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5775B1 -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775B1
KR100575775B1 KR1020040036530A KR20040036530A KR100575775B1 KR 100575775 B1 KR100575775 B1 KR 100575775B1 KR 1020040036530 A KR1020040036530 A KR 1020040036530A KR 20040036530 A KR20040036530 A KR 20040036530A KR 100575775 B1 KR100575775 B1 KR 100575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key
key
portable terminal
input
thicknes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288A (ko
Inventor
박철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6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775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일측면에 키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키패드가 형성된 일측면과 수직하게 접하는 측면에 사이드키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장착되어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촉신호 감지부에 접촉되어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사이드키와, 상기 입력사이드키에 겹쳐지도록 장착되어 두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하는 이동사이드키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사이드키가 두께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입력사이드키에 선택적으로 겹친 상태가 되어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이동사이드키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사이드키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SIDE-KEY OF MOBILE PHONE}
도 1은 종래 구조로 이루어진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장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이드키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사이드키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5는 사이드키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사이드키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 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B-B"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이동사이드키 21a : 가이드 돌기
22 : 입력사이드키 23 : 가이드레일
101 : 본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주머니에 넣고 이동중인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 사이드키가 눌려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히 길죽한 형태의 바(bar)형, 바(bar)형의 키패드 부분을 복개할 수 있도록 커버를 힌지결합시켜 놓은 플립형, 단말기 표시소자인 LCD(Liquid Crystal Display)부분과 키 패드 부분을 분리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한 폴더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처음엔 단순히 음성 통신에만 이용하였지만 근래에는 AM 또는 FM 라디오 방송 청취나, MP3 뮤직(Music)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시킨 후 필요할 때 재생하여 듣거나, 카메라를 장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 다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누르거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버튼들로 이루어진 키 패드부, 다이얼한 전화번호나 현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설정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또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display)와, 이어폰을 연결하는 이어폰 연결부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선택 사양으로 통화 시 다른 사람에게 통화내용이 들리지 않도록 할 때 사용하는 마이크 겸용 이어폰과, 차량운전 시 사용하는 핸즈프리 키트(kit), 그리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Cable)로서, 예를 들면 리셉터클(Receptacle)이 있다.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가 더욱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부분에서 동서남북형태로 구성되는 4 way navigation key나, 조이 스틱(joy stick), 스크롤 바(scroll bar) 등이 입력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음량 조절이나, 날짜 변환, 매너모드로 들어가거나 해제하는 등의 간단한 버튼 입력이 필요할 경우, 사이드키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드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중 폴더형 단말기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구조로 이루어진 사이드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구조로 이루어진 사이드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101)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된 폴더(102)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폴더(102)를 열었을 시 외부로 노출되는 폴더(102)의 내측면에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엘시디(103)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1)의 후면에는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밧데리(104)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1)는 다수개의 키패드(111)들이 설치된 상부커버(112)와, 그 상부커버(112)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커버(113) 및 상기 상부커버(112)와 하부커버(113)의 사이에 배치되며 각종 부품이 장착되고, 상기 키패드(111)에 접촉 되어 입력신호를 감지하는 메인 피시비(11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커버(112)의 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키결합공(112a)에는 사이드 키(121)가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키(121)의 내측에는 그 전면에 사이드 키(121)에 접촉되며 가압되는 돔 스위치(122)가 형성된 사이드키 피씨비(123)가 삽입홈(112b)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키 피씨비(123)에는 메인피씨비(114)와 연결하는 케이블(124)이 연결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키(121)는 키결합공(121a)에 삽입되어 일측면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본체(101) 내부를 향하는 타측면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돔 스위치(121)에 접촉되도록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푸시돌기(126)가 장착되며, 사이드키(121)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타측면의 둘레면인 측면을 따라 연장되고 각각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걸림턱(125)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구조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121)를 누르면, 사이드키(121)은 키결합공(121a)에 안내되어 본체(101)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사이드키(121)의 타측면에 형성된 푸시돌기(126)가 돔스위치(122)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면 그 입력신호는 케이블(124)을 통해 메인피씨비(114)에 전달되어 음량 조절이나, 날짜 변환, 매너모드로 들어가거나 해제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사이드키(121)의 일측면은 항상 본체(10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호주머니 등에 넣고 이송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 기를 사용하고자 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이드키(121)의 일측면에 압력이 가해져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구조를 개선하여 사이드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신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는 본체의 일측면에 키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키패드가 형성된 일측면과 수직하게 접하는 측면에 사이드키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장착되어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촉신호 감지부에 접촉되어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사이드키와, 상기 입력사이드키에 겹쳐지도록 장착되어 두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하는 이동사이드키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사이드키가 두께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입력사이드키에 선택적으로 겹친 상태가 되어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이동사이드키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입력사이드키 및 이동사이드키가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키결합공과, 상기 키결합공의 관통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사이드키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이동사이드키의 폭 방향으로 양 끝단부에 짝을 이루어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이동사이드키의 길이 방향으로 양 끝단부에 짝을 이루어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사이드키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사이드키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5는 사이드키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사이드키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 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B-B"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키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101)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된 폴더(102)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폴더(102)를 열었을 시 외부로 노출되는 폴더(102)의 내측면에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엘시디(103)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1)의 후면에는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밧데리(104)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1)는 다수개의 키패드(111)들이 설치된 상부커버(112) 와, 그 상부커버(112)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커버(113) 및 상기 상부커버(112)와 하부커버(113)의 사이에 배치되며 각종 부품이 장착되고, 상기 키패드(111)에 접촉되어 입력신호를 감지하는 메인 피시비(11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커버(112)의 측면에는 관통된 키결합공(112a)이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작동되는 접촉신호감지부인 돔스위치(122)가 형성된 사이드키 피씨비(123)가 삽입홈(112b)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키 피씨비(123)에는 메인피씨비(114)와 연결하는 케이블(124)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키 결합공(112a)에 삽입되어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접촉신호감지부인 돔스위치(122)에 접촉되는 입력사이드키(21)와, 상기 입력사이드키(21)에 겹쳐지도록 장착되어 두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하는 이동사이드키(22)가 겹쳐지게 장착되고, 상기 입력사이드키(21) 및 이동사이드키(22)가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키결합공(112a)의 관통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동사이드키(22)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사이드키(22)의 길이 방향 양 끝단부에는 각각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22a)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3)은 상기 가이드 돌기(22a)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이동사이드키(22)의 길이 방향 양 끝단부에 접하도록 짝을 이루어 함몰되고 연장된다.
또한, 돔스위치(122)에 접하는 입력사이드키(21)의 일측면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푸시돌기(126)가 장착되며, 입력사이드키(21)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타측면의 둘레면인 측면을 따라 연장되고 각각 소정의 높이 로 돌출된 걸림턱(21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사이드키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사이드키(22)가 입력사이드키(21)에 겹친 상태가 되도록 위치시킨 후 이동사이드키(22)를 두께방향으로 가압하면 입력사이드키(22) 및 이동사이드키(22)는 키결합공(121a)에 안내되어 본체(101)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푸시돌기(126)가 돔스위치(122)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그 입력신호는 케이블(124)을 통해 메인피씨비(114)에 전달되어 음량 조절이나, 날짜 변환, 매너모드로 들어가거나 해제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호주머니에 넣고 이동하는 경우와 같이 사이드키를 작동시키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사이드키(22)의 가이드돌기(22a)가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가이드레일(23)을 따라 이동사이드키(22)를 이동시켜 이동사이드키(22)가 입력사이드키(21)와 겹친 상태를 벗어나게 되면 이동사이드키(22)는 상부커버(112)에 걸쳐진 상태가 되어 이동사이드키(22)에 두께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도 그 힘이 입력사이드키(21)에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사이드키(22)가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는 다르게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길이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하여 가이드 돌기가 이동사이드키(22)의 폭방향 양 끝단부에 형성되고, 가이드레일 또한 이동사이드키(22)의 폭방향 양 끝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이 동되도록 짝을 이루어 함몰되고 이동사이드키(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는 입력사이드키(21) 및 이동사이드키(22)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사이드키(22)가 두께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입력사이드키(21)에 선택적으로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드키를 동작시키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동사이드키(22)를 두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입력사이드키(21)에 겹쳐진 상태를 벗어나도록 하여 두께방향으로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는 입력사이드키 및 이동사이드키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사이드키가 두께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입력사이드키에 선택적으로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드키를 동작시키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동사이드키를 두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입력사이드키에 겹쳐진 상태를 벗어나도록 하여 두께방향으로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이드키의 오작동의 방지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본체의 일측면에 키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키패드가 형성된 일측면과 수직하게 접하는 측면에 사이드키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장착되어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촉신호 감지부에 접촉되어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사이드키와, 상기 입력사이드키에 겹쳐지도록 장착되어 두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하는 이동사이드키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사이드키가 두께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입력사이드키에 선택적으로 겹친 상태가 되어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이동사이드키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입력사이드키 및 이동사이드키가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키결합공과, 상기 키결합공의 관통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사이드키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사이드키의 폭 방향 양 끝단부에 접하도록 짝을 이루어 함몰되고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의 사이드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사이드키의 길이 방향 양 끝단부에 접하도록 짝을 이루어 함몰되고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사이드키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KR1020040036530A 2004-05-21 2004-05-21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KR100575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530A KR100575775B1 (ko) 2004-05-21 2004-05-21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530A KR100575775B1 (ko) 2004-05-21 2004-05-21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288A KR20050111288A (ko) 2005-11-24
KR100575775B1 true KR100575775B1 (ko) 2006-05-03

Family

ID=3728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530A KR100575775B1 (ko) 2004-05-21 2004-05-21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7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1532A (zh) * 2013-12-25 2014-04-1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侧键控制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918A (ko) * 2001-06-01 2002-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버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918A (ko) * 2001-06-01 2002-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버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288A (ko)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7630B2 (ja) 無線電話
KR20080017748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75746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100312546B1 (ko) 외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가 슬라이딩개폐되는 폴더형휴대폰
KR1005757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KR1006198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 키
KR100724919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365797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509889B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KR200214946Y1 (ko) 신호입력버튼부가 외부로 인출되는 휴대폰
KR20020031572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버튼 홀딩장치
KR10094653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조립구조
KR10053980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100317627B1 (ko) 슬라이드식과 플립식으로 개폐되는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
KR100608750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60035183A (ko) 마이크로스피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65110Y1 (ko) 핸드폰의 슬라이딩 키패드장치
KR20050079361A (ko) 양방향 슬라이드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44607Y1 (ko) 듀얼 엘시디 폴더 폰의 외부송/수신장치
KR100631707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774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50785B1 (ko) 양방향 슬라이드 개폐식 이동통신단말기
KR100400550B1 (ko) 휴대폰의 버튼장치
KR20070082442A (ko)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KR101284272B1 (ko)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