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722B1 - 냉간단조성 및 쾌삭성이 우수한 기계구조용 흑연화 선재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냉간단조성 및 쾌삭성이 우수한 기계구조용 흑연화 선재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05722B1 KR100605722B1 KR1020040096856A KR20040096856A KR100605722B1 KR 100605722 B1 KR100605722 B1 KR 100605722B1 KR 1020040096856 A KR1020040096856 A KR 1020040096856A KR 20040096856 A KR20040096856 A KR 20040096856A KR 100605722 B1 KR100605722 B1 KR 1006057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ling
- wire
- steel
- graphitization
- cold forg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쾌삭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하는 Pb, Bi, S, Sn 등의 저융점 원소들을 첨가하지 않으면서 이들과 유사한 쾌삭성질을 갖고 동시에 우수한 냉간가공성(또는 냉간단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성을 이용하여 별도의 흑연화 처리없이 선재 제조공정만으로 내부에 흑연립이 분포된 흑연강을 생산하고 이때 발생할 수 있는 부위별 재질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강종 | C, wt% | Si, wt% | Mn, wt% | S, wt% | P, wt% | Ti, wt% | B, ppm | Al, wt% | Se, wt% | N, ppm | O, ppm | Ni, wt% | Cu, wt% | Ca, wt% | Zr, ppm | REM, ppm | |
발 명 강 | 1 | 0.51 | 3.1 | 0.51 | 0.008 | 0.011 | 0.007 | 20 | 0.005 | 0.004 | 60 | 20 | 0.1 | ||||
2 | 0.52 | 3.1 | 0.40 | 0.009 | 0.015 | 0.004 | 10 | 0.004 | 0.003 | 55 | 21 | 0.1 | 0.05 | ||||
3 | 0.50 | 3.0 | 0.48 | 0.007 | 0.009 | 0.010 | 21 | 0.005 | 0.002 | 56 | 19 | 0.01 | |||||
4 | 0.49 | 2.9 | 0.55 | 0.009 | 0.008 | 0.010 | 20 | 0.003 | 0.010 | 60 | 24 | 10 | |||||
5 | 0.53 | 3.2 | 0.53 | 0.008 | 0.009 | 0.009 | 30 | 0.005 | 0.004 | 65 | 22 | 10 | |||||
6 | 0.7 | 3.1 | 0.48 | 0.007 | 0.008 | 0.004 | 13 | 0.003 | 0.002 | 75 | 17 | 0.09 | 0.04 | ||||
7 | 0.31 | 3.2 | 0.51 | 0.008 | 0.011 | 0.010 | 26 | 0.004 | 0.002 | 66 | 29 | 0.16 | 0.06 | ||||
8 | 0.53 | 4.0 | 0.55 | 0.009 | 0.009 | 0.003 | 17 | 0.004 | 0.005 | 60 | 23 | 0.20 | 0.09 | ||||
9 | 0.49 | 2.8 | 1.00 | 0.008 | 0.015 | 0.011 | 29 | 0.015 | 0.005 | 55 | 30 | 0.25 | 0.11 | ||||
10 | 0.66 | 2.05 | 0.44 | 0.009 | 0.009 | 0.003 | 20 | 0.010 | 0.006 | 80 | 40 | 0.54 | 0.21 | ||||
비 교 강 | 1 | 0.51 | 3.0 | 0.51 | 0.008 | 0.011 | 0.001 | 10 | 0.003 | 0.004 | 65 | 19 | 0.13 | ||||
2 | 0.52 | 3.1 | 0.48 | 0.009 | 0.008 | 0.010 | 20 | 0.005 | 0.002 | 40 | 23 | 0.12 | 0.04 | ||||
3 | 0.50 | 3.0 | 0.22 | 0.007 | 0.130 | 0.004 | 10 | 0.004 | 0.001 | 55 | 17 | 0.02 | |||||
4 | 0.49 | 2.9 | 0.71 | 0.009 | 0.009 | 0.003 | 17 | 0.004 | 0.021 | 60 | 21 | 20 | |||||
5 | 0.53 | 3.2 | 0.19 | 0.008 | 0.129 | 0.001 | 10 | 0.003 | 0.001 | 65 | 20 | 10 | |||||
6 | 0.8 | 3.1 | 0.70 | 0.007 | 0.009 | 0.010 | 20 | 0.005 | 0.019 | 40 | 28 | 0.21 | 0.10 | ||||
7 | 0.31 | 3.2 | 0.69 | 0.008 | 0.009 | 0.001 | 10 | 0.003 | 0.020 | 65 | 15 | 0.51 | 0.23 | ||||
8 | 0.53 | 4.0 | 0.20 | 0.009 | 0.131 | 0.010 | 20 | 0.005 | 0.001 | 40 | 34 | 0.24 | |||||
9 | 0.49 | 1.5 | 0.52 | 0.008 | 0.015 | 0.011 | 15 | 0.015 | 30 | 25 | |||||||
10 | 0.66 | 2.5 | 0.44 | 0.009 | 0.009 | 0.044 | 21 | 0.03 | 100 | 32 |
강종 | 관계식 1 | 관계식 2 | 오스테나이트 평균결정입도(㎛) |
(Ti+5B+Al)/N | (Mn/5+Se)/5S | ||
발명강 1 | 4.5 | 1.9 | 25 |
발명강 2 | 3.1 | 1.1 | 15 |
발명강 3 | 5.5 | 2.2 | 20 |
발명강 4 | 4.3 | 3.0 | 30 |
발명강 5 | 5.4 | 2.4 | 25 |
발명강 6 | 2.1 | 2.5 | 15 |
발명강 7 | 4.1 | 1.9 | 30 |
비교강 1 | 1.4 | 1.9 | 40 |
비교강 2 | 6.5 | 2.5 | 55 |
비교강 3 | 3.1 | 0.6 | 45 |
강종 | 권취온도 (℃) | 1차 냉각온도 (℃) | 1차 냉각온도까지 냉각속도 편차 (℃/sec) | 2차 냉각온도(℃) | 2차 냉각온도까지 냉각속도 편차 (℃/sec) | 선재 겹침부 흑연립 상분율(%) | 선재 비겹침부 흑연립 상분율(%) | 선재 링내 인장강도 분포 (kg/mm2) (16mm기준) |
발명강 1 | 900 | 740 | 2.3±1.0 | 670 | 0.9±0.7 | 2.0 | 0.7 | 64±11 |
발명강 2 | 860 | 700 | 2.8±1.0 | 700 | 0.7±0.5 | 2.0 | 0.9 | 65±12 |
발명강 3 | 900 | 740 | 2.8±1.4 | 640 | 0.9±0.7 | 2.0 | 0.8 | 63±10 |
발명강 4 | 950 | 800 | 2.8±1.5 | 660 | 0.9±0.7 | 2.0 | 0.9 | 61±12 |
발명강 5 | 900 | 740 | 2.8±1.4 | 680 | 0.9±0.7 | 2.0 | 0.8 | 68±13 |
발명강 6 | 900 | 800 | 2.3±1.4 | 570 | 0.7±0.5 | 2.0 | 0.9 | 64±11 |
발명강 7 | 950 | 770 | 2.8±1.4 | 660 | 0.9±0.7 | 2.0 | 0.9 | 66±10 |
비교강 1 | 900 | 740 | 2.3±1.0 | 670 | 0.9±0.7 | 0 | 0 | 101±13 |
비교강 2 | 900 | 740 | 2.3±1.0 | 670 | 0.9±0.7 | 0.7 | 0 | 92±11 |
비교강 3 | 900 | 740 | 2.3±1.0 | 670 | 0.7±0.7 | 0.5 | 0 | 92±12 |
구분 | 세부구분 (발명강 2 대상) | 열반사폭과선재코일 폭비 (Wref/Wrod) | 열반사판 끝부분 길이 (te) | 열반사판 끝부분 각(α) | 1차 냉각온도까지 냉각속도 편차 (℃/sec) | 2차 냉각온도까지 냉각속도 편차 (℃/sec) | 선재 겹침부 흑연립 상분율(%) | 선재 겹침부 흑연립 상분율(%) | 선재 링내 인장강도 분포 (kg/mm2) (16mm기준) |
발 명 예 | 발명예 1 | 0.88 | 25.0 | 30.0 | 1.8±0.4 | 0.4±0.2 | 2.0 | 1.8 | 55±4 |
발명예 2 | 0.89 | 25.5 | 29.0 | 1.7±0.4 | 0.4±0.2 | 2.0 | 1.7 | 56±3 | |
발명예 3 | 0.90 | 26.0 | 28.0 | 1.8±0.4 | 0.4±0.2 | 2.0 | 1.9 | 54±3 | |
발명예 4 | 0.91 | 26.5 | 27.0 | 1.8±0.5 | 0.4±0.2 | 2.0 | 1.7 | 55±2 | |
발명예 5 | 0.92 | 27.0 | 26.0 | 1.7±0.4 | 0.4±0.2 | 2.0 | 1.8 | 55±3 | |
발명예 6 | 0.93 | 27.5 | 25.0 | 1.7±0.4 | 0.4±0.2 | 2.0 | 1.6 | 54±2 | |
비 교 예 | 비교예 1 | 0.86 | 24.0 | 24.0 | 2.4±1.1 | 0.8±0.5 | 2.0 | 0.8 | 62±11 |
비교예 2 | 0.87 | 24.5 | 23.0 | 2.5±1.2 | 0.8±0.6 | 2.0 | 0.7 | 61±12 | |
비교예 3 | 0.94 | 27.5 | 22.0 | 2.3±1.0 | 0.7±0.5 | 2.0 | 0.9 | 60±10 | |
비교예 4 | 0.95 | 28.0 | 21.0 | 2.4±1.0 | 0.8±0.5 | 2.0 | 0.8 | 60±11 |
구분 | 흑연화 특성 | 냉간단조성 | 피삭성 | |||
흑연화시간 (min) | 흑연상 분율 (%) | 흑연립 평균크기 (㎛) | 임계냉간 단조율 (%) | 칩처리성 | 공구수명 (min) | |
발명강 1 | 5 | 2.1 | 7 | 130 | 우수 | 120 |
발명강 2 | 6 | 2.2 | 8 | 140 | 우수 | 110 |
발명강 3 | 5 | 2.0 | 9 | 130 | 우수 | 130 |
발명강 4 | 7 | 1.9 | 7 | 135 | 우수 | 115 |
발명강 5 | 7 | 2.1 | 6 | 140 | 우수 | 140 |
발명강 6 | 6 | 2.5 | 8 | 130 | 우수 | 120 |
발명강 7 | 7 | 1.2 | 7 | 140 | 우수 | 130 |
발명강 8 | 5 | 2.1 | 7 | 135 | 우수 | 125 |
발명강 9 | 6 | 2.0 | 6 | 135 | 우수 | 140 |
발명강 10 | 5 | 2.7 | 9 | 140 | 우수 | 135 |
비교강 1 | 350 | 2.0 | 25 | 70 | 보통 | 40 |
비교강 2 | 400 | 2.0 | 30 | 75 | 보통 | 35 |
비교강 3 | 10 | 2.1 | 20 | 80 | 보통 | 50 |
비교강 4 | 9 | 2.2 | 17 | 90 | 보통 | 60 |
비교강 5 | 600 | 2.1 | 21 | 85 | 보통 | 40 |
비교강 6 | 440 | 2.9 | 33 | 70 | 보통 | 30 |
비교강 7 | 530 | 1.3 | 20 | 80 | 보통 | 15 |
비교강 8 | 380 | 2.0 | 19 | 80 | 보통 | 45 |
비교강 9 | 3600 | 2.2 | 24 | 75 | 보통 | 20 |
비교강 10 | 3900 | 2.6 | 35 | 65 | 보통 | 25 |
Claims (9)
- 중량%로, C : 0.30~0.70%, Si : 2.0~4.0%, Mn : 0.1~1.0%, P : 0.01~0.15%, S : 0.01%이하, Se : 0.001~0.05%, Ti : 0.001~0.03%, B : 0.001~0.003%, Al : 0.002~0.01%, N : 0.004~0.008%, O : 0.005%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 Fe 및 기타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Ti, N, B 및 Al이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고, Mn, Se 및 S가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조성의 빌레트를 얻는 단계;선재압연한 직후 860~950℃에서 권취하는 단계;권취한 선재를 1.3~2.3℃/sec의 냉각속도로 740~800℃까지 냉각하는 단계;0.2~0.6℃/sec의 냉각속도로 570~670℃까지 냉각하는 단계; 및이후 공냉하여 흑연화 선재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재는 흑연립 크기가 15㎛이하, 흑연립 상분율이 0.1%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단조성 및 쾌삭성이 우수한 기계구조용 흑연화 선재 제조방법.(단, 하기 관계식 1 및 관계식 2의 Ti, N, B, Al, Mn, Se 및 S는 각각 해당원소의 중량%를 의미한다.)[관계식 1]2.0≤(Ti+5B+Al)/N≤5.5[관계식 2]1.0≤(Mn/5+Se)/5S≤3.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빌레트 조성에 더하여, Ni : 0.05~1.0%, Cu : 0.01~0.5%, Ca : 0.0001~0.05%, Zr : 0.0005~0.008%, REM(Rare Earth Metal, 희토류금속) : 0.001~0.05%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단조성 및 쾌삭성이 우수한 기계구조용 흑연화 선재 제조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열간압연후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가 30㎛ 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단조성 및 쾌삭성이 우수한 기계구조용 흑연화 선재 제조방법
- 삭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5.5~14mm 직경으로 열간압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단조성 및 쾌삭성이 우수한 기계구조용 흑연화 선재 제조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냉각시 냉각대 커버 상부면 직하에 열 반사판 (heat reflex mirror)을 설치하여 선재 코일의 가장자리 겹침부와 중심 비겹침부 사이의 온도편차를 최소화시켜 균질 흑연화 미세조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단조성 및 쾌삭성이 우수한 기계구조용 흑연화 선재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 반사판의 폭과 선재코일 폭의 비(ratio) Wref / Wrod 가 0.88~0.9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단조성 및 쾌삭성이 우수한 기계구조용 흑연화 선재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 반사판의 하향 절곡된 끝부분의 길이(te)가 25.0~27.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단조성 및 쾌삭성이 우수한 기계구조용 흑연화 선재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 반사판 끝부분의 각(α)이 25~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단조성 및 쾌삭성이 우수한 기계구조용 흑연화 선재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6856A KR100605722B1 (ko) | 2004-11-24 | 2004-11-24 | 냉간단조성 및 쾌삭성이 우수한 기계구조용 흑연화 선재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6856A KR100605722B1 (ko) | 2004-11-24 | 2004-11-24 | 냉간단조성 및 쾌삭성이 우수한 기계구조용 흑연화 선재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7797A KR20060057797A (ko) | 2006-05-29 |
KR100605722B1 true KR100605722B1 (ko) | 2006-08-01 |
Family
ID=37153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9685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5722B1 (ko) | 2004-11-24 | 2004-11-24 | 냉간단조성 및 쾌삭성이 우수한 기계구조용 흑연화 선재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0572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82684A1 (ko) * | 2015-11-12 | 2017-05-18 | 주식회사 포스코 | 냉간단조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
WO2021149849A1 (ko) * | 2020-01-22 | 2021-07-29 | 주식회사 포스코 | 흑연화 열처리용 선재와 흑연강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899555B (zh) * | 2010-08-04 | 2011-12-14 | 武汉钢铁(集团)公司 | 一种石墨化易切削钢的生产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41113A (ja) | 1987-03-27 | 1988-10-06 | Sumitomo Metal Ind Ltd | 高温延性の高い非調質テルル快削鋼の製造法 |
JPH08283847A (ja) * | 1995-04-12 | 1996-10-29 | Nippon Steel Corp | 靱性に優れた冷間鍛造用黒鉛鋼の製造方法 |
KR20030055520A (ko) * | 2001-12-27 | 2003-07-04 | 주식회사 포스코 | 표면탈탄이 적은 고실리콘 첨가 고탄소 선재의 제조방법 |
KR20040054987A (ko) * | 2002-12-20 | 2004-06-26 | 주식회사 포스코 | 표면탈탄이 적은 고실리콘 첨가 중탄소 선재의 제조방법 |
-
2004
- 2004-11-24 KR KR1020040096856A patent/KR10060572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41113A (ja) | 1987-03-27 | 1988-10-06 | Sumitomo Metal Ind Ltd | 高温延性の高い非調質テルル快削鋼の製造法 |
JPH08283847A (ja) * | 1995-04-12 | 1996-10-29 | Nippon Steel Corp | 靱性に優れた冷間鍛造用黒鉛鋼の製造方法 |
KR20030055520A (ko) * | 2001-12-27 | 2003-07-04 | 주식회사 포스코 | 표면탈탄이 적은 고실리콘 첨가 고탄소 선재의 제조방법 |
KR20040054987A (ko) * | 2002-12-20 | 2004-06-26 | 주식회사 포스코 | 표면탈탄이 적은 고실리콘 첨가 중탄소 선재의 제조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82684A1 (ko) * | 2015-11-12 | 2017-05-18 | 주식회사 포스코 | 냉간단조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
US10988821B2 (en) | 2015-11-12 | 2021-04-27 | Posco | Wire rod having excellent cold forge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WO2021149849A1 (ko) * | 2020-01-22 | 2021-07-29 | 주식회사 포스코 | 흑연화 열처리용 선재와 흑연강 및 그 제조방법 |
US12351885B2 (en) | 2020-01-22 | 2025-07-08 | Posco Co., Ltd | Wire rod for graphitization heat treatment, graphite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7797A (ko) | 2006-05-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232045B2 (ja) | 高強度冷間圧延鋼板およびそのような鋼板を作製する方法 | |
KR101799711B1 (ko) | 봉강 | |
KR102021216B1 (ko) | 산세성 및 담금질 템퍼링 후의 내지연파괴성이 우수한 볼트용 선재, 및 볼트 | |
US6645319B2 (en) | Wire rod for drawing superior in twisting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 |
MX2014011861A (es) | Alambron de acero o barra de acero que tienen una excelente capacidad de forjado en frio. | |
CN102348822A (zh) | 淬透性优良的加硼钢板及制造方法 | |
KR102570145B1 (ko) | 고탄소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
WO2022070608A1 (ja) | 鋼板及び鋼板の製造方法 | |
KR100210867B1 (ko) | 냉간 가공성, 절삭성 및 경화능이 우수한 미세 흑연이 균일하게 분산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200076797A (ko) | 강도 편차가 적은 열연 소둔 강판, 부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102569074B1 (ko) | 고탄소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605722B1 (ko) | 냉간단조성 및 쾌삭성이 우수한 기계구조용 흑연화 선재제조방법 | |
KR100900646B1 (ko) | 표면탈탄이 적은 고실리콘 첨가 고탄소 선재의 제조방법 | |
KR100431849B1 (ko) | 저온조직이 없는 고실리콘 첨가 중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 |
KR100605724B1 (ko) | 흑연화 처리성이 우수한 흑연강용 강재 | |
KR100627484B1 (ko) | 표면탈탄이 적은 기계구조용 흑연화 선재 제조방법 | |
KR101115718B1 (ko) | 지연파괴저항성 및 연신율이 우수한 고강도 강가공품 및그 제조방법 | |
KR100448623B1 (ko) | 표면탈탄이 적은 고실리콘 첨가 중탄소 선재의 제조방법 | |
KR100431848B1 (ko) | 저온조직이 없는 고실리콘 첨가 고탄소 선재의 제조방법 | |
KR100605723B1 (ko) | 지연파괴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 | |
KR100891866B1 (ko) | 표면탈탄이 적은 고실리콘 첨가 중탄소 선재의 제조방법 | |
KR101115716B1 (ko) | 지연파괴저항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고강도 강가공품 및 그제조방법 | |
KR101125894B1 (ko) | 표면탈탄이 적은 기계구조용 흑연강 선재의 제조방법 | |
KR101115769B1 (ko) | 지연파괴저항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고강도 강가공품 및 그제조방법 | |
KR101115811B1 (ko) | 지연파괴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0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