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8522B1 - 멀티모드 동적 빔 랜딩 교정 회로 - Google Patents

멀티모드 동적 빔 랜딩 교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522B1
KR100608522B1 KR1019990032227A KR19990032227A KR100608522B1 KR 100608522 B1 KR100608522 B1 KR 100608522B1 KR 1019990032227 A KR1019990032227 A KR 1019990032227A KR 19990032227 A KR19990032227 A KR 19990032227A KR 100608522 B1 KR100608522 B1 KR 100608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voltage
signal
focus voltage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128A (ko
Inventor
크라익랜디웨인
조지존바렛
Original Assignee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17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6Modifications of scanning arrangements to improve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기적인 동적 포커스 전압 블랭킹 신호의 신호원을 포함하는 비디오 화상화 장치를 제공한다. 동적 포커스 전압 증폭기는, 제1 상태에 있을 때, 동적 포커스 전압 블랭킹 신호에 응답하여 동적 포커스 전압을 포커스 전극에 인가하고, AKB(Automatic Kine Bias)를 측정하는 제2 상태에 있을 때, 동적 포커스 전압의 인가를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포커스 전압 블랭킹 신호에 응답하는 제2 스위치는 동적 포커스 전압이 디스에이블될 때, 증폭기단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증폭기에 접속된다. 인가된 전류는 과도 현상을 감소시키도록 동적 포커스 전압을 인에이블(enable)한 직후에 설정된 레벨에 근접한 레벨로 포커스 전압을 조절한다.

Description

멀티모드 동적 빔 랜딩 교정 회로{MULTIMODE DYNAMIC BEAM LANDING CORRECTION CIRCUIT}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수평 편향 회로 출력단과 동적 포커스 전압 발생기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지연 회로의 도면.
도 3과 도 4는 도 1에 따른 지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 포커스 전극
60: 스위칭 회로
97: 증폭기
98, 98′: 버퍼
99: 동적 포커스 전압 발생기
100: 전원
101: 수평 편향 회로 출력단
103: 드라이버단
104: 스위칭 트랜지스터
108: 덤퍼 다이오드
200: 지연회로
201: 저항
202: 비교기
203: 적분기
204~207: 플립플롭
208: 마이크로프로세서
209: 변환기
본 발명은 빔 랜딩 왜곡 교정 장치(beam landing distortion correction arrangement)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CRT) 상에 표시된 화상은 CRT 상의 빔의 주사에 대해서 입사되는 디포커싱(defocusing) 또는 비선형성과 같은 결함 또는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함 또는 왜곡은 빔이 예컨대 수평 방향으로 편향될 때 CRT의 전자총으로부터 화면까지의 거리가 현저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빔이 수평 방향으로 편향될 때 발생하는 디포커싱을 저감하는 것은 예를 들면 수평 레이트에서 포물선 전압 성분을 갖는 동적 포커스 전압을 생성하고 그 포커스 전압을 동적으로 변화하도록 이 동적 포커스 전압을 CRT의 포커스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수평 편향 출력단의 S자형 커패시터에서 생성된 S-교정 전압으로부터 수평 레이트에서 포물선 전압 성분을 도출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동적 포커스를 채용하는 CRT는 동적 포커스 전압을, 예컨대 청색 전자총에 근접하게 설정하는 내부 권선을 구비할 수 있다. 정상 동작 시에, 청색 전자총과의 근접함은 어떠한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AKB(Automatic Kine bias) 측정 기간이라고 칭해지는, 저전류 바이어스 측정이 AKB(Automatic Kine bias) 회로에서 행해질 때, 즉 수직 귄선에 바로 후속하는 여러 비디오 라인 시간 동안에, 동적 포커스 전압의 수평 성분의 표유 결합(stray coupling)은 청색 전자총의 캐소드 전극의 바이어스 오차를 일으킬 수 있다. 그 결과, 청색 전자총의 바이어스는 녹색 및 적색 전자총의 바이어스를 트랙킹(tracking)할 수 없다. 이는 허용할 수 없는 배경색 온도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AKB 측정 기간 중에, 수평 동적 포커스 전압 성분을 포커스 전극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포커스 전극의 원치않는 결합이 바람직하게 제거된다. 또한, AKB 측정 기간의 종료 후에, 포커스 전압의 큰 과도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과도 현상은 AKB 측정 기간 후에, 수평 동적 포커스 전압이 재충전될 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로를 동작시킬 때, 수직 귀선 중에 그리고 AKB 측정 기간 중에, 포커스 전압 증폭기는 동적 포커스 회로로부터의 에너지를 AKB 회로에 공급하는 것을 막는다. 대신에, AKB 측정 기간 중에, 합산된 포물선 전압 성분의 정(+)의 피크와 거의 같은 증폭기의 출력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정전류가 부하 저항에 공급된다. 유리하게, 이것은 AKB 측정 기간에 후속하여 제1 가시 수평 라인의 왼쪽 끝에서 수직 주사가 재개될 때 수백 볼트의 전술한 과도 포커스 전압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행해진다.
본 발명의 양상을 구현한 비디오 화상화 장치는, 포커스 전압 교정 입력 신호에 응답하는 제1 입력을 구비하고 포커스 전극에 결합되는 포커스 전압의 동적 포커스 전압 성분을 출력에서 발생시키는 증폭기를 포함한다. 제1 반도체 스위치는 주기적 제어 신호에 응답하고 편향 사이클의 포커스 카인 바이어스(automatic kine bias) 측정 기간 중에, 포커스 전압 교정 입력 신호의 신호 경로에 결합하여 동적 포커스 전압 성분을 디스에이블한다. 제2 반도체 스위치는 주기적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포커스 카인 바이어스 측정 기간 중에, 포커스 전압을 제어하도록 제2 입력 신호를 증폭기의 제2 입력에 공급하기 위해 증폭기에 접속된다. 포커스 카인 바이어스 측정 기간 외에서, 제2 입력 신호는 증폭기로부터 분리된다.
도 1a는 다중 주사 주파수 특성을 가진 텔레비전 수신기의 수평 편향 회로 출력단(101)을 도시한다. 그 출력단(101)에는 공급 전압 B+를 발생시키는 조절된 전원(100)이 공급된다. 종래의 드라이버단(103)은 선택된 수평 주사 주파수 nfH에서 입력 신호(107a)에 응답한다. 드라이버단(103)은 출력단(101)의 스위칭 트랜지스터(104)에서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제어 신호(103a)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n=1의 값은 방송 표준과 같은 주어진 표준에 따른 텔레비전 신호의 수평 주파수를 나타낸다. 트랜지스터(104)의 콜렉터는 플라이백(flyback) 변압기(T0)의 주 권선(TOW1)의 단자(T0A)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04)의 콜렉터는 또한 스위치되지 않은 귀선 커패시터(105)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04)의 콜렉터는 귀선 공진 회로를 형성하도록 수평 편향 권선(LY)에 추가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04)의 콜렉터는 종래의 덤퍼 다이오드(108)에도 접속된다. 권선(LY)은 선형 인덕터(LIN) 및 스위칭되지 않은 트레이스 또는 S-커패시터(CS1)와 직렬로 접속된다. 단자(25)가 인덕터(LIN)와 S-커패시터(CS1) 사이에 접속되도록 커패시터(CS1)는 단자(25)와 기준 전위 또는 접지(GND) 사이에 접속된다.
출력단(101)은 편향 전류(iy)를 생성할 수 있다. 편향 전류(iy)는 2fH 내지 2.4fH의 범위에서 선택된 신호(103a)의 임의로 선택된 수평 주사 주파수와 1fH의 선택된 수평 주파수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소정의 진폭을 갖는다. 편향 전류(iy)의 진폭을 제어하는 것은 편향 전류(iy)의 일정 진폭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평 주파수가 증가할 때 전압 B+을 자동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되며, 그 역도 성립한다. 전압 B+은 변압기(T0)의 피드백 권선(T0W0)을 경유하는 폐루프 구성에서 동작하는 종래의 조절 전원(100)에 의해 제어된다. 전압 B+의 크기는 전류(iy)의 진폭을 나타내는 크기를 갖는 정류되어 피드백된 플라이백 펄스 신호(FB)에 따라서 설정된다. 수직 레이트 포물선 신호(E-W)는 도시되지 않은 종래의 방식으로 발생된다. 신호(E-W)는 통상적으로 동서(East-West) 왜곡 교정을 제공하도록 전압 B+의 수직 레이트 포물선 성분을 생성하도록 전원(100)에 공급된다.
스위칭 회로(60)는 선형성과 같은 빔 랜딩 에러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회로(60)는 선택적으로 트레이스 커패시터(CS1)와 병렬로, 트레이스 또는 S-커패시터(CS2)와 트레이스 또는 S-커패시터(CS3) 중 하나를 또는 양쪽을 접속하거나 모두를 접속하지 않는다. 선택적 접속은 수평 주사 주파수가 선택되는 주파수 범위의 함수로 결정된다. 스위칭 회로(60)에서, 커패시터(CS2)는 단자(25)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스위치(Q2)의 드레인 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2)의 소스 전극은 접지(GND)에 접속된다. 과도 전압이 트랜지스터(Q2)를 지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저항(R2)이 트랜지스터(Q2)에 걸쳐 접속된다.
저항(201)은 스위치 제어 신호(60a, 60b)를 제공한다. 제어 신호(60a)는 버퍼(98)를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된다. 제어 신호(60a)가 제1 선택가능 레벨에 있을 때,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된다. 한편, 제어 신호(60a)가 제2 선택가능 레벨에 있을 때, 트랜지스터(Q2)는 턴온된다. 버퍼(98)는 종래의 방식으로 상기 언급된 스위칭 동작을 달성하기 위해 신호(60a)의 요구되는 레벨 시프팅을 제공한다.
스위칭 회로(60)에서, 커패시터(CS3)는 단자(25)와 FET 스위치(Q2′)의 드레인 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FET 스위치(Q2′)는 FET 스위치(Q2)가 제어 신호(60a)에 의해 제어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 신호(60b)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므로, 버퍼(98′)는 버퍼(98)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8)는 주파수-데이터 신호 변환기(209)에서 발생된 데이터 신호(209b)에 응답한다. 신호(209b)는 동기 신호(HORZ-SYNC)의 주파수 또는 편향 전류(iy)를 나타내는 수치값을 갖는다. 변환기(209)는, 예컨대 신호(HORZ-SYNC)의 주어진 주기 동안, 클록 펄스의 수를 카운트하고 주어진 주기동안 발생하는 클록 펄스의 수에 따라서 워드 신호(209b)를 발생시키는 카운터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8)는 저항(201)의 입력부에 접속된 제어 데이터 신호(208a)를 발생시킨다. 제어 데이터 신호(208a)의 값은 신호(HORZ-SYNC)의 수평 레이트에 따라서 결정된다. 저항(201)은 데이터 신호(208a)에 따라서, 신호(HORZ-SYNC)의 수평 레이트에 따른 신호(208a)에 의해 결정되는 레벨에서 제어 신호(60a, 60b)를 발생시킨다. 이와 다르게, 신호(208a)의 값은 도시되지 않은 키보드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109b)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평 편향 전류(iy)의 주파수가 1fH일 때, 트랜지스터(Q2, Q2′)는 턴온된다. 결과적으로, S-커패시터(CS2, CS3)는 모두 스위치되지 않은 S-커패시터(CS1)와 병렬로 접속되며 최대 S-용량값을 설정하는 내장된 S-커패시터이다. 수평 편향 전류(iy)의 주파수가 2fH와 같거나 그보다 크고 2.1fH보다 작을 때,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되고 트랜지스터(Q2′)는 턴온된다. 결과적으로, S-커패시터(CS2)는 스위칭되지 않은 S-커패시터(CS1)로부터 분리되고, S-커패시터(CS3)는 중간 S-용량값을 설정하기 위해 S-커패시터(CS1)에 접속된다. 수평 편향 전류(iy)의 주파수가 2.14fH보다 크거나 같을 때, 트랜지스터(Q2, Q2′)는 턴오프된다. 결과적으로, S-커패시터(CS2, CS3)는 스위칭되지 않은 S-커패시터(CS1)로부터 분리되고 최소 S-용량값을 설정한다. 커패시터(CS1, CS2, CS3) 내의 편향 전류(iy)는 S자형 포물선 전압(V5)을 생성한다.
커패시터(105)에 의해 형성된 전체 귀선 용량은 다른 주사 주파수에서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귀선 기간은 다른 주파 주파수에서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커패시터(CS1, CS2, CS3)의 값은 다른 주사 주파수에서의 다른 진폭에서 포물선 전압 V5를 생성하도록 선택된다. 귀선 기간 길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전압 V5의 다른 진폭이 필요하다.
도 1b는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한 동적 포커스 전압 발생기(99)를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의 동일한 소자와 기능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 및 숫자를 표시한다. 도 1b의 전압 V5는 부(-)로 진행하는 귀선 피크를 갖는다. 포물선 전압 V5의 피크 간 진폭은 16KHz 또는 1fH에서 약 60V, 2fH에서 80V 및 2.4fH에서 125V이다. 포물선 전압(V5)은 커패시터(C4)를 경유하여 저항(R16)에 용량 결합된다.
저항(R16) 및 저항(CDS)을 포함하는 제어 전압 분배기 또는 감쇠기는 감쇠된 포물선 전압(V5′)을 단자(120)에 인가한다. 전압 분배기의 감쇠는 광결합기(PC1)의 일부인 카드뮴 술폰산 광 저항(CDS)의 전도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 광 저항(CDS)은 광결합기(PC1)의 일부인 발광 다이오드(LED)로부터의 광에 응답한다. 다이오드(LED)로부터의 광은 달링턴(Darlington) 트랜지스터(Q10)로부터의 전류에 응답한다. 달링턴 트랜지스터(Q10)와 달링턴 트랜지스터(Q11)는 저항(R19), 저항(R23) 및 저항(R24)에 서로 접속되어 차동 증폭기를 형성한다. 달링턴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는 저항(R11)과 저항(R12)에 의해 형성된 저항성 분배기를 경유하여 12V 전원으로부터 유도된 3 볼트의 일정 기준 전압에 접속된다.
전압(V5′)의 DC 성분은 거의 0 볼트이다. AC 성분은 저항(R16, CDS) 및 저항(R17)에 의해 결정된다. 저항(CDS)의 값은 발광 다이오드(LED)로부터의 광 에너지에 의해 결정된다. 전압(V5′)의 AC 성분, 전압(V5″)는 커패시터(C21)를 통해 달링턴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와 클램핑(clamping) 다이오드(D6)의 음극에 접속된다. 전압(V5″)의 부의 피크는 클램핑 다이오드(D6)에 의해 -0.6볼트로 유지된다. 전압(V5″)의 정의 피크는 달링턴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서 +3 볼트의 레벨을 초과할 때 달링턴 트랜지스터(Q10)를 턴온한다. 달링턴 트랜지스터(Q10)가 턴온할 때, 전류는 다이오드(LED)를 통해 흐르고, 광속이 발생된다. 이 광속은 그 저항값과, 전압(V′)의 진폭 및 전압(V″)의 진폭을 감소하도록 저항(CDS) 상에 작용한다. 저항(CDS)의 저항값 변화의 응답 속도는 매우 느리다. 이것은 부의 피드백 루프에서 저역통과 필터의 역할을 한다. V5″의 정의 피크값이 +3V까지 하강하면, 트랜지스터(Q10)의 온 시간은 짧아지고 다이오드(LED)로부터의 평균 광 에너지는 균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감소한다. 전압 V5″의 정의 피크 진폭은 +3 볼트보다 약간 크게 유지된다. 전압 V5″및 V5′의 피크 간 진폭은 입력 주파수 또는 진폭과 무관하게 약 4볼트로 유지된다.
저항(CDS)과 저항(R16)의 접합 단자(120)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V5′)은 커패시터(C3), 저항(R17) 및 커패시터(C24)를 통해 포커스 증폭기(97)의 합산된 접합 입력 단자(121)에 용량 결합된다. 저항(CDS)의 이득 제어 기능은 1fH, 2fH 및 2.4fH 레이트에서 동일한 피크 간 진폭을 갖도록 단자(121)에서 전압을 조절하는 것이다.
커패시터(C3)는 수평 포물선에 대한 용량 결합을 제공한다. 커패시터(C10)는 도시되지 않은 종래의 방법으로 단자(121)에서 발생된 수직 포물선(V8)을 용량 결합한다. 포커스 증폭기(97)의 직류 동작점은 용량 결합이 직류 성분을 제거하기 때문에, 포물선 신호에 의해서가 아니라 저항(R5)에 의해 결정된다. 커패시터(C24)는 수평 포커스 교정이 적절하게 타이밍되도록 증폭기(97)의 도시되지 않은 표유 입력 용량에 의해 초래된 위상 지연을 교정한다.
증폭기(97)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5)와 트랜지스터(Q6)는 서로 결합하여 차동 입력단을 형성한다. 이들 트랜지스터는 단자(121)에서 입력 임피던스를 증가시키는 베타(beta)로서 칭해지는, 매우 높은 콜렉터 전류 대 베이스 전류 비를 갖는다. 트랜지스터(Q5, Q6)의 베이스-에미터 접합 전압은 서로 보상하며 온도 변화를 가진 직류 바이어스 편차를 감소시킨다. 저항(R11)과 저항(R12)은 약 +3V 에서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 전압을 바이어스하기 위해 +12V로 공급 전압(V10)에 인가되는 전압 분배기를 형성한다. 트랜지스터(Q5, Q6)의 에미터에 접속되는 에미터 저항(R10)의 값은 약 6mA의 최대 전류를 전하도록 선택된다. 이것은 고전압 트랜지스터(Q20)를 보호한다. 트랜지스터(Q20)는 스위치로서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13)를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5)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20)는 트랜지스터(Q13)를 경유하여 캐스코드 구성(cascode arrangement)으로 트랜지스터(Q5)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20)는 트랜지스터(Q20)가 1OmA 콜렉터 전류까지만 견딜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하게 구동되지 않게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는 증폭기(97)가 6mA까지의 콜렉터 전류에서 높은 상호컨덕턴스와 6mA 이상에서 낮은 상호컨덕턴스를 갖기 때문에 성취된다. 트랜지스터(Q20, Q13, Q5)의 캐스코드 구성은 도시되지 않은 밀러 용량을 트랜지스터(Q20)의 콜렉터 베이스 접합을 통해 고립시키고, 그럼으로써 대역폭이 증가된다. 또한 캐스코드 구성은 고전압 트랜지스터(Q20)의 낮은 베타와 무관하게 증폭기 이득을 생성한다.
도 1a의 변압기(T0)의 권선(T0W3)은 다이오드(D12) 내에서 정류되고 커패시터(C13) 내에서 필터링되는 승압 귀선 전압을 생성하고, 도 1b의 동적 포커스 전압 발생기(99)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공급 전압(VSU)을 생성한다. 능동 풀업(pull-up) 트랜지스터(Q1)는 공급 전압(VSU)에 결합된 콜렉터를 갖는다.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풀업 저항(R1)은 다이오드(D7)와 커패시터(C26)를 포함하는 부트스트랩(bootsrap) 또는 부스트 장치(boosting arrangement)를 통해 전압(VSU)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5)는 저항(R1)과 직렬로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20)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4)는 단자(97a)로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Q20)의 콜렉터 사이에 접속된다.
단자(97a)의 출력 파형의 부의 피크 중에, 다이오드(D7)는 그 다이오드(D7)의 음극에서 커패시터(C26)의 종단을 +1600V 공급 전압(VSU)으로 고정시키고 트랜지스터(Q20)는 커패시터(C16)의 다른 종단을 접지 전원에 근접하도록 끌어 당긴다. 트랜지스터(Q1)는 다이오드(D4, D5)의 동작에 의해 대기 상태가 된다. 단자(97a)의 전압이 상승할 때, 커패시터(C26) 내에 저장된 에너지는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저항(R1)을 지나는 전압은 트랜지스터(Q1)를 지나는 콜렉터-대-에미터 전압이 0에 접근하더라도 높게 유지되어 트랜지스터(Q1)에서의 베이스 전류는 유지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전류는 유지된다. 단자(97a)의 출력의 정의 피크는 왜곡없이 +1600V 공급 전압(VSU)에 매우 가깝게 접근할 수 있다.
커패시터(C1)의 용량은 포커스 전극(17) 및 배선의 표유 용량의 합을 나타낸다. 능동 풀업 트랜지스터(Q1)는 표유 용량(C1)을 충전하기 위해서 단자(97a)로부터의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풀다운 트랜지스터(Q20)는 커패시터(C1)로부터 다이오드(D4)를 경유하여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능동 풀업 장치는 전력 소비가 낮은 빠른 응답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증폭기(97)는 피드백 저항(R2)을 경유하여 단자(97a)에서의 출력에 대해서 분로 피드백을 사용한다. 저항(R17, R2)은 단자(97a)에서 1000V의 수평 레이트 전압을 생성하도록 선택된다. 결과적으로, 증폭기(97)의 전압 이득은 수백이 된다.
전압 V5에 의해 발생된 수평 레이트와 전압 V8에 의해 발생된 수직 레이트에서의 동적 포커스 전압 성분은 동적 포커스 전압(FV)을 생성하기 위해 CRT(10)의 포커스 전극(17)에 직류 블록킹 커패시터(C22)를 경유하여 용량 결합된다. 저항(R28) 및 저항(R29)에 의해 형성된 전압 분배기에 의해 생성된 전압(FV)의 직류 전압 성분은 8KV와 같다.
주기적인 제어 신호(V13)는 수직 블랭킹(blanking) 중에, 그리고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AKB 측정 기간으로 언급되는, 수직 블랭킹에 후속한 4개의 비디오 라인 시간 중에, 하이 상태에 있다. 신호(V13)는 3 또는 4와 같은 비디오 라인 횟수의 적절한 수만큼 종래의 수직 블랭킹 신호(VERT-BLANK)를 지연시키는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한 지연 회로(200)에 의해 생성된다.
도 3의 (a)와 (b) 및 도 4의 (a) 내지 (d)는 도 2의 지연 회로(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을 도시한다. 도 4의 (a) 내지 (d)의 파형은 도 3의 (a)와 (b)의 파형에 대해서 확대된 시간 베이스가 도시된다. 도 1a, 도 1b, 도 2, 도 3의 (a)와 (b), 및 도 4의 (a) 내지 (d)의 동일한 소자 또는 기능에는 동일한 부호와 숫자가 표시된다.
도 2의 구성에서, 도 3의 (a)의 종래의 합성 블랭킹 신호(COMP-BLANK)는 도 2의 커패시터(C99)에 결합된 저항(R99)을 포함하는 비대칭 적분기(203)에 공급된다. 저항(R99)은 비대칭 특징을 제공하기 위한 다이오드(D99)와 병렬로 결합된다. 비대칭 적분기(203)는 저항(R99)과 커패시터(C99)의 긴 시정수를 사용하여 도 3의 (a)의 수평 블랭킹 펄스(HB)를 제거하는 동시에, 다이오드(D99)와 커패시터(C99)의 빠른 시정수로 시간(t2)에서 블랭킹 지연 엣지를 회복한다.
합성 블랭킹 신호(COMP-BLANK)를 얻기 위해, TDA9151형의 종래의 편향 프로세서(201)는 신호(SC)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클램핑 펄스를 제거하는 비교기(202)에 결합된 샌드캐슬 신호(sandcastle signal)(SC)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도 3의 (a)의 신호(COMP-BLANK)는 수직 블랭킹 기간(VB) 중에 그리고 수평 블랭킹 펄스(HB) 중에 로우 상태에 있다. 한편, CRT 블랭킹이 필요하지 않을 때, 신호(COMP-BLANK)는 하이 상태에 있다.
도 2의 적분기(203)는 도 3의 (b)의 저역통과 필터링된 신호(VERT-BLANK)를 생성하기 위해 도 3의 (a)의 수평 블랭킹 펄스(HB)를 필터링한다. 신호(VERT-BLANK)는 도 2의 적분기(203)에 의해 발생된 짧은 지연에 의해, 시간(t1)에서 로우 상태가 된다. 신호(VERT-BLANK)는 수직 블랭킹 기간(VB)의 도 3의 (a)의 종료 시간(t2)으로부터의 짧은 지연 시간에 후속하여 도 3의 (b)의 시간(t3)에서 하이 상태가 된다. 지연 시간(t2~t3)은 도 2의 다이오드(99)를 경유하는 빠른 충전 동작 때문에 유리하게 단축되고, 소자들의 허용오차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신호(VERT-BLANK)는 D형 플립플롭(204)의 데이터 입력(204a)에 공급된다. 플립플롭(204)의 반전 출력(204b)은 D형 플립플롭(204)의 데이터 입력(205a)에 접속된다. 플립플롭(205)의 출력(205b)은 D형 플립플롭(206)의 데이터 입력(206a)에 접속된다. 플립플롭(206)의 출력(206b)은 D형 플립플롭(207)의 데이터 입력(207a)에 접속된다.
플립플롭(207)의 출력(207b)과 플립플롭(204)의 반전 출력(204b)은 저항성 논리 OR 기능을 위해 각각 저항(208) 및 저항(209)을 경유하여 접합 단자(210)에 접속된다. 플립플롭(204~207)은 플라이백 펄스 신호(FLYB)의 정(+)으로 진행되는 선행 엣지에서 클록킹되는 4단 시프트 저항을 형성한다.
플립플롭(204)은 도 3의 (c)의 시간(t1)에서 단자(210)에서의 신호(V13)의 상승 엣지를 수직 블랭킹 기간(VB)의 시작 시간에서, 도 3의 (a)의 시간(t0)에 접근하게 한다. 도 3의 (a)의 수직 블랭킹 기간(VB)의 종료 시간(t2)에 바로 후속하는 도 3의 (b)의 시간(t3)에서, 신호(VERT-BLANK)는 하이 상태가 된다. 도 2의 플립플롭(204~207)의 동작은 도 3의 (c)의 기간(t3~t4)동안 신호(V13)를 하이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도 2의 플립플롭(204)은 도 4의 (b)의 신호(FLYB)의 제1 펄스[FLYB(1)]가 발생할 때 상태를 바꾼다. 펄스[FLYB(1)]는 도 4의 (b)의 시간(t3)에서 신호(VERT-BLANK)의 하강 엣지를 따라 발생한다. 도 4의 (b)의 신호(FLYB)의 제4 펄스[FLYB(4)]가 도 2의 플립플롭(204)에서의 상태 변화에 따라 발생할 때, 플립플롭(207)은 상태를 바꾸고 도 4의 (c)의 시간(t4)에서 신호(V13)의 하강 엣지를 생성한다. 그러므로, 지연 시간(t3~t4)은 정확하게 타이밍된 신호(FLYB)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시간(t4)에서의 신호(V13)의 하강 엣지는 유리하게 정확하게 제어된다.
신호(V13)는 저항(R26)을 경유하여 스위치 트랜지스터(Q15)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Q15)의 콜렉터는 저항(R27)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20)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 사이의 접합 단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20)의 에미터에 결합되고 트랜지스터(Q13)의 에미터는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수직 블랭킹 중과 AKB 측정 기간 중에, 트랜지스터(Q13)는 트랜지스터(Q15)에 의해 턴오프되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20)의 에미터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회로를 동작시킬 때, Q20의 에미터 전류는 AKB 측정 기간 중에 저항(R27)과 트랜지스터(Q15)를 경유하여 유지된다. 저항(R27)은 AKB 측정 기간 중에 트랜지스터(Q20)의 에미터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AKB 측정 기간 중에, 저항(R27)은 이 저항을 통과하는 약 11.3 볼트의 정전압을 갖는다. 저항(R27)의 값은 저항(R1)을 지나 발생하는 전압이 공급 전압(VSU)과 단자(97a)에서의 동적 포커스 전압의 피크값 사이의 차와 같도록 트랜지스터(Q20) 내의 정전류를 생성하도록 선택된다. 이는 AKB 측정 기간후에 정상 동적 포커스 전압이 시작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제1 비디오 라인 미스포커싱(misfocusing)과 원치않는 포커스 전압의 과도 현상을 제거한다. 저항(R27)이 트랜지스터(Q20)의 에미터에 결합되지 않으면, 단자(97a)에서의 증폭기(97) 출력 전압은 공급 전압(VSU)의 +1600V 레벨에 도달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단자(97a)에서의 파형의 요구되는 피크는 통상적으로 1450V이다. 단자(97a)에서의 증폭기 출력 전압이 1600V가 되면, AKB 측정 기간 중에, 화상의 최상부에서, 제1 가시 수평 라인의 시작에서 큰 과도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과도 현상은 불리하게도, AKB 측정 기간에 후속하는 제1 가시 수평 라인의 시작 부분에서 디포커싱을 초래한다.
이러한 큰 과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저항(R27)을 통과하는 트랜지스터(Q20)로의 전류 경로에 공급되는 트랜지스터(Q15) 내의 전류는 수직 블랭킹 동안과 AKB 측정 기간 중에, 단자(97a)에서의 출력 전압을 저감시킨다. 트랜지스터(Q20)는 전류원으로 동작하고 저항(R1)을 통과하는 전압 강하를 초래한다. AKB 측정 기간 중에, 단자(97a)에서의 동적 포커스 전압은 합산된 수평 및 수직 포물선 성분의 피크와 거의 같은 레벨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유리하게도, AKB 측정 기간에 후속하여 포커스 전압 과도 현상은 현저하게 저감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동적 포커스 전압이 디스에이블인 동안, 이 디스에이블 기간의 종료 시간은 라인 타이머 또는 카운터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설정된다. 라인 타이머 또는 카운터는, 예컨대 수평 귀선 펄스를 카운트하고, 전술한 동적 포커스 전압 디스에이블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유리하게, 카운팅 펄스는 측정이 저항과 커패시터와 같은 성분의 허용오차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경우보다, 동적 포커스 전압이 디스에이블인 동안, 기간의 종료의 더 정확한 측정을 제공한다.

Claims (13)

  1. 포커스 전극(17)을 포함하는 음극선관(10)과;
    포커스 전압 교정 입력 신호(V5)의 신호원
    를 포함하는 비디오 화상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압 교정 입력 신호(V5)에 응답하는 제1 입력을 가지며, 상기 포커스 전극(17)에 결합되는 포커스 전압(FV)의 동적 포커스 전압 성분을 출력(97a)에서 발생시키는 증폭기(97)와;
    주기적 제어 신호(V13)에 응답해서, 편향 사이클의 AKB(Automatic Kine Bias) 측정 기간 중에, 상기 포커스 전압 교정 입력 신호(V5)의 신호 경로에 접속하여 상기 동적 포커스 전압 성분을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제1 반도체 스위치(Q13)와;
    주기적 제어 신호(V13)에 응답해서, 상기 AKB 측정 기간 중에, 상기 증폭기(97)에 접속하며 제2 입력 신호를 상기 증폭기의 제2 입력에 인가하여 상기 포커스 전압을 제어하고, 상기 AKB 측정 기간 이외의 기간에서는 상기 제2 입력 신호를 상기 증폭기(97)로부터 분리시키는 제2 반도체 스위치(Q1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화상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 스위치(Q15)의 동작은 상기 AKB 측정 기간이 종료된 다음에, 상기 증폭기의 출력 전압을, 상기 AKB 측정 기간의 종료 시간에서, 상기 포커스 전압 교정 입력 신호(V5)의 일부분에 의해 결정되는 레벨과 가까운 레벨로 설정하는 것인 비디오 화상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스위치(Q13)와 상기 제2 반도체 스위치(Q15)는 상기 AKB 기간에서, 상기 포커스 전압(FV)을 반대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인 비디오 화상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97)는 캐스코드(cascode) 구성으로 서로 결합된 한쌍의 트랜지스터(Q5, Q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반도체 스위치는 상기 한쌍의 트랜지스터(Q5, Q20) 사이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13)를 포함하는 것인 비디오 화상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97)는 부하 저항(R27)에 접속된 한쌍의 트랜지스터(Q5, Q20)와, 상기 출력(97a)에 접속되며 상기 부하 저항(R27)에서 발생된 신호에 응답하는 출력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반도체 스위치(Q15)는 상기 부하 저항(R27)에 접속되어 상기 AKB 측정 기간 중에, 상기 부하 저항(R27)의 직류 전압을 변화시키는 것인 비디오 화상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압(FV)은 상기 증폭기 출력(97a)에서 상기 포커스 전극(17)까지 용량 결합(L22)되는 것인 비디오 화상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각각은 공통 포커스 전압 블랭킹 신호((blanking signal)에 응답하는 트랜지스터(Q13, Q15)를 포함하는 것인 비디오 화상화 장치.
  8. 포커스 전극(17)을 포함하는 음극선관(10)과;
    포커스 전압 교정 입력 신호(V5)의 신호원
    를 포함하는 비디오 화상화 장치에 있어서,
    입력 신호(V5)에 응답하고 제2 트랜지스터(Q1)의 제어 단자에 접속되는 제1 트랜지스터(Q20)로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Q1)는 능동 풀업(pull-up) 구성을 형성하여 전류를 제1 방향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포커스 전극(17)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Q20)는 능동 풀다운 구성을 형성하여 전류를 반대 방향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2 트랜지스터(Q1)를 바이패스(bypass)하는 방식으로 상기 포커스 전극(17)에도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20, Q1)는 상기 포커스 전극(17)에서 동적 포커스 전압(FV)을 발생시키는 것인 제1 트랜지스터(Q20)와;
    주기적 포커스 전압 블랭킹 신호(V13)의 신호원과;
    상기 블랭킹 신호(V13)에 응답해서, AKB 측정 기간 이외의 기간에서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Q20)를 상기 포커스 전극(17)에 접속하고, 상기 AKB 측정 기간 중에는 상기 포커스 전극(17)으로부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Q20)를 분리시키는 제3 트랜지스터(Q1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화상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20)와 캐스코드 구성으로 결합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Q20)를 통해 상기 포커스 전극(17)에 접속되는 제4 트랜지스터(Q5)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화상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트랜지스터(Q13)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Q20)와 제4 트랜지스터(Q5) 사이에 접속되는 것인 비디오 화상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20)에 그리고 상기 제3 트랜지스터(Q13)의 제어 단자에 접속된 부하 저항(R27)과, 상기 AKB 측정 기간 중에, 상기 블랭킹 신호(V13)에 응답하여 상기 부하 저항(R27)에 전류를 인가해서 상기 포커스 전압(FV)을 제어하는 스위치로서 동작하는 제5 트랜지스터(Q15)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화상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20)에 그리고 상기 제3 트랜지스터(Q13)의 제어 단자에 접속된 부하 저항(R27)과, 상기 AKB 측정 기간 중에, 상기 블랭킹 신호(V13)에 응답하여 상기 부하 저항(R27)에 전류를 인가해서 상기 포커스 전압(FV)을 제어하는 스위치로서 동작하는 제4 트랜지스터(Q15)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화상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제5 트랜지스터(Q6)에 접속하여 차동 증폭기를 형성하는 제4 트랜지스터(Q5)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화상화 장치.
KR1019990032227A 1998-08-07 1999-08-06 멀티모드 동적 빔 랜딩 교정 회로 KR100608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30,974 US6118233A (en) 1998-08-07 1998-08-07 Dynamic focus voltage disabling circuit
US9/130,974 1998-08-07
US09/130,974 1998-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128A KR20000017128A (ko) 2000-03-25
KR100608522B1 true KR100608522B1 (ko) 2006-08-09

Family

ID=2244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227A KR100608522B1 (ko) 1998-08-07 1999-08-06 멀티모드 동적 빔 랜딩 교정 회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18233A (ko)
JP (1) JP2000098952A (ko)
KR (1) KR100608522B1 (ko)
CN (1) CN1213594C (ko)
DE (1) DE19936769A1 (ko)
GB (2) GB9918520D0 (ko)
MY (1) MY1170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6074B1 (en) * 1998-08-07 2001-07-03 Thomson Licensing S.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dynamic focus disabling
US6278246B1 (en) * 1998-11-19 2001-08-21 Thomas Consumer Electronics, Inc. Dynamic focus voltage amplitude controller and high frequency compensation
EP1142305B1 (en) * 1998-12-21 2003-03-19 Thomson Licensing S.A. Blanked dynamic focus power supply transient elimination
US6297600B1 (en) * 1999-06-30 2001-10-02 Thomson Licensing, S.A. Blanked dynamic focus power supply transient elimination
US6690124B2 (en) * 2001-12-05 2004-02-10 Thomson Licensing S.A. Dynamic focus amplifier output with step-up autotransformer
DE60323081D1 (de) * 2002-04-19 2008-10-02 Thomson Licensing Fokusspannungsverstärker
EP1837893A1 (de) * 2006-03-25 2007-09-26 HÜTTINGER Elektronik GmbH + Co. KG Messeeinrichtung eines HF-Plasmasystem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369A (ja) * 1990-05-29 1992-02-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ォーカス回路
JPH06164968A (ja) * 1992-11-20 1994-06-10 Fujitsu General Ltd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電圧調整回路
JPH09163177A (ja) * 1995-12-07 1997-06-20 Hitachi Ltd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US5663617A (en) * 1995-03-07 1997-09-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arabolic-wave shaping circuit for focus-correction
JPH10112812A (ja) * 1996-10-07 1998-04-28 Hitachi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JPH10155097A (ja) * 1996-11-22 1998-06-09 Victor Co Of Japan Ltd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1785A (en) * 1979-10-01 1982-11-30 K&R Engineering Sales Corporation Versatile video CRT display
GB2090090B (en) * 1980-12-19 1984-03-21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Amplifier circuit
US4479228A (en) * 1981-03-11 1984-10-23 3Com Corporation Local computer network transceiver
US4560910A (en) * 1984-01-19 1985-12-24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Parabolic waveform generator
US4622498A (en) * 1985-09-03 1986-11-11 Motorola, Inc. Dynamic focus system cascode amplifier
JP3127963B2 (ja) * 1990-12-26 2001-0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陰極線管ディスプレイ
US5245254A (en) * 1992-07-15 1993-09-14 Gold Star Co., Ltd. Horizontal focus circuit in an image display
KR100323001B1 (ko) * 1993-01-21 2002-06-20 이데이 노부유끼 음극선관용구동회로
US5341071A (en) * 1993-09-03 1994-08-2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iecewise linearized focus voltage circuit for television apparatus
JPH0787353A (ja) * 1993-09-09 1995-03-31 Pioneer Electron Corp 電磁集束型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US5486741A (en) * 1994-08-03 1996-01-2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Waveform correction circuit for dynamic focus amplifier
US5532558A (en) * 1994-08-03 1996-07-0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rotection circuit for dynamic focus amplifier
KR0164547B1 (ko) * 1996-01-22 1999-03-20 김광호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 시간 조정 및 펄스 피크 제한회로
KR100242836B1 (ko) * 1996-02-24 2000-02-01 윤종용 지연 보상 다이나믹 포커스 증폭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369A (ja) * 1990-05-29 1992-02-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ォーカス回路
JPH06164968A (ja) * 1992-11-20 1994-06-10 Fujitsu General Ltd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電圧調整回路
US5663617A (en) * 1995-03-07 1997-09-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arabolic-wave shaping circuit for focus-correction
JPH09163177A (ja) * 1995-12-07 1997-06-20 Hitachi Ltd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JPH10112812A (ja) * 1996-10-07 1998-04-28 Hitachi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JPH10155097A (ja) * 1996-11-22 1998-06-09 Victor Co Of Japan Ltd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3594C (zh) 2005-08-03
GB2340711B (en) 2003-02-19
KR20000017128A (ko) 2000-03-25
US6118233A (en) 2000-09-12
GB2340711A (en) 2000-02-23
GB9918520D0 (en) 1999-10-06
MY117059A (en) 2004-04-30
GB9918638D0 (en) 1999-10-13
DE19936769A1 (de) 2000-02-17
JP2000098952A (ja) 2000-04-07
CN1252671A (zh) 2000-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8522B1 (ko) 멀티모드 동적 빔 랜딩 교정 회로
JP3617669B2 (ja) テレビジョン偏向装置
KR100619095B1 (ko) 다이나믹 포커스 디스에이블 회로용 제어 신호 발생기
US6300731B1 (en) Dynamic focus voltage amplitude controller
US6297600B1 (en) Blanked dynamic focus power supply transient elimination
US4238714A (en) Horizontal deflection output circuit
KR100752991B1 (ko) 영상 표시 장치
KR100599143B1 (ko) 귀선 소거된 동적 초점 전원의 과도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장치
CA1231181A (en) Resonant magnetic deflection circuit
JPS61174880A (ja) 水平出力回路
MXPA99007301A (es) Generador de señales de control para circuito deshabilitador de enfoque dinamico
MXPA99007299A (en) Dynamic beam landing correction circuit of multiple mo
JPH0556293A (ja) テレビジヨン偏向装置
JP2002369028A (ja) 動的フォーカス電圧振幅制御装置
KR840000856B1 (ko) 텔레비젼 화상투사장치에 있어서의 백밸런스 보정장치
JPS6328717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高圧電源回路
KR19990072145A (ko) 댐핑임피던스가보상된편향회로
MXPA99007300A (es) Controlador de amplitud de voltaje de enfoque dinamico
JPS59224978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用水平出力回路
JPH05167877A (ja) 水平偏向回路
MXPA01006283A (en) Blanked dynamic focus power supply transient eli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8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8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