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5746B1 - 폴더형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폴더형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746B1
KR100575746B1 KR1020030075628A KR20030075628A KR100575746B1 KR 100575746 B1 KR100575746 B1 KR 100575746B1 KR 1020030075628 A KR1020030075628 A KR 1020030075628A KR 20030075628 A KR20030075628 A KR 20030075628A KR 100575746 B1 KR100575746 B1 KR 100575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hinge connection
main body
terminal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0433A (ko
Inventor
양지선
양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746B1/ko
Priority to EP04025426A priority patent/EP1528756B1/en
Priority to DE602004010772T priority patent/DE602004010772T2/de
Priority to AT04025426T priority patent/ATE381847T1/de
Priority to JP2004313156A priority patent/JP2005136996A/ja
Priority to US10/975,939 priority patent/US7437185B2/en
Priority to CN200410089630A priority patent/CN100588208C/zh
Publication of KR20050040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ransmitter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 폴더형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본체와; 단말기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와; 단말기본체와 폴더 사이에 설치되어 폴더와 단말기본체를 연결하고 폴더가 단말기본체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게 가이드하는 힌지연결부; 및 힌지연결부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로 구성되고, 힌지연결부는, 단말기본체로부터 연결되는 본체측 힌지연결부 및, 본체측 힌지연결부의 양단에 배치되고 폴더부로부터 각각 연결되는 제1폴더측 힌지연결부와 제2폴더측 힌지연결부로 구성되며, 제1폴더측 힌지연결부 및 제2폴더측 힌지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본체측 힌지연결부 사이에는 조립을 위한 조립여유공간부가 형성되어 조립여유공간부에 마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본체에 폴더가 조립된 상태에서 폴더의 측면에서 폴더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폴더가 본체의 상단부 양측에 조립되어 있으므로 유동이나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고, 단말기를 바닥에 떨어뜨려도 본체와 폴더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폴더형 휴대 단말기{FOLDER TYPE 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폴더에 측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폴더유동방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폴더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조를 가지는 단말기의 폴더에 측방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단말기 본체 102 : 힌지
104 : 폴더 107 : 카메라
111 : 폴더 케이스 112 : 제1폴더측 힌지연결부
121 : 본체 케이스 122 : 제1본체측 힌지연결부
123 : 제2본체측 힌지연결부 130 : 제2폴더측 힌지연결부
131 : 조립여유공간부 132 : 마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의 측면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폴더가 유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유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를 하고 이동을 하며 음성 송수신뿐 아니라 인터넷 접속 및 동영상시청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로서, 그 형태에 따라 바 타입 휴대용 단말기(bar type mobile phone), 플립 타입 휴대용 단말기(flip type mobile phone),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folder type mobile phone) 등이 있으며, 폴더 타입 단말기는 평상시에 엘시디가 설치되는 폴더를 본체의 상면에 접어서 컴팩트한 형태로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에 개발되는 대부분의 단말기는 폴더 타입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개의 버튼(1a)들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 피시비가 내장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1)와, 그 단말기 본체(1)에 상면에 본체(1)에 대하여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1)를 보호함과 아울러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2a)이 내,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폴더(2)와, 상기 단말기 본체(1)의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충방전하기 위한 배터리(4) 및 상단부 일측에 설치 되어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본체(1)의 본체 케이스(6)의 상단부에는 본체 케이스(6)에 연장되도록 중앙에는 중앙연결부(7)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연결부(7)와 일정간격을 두고 외측에는 외측연결부(8)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폴더(2)의 폴더 케이스(11) 하단부 일측에는 폴더 케이스(6)에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 케이스(6)의 중앙연결부(7)와 외측연결부(8)의 사이에 삽입되는 폴더측연결부(1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폴더측연결부(12)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결합돌부(12a)가 본체 케이스(6)의 중앙연결부(7)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부(7a)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측에 형성된 힌지결합홈(12b)에 힌지(13)이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된 단부가 외측연결부(8)의 내측면에 형성된 힌지삽입홈(8a)에 삽입되어 본체(1)와 폴더(2)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6)의 중앙연결부(7) 타측에 형성된 카메라결합홈(미도시)에는 카메라(14)가 삽입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1)에 폴더(2)를 조립할때는 폴더(2)의 폴더측연결부(12)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부(12a)를 본체(1)의 중앙연결부(7)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부(7a)에 삽입하고, 폴더측연결부(12)의 타측에 형성된 힌지결합홈(12b)에 힌지(13)를 삽입한 상태에서 돌출부를 본체(1)의 외측연결부(8)에 형성된 힌지삽입홈(8a)에 삽입하여 폴더(2)의 폴더측연결부(12)가 본체(1)의 중앙연결부(7)와 외측연결부(8)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폐가능하게 결합 고정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단말기를 휴대하고 이동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하고자 할 때는 본체(1)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덮어 있는 폴더(2)를 열어서 본체(1)에 대하여 폴더(2)가 소정각도로 열리도록 한 상태에서 본체(1)의 상면에 형성된 버튼(1a)을 눌러서 전화를 걸거나 전화통화를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본체(1)의 상단부 일측에 카메라(14)가 설치되어 있는 폴더형의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1)와 폴더(2)를 연결하는 연결부위가 카메라(14)의 반대쪽에 치우치게 위치되도록 일종의 외팔보 형태로 설계되기 때문에 도 3에서 화살표로 표시된것과 같이 사용중에 폴더(2)의 측방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본체(1)의 중앙연결부(7)와 폴더(2)의 폴더측연결부(12)의 사이에 유격이 쉽게 발생되어 안정감이 떨어지고, 사용자가 단말기를 떨어뜨리는 경우에는 본체(1)와 폴더(2)의 연결부위가 쉽게 해체되어 본체(1)에서 폴더(2)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폴더가 외력에 의해 쉽게 유동되거나 단말기의 낙하시 본체에서 폴더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단말기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하는데 적합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본체와; 단말기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와; 단말기본체와 폴더 사이에 설치되어 폴더와 단말기본체를 연결하고 폴더가 단말기본체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게 가이드하는 힌지연결부; 및 힌지연결부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부는,
단말기본체로부터 연결되는 본체측 힌지연결부 및, 본체측 힌지연결부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폴더로부터 연결되는 제1폴더측 힌지연결부와 제2폴더측 힌지연결부로 구성되며, 제1폴더측 힌지연결부 및 제2폴더측 힌지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본체측 힌지연결부 사이에는 조립을 위한 조립여유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립여유공간부에 마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삭제
삭제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폴더유동방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폴더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있고 그 수용공간의 내측에 피시비가 수용되어 있고 상면에는 다수개의 버튼(101a)들이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101)와, 그 단말기 본체(101)의 상단부 일측에 결합되며 화면(103)이 내,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폴더(104)와, 단말기 본체(101)와 폴더(104) 사이에 설치되어 단말기 본체(101)와 폴더(104)를 연결하고 폴더(104)가 단말기 본체(101)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힌지연결부 및, 힌지연결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카메라(107)로 구성된다.
본체(101)의 후면에는 본체(10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원을 충방전하기 위한 배터리(105)가 구비되고, 본체(101)의 상단부 일측에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06)가 설치되어 있다.
힌지연결부는, 단말기 본체(101)로부터 연결되는 제1본체측 힌지연결부(122)와, 제1본체측 힌지연결부(122)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단말기 본체(101)로부터 연결되는 제2본체측 힌지연결부(123)와, 제1본체측 힌지연결부(122)와 제2본체측 힌지연결부(123) 사이에 배치되고 폴더(104)로부터 연결되는 제1폴더측 힌지연결부(112) 및, 제1폴더측 연결부(112)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제1본체측 힌지연결부(122)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폴더(104)로부터 연결되는 제2폴더측 힌지연결부(130)로 구성된다.
삭제
상기 제1폴더측 힌지연결부(112)의 일측에는 결합돌부(112a)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 케이스(121)의 제1본체측 힌지연결부(122) 일측에는 결합돌부(112a)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본체측 힌지연결부(123)의 내측에는 제1폴더측 힌지연결부(112)의 타측에 형성된 힌지결합홈(112b)에 삽입되는 힌지(미도시)가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된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삭제
상기 제2폴더측 힌지연결부(130)는 상기 폴더 케이스(111)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카메라(107)가 일정부분 삽입되어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폴더 케이스(111)에 형성된 제2폴더측 힌지연결부(130)와 본체 케이스(121)에 형성된 제1본체측 힌지연결부(122)의 사이에는 폴더(104)의 결합시 조립이 용이하도록 조립여유공간부(13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조립여유공간부(131)는 폴더(104)가 결합된 후에 미관을 위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개(132)가 결합된다.
상기 마개(132)는 반경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게 일정 폭으로 개방된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개(132)의 삽입시 그 개방된 양 단이 힌지연결부에 걸릴 수 있게 탄성을 가진 후크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1은 카메라를 본체 케이스(121)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stopper)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유동방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체(101)에 폴더(104)를 조립할 때는 폴더(104)의 제1폴더측 힌지연결부(112)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부(112a)를 본체(101)의 제1본체측 힌지연결부(122)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부(122a)에 삽입하고, 제1폴더측 힌지연결부(112)의 타측에 형성된 힌지결합홈(122b)에 힌지(102)를 삽입한 상태에서 돌출된 단부를 본체(101)의 제2본체측 힌지연결부(123)에 형성된 힌지삽입홈(123a)에 삽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1본체측 힌지연결부(122)의 타측에 제1폴더측 힌지연결부(112)와 일정간격을 두고 반대쪽에 형성된 제2폴더측 힌지연결부(130)가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카메라(107)를 제2폴더측 힌지연결부(130)의 중앙부를 관통함과 아울러 본체 케이스(121)에 형성된 제1본체측 힌지연결부(122)의 카메라결합홈(122c)에 일단부가 삽입시킨 상태에서 스토퍼(141)로 카메라(107)를 본체 케이스(121)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101)와 폴더(104)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에 의해, 조립된 상태에서는 도 7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것과 같이 측방에서 폴더(104)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본체(101)에 폴더(104)의 폴더측연결부(112)가 연결됨과 아울러 그 반대쪽에 제2폴더측 힌지연결부(130)가 연결되어 있어서 유동이 발생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부주위로 바닥에 단말기를 떨어뜨렸을때도 본체(101)와 폴더(104)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폴더측 힌지연결부(130)와 제1본체측 힌지연결부(122)의 사이는 조립여유공간부(131)가 형성되는데, 그 조립여유공간부(131)는 마개(132)로 막아 줌으로써 미관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폴더형 휴대 단말기는 폴더의 하단부 일측에 본체의 상단부 일측에 연결되는 제1폴더측 힌지연결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반대쪽에 본체의 상단부 타측에 연결되는 제2폴더측 힌지연결부를 형성하여, 본체에 폴더가 조립된 상태에서 폴더의 측면에서 폴더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폴더가 본체의 상단부 양측에 조립되어 있어서 유동이나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고, 단말기를 바닥에 떨어뜨려도 본체와 폴더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폴더의 조립을 위한 조립여유공간부는 마개를 이용하여 막아줌으로써 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단말기본체와; 상기 단말기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와; 상기 단말기본체와 폴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폴더와 단말기본체를 연결하고 상기 폴더가 단말기본체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게 가이드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힌지연결부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단말기본체로부터 연결되는 본체측 힌지연결부 및, 상기 본체측 힌지연결부의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폴더부로부터 각각 연결되는 제1폴더측 힌지연결부와 제2폴더측 힌지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폴더측 힌지연결부 및 제2폴더측 힌지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본체측 힌지연결부 사이에는 조립을 위한 조립여유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립여유공간부에 마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반경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게 일정 폭으로 개방된 고리 형태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삽입시 그 개방된 양 단이 상기 힌지연결부에 걸릴 수 있게 탄성을 가진 후크 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
  4. 삭제
KR1020030075628A 2003-10-28 2003-10-28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100575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628A KR100575746B1 (ko) 2003-10-28 2003-10-28 폴더형 휴대 단말기
EP04025426A EP1528756B1 (en) 2003-10-28 2004-10-26 Folder type mobile terminal
DE602004010772T DE602004010772T2 (de) 2003-10-28 2004-10-26 Klappbares Kommunikationsgerät
AT04025426T ATE381847T1 (de) 2003-10-28 2004-10-26 Klappbares kommunikationsgerät
JP2004313156A JP2005136996A (ja) 2003-10-28 2004-10-27 折畳式携帯端末機
US10/975,939 US7437185B2 (en) 2003-10-28 2004-10-27 Folder type mobile terminal
CN200410089630A CN100588208C (zh) 2003-10-28 2004-10-28 折叠式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628A KR100575746B1 (ko) 2003-10-28 2003-10-28 폴더형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433A KR20050040433A (ko) 2005-05-03
KR100575746B1 true KR100575746B1 (ko) 2006-05-03

Family

ID=3442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628A KR100575746B1 (ko) 2003-10-28 2003-10-28 폴더형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37185B2 (ko)
EP (1) EP1528756B1 (ko)
JP (1) JP2005136996A (ko)
KR (1) KR100575746B1 (ko)
CN (1) CN100588208C (ko)
AT (1) ATE381847T1 (ko)
DE (1) DE602004010772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3962B2 (en) 2019-08-08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camer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8884A1 (en) * 2002-05-23 2003-12-11 Hiroshi Iwai Two folding mobile telephone and mobile telephone
US7089035B2 (en) * 2003-10-28 2006-08-08 Omron Corporation Wireless operating system
KR100617688B1 (ko) * 2004-05-19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30068B1 (ko) * 2005-01-25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67531B1 (ko) * 2005-03-09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부의 흔들림이 방지되는 폴더형 휴대폰
WO2007023672A1 (ja) * 2005-08-22 2007-03-01 Sugatsune Kogyo Co., Ltd. ヒンジ装置
US8186015B2 (en) 2005-09-29 2012-05-29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Self-contained floating shaft hinge mechanism
USD567205S1 (en) * 2006-02-10 2008-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phone with removable wireless earpiece
KR101007611B1 (ko) 2006-03-17 2011-01-12 갤럭시아디바이스 주식회사 개인휴대단말기의 단자 결합구조 및 그 결합방법
JP5114035B2 (ja) * 2006-09-08 2013-01-09 日本電気株式会社 ヒンジ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折り畳み型携帯端末
CN100510205C (zh) * 2007-06-06 2009-07-08 中国科学院安徽光学精密机械研究所 Yb掺杂的锗酸钆、锗酸镧及其熔体法生长方法
CN103795827B (zh) * 2013-08-16 2016-09-21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电路板组件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6328B2 (ja) * 1997-08-22 200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端末装置
KR100274623B1 (ko) * 1997-12-23 2000-12-15 윤종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JP3265572B2 (ja) * 1998-11-20 2002-03-11 日本電気株式会社 折畳式携帯電話器の開閉装置
KR100678082B1 (ko) * 1998-12-30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메인 보드와 엘씨디 모듈간의연결장치
KR20010068807A (ko) * 2000-01-10 2001-07-23 윤종용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JP3739641B2 (ja) * 2000-04-19 2006-01-25 富士通株式会社 折りたたみ型携帯機
JP3448547B2 (ja) * 2000-05-12 2003-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4637332B2 (ja) * 2000-08-04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無線装置
JP2002290523A (ja) 2001-03-22 2002-10-04 Minolta Co Ltd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機器
JP3643787B2 (ja) * 2001-05-09 2005-04-27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み式携帯端末機器
JP5036103B2 (ja) * 2001-05-14 2012-09-2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用通信機
JP3483144B2 (ja) * 2001-05-31 2004-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KR100539527B1 (ko) * 2001-06-12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JP4578727B2 (ja) * 2001-06-19 2010-1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動機能付きカメラを備えた情報端末装置
KR100449451B1 (ko) * 2001-12-08 2004-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KR100672095B1 (ko) * 2002-06-26 2007-01-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
KR100474292B1 (ko) * 2002-07-02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폴더
KR100469361B1 (ko) * 2002-07-24 2005-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JP4071568B2 (ja) * 2002-07-30 2008-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JP2004120670A (ja) * 2002-09-30 2004-04-15 Hitachi Ltd 折畳み式携帯端末装置
KR100480434B1 (ko) * 2002-11-13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3962B2 (en) 2019-08-08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36996A (ja) 2005-05-26
DE602004010772D1 (de) 2008-01-31
EP1528756A1 (en) 2005-05-04
ATE381847T1 (de) 2008-01-15
DE602004010772T2 (de) 2008-12-24
CN100588208C (zh) 2010-02-03
US7437185B2 (en) 2008-10-14
CN1612576A (zh) 2005-05-04
US20050090297A1 (en) 2005-04-28
EP1528756B1 (en) 2007-12-19
KR20050040433A (ko) 200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677B1 (ko) 휴대 단말기의 다축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결 부재
KR10056627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KR100575746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JP2004235897A (ja) 携帯電話機並びにスライド機構
KR100640395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및 그의 장착 메카니즘
KR100640452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51410B1 (ko) 2-웨이 폴더형 단말기
KR20070073252A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24919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509889B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KR200214945Y1 (ko) 회전 개방식 휴대폰
KR100747458B1 (ko) 폴더 및 슬라이드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78373A (ko) 삼중 폴더형 단말기
KR200174762Y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101354399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50068329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621006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53980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10104976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장치
KR100592182B1 (ko)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1495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분리형 힌지암
KR200241098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757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KR100617738B1 (ko) 거치용 충전기를 구비한 무선 단말 장치
KR100790137B1 (ko) 스트랩 홀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