조사한다(단계 1001).
referred-counter가 1인 경우, Visu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을 1로 세트한다(단계 1006). 이것에 의해, 다른 무비의 재생에 영향을 주지 않고 사용자에게 삭제한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즉, 파일을 외관상 삭제할 수 있다. 이 경우, Visu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의 플래그는 0에서 1로 변경되게 된다. referred-counter가 0인 경우, 지정된 엔트리에 대응하는 AV 파일이 다른 AV 파일을 참조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단계 1002).
참조하지 않으면, 후술하는 단계 1005를 실행한다. 참조한 경우, 먼저, 참조처의 AV 파일에 대응하는 엔트리의 referred-counter를 1 감소시킨다(단계 1003).
다음으로, 참조처의 AV 파일의 referred-counter 및 Visual status of corresponding AV의 값을 조사하여, referred-counter가 0이며, 또한 Visual status of corresponding AV가 1(invisible)이면 그 파일을 삭제하고, AV Index 파일로부터 그 파일에 관한 엔트리를 삭제한다(단계 1004). 마지막으로, 지정된 엔 트리에 대응하는 AV 파일을 삭제한다(단계 1005).
도 30을 이용하여 상기의 처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entry-number가 5 혹은 6에 대응하는 엔트리를 삭제 지정한 경우, 이들 엔트리를 삭제하고, 또한 파일(1805 혹은 1806)은 삭제한다. entry-number가 3에 대응하는 엔트리를 삭제 지정한 경우, 그 엔트리를 삭제하고, 파일(1803)도 삭제한다. 단, 참조처의 파일(1801 및 1802)은 파일(1806)로부터 참조되어 있기 때문에 삭제되지 않는다.
entry-number가 4에 대응하는 엔트리를 삭제 지정한 경우, 그 엔트리에 대응하는 파일(1804)은 파일(1805)로부터 참조되어 있기 때문에 삭제하지 않고, 대신 Visu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을 1로 세트한다.
도 31의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entry-number가 4에 대응하는 엔트리를 삭제 지정한 경우, referred counter가 0이고, 거기서부터 참조되어 있는 AV 파일(1807)의 referred-counter를 1 감소시켜서 0이 되기 때문에, entry-number가 4, 5에 대응하는 엔트리를 삭제하고, 또한 이들 엔트리에 대응하는 AV 파일(1804, 1807)도 삭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는 콘텐츠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에게 표시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Visual status of corresponding AV File을 이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파일의 참조를 행하고 있었던 경우라도 사용자가 임의의 콘텐츠를 삭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예를 들면 다른 것으로부터 참조되어 있는 파일이라도, 표시하지 않도록 하여, 외관상의 삭제를 할 수 있다.
<배리에이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AV Index 파일은 동일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파일의 관리을 행하고 있지만, 다른 기록 매체, 예를 들면 네트워크와는 다른 기록 매체 상의 파일이라도 상관없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매체로서의 광 디스크(106)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와 같은, 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록 매체이어도 된다.
또한, 파일 시스템으로서 UDF를 예로 들며, 또한 파일 포맷으로서 QuickTime 파일 포맷을 예로 한 설명을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그 밖의 파일 시스템, 파일 포맷이라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QuickTime 파일 포맷을 관리하기 위한 AV Index 파일을 이용하여 파일을 관리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그 밖의 파일, 테이블 등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장치로서의 디지털 기록 재생 장치는, 파일 관리부로서의 호스트 CPU(101)가 광 디스크(106)에, 데이터가 분할 기록되었는지 여부의 정보를 기록한다.
따라서, 분할 기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적절한 표시, 삭제 등의 파일 조작을 행하여,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고 파일 관리를 할 수 있다.
즉, 분할 기록된 경우의 분할 데이터와 이 분할 데이터를 참조하는 통괄 데이터에 대하여, 분할 데이터를 표시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이 분할 데이터는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 사이즈의 상한이 존재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이 상한을 초과하는 사이즈의 파일을 분할하여 생성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분할 데이터를 표시하지 않도록 하면,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는다.
또한, 통괄 데이터를 삭제하고자 할 때에는, 통괄 데이터가 참조하고 있는 분할 데이터가, 그 통괄 데이터만으로부터 참조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괄 데이터와 함께 참조되어 있는 분할 데이터도 삭제하도록 한다.
따라서, 분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분할 데이터의 존재를 의식하게 하지 않고, 삭제할 수 있다. 데이터를 삭제할 경우에는, 다른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지 않을 때에 삭제가 가능하다.
또한, 기록 장치로서의 디지털 기록 재생 장치는 파일 관리부로서의 호스트 CPU(101)가 광 디스크(106)에,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다.
따라서,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에 따라 적절한 표시, 삭제 등의 파일 조작을 행하여,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고 파일 관리를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데이터 중, 분할 기록된 경우의 분할 데이터와 이 분할 데이터를 참조하는 통괄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그 데이터가 통괄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일의 생성 시간 등을 참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록 장치의 내장 시계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에도, 판별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장치로서의 디지털 기록 재생 장치는 파일 관리부로서의 호스트 CPU(101)가 광 디스크(106)에,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를 기록한다.
따라서,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에 대응하여, 적절한 표시, 외관상의 삭제 등의 파일 조작을 행하여,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고 파일 관리를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분할 데이터인지의 여부와는 별도로,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에 대응하여 표시를 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는 표시가 가능하게 됨과 함께, 외관상의 삭제가 가능해진다.
또한, 광 디스크(106)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따라서, 상술한 디지털 기록 재생 장치와 같은 기록 장치와 조합하여 이용되어,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에 따라 적절한 표시, 삭제 등의 파일 조작을 행하여,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고 파일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광 디스크(106)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따라서, 상술한 디지털 기록 재생 장치와 같은 기록 장치와 조합하여 이용되고,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에 따라 적절한 표시, 외관상의 삭제 등의 파일 조작을 행하여,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고 파일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장치로서의 디지털 기록 재생 장치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는 것 이어도 된다. 즉, 상술한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삭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되어, 상술한 디지털 기록 재생 장치가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삭제 방법은, 예를 들면 파일 시스템에서의 파일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관리를 행하는 파일 관리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파일 내에, 분할 파일과 이 분할 파일을 참조하는 통괄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파일 관리 방법의 파일 관리 정보에, 파일이 분할 파일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게 한다. 그리고, 이 분할 파일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와, 어떤 파일이 다른 몇개의 파일로부터 참조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와, 파일의 작성 시간으로부터, 파일이 통괄 파일인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예를 들면 복수의 데이터를 일괄하여 관리하는 테이블을 갖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테이블 내의 엔트리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으로서, 상기 삭제 시에, 등록되어 있는 엔트리가 오리지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예를 들면 상기 구성에서, 상기 등록되어 있는 엔트리가 오리지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자동 분할되었는지 여부의 정보 및 참조 정보 및 작성 시간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예를 들면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엔트리에 오리지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예를 들면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가지며,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엔트리에 오리지널인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테이블 내의 엔트리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으로서, 삭제 시에, 삭제 대상의 데이터가 상기 오리지널인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를 기초로 삭제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예를 들면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엔트리에 그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예를 들면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가지며,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엔트리에 그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테이블 내의 엔트리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으로서, 삭제 대상 데이터가 다른 데이터로부터 참조되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를 재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 상의 각 파일이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인지 여부를 구별하는 정보와 오리지널인지 여부를 구별하는 정보에 기초함으로써,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이 있는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삭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지널인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를 디스크 상에 저장함으로써, 자동 분할 무비 파일이 있는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확실히 삭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엔트리에 대응하는 AV 파일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보이게 하지 않을지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를 디스크 상에 저장함으로써, 파일의 참조를 행하고 있었던 경우라도 사용자가 임의의 콘텐츠를 외관상으로 삭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예를 들면,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덱스 파일(2100)의 각 엔트리마다 자동 분할 무비인지의 여부를 관리하는 플래그 auto-divided를 붙이고, 자동 분할 무비인 파일(2201∼2203)에 대해서는 YES를 세트하며, 콘텐츠 선택 화면에는 auto-divided가 NO인 엔트리의 축소 화상만, 즉 파일(2204)의 축소 화상만 표시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삭제 등의 관리를 어떻게 할지는 분명하지 않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부분에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 양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분명히 하는 것으로,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정신과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사항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사항이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기재한 기술적 수단은 적절하게 조합할 수 있으며, 이 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사항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삭제 방법, 데이터 표시 방법, 기록 장치,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따르면, 인덱스 파일에서, 관리하고 있는 각 파일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보이게 하거나 또는 숨기는지, 오리지널인지 또는 비파괴 편집 완료인지를 구별하는 정보를 관리하고,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삭제 처리나 일람 표시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고, 참조 무비를 인덱스 파일에 의해 관리할 수 있다.

Claims (16)

  1. 적어도 복수의 분할 데이터와 상기 분할 데이터를 참조하는 통괄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를 일괄하여 관리하는 테이블을 갖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테이블 내의 엔트리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으로서,
    상기 삭제 시에, 등록되어 있는 엔트리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가 아닌 경우, 해당 데이터를 삭제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되어 있는 엔트리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가 분할 기록되었는지 여부의 정보 및 다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와의 관련 정보 및 작성 시간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
  3.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엔트리에 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4.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엔트리에 다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와의 관련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엔트리에 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적어도 복수의 분할 데이터와 상기 분할 데이터를 참조하는 통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에 다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와의 관련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을 파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8. 적어도 복수의 분할 데이터와 상기 분할 데이터를 참조하는 통괄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갖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테이블 내의 엔트리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엔트리에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삭제 시에, 삭제 대상의 데이터가 상기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삭제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다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와의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삭제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
  9.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갖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테이블 내의 엔트리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데이터를 관리하는 엔트리에 그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 및 다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와의 관련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삭제 시에, 상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와,
    갱신된 상기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삭제 방법.
  10.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갖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테이블을 판독하여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데이터를 관리하는 엔트리에, 그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 및 다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와의 관련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 방법.
  11.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서,
    상기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엔트리에 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2.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서,
    상기 엔트리에 다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와의 관련 정보를 기록하는 수단과,
    상기 엔트리에 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3.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엔트리에 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고,
    해당 정보가, 상기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가 초기 기록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정할 때에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4. 복수의 데이터를 각각 엔트리로서 일괄 관리하는 테이블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엔트리에 다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와의 관련 정보와,
    상기 엔트리에 그 엔트리가 관리하는 데이터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보이게 할지 여부를 관리하는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 제1항, 제2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데이터 삭제 방법, 또는 제3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데이터 기록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6. 삭제
KR1020047008227A 2001-11-29 2002-11-27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삭제 방법, 데이터 표시 방법, 기록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0620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63587 2001-11-29
JPJP-P-2001-00363587 2001-11-29
PCT/JP2002/012398 WO2003046912A1 (fr) 2001-11-29 2002-11-27 Procede d'enregistrement de donnees, procede d'effacement de donnees, procede d'affichage de donnees, appareil d'enregistrement, support d'enregistrement et program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662A KR20040062662A (ko) 2004-07-07
KR100620932B1 true KR100620932B1 (ko) 2006-09-13

Family

ID=1917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227A KR100620932B1 (ko) 2001-11-29 2002-11-27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삭제 방법, 데이터 표시 방법, 기록 장치,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7) US20040267821A1 (ko)
EP (6) EP2053608A3 (ko)
JP (5) JP4024755B2 (ko)
KR (1) KR100620932B1 (ko)
CN (5) CN101661784A (ko)
AU (1) AU2002349593A1 (ko)
WO (1) WO2003046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61784A (zh) * 2001-11-29 2010-03-03 夏普株式会社 数据再生方法
JP3937223B2 (ja) * 2003-01-21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JP4022755B2 (ja) * 2003-01-21 2007-12-1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再生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ファイル再生方法
JP4102264B2 (ja) * 2003-07-18 2008-06-18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av情報記録媒体とこの媒体を用いる記録/再生方法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4337502B2 (ja) 2003-10-29 2009-09-30 ソニー株式会社 ファイル処理装置、ファイル処理方法、ファイル処理方法のプログラム、ファイル処理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撮像装置
JP2005136537A (ja) * 2003-10-29 2005-05-26 Sony Corp ファイル記録装置、ファイル再生装置、ファイル編集装置、ファイル記録方法、ファイル再生方法、ファイル編集方法、ファイル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ファイル再生方法のプログラム、ファイル編集方法のプログラム、ファイル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ファイル再生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ファイル編集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記録媒体
JP4277708B2 (ja) 2004-02-24 2009-06-10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4182932B2 (ja) * 2004-08-04 2008-11-1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01185B2 (ja) * 2005-02-25 2009-07-22 ソニー株式会社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347255B2 (ja) * 2005-04-13 2009-10-2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端末装置、コンテンツの消去/転送制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消去制御方法
WO2007023623A1 (ja) 2005-08-26 2007-03-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データ記録システム、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データ記録プログラム
US9277295B2 (en) 2006-06-16 2016-03-01 Cisco Technology, Inc. Securing media content using interchangeable encryption key
US9137480B2 (en) 2006-06-30 2015-09-15 Cisco Technology, Inc. Secure escrow and recovery of media device content keys
JP2008250475A (ja) * 2007-03-29 2008-10-16 Brother Ind Ltd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8489702B2 (en) * 2007-06-22 2013-07-16 Apple Inc. Determining playability of media files with minimal downloading
JP2011087103A (ja) * 2009-10-15 2011-04-28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サーバを提供
JP5755035B2 (ja) * 2011-06-08 2015-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885852B1 (ko) 2011-09-29 2018-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전송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JP5848594B2 (ja) * 2011-12-14 2016-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5917123B2 (ja) * 2011-12-14 2016-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CN102929789B (zh) * 2012-09-21 2016-06-08 曙光信息产业(北京)有限公司 记录组织方法和记录组织结构
CN103136348B (zh) * 2013-02-22 2018-09-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文件显示方法及装置
MY174251A (en) * 2013-06-24 2020-04-01 Sony Corp Reproduction device, reproduc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130832B1 (en) * 2014-10-09 2015-09-08 Splunk, Inc. Creating entity definition from a file
US10209956B2 (en) * 2014-10-09 2019-02-19 Splunk Inc. Automatic event group actions
US10474680B2 (en) 2014-10-09 2019-11-12 Splunk Inc. Automatic entity definitions
US11755559B1 (en) 2014-10-09 2023-09-12 Splunk Inc. Automatic entity control in a machine data driven service monitoring system
US9146954B1 (en) 2014-10-09 2015-09-29 Splunk, Inc. Creating entity definition from a search result set
US10305758B1 (en) 2014-10-09 2019-05-28 Splunk Inc. Service monitoring interface reflecting by-service mode
US9760240B2 (en) 2014-10-09 2017-09-12 Splunk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tatic and adaptive thresholds
US11087263B2 (en) 2014-10-09 2021-08-10 Splunk Inc. System monitoring with key performance indicators from shared base search of machine data
US11200130B2 (en) 2015-09-18 2021-12-14 Splunk Inc. Automatic entity control in a machine data driven service monitoring system
US9491059B2 (en) 2014-10-09 2016-11-08 Splunk Inc. Topology navigator for IT services
US10536353B2 (en) 2014-10-09 2020-01-14 Splunk Inc. Control interface for dynamic substitution of service monitoring dashboard source data
US10417225B2 (en) 2015-09-18 2019-09-17 Splunk Inc. Entity detail monitoring console
US11501238B2 (en) 2014-10-09 2022-11-15 Splunk Inc. Per-entity breakdown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US10417108B2 (en) 2015-09-18 2019-09-17 Splunk Inc. Portable control modules in a machine data driven service monitoring system
US11455590B2 (en) 2014-10-09 2022-09-27 Splunk Inc. Service monitoring adaptation for maintenance downtime
US10235638B2 (en) 2014-10-09 2019-03-19 Splunk Inc. Adaptive key performance indicator thresholds
US11671312B2 (en) 2014-10-09 2023-06-06 Splunk Inc. Service detail monitoring console
US9584374B2 (en) 2014-10-09 2017-02-28 Splunk Inc. Monitoring overall service-level performance using an aggregate key performance indicator derived from machine data
US9146962B1 (en) 2014-10-09 2015-09-29 Splunk, Inc. Identifying events using informational fields
US10193775B2 (en) * 2014-10-09 2019-01-29 Splunk Inc. Automatic event group action interface
US10505825B1 (en) * 2014-10-09 2019-12-10 Splunk Inc. Automatic creation of related event groups for IT service monitoring
US9210056B1 (en) 2014-10-09 2015-12-08 Splunk Inc. Service monitoring interface
US9158811B1 (en) 2014-10-09 2015-10-13 Splunk, Inc. Incident review interface
US9967351B2 (en) 2015-01-31 2018-05-08 Splunk Inc. Automated service discovery in I.T. environments
US10198155B2 (en) * 2015-01-31 2019-02-05 Splunk Inc. Interface for automated service discovery in I.T. environments
US10942946B2 (en) 2016-09-26 2021-03-09 Splunk, Inc. Automatic triage model execution in machine data driven monitoring automation apparatus
US10942960B2 (en) 2016-09-26 2021-03-09 Splunk Inc. Automatic triage model execution in machine data driven monitoring automation apparatus with visualization
CN107888971A (zh) * 2016-09-29 2018-04-06 法乐第(北京)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删除音视频文件的方法和装置
US11106442B1 (en) 2017-09-23 2021-08-31 Splunk Inc. Information technology networked entity monitoring with metric selection prior to deployment
US11093518B1 (en) 2017-09-23 2021-08-17 Splunk Inc. Information technology networked entity monitoring with dynamic metric and threshold selection
US11159397B2 (en) 2017-09-25 2021-10-26 Splunk Inc. Lower-tier application deployment for higher-tier system data monitoring
US11676072B1 (en) 2021-01-29 2023-06-13 Splunk Inc. Interface for incorporating user feedback into training of clustering model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3148A (en) * 1989-08-11 1992-11-10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File backup system for producing a backup copy of a file which may be updated during backup
NL9002490A (nl) 1990-03-13 1991-10-01 Philips Nv Informatie-optekeninrichting alsmede een informatie-uitleesinrichting.
JP2987942B2 (ja) 1990-12-25 1999-12-06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検索方法
US5526480A (en) 1992-12-28 1996-06-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ime domain scroll bar for multimedia presentation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5463565A (en) * 1993-10-29 1995-10-31 Time Warner Entertainment Co., L.P. Data block format for software carrier and player therefor
CA2173923C (en) * 1995-04-14 2006-01-31 Tetsuya Kitamura Data recording medium having reproduction timing information, and system for reproducing record data by using the reproduction timing information
US5761669A (en) * 1995-06-06 1998-06-02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access to objects on multiple operating systems
CN1160955C (zh) 1995-10-09 2004-08-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数据发送装置及数据发送方法
JP3421899B2 (ja) * 1996-04-11 2003-06-30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並びに方法
US5956453A (en) 1996-04-12 1999-09-21 Hitachi Denshi Kabushiki Kaisha Method of editing moving image and apparatus of editing the same
JPH1051733A (ja) 1996-04-12 1998-02-20 Hitachi Denshi Ltd 動画像編集方法および動画像編集装置および動画像編集手順を有するプログラムコードを記録する記録媒体
US6154601A (en) 1996-04-12 2000-11-28 Hitachi Denshi Kabushiki Kaisha Method for editing image information with aid of computer and editing system
GB2312079B (en) * 1996-04-12 2000-11-15 Sony Uk Ltd Editing of recorded material
US6577807B1 (en) 1996-11-15 2003-06-10 Hitachi Denshi Kabushiki Kaisha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pictures
US5987506A (en) * 1996-11-22 1999-11-16 Mangosoft Corporation Remote access and geographically distributed computers in a globally addressable storage environment
JPH10234007A (ja) * 1996-12-18 1998-09-02 Sony Corp 記録再生装置
US5978649A (en) * 1996-12-27 1999-11-02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conditional channel authorization in a broadcast system
JPH10240684A (ja) 1997-02-27 1998-09-11 Oki Electric Ind Co Ltd 複数端末の制御方法
JPH10269145A (ja) 1997-03-26 1998-10-09 Sanyo Electric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再生方法
JP3591227B2 (ja) 1997-06-24 2004-11-17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US6148140A (en) 1997-09-17 2000-11-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data editing apparatus, optical disc for use as a recording medium of a video data edit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editing program
CA2247626C (en) * 1997-09-17 2011-05-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video data edit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editing program, reproduction apparatus for the optical disc,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reproduction program
JPH11134233A (ja) * 1997-10-31 1999-05-21 Nippon Steel Corp フォルダ共有化装置及びフォルダ共有化方法
US6134243A (en) 1998-01-15 2000-10-17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 data transmission
JP3597690B2 (ja) * 1998-01-21 2004-12-08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
KR100324159B1 (ko) * 1998-01-21 2002-02-16 니시무로 타이죠 영상 데이타 기록 매체, 영상 데이타 기록 장치 및 영상 데이타 재생 장치
EP0980071A4 (en) * 1998-02-03 2002-10-23 Sanyo Electric Co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A
US6943834B1 (en) 1998-02-06 2005-09-13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of converting image data to video signals
US7233948B1 (en) * 1998-03-16 2007-06-19 Intertrust Technologies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sistent control and protection of content
US6618709B1 (en) * 1998-04-03 2003-09-09 Enerwise Global Technologies, Inc. Computer assisted and/or implemented process and architecture for web-based monitoring of energy related usage, and client accessibility therefor
JPH11328851A (ja) 1998-05-19 1999-11-30 Sony Corp 端末装置及び再生方法
DE19836459C2 (de) 1998-08-12 2002-11-21 Loh Kg Ritto Werk Türanlage, insbesondere Türsprechanlage mit Moduleinheiten
IL128935A (en) 1998-09-18 2003-10-31 Direct & Clear Inc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tilizing a specific communication code
US6549911B2 (en) 1998-11-02 2003-04-15 Survivors Of The Shoah Visual History Found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taloguing multimedia data
JP2000187606A (ja) 1998-12-22 2000-07-04 Ricoh Co Ltd ファイルシステム管理装置
JP2000222863A (ja) 1999-01-28 2000-08-11 Pioneer Electronic Corp 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CN1143292C (zh) * 1999-02-26 2004-03-24 日本胜利株式会社 信息记录方法、记录装置、记录重放方法及记录介质
DE60045202D1 (de) * 1999-03-29 2010-12-23 Hughes Electronics Corp Procede et appareil de traitement conditionnel, stockage et affichage du contenu d'un canal numerique, dans un système de reception de television
JP2001093151A (ja) * 1999-07-19 2001-04-06 Victor Co Of Japan Ltd 光ディスク管理システム、光ディスク
JP2001069458A (ja) 1999-08-27 2001-03-16 Toshiba Corp 静止画のグループ化処理機能付き記録再生装置
JP4629173B2 (ja) * 1999-09-17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956549B2 (ja) 1999-09-30 2007-08-08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1189913A (ja) * 1999-10-21 2001-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記録装置、媒体及び情報集合体
EP1094463A2 (en) * 1999-10-21 2001-04-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recording apparatus, medium and information package
JP3545330B2 (ja) * 1999-12-27 2004-07-21 三洋電機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
US6807134B2 (en) 1999-12-28 2004-10-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symmetry detection apparatus, jitter detection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JP2001250341A (ja) * 1999-12-28 200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シンメトリー検出装置、ジッタ検出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
US6785716B1 (en) 2000-01-26 2004-08-31 Viaclix, Inc. System and method of channel-based internet network
JP4300669B2 (ja) * 2000-02-29 2009-07-2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記録媒体
US20020040475A1 (en) 2000-03-23 2002-04-04 Adrian Yap DVR system
US7447907B2 (en) 2000-04-04 2008-11-04 Ecd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data delivery and reproduction
CN1193607C (zh) 2000-04-21 2005-03-16 索尼公司 信息处理设备和方法
EP1198132A4 (en) 2000-04-21 2010-07-28 Sony Corp CODING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4672104B2 (ja) * 2000-04-26 2011-04-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監視用デジタル画像記録再生装置
JP2001346156A (ja) * 2000-06-02 2001-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画像編集装置および動画像編集方法
JP2002125169A (ja) * 2000-10-18 2002-04-26 Pioneer Electronic Corp 番組案内装置および番組案内方法
US7277878B2 (en) * 2001-02-13 2007-10-02 Ariba, Inc. Variable length file header apparatus and system
JP2002373480A (ja) * 2001-06-14 2002-12-26 Sharp Corp データ記録方法及びデータ記録装置ならびに記録媒体
US8191092B2 (en) * 2001-06-19 2012-05-29 Jlb Ventures Llc Method and system for replacing/obscuring titles and descriptions of recorded content
JP3931595B2 (ja) * 2001-07-10 2007-06-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修正装置及びデータ修正方法
CN101661784A (zh) 2001-11-29 2010-03-03 夏普株式会社 数据再生方法
US6993073B2 (en) * 2003-03-26 2006-01-31 James Foong Optimization software module and method for video compression under MPEG
US7849455B2 (en) 2006-08-23 2010-12-07 Sap Ag Synchronization and transmission of distributed user interfaces over computer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662A (ko) 2004-07-07
EP2053608A3 (en) 2009-05-06
CN1605102A (zh) 2005-04-06
JP4024755B2 (ja) 2007-12-19
US9330724B2 (en) 2016-05-03
CN101661786A (zh) 2010-03-03
JPWO2003046912A1 (ja) 2005-04-14
JP5079824B2 (ja) 2012-11-21
EP2053609A2 (en) 2009-04-29
WO2003046912A1 (fr) 2003-06-05
EP2196995A2 (en) 2010-06-16
US20090164487A1 (en) 2009-06-25
WO2003046912B1 (fr) 2003-09-25
EP2204812A2 (en) 2010-07-07
US20100185708A1 (en) 2010-07-22
JP2010140633A (ja) 2010-06-24
JP2010182401A (ja) 2010-08-19
US20100185709A1 (en) 2010-07-22
CN100530410C (zh) 2009-08-19
CN101661787B (zh) 2013-01-02
EP2053609A3 (en) 2009-05-06
JP2009277351A (ja) 2009-11-26
EP1463056A1 (en) 2004-09-29
CN101661785A (zh) 2010-03-03
JP5079757B2 (ja) 2012-11-21
AU2002349593A1 (en) 2003-06-10
CN101661787A (zh) 2010-03-03
US20100185710A1 (en) 2010-07-22
JP5386385B2 (ja) 2014-01-15
CN101661784A (zh) 2010-03-03
EP2204812A3 (en) 2010-12-15
US8370324B2 (en) 2013-02-05
US20100185707A1 (en) 2010-07-22
EP2196996A3 (en) 2010-12-15
US20100191709A1 (en) 2010-07-29
EP2196996A2 (en) 2010-06-16
EP2196995A3 (en) 2010-12-15
EP1463056A4 (en) 2006-07-05
JP2010186532A (ja) 2010-08-26
EP2053608A2 (en) 2009-04-29
US20040267821A1 (en) 2004-12-30
JP5386384B2 (ja)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932B1 (ko)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삭제 방법, 데이터 표시 방법, 기록 장치, 및 기록 매체
JP4937370B2 (ja)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編集方法およびデータ復号方法、並びにその装置、及び記録媒体
EP1486979A1 (en)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cording device, data recording medium, data reproduction method, and data reproduction device
JP3895305B2 (ja)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媒体
JP4549855B2 (ja)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再生方法、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構造、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4409588B2 (ja)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削除方法、記録装置、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168283A (ja) データ編集方法およびデータ記録媒体
JP4322216B2 (ja) データ記録方法
JP2003168284A (ja) 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データ編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5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