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7006B1 -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006B1
KR100587006B1 KR1020040110924A KR20040110924A KR100587006B1 KR 100587006 B1 KR100587006 B1 KR 100587006B1 KR 1020040110924 A KR1020040110924 A KR 1020040110924A KR 20040110924 A KR20040110924 A KR 20040110924A KR 100587006 B1 KR100587006 B1 KR 100587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electrode
width
pattern
electrodes
inter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호
신효순
추호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0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006B1/ko
Priority to US11/272,893 priority patent/US7251119B2/en
Priority to JP2005333772A priority patent/JP2006179873A/ja
Priority to CN2005101243887A priority patent/CN179438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006B1/ko
Priority to US11/822,189 priority patent/US7644480B2/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3Electric condenser making
    • Y10T29/435Solid dielectr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Abstract

균열 발생을 방지하고 높은 신뢰성을 갖는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칩 커패시터는,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커패시터 본체와; 상기 복수의 유전체 상에 형성되어, 메인 전극부와 리드부를 갖는 복수의 제1 내부 전극 및 제2 내부 전극과; 상기 커패시터 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의 양 측단부와 접하는 칩 보호용 측면 부재와; 상기 커패시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리드부를 통해 상기 내부 전극에 연결된 한쌍의 외부 단자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전극부의 폭은 상기 유전체층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리드부의 폭은 상기 유전체층의 폭보다 작다.
적층형 칩 커패시터

Description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Multi-layer Chip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종래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1 내부 전극과 제2 내부 전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부 전극이 형성된 유전체층들의 적층물을 AA'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1 내부 전극과 제2 내부 전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내부 전극이 형성된 유전체층들의 적층물을 BB'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내부 전극이 형성된 유전체층들의 적층물 양 측면에 칩 보호용 측면 부재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내부 전극과 평행한 평면을 따라 자른 수평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5의 XX'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폭 방향 마진부가 없는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조 공 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상기 제조 공정 중 커팅 라인의 정렬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되는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상기 제조 공정 중 커팅 라인의 정렬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되는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2, 43: 유전체층 52: 제1 내부 전극
53: 제2 내부 전극 70: 칩 보호용 측면 부재
140, 141: 모체 그린 시트 180, 181: 스크린 패턴
L1, L2: 커팅 라인
본 발명은 적층형 칩 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께 차이로 인한 균열 발생을 억제하고 커팅 라인의 정렬 오류로 인한 단락 위험을 방지하여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층형 칩 커패시터(MLCC)는 세라믹 그린 시이트라고 부르는 복수개의 유전체층과 이 복수개의 유전체층 사이에 삽입된 내부 전극을 포함한다. 이러한 적층형 칩 커패시터는 크기가 소형이면서도 높은 정전 용량을 구현할 수 있고 기판상에 용이하게 실장될 수 있어, 다양한 전자장치의 용량성 부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적층형 칩 커패시터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내부 전극이 인쇄된 유전체층을 교대로 반복 적층한 후, 이 적층물을 가압 및 소성하고 그 소성된 적층물의 양 단부에 외부 단자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런데 유전체층에 내부 전극을 형성할 때, 내부 전극을 보호하고 전기적인 단락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전극의 폭 방향에 마진부를 남겨둔다. 따라서, 칩 커패시터의 전체 외형에 있어서, 내부 전극이 형성된 중심 부위와, 마진부가 위치한 양 측면 부위사이에 두께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칩 커패시터 외형상의 두께 차이는 특히 소성 과정에서 칩에 균열(crack)을 발생시켜 커패시터의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도 1은 종래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1 내부 전극과 제2 내부 전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흔히 세라믹 그린 시트(ceramic green sheet)라고 불리는 유전체층(12, 13) 상에 각각 제1 내부 전극(22) 및 제2 내부 전극(23)이 인쇄되어 있다. 내부 전극(22, 23)은 각각 유전체층(12, 13)의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를 향해 길이 방향(L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부 전극(22, 23)의 길이는 유전체층(12, 13)의 길이보다는 짧게 되어 있어, 내부 전극(22, 23) 각각은 유전체층(12, 13)의 일 단부에서만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부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전체층(12, 13)은 각각 소정 크기(y)의 길이 방향(L 방향) 마진부(32b, 33b)를 가진다. 또한, 내부 전극(22, 23)의 폭은 유전체층(12, 13)의 폭보다 짧게 되어 있어, 유전체층(12, 13)의 양측에는 소정 크기(x)의 폭 방향(W 방향) 마진부(32a, 33a)가 남겨져 있다. 여기서, 폭 방향 마진부란, 유전체층의 가장자리와 내부 전극 사이의 마진부로서 유전체층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부분을 말한다. 이 W 방향의 마진부(32a, 33a)는 내부 전극을 보호하고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그런데, 제1 내부 전극(22)과 제2 내부 전극(23)을 교대로 반복 적층한 후 압착하여 적층물을 제조하면, W 방향의 마진부(32a, 33a)로 인해 내부 전극의 중심부와 양 측부 사이에 두께 차이가 발생한다. 도 2에는 이러한 두께의 불균일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내부 전극이 형성된 유전체층들의 적층물을 AA'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적층물(100a)은, 제1 내부 전극(22)이 형성된 유전체층(도 1의 참조번호 12)과 제2 내부 전극(23)이 형성된 유전체층(13)을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함으로써 제조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전극의 중심부에서의 적층물 두께(t1)는 전극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W 방향 마진부에서의 적층물 두께(t2)보다 더 크다. 이러한 두께 차이를 갖는 적층물(100a)을 소성하게 되면, 두께 차이가 더욱 증대되어 소성된 적층물(100b)에 많은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적층물에 외부 단자 전극을 형성하여 적층형 칩 커패시터를 완성하게 되면, 상기 균열로 인해 적층형 칩 커패시터는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두께 차이로 인한 균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극층의 스크린 인쇄시 도전성 페이스트 내의 Ni 등 금속 함량을 줄여 전극 두께를 최대한 얇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현재의 스크린 인쇄 기술로는 1㎛ 정도의 얇은 내부 전극을 형성하기가 어렵다. 또한, 두께 차이가 발생되는 부분에 유전체 슬러리를 인쇄하여 두께 차이를 보완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은 추가적인 공정을 필요로 하고 두께 차이로 인한 균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특허 제 5,144,527호는 W 방향의 마진부 없이 내부 전극을 형성한 후 유전체층을 적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특허에 따르면, 유전체층을 적층한 후, 내부 전극의 인출부를 코팅으로 보호한 상태에서 습식 식각을 실시하여 W 방향의 마진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공정이 복잡해져서 제조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습식 식각의 균일성을 확보하기도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중심부와 양측부 사이의 두께 차이로 인한 균열 발생을 방지하고 커팅 라인의 정렬 오류로 인한 단락 위험을 억제하여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형 칩 커패시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심부와 양 측부 사이에 발생하는 두께 차이로 인한 균열 발생을 억제하고 커팅 라인의 정렬 오류로 인한 단락 위험을 억제하여 소자 불량율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칩 커패시터는,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커패시터 본체와; 상기 복수의 유전체 상에 형성되어, 메인 전극부(main electrode potion)와 리드부(lead portion)를 갖는 복수의 제1 내부 전극 및 제2 내부 전극과; 상기 커패시터 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의 양 측단부와 접하는 칩 보호용 측면 부재와; 상기 커패시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전극에 연결된 한쌍의 외부 단자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전극부의 폭은 상기 유전체층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리드부의 폭은 상기 유전체층의 폭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전극부의 폭이 유전체층의 폭과 동일하기 때문에, 폭 방향의 마진부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한쌍의 외부 단자 전극 중 하나는 제1 내부 전극에만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는 제2 내부 전극에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외부 단자 전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부 전극과 상기 제2 내부 전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내부 전극의 일단부에 각각 길이 방향의 마진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 전극의 일단부에 있는 상기 길이 방향의 마진부는, 상기 제2 내부 전극의 일단부에 있는 상기 길이 방향의 마진부와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칩 보호용 측면 부재는 세라믹 재료 또는 에폭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칩 보호용 측면 부재를 상기 커패시터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함으로써, 내부 전극들이 양 측단부에서 서로 단락되지 않도록 하고, 커패시터 내부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전극부의 폭과 유전체층의 폭이 동일하여 폭 방향의 마진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 단자 전극과 접하는 리드부의 폭은 유전체층의 폭보다 작다. 이러한 특징은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내부 전극과 외부 단자 전극 간의 원하지 않는 단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은, 폭 방향의 마진부가 형성되지 않고 스크린 패턴 폭이 스크린 패턴 간격보다 더 크게 되도록, 스크린 패턴을 복수의 모체 그린 시트 상에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모체 그린 시트 상에 제1 내부 전극 패턴 및 제2 내부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 전극 패턴이 형성된 상기 복수의 모체 그린 시트를 적층하여 모체 그린 시트의 적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커팅 라인을 따라 상기 모체 그린 시트의 적층물을 커팅함으로써, 메인 전극부와 리드부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내부 전극 및 제2 내부 전극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커패시터 본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커 패시터 본체의 양 측면에 칩 보호용 측면 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내부 전극의 양 측단부가 상기 칩 보호용 측면 부재와 접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커패시터 본체의 외면에, 상기 리드부를 통해 상기 내부 전극과 연결되는 한쌍의 외부 단자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부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 패턴을 인쇄 마스크로 하여 도전성 페이스트를 상기 모체 그린 시트 상에 인쇄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체 그린 시트의 적층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내부 전극 패턴이 형성된 모체 그린 시트와 상기 제2 내부 전극 패턴이 형성된 모체 그린 시트를 교대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내부 전극 패턴과 상기 제2 내부 전극 패턴은 서로 엇갈리게 적층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 패턴이 형성된 영역은 길이 방향의 마진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스크린 패턴이 형성된 영역의 면적은 상기 길이 방향의 마진부를 이루는 영역의 면적보다 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 패턴은, 패턴 폭이 패턴 간격 보다 더 크게 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크린 패턴은 폭 방향으로 일부 중첩되어 나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크린 패턴의 폭은,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커팅 라인들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 전극부의 폭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진 리드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커팅 라인의 정렬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내부 전극과 외부 단자 전극 간의 원하지 않는 단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W 방향의 마진부를 없앰과 동시에 커패시터 본체 양 측면에 칩 보호용 측면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적층형 칩 커패시터에서 국부적인 두께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 전극들이 양 측단부에서 단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패시터의 균열 현상을 억제하고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1 내부 전극 과 제2 내부 전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전체층(42, 43) 상에 제1 내부 전극(52)과 제2 내부 전극(53)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내부 전극(52, 53)은, 유전체층(42, 43)의 폭과 동일한 폭(M)을 갖는 메인 전극부(main electrode portion)와, 그보다 작은 폭(N)을 갖는 리드부(lead portion; 52a, 53a)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유전체층(42, 43)은 폭 방향(W 방향)의 마진부를 갖고 있지 않다. 그러나, 유전체층(42, 43)은, 길이 방향(L 방향)의 마진부(62, 63)를 가질 수 있다.
리드부(52a, 53a)는. 메인 전극부로부터 연장되어 유전체층(42, 43)의 일 단부로 인출된다. 리드부(52a, 53a)는 내부 전극(52, 53)을 외부 단자 전극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 리드부(52a, 53a)의 폭(N)은 내부 전극(52, 53)의 메인 전극부의 폭(M)보다 작다. 이와 같이, 리드부(52a, 53a)의 폭(N)을 메인 전극부의 폭(M)보다 작게 되도록 설계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52, 53)과 외부 단자 전극 간의 원하지 않는 단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의 내부 전극이 형성된 유전체층들의 적층물을 BB'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 적층물(200a)은 내부 전극(52, 53)이 형성된 유전체층(42, 43)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적층물(200a) 형성시, 제1 내부 전극(52)의 일 단부에 있는 L 방향 마진부(62)는 제2 내부 전극(53)의 일 단부에 있는 L방향 마진부(63)와 서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W 방향의 마진부가 없기 때문에 상기 적층물 (200a)은 균일한 두께를 갖게 된다. 이 적층물(200a)을 압착하고 소성하여 소성된 적층물(200b)을 형성한다 하더라도, 이 소성된 적층물(200b)에는 두께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두께 편차로 인한 균열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W 방향의 마진부가 없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전극(52, 53)의 양 측단부는 적층물(200b)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수분 등의 외부 이물질에 의해 제1 내부 전극(52)이 제2 내부 전극(53)과 연결되어 양 측단부에서 단락 현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전체층들의 적층물 양 측면에, 칩 보호용 측면 부재(70)를 형성한다. 이 칩 보호용 측면 부재는 예를 들어, 절연성을 갖는 에폭시 또는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 내부 전극과 평행한 평면을 따라 자른 수평 단면도들이며, 도 7은 도 5의 XX'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층(42, 43)은 폭 방향 마진부를 갖지 않으며, 리드부(52a, 53a)는 메인 전극부의 폭(즉, 유전체층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 또한, 제1 내부 전극(52)이 형성된 유전체층(42)의 양 측단과, 제2 내부 전극(53)이 형성된 유전체층(43)의 양 측단에는 칩 보호용 측면 부재(7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칩 보호용 측면 부재(70)는 내부 전극들 간의 단락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 물질(습기 등)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칩 내부를 보호해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유전체로 이루어진 모체 그린 시트(mother green sheet; 140) 상에 스크린 패턴(180)을 형성한다. 이 모체 그린 시트(140)는 나중에 커팅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전체층(42, 43)이 된다. 또한, 스크린 패턴(180)이 형성된 영역은 추후 길이 방향 마진부(L방향 마진부)를 형성하게 된다.
도 8에서, 도면부호 L1 및 L2는 각각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배열된 커팅 라인을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패턴(180)은, 폭 방향 마진부가 생기지 않도록 형성된다. 스크린 패턴(180)이 형성된 영역은 길이 방향의 마진부(도 3의 도면부호 62 및 63 참조)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스크린 패턴(180)은, 스크린 패턴의 폭(R)이 스크린 패턴 간격(N)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크린 패턴(180)은 폭 방향으로 일부 중첩되어 나열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린 패턴(108)이 형성된 영역의 면적은, 길이 방향 마진부가 이루는 영역의 면적보다 크게 된다.
스크린 패턴의 폭(R)이 스크린 패턴 간격(N)보다 크게 됨으로써, 스크린 패턴 간격(N)은 폭 방향으로 배열된 커팅 라인(L2)의 간격(M)보다 작게 된다. 스크린 패턴 간격(N)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드부(도 3의 도면부호 52a 및 53a 참조)의 폭에 해당한다. 또한, 커팅 라인(L2)의 간격(M)은 내부 전극의 메인 전극부의 폭에 해당한다. 결국,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린 패턴(180)을 형성함으로써, 폭 방향 마진을 없앨 수 있고, 메인 전극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리드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패턴(180)을 이용하여 모체 그린 시트(140) 상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고 이를 건조하여 내부 전극 패턴(150)을 형성한다. 이 내부 전극 패턴(150)으로는, 제1 내부 전극 패턴과 제2 내부 전극 패턴이 있다. 즉, 하나의 모체 그린 시트 상에 제1 내부 전극 패턴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모체 그린 시트 상에는 제2 내부 전극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제1 내부 전극 패턴과 제2 내부 전극 패턴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형성한다. 그 후, 제1 내부 전극 패턴이 형성된 모체 그린 시트와 제2 내부 전극 패턴이 형성된 모체 그린 시트를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함으로써, 모체 그린 시트의 적층물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9의 커팅 라인(L1, L2)를 따라 상기 모체 그린 시트의 적층물을 커팅함으로써, 복수의 커패시터 본체를 형성한다. 도 10은 이러한 커팅에 의해 얻은 커패시터 본체의 내부 전극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전극(52, 53)의 메인 전극부는 유전체층(42, 43)과 동일한 폭(M)을 가진다. 따라서, 유전체층(42, 43)은 폭 방향 마진부를 갖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메인 전극부의 폭(M)은 상기 커팅 라인(L2) 사이의 간격에 해당한다. 또한, 각각의 내부 전극(52, 53)은 메인 전극부의 폭(M)보다 작은 폭(N)을 갖는 리드부(52a, 53a)를 갖게 된다. 이 리드부(52a, 53a)의 폭(N)은 스크린 패턴 간격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상기 커패시터 본체를 가압하고 소성한다. 그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전극들(52, 53) 간의 단락 현상을 방지하고 칩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커패시터 본체의 양 측면에 칩 보호용 부재(70)를 형성한다. 칩 보호용 부재(70)는 예를 들어, 세라믹 또는 에폭시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 본체의 외면에 한쌍의 외부 단자 전극(201, 202)을 형성한다.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쌍의 외부 단자 전극(201, 202) 중 하나(201)는 리드부(52a)를 통해 제1 내부 전극(52)과 연결되고 다른 나머지 하나(202)는 리드부(53a)를 통해 제2 내부 전극(53)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내부 전극(52)과 제2 내부 전극(53)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게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크린 패턴(180)은, 패턴 폭이 패턴 간격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스크린 패턴(180)은, 폭 방향으로 일부 중첩되어 나열되도록 형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스크린 패턴(180)을 형성하면, 메인 전극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리드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커팅 라인(L2)의 정렬 오류가 발생한 경우,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내부 전극과 외부 단자 전극 간의 원치 않는 단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폭 방향 마진부가 없는 상태에서 패턴 폭이 패턴 간격과 동일하게 되도록 스크린 패턴(180)을 형성하면, 커팅 라인(L2)의 정렬 오류가 발생한 경우,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내부 전극과 외부 단자 전극 간의 단락 현상이 발생하여 소자 불량이 초래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이러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폭 방향 마진부가 없는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모체 그린 시트(141) 상에 스크린 패턴(181)을 형성한다. 이 스크린 패턴(181)은, 폭 방향 마진부가 생기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형태와 달리, 스크린 패턴(181)은, 패턴 폭(R')이 패턴 간격(N')과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그 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패턴(181)을 이용하여 모체 그린 시트(141) 상에 내부 전극 패턴(151)을 형성한다. 그 후, 커팅 및 소성을 실행하고, 칩 보호용 측면 부재(70) 및 외부 단자 전극(201, 202)을 형성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과물을 얻는다. 그런데, 커팅 과정에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배열된 커팅 라인(L2)에 정렬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팅 라인(L2)에 정렬 오류가 발생하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지 않는 단락 부위(k)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외부 단자 전극을 형성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내부 전극(51)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2 개의 외부 단자 전극(201, 202)에 동시에 연결된다. 따라서, 소자 불량이 발생하여 적층형 칩 커패시터는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공정 중 커팅 라인에 정렬 오류가 발생하더 라도, 내부 전극과 외부 단자 전극 간에 원하지 않는 단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상기 제조 공정 중 커팅 라인의 정렬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되는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패턴 폭이 패턴 간격보다 크게 되도록 스크린 패턴(140)을 형성하면, 커팅 라인(L2)에 정렬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락 부위(k)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 영역에서는 커팅 라인(L2)의 정렬 오류가 없으나, Q 영역에서는 커팅 라인(L2)의 정렬 오류가 있다. 이와 같이 Q 영역에서 커팅 라인(L2)의 정렬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Q 영역의 내부 전극(52)은 동일한 극성의 외부 단자 전극(201)에만 연결되고, 다른 극성의 외부 단자 전극(202)과는 연결되지 않는다. 이것은, 패턴 폭이 패턴 간격보다 크게 되도록 스크린 패턴(180)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폭 방향의 마진부를 없애고 커패 시터 본체 양 측면에 칩 보호용 측면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적층형 칩 커패시터에서 국부적인 두께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 전극들이 양 측단부에서 단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패시터의 균열 현상을 억제하고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턴 폭이 패턴 간격보다 크게 되도록 스크린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 중 커팅 라인의 정렬 오류로 인한 단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소자의 불량율을 저감시키고 소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커패시터 본체와;
    상기 복수의 유전체 상에 형성되어, 메인 전극부와 리드부를 갖는 복수의 제1 내부 전극 및 제2 내부 전극과;
    상기 커패시터 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의 양 측단부와 접하는 칩 보호용 측면 부재와;
    상기 커패시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리드부를 통해 상기 내부 전극에 연결된 한쌍의 외부 단자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전극부의 폭은 상기 유전체층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리드부의 폭은 상기 유전체층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칩 커패시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외부 단자 전극 중 하나는 제1 내부 전극에만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는 제2 내부 전극에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내부 전극과 상기 제2 내부 전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칩 커패시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내부 전극의 일단부에 각각 길이 방향의 마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칩 커패시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칩 보호용 측면 부재는 세라믹 재료 또는 에폭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칩 커패시터.
  5. 폭 방향의 마진부가 형성되지 않고 스크린 패턴 폭이 스크린 패턴 간격보다 크게 되도록 스크린 패턴을 복수의 모체 그린 시트 상에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모체 그린 시트 상에 제1 내부 전극 패턴 및 제2 내부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 전극 패턴이 형성된 상기 복수의 모체 그린 시트를 적층하여 모체 그린 시트의 적층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커팅 라인을 따라 상기 모체 그린 시트의 적층물을 커팅함으로써, 메인 전극부와 리드부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내부 전극 및 제2 내부 전극이 내부에 형성된 커패시터 본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커패시터 본체의 양 측면에 칩 보호용 측면 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내부 전극의 양 측단부가 상기 칩 보호용 측면 부재와 접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커패시터 본체의 외면에, 상기 리드부를 통해 상기 내부 전극과 연결되는 한쌍의 외부 단자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 패턴을 인쇄 마스크로 하여 도전성 페이스트를 상기 모체 그린 시트 상에 인쇄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 그린 시트의 적층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내부 전극 패턴이 형성된 모체 그린 시트와 상기 제2 내부 전극 패턴이 형성된 모체 그린 시트를 교대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패턴이 형성된 영역은 길이 방향의 마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패턴은, 상기 스크린 패턴이 형성된 영역의 면적이 길이 방향의 마진부를 이루는 영역의 면적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패턴은, 폭 방향으로 일부 중복되어 나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칩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20040110924A 2004-12-23 2004-12-23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87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924A KR100587006B1 (ko) 2004-12-23 2004-12-23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US11/272,893 US7251119B2 (en) 2004-12-23 2005-11-15 Multilayer chip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333772A JP2006179873A (ja) 2004-12-23 2005-11-18 積層型チップ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2005101243887A CN1794388B (zh) 2004-12-23 2005-11-29 多层片状电容器的制造方法
US11/822,189 US7644480B2 (en) 2004-12-23 2007-07-03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chip capac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924A KR100587006B1 (ko) 2004-12-23 2004-12-23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7006B1 true KR100587006B1 (ko) 2006-06-08

Family

ID=3661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9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7006B1 (ko) 2004-12-23 2004-12-23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251119B2 (ko)
JP (1) JP2006179873A (ko)
KR (1) KR100587006B1 (ko)
CN (1) CN1794388B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79615A (zh) * 2010-11-25 2012-05-30 三星电机株式会社 多层陶瓷电容器
KR101197787B1 (ko) 2010-10-29 2012-11-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세라믹 캐패시터 및 이의 제조방법
US8526163B2 (en) 2011-11-02 2013-09-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e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412950B1 (ko) * 2012-11-07 2014-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US8885323B2 (en) 2012-08-07 2014-11-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e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8964355B2 (en) 2012-11-06 2015-02-2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384898B2 (en) 2012-09-26 2016-07-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100701A (ko) 2015-02-16 2016-08-2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KR20210002422A (ko) 2015-02-16 2021-01-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KR20220059779A (ko) * 2020-11-03 2022-05-10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20230100941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아모텍 세라믹 커패시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006B1 (ko) * 2004-12-23 2006-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DE102007007113A1 (de) * 2007-02-13 2008-08-28 Epcos Ag Vielschicht-Bauelement
JP4725629B2 (ja) * 2008-10-14 2011-07-13 Tdk株式会社 積層貫通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KR101400262B1 (ko) * 2009-12-11 2014-05-27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적층형 세라믹 콘덴서
WO2011071143A1 (ja) 2009-12-11 2011-06-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セラミック電子部品
KR101141457B1 (ko) 2010-12-08 2012-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141434B1 (ko) * 2010-12-15 2012-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188032B1 (ko) * 2011-03-09 2012-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141361B1 (ko) * 2011-03-14 2012-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JP5271377B2 (ja) * 2011-04-18 2013-08-21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101525645B1 (ko) * 2011-09-02 2015-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KR101761938B1 (ko) * 2012-04-26 2017-07-2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KR101872531B1 (ko) * 2012-07-04 2018-06-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및 그 제조 방법
WO2014013896A1 (ja) * 2012-07-20 2014-01-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KR101376839B1 (ko) * 2012-10-12 2014-03-20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KR20140071724A (ko) * 2012-12-04 2014-06-12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KR101388690B1 (ko) 2012-12-20 2014-04-2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KR101474138B1 (ko) 2013-06-05 2014-12-17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CN104299785B (zh) * 2013-07-17 2017-10-31 三星电机株式会社 多层陶瓷电容器及具有多层陶瓷电容器的板
JP6627916B2 (ja) * 2014-05-21 2020-01-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6439551B2 (ja) * 2014-05-21 2018-12-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20160016392A (ko) * 2014-08-05 2016-02-1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US9852941B2 (en) 2014-10-03 2017-12-26 Analog Devices, Inc. Stacked 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e of same
JP6724321B2 (ja) * 2015-09-15 2020-07-15 Tdk株式会社 積層電子部品
JP6848399B2 (ja) * 2016-12-02 2021-03-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2345117B1 (ko) * 2017-03-29 2021-12-30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커패시터
KR101939083B1 (ko) * 2017-03-29 2019-01-16 삼성전기 주식회사 적층형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952871B1 (ko) 2017-04-13 2019-0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의 실장 기판
JP7133908B2 (ja) * 2017-06-22 2022-09-09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US10580584B2 (en) * 2017-06-28 2020-03-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CN117976411A (zh) * 2017-10-23 2024-05-03 京瓷Avx元器件公司 具有改善的连接性的多层电子设备及其制造方法
US10741328B2 (en) * 2018-02-09 2020-08-11 Taiyo Yuden Co., Ltd.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KR102620526B1 (ko) * 2018-08-14 2024-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58118A (ko) * 2020-10-30 2022-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전자 부품
KR20220106498A (ko) * 2021-01-22 2022-07-29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WO2024162392A1 (ja) * 2023-02-01 2024-08-08 太陽誘電株式会社 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879A (ja) 1999-05-19 2000-11-30 Murata Mfg Co Ltd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2001167969A (ja) 1999-12-06 2001-06-22 Tdk Corp 三次元搭載用多端子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03257783A (ja) 2002-03-05 2003-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積層形薄膜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形薄膜コンデ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7066A (en) * 1963-02-25 1966-02-22 Sprague Electric Co Capacitor with electrodes of metal coated particles
US3648132A (en) * 1970-04-20 1972-03-07 Illinois Tool Works Multilayer capacitor and process for adjusting the value thereof
US3978378A (en) * 1973-02-12 1976-08-31 The Dow Chemical Company Articles having electroconductive components of highly electroconductive resinous compositions
JPS63249318A (ja) 1987-04-03 1988-10-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フイルム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US5144527A (en) * 1989-08-24 1992-09-0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capaci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630079B2 (ja) 1991-01-30 1997-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175073A (ja) 1991-12-25 1993-07-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H08138968A (ja) 1994-11-10 1996-05-31 Tdk Corp 積層型コンデンサ
JP3882954B2 (ja) * 1997-03-19 2007-02-21 Tdk株式会社 チップ型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3413348B2 (ja) * 1997-06-30 2003-06-03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lc複合部品
JP2991175B2 (ja) * 1997-11-10 1999-12-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
JPH11251178A (ja) 1998-03-04 1999-09-17 Taiyo Yuden Co Ltd 4端子型積層コンデンサ
JP2003229324A (ja) 2002-02-01 2003-08-15 Kyocera Corp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030400A (ja) 2002-06-27 2004-01-29 Fujitsu Ten Ltd 検索システム
US6829134B2 (en) * 2002-07-09 2004-12-0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Laminate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87006B1 (ko) * 2004-12-23 2006-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879A (ja) 1999-05-19 2000-11-30 Murata Mfg Co Ltd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2001167969A (ja) 1999-12-06 2001-06-22 Tdk Corp 三次元搭載用多端子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03257783A (ja) 2002-03-05 2003-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積層形薄膜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形薄膜コンデンサ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787B1 (ko) 2010-10-29 2012-11-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세라믹 캐패시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479615A (zh) * 2010-11-25 2012-05-30 三星电机株式会社 多层陶瓷电容器
CN102479615B (zh) * 2010-11-25 2014-11-12 三星电机株式会社 多层陶瓷电容器
US8711545B2 (en) 2011-11-02 2014-04-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e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8526163B2 (en) 2011-11-02 2013-09-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e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8885323B2 (en) 2012-08-07 2014-11-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e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9384898B2 (en) 2012-09-26 2016-07-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964355B2 (en) 2012-11-06 2015-02-2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12950B1 (ko) * 2012-11-07 2014-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US9349536B2 (en) 2012-11-07 2016-05-2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KR20160100701A (ko) 2015-02-16 2016-08-2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KR20210002422A (ko) 2015-02-16 2021-01-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KR20220059779A (ko) * 2020-11-03 2022-05-10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2748958B1 (ko) * 2020-11-03 2025-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20230100941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아모텍 세라믹 커패시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51066A1 (en) 2007-11-01
CN1794388B (zh) 2010-06-02
JP2006179873A (ja) 2006-07-06
CN1794388A (zh) 2006-06-28
US20060139848A1 (en) 2006-06-29
US7644480B2 (en) 2010-01-12
US7251119B2 (en) 200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006B1 (ko)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9146B1 (ko) 기판 내장용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및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US7324325B2 (en) Laminate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US20180199440A1 (en)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to be embedded in board and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embedded therein
US7230815B2 (en) Multilayered chip capacitor and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embedded multilayered chip capacitor
JP4375006B2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43184B1 (ko) 적층형 칩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4047707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アレイ
US2012015176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using the same
JP2000150292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CN210467599U (zh) 一种多层陶瓷电容器
US10340087B2 (en) Multilayer electronic component having first internal electrode base patterns exposed to an end and opposing side surfaces of a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0106320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WO2014125930A1 (ja) 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340455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99149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00106321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00049037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H01312817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US9236845B2 (en) Ceramic multilayer component
US20220301761A1 (en) Multi-layer inductor
JP7003496B2 (ja) 電子部品装置
JPH09312237A (ja) 積層電子部品
JP6930114B2 (ja) 電子部品装置
CN120020979A (zh) 多层电子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