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4694B1 -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 - Google Patents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694B1
KR100574694B1 KR1020030096575A KR20030096575A KR100574694B1 KR 100574694 B1 KR100574694 B1 KR 100574694B1 KR 1020030096575 A KR1020030096575 A KR 1020030096575A KR 20030096575 A KR20030096575 A KR 20030096575A KR 100574694 B1 KR100574694 B1 KR 100574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lock
locking
coupling
switch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4960A (ko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영자동제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영자동제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영자동제어
Priority to KR1020030096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694B1/ko
Publication of KR20050064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4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64Protective covers for terminal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의 소켓과 접속블럭을 간단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부품수를 감소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호환성 및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외측에 두 개의 접지단자(11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접지단자(111)를 선택적으로 통전시키는 접점수단(112)이 구비된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한 개의 걸림돌기(113a)가 형성된 제 1 결합부(113); 상기 제 1 결합부(113)의 맞은편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13a)와 결합되는 걸림공(114a)이 형성된 제 2 결합부(114); 상기 접지단자(111)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공구삽입부(115a)를 형성하는 보호캡(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위치, 접속블럭, 결합돌기, 걸림공, 접지단자, 접점수단

Description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Connection block of industry switch}
도 1 은 종래의 산업용 스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 는 종래의 산업용 스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이 스위치의 소켓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이 스위치의 소켓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접속블럭 110: 몸체
111: 접지단자 112: 접점수단
113: 제 1 결합부 113a,122a: 걸림돌기
113b,122b: 걸림턱 113c,122c: 안내돌기
114: 제 2 결합부 114a: 걸림공
114b: 걸림편 115: 보호캡
115a: 공구삽입부 116; 공간부
117: 가이드 117a: 홈
120: 스위치몸체 121: 소켓
본 발명은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의 소켓과 접속블럭을 간단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부품수를 감소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호환성 및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기계나 일반장비 등에 설치하여 전원을 접속시키거나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 은 이러한 종래 스위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스위치몸체(10)가 결합된 소켓(11)의 양측면에 삽입부(12)를 각각 형성하여 상,하로 분할된 삽입부(12)에 걸림돌기(13)를 돌출되게 형성하며, 전선을 연결하는 접지부(14)가 형성된 접속구(15)의 양측부에 결합판(16)을 각각 형성하고 상,하로 분할된 각각의 결합판(16)에 걸림공(17)을 형성하여서, 접속구(15)의 결합판(16)을 소켓(11)의 삽입부(12)에 끼워 결합하면 걸림공(17)이 걸림돌기(13)에 걸려 고정되므로 소켓(11)에 접속구(15)가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위치(1)는 결합판(16)과 삽입부(12)에 각각 형성된 걸림공(17)과 걸림돌기(13)를 각각 2개씩 형성하였기 때문에 제작이 어려울 뿐 아니라 분해 결합할 때에 많은 저항이 각각 걸리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걸림공(17) 과 걸림돌기(13)를 각각 2개씩 형성하기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하여 결합판(16)과 삽입부(12)를 넓게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선을 연결하는 접지부(14)의 측면이 결합판(16)과 삽입부(12)에 의하여 밀폐되므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접지부(14)에 전선을 연결할때에 공구를 작동시킬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작업이 불편하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14)에 전선을 연결한 상태에서는 체결나사가 상면에서 노출되지 않으므로 드라이버의 끝단부를 체결나사의 홈에 위치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접지부(14)의 측면이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을 접지부의 상측으로만 연결이 가능하여 전선의 연결방향이 제한적인 문제도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도 2 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는 스위치몸체(20)가 결합된 소켓(21)과 상기 소켓(21)에 연결하는 접속블럭(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켓(21)의 삽입부(22)는 폭을 좁게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22)에는 한 개의 걸림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블럭(30)은 폭이 좁게 형성되고 한 개의 걸림돌기(32)가 형성된 삽입부(31)와, 상기 한 개의 걸림돌기(3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형성된 한 개의 걸림공(34)을 가지며 폭을 좁게 형성한 결합판(3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접속블럭(30)의 상측에는 전선이 연결되는 접지부(35)가 구비되고 공구가 삽입되도록 여유공간부(3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여유공간부(36)측에는 감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지부(35)를 보호하는 보호캡(37)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상호 결합되는 걸림돌기(32)와 걸림공(34)을 각각 한 개씩만 형성함으로서 걸림공(34)을 걸림돌기(32)에 밀어 끼울때에 종래 두 개의 걸림공과 걸림돌기를 형성한 것에 비하여 저항을 적게 받으므로 결합과 분해할 때에 많은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한 개의 걸림돌기(32)와 걸림공(34)만을 형성함으로서 삽입부(31)와 결합판(33)의 폭을 좁게 형성하여도 되기 때문에 삽입부(31)의 양측방을 개방하여 여유공간부(36)를 형성한 것으로서 접지부(35)에 전선을 긴밀하게 고정시켜야 할 때에는 상기 여유공간부(36)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수월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접속블럭(30)은 상기 두 개의 걸림공과 걸림돌기를 형성한 것에 비하여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접지부(35)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37)을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결합해야 함에 따라 부품수 추가에 따른 제조공정 증가와 제작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접속블럭(30)은 한 개의 걸림공(34)과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있는 접속블럭(30)끼리만 연결/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호환성이 없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몸체가 결합 된 소켓과 접속블럭을 간단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보호캡을 일체로 형성하여 부품수를 감소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호환성 및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측에 두 개의 접지단자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접지단자를 선택적으로 통전시키는 접점수단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한 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의 맞은편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와 결합되는 걸림공이 형성된 제 2 결합부; 상기 접지단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공구삽입부를 형성하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이 스위치의 소켓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이 스위치의 소켓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100)은 누름버튼식, 절환식, 회동식 등과 같은 스위치몸체(120)가 결합된 소켓(121)의 후방측에 결합된다.
상기 접속블럭(100)은 외측에 전선이 연결/고정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접지단자(11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접지단자(111)를 상기 스위치몸체(120)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전시키는 접점수단이(112) 구비된 몸체(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단자(111)가 구비된 상기 몸체(110)의 상부측에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의 작업이 수월하도록 공간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6)의 일측에는 상기 접지단자(111)에 전선이 연결된 경우 감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지단자(111)를 보호하는 보호캡(115)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접지단자(111)에는 스크류나사(111a)가 구비되어 전선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캡(115)의 형성에 의해 공구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공구삽입부(115a)가 관통되게 구비된다.
또한, 공간부(116)에 보호캡(115)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감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접지단자(111)의 상부측과 양측부가 외부와 연통되게 되며, 상기 전선은 상기 접지단자(111)의 상부측 및 양측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어서 전선의 연결방향이 자유롭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양측면에는 각각 한 개의 걸림돌기(113a)가 형성된 제 1 결합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결합부(113)의 둘레 일부에는 안내돌기(113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113a)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걸림턱(113b)이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에서 상기 제 1 결합부(113)의 맞은편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13a)와 결합되는 한 개의 걸림공(114a)이 형성된 제 2 결합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결합부(114)의 단부측에는 상기 걸림턱(113b)에 걸리면서 결합되는 걸림편(114b)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결합부(113)에 형성된 걸림턱(113b)과 상기 제 2 결합부(114)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13b)에 결합되는 걸림편(114b)에 의해 접속블럭(10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 것이다.
아울러, 한 개의 걸림돌기(113a) 및 걸림공(114a)이 형성된 접속블럭(100)은 물론, 두 개의 걸림돌기 및 걸림공이 형성된 접속블럭까지 모두 결합이 가능하여 호환성도 향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접점수단(112)은 통상의 공지된 것으로서 상기 스위치몸체(120)의 작동에 연동하여 전,후 운동을 하면서 상기 두 개의 접지단자(111)를 선택적으로 통전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접지단자(111)의 단부측이 상기 몸체(110)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접점수단(112)은 상기 두 개의 접지단자(111) 연장부를 연결하는 금속체(미도시)가 구비되고 스프링(미도시)과의 결합으로 탄력적으로 전,후 운동이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하나의 접속블럭(100)은 대응하는 형상의 또 다른 접속블럭과 결합되면서 한 쌍을 이루어 상기 스위치의 소켓(121)이 결합되는데,
상기 대응하는 또 다른 접속블럭에는 접지단자 및 접점수단이 생략되어 있 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접속블럭(100) 상호간에 결합은 각각 대응하는 몸체(110)의 하측면에 돌출형성된 가이드(117)와 홈(117a)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소켓(121)의 양측면에도 상기 접속블럭(100)의 제 2 결합부(114)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결합부(113)와 같은 걸림돌기(122a)와 걸림턱(122b) 및 안내돌기(122c)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접속블럭(100)을 상기 소켓(121)에 결합할 때에는, 상기 접속블럭(100)의 제 2 결합부(114)를 상기 소켓(121)에 형성된 걸림돌기(122a)와 결합하기 위해 밀어 넣으면, 상기 제 2 결합부(114)는 상기 소켓(121)에 돌출형성된 안내돌기(122c)를 따라 안내되면서 삽입되고,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결합부(114)는 상기 걸림돌기(122a)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탄성변형하다가 삽입이 완료되면 다시 복원되어 상기 걸림돌기(122a)가 제 2 결합부(114)의 걸림공(114a)으로 삽입/걸리게 되면서 긴밀하게 결합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결합부(114)의 단부측에 형성된 걸림편(114b)도 상기 소켓(121)에 형성된 걸림턱(122b)에 걸려 결합됨으로서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소켓(121)과 접속블럭(100)을 분해할 때에는 상기 제 2 결합부(114)를 외측으로 확장시키면서 상기 걸림돌기(122a)에서 걸림공(114a)을 분리한 후에 접속블럭(100)을 소켓(121)으로 부터 분해한다.
한편, 상기 소켓(121)에 결합된 접속블럭(100)의 일측으로 또 다른 접속블럭을 결합 및 분해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소켓(121)과 접속블럭(100)의 결합 및 분해 방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한 개의 걸림돌기(113a)와 걸림공(114a)이 형성된 접속블럭(100)의 결합 및 분해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접속블럭(100)에 두 개의 걸림돌기와 걸림공이 형성된 접속블럭을 결합할 때에도 앞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접속블럭(100)의 제 1 결합부(113)에 형성된 걸림돌기(113a) 및 걸림턱(113b)에 두 개의 걸림공이 형성된 접속블럭을 삽입하여 결합하게 되면 상기 두 개의 걸림공이 상기 제 1 결합부(113)의 걸림돌기(113a) 및 걸림턱(113b)에 각각 걸리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 한 개의 걸림돌기(113a) 및 걸림공(114a)이 형성된 접속블럭(100)은 물론, 두 개의 걸림돌기 및 걸림공이 형성된 접속블럭까지 연속적인 결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속블럭의 몸체에 보호캡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부품수 및 제조공정이 감소되고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에 한 개의 걸림돌기와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결합부에는 걸림공과 걸림편을 형성함으로서 결합력이 더욱 향상됨과 아울러 호환성도 향상된다.

Claims (2)

  1. 외측에 두 개의 접지단자(11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접지단자(111)를 선택적으로 통전시키는 접점수단(112)이 구비된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한 개의 걸림돌기(113a) 및 상기 걸림돌기(113a)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걸림턱(113b)이 형성된 제 1 결합부(113);
    상기 제 1 결합부(113)의 맞은편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13a)와 결합되는 걸림공(114a)이 형성됨과 아울러 단부측에는 상기 걸림턱(113b)에 결합되는 걸림편(114b)이 형성된 제 2 결합부(114);
    상기 접지단자(111)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공구삽입부(115a)를 형성하는 보호캡(115)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
  2. 삭제
KR1020030096575A 2003-12-24 2003-12-24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 KR100574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575A KR100574694B1 (ko) 2003-12-24 2003-12-24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575A KR100574694B1 (ko) 2003-12-24 2003-12-24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120U Division KR200344070Y1 (ko) 2003-12-24 2003-12-24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960A KR20050064960A (ko) 2005-06-29
KR100574694B1 true KR100574694B1 (ko) 2006-05-02

Family

ID=3725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575A KR100574694B1 (ko) 2003-12-24 2003-12-24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6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960A (ko)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2621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0428577C (zh) 连接器联锁装置
JP2009038010A (ja) 電気コネクタ
US20020001987A1 (en) Connector
JP2002260766A (ja) コネクタ
JP2001230021A (ja) コネクタ
EP0618646B1 (en) Lever-operated connector
JP2005327617A (ja) コネクタ
EP0902504B1 (en) Front holder-incorporating connector
WO2016059947A1 (ja) コネクタ
KR20090051643A (ko) 커넥터
KR100574694B1 (ko)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
EP0884805B1 (en)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44070Y1 (ko) 산업용 스위치의 접속블럭
JP7139212B2 (ja) コネクタ
EP1530265B1 (en) A connector housing assembly and a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US6533602B2 (en) Divided connector
US5429525A (en) Connector assembly
JP2005190808A (ja) コネクタ
JP2009301775A (ja) 電気コネクタ
KR101076153B1 (ko)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
EP0217629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am actuated wire holding means
JP2000331738A (ja) 分割コネクタ
JPH08115766A (ja) コネクタ
JP2002319449A (ja) 防水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