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91154B1 - 연결 콘택과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패턴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연결 콘택과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패턴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154B1
KR100591154B1 KR1020030101907A KR20030101907A KR100591154B1 KR 100591154 B1 KR100591154 B1 KR 100591154B1 KR 1020030101907 A KR1020030101907 A KR 1020030101907A KR 20030101907 A KR20030101907 A KR 20030101907A KR 100591154 B1 KR100591154 B1 KR 100591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ing
connection contact
insulating layer
t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9640A (ko
Inventor
이대근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1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154B1/ko
Priority to DE102004062834A priority patent/DE102004062834A1/de
Priority to JP2004376158A priority patent/JP2005197700A/ja
Priority to US11/024,467 priority patent/US7271091B2/en
Publication of KR2005006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electrodes)
    • H01L23/48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electrodes) consisting of layered constructions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and insulating layers, e.g. planar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04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by forming tapered via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85By forming conductive members before deposition of protective insulating material, e.g. pillars, stu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연결 콘택과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 상의 하부 절연층을 관통하는 텅스텐층의 연결 콘택을 형성하고, 연결 콘택을 덮는 상부 절연층을 형성하고, 절연층에 다마신 트렌치가 형성될 위치에 다마신 트렌치와 대등한 선폭의 홈을 형성한다. 홈의 측벽에 마스크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상부 절연층에 다마신 공정을 수행하여 마스크 스페이서에 의해 바닥 프로파일이 연결 콘택 쪽으로 기울어진 연결 콘택의 상측 및 측벽 일부를 노출하는 다마신 트렌치를 형성한다. 다마신 트렌치를 채워 연결 콘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리의 배선의 금속 패턴을 형성한다.
구리층, 텅스텐 연결 콘택, 다마신 공정

Description

연결 콘택과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Method for fabricating metal pattern to reduce contact resistivity with interconnection contact}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결 콘택과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 콘택과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고성능화 됨에 따라 접촉 저항의 감소가 큰 해결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연결 콘택과 이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배선으로서의 금속 패턴과의 연결 시,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 시 되고 있다.
한편, 반도체 소자의 배선의 저항 감소를 위해서 배선으로서 구리 배선이 도 입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구리 배선을 형성하기 위해 다마신(damascene) 공정이 도입되고 있다. 또한, 연결 콘택 또한 저항의 감소를 위해서 상대적으로 저항이 낮은 텅스텐(W) 콘택이 도입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은, 먼저, 반도체 기판(10)에 트랜지스터 소자들이 형성된다. 즉, 반도체 기판(10)에 STI와 같은 소자 분리막(15)이 형성되고, 게이트 산화막(21)을 개재하는 게이트(23)가 형성된다. 게이트(23)의 측벽에는 버퍼층(25)이 도입되고 있으며, 버퍼층(25) 상에 측벽 스페이서(spacer:27)가 도입되고 있다. 게이트(23) 인근 반도체 기판(10)에는 소스/드레인 영역(31)이 형성되고, 게이트(23) 상측에는 저항 감소를 위해 금속 실리사이드층(29)이 도입되고, 또한, 소스/드레인 영역(31) 상에도 금속 실리사이드층(35)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트랜지스터 구조를 덮는 라이너(liner) 형태의 제1하부 절연층(41)이 도입되고, 제2하부 절연층(41) 상에 제2하부 절연층(43) 및 제3하부 절연층(4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절연층 구조를 구현한다.
이러한 절연층 구조를 관통하여 하부의 소스/드레인 영역(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콘택(55)이 콘택홀(47)을 통해 도입된다. 이러한 연결 콘택(55)은 텅스텐 콘택으로 도입되는 데, 이때, 턴스텐 연결 콘택(55)의 하부에는 장벽 금속층(barrier metal layer:51)이 티타늄/질화 티타늄(Ti/TiN)층으로 도입된다. 이때, 티타늄층은 대략 300Å 두께 정도로, 질화 티타늄층은 대략 50Å 두께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 콘택(55)을 덮는 제1상부 절연층(61) 및 제2상부 절연층(63)이 형성되고, 싱글 다마신(single damascene) 공정으로 제1상부 절연층(61) 및 제2상부 절연층(63)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콘택(55) 상면에 접촉하는 구리 배선의 금속 패턴(75)이 형성된다. 구리 배선의 금속 배턴(75)의 하부에는 장벽 금속층(71)으로 150/150Å 두께의 탄탈륨/질화 탄탈륨(Ta/TaN)층이 도입된다.
이와 같이 텅스텐 연결 콘택(55)과 구리 배선의 금속 패턴(75)이 접촉하여 연결될 때, 접촉 저항을 보다 낮추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구리에 비해 텅스텐은 대략 4배 정도 저항이 높기 때문에 접촉 저항이 높을 경우 소자의 성능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연결 콘택과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은 반도체 기판 상의 하부 절연층을 관통하는 연결 콘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결 콘택을 덮는 상부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에 상기 연결 콘택과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홈의 측벽에 마스크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스페이서를 포함한 상기 홈을 식각하여 상기 연결 콘택의 상부 표면을 노출하는 제1 트렌치 및 상기 연결 콘택의 측벽을 노출하며 경사진 측벽을 가지는 제2 트렌치를 포함하는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트렌치를 채워 상기 연결 콘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결 콘택과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마신 트렌치를 형성할 때 도입될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상기 상부 절연층을 식각하여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홈의 프로파일을 따른 라이너 형태의 스페이서층을 실리콘 산화물층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실리콘 산화물층을 이방성 건식 식각하여 상기 홈의 측벽에만 잔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홈의 프로파일을 따른 라이너 형태의 스페이서층을 실리콘 질화물층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실리콘 질화물층을 이방성 건식 식각하여 상기 홈의 측벽에만 잔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콘택은 텅스텐층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텅스텐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상기 다마신 트렌치를 채우는 구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리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구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마신 트렌치 내에 상기 연결 콘택을 노출된 부분을 덮는 탄탈륨/질화 탄탈륨(Ta/TaN)층을 포함하는 장벽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장벽 금속층 상에 시드층(seed layer)을 개재하는 구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콘택과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되며,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결 콘택과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패턴 형성 방법은 싱글 다마신 공정으로 수행된다. 먼저, 반도체 기판(100)에 트랜지스터 소자들이 형성된다. 즉, 반도체 기판(100)에 STI와 같은 소자 분리막(150)이 형성되고, 게이트 산화막(210)을 개재하는 게이트(230)가 형성된다. 게이트(230)의 측벽에는 버퍼층(250)이 절연 물질로 도입되고 있으며, 버퍼층(250) 상에 측벽 스페이서(spacer:270)가 도입된다.
게이트(230) 인근 반도체 기판(100)에는 소스/드레인 영역(310)이 형성되고, 게이트(230) 상측에는 저항 감소를 위해 금속 실리사이드층(290)이 도입되고, 또한, 소스/드레인 영역(310) 상에도 금속 실리사이드층(350)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금속 실리사이드층(310, 350)은 자기 정렬 실리사이드화 과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티타늄 실리사이드층과 같은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지스터 구조를 덮는 라이너(liner) 형태의 제1하부 절연층(410)이 도입되고, 제2하부 절연층(410) 상에 제2하부 절연층(430) 및 제3하부 절연층(4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절연층 구조를 구현한다. 이러한 하부 절연층들(410, 430, 450) 낮은 유전 상수의 절연 물질을 도입한 절연층들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층 구조를 관통하여 하부의 소스/드레인 영역(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콘택(550)이 콘택홀(470)을 통해 도입된다. 이러한 연결 콘택(550)은 텅스텐 콘택으로 도입되는 데, 이때, 턴스텐 연결 콘택(550)의 하부에는 장벽 금속층(510)이 티타늄/질화 티타늄(Ti/TiN)층으로 도입된다. 이때, 티타늄층은 대략 300Å 두께 정도로, 질화 티타늄층은 대략 50Å 두께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 콘택(550)을 덮는 제1상부 절연층(610) 및 제2상부 절연층(630)을 형성한다. 이후에 싱글 다마신 공정에서 구리 배선의 패터닝을 위해 도입되는 다마신 트렌치를 위해 포토레지스트 패턴(650)을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포토레지스트 패턴(650)을 이용하여 제2상부 절연층(630)의 일부를 식각하여 리세스(recess)된 홈(631)을 형성한다. 이러한 홈은 대략 500Å 정도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에, 포토레지스트 패턴(650)은 제거된 다.
도 5를 참조하면, 홈(631)의 프로파일(profile)을 따르는 마스크 스페이서층(700)을 형성한다. 이러한 마스크 스페이서층(700)은 라이너 형태로 형성되는 데, 대략 200Å 정도 두께로 형성한다. 이러한 마스크 스페이서층(700)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마스크 스페이서층(700)의 두께는 형성될 다마신 트렌치의 선폭과 하부의 연결 콘택(550)의 선폭과의 차이에 의존하여 달라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대략 200Å 두께로 형성될 때는, 다마신 트렌치의 선폭이 0.23㎛이고 하부의 연결 콘택(550)의 선폭이 대략 0.17㎛일 경우에 적합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크 스페이서층(700)을 이방성 식각하여 홈(631)의 측벽에 부착된 형태의 마스크 스페이서(750)를 형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마스크 스페이서(750)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2상부 절연층(630) 및 제1상부 절연층(610)을 싱글 다마신 공정을 따라 패터닝하여 하부의 연결 콘택(550)이 노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한 포토레지스트 패턴(650)과 마찬가지의 선폭을 가지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마신 트렌치(670)를 형성하는 식각이 진행됨에 따라, 마스크 스페이서(750)의 존재에 의해서 다마신 트렌치(670)의 프로파일이 도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연결 콘택(550)의 측벽을 노출하는 쐐기 형태의 바닥 프로파일이 형성되게 된다. 즉, 바닥이 경사진(671) 형태를 가져, 결국 연결 콘택(550)의 측면을 보다 더 확장된 상태로 노출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장벽 금속층(810) 150/150Å 두께의 탄탈륨/질화 탄탈륨(Ta/TaN)층을 형성하고, 그 상에 구리 시드층(Cu seed layer: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 후, 전기 도금법 등으로 구리층을 형성하여 상부 금속층(850)을 형성하고, CMP 등으로 평탄화하여 구리 배선의 금속 패턴을 형성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콘택으로서의 텅스텐 콘택의 표면을 보다 더 확장되게 노출하도록 싱글 다마신 과정에 의한 다마신 트렌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마신 트렌치를 채우는 구리 배선이 텅스텐 연결 콘택과 보다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지며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리 배선과 텅스텐 연결 콘택 사이의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소자의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소자를 보다 낮은 저 전력에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7)

  1. 반도체 기판 상의 하부 절연층을 관통하는 연결 콘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결 콘택을 덮는 상부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 절연층의 일부를 식각하여 상기 연결 콘택과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홈의 측벽에 마스크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스페이서를 포함한 상기 홈을 식각하여 상기 연결 콘택의 상부 표면을 노출하는 제1 트렌치 및 상기 연결 콘택의 측벽을 노출하며 경사진 측벽을 가지는 제2 트렌치를 포함하는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트랜치를 채워 상기 연결 콘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마신 트렌치를 형성할 때 도입될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상기 상부 절연층을 식각하여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홈의 프로파일을 따른 라이너 형태의 스페이서층을 실리콘 산화물층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실리콘 산화물층을 이방성 건식 식각하여 상기 홈의 측벽에만 잔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홈의 프로파일을 따른 라이너 형태의 스페이서층을 실리콘 질화물층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실리콘 질화물층을 이방성 건식 식각하여 상기 홈의 측벽에만 잔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콘택은 텅스텐층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텅스텐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상기 다마신 트렌치를 채우는 구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리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마신 트렌치 내에 상기 연결 콘택을 노출된 부분을 덮는 탄탈륨/질화 탄탈륨(Ta/TaN)층을 포함하는 장벽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장벽 금속층 상에 시드층(seed layer)을 개재하는 구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
KR1020030101907A 2003-12-31 2003-12-31 연결 콘택과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패턴 형성 방법 KR100591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907A KR100591154B1 (ko) 2003-12-31 2003-12-31 연결 콘택과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패턴 형성 방법
DE102004062834A DE102004062834A1 (de) 2003-12-31 2004-12-27 Verfahren zum Bilden einer Metallstruktur zur Verringerung des spezifischen Kontaktwiderstandes mit einem Verbindungskontakt
JP2004376158A JP2005197700A (ja) 2003-12-31 2004-12-27 半導体素子の金属パターン形成方法
US11/024,467 US7271091B2 (en) 2003-12-31 2004-12-30 Method for forming metal pattern to reduce contact resistivity with interconnection cont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907A KR100591154B1 (ko) 2003-12-31 2003-12-31 연결 콘택과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패턴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640A KR20050069640A (ko) 2005-07-05
KR100591154B1 true KR100591154B1 (ko) 2006-06-19

Family

ID=3469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907A KR100591154B1 (ko) 2003-12-31 2003-12-31 연결 콘택과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패턴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71091B2 (ko)
JP (1) JP2005197700A (ko)
KR (1) KR100591154B1 (ko)
DE (1) DE1020040628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997B1 (ko) * 2005-04-26 2006-12-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낮은 저항을 갖는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 및 그 제조 방법
JP4750586B2 (ja) * 2006-02-28 2011-08-17 住友電工デバイ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電子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
TWI312578B (en) * 2006-09-29 2009-07-21 Innolux Display Corp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TWI572009B (zh) 2011-01-14 2017-02-2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記憶裝置
EP3503168A1 (en) 2014-12-23 2019-06-26 INTEL Corporation Decoupled via fill
WO2016189415A1 (ja) * 2015-05-26 2016-12-0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4559A (en) * 1996-03-06 1999-05-1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Three dimensional contact or via structure with multiple sidewall contacts
US6475904B2 (en) * 1998-12-03 2002-11-05 Advanced Micro Devices, Inc. Interconnect structure with silicon containing alicyclic polymers and low-k dielectric materials and method of making same with single and dual damascene techniques
JP2000174117A (ja) 1998-12-04 2000-06-23 Sony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398929B1 (en) * 1999-10-08 2002-06-04 Applied Materials, Inc. Plasma reactor and shields generating self-ionized plasma for sputtering
TW444342B (en) * 2000-02-17 2001-07-01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metal interconnect having inner gap spa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71091B2 (en) 2007-09-18
JP2005197700A (ja) 2005-07-21
DE102004062834A1 (de) 2005-11-24
KR20050069640A (ko) 2005-07-05
US20050142841A1 (en)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0976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via contact plug with a discontinuous barrier layer
US8951910B2 (en) Methods for fabricating and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s including damascene structures
US6251790B1 (en) Method for fabricating contacts in a semiconductor device
KR100215847B1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 배선 및 그의 형성 방법
US6008114A (en) Method of forming dual damascene structure
KR100363556B1 (ko) 콘택 플러그와 상부 배선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배선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US20040232558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77370B1 (ko) 중간 레벨 배선패턴의 수가 감소된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방법
KR100591154B1 (ko) 연결 콘택과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패턴 형성 방법
US20080157371A1 (en) Metal Line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35925B1 (ko) 반도체 장치의 배선 구조물 및 이의 형성 방법
US6218291B1 (en) Method for forming contact plugs and simultaneously planarizing a substrate surface in integrated circuits
JP2004311537A (ja) 半導体装置
KR100356776B1 (ko) 반도체소자의 자기정렬 콘택 구조체를 형성하는 방법
US20050151260A1 (en) Interconnection structure for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6776622B2 (en) Conductive contact structur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7084057B2 (en) Bit line contact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692712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with interconnections and interconnection contacts and a device formed thereby
KR100485391B1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20020049373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N117976651A (zh)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KR20030058299A (ko) 오정렬 마진을 개선한 금속배선 형성 방법
KR20030026544A (ko) 콘택 플러그 구조체 및 그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7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30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522

Appeal identifier: 2006101001937

Request date: 20060303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4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9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605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42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