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9841B1 - 멜라민 시트 적층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멜라민 시트 적층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841B1
KR100579841B1 KR1019990012854A KR19990012854A KR100579841B1 KR 100579841 B1 KR100579841 B1 KR 100579841B1 KR 1019990012854 A KR1019990012854 A KR 1019990012854A KR 19990012854 A KR19990012854 A KR 19990012854A KR 100579841 B1 KR100579841 B1 KR 100579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delete delete
vinyl chloride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383A (ko
Inventor
성재완
박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19990012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841B1/ko
Priority to TW091132950A priority patent/TWI228077B/zh
Priority to TW088106927A priority patent/TWI226851B/zh
Priority to JP11125361A priority patent/JP2000170361A/ja
Priority to CNB991076605A priority patent/CN100408325C/zh
Publication of KR20000047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84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8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염화 비닐 시트에 표면 물성이 우수한 멜라민 시트를 적층시킨 멜라민 시트 적층 염화 비닐 바닥 장식재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염화비닐 수지의 기재층(100), 기재층(100) 아래에 이지층(110), 기재층(100) 위에 수지 함침지층(150)으로 이루어진 염화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에 있어서, 기재층(100)과 수지 함침지층(150) 사이에 시트(sheet), 직포(woven fabric), 부직포(non-woven fabric), 또는 멜라민 또는 페놀수지 함침지(impregnated pap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의 발란스층(140)이 개재되어 접착된 염화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지 함침층과 그 아래의 염화비닐 수지층 사이에 발란스층을 두고 프레스로 가압, 가열함으로써 압착하여 접착된 바닥 장식재는 발란스층 내의 섬유가 발란스층의 위 아래층인 수지 함침층과 염화비닐 수지층에 동시에 침투되게 하여 상호 접착성이 좋지 않은 수지 함침층과 염화비닐 수지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발란스층 및 발란스 층 내의 섬유가 전체 매트릭스를 보강하여 시공 전후의 컬링 현상 및 운반시의 휨 현상을 크게 감소시킨다.
염화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 멜라민 수지 함침지 층, 기재층, 이지층, 접착층, 발란스층, 코아층, 모양층, 투명 보호층

Description

멜라민 시트 적층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MELAMINE-SHEET LAMINATED FLOOR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바닥 장식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닥 장식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부호 1은 기재층이며, 2는 인쇄층이며, 3은 투명층이며, 4는 표면 코팅층이며, 5는 밸런스층이며, 11은 염화비닐수지층이며, 12는 페놀수지접착층이며, 13은 멜라민 수지 함침층이며, 14는 멜라민수지 함침 오버레이이며, 21은 염화비닐 시트층이며, 22는 접착층이며, 23은 코아층이며, 24는 모양층이며, 25는 투명보호층이며, 26은 밸런스층이며, 31은 고무 또는 열가소성 수지이며, 32는 핫멜트 필름이며, 33은 패턴지이며, 34는 오버레이이며, 100은 기재층이며, 110은 이지층이며, 120은 인쇄층이며, 130은 접착층이며, 140은 발란스층이며, 150은 수지함침지층이며, 151은 코아층이며, 152는 모양층이며, 153은 투명 보호층이다.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염화 비닐 시 트에 표면 물성이 우수한 멜라민 시트를 적층시킨 멜라민 시트 적층 염화 비닐 바닥 장식재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염화 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의 단면도로서, 제품에 두께를 부여하고 또한 밸런스를 맞추는 기재층(1)이 있고, 기재층(1) 위에 미려한 무늬로 장식 효과를 내는 인쇄층(2), 이 인쇄층(2)의 무늬를 보호하는 투명층(3) 및 제품에 내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는 표면 코팅층(4)이 차례로 적층되고, 기재층(1) 아래에 역시 밸런스를 맞추는 밸런스층(5)이 부착된 바닥 장식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기재층(1) 만으로 바닥 장식재의 밸런스가 맞는 경우에는 밸런스층(5)을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바닥 장식재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기재층(1)을 제조한다.
기재층(1)은 연질 또는 경질의 염화 비닐 수지 콤파운드를 칼렌더(calender)로 압연하여 2∼3 mm의 두께로 제조한다.
다음, 기재층(1) 위에 적층할 인쇄층(2) 및 투명층과, 기재층(1) 아래에 부착할 밸런스층(5)를 제조한다.
상기 인쇄층(2)은 은폐력이 좋은 산화티탄을 10∼20 중량% 포함하는 연질 또는 경질의 염화 비닐 수지 콤파운드를 칼렌더로 압연하여 0.08∼0.15 mm의 두께로 제조한 염화 비닐 수지 시트 위에 직접 그라비아 인쇄 또는 전사 인쇄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석 무늬 또는 목(木) 무늬 등의 다양한 무늬를 인쇄, 건조하여 제조 한다.
또한 투명층(3)은 연질 또는 경질의 염화 비닐 수지 콤파운드를 칼렌더로 압연하여 0.10∼0.90 mm 두께의 투명한 염화 비닐 수지 필름으로 제조한다.
또한 밸런스층(5)은 연질 또는 경질의 염화 비닐 수지 콤파운드를 칼렌더로 압연하여 0.32∼0.95 mm의 두께로 제조한다.
다음, 상기에서 제조된 인쇄층(2) 및 투명층(3)을 차례로 기재층(1) 위에 적층하고, 밸런스층(5)을 기재층(1) 아래에 둔 후, 프레스로 가열 및 가압하여 인쇄층(2), 투명층(3) 및 발란스층(5)을 기재층(1)에 합판한다.
다음, 우레탄아크릴레이트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표면 코팅제를 투명층(3) 위에 5∼60 ㎛의 두께로 코팅한 후 자외선으로 경화시키거나, 우레탄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표면 코팅제를 투명층(3) 위에 코팅한 후 열 또는 자외선으로 경화시켜서 표면 코팅층(4)을 형성함으로써 2.5∼5.0 mm 두께의 바닥 장식재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종래의 바닥 장식재는 저가이고, 시공이 편리하여 꾸준히 사용되어 왔으나, 최상층인 표면 코팅층은 내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부족하여 이를 적용한 바닥 장식재는 신발을 신고 다니거나 통행이 빈번한 곳에서오염이 잘 되거나 표면에 스크래치가 잘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백화점이나 대로변 상가 등에서는 사용량이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고경도 표면 물성을 갖는 멜라민 수지 함침층(含浸層)을 최상층으로 하는 바닥 장식재가 소개되고 있는데, 이를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유럽특허출원 공개공보 0 561 086 A1의 적층 장식판(decorative laminate board)의 단면도로서, 염화 비닐 수지층(11) 위에 페놀수지 접착층(12), 멜라민수지 함침층(13) 및 멜라민 수지 함침 오버레이(14)가 차례로 적층된 장식판이다.
도 3은 본 출원인이 1997년 특허 출원 제51149호로 출원한 멜라민 시트 적층 염화 비닐 바닥 장식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염화 비닐 시트층(21)이 있고, 염화 비닐 시트층(21) 위에 변성 페놀 수지 등을 페이퍼에 함침시킨 시트로 된 접착층(22), 페놀 수지를 페이퍼에 함침시킨 시트로 된 코아층(23), 멜라민 수지를 인쇄 페이퍼에 함침시킨 시트로 된 모양층(24), 멜라민 수지를 페이퍼에 함침시킨 시트로 된 투명 보호층(25)이 차례로 적층되고, 염화 비닐 시트층(21) 아래에 멜라민 수지나 페놀 수지, 페놀 변성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를 페이퍼에 함침시킨 시트 또는 염화비닐 수지가 함침된 글라스 파이버나 부직포 또는 연질 염화비닐 시트로 된 밸런스층(26)이 부착된 바닥 장식재이다.
도 4는 일본특허 공개공보 평9-123366호의 적층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고무 또는 열가소성 수지(31) 위에 핫멜트 필름(32), 패턴(pattern)지(33) 및 멜라민 수지 함침 오버레이(34)가 차례로 적층된 적층체이다.
이와 같이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종래의 멜라민 수지 함침층을 이용한 바닥 장식재는 모두 최상층으로 멜라민 수지 함침 오버레이(14), 멜라민 수지를 페이퍼에 함침시킨 시트로 된 투명 보호층(25) 및 멜라민 수지 함침 오버레이(34) 등의 멜라민 수지 함침층을 사용하여 바닥 장식재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잘 발생하고, 오염이 잘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상호 접착성이 좋지 않은 멜라민 수지 함침층과 그 아래의 염화 비닐 수지층을 접착시키기 위하여 사용한 접착층 및 그외의 부분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도 2의 장식판은 접착층인 페놀수지 접착층(12)의 페놀수지가 그 아래층인 염화비닐 수지층(11)의 염화비닐 수지와 상용성이 없어서 접착성이 좋지 않았고,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해 잘 부서지는 성질을 가진 멜라민 수지를 보완해 주는 딱딱한 시트가 없어서 장식판의 가장 자리를 잡고 위로 들었을 때 장식판의 가운데 부분이 아래로 꺼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도 3의 바닥 장식재는 페놀수지 대신 변성 페놀수지 등을 페이퍼에 함침시킨 시트로 된 접착층(22)을 사용하여 상기 염화비닐 수지와 상용성이 없는 페놀수지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이러한 바닥 장식재를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 환경 변화에 따라 접착층(22)의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4의 적층체는 고무 또는 열가소성 수지(31)와 패턴지(33) 사이의 접착층으로 사용한 핫멜트 필름(32)이 접착 온도에서 결정성이 증대되어 핫멜트 필름(32) 자체의 치수가 줄어드는 등 칫수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온도 및 습도 변화에 따른 적층체의 밸런스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종래의 바닥 장식재들은 공통적으로 컬링(curling) 및 휨이 크게 발생한다. 특히 -10 ℃ 이하의 온도 및 40 ℃ 이상의 온도에서 이러한 굴곡(컬링 또는 휨)이 많이 발생한다. 그 이유는 거시적으로는 우 리나라와 같이 4 계절이 뚜렷한 환경의 영향을 받는 것이며, 미시적으로는 구성된 여러 층들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수축 팽창이 달라서 매트릭스 자체가 열변화에 약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매트릭스 구성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멜라민 수지 등을 함침시킨 수지 함침층을 표면층으로 사용함으로써 바닥 장식재의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을 대폭 개선시켜 고강도 표면 물성을 가진 염화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수지 함침층과 그 아래의 염화비닐 수지층 사이에 접착층을 사용한 종래 바닥 장식재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지 함침층과 그 아래의 염화비닐 수지층 사이에 발란스층을 두고 프레스로 가압, 가열하여 압착함으로써 발란스층 내의 섬유가 발란스층의 위 아래층인 수지 함침층과 염화비닐 수지층에 동시에 침투되게 하여 상호 접착성이 좋지 않은 수지 함침층과 염화비닐 수지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발란스층 및 발란스 층 내의 섬유가 전체 매트릭스를 보강하여 시공 전후의 컬링 현상 및 운반시의 휨 현상을 크게 감소시킨 염화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염화비닐 수지의 기재층(100), 기재층(100) 아래에 이지층(110), 기재층 (100) 위에 수지 함침지층(150)으로 이루어진 염화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에 있어서,
기재층(100)과 수지 함침지층(150) 사이에 시트(sheet), 직포(woven fabric), 부직포(non-woven fabric), 또는 멜라민 또는 페놀수지 함침지 (impregnated pap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의 발란스층(140)이 개재되어 접착된 염화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란스층(140)과 기재층(100) 사이에 접착층(130)이 개재되어 접착된 염화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화비닐 수지 콤파운드를 칼렌더로 압연하여 기재층(100)을 제조하는 단계; 유리섬유를 직물처럼 제직(製織)하거나 유리섬유를 압착하여 제조되는 이지층(110)을 제조하는 단계; 멜라민 수지를 종이에 함침시킨 후, 오븐에서 건조시킴과 동시에 반경화시켜서 수지 함침지층(150)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 위에 기재층(100), 수지 함침지층(150)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프레스를 사용하여 10∼80 kg/㎠의 압력과 120∼180 ℃의 온도로 10∼40 분간 가압,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100)과 수지 함침지층(150) 사이에 천연섬유, 폴리에스테르, 유리섬유, 유리섬유 스크림, 유리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혼합물, 천연섬유와 유리섬유의 혼합물, 펄프 또는 종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를 직포, 부직포 또는 워딩(wadding)으로 시트화한 발란스층(140)을 개재시켜 접착함을 특징 으로 하는 염화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층(100), 기재층(100) 아래에 이지층(110), 기재층(100) 위에 접착층(130), 발란스층(140), 수지 함침지층(150)으로 이루어진 염화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기재층(100) 위에 접착제를 80∼300 g/㎡를 도포하거나 접착 필름을
적층하여 접착층(130)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접착층 위에 아래로부터 발란스층(140), 코아층(153),
모양층(152) 및 투명 보호층(153)으로된 수지 함침층의 HPL(high
pressure laminate) 시트를 적층한 후, 프레스 평판 온도 130∼160 ℃,
압력 10∼30 kg/㎠, 압착 시간 10∼20 분 동안 압착시켜서 HPL 시트와
기재층(100)이 접착된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라미네이트의 아래에 이지층(110)을 적층하여 상온에서
10∼30 kg/㎠의 압력으로 15∼30 분 동안 압착하여 바닥 장식재를 제조하
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의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상기 바닥 장식재 및 제조 방법들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130)의 재질은 네오프렌(neoprene) 수지, 니트릴 고무(nitrile rubber), 아크릴(acrylic resin)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우레탄 (urethane), 고무(rubber), 비닐(vinyl), 에폭시(epoxy)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조합 폴리머이거나 아미드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변 성 에틸렌아세테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변성 아크릴 수지, 변성 페놀 수지, 우레탄 수지, 변성 우레탄 수지,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캐스팅(casting), 칼렌더링(calendering) 또는 티다이(T-die)로 제조된 시트 또는 필름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발란스층(140)의 재질은 천연섬유의 직포, 부직포 또는 워디(wadding)으로 제조된 시트가 바람직하며, 상기 직포(woven fabric) 및 부직포(non-woven fabric)의 재질은 유리섬유(fiber glass), 탄소섬유(carbon fiber), PET(polyet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또는 나일론(nylo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수지 함침지층(150)이 위로부터 a) 투명 보호층(153); b) 모양층(152); 및 c) 코아층(15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a) 모양층(152); 및 b) 코아층(151)의 구조 또는 a) 투명 보호층(153); 및 b) 모양층(152)의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다른 구조로서 위로부터 a) 투명 보호층(153)으로 이루어진 수지 함침지층(150); b) 발란스층(140); c) 인쇄층(120); d) 기재층(100); 및 e) 이지층(110)도 가능하다.
또 다른 구조로서 위로부터 a) 투명 보호층(153), 모양층(152), 및 코아층(151)으로 이루어진 수지 함침지층(150); b) 발란스층(140); c) 접착층(130); d) 기재층(100); 및 e) 이지층(110)도 가능하다.
또 하나의 다른 구조로서 위로부터 a) 투명 보호층(153), 모양층(152), 및 c) 코아층(151)으로 이루어진 수지 함침지층(150); b) 발란스층(140); c) 코아층(151); d) 접착층(130); e) 기재층(100); 및 f) 이지층(110)도 가능하며, 이 구조는 접착층 대신에 또 하나의 코아층이 기재층과 발란스층을 하나의 매트릭스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투명 보호층(153)은 25∼61 g/㎡의 셀룰로오스 종이에 내마모 실리카(silica) 또는 알루미나(alumina)가 고르게 분포된 오버레이지(overlay paper)에 오버레이지 무게 대비 200∼800 중량%의 멜라민 수지를 함침시킨 후, 130∼150 ℃의 오븐에서 건조시킴과 동시에 반경화시켜서 제조되는 수지 함침 셀룰로오스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모양층(152)은 그라비아 인쇄된 80∼120 g/㎡의 산화티탄 함유 셀룰로오스 종이의 모양지에 모양지 무게 대비 100 중량% 이하의 멜라민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diallylphthalate) 수지 또는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함침시킨 후 130∼150 ℃의 오븐에서 건조시킴과 동시에 반경화시켜서 제조되는 수지 함침 모양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코아층(151)은 198 g/㎡의 크라프트(kraft)지를 페놀 수지에 크라프트지 무게 대비 20∼100 중량% 함침시켜서 제조된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 40∼160 g/㎡의 유리섬유지(glass fiber paper)를 페놀 수지에 유리섬유지 무게 대비 20∼100 중량% 함침시켜서 제조된 페놀수지 함침 유리섬유지 또는 염화비닐 수지나 아크릴 수지가 도포(coating)된 페놀수지 함침 유리섬유지, 40∼160 g/㎡의 유리섬유(glass fiber)를 페놀 수지에 유리섬유 무게 대비 20∼60 중량% 함침시켜서 제조된 페놀수지 함침 유리섬유 또는 염화비닐 수지나 아크릴 수지가 도포(coating)된 페놀수지 함침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바닥 장식재의 기재층(100)은 쇼어 경도(shore hardness)가 50∼100 이며, 특히 중합도가 700∼1500인 염화비닐 수지 25∼15 중량%, 가소제로서 디옥틸프탈레이트 6∼4 중량%, 충전제인 탄산칼슘 65∼80 중량% 및 첨가제로서 바륨-아연계 화합물 1∼4 중량%를 조성비로 하여 블렌더(blender) 또는 혼합 믹서에서 혼합한 후 반바리 믹서에서 혼련된 염화비닐 수지 콤파운드를 칼렌더에서 120∼170 ℃의 온도 조건으로 압연하여 1.6∼4.6 mm의 두께로 제조되는 경질 염화비닐 수지 시트도 가능하다.
상기 바닥 장식재의 이지층(110)은 페놀수지, 멜라민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로 함침 처리된 종이, 유리섬유 직물(woven fabric), 염화비닐 수지가 함침 또는 도포된 유리섬유 부직포(non-woven fabric), 연질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시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층(100)의 재질에 있어서 염화비닐 수지 외에도 50∼100의 쇼어 경도(shore hardness)를 나타내며, 폴리우레탄, 천연 또는 합성 고무,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되는 재질도 기재층(100)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지 함침층과 그 아래의 염화비닐 수지층 사이에 접착층 대신 발란스층을 두고 프레스로 가압, 가열하여 압착함으로써 발란스층 내의 섬유가 발란스층의 위 아래층인 수지 함침층과 염화비닐 수지층에 동시에 침투되게 하여 상호 접착성이 좋지 않은 수지 함침층과 염화비닐 수지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발란스층 및 발란스 층 내의 섬유가 전체 매트릭스를 보강하여 시공 전후의 컬링(curling) 현상 및 운반시의 휨 현상을 크게 감소시킨 염화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란스 층은 종래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는 발란스 역할 이외에도 시공 후에 나타나는 컬링(curling)을 방지하고, 운반 중에 나타나는 휨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과 수지 함침층과 염화비닐 수지 기재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모양층은 바닥 장식재의 장식미를 나타내는 모양을 부여한다.
상기 코아층은 두께를 부여하고, 내충격성을 부여하며, 코아층 상하의 접착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수지 함침층과 발란스층의 HPL(high pressure laminate)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 내지 도 8로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장식재는 도 5 내지 도 7의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 기재층(100), 발란스층(140) 및 모양층(152)을 포함하는 수지 함침지층(150)으로 이루어진 것과, 도 8의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 기재층(100), 인쇄층(120), 발란스층(140) 및 모양층을 포함하지 않는 수지 함침지층(15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전자는 장식효과를 낸 층으로서 수지 함침지층(150)의 모양층(152)을 사용한 경우이고, 후자는 장식효과를 낸 층으로서 인쇄층(120)을 사용한 경우이다.
이를 자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7에 있어서, 바닥 장식재는 기재층(100), 기재층(100) 위에 발 란스층(140), 모양층(152)을 포함하는 수지 함침지층(150), 기재층(100) 아래에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모양층(152)을 포함하는 수지 함침지층(150)은 아래부터 코아층(151), 모양층(152) 및 투명 보호층(153)으로 구성되거나 도는 코아층(151) 및 모양층(152)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모양층(152) 및 투명 보호층(153)으로 구성된다.
도 5는 기재층(100), 기재층(100) 위에 발란스층(140), 수지 함침지층(150), 기재층(100) 아래에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으로 이루어지고, 수지 함침지층(150)이 아래부터 코아층(151), 모양층(152) 및 투명 보호층(153)으로 구성된 바닥 장식재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바닥 장식재의 제조 방법을 예로 들어 살펴보면 우선, 제품에 두께를 부여하고 밸런스를 맞추는 기재층(100)을 제조한다.
기재층(100)은 염화비닐 수지 콤파운드를 칼렌더로 압연하여 1.6∼4.6 mm의 두께로 제조한다. 칼렌더의 온도는 120∼170 ℃가 적당하다.
이때 염화비닐 수지 콤파운드는 중합도가 700∼1500인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 가소제인 디옥틸프탈레이트 20∼40 중량부, 안정제인 바륨-아연계 화합물 2∼5 중량부 및 충전제인 탄산칼슘 200∼700 중량부를 블렌더(blender) 및 혼합 믹서에서 혼합한 후 반바리 믹서에서 혼련한 것이다.
다음, 기재층(100)을 보강하는 유리섬유 기재의 이지층(110)을 준비한다.
유리섬유 기재의 이지층(110)은 유리섬유를 직물처럼 제직(製織)한 것이거나 유리섬유를 압착하여 시트화한 것으로 단위면적당 무게가 20∼100 g/㎡인 것이 바 람직하다.
다음, 기재층(100)과 수지 함침지층(150)을 부착시키는 발란스층(140)을 제조한다.
발란스층(140)은 천연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유리섬유, 유리스크림, 유리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혼합물, 천연섬유와 유리섬유의 혼합물 등의 섬유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직포, 부직포 또는 워딩(wadding)으로 시트화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발란스층(140)은 단위 면적당 무게가 10∼30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한 섬유 이외에 펄프, 종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 제품에 내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는 수지 함침지층(150)을 제조한다. 수지 함침지층(150)은 아래부터 두께를 부여하고 또한 발란스를 맞추는 코아층(151), 미려한 무늬로 장식 효과를 낸 모양층(152) 및 상기 모양층(152)을 보호하는 투명 보호층(153)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을 별도 제조한 후 이를 차례로 적층한다.
코아층(151)은 액상의 페놀수지를 단위면적당 무게가 100∼200 g/㎡인 크라프트지에 크라프트지 무게 대비 40∼180 %를 함침시킨 후 온도가 30∼150 ℃인 오븐에서 1∼3 분간 건조시킴과 동시에 반경화시킨다.
이때 페놀수지는 페놀 30∼46 중량%, 포름알데히드 46∼30 중량%, 용제인 에틸알콜 4∼6 중량%, 물 2∼5 중량%, 개질제(改質劑)인 아민 계통의 염기성 촉매 15∼5 중량%, 오르도-크레졸(ortho-cresol) 3∼8 중량%을 혼합한 것이다.
모양층(152)은 액상의 멜라민 수지를 단위 면적당 무게가 80∼120 g/㎡인 모 양지에 모양지 무게 대비 60∼150 % 함침시킨 후 온도가 80∼150 ℃인 오븐에서 1∼5 분간 건조시킴과 동시에 반경화시킨다.
이때 멜라민 수지는 멜라민 30∼45 중량%, 포름알데히드 40∼20 중량%, 용제인 물 18∼27 중량%, 개질제인 디에틸렌글리콜 또는 아세토구아나민 1∼5 중량%, pH를 조절하는 수산화나트륨 1 중량% 내외 및 경화제인 아민 계통의 염기성 촉매 10∼2 중량%를 혼합한 것이다.
모양지는 천연섬유에 산화티탄을 넣어 만든 백상지(白上紙)에 그라비아 인쇄 등의 방법으로 소정의 무늬를 인쇄한 것이다.
투명 보호층(153)은 액상의 멜라민 수지를 단위 면적당 무게가 20∼50 g/㎡인 오버레이(overlay)지에 오버레이지 무게 대비 200∼400 % 함침시키고, 온도가 100∼150 ℃인 오븐에서 1∼5 분간 건조시킴과 동시에 반경화시킨다.
이때 멜라민 수지는 상기 모양층(152)에 사용된 것과 같이 멜라민 30∼45 중량%, 포름알데히드 40∼20 중량%, 용제인 물 18∼27 중량%, 개질제인 디에틸렌글리콜 또는 아세토구아나민 1∼5 중량%, pH를 조절하는 수산화나트륨 1 중량% 내외 및 경화제인 아민 계통의 염기성 촉매 10∼2 중량%를 혼합한 것이다.
오버레이지는 고순도 셀룰로오스 종이이다.
이와 같이 바닥 장식재를 구성하는 각 층들을 별도로 제조한 후,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 위에 기재층(100), 발란스층(140), 수지 함침지층(150)인 코아층(151), 모양층(152) 및 투명 보호층(153)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프레스를 사용하여 10∼80 kg/㎠의 압력과 120∼180 ℃의 온도로 10∼40 분간 가압, 가열함 으로써 상기 층들을 동시에 압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장식재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프레스로 가압, 가열하여 압착함으로써,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의 유리섬유는 기재층(100)에 침투되어 기재층(100)을 보강하고, 발란스층(140)의 섬유는 발란스층(140)의 위 아래층인 수지 함침지층(150)과 염화비닐 수지층인 기재층(100)에 동시에 침투되어 수지 함침지층(150)과 기재층(100)을 부착시키며, 반경화된 코아층(151), 모양층(152) 및 투명 보호층(153)은 완전히 경화되고, 특히 반경화 상태에서는 습자지와 같이 뿌옇던 투명 보호층(153)이 프레스 압착으로 인하여 투명하게 된다.
도 6은 기재층(100), 기재층(100) 위에 발란스층(140), 수지 함침지층(150), 기재층(100) 아래에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으로 이루어지고, 수지 함침지층(150) 아래부터 코아층(151) 및 모양층(152)으로 구성된 바닥 장식재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바닥 장식재의 제조 방법은 도 5의 바닥 장식재 제조 방법과 거의 같다. 단, 수지 함침지층(150)이 코아층(151), 모양층(15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다르다.
즉, 바닥 장식재를 구성하는 기재층(100),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 발란스층(140) 및 수지 함침지층(150)인 코아층(151), 모양층(152)을 별도로 제조한 후,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 위에 기재층(100), 발란스층(140), 수지 함침지층(150)인 코아층(151), 모양층(152)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프레스를 사용하여 10∼80 kg/㎠의 압력과 120∼180 ℃의 온도로 10∼40 분간 가압, 가열하여 상 기 층들을 동시에 압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장식재를 제조한다.
도 7은 기재층(100), 기재층(100) 위에 발란스층(140), 수지 함침지층(150), 기재층(100) 아래에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수지 함침지층(150)이 아래부터 모양층(152) 및 투명 보호층(153)으로 구성된 바닥 장식재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바닥 장식재의 제조 방법은 도 5의 바닥 장식재 제조 방법과 거의 같다. 단, 수지 함침지층(150)이 모양층(152), 투명 보호층(15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다르다.
즉, 바닥 장식재를 구성하는 기재층(100),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 발란스층(140) 및 수지 함침지층(150)인 모양층(152), 투명 보호층(153)을 별도로 제조한 후,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 위에 기재층(100), 발란스층층(140), 수지 함침지층(150)인 모양층(152), 투명 보호층(153)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프레스를 사용하여 10∼80 kg/㎠의 압력과 120∼180 ℃의 온도로 10∼40 분간 가압, 가열하여 상기 층들을 동시에 압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장식재를 제조한다.
도 8에 있어서, 바닥 장식재는 기재층(100), 기재층(100) 위에 인쇄층(120), 발란스층(140), 모양층을 포함하지 않는 수지 함침지층(150), 기재층(100) 아래에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으로 이루어지고, 수지 함침지층(150)은 아래부터 투명 보호층(15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바닥 장식재의 제조 방법은 바닥 장식재를 구성하는 기재층(100),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 발란스층(140) 및 수지 함침지층(150)인 투명 보호층(153)을 제조한다.
또한 미려한 무늬로 장식 효과를 낸 인쇄층(120)을 제조한다.
인쇄층(120)은 염화비닐 수지 시트에 그라비아 인쇄 또는 전사 인쇄 등의 방법으로 소정의 무늬를 인쇄한 후 건조시켜 제조한다.
염화비닐 수지 시트는 염화비닐 수지 콤파운드를 칼렌더로 압연하여 0.07∼0.20 mm의 두께로 제조한다. 칼렌더의 온도는 150∼190 ℃가 적당하다.
이때 염화비닐 수지 콤파운드는 중합도가 700∼3000인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가소제인 디옥틸프탈레이트 10∼30 중량부, 안정제인 바륨-아연계 화합물 2∼5 중량부, 안료로 은폐력이 좋은 산화티탄 10∼30 중량부 및 충전제인 탄산칼슘 0∼50 중량부를 블렌더(blender) 또는 혼합 믹서에서 혼합한 후 반바리 믹서에서 혼련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바닥 장식재를 구성하는 각 층들을 별도로 제조한 후,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 위에 기재층(100), 인쇄층(120), 발란스층(140), 수지 함침지층(150)인 투명 보호층(153)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프레스를 사용하여 10∼80 kg/㎠의 압력과 120∼180 ℃의 온도로 10∼40 분간 가압, 가열하여 상기 층들을 동시에 압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장식재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프레스로 가압, 가열하여 압착함으로써 유리섬유 기재 이지층(110)의 유리섬유는 기재층에 침투되어 기재층(100)을 보강하고, 발란스층(140)의 섬유는 발란스층(140)의 위 아래층인 수지 함침지층(150)과 염화비닐 수지층인 인쇄층(120)에 동시에 침투되어 수지 함침지층(150)과 인쇄층(120) 을 부착시키며, 반경화된 투명 보호층(153)은 완전히 경화되고 또한 투명하게 된다.
이러한 도 5 내지 도 8의 바닥 장식재의 기재층(100)과 수지 함침지층(150) 또는 인쇄층(120)과 수지 함침지층(150)의 접착 역할을 하는 발란스층(140)을 보조하도록 상기 기재층(100)과 발란스층(140) 사이 또는 인쇄층(120)과 발란스층(140) 사이에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하였다.
이때 접착층(130)은 아미드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변성 에틸렌아세테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변성 아크릴 수지, 변성 페놀 수지, 우레탄 수지, 변성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이를 칼렌더나 티-다이(T-die)를 이용하여 0.02∼0.2 mm의 두께로 시트화하여 제조한다.
도 9는 도 5의 바닥 장식재의 기재층(100)과 발란스층(140) 사이에 접착층(130)을 형성한 바닥 장식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바닥 장식재의 기재층(100)과 발란스층(140) 사이에 접착층(130)을 형성한 바닥 장식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바닥 장식재의 기재층(100)과 발란스층(140) 사이에 접착층(130)을 형성한 바닥 장식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바닥 장식재의 인쇄층(100)과 발란스층(140) 사이에 접착층(130)을 형성한 바닥 장식재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도 5 내지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장식재의 두께는 2.0∼5.0 mm가 바람직하다.
도 9로 나타낸 또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장식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기재층(100) 위에 접착제를 80∼300 g/㎡를 도포하여 접착제층(160)을 형성시키거나 두께 0.05∼0.2 mm의 필름을 적층시킨 후, 그 위에 아래로부터 발란스층, 코아층, 모양층 및 투명 보호층으로된 수지 함침층의 HPL(high pressure laminate) 시트를 적층하여 고온 고압으로 압착시켜서 HPL과 기재층(100)이 접착된 라미네이트를 제조한 후, 라미네이트의 아래에 이지층을 적층하여 상온에서 10∼30 kg/㎠의 압력으로 15∼30 분 압착하여 제조한다.
상기에서 HPL과 기재층의 라미네이트 압착 조건은 프레스 평판 온도 130∼160 ℃, 압력 10∼30 kg/㎠, 압착 시간 10∼20 분이 바람직하며, 압착 후 상온까지 냉각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기재층(100)의 제조)
중합도가 1000인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디옥틸프탈레이트 36 중량부, 바륨-아연계 화합물 3 중량부 및 탄산칼슘 500 중량부를 혼합 믹서에서 혼합한 후 반바리 믹서에서 혼련한 염화비닐 수지 콤파운드를 온도가 130∼160 ℃인 칼렌더로 압연하여 2.6 mm의 두께로 기재층(100)을 제조하였다.
(이지층(110)의 제조)
유리섬유를 압착하여 단위 면적당 무게가 30 g/㎡인 유리섬유 기재의 이지층(110)을 준비하였다.
(발란스층(140)의 제조)
천연섬유를 워딩(wadding)으로 시트화하여 단위면적당 무게가 30 g/㎡이 되도록 한 발란스층(140)을 제조하였다.
(모양층(152)의 제조)
멜라민 37 중량%, 포름알데히드 33 중량%, 물 25 중량%, 디에틸렌글리콜 1 중량%, 수산화나트륨 0.3 중량%, 아민계통의 염기성 촉매 3.7 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으로 만든 멜라민 수지를 단위 면적당 무게가 80 g/㎡인 모양지에 모양지 무게 대비 100 % 함침시키고, 온도가 120∼140 ℃인 오븐에서 2∼3 분간 건조시킴과 동시에 반경화시켜서 모양층(152)을 제조하였다.
(투명 보호층(153)의 제조)
멜라민 37 중량%, 포름알데히드 33 중량%, 물 25 중량%, 디에틸렌글리콜 1 중량%, 수산화나트륨 0.3 중량%, 아민계통의 염기성 촉매 3.7 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으로 만든 멜라민 수지를 단위 면적당 무게가 38 g/㎡인 오버레이지에 오버레이지 무게 대비 250 % 함침시키고, 온도가 120∼140 ℃인 오븐에서 2∼3 분간 건조시킴과 동시에 반경화시켜서 투명 보호층(153)을 제조하였다.
(바닥 장식재(도 7)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한 유리섬유 기재의 이지층(110) 위에 기재층(100), 발란스층(140) 및 수지 함침지층(150)인 모양층(152), 투명 보호층(153)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프레스를 사용하여 40 kg/㎠의 압력과 130∼140 ℃의 온도로 20∼30 분간 가압, 가열함으로써 상기 층들을 동시에 압착하여 3.0 mm 두께의 도 7의 바닥 장식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기재층(100)의 제조)
중합도가 1000인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디옥틸프탈레이트 36 중량부, 바륨-아연계 화합물 3 중량부 및 탄산칼슘 500 중량부를 혼합 믹서에서 혼합한 후 반바리 믹서에서 혼련한 염화비닐 수지 콤파운드를 온도가 130∼160 ℃인 칼렌더로 압연하여 2.6 mm의 두께로 기재층(100)을 제조하였다.
(이지층(110)의 제조)
유리섬유를 압착하여 단위 면적당 무게가 30 g/㎡인 유리섬유 기재의 이지층(110)을 준비하였다.
(인쇄층(120)의 제조)
중합도가 1000인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디옥틸프탈레이트 20 중량부, 바륨-아연계 화합물 3 중량부, 산화티탄 20 중량부 및 탄산칼슘 10 중량부를 혼합믹서에서 혼합하고 반바리 믹서에서 혼련한 염화비닐 수지 콤파운드를 온도가 170∼180 ℃인 칼렌더로 압연하여 0.10 mm의 두께로 염화비닐 수지 시트를 제조한 후 이 염화비닐 수지 시트에 그라비아 인쇄 방법으로 소정의 무늬를 인쇄 및 건조시켜 인쇄층(120)을 제조하였다.
(발란스층(140)의 제조)
천연섬유를 워딩으로 시트화하여 단위 면적당 무게가 30 g/㎡이 되도록 한 발란스층(140)을 제조하였다.
(투명 보호층(153)의 제조)
멜라민 37 중량%, 포름알데히드 33 중량%, 물 25 중량%, 디에틸렌글리콜 1 중량%, 수산화나트륨 0.3 중량%, 아민계통의 염기성 촉매 3.7 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으로 만든 멜라민 수지를 단위 면적당 무게가 38 g/㎡인 오버레이지에 오버레이지 무게 대비 250 % 함침시키고, 온도가 120∼140 ℃인 오븐에서 2∼3 분간 건조시킴과 동시에 반경화시켜서 투명 보호층(153)을 제조하였다.
(바닥 장식재(도 8)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한 유리섬유 기재의 이지층(110) 위에 기재층(100), 인쇄층(120), 발란스층(140) 및 수지 함침지층(150)인 투명 보호층(153)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프레스를 사용하여 40 kg/㎠의 압력과 130∼140 ℃의 온도로 20∼30 분간 가압, 가열함으로써 상기 층들을 동시에 압착하여 3.0 mm 두께의 도 8의 바닥 장식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기재층(100)의 제조)
중합도가 1000인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디옥틸프탈레이트 36 중량부, 바륨-아연계 화합물 3 중량부 및 탄산칼슘 500 중량부를 혼합 믹서에서 혼합한 후 반바리 믹서에서 혼련한 염화비닐 수지 콤파운드를 온도가 130∼160 ℃인 칼렌더로 압연하여 2.6 mm의 두께로 기재층(100)을 제조하였다.
(이지층(110)의 제조)
유리섬유를 압착하여 시트화한 것으로 단위 면적당 무게가 30 g/㎡인 유리섬유 기재의 이지층(110)을 준비하였다.
(접착층(130)의 제조)
아미드 수지를 칼렌더를 이용하여 0.07 mm 두께로 시트화하여 접착층(130)을 제조하였다.
(발란스층(140)의 제조)
천연섬유를 워딩으로 시트화하여 단위 면적당 무게가 30 g/㎡이 되도록 한 발란스층(140)을 제조하였다.
(코아층(151)의 제조)
페놀 43 중량%, 포름알데히드 33 중량%, 에틸알콜 5 중량%, 물 3 중량%, 아민계통의 염기성 촉매 10 중량%, 오르도-크레졸 6 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으로 만든 페놀 수지를 단위 면적당 200 g/㎡인 크라프트지에 크라프트지 무게 대비 60 % 함침시킨 후 온도가 100∼120 ℃인 오븐에서 2∼3 분간 건조시킴과 동시에 반경화시켜 코아층(151)을 제조하였다.
(모양층(152)의 제조)
멜라민 37 중량%, 포름알데히드 33 중량%, 물 25 중량%, 디에틸렌글리콜 1 중량%, 수산화나트륨 0.3 중량%, 아민계통의 염기성 촉매 3.7 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으로 만든 멜라민 수지를 단위 면적당 무게가 80 g/㎡인 모양지에 모양지 무게 대비 100 % 함침시키고, 온도가 120∼140 ℃인 오븐에서 2∼3 분간 건조시킴과 동시에 반경화시켜서 모양층(152)을 제조하였다.
(투명 보호층(153)의 제조)
멜라민 37 중량%, 포름알데히드 33 중량%, 물 25 중량%, 디에틸렌글리콜 1 중량%, 수산화나트륨 0.3 중량%, 아민계통의 염기성 촉매 3.7 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으로 만든 멜라민 수지를 단위 면적당 무게가 38 g/㎡인 오버레이지에 오버레이지 무게 대비 250 % 함침시키고, 온도가 120∼140 ℃인 오븐에서 2∼3 분간 건조시킴과 동시에 반경화시켜서 투명 보호층(153)을 제조하였다.
(바닥 장식재(도 9)의 제조)
상기 유리섬유 기재의 이지층(110) 위에 기재층(100), 접착층(130), 발란스층(140) 및 수지 함침지층(150)인 코아층(151), 모양층(152), 투명 보호층(153)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프레스를 사용하여 40 kg/㎠의 압력과 130∼140 ℃의 온도로 20∼30 분간 가압, 가열함으로써 상기 층들을 동시에 압착하여 3.0 mm 두께의 도 9의 바닥 장식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기재층(100)의 제조)
중합도가 1000인 염화비닐 수지 25∼15 중량%, 가소제로서 디옥틸프탈레이트 6∼4 중량%, 안정제로서 바륨-아연계 화합물 4∼1 중량% 및 탄산칼슘 65∼80 중량%를 혼합 믹서에서 혼합한 후 반바리 믹서에서 혼련한 염화비닐 수지 콤파운드를 온도가 130∼160 ℃인 칼렌더로 압연하여 2∼4 mm 두께의 기재층(100)을 제조하였다.
(이지층(110)의 제조)
중합도가 1000인 염화비닐 수지 50∼60 중량%, 가소제로서 디옥틸프탈레이트 15∼10 중량%, 안정제로서 바륨-아연계 화합물 5∼10 중량% 및 탄산칼슘 30∼20 중량%를 혼합 믹서에서 혼합한 후 반바리 믹서에서 혼련한 염화비닐 수지 콤파운드를 온도가 130∼160 ℃인 칼렌더로 압연하여 0.05∼0.5 mm 두께의 이지층(100)을 제조하였다.
(발란스층(140))
단위 면적당 무게가 50 g/㎡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부직포를 준비하였다.
(코아층(151)의 제조)
페놀 43 중량%, 포름알데히드 33 중량%, 에틸알콜 5 중량%, 물 3 중량%, 아민계통의 염기성 촉매 10 중량%, 오르도-크레졸 6 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으로 만든 페놀 수지를 단위면적당 200 g/㎡인 크라프트지에 크라프트지 무게 대비 60∼80 중량% 함침시킨 후 온도가 100∼120 ℃인 오븐에서 2∼3 분간 건조시킴과 동시에 반경화시켜 코아층(151)을 제조하였다.
(모양층(152)의 제조)
멜라민 37 중량%, 포름알데히드 33 중량%, 물 25 중량%, 디에틸렌글리콜 1 중량%, 수산화나트륨 0.3 중량%, 아민계통의 염기성 촉매 3.7 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으로 만든 멜라민 수지를 단위 면적당 무게가 80 g/㎡인 모양지에 모양지 무게 대비 60∼80 중량% 함침시키고, 온도가 120∼140 ℃인 오븐에서 2∼3 분간 건조시킴과 동시에 반경화시켜서 모양층(152)을 제조하였다.
(투명 보호층(153)의 제조)
멜라민 37 중량%, 포름알데히드 33 중량%, 물 25 중량%, 디에틸렌글리콜 1 중량%, 수산화나트륨 0.3 중량%, 아민계통의 염기성 촉매 3.7 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으로 만든 멜라민 수지를 단위 면적당 무게가 38 g/㎡인 오버레이지에 오버레이지 무게 대비 200∼250 % 함침시키고, 온도가 120∼140 ℃인 오븐에서 2∼3 분간 건조시킴과 동시에 반경화시켜서 투명 보호층(153)을 제조하였다.
(HPL의 제조)
위로부터 투명 보호층(153), 모양층(152) 및 코아층(151)의 수지 함침지층(150), 수지 함침지층(150) 밑에 발란스층(140)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오픈 프레스에 투입하여 55∼100 kg/㎠의 압력과 130∼150 ℃의 온도로 20∼30 분간 가압, 가열하여 HPL(high pressure laminate)를 제조하였다.
(접착층(130)의 제조)
고형분 40 %의 우레탄 접착제를 상기에서 제조된 기재층(100) 위에 코팅롤을 사용하여 60∼150 g/㎡ 코팅하여 접착층을 제조하였다.
(바닥 장식재(도 9)의 제조)
위로부터 수지 함침지층(150), 접착층(130)이 코팅된 기재층(100), 이지층(110) 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프레스를 사용하여 10∼30 kg/㎠의 압력과 80∼120 ℃의 온도로 15∼30 분간 가압, 가열함으로써 상기 층들을 동시에 압착하여 3.0 mm 두께의 도 9의 바닥 장식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기재층(100)의 제조)
실시예 4와 동일한 기재층(100)을 준비하였다.
(이지층(110)의 제조)
실시예 4와 동일한 이지층(110)을 준비하였다.
(발란스층(140))
실시예 4와 동일한 발란스층(140)을 준비하였다.
(코아층(151)의 제조)
페놀 43 중량%, 포름알데히드 33 중량%, 에틸알콜 5 중량%, 물 3 중량%, 아민계통의 염기성 촉매 10 중량%, 오르도-크레졸 6 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으로 만든 페놀 수지를 단위면적당 40∼160 g/㎡인 유리섬유지(glass fiber paper)에 유리섬유지 무게 대비 40∼60 중량% 함침시킨 후 온도가 100∼120 ℃인 오븐에서 2∼3 분간 건조시킴과 동시에 반경화시켜 코아층(151)을 제조하였다. 이 코아층(151)은 페놀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지를 2 장 겹쳐 사용하였다.
(모양층(152)의 제조)
실시예 4와 동일한 모양층(152)을 준비하였다.
(투명 보호층(153)의 제조)
실시예 4와 동일한 투명 보호층(153)을 준비하였다.
(HPL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 및 준비된 각층을 위로부터 투명 보호층(153), 모양층(152) 및 2 장의 코아층(151)의 수지 함침지층(150), 수지 함침지층(150) 밑에 발란스층(140)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오픈 프레스에 투입하여 55∼100 kg/㎠의 압 력과 130∼150 ℃의 온도로 20∼30 분간 가압, 가열하여 HPL(high pressure laminate)를 제조하였다.
(접착층(130)의 제조)
0.10 mm 두께의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필름을 준비하였다.
(바닥 장식재(도 9)의 제조)
위로부터 HPL의 수지 함침지층(150), 접착층(130), 기재층(100), 이지층(110)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프레스를 사용하여 10∼20 kg/㎠의 압력과 100∼140 ℃의 온도로 15∼30 분간 가압, 가열함으로써 상기 층들을 동시에 압착하여 3.0 mm 두께의 도 9의 바닥 장식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기재층(100)의 제조)
실시예 4와 동일한 기재층(100)을 준비하였다.
(이지층(110)의 제조)
실시예 4와 동일한 이지층(110)을 준비하였다.
(발란스(140))
실시예 4와 동일한 발란스층(140)을 준비하였다.
(코아층(151)의 제조)
실시예 5와 동일한 코아층(151)을 제조하였다. 이 코아층(151)은 페놀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지를 2 장 겹쳐 사용하였다.
(모양층(152)의 제조)
실시예 4와 동일한 모양층(152)을 준비하였다.
(투명 보호층(153)의 제조)
실시예 4와 동일한 투명 보호층(153)을 준비하였다.
(HPL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 및 준비된 각층을 위로부터 투명 보호층(153), 모양층(152) 및 2 장의 코아층(151)의 수지 함침지층(150), 수지 함침지층(150) 밑에 발란스층(140)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오픈 프레스에 투입하여 55∼100 kg/㎠의 압력과 130∼150 ℃의 온도로 20∼30 분간 가압, 가열하여 HPL(high pressure laminate)를 제조하였다.
(접착층(130)의 제조)
0.10 mm 두께의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필름을 준비하였다.
(바닥 장식재(도 9)의 제조)
위로부터 HPL의 수지 함침지층(150), 접착층(130), 기재층(100), 이지층(110)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프레스를 사용하여 10∼20 kg/㎠의 압력과 100∼140 ℃의 온도로 15∼30 분간 가압, 가열함으로써 상기 층들을 동시에 압착하여 3.0 mm 두께의 도 9의 바닥 장식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기재층(100)의 제조)
실시예 4와 동일한 기재층(100)을 준비하였다.
(이지층(110)의 제조)
실시예 4와 동일한 이지층(110)을 준비하였다.
(발란스(140))
실시예 4와 동일한 발란스층(140)을 준비하였다.
(코아층 1의 제조)
실시예 4와 동일한 재질의 코아층 1을 준비하였다.
(코아층 2의 제조)
실시예 5와 동일한 재질의 코아층 2를 준비하였다.
(모양층(152)의 제조)
실시예 4와 동일한 모양층(152)을 준비하였다.
(투명 보호층(153)의 제조)
실시예 4와 동일한 투명 보호층(153)을 준비하였다.
(바닥 장식재의 제조)
이지층(110) 위에 기재층(100), 코아층 2, 발란스층(140), 코아층 1, 모양층(152), 투명 보호층(153)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프레스를 사용하여 10∼30 kg/㎠의 압력과 130∼150 ℃의 온도로 15∼30 분간 가압, 가열함으로써 상기 층들을 동시에 압착하여 3.0 mm 두께의 바닥 장식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본 출원인이 1997년 10월 6일에 출원한 출원번호 제51149호의 멜라민 시트 적층 염화비닐 바닥 장식재로서 도 3의 염화 비닐 시트층(21)이 있고, 염화 비닐 시트층(21) 위에 변성 페놀 수지 등을 페이퍼에 함침시킨 시트로 된 접착층(22), 페놀 수지를 페이퍼에 함침시킨 시트로 된 코아층(23), 멜라민 수지를 인쇄 페이퍼에 함침시킨 시트로 된 모양층(24), 멜라민 수지를 페이퍼에 함침시킨 시트로 된 투명 보호층(25)이 차례로 적층되고, 염화 비닐 시트층(21) 아래에 멜라민 수지나 페놀 수지, 페놀 변성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를 페이퍼에 함침시킨 시트 또는 염화비닐 수지가 함침된 글라스 파이버나 부직포 또는 연질 염화비닐 시트로 된 밸런스층(26)이 부착된 바닥 장식재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4의 바닥 장식재와 비교예 1의 바닥 장식재를 400 x 400 x 3 mm 크기로 각각 준비하여 항온 항습기에 24 시간 동안 넣고 컬링(curling) 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상대습도를 60±5 %로 고정하고 -10, 23, 30, 40, 60 ℃의 온도에서 측정하는 온도에 따른 컬링 정도는 표 1에 나타내었고, 온도를 23±2 ℃로 고정하고 20, 40, 60, 80, 95 %의 상대습도에서 측정하는 습도에 따른 컬링 정도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컬링 정도는 하기 수학식 1을 따랐다.
[수학식 1]
컬링(%) = 바우(bow) 높이 / 시료길이 X 100
상기 식에서,
바우(bow) 높이는 항온 항습 24 시간 처리 후의 시료를 평평한 지면에 놓고,
지면으로부터 시료가 휜 변곡점까지를 측정한 높이이며, 시료의 수지 함침지
층을 위로 하여 ⌒로 휜 상태는 +의 값으로 표현하고, 그 반대는 -의 값으로
표현하였다.
[표 1]
상대 습도 60±5 %에서의 온도 영향
구 분 비교예 1 실시예 4
온 도 60 ℃ +12.50 % + 3.80 %
40 ℃ +7.11 % + 2.50 %
30 ℃ + 3.77 % + 0.75 %
23 ℃ + 3.45 % + 0.15 %
-10 ℃ -1.25 % - 1.03 %
[표 2]
온도 23±2 %에서의 습도 영향
구 분 비교예 1 실시예 4
절대습도 20 % + 5.12 % + 0.36 %
40 % + 3.96 % + 0.26 %
60 % + 3.45 % + 0.15 %
80 % + 2.83 % + 0.05 %
95 % + 2.15 % + 0 %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발란스층이 수지 함침층과 그 아래의 염화비닐 수지 기재층 사이에 개재된 바닥 장식재는 온도 변화 및 습도 변화가 강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함침층과 그 아래의 염화비닐 수지층 사이에 발란스층을 두고 프레스로 가압, 가열하여 압착하여 접착된 바닥 장식재는 발란스층 내의 섬유가 발란스층의 위 아래층인 수지 함침층과 염화비닐 수지층에 동시에 침투되게 하여 상호 접착성이 좋지 않은 수지 함침층과 염화비닐 수지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발란스층 및 발란스 층 내의 섬유가 전체 매트릭스를 보강하여 시공 전후의 컬링 현상 및 운반시의 휨 현상을 크게 감소시킨다.

Claims (3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쇼어 경도(shore hardness)가 50 내지 100 인 염화비닐 수지의 기재층,
    상기 기재층 아래에 위치하는 이지층, 및
    상기 기재층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접착층, 발란스층, 코아층, 모양층 및 투명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이지층은 페놀수지, 멜라민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로 함침 처리된 종이, 유리섬유 직물(woven fabric), 또는 염화비닐 수지가 함침 또는 도포된 유리섬유 부직포(non-woven fabri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제조된 것이고,
    상기 접착층은 네오프렌(neoprene) 수지, 니트릴 고무(nitrile rubber), 아크릴(acrylic resin)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우레탄(urethane), 고무(rubber), 비닐(vinyl), 에폭시(epoxy)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조합 폴리머이거나 아미드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변성 에틸렌아세테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변성 아크릴 수지, 변성 페놀 수지, 우레탄 수지, 변성 우레탄 수지,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캐스팅(casting), 칼렌더링(calendering) 또는 티다이(T-die)로 제조된 시트 또는 필름이고,
    상기 발란스층은 천연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섬유의 직포, 부직포 또는 워딩(wadding)으로 제조한 시트이고,
    상기 코아층은 198 g/㎡의 크라프트(kraft)지를 페놀 수지에 크라프트지 무게 대비 20∼100 중량% 함침시켜서 제조된 페놀수지 함침 크라프트지; 40∼160 g/㎡의 유리섬유지(glass fiber paper)를 페놀 수지에 유리섬유지 무게 대비 20∼100 중량% 함침시켜서 제조된 페놀수지 함침 유리섬유지 또는 염화비닐 수지나 아크릴 수지가 도포(coating)된 페놀수지 함침 유리섬유지; 40∼160 g/㎡의 유리섬유(glass fiber)를 페놀 수지에 유리섬유 무게 대비 20∼60 중량% 함침시켜 제조된 페놀수지 함침 유리섬유; 및 염화비닐 수지나 아크릴 수지가 도포(coating)된 페놀수지 함침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모양층은 그라비아 인쇄된 80∼120 g/㎡의 산화티탄 함유 셀룰로오스 종이의 모양지에 모양지 무게 대비 100 중량% 이하의 멜라민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diallylphthalate) 수지 또는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함침시킨 후 130∼150 ℃의 오븐에서 건조 및 반경화시켜 제조한 것이고,
    상기 투명 보호층은 25∼61 g/㎡의 셀룰로오스 종이에 내마모 실리카(silica) 또는 알루미나(alumina)가 고르게 분포된 오버레이지(overlay paper)에 오버레이지 무게 대비 200∼800 중량%의 멜라민 수지를 함침시킨 후, 130∼150 ℃의 오븐에서 건조 및 반경화시켜 제조한 것인
    염화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장식재는 접착층과 발란스층 사이에 코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염화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쇼어 경도(shore hardness)가 50 내지 100 인 염화비닐 수지의 기재층,
    상기 기재층 아래에 위치하는 이지층, 및
    상기 기재층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인쇄층. 접착층, 발란스층 및 투명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이지층은 페놀수지, 멜라민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로 함침 처리된 종이, 유리섬유 직물(woven fabric), 또는 염화비닐 수지가 함침 또는 도포된 유리섬유 부직포(non-woven fabri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제조된 것이고,
    상기 인쇄층은 염화비닐 수지 시트에 그라비아 인쇄 또는 전사 인쇄의 방법으로 무늬를 인쇄한 것이고,
    상기 접착층은 네오프렌(neoprene) 수지, 니트릴 고무(nitrile rubber), 아크릴(acrylic resin)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우레탄(urethane), 고무(rubber), 비닐(vinyl), 에폭시(epoxy)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조합 폴리머이거나 아미드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변성 에틸렌아세테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변성 아크릴 수지, 변성 페놀 수지, 우레탄 수지, 변성 우레탄 수지,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캐스팅(casting), 칼렌더링(calendering) 또는 티다이(T-die)로 제조된 시트 또는 필름이고,
    상기 발란스층은 천연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섬유의 직포, 부직포 또는 워딩(wadding)으로 제조한 시트이고,
    상기 투명 보호층은 25∼61 g/㎡의 셀룰로오스 종이에 내마모 실리카(silica) 또는 알루미나(alumina)가 고르게 분포된 오버레이지(overlay paper)에 오버레이지 무게 대비 200∼800 중량%의 멜라민 수지를 함침시킨 후, 130∼150 ℃의 오븐에서 건조 및 반경화시켜 제조한 것인
    염화비닐 수지 바닥 장식재.
KR1019990012854A 1998-12-08 1999-04-12 멜라민 시트 적층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579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854A KR100579841B1 (ko) 1998-12-08 1999-04-12 멜라민 시트 적층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
TW091132950A TWI228077B (en) 1998-12-08 1999-04-29 Method of manufacturing decorative melamine sheet laminated floor covering
TW088106927A TWI226851B (en) 1998-12-08 1999-04-29 Decorative melamine sheet laminated floor covering
JP11125361A JP2000170361A (ja) 1998-12-08 1999-04-30 メラミンシ―ト積層装飾用床被覆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B991076605A CN100408325C (zh) 1998-12-08 1999-05-03 装饰用的密胺层压地板覆盖材料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53570 1998-12-08
KR1019980053570 1998-12-08
KR1019990012854A KR100579841B1 (ko) 1998-12-08 1999-04-12 멜라민 시트 적층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383A KR20000047383A (ko) 2000-07-25
KR100579841B1 true KR100579841B1 (ko) 2006-05-12

Family

ID=2663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854A Expired - Lifetime KR100579841B1 (ko) 1998-12-08 1999-04-12 멜라민 시트 적층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0170361A (ko)
KR (1) KR100579841B1 (ko)
CN (1) CN100408325C (ko)
TW (2) TWI228077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479B1 (ko) * 2005-04-13 2007-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캐스터성 마루바닥재
KR100884097B1 (ko) * 2008-07-21 2009-02-19 주식회사 성일 내박리(剝離)성을 가진 에스엠씨 패널도어 및 그 제작방법
KR101207513B1 (ko) * 2010-12-29 2012-12-03 주식회사 한샘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목재패널의 제조방법
KR101241592B1 (ko) * 2006-10-19 2013-03-08 (주)엘지하우시스 유리재질의 직물을 적용한 내열 바닥장식재
WO2018031831A1 (en) * 2016-08-10 2018-02-15 Widner Product Finishing, Inc. Stainable melamine laminate product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20190072131A (ko) * 2017-12-15 2019-06-25 이주엽 표면 강화 특성 및 방음성이 우수한 내화학성 바닥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08247A1 (en) * 1999-07-29 2001-01-29 Robert R. Krebs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employing a plastic film
AU2001271159A1 (en) * 2000-07-11 2002-01-21 Pergo Ab A process for the manufacturing of an improved decorative laminate and a decorative laminate obtained by the process
WO2002004207A1 (en) * 2000-07-11 2002-01-17 Pergo Ab A process for the manufacturing of an improved decorative laminate and a decorative laminate obtained by the process
KR100353869B1 (ko) * 2000-08-05 2002-09-27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직물을 포함하는 바닥장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61893B1 (ko) * 2000-10-17 2002-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리섬유층으로 보강된 고압 멜라민 적층판이 적층된 내수합판 강화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44600A (ko) * 2000-12-06 2002-06-19 이순국 합성장판 함침 레이어지 제조기술
KR100448347B1 (ko) * 2000-12-30 2004-09-10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개선된 바닥재
KR100716404B1 (ko) * 2004-09-21 200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인쇄목질 단판층을 기재층에 적층한 강화 온돌마루
KR100717930B1 (ko) * 2004-10-26 200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종이를 포함하여 표면층을 구성한 장척 바닥장식재
KR100879440B1 (ko) * 2005-11-07 2009-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인쇄무늬와 재단무늬가 일치하는 타일 타입 바닥장식재 및이의 제조방법
BE1017157A3 (nl) 2006-06-02 2008-03-04 Flooring Ind Ltd Vloerbekleding, vloerelement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vloerelementen.
KR100751886B1 (ko) * 2006-09-05 2007-08-23 주식회사 효성 진입 복도면의 보호를 위한 바닥 매트
KR100812522B1 (ko) * 2006-10-19 2008-03-12 씨제이제일제당 (주) 드라이 라미네이션을 이용한 수축필름과 부직포의 합지제조방법
WO2008082054A1 (en) * 2007-01-04 2008-07-10 Shingwang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wood panels, method of manufacturing high-glossy synthetic resin film sheets employed for wood panels, and wood panels respectivel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0786582B1 (ko) * 2007-01-31 2007-12-21 미래데코텍(주) 장식용 방염 시트
MY161042A (en) * 2007-11-19 2017-04-14 Valinge Innovation Ab Fibre based panels with a wear resistance surface
CN101549578B (zh) * 2008-03-31 2012-08-29 日本印刷株式会社 地板材料用装饰片材及其制造方法
ES3013911T3 (en) 2008-12-19 2025-04-15 Unilin Bv Coated panel comprising foamable or foamed synthetic material
BE1018680A5 (nl) 2008-12-19 2011-06-07 Flooring Ind Ltd Sarl Werkwijzen voor het vervaardigen van panelen en paneel hierbij bekomen.
CN101624795B (zh) * 2009-08-07 2011-06-01 山东齐峰特种纸业股份有限公司 金银片幻彩饰面纸及其制法
CN102575476B (zh) * 2009-09-24 2016-08-0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包括照明系统的地板覆盖物系统
HUE044231T2 (hu) 2009-12-22 2019-10-28 Flooring Ind Ltd Sarl Fedõpanelok gyártására szolgáló eljárás
KR20110094428A (ko) * 2010-02-16 2011-08-24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
US8925275B2 (en) 2010-05-10 2015-01-06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BE1019501A5 (nl) 2010-05-10 2012-08-07 Flooring Ind Ltd Sarl Vloerpane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vloerpanelen.
BE1019331A5 (nl) 2010-05-10 2012-06-05 Flooring Ind Ltd Sarl Vloerpaneel en werkwijzen voor het vervaardigen van vloerpanelen.
KR200451791Y1 (ko) * 2010-07-01 2011-01-12 김명희 데코타일
KR101035655B1 (ko) * 2010-08-12 2011-05-19 박지은 냉압, 열압프레스, 래핑, 멤브레인 작업이 모두 가능한 가구 및 건축물 내장재의 엘피엠 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2210750A (ja) * 2011-03-31 2012-11-01 Nippon Dekoratsukusu Kk 化粧板
CN102277947B (zh) * 2011-06-17 2013-07-31 惠东伟康橡塑制品有限公司 一种弧角片材pvc地板、该地板的生产工艺及专用模具
BR112014003719B1 (pt) * 2011-08-26 2020-12-15 Ceraloc Innovation Ab Revestimento de painel
CN102431261A (zh) * 2011-09-13 2012-05-02 大连创达技术交易市场有限公司 一种碳纤维复合板材
JP5879872B2 (ja) * 2011-09-27 2016-03-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用化粧材
KR20130080936A (ko) * 2012-01-06 2013-07-16 (주)엘지하우시스 Pla 수지를 이용한 바닥재 및 이 바닥재의 시공 방법
KR20130090065A (ko) * 2012-02-03 2013-08-13 (주)엘지하우시스 마루 바닥재
KR101429336B1 (ko) * 2012-03-02 2014-08-11 (주)엘지하우시스 점착제 처리된 시트지를 갖는 바닥재
CN102991010A (zh) * 2012-12-11 2013-03-27 大连创达技术交易市场有限公司 一种保温自洁碳纤维板材
CN104870192B (zh) 2012-12-28 2017-03-15 表面技术有限责任两合公司 生产承印材料和直接打印的装饰板的方法
KR101440993B1 (ko) * 2013-08-08 2014-11-03 박지은 내외장 마감재용 아크릴수지 함침 화장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9941B1 (ko) * 2014-04-25 2014-09-12 제이더블유우드텍(주) Hpl시트 제조방법
CN103982023B (zh) * 2014-05-22 2016-07-06 李萍 一种保健音乐舞蹈房
CN104278816B (zh) * 2014-10-24 2015-07-29 江苏肯帝亚木业有限公司 一种具有消音和弹性功能的pvc地板
JP2016160720A (ja) * 2015-03-05 2016-09-05 タキロン株式会社 熱可塑性合成樹脂製シート
CN105587100A (zh) * 2015-09-17 2016-05-18 大块建材开发(江苏)有限公司 一种新型pvc软木静音地板的制造方法
CN105479883A (zh) * 2015-12-24 2016-04-1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一种抗污复合膜和含有该复合膜的抗污板材及其制备方法
BE1023817B1 (nl) * 2016-01-15 2017-08-01 Unilin Bvba Vloerpaneel voor het vormen van een vloerbekleding, en substraat voor een paneel
CN106049175B (zh) * 2016-06-03 2018-06-19 太尔胶粘剂(广东)有限公司 一种木纹纸的制备方法
EP3315316B1 (de) * 2016-10-27 2020-12-23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korierten wand- oder bodenpaneels
KR101979412B1 (ko) * 2017-02-06 2019-05-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탄성받침용 탄성복합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NL2019121B1 (en) * 2017-06-26 2019-01-07 Champion Link Int Corp Panel suitable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process for producing a panel, use of an adhesive precursor
CN107351457A (zh) * 2017-07-12 2017-11-17 丰县正标卫浴有限公司 一种环保防水高强型卫浴板材及其制作方法
BE1025875B1 (nl) 2018-01-04 2019-08-06 Unilin Bvba Werkwijzen voor het vervaardigen van panelen
KR102157191B1 (ko) * 2018-06-25 2020-09-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탄성복합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0263B1 (ko) * 2018-11-30 2022-11-01 (주)엘엑스하우시스 타일 및 그 제조방법
WO2020189531A1 (ja) * 2019-03-15 2020-09-24 ロンシール工業株式会社 床仕上げ材
CN110202890B (zh) * 2019-05-28 2021-04-20 浙江瑞欣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薄型耐开裂装饰板
CN110124302B (zh) * 2019-06-13 2024-05-14 泉州港花游艺用品工贸有限公司 一种防爆裂麻将及制造工艺
CN110485674A (zh) * 2019-09-12 2019-11-22 镇江市朗悦塑业有限公司 复合地板及其制造工艺
CN110722843B (zh) * 2019-09-26 2021-04-20 浙江瑞欣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环保型高压装饰板
KR102092124B1 (ko) * 2019-12-09 2020-03-24 이종현 바닥재 덧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바닥재 덧판
US11359386B2 (en) * 2020-05-07 2022-06-14 Dal-Tile Corporation Floor element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 floor coveri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oor element
CN112227647A (zh) * 2020-09-15 2021-01-15 浙江海利得地板有限公司 一种耐磨的无甲醛石塑地板的生产工艺
CN112936466A (zh) * 2021-02-18 2021-06-11 顾芸菲 一种轻烧粉作填充料的环保型中密度板
KR102321452B1 (ko) * 2021-03-11 2021-11-04 박철우 고내마모성과 무변형 및 기능성을 갖는 실내용 바닥재
NL2029346B1 (en) * 2021-10-07 2023-04-20 Champion Link Int Corp Decorative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a panel
CN114108365A (zh) * 2021-12-06 2022-03-01 东莞市高益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三聚氰胺软化包覆纸及其生产工艺
CN115805743B (zh) * 2022-11-29 2024-12-27 来安县扬子地板有限公司 耐用易清洁强化复合木地板
CN117087271A (zh) * 2023-09-08 2023-11-21 德华兔宝宝装饰新材股份有限公司 一种耐污抗变形肤感模压门板及其制作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950A (ko) * 1994-07-13 1996-02-23 동세철 복합 바닥 장식재
JPH1058619A (ja) * 1996-08-26 1998-03-03 Aica Kogyo Co Ltd 化粧積層材
JPH1086276A (ja) * 1996-09-10 1998-04-07 Aica Kogyo Co Ltd 複合化粧材とその製法
JPH10114020A (ja) * 1996-08-23 1998-05-06 Bridgestone Corp 積層仕上材
KR19990030751A (ko) * 1997-10-06 1999-05-06 성재갑 멜라민 시트 적층 염화비닐 바닥장식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1846A (ja) * 1990-08-22 1992-04-03 Nippon Dekoratsukusu Kk 化粧積層板
US5266384A (en) * 1991-07-18 1993-11-30 Nevamar Corporation Aesthetic surface layer
US5780147A (en) * 1995-03-14 1998-07-14 Daiso Co., Ltd. Laminate having improved dimensional stability and heat resistance
JPH10747A (ja) * 1996-06-14 1998-01-06 Aica Kogyo Co Ltd 化粧積層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950A (ko) * 1994-07-13 1996-02-23 동세철 복합 바닥 장식재
JPH10114020A (ja) * 1996-08-23 1998-05-06 Bridgestone Corp 積層仕上材
JPH1058619A (ja) * 1996-08-26 1998-03-03 Aica Kogyo Co Ltd 化粧積層材
JPH1086276A (ja) * 1996-09-10 1998-04-07 Aica Kogyo Co Ltd 複合化粧材とその製法
KR19990030751A (ko) * 1997-10-06 1999-05-06 성재갑 멜라민 시트 적층 염화비닐 바닥장식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479B1 (ko) * 2005-04-13 2007-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캐스터성 마루바닥재
KR101241592B1 (ko) * 2006-10-19 2013-03-08 (주)엘지하우시스 유리재질의 직물을 적용한 내열 바닥장식재
KR100884097B1 (ko) * 2008-07-21 2009-02-19 주식회사 성일 내박리(剝離)성을 가진 에스엠씨 패널도어 및 그 제작방법
KR101207513B1 (ko) * 2010-12-29 2012-12-03 주식회사 한샘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목재패널의 제조방법
WO2018031831A1 (en) * 2016-08-10 2018-02-15 Widner Product Finishing, Inc. Stainable melamine laminate product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2109794B2 (en) 2016-08-10 2024-10-08 Pressing Developments, L.L.C. Stainable melamine laminate product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20190072131A (ko) * 2017-12-15 2019-06-25 이주엽 표면 강화 특성 및 방음성이 우수한 내화학성 바닥재
KR102025482B1 (ko) * 2017-12-15 2019-09-25 이주엽 표면 강화 특성 및 방음성이 우수한 내화학성 바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383A (ko) 2000-07-25
TW200300010A (en) 2003-05-01
JP2000170361A (ja) 2000-06-20
TWI226851B (en) 2005-01-21
CN1256200A (zh) 2000-06-14
CN100408325C (zh) 2008-08-06
TWI228077B (en)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841B1 (ko) 멜라민 시트 적층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716404B1 (ko) 인쇄목질 단판층을 기재층에 적층한 강화 온돌마루
KR100409016B1 (ko) 표면층에 폴리에티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을 포함하는바닥장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21455B1 (ko) 내마모성 라미네이트
US6093473A (en) Abrasion resistant laminat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11865827B2 (e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nel
GB2088280A (en) Embossed Decorative Laminates
KR100530159B1 (ko) 고압 멜라민 화장판, 내수합판 및 방음기능층이 적층된이면 홈가공 강화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55075B1 (ko)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KR100703551B1 (ko) 고강도 천연무늬목 온돌마루
EP1268200B1 (en) Flooring laminate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361893B1 (ko) 유리섬유층으로 보강된 고압 멜라민 적층판이 적층된 내수합판 강화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218821Y1 (ko) 칫수안정성 및 휨안정성이 우수한 멜라민 화장판
KR20010016028A (ko) 칫수안정성 및 휨안정성이 우수한 멜라민 화장판
KR100549696B1 (ko) 가구재용 오버레이 화장판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가구재용 오버레이 화장판
KR100392483B1 (ko) 내마모성 라미네이트 및 그 제조방법
HK1029960B (en) Abrasion resistant laminate and method for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6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11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4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