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94806B1 -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806B1
KR100594806B1 KR1020040113803A KR20040113803A KR100594806B1 KR 100594806 B1 KR100594806 B1 KR 100594806B1 KR 1020040113803 A KR1020040113803 A KR 1020040113803A KR 20040113803 A KR20040113803 A KR 20040113803A KR 100594806 B1 KR100594806 B1 KR 100594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erbox
boundary
line
detected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원석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3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806B1/ko
Priority to US11/252,035 priority patent/US7538821B2/en
Priority to NL1030365A priority patent/NL1030365C2/nl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80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2Special driving of display border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olour palettes, e.g. look-up t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48/00Television
    • Y10S348/913Letterbox, e.g. display 16:9 aspect ratio image on 4:3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특정 칼라 성분의 레벨값이 연속하는 런렝스(run-length)를 이용하여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에서 라인별 픽셀이 레터박스(letter box) 영역의 블랙 픽셀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분류부, 라인별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라인별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검출하는 결정부,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 및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이용하여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검출하는 레터박스 검출부, 소정 라인이 레터박스 검출부에서 소정 회수 이상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검출된 경우, 소정 라인을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확정하는 경계 결정부, 및 검출된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을 제외한 영역을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하나의 연속한 블랙 픽셀수의 최대값인 런랭스 최대값 또는 라인별 카운트된 블릭 픽셀수를 이용하여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함으로써 정확하게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할 수 있다.
레터박스, 블랙 픽셀, 런랭스

Description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Display apparatus for detecting letter-box boundary and method for image display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럭도,
도 2는 종래의 레터박스 경계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럭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b의 검출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3a 내지 도 3c의 조정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분류부 300: 최대값 결정부
400: 카운터 500: 레터박스 검출부
600: 경계 결정부 700: 조정부
800: 검출부 900: 색공간 변환부
950: 색검출부
본 발명은 레터박스(letter box)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칼라 성분의 레벨값이 연속하는 런렝스(run-length)를 이용하여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터박스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상하단부에 위치하는 공백공간으로 비신호 영역에 해당한다. 이때, 입력영상에 레터박스 영역이 존재할 경우, 레터박스 영역에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레터박스 영역외의 영상영역에만 출력영상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버닝(burning)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레터박스를 갖는 입력영상이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될 경우, 레터박스 영역을 제외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영역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적합한 크기가 되도록 영상의 크기를 변환시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오토 와이드(auto-wide)라 한다. 이러한 영상의 크기를 변환시키는 오토 와이드 동작시 레터박스 영역과 실제 영상영역을 구분하는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레터 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레터 박스 영역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에지 결정부(101), 카운터(103), 위치 저장부(105), 및 영상영역 결정부(107)를 포함한 다.
먼저, 에지 결정부(101)는 입력영상의 밝기(Y) 및 채도(C)를 이용하여 입력영상에서 에지 여부를 결정한다. 에지 결정부(101)는 입력영상의 소정 라인의 픽셀 평균값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영역을 에지(edge)로 결정한다.
카운터(103)는 에지 결정부(101)에서 에지로 결정된 라인의 수를 카운트한다.
위치 저장부(105)는 에지로 결정되어 카운트된 수가 소정수 이상인 경우, 레터박스 영역과 실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영역의 경계로 판단한 후, 소정수 이상의 에지가 결정된 라인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소정수 이상의 에지가 검출된 입력영상의 라인은 레터박스 영역과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영역의 경계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연속하여 입력되는 입력영상에서 저장된 위치정보와 동일한 위치에서 소정수 이상의 에지가 검출될 경우 이 위치를 레터박스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영역 결정부(107)는 위치 저장부(105)에 저장된 에지로 결정된 라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에지로 결정된 라인이 레터박스 영역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에지로 결정된 라인의 위치가 소정 회수 이상 검출된 경우, 이 라인의 위치를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결정한다. 즉, 에지로 결정된 라인의 한 영역은 레터박스 영역, 다른 영역은 영상영역으로 결정한다.
도 2는 종래의 레터박스 영역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레터박스 영역 검출 방법은 입력영상에서 N번째 라 인 및 N-1번째 라인에서 에지가 검출된 경우, 카운터(103)는 N번째 라인 및 N-1번째 라인에서 에지가 검출된 것을 카운트하고, 위치 저장부(105)는 N번째 라인 및 N-1번째 라인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영상영역 결정부(107)는 입력영상에서 N번째 라인 및 N-1번째 라인에서 에지가 검출된 후, 에지가 검출된 입력영상에 연속하여 입력되는 입력영상들에서도 N번째 라인 및 N-1번째 라인에서 소정 회수 이상 에지가 검출된 경우 N번째 라인 및 N-1번째 라인을 입력영상에 존재하는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결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연속하는 라인간의 에지 검출을 이용하여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 방법은 레터박스 영역에 캡션(caption) 또는 로고(logo)와 같은 CGI(Computer Graphics Image)가 위치하는 경우, 캡션 또는 로고로 인해 실제 레터박스 영역 경계에서 에지가 검출되지 않음으로써 정확한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검출된 레터박스 영역외의 영상 부분을 디스플레이장치에 적합한 크기로 영상의 크기를 변환시켜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경우, 정확하지 않은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 검출로 인해 화면 크기의 변화가 다수 수행된다. 즉, 부정확한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검출함으로써 일정한 입력영상의 라인 위치가 레터박스의 경계로 검출되지 않게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영상 디스플레이시 화면크기가 자주 변화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잦은 화면크기의 변화로 시간적인 화질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터박스를 갖는 입력영상에서 정확한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할 수 있는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에서 라인별 픽셀이 레터박스(letter box) 영역의 블랙 픽셀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분류부, 라인별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라인별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검출하는 결정부,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 및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이용하여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검출하는 레터박스 검출부, 소정 라인이 레터박스 검출부에서 소정 회수 이상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검출된 경우, 소정 라인을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확정하는 경계 결정부, 및 검출된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을 제외한 영역을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분류부는,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 평균값과 소정 라인의 픽셀값의 차값의 절대값을 제1 문턱값 비교하여, 절대값이 제1 문턱값 보다 작은 경우 소정 라인의 픽셀을 블랙 픽셀로 분류한다.
여기서,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 평균값은,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으로 검출된 라인의 픽셀 평균값,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갖는 라인의 픽셀 평균값, 및 소정값 중 어느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레터박스 검출부는,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 이 제2 문턱값 이상이며,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가 제3 문턱값 이상인 경우 라인을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카운트한 블랙 픽셀 수 및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레터박스 영역에 존재하는 CGI(Computer Graphics Image)의 경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CGI(Computer Graphics Image)는 캡션(caption) 및 로고(logo) 중 어느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검출부는, 입력되는 영상들의 라인들 중에서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검출되는 라인의 위치에 대한 빈도를 검출하여 히스토그램을 생성한 후, 생성된 히스토그램에서 소정값 이상의 빈도값을 갖는 라인의 위치들 중 소정 라인의 위치를 CGI의 경계로 검출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검출부는, 레터박스 영역 상하단 영역의 경계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고정된 채 다른 하나의 위치가 일정하게 변화하는 경우, 소정값 이상의 빈도값을 갖는 라인의 위치들 중 소정 라인의 위치를 CGI의 경계로 검출한다.
바람직하게는 검출부는, 입력되는 영상의 전체 수평라인에서 소정 CGI 크기의 픽셀수를 뺀 값에서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뺀값의 절대값이 소정값 보다 작은 경우, 절대값이 소정값 보다 작은 라인의 위치를 CGI의 하나의 경계로 검출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검출부는, 입력되는 영상의 라인별로 카운트된 블랙 픽 셀 수와 제3 문턱값을 비교하여,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가 제3 문턱값 보다 큰 라인들 중 가장 낮은 영역에 존재하는 라인을 CGI의 하나의 경계로 검출한다.
그리고, 경계 결정부는, 검출부에서 CGI가 검출되고 CGI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된 경우, CGI의 경계를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의 색공간을 레터박스를 구성하는 소정색을 표현할 수 있는 색공간으로 변환하는 색공간 변환부, 입력되는 영상에서 라인별 픽셀이 소정색의 픽셀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색검출부, 소정 라인에서 검출되는 소정색의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라인별 연속하여 검출되는 소정색의 픽셀 수의 최대값을 검출하는 결정부, 카운트된 소정색의 픽셀 수 및 연속하여 검출되는 소정색의 픽셀 수의 최대값을 이용하여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검출하는 레터박스 검출부, 소정 라인이 레터박스 검출부에서 소정 회수 이상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검출된 경우, 소정 라인을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확정하는 경계 결정부, 및 검출된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을 제외한 영역을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입력되는 영상에서 라인별 픽셀이 레터박스(letter box) 영역의 블랙 픽셀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라인별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라인별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검출하는 단계,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 및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이용하여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검출하는 단계, 소정 라인이 소정 회수 이상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검출된 경우, 소정 라인을 레터박스 영역의 경 계로 확정하는 단계, 및 검출된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을 제외한 영역을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블랙 픽셀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 평균값과 소정 라인의 픽셀값의 차값의 절대값이 제1 문턱값 보다 작은 경우, 라인의 픽셀을 레터박스 영역의 블랙 픽셀로 검출한다.
여기서,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 평균값은,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으로 검출된 라인의 픽셀 평균값,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갖는 라인의 평균 픽셀값, 및 소정값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검출하는 단계는,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이 제2 문턱값 이상이며,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가 제3 문턱값 이상인 경우 라인을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인 것으로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카운트한 블랙 픽셀 수 및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레터박스 영역에 존재하는 CGI(Computer Graphics Image)의 경계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CGI(Computer Graphics Image)는 캡션(caption) 및 로고(logo) 중 어느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CGI의 경계를 검출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영상들의 라인들 중에서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검출되는 라인의 위치에 대한 빈도를 검출하여 히스토그램을 생성한 후, 생성된 히스토그램에서 소정값 이상의 빈도값을 갖는 라인의 위치들 중 소정 라인의 위치를 CGI의 경계로 검출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CGI의 경계를 검출하는 단계는, 레터박스 영역 상하단 영역의 경계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고정된 채 다른 하나의 위치가 일정하게 변화하는 경우에 소정값 이상의 빈도값을 갖는 라인의 위치들 중 소정 라인의 위치를 CGI의 경계로 검출한다.
바람직하게는 CGI의 경계를 검출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영상의 전체 수평라인에서 소정 CGI 크기의 픽셀수를 뺀 값에서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뺀값의 절대값이 소정값 보다 작은 경우, 절대값이 소정값 보다 작은 라인의 위치를 CGI의 하나의 경계로 검출한다.
바람직하게는 CGI의 경계를 검출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영상의 라인별로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와 제3 문턱값을 비교하여,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가 제3 문턱값 보다 큰 라인들 중 가장 낮은 영역에 존재하는 라인을 CGI의 하나의 경계로 검출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확정하는 단계는, CGI가 검출되고 CGI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된 경우, CGI의 경계를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입력되는 영상의 색공간을 레터박스를 구성하는 소정색을 표현할 수 있는 색공간으로 변환하는 단계, 입력되는 영상에서 라인별 픽셀이 소정색의 픽셀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라인별 검출되는 소정색의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라인별 연속하여 검출되는 소정색의 픽셀 수의 최대값을 검출하는 단계, 카운트된 소정색의 픽셀 수 및 연속하여 검출되는 소정색의 픽셀 수의 최대값을 이용하여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검출하는 단계, 소정 라인이 레터박스 검출부에서 소정 회수 이상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검출된 경우, 소정 라인을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확정하는 단계, 및 검출된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을 제외한 영역을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입력영상에서 블랙 픽셀 검출을 이용하여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경우이며, 도 3c는 레터박스 영역이 블랙이 아닌 색으로 구성된 경우에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도3b는 도 3a와 달리 캡션 또는 로고를 검출할 수 있는 별도의 검출부(800)를 구비하는 경우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분류부(200), 최대값 결정부(300), 카운터(400), 레터박스 검출부(500), 경계 결정부(600), 및 조정부(700)를 구비한다.
먼저, 분류부(200)는 입력되는 영상에서 라인의 픽셀값을 입력받아 해당 픽셀이 레터박스 영역의 신호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즉, 입력된 픽셀이 블랙 픽셀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입력된 픽셀이 레터박스 영역의 신호인지 여부는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 평균값을 이용하여 입력된 픽셀이 레터박스 영역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입 력된 픽셀값과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 평균값의 차값의 절대값이 제1 문턱값(Th1) 보다 작은 경우, 입력된 픽셀이 레터박스 영역의 신호인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 평균값은 입력 픽셀이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인지 여부를 판단 중인 라인 이전에 레터박스 영역으로 검출된 라인의 평균 픽셀값, 입력영상에서 최초로 레트박스 영역으로 검출된 라인의 평균 픽셀값, 입력영상의 라인 중에서 연속한 블랙 픽셀수의 최대값을 갖는 라인의 픽셀 평균값, 및 소정값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분류부(200)는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 평균값뿐만 아니라 픽셀의 분산값을 이용하여 입력 픽셀이 레터박스 영역의 블랙 픽셀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픽셀의 분산값은 입력 픽셀이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인지 여부를 판단 중인 라인 이전의 라인에 위치하는 픽셀들을 이용하여 계산된 분산값이다.
입력된 픽셀값과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 평균값의 차값의 절대값이 제1 문턱값(Th1) 보다 작은 경우라도 분산값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입력 픽셀이 위치하는 라인은 레터박스 영역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분산값이 소정값 이상이므로 블랙 픽셀로 검출된 입력 픽셀은 레터박스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하여 입력영상의 라인에 소수 존재하는 블랙 픽셀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이미 레터박스 영역으로 판단되 라인의 분산값을 이용하여 제1 문턱값(Th1)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레터박스 영역으로 판단된 라인의 분산값이 높은 경우 노이즈에 의해 신호로 잘못 분류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제1 문턱값(Th1)을 조정함으로써 노이즈에 둔감한 블랙 픽셀 검출이 가능하다.
카운터(400)는 분류부(200)의 결과를 이용하여 입력영상의 라인별로 검출된 블랙 픽셀수를 카운트한다. 즉, 분류부(200)에서 입력 픽셀이 블랙 픽셀로 검출될 경우, 카운터(400)는 입력영상의 라인별로 검출되는 블랙 픽셀의 수를 카운트한다.
최대값 결정부(300)는 하나의 라인에서 연속하여 블랙 픽셀로 검출되는 경우에 있어서 연속한 블랙 픽셀수의 최대값을 입력영상의 라인별로 결정한다. 즉, 최대값 결정부(300)는 분류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픽셀의 블랙 픽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영상의 라인별로 블랙 픽셀의 런랭스(run-length) 최대값을 결정한다.
레터박스 검출부(500)는 카운터(400) 및 최대값 결정부(300)의 결과를 이용하여 입력영상의 상하단에 존재하는 레터박스의 영역을 검출한다. 카운터(400)의 결과를 이용하여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할 경우, 레터박스 검출부(500)는 카운터(400)에서 카운트된 블랙 픽셀수가 제2 문턱값(Th2) 이상이면 입력된 영상의 라인을 레터박스 영역으로 검출한다.
그리고, 최대값 결정부(300)의 결과를 이용하여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할 경우, 레터박스 검출부(500)는 최대값 결정부(300)에서 검출된 연속한 블랙 픽셀수의 최대값인 런랭스 최대값이 제3 문턱값(Th3) 이상이면 입력된 영상의 라인을 레터박스 영역으로 검출한다.
경계 결정부(600)는 레터박스 영역으로 검출된 라인들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한다. 즉, 연속하여 입력되는 입력영상들에서 검출되는 레터박스 영역의 좌표의 변화를 분석하여 레터박스의 경계를 결정한다. 입력영상의 동일한 소정 라인 위치가 소정 회수 이상 레터박스 경계로 검출된 경우에 소정 라인 위치를 입력영상의 레터박스의 경계로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반면, 입력영상의 소정 라인 위치가 레터박스 경계로 검출되더라도 다른 입 력영상들에서도 소정 회수 이상 레터박스의 경계로 검출되지 않는다면, 검출된 레터박스의 경계를 입력영상의 레터박스의 경계로 결정하지 않는다. 소정 회수 이상 레터박스의 경계로 검출되지 않은 레터박스의 라인을 레터박스의 경계로 결정한다면 영상 디스플레이시 영상 사이즈의 변화가 잦아지기 때문이다.
조정부(700)는 레터박스 검출부(500)에서 출력된 값을 이용하여 레터박스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크기에 맞게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한다. 즉, 경계 결정부(600)에서 결정된 레터박스 경계를 이용하여 레터박스 영역과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영역을 구분한 후, 영상영역을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크기에 맞게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의 경우와 달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캡션 또는 로고의 경계를 검출하는 검출부(80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분류부(200), 최대값 결정부(300), 카운터(400), 레터박스 검출부(500), 및 조정부(700)의 동작은 도 3a의 경우와 동일하다.
검출부(800)는 레터박스 영역에 캡션 또는 로고와 같은 CGI(Computer Graphics Image)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캡션 또는 로고의 경계를 검출한다. 검출부(800)는 입력영상의 필드별 또는 프레임별로 검출된 레터박스 경계의 좌표에 따른 레터박스 검출회수를 계산하여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캡션의 유무 및 캡션의 경계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부(800)는 최대값 결정부(300) 및 카운터(400)의 결과를 이용하여 로고의 경계 및 로고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영상 전체의 수평 크기, 즉 영 상 전체의 수평 픽셀수에서 로고의 예상 크기를 뺀 값에서 런렝스 최대값을 뺀값의 절대값이 소정값 보다 작은 경우, 이 런랭스 최대값을 갖는 입력영상의 라인에 로고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이 런랭스 최대값을 갖는 입력영상의 라인을 영상영역으로부터 레터박스 영역으로 돌출되는 로고의 시작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카운터(400)에서 라인별로 카운트된 블랙 픽셀수가 레터박스 검출부(500)에서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 검출시 이용되는 제2 문턱값(Th2) 보다 큰 라인들 중에서 소정 라인을 로고 끝의 경계로 판단한다. 로고가 레터박스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2 문턱값(Th2) 보다 큰 라인들 중에서 가장 낮은 영역에 위치하는 라인을 로고 끝의 경계로 판단한다. 로고가 레터박스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2 문턱값(Th2) 보다 큰 라인들 중에서 가장 높은 영역에 위치하는 라인을 로고 끝의 경계로 판단한다.
그리고, 경계 결정부(600)는 검출부(800)에서 검출되는 레터박스 영역에 존재하는 캡션 또는 로고의 경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레터박스의 경계를 결정한다. 레터박스 영역에 존재하는 캡션을 디스플레이할 것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검출부(800)에서 검출된 캡션의 경계를 최종 레터박스의 경계로 결정한다. 그리고, 레터박스 영역에 존재하는 로고를 디스플레이할 것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검출부(800)에서 검출된 로고 끝의 경계를 최종 레터박스의 경계로 결정한다.
캡션 또는 로고 끝의 경계를 최종 레터박스의 경계로 결정함으로써 캡션 또는 로고가 위치하는 레터박스 영역은 영상영역으로 결정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도 3a 및 도 3b의 경우와 달리 색공간 변환부(900) 및 색검출부(950)를 더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레터박스 영역이 블랙 픽셀로 이루어질 경우에 사용되는 경우이나, 도 3c는 레터박스 영역이 블루와 같이 블랙이 아닌 색으로 구성될 경우에 레터박스 경계 검출시 사용된다. 여기서, 최대값 결정부(300), 카운터(400), 레터박스 검출부(500), 경계 결정부(600), 및 조정부(700)의 동작은 도 3a 및 도 3b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과 동일하다.
색공간 변환부(800)는 YCbCr 색공간의 입력영상을 XYZ, RGB와 같은 색공간으로 변환한다.
색검출부(900)는 레터박스 영역을 구성하는 색을 검출한 후, 입력되는 픽셀이 검출된 색을 갖는 픽셀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이때, 레터박스 영역을 구성하는 색은 기설정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b의 검출부(80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검출부(800)가 레터박스 하단에 존재하는 캡션(caption)을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b는 검출부(800)가 레터박스 상단에 존재하는 로고(logo)를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A는 레터박스 영역이며, B는 실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영역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검출부(800)는 입력영상의 필드별 또는 프레임별로 검출되는 레터박스 경계의 위치에 따른 레터박스 검출회수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며,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캡션의 유무 및 캡션의 경계를 검출한다. 이때, 생성된 히스토그램의 가로축은 입력영상의 필드별 또는 프레임별로 검출되는 레터 박스 경계의 위치이며, 세로축은 레터박스 검출빈도이다.
검출부(800)는 최대값 결정부(300) 및 카운터(400)의 결과를 이용하여 입력영상의 필드별 또는 프레임별로 검출되는 레터박스 영역의 상하단 경계 중 하나의 경계 좌표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다른 하나의 경계 좌표의 변화가 일정한 경우에 레터박스 영역에 캡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입력영상의 필드별 또는 프레임별로 검출되는 레터박스 영역의 상하단 경계 중 하나의 경계 좌표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다른 하나의 경계 좌표의 변화가 일정한 경우에는, 레터박스 영역에도 캡션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레터박스 영역에 입력되는 캡션에 대한 신호에 의해 레터박스 경계의 좌표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때, 생성된 히스토그램에서 빈도값과 소정값을 비교하여 빈도값이 소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레터박스 경계의 변화는 에러에 의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히스토그램에서 소정값 이상의 빈도값을 갖는 레터박스 경계의 좌표 중에서 가장 낮은 영역에 위치하는 좌표를 캡션의 경계로 판단한다.
이는 입력영상의 필드 또는 프레임별로 캡션 경계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가장 낮은 영역에 위치하는 캡션 경계를 최종적인 캡션 경계로 검출함으로써 영상 사이즈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모든 캡션이 영상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캡션이 레터박스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히스토그램에서 소정값 이상을 갖는 빈도값에 해당하는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 중에서 가장 높은 영역에 위치하는 좌표를 캡션의 경계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생성된 히스토그램에서 소정값 이상을 갖는 빈도값에 해당하는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이 도 4a에서 제1 후보 라인, 제2 후보 라인, 및 제3 후보 라인인 경우, 레터박스 영역 중 가장 낮은 영역에 위치하는 제2 후보 라인이 캡션의 경계가 된다. 이 경우 경계 결정부(600)는 레터박스 영역에 캡션이 존재하게 됨으로써 레터박스 검출부(500)에서 검출된 제1 후보 라인을 레터박스 경계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2 후보 라인을 레터박스 경계로 결정한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검출부(800)는 최대값 결정부(300) 및 카운터(400)의 결과를 이용하여 로고의 경계 및 로고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H는 검출부(800)에서 검출되는 로고의 높이이며, L은 런랭스의 최대값이다. 그리고, X는 카운터(400)에서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를 이용할 경우 검출되는 로고 끝의 경계이며, Y는 최대값 결정부(300)에서 결정된 런랭스 최대값을 이용할 경우 검출되는 영상영역에서 레터박스 영역으로 돌출되는 로고의 시작 경계이다.
연속한 블랙 픽셀수의 최대값인 런랭스 최대값을 이용할 경우, 영상 전체의 수평 크기에서 로고의 예상 수평 크기를 뺀 값과 런랭스 최대값(L)을 비교한다. 영상 전체의 수평 크기에서 로고의 예상 수평 크기를 뺀 값에서 런랭스 최대값(L)을 뺀값이 소정값 보다 작은 경우, 이 런랭스 최대값을 갖는 입력영상의 라인에는 로고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영상 전체의 수평 크기에서 로고의 예상 수평 크기를 뺀 값이 모두 블랙 픽셀인 경우에는 레터박스 영역에 로고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Y 위치가 영상영역에서 레터박스 영역으로 돌출되는 로고의 시작 위치가 된다.
카운트된 블랙 픽셀수를 이용할 경우, 카운터(400)에서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가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 검출시 이용되는 제2 문턱값(Th2) 보다 큰 라인 중에서 가장 낮은 영역에 위치하는 라인의 좌표를 로고 끝의 경계로 검출한다. 즉, 레터박스 영역에 로고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카운트된 블랙 픽셀수가 제2 문턱값(Th2) 보다 큰 라인들 중 가장 낮은 영역에 위치하는 라인인 X를 로고의 경계로 검출한다.
따라서, 경계 결정부(600)는 로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레터박스 영역에 로고가 존재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Y위치의 라인을 레터박스의 경계로 결정한다. 그러나, 로고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레터박스 영역에 존재하는 로고 끝 경계인 X위치의 라인을 레터박스의 경계로 결정하여 영상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로고가 존재하는 레터박스 영역이 영상영역이 되도록 한다.
여기서, 영상영역에서 레터박스 영역으로 돌출되는 로고의 시작 위치(Y)에서 로고의 경계(X)를 뺀값이 영상영역에서 레터박스 영역으로 돌출되는 로고의 크기가 된다. 로고의 크기가 소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레터박스 영역에 존재하는 로고를 려하지 않고 Y위치의 라인이 레터박스 경계가 되도록 결정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a 내지 도 3c의 조정부(70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캡션 또는 로고가 레터박스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입력영상이 조정부(700)에서 조정되는 경우이며, 도 5b는 캡션 또는 로고가 레터박스 영역에 존재한는 입력영상이 조정부(700)에서 조정되는 경우이다.
여기서, O_UP는 레터박스 영역 중 상단의 경계이며, O_DN은 레터박스 영역 중 하단의 경계이다. 그리고, O_UP'는 레터박스 영역 중 상단에 로고가 존재할 때 결정된 레터박스 상단의 경계이며, O_DN'은 레터박스 영역 중 하단에 캡션이 존재할 때 결정된 레터박스 하단의 경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입력영상의 레터박스 영역에 캡션 또는 로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정부(700)는 최대값 결정부(300) 및 카운터(400)의 결과를 이용하여 결정된 레터박스 영역 경계인 O_UP 및 O_DN을 제외한 영역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에 맞게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입력영상의 레터박스 영역에 캡션 또는 로고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조정부(700)는 최대값 결정부(300), 카운터(400), 및 검출부(800)의 결과를 이용하여 결정된 레터박스 영역 경계인 O_UP' 및 O_DN'을 제외한 영역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에 맞게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한다.
입력영상의 레터박스 영역에 캡션 또는 로고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경계 결정부(600)는 레터박스 영역 경계를 O_UP 및 O_DN에서 각각 O_UP' 및 O_DN'로 결정하며, 조정부(700)는 O_UP' 및 O_DN'을 제외한 영역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에 맞게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한다. 즉, 검출부(800)에서 검출된 캡션 또는 로고의 경계까지 실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영역으로 확장한다.
그러나, 캡션 또는 로고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경계 결정부(600)는 레터박스 영역에서 캡션 또는 로고가 검출되더라도 캡션 또는 로고의 경계를 레터박스 경계로 결정하지 않으므로, 조정부(700)는 캡션 또는 로고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와 같이 O_UP 및 O_DN을 제외한 영역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 기에 맞게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입력되는 영상의 픽셀이 레터박스 영역의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즉, 입력되는 영상에서 소정 라인의 픽셀이 블랙 픽셀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입력영상의 소정 라인의 픽셀이 블랙 픽셀인지 여부는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 평균값, 소정 라인의 이전 라인의 픽셀들의 분산값, 제1 문턱값(Th1)을 이용하여 검출한다.
여기서,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 평균값은 입력영상에서 소정 라인 이전에 레터박스 영역으로 검출된 라인의 픽셀 평균값, 입력영상에서 최초로 레트박스 영역의 라인으로 검출된 픽셀 평균값, 입력영상의 라인들 중에서 런랭스 최대값을 갖는 라인의 픽셀 평균값, 및 소정값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입력영상의 소정 라인의 픽셀값과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 평균값의 차값의 절대값을 계산한 후, 차값의 절대값이 제1 문턱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소정 라인의 픽셀값을 블랙 픽셀로 분류한다.
또는 소정 라인의 이전 라인에 위치하는 픽셀들의 분산값을 이용하여 블랙 픽셀을 검출할 수 있다. 분산값이 소정값 보다 큰 경우에는 소정 라인에서 블랙 픽셀의 수가 적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소정 라인에서 검출되는 블랙 픽셀은 레터박스 영역에 존재하는 블랙 픽셀이 아니라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한 블랙 픽셀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산값이 소정값 보다 작고 차값의 절대값이 제1 문턱 값이 작은 경우에만 소정 라인의 픽셀을 레터박스 영역에 위치하는 블랙 픽셀로 분류한다.
이어, 검출되는 블랙 픽셀을 이용하여 하나의 라인에서 연속하여 블랙 픽셀이 검출되는 런랭스 최대값 및 라인별 블랙 픽셀수를 카운트한다(S20). 입력되는 픽셀이 연속하여 블랙 픽셀로 검출되는 수가 최대가 되는 런랭스 최대값을 라인별로 검출하고, 검출되는 블랙 픽셀수를 라인별로 카운트한다.
이어, 레터박스 영역에 캡션 또는 로고와 같은 CGI(Computer Graphics Image)가 존재하는 경우 캡션 또는 로고의 경계를 검출한다(S30). 일반적으로 캡션은 레터박스 영역의 하단에 위치하며, 로고는 레터박스 영역의 상단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레터박스 영역의 하단에 위치하는 캡션과 레터박스 영역의 상단에 위치하는 로고의 경계를 검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레터박스 영역의 하단에 위치하는 캡션 경계의 검출은 입력영상의 필드별 또는 프레임별로 검출된 레터박스 경계의 좌표에 따른 레터박스 검출 빈도를 계산하여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이용한다. 입력영상의 필드별 또는 프레임별로 검출되는 레터박스 영역의 상단 경계의 좌표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하단 경계의 좌표의 변화가 일정한 경우 레터박스 하단에 캡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캡션 경계는 생성된 히스토그램에서 소정값 이상의 빈도값을 갖는 좌표들 중 가장 낮은 영역에 위치하는 라인을 캡션 영역의 경계로 검출한다. 반면, 캡션이 레터박스 영역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히스토그램에서 소정값 이상을 갖는 빈도값에 해당하는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 중에서 가장 높은 영역에 위치하는 좌표를 캡션의 경계로 판단한다. 그러나, 생성된 히스토그램에서 빈도값과 소정값을 비교하여 빈도값이 소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의 변화는 캡션에 의한 것이 아니라 에러에 의한 것으로 판단한다.
레터박스 영역의 상단에 위치하는 로고 경계의 검출은 런랭스 최대값 또는 라인별 카운트된 블랙 픽셀수를 이용한다. 연속한 블랙 픽셀수의 최대값인 런랭스 최대값을 이용하여 로고 시작 경계를 검출할 경우, 영상 전체의 수평 크기에서 로고의 예상 크기를 뺀 값과 런랭스 최대값(L)을 비교한다. 레터박스 영역 라인에 로고가 위치할 경우 로고의 위치만큼 블랙 픽셀수가 감소하게 되므로, 로고의 존재로 인해 감소한 블랙 픽셀수를 영상 전체 수평 크기에서 뺀값이, 레터박스 영역의 런랭스 최대값과 일치한다면 레터박스 영역에 로고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전체의 수평 크기에서 로고의 예상 크기를 뺀 값에서 런랭스 최대값(L)을 뺀값이 소정값 보다 작은 경우, 이 런랭스 최대값을 갖는 입력영상의 라인에는 로고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영상 전체의 수평 크기에서 로고의 예상 크기를 뺀 값이 모두 블랙 픽셀인 경우에는 레터박스 영역에 로고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영상 전체의 수평 크기에서 로고의 예상 크기를 뺀 값에서 런랭스 최대값(L)을 뺀값이 소정값 보다 작은 라인 중 가장 낮은 레터박스 영역에 위치하는 라인은, 영상영역에서 레터박스 영역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로고의 시작 위치에 해당한다.
또는 카운트된 블랙 픽셀수를 이용하여 로고 끝 경계를 검출할 경우, 카운트 된 블랙 픽셀수이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 검출시 이용되는 제2 문턱값(Th2) 보다 큰 입력영상의 라인들 중에서 가장 낮은 영역에 위치하는 좌표를 로고 끝의 경계로 검출할 수 있다. 즉, 제2 문턱값(Th2) 이상의 블랙 픽셀수를 갖음으로써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으로 검출되는 라인들 중 가장 낮은 영역에 위치하는 좌표는 레터박스 영역 상단 중에서 로고의 위치하는 마지막 라인에 해당한다. 가장 낮은 영역에 위치하는 좌표 이후의 라인들에서부터 로고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가장 낮은 영역에 위치하는 좌표 이후의 라인들은 제2 문턱값(Th2) 이상의 블랙 픽셀수를 갖지 않기 때문이다.
또는 런랭스 최대값을 이용하여 로고 끝 경계를 검출할 경우에는 런랭스 최대값이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 검출시 이용되는 제3 문턱값(Th3) 보다 큰 입력영상의 라인들 중에서 가장 낮은 영역에 위치하는 좌표를 로고 끝의 경계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런랭스 최대값을 이용하여 검출된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과 라인별 카운트된 블랙 픽셀수를 이용하여 검출된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의 차이가 레터박스 영역에 위치하는 로고의 수직방향의 크기가 된다.
이어, 레터박스 영역에서 검출되는 캡션 경계 또는 로고 경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한다(S40). 캡션 경계 또는 로고 경계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연속하여 입력되는 입력영상의 필드별 또는 프레임별로 검출되는 레터박스 영역 경계의 좌표의 변화를 분석하여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입력영상의 동일한 라인 위치가 소정 회수 이상 레터박스 영역 경 계로 검출된 경우에 입력영상의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그러나, 입력영상의 소정 라인 위치가 레터박스 영역 경계로 검출되더라도 다른 입력영상들에서도 소정 회수 이상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검출되지 않는다면, 결정된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는 입력영상의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서 최종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소정 회수 이하로 검출된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입력영상의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최종적으로 결정한다면, 영상의 화면 디스플레이시 영상 사이즈의 잦은 변화를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레터박스 영역에서 캡션 또는 로고가 검출되며 캡션 또는 로고를 디스플레이할 것으로 설정된 경우, 검출되는 캡션 또는 로고의 경계까지 실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영역으로 판단한다. 즉, 레터박스 영역에 위치하는 캡션 또는 로고의 경계를 최종적으로 레터박스 영역으로 결정한다.
그러나, 캡션 또는 로고를 디스플레이할 것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검출되는 캡션 또는 로고를 고려하지 않고 영상영역을 결정한다. 즉, 레터영역에 위치하는 캡션 또는 로고를 검출하는 검출부(800)의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검출되는 블랙 픽셀을 이용하여 레터박스 검출부(500)에서 검출되는 레터박스 경계를 최종적인 레터박스 경계로 결정한다.
이어,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이용하여 영상 사이즈를 조정한 후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50). 최종적으로 결정된 레터박스 영역을 제외한 영상영역을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크기에 맞게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캡션 또는 로고가 레터박스 영역에서 검출될 경우, 레터박스 영역에 위치하는 캡션 또는 로고의 경계까지를 영상영역으로 판단하여 캡션 또는 로고의 경계 이후의 영역을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크기에 맞게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입력영상의 소정 라인의 픽셀이 블랙 픽셀인지 여부로 레터박스 영역경계를 검출하였으나, 레터박스 영역이 블랙이 아닌 블루와 같은 다른 칼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입력영상의 색공간을 RGB, XYZ 공간으로 변환한 후 레터박스 영역을 구성하는 색을 갖는 픽셀을 카운트하여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검출한다. 즉, 입력영상의 색공간을 레터박스를 구성하는 색을 표현할 수 있는 색공간으로 변환하여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연속한 블랙 픽셀수의 최대값인 런랭스 최대값 또는 라인별 카운트되 블릭 픽셀수를 이용하여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함으로써 정확하게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정확한 레터박스 경계의 검출로 인해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크기에 맞도록 영상 사이즈를 자주 변화함으로써 발생하는 시간적인 화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4)

  1. 입력되는 영상에서 라인별 픽셀이 레터박스(letter box) 영역의 블랙 픽셀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분류부;
    상기 라인별 검출되는 상기 블랙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상기 라인별 연속하여 검출되는 상기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검출하는 결정부;
    상기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 및 상기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이용하여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검출하는 레터박스 검출부;
    상기 레터박스 검출부에서 소정 라인이 소정 회수 이상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검출된 경우, 상기 소정 라인을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확정하는 경계 결정부; 및
    상기 검출된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을 제외한 영역을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 평균값과 상기 라인별 픽셀값의 차값의 절대값을 제1 문턱값 비교하여, 상기 절대값이 상기 제1 문턱값 보다 작은 경우 라인의 픽셀을 블랙 픽셀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 평균값은,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으로 검출된 라인의 픽셀 평균값, 상기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갖는 라인의 픽셀 평균값, 및 소정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터박스 검출부는, 상기 연속하여 검출되는 상기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이 제2 문턱값 이상이며, 상기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가 상기 제3 문턱값 이상인 경우 라인을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한 블랙 픽셀 수 및 상기 연속하여 검출되는 상기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레터박스 영역에 존재하는 CGI(Computer Graphics Image)의 경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GI(Computer Graphics Image)는 캡션(caption) 및 로고(logo)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들의 라인들 중에서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검출되는 라인의 위치에 대한 빈도를 검출하여 히스토그램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히스토그램에서 소정값 이상의 빈도값을 갖는 라인의 위치들 중 소정 라인의 위치를 상기 CGI의 경계로 검출하는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레터박스 영역 상하단 영역의 경계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고정된 채 다른 하나의 위치가 일정하게 변화하는 경우, 상기 소정값 이상의 빈도값을 갖는 라인의 위치들 중 소정 라인의 위치를 상기 CGI의 경계로 검출하는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전체 수평라인에서 상기 소정 CGI 크기의 픽셀수를 뺀 값에서 상기 연속하여 검출되는 상기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뺀값의 절대값이 소정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절대값이 소정값 보다 작은 라인의 위치를 상기 CGI의 하나의 경계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라인별로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와 상기 제3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가 상기 제3 문턱값 보다 큰 라인들 중 가장 낮은 영역에 존재하는 라인을 상기 CGI의 하나의 경계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결정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CGI가 검출되고 상기 CGI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CGI의 경계를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입력되는 영상의 색공간을 레터박스 영역을 구성하는 소정색을 표현할 수 있는 색공간으로 변환하는 색공간 변환부;
    상기 입력되는 영상에서 라인별 픽셀이 상기 소정색의 픽셀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색검출부;
    상기 라인별 검출되는 상기 소정색의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상기 라인별 연속하여 검출되는 소정색의 픽셀 수의 최대값을 검출하는 결정부;
    상기 카운트된 소정색의 픽셀 수 및 상기 연속하여 검출되는 소정색의 픽셀 수의 최대값을 이용하여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검출하는 레터박스 검출부;
    상기 레터박스 검출부에서 소정 라인이 소정 회수 이상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검출된 경우, 상기 소정 라인을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확정하는 경계 결정부; 및
    상기 검출된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을 제외한 영역을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박스 영역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입력되는 영상에서 라인별 픽셀이 레터박스(letter box) 영역의 블랙 픽셀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라인별 검출되는 상기 블랙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라인별 연속하여 검출되는 상기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검출하는 단 계;
    상기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 및 상기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이용하여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검출하는 단계;
    소정 라인이 소정 회수 이상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검출된 경우, 상기 소정 라인을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을 제외한 영역을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블랙 픽셀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 평균값과 상기 라인별 픽셀값의 차값의 절대값이 제1 문턱값 보다 작은 경우, 라인의 픽셀을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블랙 픽셀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픽셀 평균값은,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으로 검출된 라인의 픽셀 평균값, 상기 연속하여 검출되는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갖는 라인의 평균 픽셀값, 및 소정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연속하여 검출되는 상기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이 제2 문턱값 이상이며, 상기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가 상기 제3 문턱값 이상인 경우 라인을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라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한 블랙 픽셀 수 및 상기 연속하여 검출되는 상기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레터박스 영역에 존재하는 CGI(Computer Graphics Image)의 경계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CGI(Computer Graphics Image)는 캡션(caption) 및 로고(logo)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CGI의 경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들의 라인들 중에서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검출되 는 라인의 위치에 대한 빈도를 검출하여 히스토그램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히스토그램에서 소정값 이상의 빈도값을 갖는 라인의 위치들 중 소정 라인의 위치를 상기 CGI의 경계로 검출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CGI의 경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레터박스 영역 상하단 영역의 경계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고정된 채 다른 하나의 위치가 일정하게 변화하는 경우에 상기 소정값 이상의 빈도값을 갖는 라인의 위치들 중 상기 소정 라인의 위치를 상기 CGI의 경계로 검출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CGI의 경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전체 수평라인에서 상기 소정 CGI 크기의 픽셀수를 뺀 값에서 상기 연속하여 검출되는 상기 블랙 픽셀 수의 최대값을 뺀값의 절대값이 소정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절대값이 소정값 보다 작은 라인의 위치를 상기 CGI의 하나의 경계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CGI의 경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라인별로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와 상기 제3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카운트된 블랙 픽셀 수가 상기 제3 문턱값 보다 큰 라인들 중 가장 낮은 영역에 존재하는 라인을 상기 CGI의 하나의 경계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CGI가 검출되고 상기 CGI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CGI의 경계를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24. 입력되는 영상의 색공간을 레터박스 영역을 구성하는 소정색을 표현할 수 있는 색공간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영상에서 라인별 픽셀이 상기 소정색의 픽셀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라인별 검출되는 상기 소정색의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라인별 연속하여 검출되는 소정색의 픽셀 수의 최대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카운트된 소정색의 픽셀 수 및 상기 연속하여 검출되는 소정색의 픽셀 수의 최대값을 이용하여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를 검출하는 단계;
    소정 라인이 상기 레터박스 검출부에서 소정 회수 이상 상기 레터박스 영역 의 경계로 검출된 경우, 상기 소정 라인을 상기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레터박스 영역의 경계을 제외한 영역을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40113803A 2004-12-28 2004-12-28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94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803A KR100594806B1 (ko) 2004-12-28 2004-12-28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11/252,035 US7538821B2 (en) 2004-12-28 2005-10-18 Display apparatus to detect letter-box boundary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using the same
NL1030365A NL1030365C2 (nl) 2004-12-28 2005-11-07 Afbeeldtoestel voor het detecteren van een brievenbusgrens en een werkwijze voor het afbeelden van een beeld gebruik makend hierv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803A KR100594806B1 (ko) 2004-12-28 2004-12-28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4806B1 true KR100594806B1 (ko) 2006-06-30

Family

ID=36610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80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94806B1 (ko) 2004-12-28 2004-12-28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38821B2 (ko)
KR (1) KR100594806B1 (ko)
NL (1) NL1030365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481B1 (ko) 2009-05-25 201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5821B2 (en) * 2010-09-28 2014-02-04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ge frame detection
JP2007304337A (ja) * 2006-05-11 2007-11-22 Pioneer Electronic Corp 映像検出装置、映像処理装置、映像検出方法、表示装置の焼き付き軽減方法および映像検出プログラム
JP2007329700A (ja) * 2006-06-08 2007-12-20 Sony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JP5067599B2 (ja) * 2006-06-08 2012-11-07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US20080143876A1 (en) * 2006-08-31 2008-06-19 James Kouramanis Video stream timing detection
US8508823B2 (en) * 2007-03-28 2013-08-13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4906685B2 (ja) * 2007-11-14 2012-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489873B (zh) 2008-04-08 2015-06-21 Realtek Semiconductor Corp 影像偵測裝置與方法
US20100157145A1 (en) * 2008-12-23 2010-06-24 Horizon Semiconductors Ltd. Adaptive panoramic interpolator
CN102109753A (zh) * 2009-12-25 2011-06-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自动检测镜头方法
US9131097B2 (en) * 2011-09-16 2015-09-08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black bar identification
US9349069B2 (en) * 2011-11-21 2016-05-24 Analog Devices, Inc. Dynamic line-detection system for processors having limited internal memory
US9756282B2 (en) 2012-11-20 2017-09-05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for display
US9519977B2 (en) * 2013-05-13 2016-12-13 Ebay Inc. Letterbox coloring with color detection
CN104023249B (zh) * 2014-06-12 2015-10-2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电视频道识别方法和装置
CN105335383B (zh) * 2014-06-30 2019-12-2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输入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JP6609098B2 (ja) * 2014-10-30 2019-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70148170A1 (en) * 2015-11-24 2017-05-25 Le Holdings (Beijing)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10257487B1 (en) * 2018-01-16 2019-04-0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efficient video playback based on display hardware feedback
KR102814935B1 (ko) * 2020-04-16 2025-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제어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CN112584590B (zh) * 2020-12-07 2023-03-10 广东华威信息科技有限公司 智能管理柜的状态检测方法及装置
US11900009B2 (en) * 2020-12-17 2024-02-13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automated preset audio equalizer settings
US12002186B1 (en) 2021-06-11 2024-06-04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urround area detection and blending for image filtering
US20230105469A1 (en) * 2021-10-01 2023-04-06 Citrix Systems, Inc. Screen capture protection using time decomposition
EP4373074A4 (en) 2021-12-03 2025-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N115866243B (zh) * 2022-12-06 2025-06-13 海宁奕斯伟计算技术有限公司 图像边框确定装置、方法、设备、和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554B1 (ko) 1993-05-05 1999-06-15 크리트먼 어윈 엠 로고를 갖는 레터박스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5270A (en) 1990-06-01 1994-09-0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anaging letterbox signals with logos and closed captions
US5699123A (en) * 1993-10-20 1997-12-16 Victor Company Of Japan, Ltd. Television receiver with an adjustable frame size
TW307971B (ko) * 1994-03-31 1997-06-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69614365T2 (de) 1996-04-01 2001-11-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chaltung zur automatischen Erkennung von "Letter-Box" Bildern in Fernsehempfängern
EP0837602A3 (en) * 1996-10-17 1999-10-06 Kabushiki Kaisha Toshiba Letterbox image detection apparatus
JPH1127690A (ja) 1997-07-04 1999-01-29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回路
US6259479B1 (en) * 1997-09-17 2001-07-10 Sony Corporation Letterbox filter apparatus and method
EP0913993A1 (en) * 1997-10-28 1999-05-06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format detection in digital video picture
US6262772B1 (en) * 1998-11-23 2001-07-17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display screen burn-in
EP1408684A1 (fr) * 2002-10-03 2004-04-14 STMicroelectronics S.A. Procédé et système d'affichage video avec recadrage automatiqu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554B1 (ko) 1993-05-05 1999-06-15 크리트먼 어윈 엠 로고를 갖는 레터박스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481B1 (ko) 2009-05-25 201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콘트라스트 개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030365A1 (nl) 2006-06-29
NL1030365C2 (nl) 2007-09-11
US20060139492A1 (en) 2006-06-29
US7538821B2 (en) 2009-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806B1 (ko) 레터박스 경계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69224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text images
US8417032B2 (en) Adjustment of image luminance values using combined histogram
US8144241B2 (en)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exposure control method
KR20070112130A (ko) 그래픽 객체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CN101933047B (zh) 数字图像中的牙齿定位与白化
JPH0965252A (ja) 階調補正装置
CN101072373A (zh) 图像检测设备、方法及程序减少显示设备的老化的方法
JP5352859B2 (ja) 複数のガウス分布モデルを利用して映像の背景を維持する方法と装置
US761291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5363694B2 (ja) ウィンドウ検出
CN111160215B (zh) 图像标识的亮度调节装置及方法
US6999621B2 (en) Text discriminat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KR20060077449A (ko) 화면비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CN114071209A (zh) 实时检测视频图像显示区域的方法和装置及电子设备
JP200822773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750801B2 (ja) 画像判別装置
JP4219577B2 (ja) 画像処理装置と画像出力装置と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201317873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9296284A (ja) 映像処理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映像表示装置
KR20210033301A (ko) 모션추정방법,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08304825B (zh) 一种文本检测方法及装置
JP4684966B2 (ja) 画像表示装置
JP7595447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プログラム
KR20070026638A (ko) 블럭 기반 이미지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