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99012B1 - 열전도성 기판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방법 - Google Patents

열전도성 기판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012B1
KR100599012B1 KR1020050057327A KR20050057327A KR100599012B1 KR 100599012 B1 KR100599012 B1 KR 100599012B1 KR 1020050057327 A KR1020050057327 A KR 1020050057327A KR 20050057327 A KR20050057327 A KR 20050057327A KR 100599012 B1 KR100599012 B1 KR 100599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typ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layer
semiconductor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50057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012B1/ko
Application filed by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Priority to JP2008519162A priority patent/JP5368088B2/ja
Priority to CN2009101597343A priority patent/CN101604701B/zh
Priority to PCT/KR2006/002146 priority patent/WO2007001124A1/en
Priority to US11/994,306 priority patent/US8039846B2/en
Priority to EP06768755.8A priority patent/EP1905103B1/en
Priority to CNB2006800233306A priority patent/CN100565947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012B1/ko
Priority to US13/235,053 priority patent/US8129207B2/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elem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0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4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comprising multipl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H20/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H20/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H2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 H10H20/018Bonding of waf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9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s
    • H10H20/82Roughened surfaces, e.g. at the interface between epitaxia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8Means for heat extraction or cooling
    • H10H20/8581Means for heat extraction or cooling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열전도성 기판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발광 다이오드는 열전도성 절연기판을 포함한다. 이 절연 기판 상에 복수개의 금속 패턴들이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 금속 패턴의 일부 영역 상에 발광셀이 위치한다. 이 발광셀들은 각각 P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한다. 한편, 금속배선들이 상기 발광셀들의 상부면과 그것에 인접한 금속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발광셀들이 열전도성 절연기판 상에서 동작하므로, 열방출 특성이 개선된다.
발광 다이오드, 금속 패턴, 발광셀, 열전도성 기판

Description

열전도성 기판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THERMAL CONDUCTIVE SUBSTR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도성 기판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가 서로 접합된 구조를 가지는 광전변환 반도체 소자로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산한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표시소자 및 백라이트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는 기존의 전구 또는 형광등에 비해 소모 전력이 작고 수명이 길어, 백열전구 및 형광등을 대체하여 일반 조명 용도로 그 사용 영역을 넓히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교류전원하에서 전류의 방향에 따라 온/오프를 반복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를 교류전원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발광 다이오드가 연속적으로 빛을 방출하지 못하며, 역방향 전류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전압 교류전원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가 국제공개번호 WO 2004/023568(Al)호에 "발광 성분들을 갖는 발광소자"(LIGHT-EMITTING DEVICE HAVING LIGHT-EMITTING ELEMENTS)라는 제목으로 사카이 등(SAKAI et. al.)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WO 2004/023568(Al)호에 따르면, LED들이 사파이어 기판과 같은 절연성 기판 상에 2차원적으로 직렬연결되어 LED 어레이를 형성한다. 이러한 두개의 LED 어레이들이 상기 사파이어 기판 상에서 역병렬로 연결된다. 그 결과, AC 파워 서플라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단일칩 발광소자가 제공된다.
그러나, 사파이어 기판은 열전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열 방출이 원활하지 못하다. 이러한 열방출의 한계는 상기 발광장치의 최대 광출력의 한계로 이어진다. 따라서, 고전압 교류전원하에서 최대 광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열방출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발광소자는 LED 어레이들이 교류전원하에서 교대로 동작하므 로, 발광셀들이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에 비해 광출력이 상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최대 광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각 발광셀들의 광추출효율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류전원하에서 구동가능하며, 열방출 특성이 향상된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광추출효율이 향상된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열방출 특성 및/또는 광추출효율이 향상된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전도성 기판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열전도성 절연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 기판 상에 복수개의 금속 패턴들이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각 금속 패턴의 일부 영역 상에 발광셀이 위치한다. 상기 발광셀들은 각각 P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한다. 금속배선들이 상기 발광셀들의 상부면과 그것에 인접한 금속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발광셀들이 열전도성 절연기판 상에에 동작하므로, 열방출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성 절연기판은 사파이어 기판에 비해 열전도율이 큰 절 연기판을 의미한다. 또한, 절연기판은 반절연 SiC와 같은 반절연 기판을 포함한다. "반절연"(semi-insulating)은 일반적으로 비저항이 상온에서 대략 105Ω·㎝ 이상인 고저항 물질을 나타낸다.
상기 활성층은 P형 반도체층과 N형 반도체층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발광셀의 P형 반도체층과 N형 반도체층은 서로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P형 반도체층이 상기 금속패턴에 접촉되고, 상기 각 N형 반도체층의 표면이 상기 발광셀의 상부면이 된다. 상기 각 N형 반도체층의 표면은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N형 반도체층의 표면이 거칠게 형성됨에 따라, 전반사에 기인한 광반사를 감소시켜 광추출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각 금속패턴은 접합된 적어도 두개의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금속층들은, 은(Ag)과 같은 반사금속층과, 금(Au)과 같은 열전도성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Au와 주석(Sn)의 함금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금속층은 상기 발광셀에서 발생된 광을 발광셀의 상부면 방향으로 반사시키어 광출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은 제1 기판 상에 버퍼층, N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P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반도체층들 및 상기 반도체층들 상에 제1 금속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기판과 별개인 열전도성, 절연성의 제2 기판 상에 제2 금속층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금속층과 상기 제2 금속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 기판의 제1 금속층과 상기 제2 기판의 제2 금속층이 접합된다. 그 후, 상기 제1 기판을 상기 반도체층들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반도체층들 및 상기 금속층들을 패터닝하여 서로 이격된 금속패턴들 및 상기 각 금속패턴의 일부영역 상에 위치하는 발광셀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발광셀들의 상부면과 그것에 인접한 금속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배선들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열전도성 기판을 가지어 열방출 특성이 향상된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은 P형 반도체층과 N형 반도체층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P형 반도체층과 N형 반도체층은 서로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형 반도체층이 상기 제1 금속층에 오믹접촉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기판을 분리시킨 후, 상기 버퍼층을 제거하여 N형 반도체층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노출된 N형 반도체층의 표면은 광추출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N형 반도체층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는 것은 PEC(photoelectrochemical) 에칭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N형 반도체층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는 것은 상기 노출된 N형 반도체층 상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을 열처리하여 금속 아일랜드들을 형성하고, 상기 아일랜드들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N형 반도체층의 일부를 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친 표면을 갖는 N형 반도체층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열전도성 절연 기판(51) 상에 복수개의 금속 패턴들(40)이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열전도성 절연기판(51)은 사파이어 기판에 비해 열전도율이 큰 기판이면 제한이 없다. 상기 절연기판(51)은 상부면에 절연층이 형성된 도전형 단결정 기판일 수도 있다.
상기 금속패턴들(40) 각각은 접합된 적어도 두개의 층, 예컨대 제1 금속층(31a)과 제2 금속층(53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금속층(31a)은 반사금속층 및 열전도성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금속층은 예컨대 Ag일 수 있으며, 상기 열전도성 금속층은 예컨대 Au 또는 Au와 Sn의 합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금속층은 예컨대, Au 또는 Au와 Sn의 합금일 수 있다.
상기 각 금속 패턴의 일부 영역 상에 발광셀(30)이 위치한다. 상기 발광셀(30)은 P형 반도체층(29a), 활성층(27a) 및 N형 반도체층(25a)을 포함한다. 상기 활성층(27a)은 P형 반도체층(29a)과 N형 반도체층(25a) 사이에 개재되며, P형 반도체층(29a)과 N형 반도체층(25a)은 서로 위치를 바꿀 수 있다.
N형 반도체층(25a)은 N형 AlxInyGa1-x-yN(0≤x,y,x+y≤1)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N형 클래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형 반도체층(29a)은 P형 AlxInyGa1-x-yN(0≤x,y,x+y≤1)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P형 클래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형 반도체층(25a)은 실리콘(Si)을 도우핑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P형 반도체층(29a)은 아연(Zn) 또는 마그네슘(Mg)을 도우핑하여 형성할 수 있다.
활성층(27a)은 전자 및 정공이 재결합되는 영역으로서, InGaN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활성층(27a)을 이루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발광셀에서 방출되는 발광 파장이 결정된다. 상기 활성층(27a)은 양자우물층과 장벽층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다층막일 수 있다. 상기 장벽층과 우물층은 일반식 AlxInyGa1-x-yN(0≤x,y,x+y≤1)으로 표현되는 2원 내지 4원 화합물 반도체층들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판(51)과 발광셀(30) 사이에 버퍼층이 개재되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버퍼층이 개재되지 않으며, 금속패턴(31, 53)이 개재된다.
한편, 금속배선들(57)이 N형 반도체층(25a)과 그것에 인접한 금속패턴들(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각 N형 반도체층(25a) 상에 전극 패드(55)가 형성될 있다. 상기 전극 패드는(55)는 상기 N형 반도체층(25a)과 오믹접촉하여 접촉저항을 낮춘다. 따라서, 상기 금속배선(57)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패드(55)와 제1 금속층(31a)을 연결하여, 발광셀들(30)을 연결한다. 상기 금속배선들(57)에 의해 발광셀들(30)은 직렬 연결된 어레이를 형성한다. 상기 기판(51) 상에 두개 이상의 직렬 연결된 발광셀들의 어레이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어레 이들이 서로 역병렬로 연결되어 교류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의 부호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와 다른 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의 N형 반도체층(25a)과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N형 반도체층(65a)의 상부면은 표면이 거칠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발광셀(70)은 거친 표면의 상부면을 가지며, 그 결과 상부면에서 굴절률 차이에 기인한 전반사를 감소시키어 광추출효율이 개선된다.
상기 거친 표면은 상기 N형 반도체층(65a)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친 표면의 일부분에 전극패드(7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거친 표면은 N형 반도체층(65a)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일부 영역에 전극 패드(75)가 형성될 수 있다. 금속배선들(77)이 상기 전극 패드(75)와 금속패턴들(40)을 연결하여 직렬 연결된 발광셀들의 어레이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N형 반도체층(25a)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여, 발광셀(70)에서 상부로 방출되는 광의 추출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기판(21) 상에 버퍼층(23), N형 반도체층(25), 활성층(27) 및 P형 반도체층(29)을 포함하는 반도체층들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층들 상 에 제1 금속층(31)을 형성한다.
상기 제1 기판(21)은 사파이어 기판과 같이, 투광성이며, 상기 반도체층들에 격자 정합하는 기판이 유리하다.
상기 버퍼층(23) 및 반도체층들(25, 27, 29)은 금속유기 화학기상증착(MOCVD), 분자선 성장(MBE) 또는 수소화물 기상 성장(HVPE) 방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층들(25, 27, 29)은 동일한 공정챔버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23)은 상기 제1 기판(21)과 반도체층들(25, 27, 29)의 격자 부정합을 완화할 수 있으면, 특별이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언도프트 GaN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층(31)은 상기 P형 반도체층에 오믹접촉하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금속층(31)은 반사금속층과 열전도성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금속층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층으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Ag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성 금속층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Au 또는 Au와 Sn의 적층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21)과 별개의 제2 기판(51) 상에 제2 금속층(5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기판(51)은 열전도성, 절연성의 기판으로 사파이어 기판에 비해 열전도율이 큰 기판이다.
상기 제2 금속층(53)은 상기 제1 금속층(31)과 금속접합을 위한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Au 또는 Au와 Sn의 적층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금속층(31)과 상기 제2 금속층(53)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금속층들(31, 53)을 접합시킨다. 이러한 접합은 일정한 압력 및/또는 열을 가하여 쉽게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1 기판(21) 쪽에서 레이저를 조사한다. 상기 레이저는 예컨대 KrF(248nm) 레이저일 수 있다. 제1 기판(21)이 사파이어 기판과 같이 투광성 기판이므로, 상기 레이저는 제1 기판(21)을 통과하고, 버퍼층(23)에 의해 흡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버퍼층(23)과 상기 제1 기판(21)의 계면에서 상기 흡수된 방사 에너지에 의해 상기 버퍼층(23)이 분해(decomposition)되어, 상기 기판(21)이 상기 반도체층들로부터 분리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21)이 분리된 후, 잔존하는 버퍼층(23)을 제거하여 상기 N형 반도체층(25)의 표면을 노출시킨다. 상기 버퍼층(23)은 식각 기술 또는 폴리싱 기술을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진 및 식각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층들(25, 27, 29) 및 상기 금속층들(31, 53)을 패터닝하여 서로 이격된 금속패턴들(40) 및 상기 각 금속패턴의 일부영역 상에 위치하는 발광셀(30)을 형성한다.
상기 발광셀(30)은 패터닝된 P형 반도체층(29a), 활성층(27a) 및 N형 반도체층(25a)을 포함한다. 이들 반도체층들(25a, 27a, 29a)은 동일한 형상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기판(51)이 절연성 기판이므로, 상기 금속패턴들(40)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발광셀들(30)은 전기적으로 고립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셀들(30)의 상부면과 그것에 인접한 금속패턴들(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배선들(57)이 형성된다. 상기 금속배선들(57)은 상기 발광셀들(30)을 연결하여 직렬 연결된 발광셀들의 어레이를 형성한다. 이러한 어레이들은 두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어레이들이 역병렬로 연결되어 교류전원하에서 구동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금속배선들을 형성하기 전, 상기 N형 반도체층(25a) 상에 전극패드(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드(55)는 N형 반도체층(25a)에 오믹접촉된다. 상기 금속배선들(57)은 상기 전극패드(55)와 금속패턴(40)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도성 기판 상에 발광셀들을 가지어, 교류전원하에서 구동가능하며, 열방출 특성이 향상된 발광 다이오드가 제공된다. 한편, 금속패턴(40)이 형성됨에 따라, P형 반도체층(29a) 상에 별도의 전극 패드를 형성하는 공정은 생략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형 반도체층(29)과 상기 N형 반도체층(25)은 서로 순서를 바꾸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버퍼층(23)을 제거한 후, 상기 P형 반도체층(29) 상에 투명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한 공정을 거친다. 이에 따라, 제2 기판(51) 상에 적어도 두개의 금속층들(31, 53)이 접합되어 위치하고, 상기 금속층(31) 상에 P형 반도 체층(29), 활성층(27) 및 N형 반도체층(25)을 포함하는 반도체층들이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형 반도체층(29)은 상기 금속층(31)에 오믹접촉되고, 상기 N형 반도체층(25)의 표면이 노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노출된 N형 반도체층(25)의 표면을 거칠게 하여 거친 표면을 갖는 N형 반도체층(65)이 형성된다. 상기 N형 반도체층의 표면을 거칠게 하는 것은 예컨대, PEC(photoelectrochemical) 에칭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PEC 에칭기술로 N형 반도체층의 표면을 거칠게 하는 것은 2004년 2월 9일에 공개된 논문 "Increase in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GaN-based light-emitting diodes via surface roughening"(APPLIED PHYSICS LETTERS, VOL 84, NO.6, p855-857)에 개시되어 있다. 이 논문에 따르면, KOH 용액 및 Xe 램프를 사용한 PEC 에칭 기술을 사용하여 N형 반도체층의 표면을 거칠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추출효율이 향상된다.
이와 달리, 상기 N형 반도체층(25)의 표면을 거칠게 하는 것은 건식식각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N형 반도체층(25) 상에 금속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금속층에 열을 가하여, 상기 금속층을 금속 아일랜드들로 만든다. 그 후, 상기 금속 아일랜드들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N형 반도체층(25)을 식각하여 거친 표면을 갖는 N형 반도체층(65)을 형성한다. 잔류하는 금속 아일랜드들은 습식 식각 등을 사용하여 제거된다.
한편, 상기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N형 반도체층(25)의 일부 영역 상에 마스크를 사용하여 평평한 부분을 만들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진 및 식각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층들(65, 27, 29) 및 상기 금속층들(31, 53)을 패터닝하여 서로 이격된 금속패턴들(40) 및 상기 각 금속패턴의 일부영역 상에 위치하는 발광셀(70)을 형성한다.
상기 발광셀(70)은 패터닝된 P형 반도체층(29a), 활성층(27a) 및 N형 반도체층(65a)을 포함한다. 이들 반도체층들(65a, 27a, 29a)은 동일한 형상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셀들(70)의 상부면과 그것에 인접한 금속패턴들(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배선들(77)이 형성된다. 또한, 전극 패드들(7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드들(75)는 N형 반도체층(65a)의 상기 평평한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다. N형 반도체층(65a) 상에 평평한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극 패드(75)는 N형 반도체층(65a)의 거친 표면 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셀(70)의 상부면, 즉 N형 반도체층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여 광추출효율을 개선한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교류전원하에서 구동가능하며, 열방출 특성이 향상된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광추출효율이 향상된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교류전원하에서 구동가능하며, 열방출 특성 및/또는 광추출효율이 향상된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열전도성 절연 기판;
    상기 절연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개의 금속 패턴들;
    상기 각 금속 패턴의 일부 영역 상에 위치하고, 각각 P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셀들; 및
    상기 발광셀들의 상부면과 그것에 인접한 금속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배선들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셀들의 각 P형 반도체층이 상기 금속패턴에 접촉되고, 상기 각 N형 반도체층의 표면이 상기 발광셀의 상부면이 되는 발광 다이오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N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금속배선에 연결되는 전극 패드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N형 반도체층의 표면은 광추출효율을 증가시키도록 거칠게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금속패턴은 접합된 적어도 두개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6. 제1 기판 상에 버퍼층, N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P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반도체층들 및 상기 반도체층들 상에 제1 금속층을 형성하고,
    열전도성, 절연성의 제2 기판 상에 제2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금속층과 상기 제2 금속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금속층들을 접합시키고,
    상기 제1 기판을 상기 반도체층들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반도체층들 및 상기 금속층들을 패터닝하여 서로 이격된 금속패턴들 및 상기 각 금속패턴의 일부영역 상에 위치하는 발광셀을 형성하고,
    상기 발광셀들의 상부면과 그것에 인접한 금속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배선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P형 반도체층은 상기 제1 금속층에 오믹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을 분리시킨 후, 상기 버퍼층을 제거하여 N형 반도체층을 노출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상기 N형 반도체층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N형 반도체층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는 것은 PEC 에칭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N형 반도체층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는 것은
    상기 노출된 N형 반도체층 상에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층을 열처리하여 금속 아일랜드들을 형성하고,
    상기 아일랜드들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N형 반도체층의 일부를 식각하는 것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KR1020050057327A 2005-06-29 2005-06-29 열전도성 기판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99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327A KR100599012B1 (ko) 2005-06-29 2005-06-29 열전도성 기판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방법
CN2009101597343A CN101604701B (zh) 2005-06-29 2006-06-05 具有导热基板的发光二极管及其制造方法
PCT/KR2006/002146 WO2007001124A1 (en) 2005-06-29 2006-06-05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thermal conductive substr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1/994,306 US8039846B2 (en) 2005-06-29 2006-06-05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thermal conductive substr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8519162A JP5368088B2 (ja) 2005-06-29 2006-06-05 発光ダイオ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6768755.8A EP1905103B1 (en) 2005-06-29 2006-06-05 Method of fabricating a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thermal conductive substrate
CNB2006800233306A CN100565947C (zh) 2005-06-29 2006-06-05 具有导热基板的发光二极管及其制造方法
US13/235,053 US8129207B2 (en) 2005-06-29 2011-09-16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thermal conductive substr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327A KR100599012B1 (ko) 2005-06-29 2005-06-29 열전도성 기판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9012B1 true KR100599012B1 (ko) 2006-07-12

Family

ID=3718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3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99012B1 (ko) 2005-06-29 2005-06-29 열전도성 기판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039846B2 (ko)
EP (1) EP1905103B1 (ko)
JP (1) JP5368088B2 (ko)
KR (1) KR100599012B1 (ko)
CN (2) CN100565947C (ko)
WO (1) WO2007001124A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4750A3 (de) * 2006-08-04 2008-06-1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Dünnfilm-halbleiterbauelement und bauelement-verbund
JP2010514198A (ja) 2006-12-22 2010-04-30 ソウル オプト デバイ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複数のセルを有する発光素子
EP2341543A1 (en) 2009-12-31 2011-07-06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058147B2 (en) 2005-08-05 2011-11-15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components and thin-film semiconductor component
US8183072B2 (en) 2008-12-31 2012-05-22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plurality of non-polar light emitting cell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211724B2 (en) 2008-12-31 2012-07-03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non-polar light emitting cells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232571B2 (en) 2008-12-24 2012-07-31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288781B2 (en) 2008-09-30 2012-10-16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13015551A3 (ko) * 2011-07-26 2013-03-07 An Sang Jeong 반도체 발광부 연결체
KR101393355B1 (ko) * 2007-12-28 2014-06-30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US8937327B2 (en) 2009-03-31 2015-01-20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048409B2 (en) 2010-09-24 2015-06-02 Seoul Semiconductor Co., Ltd. Wafer-level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142720B2 (en) 2007-01-29 2015-09-2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Thin-film light emitting diode chip and method for producing a thin-film light emitting diode chip
KR101799716B1 (ko) * 2008-09-24 2017-11-20 루미레즈 엘엘씨 복합 기판 상에 성장되는 반도체 발광 장치
KR101874574B1 (ko) * 2011-06-08 2018-07-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및 그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US10580929B2 (en) 2016-03-30 2020-03-03 Seoul Viosys Co., Ltd. UV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light emitting diode module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2980A (ko) * 2007-12-28 2009-07-02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DE102008049188A1 (de) * 2008-09-26 2010-04-0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s Modul mit einem Trägersubstrat und einer Mehrzahl von strahlungsemittierenden Halbleiterbauelement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08051048A1 (de) 2008-10-09 2010-04-15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r Halbleiterkörper
KR100999689B1 (ko) * 2008-10-17 2010-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이를 구비한 발광장치
JP2010165983A (ja) * 2009-01-19 2010-07-29 Sharp Corp 発光チップ集積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87539B1 (ko) * 2009-03-31 2016-01-22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갖는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US20100276705A1 (en) * 2009-07-20 2010-11-04 Bridgelux, Inc. Solid state lighting device with an integrated fan
US20100277048A1 (en) * 2009-07-20 2010-11-04 Bridgelux, Inc. Solid state lighting device with an integrated fan
WO2011126248A2 (en) 2010-04-06 2011-10-13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344392B2 (en) * 2011-05-12 2013-01-01 Epistar Corporation Light-emitting elemen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30719B1 (ko) * 2011-09-01 2018-0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US8581267B2 (en) 2011-11-09 2013-11-12 Toshiba Techno Center Inc. Series connected segmented LED
KR101599529B1 (ko) * 2015-03-20 2016-03-0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복수개의 비극성 발광셀들을 갖는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ES2896179T3 (es) * 2016-05-13 2022-02-2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un dispositivo optoelectrónico que incluye una pluralidad de diodos de nitruro de galio
KR20190033979A (ko) *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루멘스 색 변환 전극부를 갖는 수직형 발광소자
KR102632145B1 (ko) * 2019-06-20 2024-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2993139B (zh) * 2020-11-10 2022-09-27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6796A (en) 1977-10-14 1979-05-08 Sanyo Electric Co Ltd Manufacture of picture display unit
JPH07153991A (ja) * 1993-11-26 1995-06-16 Nec Corp 発光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26386A (ja) 2000-07-10 2002-01-25 Toyoda Gosei Co Ltd Iii族窒化物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
US6410942B1 (en) 1999-12-03 2002-06-25 Cree Lighting Company Enhanced light extraction through the use of micro-LED arrays
KR20050012729A (ko) * 2002-04-09 2005-02-02 오리올 인코포레이티드 수직 구조의 led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7022A (ja) * 1992-05-26 1993-12-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サブマウントチップ実装部品の検査・製造方法
US5779924A (en) * 1996-03-22 1998-07-14 Hewlett-Packard Company Ordered interface texturing for a light emitting device
US5936353A (en) 1996-04-03 1999-08-10 Pressco Technology Inc. High-density solid-state lighting array for machine vision applications
US6744800B1 (en) * 1998-12-30 2004-06-01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nitride based laser diode arrays on an insulating substrate
US20010042866A1 (en) * 1999-02-05 2001-11-22 Carrie Carter Coman Inxalygazn optical emitters fabricated via substrate removal
DE10051465A1 (de) * 2000-10-17 2002-05-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lbleiterbauelements auf GaN-Basis
KR100395660B1 (ko) * 2000-11-10 2003-08-25 주식회사 옵토웰 터널접합층을 갖는 질화물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DE10051159C2 (de) * 2000-10-16 2002-09-1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ED-Modul, z.B. Weißlichtquelle
CN1378291A (zh) * 2001-03-29 2002-11-06 桦晶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光学隔离结构的发光二极管阵列及其制作方法
JP2003031840A (ja) * 2001-07-11 2003-01-31 Hitachi Cable Ltd 発光ダイオードアレイ
JP4298517B2 (ja) * 2002-03-08 2009-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
JP3822545B2 (ja) 2002-04-12 2006-09-20 士郎 酒井 発光装置
TW567618B (en) * 2002-07-15 2003-12-21 Epistar Corp Light emitting diode with adhesive reflection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0570883C (zh) * 2002-08-29 2009-12-16 首尔半导体股份有限公司 具有多个发光元件的发光装置
US7041529B2 (en) * 2002-10-23 2006-05-09 Shin-Etsu Handotai Co., Ltd.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4693411B2 (ja) * 2002-10-30 2011-06-0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TW578318B (en) * 2002-12-31 2004-03-01 United Epitaxy Co Ltd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102004036295A1 (de) * 2003-07-29 2005-03-03 GELcore, LLC (n.d.Ges.d. Staates Delaware), Valley View Flip-Chip-Leuchtdioden-Bauelemente mit Substraten, deren Dicke verringert wurde oder die entfernt wurden
JP4179942B2 (ja) * 2003-07-31 2008-11-12 シャープ株式会社 Iii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77617B2 (ja) * 2003-08-08 2009-06-10 日立電線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20050023184A (ko) * 2003-08-27 2005-03-09 주식회사 옵토웰 수직공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TWI223460B (en) * 2003-09-23 2004-11-01 United Epitaxy Co Ltd Light emitting diodes in series conne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622743B2 (en) * 2003-11-04 2009-11-24 Panasonic Corporatio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module, ligh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1154494B1 (ko) * 2003-12-09 2012-06-13 재팬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에이젼시 질소면의 표면상의 구조물 제조를 통한 고효율 3족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
JP2006128602A (ja) * 2004-03-30 2006-05-18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レー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256483B2 (en) 2004-10-28 2007-08-14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Package-integrated thin film LED
US7045375B1 (en) * 2005-01-14 2006-05-16 Au Optronics Corporation White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535028B2 (en) * 2005-02-03 2009-05-19 Ac Led Lighting, L.Lc. Micro-LED based high voltage AC/DC indicator lamp
JP5123573B2 (ja) * 2007-06-13 2013-01-23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48647B2 (ja) * 2010-03-05 2013-02-2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半導体発光装置及び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2011198962A (ja) * 2010-03-18 2011-10-06 Toshiba Corp 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6796A (en) 1977-10-14 1979-05-08 Sanyo Electric Co Ltd Manufacture of picture display unit
JPH07153991A (ja) * 1993-11-26 1995-06-16 Nec Corp 発光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6410942B1 (en) 1999-12-03 2002-06-25 Cree Lighting Company Enhanced light extraction through the use of micro-LED arrays
JP2002026386A (ja) 2000-07-10 2002-01-25 Toyoda Gosei Co Ltd Iii族窒化物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
KR20050012729A (ko) * 2002-04-09 2005-02-02 오리올 인코포레이티드 수직 구조의 led 제조방법

Cited B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8147B2 (en) 2005-08-05 2011-11-15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components and thin-film semiconductor component
JP2009545863A (ja) * 2006-08-04 2009-12-24 オスラム オプト セミコンダクター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薄膜半導体構成素子および構成素子結合体
WO2008014750A3 (de) * 2006-08-04 2008-06-1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Dünnfilm-halbleiterbauelement und bauelement-verbund
US8872330B2 (en) 2006-08-04 2014-10-28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Thin-film semiconductor component and component assembly
JP2010514198A (ja) 2006-12-22 2010-04-30 ソウル オプト デバイ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複数のセルを有する発光素子
US9142720B2 (en) 2007-01-29 2015-09-2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Thin-film light emitting diode chip and method for producing a thin-film light emitting diode chip
KR101393355B1 (ko) * 2007-12-28 2014-06-30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799716B1 (ko) * 2008-09-24 2017-11-20 루미레즈 엘엘씨 복합 기판 상에 성장되는 반도체 발광 장치
US9337175B2 (en) 2008-09-30 2016-05-10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648369B2 (en) 2008-09-30 2014-02-11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288781B2 (en) 2008-09-30 2012-10-16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431377B2 (en) 2008-09-30 2016-08-30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059015B2 (en) 2008-09-30 2015-06-16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232571B2 (en) 2008-12-24 2012-07-31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183072B2 (en) 2008-12-31 2012-05-22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plurality of non-polar light emitting cell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648380B2 (en) 2008-12-31 2014-02-11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non-polar light emitting cells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211724B2 (en) 2008-12-31 2012-07-03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non-polar light emitting cells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436389B2 (en) 2008-12-31 2013-05-07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non-polar light emitting cells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294171B2 (en) 2008-12-31 2012-10-23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plurality of non-polar light emitting cell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533817B1 (ko) * 2008-12-31 2015-07-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복수개의 비극성 발광셀들을 갖는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US8937327B2 (en) 2009-03-31 2015-01-20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258533B2 (en) 2009-12-31 2012-09-04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2341543A1 (en) 2009-12-31 2011-07-06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324650B2 (en) 2009-12-31 2012-12-04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294170B2 (en) 2009-12-31 2012-10-23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2455970A1 (en) 2009-12-31 2012-05-23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048409B2 (en) 2010-09-24 2015-06-02 Seoul Semiconductor Co., Ltd. Wafer-level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069048B2 (en) 2010-09-24 2018-09-04 Seoul Viosys Co., Ltd. Wafer-level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293664B2 (en) 2010-09-24 2016-03-22 Seoul Semiconductor Co., Ltd. Wafer-level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892386B2 (en) 2010-09-24 2021-01-12 Seoul Semiconductor Co., Ltd. Wafer-level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153750B2 (en) 2010-09-24 2015-10-06 Seoul Semiconductor Co., Ltd. Wafer-level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070851B2 (en) 2010-09-24 2015-06-30 Seoul Semiconductor Co., Ltd. Wafer-level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543490B2 (en) 2010-09-24 2017-01-10 Seoul Semiconductor Co., Ltd. Wafer-level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879437B2 (en) 2010-09-24 2020-12-29 Seoul Semiconductor Co., Ltd. Wafer-level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882102B2 (en) 2010-09-24 2018-01-30 Seoul Semiconductor Co., Ltd. Wafer-level light emitting diode and wafer-level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US9219196B2 (en) 2010-09-24 2015-12-22 Seoul Semiconductor Co., Ltd. Wafer-level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874574B1 (ko) * 2011-06-08 2018-07-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및 그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WO2013015551A3 (ko) * 2011-07-26 2013-03-07 An Sang Jeong 반도체 발광부 연결체
US9324765B2 (en) 2011-07-26 2016-04-26 Sang Jeong A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apparatus comprising connecting plate
US10580929B2 (en) 2016-03-30 2020-03-03 Seoul Viosys Co., Ltd. UV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light emitting diode modul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39846B2 (en) 2011-10-18
CN101208812A (zh) 2008-06-25
CN101604701A (zh) 2009-12-16
EP1905103A1 (en) 2008-04-02
EP1905103B1 (en) 2017-03-01
US8129207B2 (en) 2012-03-06
US20090166645A1 (en) 2009-07-02
CN100565947C (zh) 2009-12-02
CN101604701B (zh) 2011-11-16
JP5368088B2 (ja) 2013-12-18
JP2008545267A (ja) 2008-12-11
EP1905103A4 (en) 2011-01-19
US20120003766A1 (en) 2012-01-05
WO2007001124A1 (en)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012B1 (ko) 열전도성 기판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방법
JP6917417B2 (ja) 光電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17395B1 (ko)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갖는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CN101026213B (zh) 发光器件及其制造方法
KR101093117B1 (ko) 교류용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20080085343A (ko) 발광 다이오드
KR20100108906A (ko)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갖는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TW201407760A (zh) 發光二極體陣列
KR20100075420A (ko)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갖는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20100108907A (ko)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갖는 발광 소자
KR100699056B1 (ko) 복수의 발광셀을 갖는 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599011B1 (ko) 메쉬 전극을 채택하는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갖는 발광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101132885B1 (ko)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612592B1 (ko) 열전도성 기판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방법
KR101393355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CN206727099U (zh) 发光二极管以及包括该发光二极管的灯丝发光二极管灯
KR101381984B1 (ko) 발광 다이오드 칩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발광다이오드 칩
KR100683446B1 (ko) 요철 버퍼층을 갖는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12890B1 (ko)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TW201832356A (zh) 發光二極體
KR100599014B1 (ko) 이형 반도체 반복층을 갖는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37652B1 (ko) 전원 극성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발광다이오드 및 그제조방법
KR100599013B1 (ko)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갖는 발광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방법
KR20130030279A (ko) 서로 이격된 반도체층들을 갖는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20120117969A (ko) 미세로드들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