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7303B1 - 드럼식 세탁 건조기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303B1
KR100607303B1 KR1020040096700A KR20040096700A KR100607303B1 KR 100607303 B1 KR100607303 B1 KR 100607303B1 KR 1020040096700 A KR1020040096700 A KR 1020040096700A KR 20040096700 A KR20040096700 A KR 20040096700A KR 100607303 B1 KR100607303 B1 KR 100607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drum
drying
laundr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0558A (ko
Inventor
야부우치히데타카
야리겐타로
다하라미키오
마츠다신이치
이사고히로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7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spin-dry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회전드럼을 경사 배치한 구성에 있어서의 세탁물의 건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제공한다.
회전드럼(5)을 수조(3)내에 수용하여 경사 배치하고, 드럼 구동모터(4)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드럼(5)의 회전을 제어하여 회전드럼(5)내에 수용한 세탁물이 복수의 거동을 나타내도록 한다.

Description

드럼식 세탁 건조기{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도 1은 실시예에 관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실시예에 관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관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가 구비하는 건조 기능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는 건조 기능을 구성하는 가열 덕트내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회전드럼의 회전 제어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6a 내지 도 6d는 복수의 건조 제어공정의 조합을 도시하는 공정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관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드럼식 세탁 건조기 2 : 세탁기 하우징체
3 : 수조 4 : 드럼 구동모터
5 : 회전드럼 15 : 송풍팬
20 : 히터
본 발명은 회전드럼을 그 회전축심이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로 되도록 수조내에 배치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세탁기 하우징체(67)내에 회전드럼(61)이 그 회전축 방향이 수평방향으로 되도록 하여 수조(63)내에 배치되어 있다. 세탁기 하우징체(67)의 정면측에 마련된 도어체(64)를 열어, 도어체(64)에 대향시켜 수조(63)에 형성되어 있는 세탁물 출입구(68)로부터 회전드럼(61)내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드럼 구동모터(65)에 의해 회전드럼(61)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드럼(61)내에 수용된 세탁물을 회전드럼(61)의 내주벽에 마련된 교반돌기(66)에 걸려서 들어 올려지고, 들어 올려진 세탁물이 적당한 높이로부터 낙하함으로써 세탁물이 때려 빨기 된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 구성으로 되는 드럼식 세탁기에 건조 기능을 마련함으로써, 세탁에 부가하여 탈수후의 세탁물이나 젖은 의류 등을 건조하는 기능을 구비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수조(63)내로부터 배기하면, 회전드럼(61)내의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주위면에 다수 형성된 투과 구멍(62)으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를 제습수단을 통과하게 하여 제습한 후,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하여 다시 수조(63)내의 송풍하는 공기 순환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회전드럼(61)내에 수용한 세탁물이나 의류를 건조할 수 있다.
그러나, 드럼식 세탁기 또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는 회전드럼을 횡방향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세탁물을 넣고 빼는 것은 정면측으로부터 실행하는 것으로 되고, 허리를 굽히는 작업이 동반하는 고통이나 좁은 주택 사정에 적당하지 않은 구조로 되어 왔다. 이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드럼이 개구하는 쪽이 상방향으로 되도록 회전축심을 경사시킴에 의해, 세탁물을 넣고 빼는 것을 쉽게 하여, 좁은 공간에도 배치할 수 있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로 구성할 수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성 09-215894호(제 2 내지 6 페이지, 도 1)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2003-053087호(제 3 내지 5 페이지, 도 2)
그러나, 회전드럼을 수평방향으로부터 경사시키면 , 회전드럼내에 수용된 세탁물은 회전드럼내의 낮은 위치, 즉 바닥을 구비한 원통형으로 형성된 회전드럼의 바닥측에 편향되고, 또한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면, 회전드럼의 내주면에 마련된 교반돌기에 걸려서 원주방향으로 들어 올려진 세탁물이 상방으로부터 낙하했을 때에 회전드럼의 저면측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회전드럼의 회전은 세탁물을 바닥측에 모으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회전드럼을 경사 배치한 구조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는, 모든 세탁물에 구석구석까지 세탁 및 건조의 작용이 미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건조공정에 있어서는 세탁물에 구석구석까지 온풍을 닿게 하여 건조를 촉진시킬 필요가 있지만, 건조공정시에는 회전드럼내에 물의 저장이 없기 때문에 물의 유동에 따른 세탁물의 이동이 없고, 건조가 진행될수록 가벼워져 오는 세탁물은 회전드럼의 내주면에 마련된 교반돌기에 의한 교반 작용도 받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세탁물이 회전드럼의 저면측에 모이기 쉬워, 건조 불균일이나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것은 회전드럼을 경사시켜 배치한 구조에 있어서도 건조공정에 있어서의 세탁물의 교반이 충분히 이루어지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는 바닥을 구비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드럼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드럼을 그 회전축심이 개구단측으로부터 저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로 되도록 수조내에 배치하고, 수조에 대한 급수, 배수 및 상기 드럼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세탁, 헹굼, 탈수의 각 공정을 실시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드럼내의 공기를 배기하여 제습하고, 가열하여 다시 회전드럼내에 송풍하는 공기 순환 및 드럼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건조공정을 실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공정에 있어서,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른 세탁물의 거동이 상이한 복수의 회전 속도 각각에 대하여 회전방 향마다의 소정 회전시간 및 소정 회전 정지시간을 설정하고, 이것을 소정 시간 반복하는 적어도 3종류의 회전 제어모드가 소정의 설정 시간 반복되도록 드럼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기준 건조 제어공정이 적어도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회전드럼내에 수용된 세탁물에 상이한 거동을 부여하는 회전 제어모드가 적어도 3종류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물은 상이한 거동이 소정 시간에 걸쳐서 반복된다. 세탁물이 회전드럼내에서 전후, 좌우, 상하의 위치가 교체되는 거동이나, 세탁물이 전개하는 거동, 송풍되는 온풍이 균일하게 닿도록 이동하는 거동 등이 얻어지도록 회전 제어모드를 복수로 설정하면, 세탁물의 건조가 촉진되어 효율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건조 불균일이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기준 건조 제어공정에 부가하여, 건조공정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의 복수의 회전 제어모드가 소정의 설정 시간 반복되도록 드럼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초기 건조 제어공정을 설정함으로써, 함수량이 큰 상태의 세탁물에 대응하는 건조 제어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기준 건조 제어공정에 부가하여, 건조공정의 최종 단계에 있어서의 복수의 회전 제어모드가 소정의 설정 시간 반복되도록 드럼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함과 동시에, 공기 순환의 가열을 제어하는 마무리 건조 제어공정을 설정함으로써, 건조가 진행된 상태의 세탁물에 대응하는 건조 제어를 실행하고, 송풍 공기의 가열을 정지하여 송풍에 의해서만 건조를 계속함으로써, 건조공정이 종료되었을 때의 세탁물은 온도가 저하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준 건조 제어공정에 부가하여, 건조공정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의 복수의 회전 제어모드가 소정의 설정 시간 반복되도록 드럼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초기 건조 제어공정과, 건조공정의 최종 단계에 있어서의 복수의 회전 제어모드가 소정의 설정 시간 반복되도록 드럼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함과 동시에, 공기 순환의 가열을 제어하는 마무리 건조 제어공정을 설정함으로써, 함수량이 큰 상태로부터 건조가 진행된 상태까지 세탁물의 상태에 따른 건조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초기 건조 제어공정, 기준 건조 제어공정, 마무리 건조 제어공정의 전환은 건조공정의 경과 시간 제어로 함으로써, 건조의 진행이 예상되는 소정 시간마다 각 건조 제어공정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초기 건조 제어공정, 기준 건조 제어공정, 마무리 건조 제어공정의 전환은 세탁물의 건조도 검출에 근거하는 건조도 제어로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세탁물의 건조 상태에 대응한 각 건조 제어공정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전드럼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에 대응시켜, 각 회전 제어모드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마다의 소정 회전 시간 및 소정 회전 정지시간, 반복 소정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드럼 구동모터의 부하에 대응하는 회전 제어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관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1)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세탁기 하우징체(2)내에 도시하지 않은 서스펜션 구조에 의해 수조(3)가 지지되고, 이 수조(3)내에 바닥을 구비한 원통형으로 형성된 회전드럼(5)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3) 및 회전드럼(5)은 개구단측을 세탁기 하우징체(2)의 정면측으로, 저면측을 세탁기 하우징체(2)의 배면측으로 하여, 회전드럼(5)이 그 회전축심(R)이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하여 수평방향(H)으로부터 각도(??)로 하향 경사로 되도록 지지되고, 회전드럼(5)은 수조(3)의 저면에 부착된 드럼 구동모터(4)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수조(3)는 바닥을 구비한 원통형으로 형성된 수조 본체(3a)의 개구단에 세탁물을 회전드럼(5)내로부터 넣고 빼기 위한 세탁물 출입구(11)를 형성한 수조 덮개(3b)를 접합하여 구성되고, 이 세탁물 출입구(11)에 대향시켜 세탁기 하우징체(2)의 정면측에 형성된 경사면(2a)에는 개폐 자유롭게 도어체(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체(8)를 여는 것에 의해 회전드럼(5)에 대하여 세탁물을 넣고 뺄 수 있고, 도어체(8)의 일부 또는 전체를 투명체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회전드럼(5)내를 외부로부터 투시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 출입구(11)의 주위에는 유연한 탄성체에 의해 형성된 벨로우즈(13)가 배치되고, 도어체(8)를 닫으면, 그 내면에 벨로우즈(13)의 일 단부가 압접하여, 회전드럼(5)의 회전에 따라 비산하는 물이 수조(3)내로부터 밖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3)의 본체(3a)와 덮개(3b)가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체(3a)와 덮개(3b)가 플라스틱재로 형성되는 경우,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금속재를 이용해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과 같이 회전드럼(5)이 경사 배치되고, 그 개구부에 대향시켜 세탁기 하우징체(2)에 도어체(8)를 마련함으로써, 도 2에 외관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체(8)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1) 앞에 서는 사람의 얼굴방향을 향하게 되고, 도어체(8)를 열어 회전드럼(5)에 대하여 세탁물을 넣고 빼는 작업을 할 때에 있어서 허리를 굽히는 상태가 적어도 되어, 편하게 세탁물을 넣고 뺄 수 있다. 따라서, 드럼식 세탁 건조기(1)의 정면에 여유가 있는 공간을 확보할 필요도 없어, 종래의 종형 세탁기를 설치하고 있었던 화장실 등의 좁은 공간에 드럼식 세탁 건조기(1)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좁은 주거 환경에도 적합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1)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출입구(11)의 형성 위치는 그 중심 위치가 회전드럼(5)의 회전축심(R)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편심시켜 형성되고, 이 세탁물 출입구(11)에 대향시켜, 중심 위치를 세탁기 출입구(11)의 중심선상에 대략 일치시켜 도어체(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탁물 출입구(11) 및 도어체(8)를 그 중심 위치가 회전드럼(5)의 회전축심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편향된 위치에 마련하면, 도어체(8)를 열어 세탁물 출입구(11)를 통하여 회전드럼(5)의 내부를 들여다 보았을 때, 사각으로 되는 부분이 적어져서, 회전드럼(5)내에 수용한 세탁물이 광범위하게 걸쳐 보이기 때문에, 세탁물을 꺼내는 것의 망각 등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관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1)와 같이, 회전드럼(5)을 경사 배치하고, 회전드럼(5)의 경사 각도에 대응시킨 경사면(2a)에 도어체(8)를 마련한 구성에 있어서는, 보다 광범위하게 회전드럼(5)의 내부를 볼 수 있다.
회전드럼(5)을 경사 배치하는 경사 각도(θ)는 본원 발명자들이 여러가지 조사 연구를 실행한 결과, 바람직하게는 θ=30 ±5도라고 하는 결론을 얻었다. 이 경사 각도 θ=30 ±5도로 회전드럼(5)을 경사 배치함으로써, 어린이(유아를 제외함)에서 어른까지의 신장차가 있더라도,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자라고 하더라도, 세탁물을 넣고 빼는 작업이 가장 실행하기 쉬운 상태가 얻어진다. 이 회전드럼(5)의 경사 배치에 부가하여 세탁물 출입구(11) 및 도어체(8)의 중심 위치가 회전드럼(5)의 회전축심(R)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편향되어 있는 것에 의해, 세탁물을 넣고 빼는 것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투명한 도어체(8)로부터 세탁의 각 공정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도 관찰하기 쉽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1)가 구비하는 건조 기능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수조(3)의 측 주위면에 제습 덕트(16)와 송풍 덕트(18)가 일체로 형성되고, 수조(3)의 외저면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 덕트(19)가 부착되어 있다. 가열 덕트(19)내에 마련된 송풍팬(15)을 회전 구동하면, 회전드럼(5) 내의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는 주위면에 다수 형성된 투과구멍(12)으로부터 수조(3) 내로 보내지고, 수조(3)내의 공기가 배기구(21)로부터 제습 덕트(16)내에 배출된다. 제습 덕트(16)내에는 주수 밸브(53)를 여는 것에 의해 주수 노즐(52)로부터 주수되는 물에 의해 냉각되는 열교환기(51)를 구비한 제습수단(38)이 배치되어 있고, 배기구(21)로부터 제습 덕트(16)내로 배출된 공기는 열교환기(51)에 냉각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결함으로써 제습된다. 열교환기(51)를 냉각한 물 및 응결에 의해 발생한 물은 파선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조(3)내를 아래로 흘러 배수 홈(10)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습 덕트(16)와 송풍 덕트(18)는 정면측에서 연결 덕트(32)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흰색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습된 공기는 연결 덕트(32)로부터 제진 필터(17)를 지나서 송풍 덕트(18)에 의해 배면측에 마련된 가열 덕트(19)에 보내여진다.
도 4는 하 관로(23)와 상 관로(24)를 상하에서 접합하여 구성되는 가열덕트(19)의 하 관로(23)를 분리한 상태로 하여, 가열 덕트(19)내의 구성을 분명하게 한 것이다. 가열 덕트(19)내에는 히터(20)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송풍 덕트(18)로부터 송풍되어 온 공기는 히터(20)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소정 온도의 온풍으로 되어 송풍구(22)로부터 수조(3)내에 송풍된다. 회전드럼(5)의 저면에는 원주상에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한 통기구(39)가 마련되어 있고, 송풍구(22)로부터 수조(3)내에 송풍된 온풍은 상기 통기구(39)로부터 회전드럼(5)내에 공급된다. 회전드럼(5)의 저면측으로부터 송풍된 온풍은 세탁물에 닿아서 그 습기를 빼앗기 때문에 세탁물의 건조가 촉진되며, 습기를 포함한 공기는 다시 배기구(21)로부터 제습 덕트(16)내로 배기되는 공기 순환이 이루어진다. 이 제습 및 가열을 동반하는 공기 순환이 반복됨으로써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과 같이 회전드럼(5)을 경사 배치하면, 회전드럼(5)내에 수용한 세탁물이 회전드럼(5)의 저면측에 편향되는 경향으로 되어, 회전드럼(5)을 회전시키 면 세탁물이 저면측에 모이기 쉽게 되는 폐해가 발생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1)에 있어서는 회전드럼(5)의 내주면에 마련된 교반돌기(9)의 구조 및 회전드럼(5)의 회전 제어에 의해 세탁물이 회전드럼(5)내의 특정 장소에 모아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건조공정에 있어서는 회전드럼(5)내에 물의 저장이 없어, 세탁물에 포함되는 수분량이 건조의 진행과 동시에 감소하여 가벼워지기 때문에, 교반 돌기(9)에 의한 세탁물의 교반 작용이나 회전드럼(5)의 회전 속도에 의한 세탁물의 거동도 세탁 공정이나 헹굼공정의 경우와 상이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건조공정에 있어서는 세탁물의 편향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 제어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건조 제어에 대하여,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S1, S2 …는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스텝 번호로서, 본문중에 병기하는 번호와 일치한다.
회전드럼(5)내에 수용된 건조 대상으로 되는 세탁물은 회전드럼(5) 회전 속도나 회전 방향의 전환에 따른 거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세탁물의 거동 변화가 복수로 얻어지도록 회전드럼(5)의 회전을 제어하면, 경사 배치된 회전드럼(5)내에 수용된 세탁물을 건조에 적합한 여러가지 거동을 나타내고, 일정 거동을 계속하는 경우보다 효과적인 건조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의 거동은 회전드럼(5)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에, 세탁물의 양에 대응하는 제어가 필요로 된다. 여기서는 세탁물의 거동이 상이한 3개의 회전 속도 각각의 회전 방향마다의 소정 회전 시간 및 소정 회전 정지시간을 세탁물의 양에 대응시켜 설정한 3개의 회전 제어모드가 소정 시간마다 반복되도록 드럼 구동모터(4)를 제어한다.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 회전드럼(5)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을 검출하기 위하여 포량 검지가 실행된다(S1). 포량 검지는 드럼 구동모터(4)가 받는 부하상태로부터 세탁물의 양을 검출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포량 검지에 근거하여 제 1 내지 제 3의 각 회전 제어모드를 실행하는 시간이 설정된다(S2). 제 1 내지 제 3의 각 회전 제어모드에서는 회전드럼(5)의 회전 속도와, 설정된 회전 속도에 의한 회전드럼(5)의 정방향 회전의 시간과, 회전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을 정지시키는 시간과, 설정된 회전 속도에 의한 회전드럼(5)의 역방향 회전의 시간이 설정된다.
우선, 제 1 회전 제어모드가 실행되어, 회전드럼(5)의 회전 속도가 제 1 회전 속도로 되도록 드럼 구동모터(4)의 회전이 설정되고(S3), 정방향으로 제 1 회전 시간만큼 회전 구동되며(S4), 제 1 회전 정지 시간만큼 회전 구동이 정지되고(S5), 역방향으로 제 1 회전 시간만큼 회전 구동되며 (S6), 제 1 회전 정지 시간만큼 회전 구동이 정지된다(S7). 이 제 1 회전 제어모드는 회전드럼(5)의 직경이 500 ±50mm일 때, 제 1 회전속도를 80 내지 120r/min으로 하고, 제 1 회전 시간(예를 들어, 2초) 동안 회전드럼(5)을 정회전시키고, 제 1 회전 정지시간(예를 들어, 1초) 동안 정지시키고, 제 1 회전 시간(예를 들어, 2초) 동안 역회전시킨 후, 제 1 회전 정지시간(예를 들어, 1초) 동안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제 1 회전속도에 있어서 회전드럼(5)의 내주면에 달라붙은 상태의 세탁물에 회전방향이 급변하 는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세탁물이 뿔뿔이 흩어지게 되는 상태로 되며, 그 결과 세탁물이 회전드럼(5)의 축심방향의 위치가 교체되는 거동이 얻어진다. 이 제 1 회전 제어모드는 단계 S2에 있어서 설정된 제 1 회전 제어모드의 실행 시간(예컨대 3분) 반복된다(S8).
다음에, 제 2 회전 제어모드가 실행되어, 회전드럼(5)의 회전속도가 제 2 회전속도로 되도록 드럼 구동모터(4)의 회전이 설정되고(S9), 정방향으로 제 2 회전 시간만큼 회전 구동되며(S10), 제 2 회전 정지 시간만큼 회전 구동이 정지되고(S11), 역방향으로 제 2 회전 시간만큼 회전 구동되며 (S12), 제 2 회전 정지 시간만큼 회전 구동이 정지된다(S13). 이 제 2 회전 제어모드는 회전드럼(5)의 직경이 500 ±50mm일 때, 제 2 회전속도를 20 내지 25r/min으로 하고, 제 2 회전시간(예를 들어, 60초) 동안 회전드럼(5)을 정회전시키고, 제 2 회전 정지시간(예를 들어, 2초) 동안 정지시키고, 제 2 회전시간(예를 들어, 60초) 동안 역회전시킨 후, 제 2 회전 정지시간(예를 들어, 2초) 동안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회전드럼(5)은 느린 회전속도 정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기 때문에, 세탁물을 회전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작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세탁물이 회전드럼(5)의 하방에서 굴러 가면서 전후 좌우로 교반되는 거동이 얻어져서, 저면의 하방으로부터 송풍되는 온풍에 의해 균일하게 세탁물이 데워진다. 이 제 2 회전 제어모드는 단계 S2에 있어서 설정된 제 2 회전 제어모드의 실행 시간(예컨대 5분) 반복된다(S14).
이어서, 제 3 회전 제어모드가 실행되어, 회전드럼(5)의 회전속도가 제 3 회전 속도로 되도록 드럼 구동 모터(4)의 회전이 설정되고(S15), 정방향으로 제 3 회 전 시간만큼 회전 구동되고(S16), 제 3 회전 정지 시간만큼 회전 구동이 정지되며(S17), 역방향으로 제 3 회전 시간만큼 회전 구동되고(S18), 제 3 회전 정지 시간만큼 회전 구동이 정지된다(S19). 이 제 3 회전 제어모드는 회전드럼(5)의 직경이 500 ±50mm일 때, 제 3 회전속도를 35 내지 45r/min으로 하고, 제 3 회전시간(예를 들어, 60초) 동안 회전드럼(5)을 정회전시키고, 제 3 회전 정지시간(예를 들어, 2초) 동안 정지시키고, 제 3 회전시간(예를 들어, 60초) 동안 역회전시킨 후, 제 3 회전 정지시간(예를 들어, 2초) 동안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회전드럼(5)의 회전에 의해 세탁물이 회전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고, 세탁물이 그 자중이 원심력이나 관성보다 크게 되는 높이 위치로부터 낙하하는 거동이 얻어져서, 세탁물의 상하 위치가 교체되고, 송풍되는 온풍에 노출되어 건조가 촉진된다. 이 제 3 회전 제어모드는 단계 S2에 있어서 설정된 제 3 회전 제어모드의 실행 시간(예컨대 5분) 반복된다(S20).
상기 제 1, 제 2, 제 3의 각 회전 제어모드는 건조 공정내에서 설정한 설정 시간내로 반복된다(S21). 또한, 제 1, 제 2, 제 3의 각 회전 제어모드는 그 실행 순서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행 순서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어모드는 적어도 3종류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종류 보다 많이 설정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이상과 같이, 건조공정은 제 1 회전 제어모드에 있어서, 세탁물을 회전드럼(5)의 내주면에 달라붙게 한 후, 뿔뿔이 흩어지게 하여 축심방향의 교체를 촉진시키고, 제 2 회전 제어모드에 있어서, 세탁물을 회전드럼(5)내에서 굴림으로써 전후 좌우로 교반시키며, 제 3 회전 제어모드에 있어서, 세탁물에 온풍을 균등하게 닿게 하여 건조를 촉진시키는 공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회전드럼(5)의 회전 제어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조공정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의 순서를 실행하는 것만으로도 좋지만, 도 6b, 도 6c, 도 6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제어를 기준 건조 제어공정(A)으로 하여, 이 기준 건조 제어공정(A)의 전후에, 초기 건조 제어공정(B), 마무리 건조 제어공정(C)을 적절히 설정하여, 세탁물의 건조 진행 상태에 따라 건조공정을 복수로 분할하여, 각 단계마다 건조상태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 정방향으로의 회전 시간, 회전 정지시간, 역방향으로의 회전 시간, 반복 실행 시간을 복수로 설정한 회전 제어모드를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건조의 진행상태는 건조공정의 시간 경과, 또는 건조상태의 검출에 근거하여 구할 수 있다. 건조상태의 검출은 건조 센서를 이용한 방법으로도 좋지만,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 홈(10)에 흘러 오는 열교환기(51)를 냉각한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수 온도센서(57)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 덕트(19)에 송풍되어 온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송풍 공기 온도 검출센서(56)와의 검출 출력으로부터 건조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하는 제어는 기준 건조 제어공정(A) 전에 설정한 초기 건조 제어공정(B)의 제어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초기 건조 제어공정(B)을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초기 건조제어 공정에 있어서, 제 1 초기 회전 속도를 20 내지 25r/min으로 설정하여(S3), 제 1 초기 회전 시간(예컨대 30초)으로 회전드 럼(5)을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S4), 제 1 초기 회전 정지 시간(예컨대 2초)만큼 회전을 정지하며(S5), 제 1 초기 회전 시간으로 회전드럼(5)을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S6), 제 1 초기 회전 정지 시간만큼 회전을 정지시키며(S7), 이 제어를 제 1 초기 회전 제어모드의 실행 시간(예컨대 10분) 반복하면(S8), 회전드럼(5)은 느린 회전 속도로 되기 때문에, 세탁물을 회전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작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회전드럼(5)의 하방에서 좌우로 교반되는 거동이 얻어져서, 저면의 하방으로부터 송풍되는 온풍에 의해 균일하게 세탁물이 데워진다.
상기 제 1 초기 회전 제어모드의 실행에 잇달아, 제 2 초기 회전속도를 80 내지 120r/min으로 설정하여(S9), 제 2 초기 회전시간(예컨대 2초)으로 회전드럼(5)을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S10), 제 2 초기 회전 정지시간(예컨대 1초)만큼 회전을 정지하며(S11), 제 2 초기 회전시간으로 회전드럼(5)을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S12), 제 2 초기 회전 정지시간만큼 회전을 정지시키며(S13), 이 제어를 제 2 초기 회전 제어모드의 실행 시간(예컨대 1분) 반복하면(S14), 제 2 초기 회전속도에 있어서 회전드럼(5)의 내주면에 달라붙은 상태의 세탁물에 회전방향이 급변하는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세탁물이 뿔뿔이 흩어지게 되는 상태로 되어, 그 결과 세탁물이 회전드럼(5)의 축심방향의 위치가 교체되는 거동이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초기 건조 제어공정은 세탁물이 습기 차 있으므로, 주름이 생기기 어려운 상태이기 때문에, 제 1 회전 제어모드와 제 2 회전 제어모드에 의해, 세탁물의 회전드럼(5)의 축심방향의 교체를 주로 한 공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초기 건조 제어공정(B)을 미리 설정한 시간 또는 건조상태가 검출될 때 까지 반복하여 실행한 후, 전술한 기준 건조 제어공정(A)을 실행한다.
또한,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준 건조 제어공정(A) 후에 마무리 건조 제어공정(C)을 실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마무리 건조 제어공정(C)은 건조가 진행된 상태의 세탁물에 대하여, 히터(20)에 의한 송풍 공기의 가열을 정지한 상태로 하여, 송풍팬(15)에 의한 송풍 공기의 순환만으로 건조를 진행시켜, 세탁물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공랭의 공정을 실행하는 것이다. 즉, 과도한 건조는 의류 등에 있어서는 바람직하지 못하고, 전력 소비의 낭비도 되기 때문에, 건조도를 검지하여 소정의 건조도가 검지되었을 때, 히터(20)에 의한 가열을 정지하여 송풍만의 공랭공정으로 이행시키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 마무리 건조 제어공정(C)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제어 순서 및 기준 건조 제어공정(A)의 회전 제어 및 시간 제어와 마찬가지의 설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마무리 건조 제어공정은 세탁물에 주름이 생기기 어렵게 하면서, 세탁물의 회전드럼(5)의 축심방향의 교체를 실행하기 때문에, 제 1 회전 제어모드에 있어서, 세탁물을 회전드럼(5)의 내주면에 달라붙게 한 후, 뿔뿔이 흩어지게 하여 축심방향의 교체를 촉진시키고, 제 2 회전 제어모드에 있어서, 세탁물을 회전드럼(5)내에서 굴림으로써 전후 좌우로 교반시키며, 제 3 회전 제어모드에 있어서, 세탁물에 냉풍을 균등하게 닿게 하여 공랭을 촉진시키는 공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6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기 건조 제어공정(B), 기준 건조 제어공정(A), 마무리 건조 제어공정(C)을 전술한 각 회전 제어모드의 설정에 의해 실행 하면, 보다 효과적인 건조 상태가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드럼(5)의 회전 제어에 부가하여 회전드럼(5)에 세탁물의 이동을 촉진하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드럼(5)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구(39)로부터 세탁물이 수조(3)내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백필터(30)는 원만한 원호를 그리는 구면으로 형성되고, 회전드럼(5)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는 세탁물이 백필터(30)에 접촉하여 정면측으로 미끄러지기 쉽게 되도록 하고 있다. 이 백필터(30)는 통기구(39)로부터 송풍되어 온 온풍이 회전드럼(5)내에 들어가기 쉽게 하기 위해서 다수의 소구멍이 조밀하게 형성되고, 회전드럼(5)내를 향하는 면은 미끄러지기 쉬운 평활면으로 마무리되어 있다. 백필터(30)는 그 형성 재료로 하는 금속 또는 수지의 선택에 의해 미끄러지기 쉬운 평활면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보다 미끄러짐을 좋게 하기 위해서, 표면에 불소계수지 또는 폴리아세탈 등의 마찰 계수가 작은 재료에 의해 형성하거나, 그들의 재료를 표면에 코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드럼(5)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저면에 이르는 코너 부분이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되도록, 코너 부분에 코너 매설재(3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코너 매설재(31)의 내주면을 원호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미끄러짐이 좋은 평활면으로 함으로써, 회전드럼(5)의 회전에 의한 교반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낙하하여 온 세탁물이 정면측으로 이동하기 쉽고, 상기 백필터(30)상을 미끄러져 떨어져 온 세탁물도 정면측으로 이동하기 쉽게 되는 상태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코너 부분에 코너 매설재(31)를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드 럼(5)을 그 내주면으로부터 저면에 이르는 코너 부분이 라운드 형상 또는 C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하여도 좋지만, 회전드럼(5)에는 그 개구단측과 저면측에 링형상의 밸런서(34)를 배치하여 회전에 동반하는 진동의 억제가 도모되기 때문에, 수지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코너 매설재(31)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물을 넣고 빼는 작업이 곤란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드럼을 경사 배치하여 세탁물을 넣고 빼는 것을 쉽게 했을 때, 건조 공정시에 세탁물이 회전드럼내의 낮은 위치로 편향되어 건조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과제는 회전드럼의 회전에 동반하는 세탁물의 거동이 복수로 얻어지는 복수의 회전 제어모드의 설정에 의해, 세탁물이 회전드럼내에서 위치 이동하는 거동이나, 전개하는 거동 등이 얻어져서, 세탁물이 회전드럼내에서 일정 장소에 머무르지 않기 때문에, 건조 불균일의 발생이 억제되어 효율적으로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로 구성할 수 있다.

Claims (9)

  1. 바닥을 구비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드럼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드럼을 그 회전축심이 개구단측으로부터 저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로 되도록 수조내에 배치하고, 수조에 대한 급수, 배수 및 상기 드럼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세탁, 헹굼, 탈수의 각 공정을 실시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드럼내의 공기를 배기하여 제습하고, 가열하여 다시 회전드럼내에 송풍하는 공기 순환 및 드럼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건조공정을 실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공정에 있어서, 회전드럼의 회전에 동반하는 세탁물의 거동이 상이한 복수의 회전 속도 각각에 대하여 회전방향마다의 소정 회전시간 및 소정 회전 정지시간을 설정하고, 이것을 소정 시간 반복하는 적어도 3종류의 회전 제어모드가 소정의 설정 시간 반복되도록 드럼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기준 건조 제어공정이 적어도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준 건조 제어공정에 부가하여, 건조공정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의 복수의 회전 제어모드가 소정의 설정 시간 반복되도록 드럼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초기 건조 제어공정이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기준 건조 제어공정에 부가하여, 건조공정의 최종 단계에 있어서의 복수의 회전 제어모드가 소정의 설정 시간 반복되도록 드럼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함과 동시에, 공기 순환의 가열을 제어하는 마무리 건조 제어공정이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기준 건조 제어공정에 부가하여, 건조공정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의 복수의 회전 제어모드가 소정의 설정 시간 반복되도록 드럼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초기 건조 제어공정과, 건조공정의 최종 단계에 있어서의 복수의 회전 제어모드가 소정의 설정 시간 반복되도록 드럼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함과 동시에, 공기 순환의 가열을 제어하는 마무리 건조 제어공정이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드럼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에 대응시켜, 각 회전 제어모드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마다의 소정 회전 시간 및 소정 회전 정지시간, 반복 소정 시간이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의의 건조 제어공정으로부터 다음의 건조 제어공정으로의 전환은 건조 공정의 경과시간 제어인
    드럼식 세탁 건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회전드럼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에 대응시켜, 각 회전 제어모드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마다의 소정 회전 시간 및 소정 회전 정지시간, 반복 소정 시간이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8.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의의 건조 제어공정으로부터 다음의 건조 제어공정으로의 전환은 세탁물의 건조도 검출에 근거하는 건조도 제어인
    드럼식 세탁 건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회전드럼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에 대응시켜, 각 회전 제어모드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마다의 소정 회전 시간 및 소정 회전 정지시간, 반복 소정 시간이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
KR1020040096700A 2003-11-25 2004-11-24 드럼식 세탁 건조기 KR100607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94301 2003-11-25
JP2003394301A JP4060785B2 (ja) 2003-11-25 2003-11-25 ドラム式洗濯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558A KR20050050558A (ko) 2005-05-31
KR100607303B1 true KR100607303B1 (ko) 2006-07-31

Family

ID=3472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700A KR100607303B1 (ko) 2003-11-25 2004-11-24 드럼식 세탁 건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060785B2 (ko)
KR (1) KR100607303B1 (ko)
CN (1) CN1621598B (ko)
MY (1) MY139110A (ko)
SG (1) SG112109A1 (ko)
TW (1) TWI2569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1608B2 (ja) * 2006-10-30 2010-10-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およびその乾燥工程の制御方法
KR100823328B1 (ko) * 2007-07-13 2008-04-17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의류건조기용 필터조립체
JP4895956B2 (ja) * 2007-09-25 2012-03-1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CN101498089B (zh) * 2008-01-31 2010-12-0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处理衣物的方法及处理衣物所用的电器设备
CN106436208A (zh) * 2016-09-30 2017-02-22 成都捷科菲友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用真空甩干机
CN106436231B (zh) * 2016-11-28 2019-08-02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搅拌组件及设有该搅拌组件的干衣机
CN111118817A (zh) * 2018-10-15 2020-05-08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洗涤控制方法及控制装置、可读存储介质和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9125B1 (ko) * 1995-08-25 1999-05-15 구자홍 드럼 세탁기의 탈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52235A (ja) 2005-06-16
JP4060785B2 (ja) 2008-03-12
KR20050050558A (ko) 2005-05-31
SG112109A1 (en) 2005-06-29
CN1621598A (zh) 2005-06-01
MY139110A (en) 2009-08-28
CN1621598B (zh) 2010-09-22
TWI256980B (en) 2006-06-21
TW200530455A (en) 200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05581A1 (en) Laundry machine
US8196242B2 (en) Method of controlling drying cycle in a washing machine based on sensed temperature
JP2008110135A (ja) 洗濯機
KR20010062761A (ko) 세탁건조기
JP2012000313A (ja) 洗濯乾燥機
JP2005152309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0325688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40100894A (ko) 의류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
JP2006158488A (ja) ドラム式洗濯機およびドラム式衣類乾燥機
KR100607303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JP2006136511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5610518B2 (ja) 洗濯乾燥機
JP4461844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611829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JP2005224414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9006005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688117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H10127993A (ja) 全自動洗濯乾燥機
JP2005261691A (ja) ドラム式洗濯機
JP3066335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6653419B2 (ja) 洗濯乾燥機
JP2517134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の乾燥制御方法
JP2015000200A (ja) 衣類乾燥機
JP3517653B2 (ja) 縦型洗濯乾燥機
JP4093921B2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