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9710B1 - 은행잎에서 분리한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용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은행잎에서 분리한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용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710B1
KR100579710B1 KR20030063916A KR20030063916A KR100579710B1 KR 100579710 B1 KR100579710 B1 KR 100579710B1 KR 20030063916 A KR20030063916 A KR 20030063916A KR 20030063916 A KR20030063916 A KR 20030063916A KR 100579710 B1 KR100579710 B1 KR 100579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druff
ginkgolide
ginkgo biloba
hair loss
shampo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03006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7599A (ko
Inventor
이인화
정형동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이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이인화 filed Critical 학교법인조선대학교
Priority to KR20030063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710B1/ko
Priority to PCT/KR2004/002313 priority patent/WO2005025587A1/en
Publication of KR2005002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71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Der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잎으로부터 분리한 성분을 이용한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징콜라이드 A, 징콜라이드 B, 빌로발라이드를 일정성분비로 혼합한 혼합물 또는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듬치료용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징콜라이드 A, 징콜라이드 B, 빌로발라이드 또는 은행잎 추출물은 종래 비듬치료제로 사용되는 케토코나졸에 비해 비듬유발균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한 활성억제가 우수하여 비듬 제거, 두피의 가려움 제거효과 및 탈모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어 이를 이용하여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 샴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징콜라이드 A, 징콜라이드 B, 빌로발라이드, 샴푸, 조성물, 비듬, 탈모.

Description

은행잎에서 분리한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용 샴푸 조성물{SHAMPOO COMPOSITION FOR TREATING DANDRUFF AND ALOPECIA CONTAINING COMPOUNDS OBTAINED FROM GINKGO BILOBA L. LEAVES}
도 1는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방법(실시예 1)을 나타낸 공정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방법(실시예 2)을 나타낸 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방방법(실시예 3)을 나타낸 공정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방법(실시예 4)을 나타낸 공정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물의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의 징콜라이드 A, 징콜라이드 B 및 빌로발라이드 성분이 머무름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은행잎 추출시간에 따른 빌로발라이드, 징콜라이드 A 및 징콜라이드 B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리 결과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징코발라이드 A, 징코발라이드 B 및 빌로발라이드의 항진균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서 비듬유발균에 대한 은행잎 추출물의 항진균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징콜라이드 A, 징콜라이드 B 및 빌로발라이드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 또는 이를 함유한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듬이란 인체의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생긴 두피의 죽은 세포나 벗겨진 세포들이 두피 피지선의 분비물과 말라붙어서 생긴 각질형태의 덩어리를 말한다. 비듬은 점차 정상 피부와 뚜렷한 경계를 가지며, 붉게 되어 두피에 인설이 증가하여 통상 가려움과 염증을 수반하는 지루피부염으로까지 진행된다.
이처럼, 심한 비듬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나, 일반적으로 내분비 호르몬의 불균형, 영양대사의 불균형, 스트레스 등의 신경적 요인; 두피세포의 지나친 증식에 의한 상피조직의 생화학적 변화; 두피 미생물의 증식 및 활성증대; 대기오염에 의한 염증 등과 같은 여러 요인들의 복합적인 영향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두피에 존재하는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라는 미생물의 증식 및 활성증대는 비듬과 가려움증을 악화시키는 주요인으로서 오래 전부터 인지되어 왔고, 근래에는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듬치료제는 비듬발생의 주요 원인인 미생물 피티로스포룸 오발레의 증식 및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두피세포의 비정상적인 대사활동을 정상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비듬 치료제로 과거 수십년 동안 새로운 항균제들이 개발되어 전세계 시장에 출현하였다. 그 중 케토코나졸이 전풍(pityriasis versicolor)이나 비듬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Rausch LJ, Jacobs PH. 1984. Cutis 34: 470∼471; Hay RJ, Midgeley G. 1984. Clinical and Experimental Dermatology 9: 571∼573; Savin RC. 1984.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10: 824∼830].
현재 국내에서는 니조랄과 같은 비듬 치료제의 유효성분으로 케토코나졸이 사용되고 있으나, 케토코나졸은 장기간 사용할 경우 내분비계에 역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케토코나졸에 비해 보다 강력한 항균작용을 하면서도 인체에 안전한 항균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이트라코나졸이 새롭게 합성되었다. 이트리아졸 유도체는 인간과 관련된 많은 병원성 곰팡이류들에 대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고, 케라틴성 조직에 대해 높은 친화력을 보이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이트리아졸 유도체 중 하나인 이트라코나졸은 에크로스테롤 합성을 저해하고, 막에 결합된 효소의 기능과 막투과성의 이상을 초래하는 진균의 산화효소계인 P450에 결합하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이트라코나졸은 케토코나졸과 같이 땀샘을 통해 운반되지 않기 때문에 구강제로 복용시 수송이 다소 느리다는 단점이 있으며, 만족스러운 치료 효과와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매일 1,000 ㎎의 처방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환자의 경우 여러 종류의 약을 동시에 처방받고 있으나 혼합제의 투약은 간세포에 독성과 면역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한 약제의 효율성이나 역효과를 가중시킬 수 있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두통이나 메스꺼움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한편, 시판되는 비듬 방지용 샴푸나 로션에 주로 사용되는 성분은 셀레늄설파이드 또는 징크피리치온 등이다.
비듬은 인간의 생명이 단축되거나 심각한 질병은 아니자만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주는 대상이다. 이러한 비듬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성분들이 계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생태계 친화적이고 환경과 인간에 무해하며, 비듬균의 수적인 감소를 가져올 수 있는 성분에 대한 연구결과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물에서 추출하고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비듬치료용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듬유발균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한 활성이 종래 케토코나졸보다 우수하여 비듬제거 및 두피 건강을 개선에 의한 탈모방지 효과를 이용한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용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빌로발라이드(Bilobalide), 징콜라이드 A(Ginkgolide A) 및 징콜라이드 B(Ginkgolide B)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듬치료용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듬치료용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빌로발라이드(Bilobalide), 징콜라이드 A(Ginkgolide A) 및 징콜라이드 B(Ginkgolide B)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듬치료용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빌로발라이드, 징콜라이드 A 및 징콜라이드 B는 케토코나졸에 비해 우수한 비듬유발균 저해효과를 나타낸다. 비듬유발균에 대한 저해효과는 상기 화합물 각각에 대해 나타나며, 상기 화합물을 일정한 비로 혼합한 혼합물 상태가 저해효과가 가장 우수하다. 상기 혼합물의 비는 50∼80 중량% 징콜라이드 A, 10∼25 중량% 징콜라이드 B, 10∼20 중량% 빌로발라이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5 중량% 징콜라이드 A, 20 중량% 징콜라이드 B, 15 중량% 빌로발라이드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샴푸 조성물에 5∼40 중량% 함유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은행잎 추출물에서 분리된 성분으로 비듬치료용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은행잎 추출물은 은행잎 분쇄물을 온수에 용해시켜 추출하여 얻어진 것으로,
첫째로, 은행잎 분쇄물을 온수에 용해시켜 추출한 후 여과하고, 얻어진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은행잎 추출물(도 1 참조),
둘째로, 은행잎 분쇄물을 온수에 용해시켜 추출한 후 여과하고, 얻어진 여액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은행잎 추출물(도 2 참조),
셋째로, 은행잎 분쇄물을 온수에 용해시켜 추출한 후 여과하고, 얻어진 여액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다시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은행잎 추출물(도 3 참조), 및
넷째로, 은행잎 분쇄물을 온수에 용해시켜 추출한 후 여과하고, 얻어진 여액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물층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물층을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얻어진 은행잎 추출물(도 4 참조)을 얻는다.
본 발명에서 "온수"라 함은 70∼90℃의 물이며, 바람직하게는 80℃의 물을 칭하는 것으로, 추출시에 추출용매로서 사용한다. 온수를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열의 가열에 의한 빌로발라이드(Bilobalide), 징콜라이드 A(Ginkgolide A) 및 징콜라이드 B(Ginkgolide B)의 파괴를 방지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유효성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은행잎 추출물은 여러 가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빌로발라이드(Bilobalide), 징콜라이드 A(Ginkgolide A) 및 징콜라이드 B(Ginkgolide B)를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은행잎 추출물은 종래 비듬치료제로 사용되는 케토코나졸에 비해 우수한 비듬유발균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이를 샴푸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두피건강 개선에 따라 탈모방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 샴푸 조성물은 각 종의 제형을 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샴푸, 린스, 헤어토닉, 포마드,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로션 등의 제형으로 제품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듬치료용 샴푸 조성물은 상기한 각종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목적에 적합하게 통상의 비듬치료용 샴푸조성물에 배합되는 각종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샴푸의 제형을 갖는 경우에는 세정성분인 합성계면활성제와 진주박 보조제, 방부제, 점증제 및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염료, 모발 컨디셔인제 및 물로 이루어진 샴푸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합성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선택된 어떤 것도 가능한 계면활성제를 조성물의 약 10∼7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30 중량%,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물이 약 5∼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10 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합성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 및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암모늄,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암모늄 등이 있다. 상기 합성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베타민 및 알킬 아미도프로필 베타인으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코코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 디메틸 알파-카복시에틸 베타인, 세틸 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등이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알카놀 아미드 및 아민 옥사이드로서, 라우릴 디에틸 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 라우린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이 있다.
상기 언급된 계면활성제들은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서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선택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임의 성분으로서는 샴푸로서의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임의 성분에는 진주박 보조제, 방부제, 점증제 및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염료, 모발 컨디셔닝제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진주박 보조제; 파라 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클로로 이소치아졸리논과 메틸 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과 같은 방부제;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점증제 및 점도 조절제; 구연산, 인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과 같은 pH 조절제;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7, 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티콘코폴리올, 가수분해 동물단백질과 같은 모발 컨디셔닝제, 수용성 타르와 같은 염료가 사용되며, 또한 향료가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그 제형에 달리하여 애완동물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을 함유하고, 애완동물의 피부에 자극이 적고 보습력이 탁월한 중성의 세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 의해 강력한 살충, 항균능력과 탈모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물 1∼4의 제조
은행잎은 2001년 9월 하순과 10월 중순에 채취하여 증류수로 수세한 후 1∼2mm 크기로 세절하여 추출하였다.
또한, 은행잎 추출물을 얻기 위해 사용한 장치는 하기와 같다.
(A) 증류추출장치 : Rotavapor R-200, R-205 (BUCHI, SWITZERLAND),
(B) 분쇄기 : FM-909T (HANIL, KOREA),
(C) 항온조 : MODEL 1210-20 (COLE PARMER, USA).
(1) 은행(Ginkgo biloba L.)잎 분쇄물 100 g을 증류수 1 ℓ와 함께 둥근플라스크에 옮긴 후 80 ℃ 수욕상에서 2 시간 동안 중탕한 후 GF/C(공극 1.2 ㎛) 필터 페이퍼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16분의 1로 농축하였다. 이 때 얻어진 은행잎 추출물은 17.43 g/L 였다(도 1 참조, 추출물 1).
(2) 은행(Ginkgo biloba L.)잎 분쇄물 100 g을 증류수 1 ℓ와 함께 둥근플라스크에 옮긴 후 50 ℃ 수욕상에서 2 시간 동안 중탕한 후 GF/C(공극 1.2 ㎛) 필터 페이퍼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도 1 참조, 추출물 2).
(3) 은행(Ginkgo biloba L.)잎 분쇄물 100 g을 증류수 1 ℓ와 함께 둥근플라스크에 옮긴 후 50 ℃ 수욕상에서 초음파와 함께 2 시간 동안 추출한 후 GF/C(공극 1.2 ㎛) 필터 페이퍼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도 1 참조, 추출물 3).
(4) 은행(Ginkgo biloba L.)잎 분쇄물 100 g을 증류수 1 ℓ와 함께 둥근플라스크에 옮긴 후 60 ℃ 수욕상에서 2 시간 동안 중탕한 후 GF/C(공극 1.2 ㎛) 필터 페이퍼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도 1 참조, 추출물 4).
<실시예 2>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물 5의 제조
은행(Ginkgo biloba L.)잎 분쇄물 100 g을 증류수 1 ℓ와 함께 둥근플라스크에 옮긴 후 80 ℃ 수욕상에서 2 시간 동안 중탕한 후 GF/C(공극 1.2 ㎛) 필터 페이퍼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여액 50 ㎖를 에틸 아세테이트 50 ㎖와 혼합하여 분별 깔때기에 옮겨 2 시간 동안 혼합정치시킨 후 상등액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를 증류시키고 분리된 물질을 트윈 20(TWEEN 20) 1% 50 ㎖로 녹여서 냉장보관하였다. 이 때 얻어진 은행잎 추출물은 4.95 g이었다(도 2 참조).
<실시예 3>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물 6의 제조
은행(Ginkgo biloba L.)잎 분쇄물 100 g을 증류수 1 ℓ와 함께 둥근플라스크에 옮긴 후 80 ℃ 수욕상에서 2 시간 동안 중탕한 후 GF/C(공극 1.2 ㎛) 필터 페이퍼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여액을 50 ㎖를 에틸 아세테이트 50 ㎖와 혼합하여 분별 깔데기에 옮겨 2 시간 동안 혼합정치시킨 후 상등액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고, 얻어진 에틸 아세테이트 층에 증류수 50 ㎖를 혼합하여 다시 2 시간동안 혼합정치시킨 후 상등액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를 증류시키고 분리된 물질에 트윈 20(TWEEN 20) 1% 50 ㎖로 녹여서 냉장보관하였다. 이 때 얻어진 은행잎 추출물은 4.77 g이었다(도 3 참조).
<실시예 4>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물 7의 제조
은행(Ginkgo biloba L.)잎 분쇄물 100 g을 증류수 1 ℓ와 함께 둥근플라스크에 옮긴 후 80 ℃ 수욕상에서 2 시간 동안 중탕한 후 GF/C(공극 1.2 ㎛) 필터 페이퍼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여액을 50 ㎖를 에틸 아세테이트 50 ㎖와 혼합하여 분별 깔데기에 옮겨 2 시간 동안 혼합정치시킨 후 물 층을 분리하여 냉장보관하였다. 이 때 얻어진 은행잎 추출물은 1.77 g이었다(도 4 참조).
<실시예 5> 징콜라이드 A, 징콜라이드 B 및 빌로발라이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4에서 비듬유발균과 탈모 방지효과가 있는 성분을 분리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 4로부터 얻어진 각각의 은행잎 추출물에서 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인 징콜라이드 A, 징콜라이드 B 및 빌로발라이드를 분리하였다.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석 조건>
기기모델명 : Shimadzu LC-10AD
커럼(column) : C18 제조용 컬럼(preparative column)
Method : syringe injection
injection V : 50ml
Detection : 219nm
flow rate : 10ml/min
Mobile phase : H2O : THF : MeOH = 68.5 : 10.5 : 21
Run time : 30min
은행잎 추출물에서 분리한 징콜라이드 A, 징콜라이드 B 및 빌로발라이드 성분에 대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의 정량분석 결과
성분 Retention Time Area ESTD concentration
빌로발라이드 10.450 4368056 2153.03(mg/L)
징콜라이드 A 12.433 25273858 8403.48(mg/L)
징콜라이드 B 15.650 5127783 2722.96(mg/L)
은행잎 추출물에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의 머무름시간에 따라 분취하여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징콜라이드(Ginkgolide) A 및 B와 빌로발라이드(Bilobalide)를 확인하였다(도 5도 6 참조).
<징콜라이드의 화학식>
Figure 112003034142731-pat00001
<빌로발라이드의 화학식>
Figure 112003034142731-pat00002
또한, 은행잎으로부터 80℃ 온수로 추출하여 1차 추출물을 얻을때 추출시간 경과에 따라 유효성분별 추출량을 조사한 결과 추출시간이 4 시간에서 가장 많은 유효성분이 검출되었다(도 6 참조)
<실시예 6> 샴푸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술한 바와 같은 성분과 조성 비율로 샴푸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와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를 정제수에 첨가하여 55℃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교반하에 40℃까지 서서히 냉각시키고, 상기 혼합물에 활성성분과 임의 성분을 투입하여 혼합한 후, 교반하에 실온까지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3034142731-pat00003
<실험예 1> 비듬유발균에 대한 항진균 효과 실험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물의 비듬유발균(Pityrosporum ovale)에 대한 항진균 효과 실험을 Colony Counting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1) 징콜라이드 A, B 및 빌로발라이드의 항진균 효과
구체적으로, 피티로스포럼 오발레를 2 ×104 cell 농도로 조절하고 각 빌로발라이드(Bilobalide), 징콜라이드 A(Ginkgolide A) 및 징콜라이드 B(Ginkgolide B)를 PDA 배지(하기 표 3 참조)에 도말하여 이 배지를 최적생육조건에서 1∼2일 배양하여 Colony 수를 비교하였다.
PDA 배지 조성표
조성 함량
Potato Dextrose Broth 24 g
Ox Gall Power* 5 g
Agar 15 g
증류수 1.0 ℓ
* : 곰팜이의 포자 억제
결과는 도 7 및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34142731-pat00004
도 7 및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징콜라이드 A, 징콜라이드 B 및 빌로발라이드 각각의 성분은 항진균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들 물질을 징콜라이드 A, 징콜라이드 B 빌로발라이드를 65:20:15의 비율로 섞어 혼합한 용액이 가장 98.2 %의 항진균제거효과를 보여 주었다. 이들 물질은 각각의 작용보다 혼합한 상태에서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 및 상가작용(additive effect)를 갖는 것을 알수 있다.
(2) 은행잎의 항진균 효과
구체적으로, 비듬유발균을 2 ×104 cell이 되게 하고,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물 1을 표 3에 기술된 PDA 배지에 도말하고, 이 배지를 최적생육조건에서 1∼2 일 동안 배양하여 Colony 수를 비교하였다.
하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은행잎의 추출물의 양과 은행잎 추출물이 함유한 빌로발라이드, 징콜라이드 A 및 징콜라이드 B의 양은 하기 표 5에 나타내 바와 같다. 또한, 대조군으로 음성 대조군과 양성대조군을 기술하였다.
Figure 112003034142731-pat00005
결과는 도 8 및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34142731-pat00006
도 8 및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은행잎 추출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비듬유발균 Pityrosporum ovale에 대한 항진균율이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은행잎 추출물을 300 ㎎/㎖ 이상 사용한 경우 종래 비듬치료용 물질인 Ketoconazole 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비듬유발균의 활성을 저해함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물은 비듬유발균 Pityrosporum ovale의 저해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샴푸에 의한 비듬균 감소 효과 실험
일정배지에 비듬 원인균인 Pityrosporum ovale를 배양하여 상기 실시예 6의 샴푸에 대하여 비듬균의 감소를 실험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실험 개시전에 일정한 용기에 비듬원인균을 104∼105 마리 정도를 배양한 일정 배지를 만든 후, 상기 샴푸를 배지량의 5 %가 되도록 첨가하고 12시간 경과한 뒤 비듬균 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은행잎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일반 샴푸를 사용하였다.
초기균수 본 발명의 샴푸 일반 샴푸
비듬균수(마리/g) 14,000 730 10,500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에 의해 약 95 %의 비듬균수 감소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샴푸가 비듬치료용 샴푸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샴푸에 의한 비듬 감소 효과 실험
비듬이 비교적 많은 19∼35세의 남성 48명을 선정하여 상기 실시예 6의 샴푸에 대하여 6명씩 7개 그룹으로 1개월간 실험을 하여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실험 개시 전에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세발 후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본 발명의 샴푸(실시예 6)로 3일에 한번씩 세발하여 시험 종류 후 3일간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때 누적된 비듬은 진공 흡입 장치로써 두피로부터 직접 채집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비듬 감소율을 구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은행잎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일반 샴푸를 이용하였다.
비듬감소율(%)={시험개시전 비듬의 중량(㎎)-시험개시후 1개월 후 비듬의 중량(㎎)} ×100 / 시험개시전 비듬의 중량(㎎)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샴푸 일반 샴푸
비듬감소율(%) 65.3 4.2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샴푸는 일반 샴푸에 비해 비듬감소율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이를 비듬치료용 샴푸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두피 가려움 방지 효과 실험
비교적 가려움을 심하게 느끼는 남녀 각 30명씩 60명을 설정하여 3일에 1회 씩 본 발명의 샴푸를 각 2 주간씩 사용한 후 가려움 방지 효과를 하기의 평가기준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매우 우수하다(5점), 우수하다(4점), 보통이다(3점),
불량이다(2점), 매우 불량하다(1점).
본 발명의 샴푸 일반 샴푸
두피의 가려움증 제거효과 4.6 2.1
상기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샴푸는 일반 샴푸에 비해 우수한 두피의 가려움증 제거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탈모방지 효과
탈모가 심하거나 약간의 탈모증상이 있는 10∼60대 남여 각 30명씩 60명에 대하여 탈모에 대한 샴프 사용후 효과에 대한 설문을 하기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설문지>
○ 사용자의 성별
□ 여 □ 남
○ 사용자의 나이 :
○ 사용자의 평상시 두피 상태는 어떻습니까?
□하루만 머리를 안 감아도 머리가 달라붙는다(지성인 편)
□ 2-3일 정도는 안 감아도 별로 차이가 없다
□ 건성인 것 같다
○ 사용자의 머리 길이
□ 짧은 스포츠형 □ 컷트 길이 □ 짧은 단발머리 □ 어깨 정도 길이
□ 어깨 아래로 내려오는 긴 머리
○ 사용자의 머리 wave 여부
□ 생머리 □ wave 있는 퍼머 □ wave 없는 퍼머(스트레이트...)
○ 사용자의 머리숫
□ 많은 편 □ 보통 □ 적은 편 □ 대머리
○ 사용자의 평상시 머리 감는 횟수
□ 매일 감는다 □ 2-3일에 한번 □ 4-5일에 한번
□ 일주일에 한번
○ 사용자의 1회 머리 감을 때 헹구는 횟수는 얼마나 됩니까?
□ 1-2회 □ 3-4회 □ 5회 이상
○사용자의 비듬 생성 상태
□ 비듬이 많아 병원 치료를 받은 적이 있다
□ 병원치료는 받지 않았으나 비듬이 많은 편이다
□ 보통 상태임
□ 보통 사람보다 적음
□ 거의 없음
○ 탈모에 대한 두피 건강 상태
□ 탈모가 병적으로 심함(병원에 다녀온 경험이 있음)
□ 보통사람에 비하여 탈모 증세가 심함
□ 보통 정도의 탈모로 생각함
□ 탈모가 다른 사람에 비하여 적음
○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비듬치료용 샴푸(이하 비듬치료샴푸로 칭함)를 얼마나 사용하였습니까?
□ 1주 미만
□ 1주 이상 - 2주 미만
□ 2주 이상 - 3주 미만
□ 3주 이상 - 4주 미만
□ 4주 이상
○ 비듬치료샴푸를 사용할 때 사용양은 얼마나 됩니까?
□ 엄지손가락 첫 마디 이상 □ 엄지손가락 첫 마디 정도
□ 검지손가락 첫 마디 정도 □ 검지 손가락 첫 마이 이하
○ 비듬치료샴푸를 사용 후 비듬이 줄어드는 것을 경험하였습니까?
□ 매우 많이 감소한 것 같다(75%이상)
□ 절반 정도 감소하였다(50% 정도).
□ 조금 감소하였다(25%이하)
□ 예전과 같다.
□ 오히려 증가하였다.
○ 비듬치료샴푸를 사용 후 두피나 피부 또는 눈 등에 사용 전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었습니까? 해당되는 곳에 ∨표 해주십시오.
증 상 없었다 모르겠다 있었다
머리카락 빠짐이 증가
가려움증
발적(빨갛게 부어오름)
탈색
눈물이 남
두드러기
화끈 화끈거림
기타:
○ 비듬치료샴푸 사용 후 머리카락(모발)의 빠짐 현상(탈모)에 대하여 변화된 것이 있습니까?
□ 탈모 현상이 매우 감소하였다.
□ 탈모 현상이 약간 감소하였다.
□ 예전 그대로이다.
□ 오히려 탈모량이 증가하였다.
○ 비듬치료샴푸를 사용 후 두피의 전반적인 상태는 어떠합니까?
□ 두피 건강이 크게 개선되었다.
□ 두피건강이 약간 개선되었다.
□ 두피건강상 변화된 느낌이 없다.
□ 두피건강이 오히려 나빠졌다.
본 발명의 샴푸 일반 샴푸
탈모감소 효과 동의 응답수 (%) 77.4 2.2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샴푸 조성물이 탈모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종래 비듬치료제로 사용되는 케토코나졸에 비해 비듬유발균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한 활성이 우수하여 비듬 및 두피의 가려움 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어 비듬치료제 또는 보조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두피건강 개선에 따라 탈모방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빌로발라이드(Bilobalide), 징콜라이드 A(Ginkgolide A) 및 징콜라이드 B(Ginkgolide B)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 샴푸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징콜라이드 A, 빌로발라이드 및 징콜라이드 B로 이루어진 유효성분 비율이 50∼80 중량% 징콜라이드 A, 10∼20 중량% 빌로발라이드, 10∼25 중량% 징콜라이드 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 샴푸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030063916A 2003-09-16 2003-09-16 은행잎에서 분리한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용 샴푸 조성물 Expired - Lifetime KR100579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3916A KR100579710B1 (ko) 2003-09-16 2003-09-16 은행잎에서 분리한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용 샴푸 조성물
PCT/KR2004/002313 WO2005025587A1 (en) 2003-09-16 2004-09-10 Composition comprising ginkgolides and bilobal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3916A KR100579710B1 (ko) 2003-09-16 2003-09-16 은행잎에서 분리한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용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599A KR20050027599A (ko) 2005-03-21
KR100579710B1 true KR100579710B1 (ko) 2006-05-15

Family

ID=3430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63916A Expired - Lifetime KR100579710B1 (ko) 2003-09-16 2003-09-16 은행잎에서 분리한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용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79710B1 (ko)
WO (1) WO20050255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532A (ko) 2019-08-23 2021-03-04 (주)동방비앤에이치 탈모 방지 샴푸 조성물, 상기 탈모 방지 샴푸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체형 샴푸 및 상기 고체형 샴푸를 제조하기 위한 샴푸 성형 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9997B2 (en) 2005-12-27 2021-06-22 Ruth-Maria Korth Cosmetic, dermatic, protective compositions comprising phospholipids, lecithins with peptides and at least one acetylating compound
DE102005062417A1 (de) 2005-12-27 2007-08-23 Korth, Ruth-Maria, Dr.med. Kompositionen mit spezifischen und unspezifischen Lipidantagonisten
CN101412722B (zh) * 2007-10-15 2010-12-08 桂林市振达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从银杏叶中提取分离银杏内酯c的方法
CN101412725B (zh) * 2007-10-15 2010-12-08 桂林市振达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从银杏叶中提取分离银杏内酯b的方法
CN101468998B (zh) * 2007-10-15 2011-05-25 桂林市振达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从银杏叶中提取分离银杏内酯a的方法
CN102659808B (zh) * 2012-04-23 2014-10-29 成都百裕科技制药有限公司 一种银杏内酯的提取分离方法
CA2940348A1 (en) * 2014-02-27 2015-09-03 Basf Se Method for controlling pests in soybean
EP3206490A1 (en) 2014-10-16 2017-08-23 Basf Se Method and pesticidal mixtures for controlling pentatomidae pests
MX2018001618A (es) 2015-08-07 2018-05-22 Basf Se Control de plagas en el maiz mediante ginkgolidos y bilobalido.
US20200178542A9 (en) * 2015-08-25 2020-06-11 Basf Se Control of pests in cotton by ginkgolides and bilobalides
CN113995747A (zh) * 2021-10-19 2022-02-01 杭州莱樱斯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脱发的产品及银杏内酯a在治疗应激诱发脱发的新用途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1060B1 (fr) * 1993-10-13 1995-11-17 Oreal Procédé pour modifier la pousse des poils et/ou des cheveux et compositions utilisables à cet effet.
US6030621A (en) * 1998-03-19 2000-02-29 De Long; Xie Ginkgo biloba composition, method to prepare the same and uses thereof
CN1121412C (zh) * 2000-03-16 2003-09-17 中国科学院上海生物化学研究所 抗真菌肽及其制备方法与用途
KR100415107B1 (ko) * 2001-03-02 2004-01-13 정형동 은행잎 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US6774095B2 (en) * 2001-05-24 2004-08-10 Kao Corporation Detergent composition
ATE343393T1 (de) * 2001-07-11 2006-11-15 Univ Columbia Verfahren zur isolierung von terpentrilactonen (ginkgoliden, bilobaliden) aus blättern und pharmazeutische pulver aus ginkgo biloba
KR100543279B1 (ko) * 2002-08-07 2006-01-20 정재윤 섬유용 천연 항박테리아(Antibacterial) 및 항균(Antifungal)제의 추출 및 응용
CN1398524A (zh) * 2002-09-04 2003-02-26 浙江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银杏作为植物杀虫剂的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532A (ko) 2019-08-23 2021-03-04 (주)동방비앤에이치 탈모 방지 샴푸 조성물, 상기 탈모 방지 샴푸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체형 샴푸 및 상기 고체형 샴푸를 제조하기 위한 샴푸 성형 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25587A1 (en) 2005-03-24
KR20050027599A (ko) 200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846B1 (ko)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0579710B1 (ko) 은행잎에서 분리한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용 샴푸 조성물
JPH07126146A (ja) 皮膚外用剤
KR102373929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샴푸 및 에센스 제형의 두피케어용 화장품 조성물
KR101637466B1 (ko)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피 트리트먼트 방법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1229762B1 (ko) 육모촉진 및 탈모예방 개선용 외용제조성물
US20240050351A1 (en) Anti-Dandruff Composition
KR102552610B1 (ko) 꽃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가려움 해소, 비듬 방지,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KR100777542B1 (ko)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CN110585081A (zh) 一种含艾叶精油的抑菌止痒洗发水及其制备方法
JPH03112912A (ja) 化粧料組成物
KR20080109440A (ko) 비듬방지용 모발화장품 조성물
CN111096917B (zh) 一种长效去屑止痒组合物及其应用
KR20130092260A (ko) 항비듬용 두피 조성물
CN104411294B (zh) 甜马郁兰精油、包含其的组合物、化妆品治疗方法和用途
KR100448434B1 (ko) 비듬방지효과를갖는모발화장료조성물
KR101257756B1 (ko) 비듬방지용 모발화장품 조성물
KR100331675B1 (ko) 피부외용제
JPH04164013A (ja) フケ菌発育阻害成分含有物の抽出方法
CN118217205B (zh) 一种增强头发光泽的洗发香波
KR101456655B1 (ko) 비듬 및 두피가려움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6035971B (zh) 一种防脱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0154210B1 (ko) 두발 화장품 조성물
KR970005241B1 (ko) 두발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31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