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808B1 - Round Recliner of Car Seat - Google Patents
Round Recliner of Car Se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01808B1 KR100601808B1 KR1020060002157A KR20060002157A KR100601808B1 KR 100601808 B1 KR100601808 B1 KR 100601808B1 KR 1020060002157 A KR1020060002157 A KR 1020060002157A KR 20060002157 A KR20060002157 A KR 20060002157A KR 100601808 B1 KR100601808 B1 KR 1006018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
- hook
- side bracket
- seat
-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provided with a lock mechanism on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라운드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und recliner of a vehicle seat,
시트백을 탄성회동시키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있어서, 시트쿠션이 장착되며, 후단부 일측면에 홀더(12)가 설치된 사이드브래킷(10)과; 백프레임이 결합되되 리클라이닝축(40)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측면에 후크(21)가 설치된 아암(20)과; 상기 사이드브래킷(10)과 아암(20) 사이에 설치되되, 사이드브래킷(10)에 대한 아암(20)의 회동을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라운드 리클라이닝부와; 일단부(13a)가 아암(20)의 후크(21)에 걸어맞춤되고, 타단부(13b)가 사이드브래킷(10)의 홀더(12)에 걸어맞춤되어, 사이드브래킷(10)에 대한 아암(20)의 회동탄지력을 부여하는 리턴스프링(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12)에는 양측방으로 돌설되되 아암(20)의 후크(21)와 당접하는 스토퍼(12a, 12b)가 형성되어, 아암(20)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며, 상기 후크(21)는 계단형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A recliner of a vehicle seat for elastically rotating a seat back, comprising: a side bracket (10) on which seat cushions are mounted, and holders (12) are provided on one side of a rear end thereof; An arm 20 coupled to the back frame and pivoted about the reclining shaft 40 and having a hook 21 on an upper side thereof; A round reclin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side bracket 10 and the arm 20 to lock and unlock the rotation of the arm 20 with respect to the side bracket 10; One end 13a is engaged with the hook 21 of the arm 20, and the other end 13b is engaged with the holder 12 of the side bracket 10, so that the arm to the side bracket 10 And a return spring 13 for imparting a rotational coalescing force of 20, and the holder 12 has stoppers 12a and 12b protruding from both sides and contacting the hook 21 of the arm 20. Is formed, limiting the range of rotation of the arm 20, the hook 21 is characterized in that bent in a step shape,
사이드브래킷의 홀더에 양측방으로 스토퍼를 돌설시켜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의 용접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시트 프레임의 제조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stopper is formed integrally with both sides of the holder of the side brackets, and thus a separate welding process is unnecessary, the number of manufacturing steps of the seat frame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차량, 시트, 라운드 리클라이너, 스토퍼 Vehicle, seat, round recliner, stopper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를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recliner of a conventional vehicle sea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라운드 리클라이너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und recliner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라운드 리클라이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und recliner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라운드 리클라이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Figures 4a to 4c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ound recliner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사이드브래킷 12 : 홀더10
13 : 리턴스프링 20 : 아암13: return spring 20: arm
21 : 후크 23 : 마운팅홀21: hook 23: mounting ho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라운드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브래킷의 홀더에 양측방으로 스토퍼를 돌설시켜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의 용접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시트 프레임의 제조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고, 백프레임이 아암에 체결고정수단에 의해 체결결합되므로, 시트 프레임의 하자보수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후크를 계단형상으로 절곡형성하여 탄지회동 및 스토핑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라운드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und recliner of a vehicle seat,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stopper on both sides of the side bracket holder by integrally forming a single welding step, so that a separate welding process is unnecessary, thus reducing the number of manufacturing steps of the seat frame.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back frame is fastened to the arm by fastening and fastening means, thereby facilitating repair and repair of the seat frame, and bending the hook into a step shape, which can be used to rotate and sw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und recliner of a vehicle seat capable of smoothly performing a topping operation.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착좌할 수 있도록 차체 실내의 바닥면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쿠션과, 이 시트쿠션에 회동가능하게 입설된 시트백으로 이루어진 시트가 구비된다.In general,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seat cushion which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ody so as to allow a driver or a passenger to sit in a seat, and a seatback mounted on the seat cushion so as to be rotatable.
따라서, 운전자나 착좌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추어 시트쿠션을 전후방으로 당기거나 밀어 시트의 전후방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착좌할 수 있다.Therefore, the driver or the seater can sit in a state where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seat are adjusted by pulling or pushing the seat cushion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ir body shape.
시트백은 통상 힌지구조를 통해 시트쿠션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시트백은 시트쿠션 측에 각도가 고정된 록킹 상태에서 회동이 가능한 언록킹 상태로 상호 전환이 가능한 바, 이러한 록킹-언록킹 상태의 유지 및 전환 기능을 위하여 리클라이너가 설치된다. The seatback is usually installed in a state that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at cushion through the hinge structure has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ccording to the passenger's convenience. To this end, the seatback can be mutually switched from the locked state in which the angle is fixed to the seat cushion side to the unlockable state, which is rotatable, and a recliner is installed to maintain and switch the locking-unlocked state.
따라서 리클라이너에 의해 운전자나 착좌자의 체형이나 편의에 따라 시트백 의 입설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리클라이너는 시트쿠션의 양측 후단부에 설치되어 시트백 하단과 시트쿠션 후단을 서로 연결하게 되며, 이 리클라이너에는 시트백의 탄성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나선형의 리턴스프링이 장착된다.Accordingly, the recliner can adjust the seat back angle according to the driver's or seater's body shape or convenience. In addition, the recliner is installed at both rear ends of the seat cushion to connect the lower end of the seat back and the rear seat cushion, and the recliner is equipped with a spiral return spring that enables the elastic rotation of the seat back.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의 구성은 시트쿠션이 장착되는 사이드브래킷(110)과, 시트백이 장착되는 백프레임(120)과, 사이드브래킷(110)과 백프레임(120) 사이에 설치된 리클라이닝부로 이루어진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recliner of a vehicle seat, and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recliner of a vehicle seat includes a
사이드브래킷(110)에는 리턴스프링(113)의 일단부가 걸어맞춤되는 홀더(112)가 설치되고, 백프레임(120)에는 리턴스프링(113)의 타단부가 걸어맞춤되는 후크(121)이 설치된다. 따라서 백프레임(120)이 리턴스프링(113)에 의해서 리클라이닝축을 중심으로 탄성회동이 가능하게 된다.The
또한, 사이드브래킷(110)의 후단부에는 백프레임(120)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스토퍼(111)가 전후에 양측에 형성되어, 백프레임(120)의 후크(121)와 당접하게 된다. 따라서, 백프레임(111)의 회동범위가 양측 후크(111) 사이의 간격으로 제한된다.In addition, the
그러나, 스토퍼(111)는 사이드브래킷(110)의 후단부에 용접가공에 의해 접합되거나, 사이드브래킷(110)의 제작시 스토퍼(111)를 일체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용접공정에 의해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또한, 스토퍼(111)를 사이드브래킷(110)에 용접한 경우에 시트백을 빈번하게 리클라이닝하게 되면, 사이드브래킷(110)와 스토퍼(111)와의 용접부가 손상되어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었다.In addition, if the seatback is frequently reclined when the
백프레임(120)도 리클라이닝부와 용접가공에 의해 접합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시트백에 무리한 하중이 부여되는 경우에는 용접부가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고, 시트백 및 백프레임의 하자보수 및 수리를 위해서는 시트의 전체 프레임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Since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사이드브래킷의 홀더에 양측방으로 스토퍼를 돌설시켜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의 용접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시트 프레임의 제조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고, 백프레임이 아암에 체결고정수단에 의해 체결결합되므로, 시트 프레임의 하자보수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후크를 계단형상으로 절곡형성하여 탄지회동 및 스토핑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라운드 리클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by forming a stopper in both sides of the holder of the side bracket by integrally formed so that a separate welding process is unnecessary,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at frame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back frame is fastened to the arm by fastening and fastening means, thereby facilitating repair and repair of the seat frame, and bending the hook into a step shape, which can be used to rotate and sw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und recliner of a vehicle seat capable of smoothly performing a topping oper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백을 탄성회동시키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있어서, 시트쿠션이 장착되며, 후단부 일측면에 홀더(12)가 설치된 사이드브래킷(10)과; 백프레임이 결합되되 리클라이닝축(40)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측면에 후크(21)가 설치된 아암(20)과; 상기 사이드브래킷(10)과 아암(20) 사이에 설치되되, 사이드브래킷(10)에 대한 아암(20)의 회동을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라운드 리클라이닝부와; 일단부(13a)가 아암(20)의 후크(21)에 걸어맞춤되고, 타단부(13b)가 사이드브래킷(10)의 홀더(12)에 걸어맞춤되어, 사이드브래킷(10)에 대한 아암(20)의 회동탄지력을 부여하는 리턴스프링(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12)에는 양측방으로 돌설되되 아암(20)의 후크(21)와 당접하는 스토퍼(12a, 12b)가 형성되어, 아암(20)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며, 상기 후크(21)는 계단형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recliner of the vehicle seat for rotating the seat back, the seat cushion is mounted, th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암(20)의 상측부에는 백프레임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마운팅홀(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upper portion of the
삭제delet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라운드 리클라이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라운드 리클라이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라운드 리클라이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und recliner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und recliner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to 4c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round recliner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의 라운드 리클 라이너는 사이드브래킷(10), 아암(20), 라운드 리클라이닝부 및 리턴스프링(13)으로 이루어져, 시트백을 탄성회동시키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이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round reticle liner of the vehicle seat of the present embodiment comprises a
사이드브래킷(10)은 하부가 전방지지대 및 후방지지대를 개재해서 차량의 실내바닥에 고정되며, 상부에는 탑승자가 착좌하는 시트쿠션이 장착된다. 사이드브래킷(10)의 후단부 일측면에는 리턴스프링(13)과 걸어맞춤되는 홀더(12)가 볼트 등의 체결고정수단에 의해 체결고정된다. The
사이드브래킷(10)에 체결고정된 홀더(12)에는 양측방으로 돌설된 돌기형상의 스토퍼(12a, 12b)가 형성된다. 따라서 홀더(12)에 형성된 양측의 스토퍼(12a, 12b)는 아암(20)에 돌설고정된 후크(21)와 당접하여, 아암(20)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The
또한, 홀더(12)의 양측 스토퍼(12a, 12b)는 돌기형상의 단부가 계단형상으로 절곡되어, 아암(20)의 후크(21)와 당접하는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both
아암(20)에는 착좌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백의 백프레임이 결합되고, 리클라이닝축(4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암(20)의 상측면에는 체결홀(21a)이 형성된 후크(21)가 설치되어, 체결홀(21a)을 개재해서 볼트 등의 체결고정수단에 의해 체결고정된다. The
아암(20)에 체결고정된 후크(21)는 계단형상으로 절곡되어, 후크(21)의 제 1 계단부(21b)에는 리턴스프링(13)이 걸어맞춤되고, 후크(21)의 제 2 계단부(21c, 21d)에는 홀더(12)의 양측 스토퍼(12a, 12b)가 당접하게 된다. The
따라서 후크(21)에 리턴스프링(13)이 걸어맞춤되는 부분과 홀더(12)와 당접하는 부분이 계단형상의 절곡부에 의해 분리되므로, 탄지회동 및 스토핑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part where the
즉, 도 4a 내지 도 4c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브래킷(10)과 아암(20) 사이의 록킹상태가 라운드 리클라이닝부에 의해서 언록킹상태로 전환되면, 리턴스프링(13)의 회동탄지력에 의해 아암(10)이 리클라이닝축(40)을 중심으로 해서 전방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후크(21)의 제 2 계단부(21c)가 홀더(12)의 스토퍼(12a)와 당접하게 되어, 아암(20)의 전방 회동이 제한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s. 4A to 4C, when the locked state between the
이러한 상태에서 착좌자가 등부분으로 시트백을 후방으로 압압하게 되면, 시트백프레임이 결합된 아암(20)이 리클라이닝축(40)을 중심으로 해서 후방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후크(21)의 제 2 계단부(21d)가 홀더(12)의 스토퍼(12b)와 당접하게 되어, 아암(20)의 후방 회동이 제한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seater presses the seatback to the back with the back portion, the
따라서 아암(20)은 홀더(12)의 양측 스토퍼(12a, 12b) 사이의 간격내에서만 전후방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아암(20)의 전후방 회동범위가 제한되므로, 시트백의 회동범위도 제한된다.Therefore, the
또한, 아암(20)의 상측부에는 시트백이 장착되는 백프레임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마운팅홀(23)이 형성되어 볼트 등의 체결고정수단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mounting
따라서 시트백 및 백프레임의 하자보수 및 수리를 위해서는 시트 프레임 전체를 교체해야 할 필요없이, 마운팅홀(23)에 체결고정된 백프레임만을 분리하여 하 자보수 및 수리를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for the repair and repair of the seat back and the back frame, without having to replace the entire seat frame, it is possible to remove and repair only the back frame fastened to the mounting hole (23).
라운드 리클라이닝부는 사이드브래킷(10)과 아암(20) 사이에 설치되되, 사이드브래킷(10)에 대한 아암(20)의 회동을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round reclining part is installed between the
라운드 리클라이닝부는 록기어(34)의 외치차와 치합되도록 형성된 원형의 내치차를 구비하면서 록기어(34) 및 작동캠(33)을 내측에 수용하는 섹터기어(35)와, 3개의 록기어지지부를 구비하는 홀더(31)를 포함하며, 작동캠(33)을 록킹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리턴스프링(32)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The round reclining portion has a circular inner tooth formed to engage with the outer tooth of the
이를 보다 상세하게 보면, 섹터기어(35)는 리클라이닝축(도면 미도시)이 관통하는 원형의 축공과, 록기어(34)의 외치차와 치합되도록 형성된 원형의 내치차와, 동심원상에서 일정한 각도로 유격된 다수의 연결돌기로 이루어져 이 연결돌기를 통해 시트백과 연결되는 시트백연결부와, 록기어 및 캠을 내측면에 수용하는 록기어수용부로 이루어진다. In more detail, the
홀더(31)는 섹터기어(35)와 조립되되, 작동캠(33)의 연결돌기가 안치되도록 형성된 캠수용부와, 3개의 록기어(34)가 원할하게 이동되어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도록 지지하게 되는 3개의 록기어지지부와, 동심원상에서 일정한 각도로 유격된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 각각 3개의 연결돌기로 이루어져 이 연결돌기를 통해 시트와 연결되는 시트연결부와, 록기어(34)를 내측에 수용하는 록기어수용부를 구비한다.
작동캠(33)은 섹터기어(35)와 홀더(31) 사이의 캠수용부내에 조립되어 회전축의 회동에 의해 록기어(34)를 섹터기어(35)의 내치차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시킨 다. The actuating
리턴스프링(32)은 작동캠(33)이 록킹된 상태에서 록기어(34)와 섹터기어(35)의 물림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지력을 제공하며, 조립홀더(36)은 섹터기어(35)와 홀더(31)가 조립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하게 된다. The
이러한 라운드 리클라이닝부는 탑승자가 시트백의 각도 조절을 위하여 회전축을 회동시킬 때에, 섹터기어(35)와 홀더(31) 사이의 캠수용부 내에 조립된 작동캠(33)이 회동되어 록기어(34)를 섹터기어(35)의 내치차에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게 된다. 따라서 시트백이 라운드 리클라이닝부에 의해서 록킹 또는 언록킹하게 된다.When the occupant rotates the rotary shaft to adjust the angle of the seatback, the round reclining part rotates the
또한, 이러한 라운드 리클라이닝부의 구성은 상기와 같이 제한되지 않고, 종래의 다양한 라운드 리클라이너를 사용해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such a round reclining portion is not limited as described above, and of course, various conventional round recliners may be used.
리턴스프링(13)은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13a)가 아암(20)의 후크(21)에 걸어맞춤되고, 타단부(13b)가 사이드브래킷(10)의 홀더(12)에 걸어맞춤된다. The
따라서, 사이드브래킷(10)과 아암(20) 사이의 록킹상태가 라운드 리클라이닝부에 의해서 언록킹상태로 전환되면, 리턴스프링(13)이 사이드브래킷(10)에 대한 아암(20)의 전방 회동탄지력을 부여하게 된다.Thus, when the locked state between th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main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이드브래킷의 홀더에 양측방으로 스토퍼를 돌설시켜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의 용접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시트 프레임의 제조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the stopper on both sides of the side bracket holder, so that no separate welding process is required, so that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es for the seat frame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It has an effect.
백프레임이 아암에 체결고정수단에 의해 체결결합되므로, 시트 프레임의 하자보수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Since the back frame is fastened to the arm by fastening and fixing means,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repair and repair of the seat frame.
후크를 계단형상으로 절곡형성하여 탄지회동 및 스토핑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bending the hook to form a step,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smoothly moving and stop opera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2157A KR100601808B1 (en) | 2006-01-09 | 2006-01-09 | Round Recliner of Car Sea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2157A KR100601808B1 (en) | 2006-01-09 | 2006-01-09 | Round Recliner of Car Sea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01808B1 true KR100601808B1 (en) | 2006-07-19 |
Family
ID=3718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02157A KR100601808B1 (en) | 2006-01-09 | 2006-01-09 | Round Recliner of Car Sea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0180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459194A (en) * | 2011-05-24 | 2013-12-18 | 凯波有限责任两合公司 | Vehicle seat, in particular motor vehicle seat |
CN108528283A (en) * | 2018-04-18 | 2018-09-14 | 广州广汽优利得汽车内饰系统研发有限公司 | A kind of seat adjustment structur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0400A (en) * | 1998-11-10 | 2001-08-22 | 데이비드 엠 모이어 | A film with UV-barrier properties |
JP2003102586A (en) | 2001-09-28 | 2003-04-08 | Tachi S Co Ltd | Seat back frame |
-
2006
- 2006-01-09 KR KR1020060002157A patent/KR10060180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0400A (en) * | 1998-11-10 | 2001-08-22 | 데이비드 엠 모이어 | A film with UV-barrier properties |
JP2003102586A (en) | 2001-09-28 | 2003-04-08 | Tachi S Co Ltd | Seat back fram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459194A (en) * | 2011-05-24 | 2013-12-18 | 凯波有限责任两合公司 | Vehicle seat, in particular motor vehicle seat |
CN103459194B (en) * | 2011-05-24 | 2015-12-09 | 凯波有限责任两合公司 | Seat, particularly automobile seat |
US9346380B2 (en) | 2011-05-24 | 2016-05-24 | Keiper Gmbh & Co. Kg | Vehicle seat, in particular motor vehicle seat |
CN108528283A (en) * | 2018-04-18 | 2018-09-14 | 广州广汽优利得汽车内饰系统研发有限公司 | A kind of seat adjustment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606137B1 (en) | Seat back recliner for vehicles | |
JP2017039468A (en) | Vehicle seat and vehicle | |
JP6212214B2 (en) | Latch for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 |
EP2089247B1 (en) | Recliner mechanism package shelf | |
EP1829736B1 (en) | Automobile seat | |
KR100601808B1 (en) | Round Recliner of Car Seat | |
US6290292B1 (en) | Seat back structure of hinged vehicle seat | |
US11135958B2 (en) | Fram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 |
JP4263409B2 (en) | Multi-positionable and reversible seat assembly | |
JPH10138813A (en) | Headrest device for vehicle | |
JP2016137188A (en) | Vehicle seat | |
JP2003341392A (en) | Seat unit for automobile | |
JP7365274B2 (en) | vehicle seat | |
JP5641539B2 (en) | Vehicle seat | |
JP4089933B2 (en) | Car seat mounting structure | |
JP7263808B2 (en) | Posture control system and vehicle seat | |
JP3645127B2 (en) | Seat back armrest mounting structure | |
JP7515319B2 (en) | Vehicle seat | |
JP2013129258A (en) | Footrest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seat having the same | |
JP5365354B2 (en) | Vehicle seat | |
CN112238800B (en) | Armrest with automatic folding function | |
JP2004249930A (en) | Rear seat foot rest | |
KR20060099661A (en) | Height adjustment mechanism of car seat | |
JP3550645B2 (en) | Seat back frame | |
JP3363929B2 (en) | Car seat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0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