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6470B1 - 방향기 - Google Patents

방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470B1
KR100576470B1 KR1020030004257A KR20030004257A KR100576470B1 KR 100576470 B1 KR100576470 B1 KR 100576470B1 KR 1020030004257 A KR1020030004257 A KR 1020030004257A KR 20030004257 A KR20030004257 A KR 20030004257A KR 100576470 B1 KR100576470 B1 KR 100576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flavor
evaporation
support body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4302A (ko
Inventor
요시히로 미나미테
치에 나까노
Original Assignee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001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75157A/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4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2Scent flasks, e.g. with evapor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향료 조성물 수용액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개구부에 보관 유지되어 상기 수용액을 빨아올리는 흡액심과, 상기 흡액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액심이 빨아올린 상기 수용액을 방산시키는 증발부로 이루어지는 방향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천,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외관 체적이 200∼1500cm3의 조화로 피복한 방향기에 관한 것이다. 이 방향기는 향료 조성물의 증산 성능 및 사용성이 우수하고, 또한 높은 인테리어성을 구비하고 있다.
방향기, 향료 조성물, 조화, 흡액심, 천, 플라스틱, 증발부

Description

방향기 {Fragrance emit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기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방향기(fragrance emitting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향료 조성물의 증발 성능 및 사용성에 있어서 개량되고, 또한 인테리어성도 구비한 방향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거주 공간을 쾌적하게 하기 위하여 향료 조성물 용액을 사용하는 액체방향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타입의 방향기로서는, 흡액심을 이용하여 빨아올린 향료 조성물 용액을 휘산부로부터 휘산시키는 흡액심 타입과, 도기나 나무조각으로 이루어진 휘산부에 향료 조성물 용액을 미리 함침 또는 적하시켜 발산시키는 함침 타입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흡액심 타입의 방향기는, 사용에 수반하는 향료 조성물 용액의 감소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증발량의 조절이나 액 누출 방지, 인테리어성 등의 점에서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고, 한편 함침 타입의 것은 사용 경과를 알기 어렵고, 또한 함침시키는 향료 조성물에도 제한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향료의 증발을 실시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흡액심 타입의 방향기에 인테리어성을 부여하는 시도로서, 예를 들어 일본국 실개소 63-158923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평 5-132807호 공보에는, 조화를 조합하는 고안이나 발명이 개시되고 있지만, 단지 조화를 장착할 뿐으로, 방향의 지속성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고려가 전혀 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재 상황이다.
상기와 같은 방향기의 현상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의 증산 성능이나 사용성이 우수하며, 인테리어성도 구비한 실용성의 높은, 흡액심 타입의 방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향료 조성물을 흡액심을 통해 방산시키는데 있어서, 특정의 증발부와 조화를 조합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방향기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방향기는, 향료 조성물 수용액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개구부에 보관 유지되어 상기 수용액을 빨아올리는 흡액심과, 상기 흡액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액심이 빨아올린 상기 수용액을 방산시키는 증발부로 이루어지는 방향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천,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외관 체적이 200∼1500cm3의 조화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방향기 중, 바람직한 형태로서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증발부가 플라스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 이루어지는 펠트(felt) 또는 시트(sheet)상으로, 그 표면적이 10∼80cm2인 상기 방향기;
·상기 증발부를 보관 유지하는 지지체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에 상기 조화를 고정하는 지지대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한 상기 방향기;
·상기 지지대의 저면에 복수개의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저면의 표면적에 대한 상기 구멍의 면적의 총계의 비율을 0.3∼0.7로 하며, 상기 수용액의 1일당의 공중으로의 증발량을 1∼8ml로 한 상기 방향기;
·상기 지지체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에 설치된 계지부(係止部)에 의해 감합(嵌合) 고정되고 있는 상기 방향기;
·상기 용기 본체를 포장체에 수용한 상기 방향기; 및
·상기 포장체가 바구니, 화분, 또는 랩핑 용품인 상기 방향기.
본 발명의 방향기에 사용되는 용기 본체는, 그 재질이나 구조에 특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도기, 유리 등으로 제조할 수 있지만, 내부의 액량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투명 내지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용기가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용기의 용량은 50 내지 300ml 정도가 실용적이다. 또한, 용기의 저부는 향료 조성물 수용액을 남김없이 빨아올릴 수 있도록 흡액심의 당접부를 약간 오목한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 상부의 개구부로의 흡액심의 보관 유지는,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에 씌워서 붙여진 중앙 마개에 의해 실시된다. 상기 중앙 마개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개구부에 씌워 붙여지는 위치에서 하부를 향하여 통형상으로 형성하여 흡액심을 삽입하도록 하면, 흡액심을 확실하게 보관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흡액심은, 향료 조성물 수용액에 대해 안정하고, 또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수용액을 흡액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재질은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플라스틱 섬유, 천연 섬유 또는 목재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플라스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 이루어지는 펠트제의 흡액심이 사용하기 쉽다. 또한, 이 흡액심은 방향기가 사용되는 장소나 목적에 맞추어 외경 3∼10mm 정도의 막대 모양 또는 꽤배기상(撚芯狀)으로 형성될 수 있다.
향료 조성물 또한 특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사용되는 천연 향료, 합성 향료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향료로서 오렌지유, 레몬유, 라임유, 유자유, 라벤더유, 페퍼민트유, 유칼립투스유, 쟈스민유, 편백유, 녹차 정유 등을 들 수 있고, 합성 향료로서 리날롤, 시트로네롤, 게라닐올, 페닐에틸알코올, 아미르신나믹알데히드, 쿠민알데히드, 벤질아세테이트, 리모넨, α-피넨, δ-도데카락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향료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한 조합향료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들 향료 및 물에, 알코올, 글리콜 또는 글리콜에 테르 등으로 대표되는 수용성 유기용제,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착색제 등을 적당 배합하는 것으로써 향료 조성물 수용액을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향기에 있어서, 빨아올린 향료 조성물 수용액을 방산시키는 증발부가 흡액심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증발부는 펠트 또는 시트상이고, 그 재질은 흡액심의 경우와 같이,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플라스틱 섬유, 천연 섬유 또는 목재 등이다. 이 중, 플라스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 이루어지는 펠트 또는 시트상의 것이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합치되어 바람직하고, 그 두께가 2∼15mm, 표면적이 10∼80cm2의 거의 원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증발부를 흡액심의 정수리면에 접하도록 설치하면, 빨아올려진 수용액은 흡액심으로부터 증발부로 옮겨지고, 거기에서부터 서서히 공중으로 방산된다. 또한, 증발부의 표면적이 10cm2 미만이면 증발량이 적어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80cm2를 초과하면 증발량이 너무 많아 지속성에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증발부를 보관 유지하는 지지체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에 조화를 고정하는 지지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로서 예를 들어 저면에 복수개의 구멍이 설치된, 두께가 1∼3mm 정도의 플라스틱 판이 사용된다. 이 경우, 상기 저면의 표면적에 대한 상기 구멍의 면적의 총계의 비율(이하, 구멍 비율로 기재함)을 0.3∼0.7로 설정함으로써, 향료 증발량의 조절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를 용기 본체 상부의 바깥둘레로 감합 고정하도록 하면, 증발부와 흡액심을 용이하게 당접시킬 수 있고 편리하다.
본 발명은, 증발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천,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외관의 체적이 200∼1500cm3인 조화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인테리어성을 부여하고, 또한 향료의 증발량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조화에 있어서의 꽃의 종류나 색조는 임의로 선택된다. 또한, 상기 외관의 체적은 용기 본체의 용량이나 증발부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250∼1000cm3,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500cm3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화의 외관 체적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따라 얻어지는 값을 의미한다:
(i) 우선, 조화 부분을 플라스틱제의 봉투에 넣는다;
(ii) 상기 봉투를 외부로부터 가볍게 눌러서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면서, 조화의 바깥둘레에 상당하는 부분을 봉투 외부로부터 히트 실(heat seal)하여 봉투를 밀봉한다;
(iii) 다음에, 물을 채운 운두가 높은 큰 샤아레에 상기 (ii)에서 얻어진 조화가 들어있는 봉투를 가라앉히고, 그 때의 체적의 증가분을 「조화 외관의 체적」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표면적이 10∼80cm2인 플라스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 이루어지는 펠트 또는 시트상의 증발부, 구멍 비율이 0.3∼0.7의 지지대 및 상기 특정의 외관 체적을 갖는 조화를 조합하는 것으로, 향료 조성물 수용액의 1일당의 공중으로의 증발량을 1∼8ml로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통상의 용량을 갖는 용기 본체를 이 용한 경우의 방향 지속 시간을 1∼2개월로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인테리어성의 우수한 향상과 용기 본체의 보호의 관점에서, 용기 본체는 포장체, 예를 들어 바구니, 화분, 또는 랩핑 용품 등과 조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등나무, 대나무,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구니, 도기나 토기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분에 용기 본체를 수납하여도 좋고, 종이, 부직포, 직포 등의 랩핑 용품으로 용기 본체를 감싸도 좋다. 상기 포장체인 바구니, 화분 또는 랩핑 용품의 크기나 형상은 어떠한 한정도 없고, 예를 들어 향료 조성물 용액의 감소를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창을 설치하여도 좋고, 랩핑 용품으로 감싼 용기 본체를 바구니 또는 화분 등으로 더욱 수납하여도 괜찮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방향기는, 향료 조성물의 증산 성능 및 사용성에 우수하고, 또한 높은 인테리어성을 구비한 것이며, 장기간, 예를 들어 1∼2개월에 걸쳐, 방향감 뿐만 아니라, 꽃의 감상이라는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
계속하여,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시험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방향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방향기의 일례를 나타낸다.
녹차 정유 1g,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0.5g 및 물 118.5g으로 이루어지는 향료 조성물 수용액 120g을 투명 폴리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1)에 충전하였다. 상기 용기 본체(1)의 상부의 개구부(2)에, 외경 7mm의 막대모양 펠트로 이루어지는 흡액심(3)을 삽입 통과시킨 중앙 마개(4)를 씌워서 붙였다. 그 후, 두께 5mm, 직경 4.2cm의 원판상 펠트 증발부(5)를 수용한 지지체(6)를 개구부(2)의 외주로 감합 고정하고, 흡액심(3)의 정수리 면에 증발부(5)를 당접시켰다. 그리고, 증발부(5)의 지지체(6) 상에 외관의 체적이 400cm3인 수국을 본뜬 플라스틱제의 조화(8)를 고정하는 조화 지지대(7)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며, 더욱 등으로 짠 꽃바구니(9)에 용기 본체(1)를 세트하여 본 발명의 방향기를 얻었다.
이 방향기를 리빙룸의 찬장 위에 두어서 사용한 결과, 약 2개월간에 걸쳐 방향의 증산이 지속되었고, 수국을 본뜬 조화도 인테리어로서 매우 적합한 것이었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방향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며, 실시예 1의 용기 본체(1)를 꽃바구니로 세트하지 않고, 포장지(10)로 감싼 것이다.
실시예 3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방향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며, 실시예 1의 용기 본체(1)를 포장지(10)로 우선 감싸고, 그 다음에 꽃바구니(9)에 세트한 것이다.
시험예
실시예에 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각종 방향기를 작성하고, 20∼25℃의 6개의 다다미를 갖는 크기의 방에 설치하여 이하의 성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향료 조성물 수용액, 실시예에서 이용한 녹차 정유를 적절히 다른 향료로 치환하고, 또한 흡액심은 외경 7mm로 막대 모양의 것을 이용하여 조제하였고, 증발부나 조화 등의 사양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였다.
성능 시험 항목은 (1)방향감의 지속성 및 (2)인테리어성이고, 그 결과를 기초로 종합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방향감의 지속성은 하기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시험개시 후 1주일마다 공시 방향기를 1.8m3의 박스내에 넣어서, 10분후의 박스내의 향기를 관능에 의해 평가하였다. 개봉 직후의 향기를 5점(표준품)으로서 하기 기준에 기초하여 향기가 3점이 될 때까지의 일수를 조사하였다.
5점: 표준품과 동등의 방향감.
4점: 표준품과 비교하여 약간 방향감이 뒤떨어진다.
3점: 표준품과 비교하여 비교적 방향감이 뒤떨어진다.
2점: 표준품과 비교하여 상당히 방향감이 뒤떨어진다.
1점: 표준품과 비교하여 방향감의 저하가 크고, 향기질이 열화되어 있다.
방향기의 사양 종합평가
방향성분 흡액심; 재질 증발부; 재질, 표면적(cm2) 조화체적 (cm3) 조화지지대 저면;공비율 포 장 체 지 속 성 인테리어성
본 발 명 1 녹차유 펄프펠트 펄프펠트, 40 300 0.8 있음 3주간
2 ˝ ˝ ˝, 70 1500 0.5 있음 2개월
3 ˝ ˝ ˝, 10 1000 0.7 있음 2개월
4 라임유 ˝ ˝, 30 250 0.6 있음 1개월
5 리모넨 나일론심 나일론섬유, 20 400 0.6 있음 2개월
6 편백유 ˝ ˝, 30 600 0.5 있음 2개월
7 라벤더 목재 목재, 80 450 0.3 있음 1개월
8 α-피넨 ˝ 양모펠트, 80 200 0.25 있음 3주간
비 교 1 녹차유 펄프펠트 - 300 - 있음 ×
2 ˝ ˝ 양모펠트, 120 80 0.6 있음 <3주간 ×
3 ˝ ˝ 펄프펠트, 70 - 0.7 - <3주간 ×
4 ˝ ˝ - - 0.1 - ×
5 시판품: 도기제 함침 타입 1개월 ×
※ 방향성이 없어 평가 안됨.
시험 결과, 본 발명의 방향기는 (1)방향감의 지속성 및 (2)인테리어성이 모두 우수하고, 실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증발부의 표면적은 10∼80cm2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고, 조화 외관의 체적은 200∼1500cm3의 범위가 적당하였다. 또한, 증발부의 지지체 상에, 구멍 비율이 0.3∼0.7인 저면을 갖는 조화 지지대를 장착하는 것은, 증발량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바람직한 수단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비하여, 증발부를 설치하지 않은 방향기(비교예 1 및 4)에서는, 증발량이 적고, 방향성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2와 같이, 증발부를 조화로 피복 하여도 그 외관의 체적이 200cm3 미만의 경우나, 조화를 수반하지 않는 방향기(비교예 3)는, 인테리어성에 뒤떨어지는 것은 물론, 증발량의 조절 기능도 불충분하며, 본 발명의 목적에 합치하지 않았다. 또한, 도기에 향료 조성물을 함침시킨 타입의 시판품은 인테리어성에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기는 향료 조성물의 증산 성능이나 사용성이 우수하며, 인테리어성도 구비한 실용성이 높다.

Claims (9)

  1. 향료 조성물 수용액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개구부에 보관 유지되어 상기 수용액을 빨아올리는 흡액심과, 상기 흡액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액심이 빨아올린 상기 수용액을 방산시키는 증발부로 이루어지는 방향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천,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외관 체적이 200∼1500cm3의 조화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가 플라스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 이루어지는 펠트 또는 시트상으로, 그 표면적이 10∼80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를 보관 유지하는 지지체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에 조화를 고정하는 지지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를 보관 유지하는 지지체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에 조화를 고정하는 지지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저면에 복수개의 구멍을 설치하고, 저면의 표면적에 대한 구멍 면적의 총계의 비율을 0.3∼0.7로 하며, 상기 수용액의 1일당의 공중으로의 증발량을 1∼8ml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용기 본체의 외주에 설치된 계지부에 의해 감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용기 본체의 외주에 설치된 계지부에 의해 감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를 포장체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가 바구니, 화분 또는 랩핑 용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
KR1020030004257A 2002-01-25 2003-01-22 방향기 KR100576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16390 2002-01-25
JP2002016390 2002-01-25
JPJP-P-2002-00226051 2002-08-02
JP2002226051 2002-08-02
JP2003000015A JP2003175157A (ja) 1994-06-14 2003-01-06 細分分岐リール型スロットマシン
JPJP-U-2003-00000015 2003-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302A KR20030064302A (ko) 2003-07-31
KR100576470B1 true KR100576470B1 (ko) 2006-05-08

Family

ID=5023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257A KR100576470B1 (ko) 2002-01-25 2003-01-22 방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4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302A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79277A1 (en) Scent devices and methods
US6698665B2 (en) Fragrance emitting apparatus
US6391398B1 (en) Fragrant artificial flower apparatus
US8235308B2 (en) Fragrance dispensing assembly with buoyant reeds
JP4722978B2 (ja) 倒立型揮散装置
US12208182B2 (en) Device for dispensing a volatile liquid
JP2007130439A (ja) 揮散器
US20150021408A1 (en) Customizable scent dispenser
CA1144074A (en) Vapor-control agent with perfume absorbed on substrate
KR100576470B1 (ko) 방향기
JP4829589B2 (ja) 飛翔害虫忌避剤
JP4761920B2 (ja) 揮散装置
JP4241058B2 (ja) 放香器
KR20220000166A (ko) 향기나는 화기 방향제
JP3095098U (ja) 放香器
JP2016185139A (ja) 防虫用薬剤揮散具
JPH05132807A (ja) 香りを出す造花
US20080169220A1 (en) Instant and continuous fragrance dispensing assembly, method of packaging, and method of using same
JP6842424B2 (ja) 倒立型揮散装置
JP4829558B2 (ja) 防虫剤
JP2974725B2 (ja) 徐放具
JP2005125069A (ja) 放香器
KR20190002206U (ko) 피톤치드 기능을 최적화시킨 구조를 구비한 목재 블럭
CN100486433C (zh) 飞翔害虫驱除剂组合物
JP3164011U (ja) 吸液タイプの造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9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1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