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0762B1 - 패턴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패턴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762B1
KR100610762B1 KR1020040041436A KR20040041436A KR100610762B1 KR 100610762 B1 KR100610762 B1 KR 100610762B1 KR 1020040041436 A KR1020040041436 A KR 1020040041436A KR 20040041436 A KR20040041436 A KR 20040041436A KR 100610762 B1 KR100610762 B1 KR 100610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polymer
polymer film
silicon
film
organ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6281A (ko
Inventor
고차원
우상균
여기성
정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1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762B1/ko
Priority to US11/145,535 priority patent/US7575855B2/en
Publication of KR20050116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762B1/ko
Priority to US12/511,538 priority patent/US7842451B2/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11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having cover layers or intermediate layers, e.g. subbing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22Multi-step exposure, e.g. hybrid; backside exposure; blanket exposure, e.g. for image reversal; edge exposure, e.g. for edge bead removal; corrective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0Treatment after imagewise removal, e.g. ba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27Etching organic layers
    • H01L21/31133Etching 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01L21/31138Etching 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by dry-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75Silicon-containing compounds
    • G03F7/0752Silicon-containing compounds in non photosensitive layers or as additives, e.g. for dry lith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하부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제 1 유기 폴리머막(first organic polymer layer)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 상에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이 노출된 오프닝을 가지는 제 2 유기 폴리머막(second organic polymer layer)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은 감광성 유기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오프닝을 덮는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silicon containing polymer layer)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은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보다 얇은 두께로 도포할 수도 있고, 두꺼운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을 도포한 후 에치백할 수도 있다.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을 산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을 이방성 에슁한다.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하부층을 식각하여 패턴을 형성한다.

Description

패턴 형성 방법{METHOD OF FORMING A PATTERN}
도 1a 내지 도 1c는 상기 특허에 개시된 패턴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5a 및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들이다.
도 3b 내지 도 5b 및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 구체적으로 감광성 유기 폴리머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가 진행됨에 따라, 기판에 형성되는 패턴의 크기가 작아지고, 복잡한 구조의 패턴의 형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진식각기술(photo lithography)이 사용되는데, 크기가 작고 복잡한 구조의 포토레지스트 패턴(photo resist pattern)을 형성할 때, 원하는 형상의 포토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원하는 형상의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는데,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10-396193호 및 미합중국특허번호 6,670,106호는 비감광성 유기막을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상기 특허에 개시된 패턴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하부막(21)이 형성된 기판 상에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하부막이 노출된 개구부(25)를 가지는 포토레지스트 패턴(22)을 형성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22) 상에 상기 개구부(25)를 채우는 비감광성 유기막(26)을 형성하고 산소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상기 비감광성 유기막(26)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22)이 노출될 때까지 에치백한다. 이 때, 상기 비감광성 유기막(26)이 상기 개구부(25)를 채울 때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22) 상에 거의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25)는 0.9㎛ 이상의 고단차로 형성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의 전면을 노광하고 알칼리 수용액으로 현상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22)을 제거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기판 상에는 상기 비감광성 유기막 패턴(26)이 형성된다.
상기 참조문헌에 의하면,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막을 이용하여 상기 감광성 유기막 패턴(26)과 같은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회절광에 의해 경사진 패턴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 문제는 비감광성 유기막(26)을 이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막(21a)이 형성된 기판 상에 개구부(25a)를 가지는 포토레지스트 패턴(22a)을 형성할 때, 포토레지스트 패턴(22a)의 하단으로 갈 수록 상기 개구부(25a)의 폭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감광성 유기막 패턴(26a)과 하부막(21a)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되고, 알칼리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감광막을 제거하는 동안 상기 비감광성 유기막 패턴(26a)이 쓰러지거나 떨어지는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비감광성 유기막 패턴(26a)의 선폭이 작은 경우 더 심각해질 것이다. 특히, 미세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단파장의 노광광을 사용하게되는데, 초점심도의 허용치(DOF; Depth of Focus)는 노광광의 파장에 짧을 수록 낮아진다. 따라서, 단파장의 빛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개구부(25a)의 폭이 줄어드는 문제는 더욱 가중되어 허용할 수 있는 공정상 오초점(Defocus) 마진이 줄어들게된다.
오초점 마진을 높이기 위해 얇은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포토레지스트막이 얇아지는 경우 상기 비감광성 유기막 패턴(26a)의 두께도 얇아진다. 이는 상기 하부막(21a)을 식각하는 동안 상기 비감광성 유기막 패턴이 충분한 식각마스크를 제공하지 못하여 그 아래의 하부막(21a)이 제거되는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정상 오초점 마진을 높일 수 있는 얇은 포토레지스트막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하부막을 식각하는 동안 충분한 식각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는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얇은 포토레지스트막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전사하여 오초점 마진을 높일 수 있고, 두꺼운 식각마스크를 이용하여 하부막을 식각할 수 있는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중 유기 폴리머막(dual organic polymer layer)을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하부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제 1 유기 폴리머막(first organic polymer layer)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 상에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이 노출된 오프닝을 가지는 제 2 유기 폴리머막(second organic polymer layer)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은 감광성 유기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오프닝을 덮는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silicon containing polymer layer)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은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보다 얇은 두께로 도포할 수도 있고, 두꺼운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을 도포한 후 에치백할 수도 있다.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을 산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을 이방성 에슁한다.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하부층을 식각하여 패턴을 형성한다.
이하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 도록 한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5a 및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기판(50) 상에 하부막(52)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막(52) 상에 제 1 유기 폴리머막(54) 및 제 2 유기 폴리머막(56)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은 반사방지막(ARC;Anti-Reflection coating)의 역할과 식각마스크의 역할을 하는 막으로서, 식각될 하부막(52)의 두께 및 종류에 따라 가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은 두꺼운 하부막(52)을 식각하는 동안 충분한 식각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식각마스크가 두꺼워져도 공정상 오초점 허용치(Defocus margin)이 줄어들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은 0.5 내지 3㎛의 두께의 포토레지스트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56)은 감광성 유기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56)은 레티클의 이미지가 전사되는 막으로서 공정상 오초점 허용 치를 높이기 위하여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56)은 포토레지스트막으로 형성할 수 있고, 두께은 0.1 내지 0.5㎛ 정도의 얇은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56)은 노광광의 파장을 고려하여 그 두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56)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이 노출된 개구부를 가지는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56p)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56)은 사진식각 공정을 적용하여 패터닝할 수 있다.
예컨대, 0.2㎛의 ArF 포토레지스트막을 코팅하고 90℃에서 90초간 소프트 베이크를 실시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은 파장 193㎚의 빛으로 노광하고 100℃에서 90초간 노광후 베이크(post exposure bake)를 실시한 후, 2.38%의 TMAH로 60초간 현상함으로써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56p)을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56)이 형성된 기판의 전면에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을 형성한다.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은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56p)이 덮일 정도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한다.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은 아래 화학식과 같이 실리콘을 함유하는 반응기를 가지는 반복단위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4024528931-pat00001
Figure 112004024528931-pat00002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Me는 메틸기를 표시한다. 그러나,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의 작용기는 메틸기에 한정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다른 작용기를 포함하는 알킬기가 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을 에치백하여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56p)을 노출시킨다. 그 결과,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56p) 상의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이 제거되고,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은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이 노출된 오프닝 상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은 플루오르카본계의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에치백할 수 있다. 예컨대 5 sccm 내지 800 sccm의 CF4를 베이스로 Ar, CHF3, C4F6, C2F6 및 N2 를 각각 0 내지 200 sccm 공급하여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을 에치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56p)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을 이방성 에슁한다. 이 때,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의 실리콘과 산소가 결합하여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은 산화막 글래스(oxide glass)로 경화된다. 따라서,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한 이방성 에슁에서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은 에슁 마스크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56p) 및 그 하부의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이 제거되어 상기 하부막(52)이 노출된 오프닝(60)이 형성된다. 이 때, 산소 플라즈마 발생시 불활성 가스 플라즈마 또는 질소 플라즈마가 더 부가될 수도 있다. 예컨대, 1 내지 100 mL/min 의 O2를 베이스로 Ar, N2 및 HBr를 각각 0 내지 500 mL/min 공급하여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56p)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을 에슁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오프닝(60)에 노출된 하부막(52)을 식각하여 기판(50)이 노출된 오프닝(62)를 갖는 하부막 패턴(52p)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하부막(52)이 실리콘산화막인 경우 상기 하부막(52)을 식각하는 동안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의 산화막 글래스가 함께 제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을 두껍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은 상기 하부막(52)을 식각하는 동안 식각 배리어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을 제거한다.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은 알칼리 용액과 같은 일반적인 포토레지스트 스트립 용액을 이용하여 습식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이 제거되지 않았더라도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을 습식 제거함으로써 상기 하부막 패턴(52p) 상의 폴리머막은 모두 제거될 수 있다.
도 3b 내지 도 5b 및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들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기판(50) 상에 하부막(52)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막(52) 상에 제 1 유기 폴리머막(54) 및 제 2 유기 폴리머막(66)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은 반사방지막(ARC;Anti-Reflection coating)의 역할과 식각마스크의 역할을 하는 막으로서, 식각될 하부막(52)의 두께 및 종류에 따라 가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은 두꺼운 하부막(52)을 식각하는 동안 충분한 식각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식각마스크가 두꺼워져도 공정상 오초점 허용치(Defocus margin)이 줄어들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은 0.5 내지 3㎛의 두께의 포토레지스트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66)은 감광성 유기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66)은 레티클의 이미지가 전사되는 막으로서 공정상 오초점 허용치를 높이기 위하여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66)은 포토레지스트막으로 형성할 수 있고, 두께은 0.1 내지 0.5㎛ 정도의 얇은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66)은 노광광의 파장을 고려 하여 그 두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66)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이 노출된 개구부를 가지는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66p)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66)은 사진식각 공정을 적용하여 패터닝할 수 있다.
예컨대, 0.2㎛의 ArF 포토레지스트막을 코팅하고 90℃에서 90초간 소프트 베이크를 실시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은 파장 193㎚의 빛으로 노광하고 100℃에서 90초간 노광후 베이크(post exposure bake)를 실시한 후, 2.38%의 TMAH로 60초간 현상함으로써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66p)을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66)이 형성된 기판의 전면에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을 형성한다.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은 상기 r 개구부를 2/3 만큼 채울정도로 얇게 도포한다. 즉,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66) 상에는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이 도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은 아래 화학식과 같이 실리콘을 함유하는 반응기를 가지는 반복단위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4024528931-pat00003
Figure 112004024528931-pat00004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Me는 메틸기를 표시한다. 그러나,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의 작용기는 메틸기에 한정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다른 작용기를 포함하는 알킬기가 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을 에치백하여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66p)을 노출시킨다. 그 결과,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66p) 상의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이 제거되고,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은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이 노출된 오프닝 상에 형성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66p)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을 이방성 에슁한다. 이 때,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의 실리콘과 산소가 결합하여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은 산화막 글래스(oxide glass; 58r)로 경화된다. 따라서,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한 이방성 에슁에서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은 에슁 마스크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66p) 및 그 하부의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이 제거되어 상기 하부막(52)이 노출된 오프닝(60)이 형성된다. 이 때, 산소 플라즈마 발생시 불활성 가스 플라즈마 또는 질소 플라즈마가 더 부가될 수도 있다. 예컨대, 1 내지 100 mL/min 의 O2를 베이스로 Ar, N2 및 HBr를 각각 0 내지 500 mL/min 공급하여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66p)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을 에슁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오프닝(60)에 노출된 하부막(52)을 식각하여 기판(50)이 노출된 오프닝(62)를 갖는 하부막 패턴(52p)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하부막(52)이 실리콘산화막인 경우 상기 하부막(52)을 식각하는 동안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의 산화막 글래스(58r)가 함께 제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을 두껍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은 상기 하부막(52)을 식각하는 동안 식각 배리어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을 제거한다.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은 알칼리 용액과 같은 일반적인 포토레지스트 스트립 용액을 이용하여 습식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58)이 제거되지 않았더라도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54)을 습식 제거함으로써 상기 하부막 패턴(52p) 상의 폴리머막은 모두 제거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막 패턴(52p)은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66p)이 역전사된다. 즉,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66p)은 상기 하부막 패턴(52p)의 오프닝으로 전사되고,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패턴(66p)의 오프닝은 상기 하부막 패턴(52p)의 오프닝으로 전사된다. 따라서, 하부막의 식각 면적이 넓은 공정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노광 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두꺼운 식각마스크와 얇은 이미지 전사층으로 이용되는 이중 유기 폴리머막을 제공함으로써, 식각 배리어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오초점 마진을 높일 수 있다.

Claims (23)

  1. 하부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제 1 유기 폴리머막(first organic polymer layer)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 상에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이 노출된 오프닝을 가지는 제 2 유기 폴리머막(second organic polymer layer)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프닝을 덮는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silicon containing polymer layer)을 형성하는 단계;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을 산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을 이방성 에슁하는 단계; 및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하부층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은 감광성 유기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은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보다 얇은 두께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오프닝 및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을 덮는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을 도포하는 단계;및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을 에치백하여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은 플루오르카본계 플라즈마로 에치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 및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을 에슁하는 단계에서,
    불활성 가스 플라즈마 또는 질소 플라즈마를 더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은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은 다음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Figure 112004024528931-pat00005
    상기 식에서 Me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은 다음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Figure 112004024528931-pat00006
    상기 식에서 Me는 메틸기를 표시한다.
  10. 하부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제 1 유기 폴리머막 및 감광성 제 2 유기 폴리머막을 차례로 도포하는 단계;
    사진식각공정을 적용하여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이 노출된 오프닝을 갖는 제 2 유기 폴리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 패턴 및 상기 오프닝을 덮는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을 에치백하여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을 덮고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 패턴을 노출시키는 단계;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을 경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 패턴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을 이방성 에슁하는 단계;및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하부층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은 비감광성 유기 폴리머막이고,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은 감광성 유기 폴리머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기막 및 상기 제 2 유기막은 감광성 유기 폴리머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은 다음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Figure 112004024528931-pat00007
    상기 식에서 Me는 메틸기를 표시한다.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은 다음 화학식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Figure 112004024528931-pat00008
    상기 식에서 Me는 메틸기를 표시한다.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은 플루오르카본계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에치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 패턴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을 이방성 에슁하는 단계에서,
    불활성 가스 플라즈마 또는 질소 플라즈마를 더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은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보다 얇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18. 하부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제 1 유기 폴리머막 및 감광성 제 2 유기 폴리머막을 차례로 도포하는 단계;
    사진식각공정을 적용하여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이 노출된 오프닝을 갖는 제 2 유기 폴리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프닝을 덮는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을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 패턴보 다 얇게 도포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을 에치백하여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을 덮고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 패턴을 노출시키는 단계;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을 경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 패턴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을 이방성 에슁하는 단계;및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하부층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은 비감광성 유기 폴리머막이고,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막은 감광성 유기 폴리머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기막 및 상기 제 2 유기막은 감광성 유기 폴리머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은 다음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Figure 112004024528931-pat00009
    상기 식에서 Me는 메틸기를 표시한다.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폴리머막은 다음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Figure 112004024528931-pat00010
    상기 식에서 Me는 메틸기를 표시한다.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기 폴리머 패턴 및 상기 제 1 유기 폴리머막을 이방성 에슁하는 단계에서,
    불활성 가스 플라즈마 또는 질소 플라즈마를 더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패턴 형성 방법.
KR1020040041436A 2004-06-07 2004-06-07 패턴 형성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10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436A KR100610762B1 (ko) 2004-06-07 2004-06-07 패턴 형성 방법
US11/145,535 US7575855B2 (en) 2004-06-07 2005-06-03 Method of forming pattern
US12/511,538 US7842451B2 (en) 2004-06-07 2009-07-29 Method of forming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436A KR100610762B1 (ko) 2004-06-07 2004-06-07 패턴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281A KR20050116281A (ko) 2005-12-12
KR100610762B1 true KR100610762B1 (ko) 2006-08-08

Family

ID=3548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4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0762B1 (ko) 2004-06-07 2004-06-07 패턴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575855B2 (ko)
KR (1) KR100610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8810B2 (en) * 2010-01-29 2011-11-0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for metal gate N/P pattern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7003A (en) 1990-07-06 1995-10-10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Negative working resist material,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 same and process of forming resist patterns using the same
JPH07135140A (ja) 1993-06-25 1995-05-23 Kawasaki Steel Corp 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JPH07104483A (ja) 1993-10-05 1995-04-21 Hitachi Ltd パターンの形成方法
US6358675B1 (en) 1998-10-02 2002-03-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ilicon-containing alcohols and polymers having silicon-containing tertiary ester groups made therefrom
KR20010011765A (ko) 1999-07-30 2001-02-15 김영환 레지스트 수지 및 이 수지를 이용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형성방법
JP3874989B2 (ja) 2000-03-21 2007-01-31 シャープ株式会社 パターンの形成方法
JP4095763B2 (ja) 2000-09-06 2008-06-04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75855B2 (en) 2009-08-18
KR20050116281A (ko) 2005-12-12
US20050282092A1 (en) 2005-12-22
US20090291561A1 (en) 2009-11-26
US7842451B2 (en) 201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4847B2 (en) Method of trimming technology
US784684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a spacer as an etch mask for forming a fine pattern
KR100479600B1 (ko) 콘택 형성 방법
US8268535B2 (en) Pattern formation method
US6509137B1 (en) Multilayer photoresist process in photolithography
KR101096194B1 (ko)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
US5922516A (en) Bi-layer silylation process
KR10084389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N111640657B (zh) 半导体器件及其形成方法
KR100610762B1 (ko) 패턴 형성 방법
KR19980028362A (ko) 반도체소자의 미세 패턴 제조방법
US6686129B2 (en) Partial photoresist etching
KR100598103B1 (ko) 패턴 형성 방법
KR10082748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패턴 형성 방법
KR950004977B1 (ko) 반도체 소자의 감광막 미세 패턴 형성방법
JP2010118501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30050172A (ko) 반도체 소자의 감광막 패턴 형성 방법
KR100369866B1 (ko) 반도체소자의미세콘택홀형성방법
KR100623613B1 (ko) 단차를 갖는 포토마스크 제작방법
KR20090118663A (ko)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방법
KR100567874B1 (ko) 반도체 소자의 패터닝 방법
KR960000232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패턴 형성방법
KR20080020186A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20090044820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80092154A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