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6092B1 -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092B1
KR100566092B1 KR1020040114156A KR20040114156A KR100566092B1 KR 100566092 B1 KR100566092 B1 KR 100566092B1 KR 1020040114156 A KR1020040114156 A KR 1020040114156A KR 20040114156 A KR20040114156 A KR 20040114156A KR 100566092 B1 KR100566092 B1 KR 100566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sound
discharge hole
speaker unit
soun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훈
Original Assignee
배성곤
주식회사 스프랜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곤, 주식회사 스프랜더 filed Critical 배성곤
Priority to KR102004011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폰의 완충커버가 견고히 고정되면서 이어폰으로 출력되는 음성이 이어폰의 후방으로 배출되어 음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이어폰케이스의 내부에 전선과 연결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외측에 부착되고 내부에 자석이 삽입되는 요크부 및 요크부의 전면에 진동판이 부착되며 후방음배출공이 형성된 프레임으로 구성된 스피커유닛과, 진동판의 외측에 고정되는 보호망과, 상기 보호망의 외측을 감싸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완충커버로 구성된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완충커버는, 요크부의 외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후방음배출구를 통해 스피커유닛의 후면으로 배출되는 음이 상기 이어폰케이스의 전면으로 배출되도록 전후면이 관통되고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어폰을 장시간 착용시에 귀에 유발되는 통증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악 등의 음성신호를 들을때, 주위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더욱 선명하고 깨끗한 음질의 음악을 들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어폰, 완충커버

Description

이어폰{an ear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종래 이어폰의 일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어폰케이스 11 : 단턱부
20 : 회로기판
30 : 스피커유닛
31 : 요크부
311 : 자석 312 : 고정홈
32 : 프레임 321 : 후방음배출공
33 : 진동판 331 : 코일
40 : 보호망
41 : 통공 42 : 클립
421 : 음배출홈
50 : 완충커버
51 : 고정링 52 : 쿠션막
53 : 음배출공 54 : 라운드부
55 : 쿠션막 음배출공
60 : 전선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폰의 외측에 결합되는 완충커버의 형상 및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타인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휴대용 카세트나, MP3플레이어 등에서 출력되는 각종 음성을 듣도록 한 것으로서,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음성의 출력이 원활하도록 착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어폰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6및 도 7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이어폰의 본체를 이루는 케이스의(100) 내부에 전선과 납땜에 의해 결합되는 회로기판(200)이 삽입되고, 상기 회로기판(200)의 전면으로 진동판(310)의 떨림에 의해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유닛(300)이 결합되며, 상기 진동판(310)의 전면에 진동판(310)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이어폰의 외부로 음성이 방출되도록 하는 보호망(400)이 링 형상의 클립(410)에 의해 결합된다.
특히, 종래의 이어폰은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될 때 통증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보호망(400)의 외측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완충커버(50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완충커버(500)는 일반적으로 스피커유닛(300)과 보호망(400) 전체를 감싸면서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피커유닛(300)은 진동판(310)의 전방 뿐만 아니라, 후방으로도 음성이 출력되고, 이러한 음성이 배출되는 음배출공(320)이 상기 스피커유닛(300)의 후면에 형성되는데, 상기한 완충커버(500)가 음배출공(320)을 막아 스피커유닛(300)의 후방으로 출력되는 음의 손실이 있었고, 완충커버(500)가 음배출공(320)을 막지 않는 경우에는 케이스(100)의 후면에 음방출공(110)을 형성하여 스피커유닛(300)의 후방으로 방출되는 음성을 케이스(100)의 후방으로 방출시켜 음의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음방출공(110)을 통해 방출되는 음성은 이어폰 사용자의 주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소음으로 인한 방해를 주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더불어, 상기 스피커유닛(300)과 보호망(400)은 외주면에 결착되는 클립(41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클립(410) 또한 음배출공(320)을 통해 스피커유닛(300)의 후방으로 방출되는 음성이 이어폰의 전면으로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차폐막의 역할을 수행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어폰의 완충커버가 견고히 고정되면서 이어폰으로 출력되는 음성이 이어폰의 후방으로 배출되어 음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충커버가 간단한 구성으로 구성되어 스피커유닛과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이어폰의 후방으로 배출된 손실음을 효과적으로 줄이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유닛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음성이 완충커버를 통해 이어폰의 전면으로 배출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충커버가 스피커유닛에 설계시의 정확한 위치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유닛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음성이 완충커버를 통해 이어폰의 전면으로 더욱 원활히 배출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의 일부가 이어폰의 전면으로 배출되면서 일부가 이어폰의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어폰을 사용자의 귀에 삽입할 때 완충커버가 스피커유닛과 맞닿더라도 스피커유닛으로 출력되는 음성이 원활히 이어폰의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어폰케이스의 내부에 전선과 연결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외측에 부착되고 내부에 자석이 삽입되는 요크부 및 요크부의 전면에 진동판이 부착되며 후방음배출공이 형성된 프레임으로 구성된 스피커유닛과, 진동판의 외측에 고정되는 보호망과, 상기 보호망의 외측을 감싸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완충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완충커버는 요크부의 외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후방음배출구를 통해 스피커유닛의 후면으로 배출되는 음이 상기 이어폰케이스의 전면으로 배출되도록 전후면이 관통되고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완충커버는: 상기 요크부의 하부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쿠션막과, 상기 쿠션막의 상부 끝단으로 중앙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음배출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고정링은; 상기 요크부의 외측면에 고정되되, 상기 쿠션막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후방음배출공을 가리리 않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크부의 외측면에 상기 고정링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션막은; 상기 스피커유닛 및 보호망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음배출공은 상기 보호망의 상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음배출공과 대응되는 쿠션막의 일측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쿠션막 음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유닛과 진동판 및 보호망은 외측모서리를 일체로 감싸는 클립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클립의 외측면에 방사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다수 의 음배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어 타인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음악이나 각종 음성을 듣도록 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완충커버(50)를 구비하여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 장시간 동안 삽입되더라도 착용자의 귀에 통증을 주지않으면서도 더욱 고음질의 음성을 듣도록 한다.
상기 이어폰은, 이어폰케이스(10)의 내부에 전선(60)과 연결되는 회로기판(20)과, 상기 회로기판(20)의 외측에 부착되고 전면에 진동판(33)이 부착되며 후방으로 후방음배출공(321)이 형성된 스피커유닛(30)과, 진동판(33)의 외측에 고정되는 보호망(40)과, 상기 보호망(40)의 외측을 감싸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완충커버(50)로 구성되어, 전선(60)과 연결된 각종 음향기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이어폰케이스(10)는, 이어폰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내부가 관통되어 하부측으로 전선(60)이 유입되고, 내부에 후술되는 회로기판(20) 및 스피커유닛(30)과 보호망(40)이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케이스(10)의 내측면에는 후술되는 회로기판(20) 및 스피 커유닛(30)이 이어폰케이스(10)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회로기판(20)과 스피커유닛(30)이 접착제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단턱부(1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로기판(20)은, 상기 이어폰케이스(10)의 내부에 부착되어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전선(60)이 납땜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면서 스피커유닛(30)과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스피커유닛(30)은, 상기 이어폰케이스(10)의 내측에 부착되어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가 소리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자석(311)이 구비된 요크부(31)와, 상기 요크부(31)의 전면으로 형성되는 프레임(32)과, 상기 프레임(32)의 전면에 부착되고 후면에 코일이 형성된 진동판(33)으로 구성되어 음성 신호에 의해 자석(311)과 코일(331) 사이에 자기장이 발생되면서 진동판(33)이 떨리도록 하여 소리의 형태로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보호망(40)은 진동판(33)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스피커유닛(3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이어폰의 외부로 원활히 방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피커유닛(30)의 전면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되면서 스피커유닛(30)의 모서리에 클립(42) 등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진동판(33)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전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41)을 형성하여 진동판(33)의 떨림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이 보호망(40)의 외부로 원활히 방출되도록 한다.
상기 완충커버(50)는 착용자의 귀에 이어폰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어폰과 귀 사이의 완충역할을 수행하여 이어폰에 의한 통증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요크부(31)의 하부 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스피커유닛(30)의 후면으로 배출되는 음이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를 따라 상기 이어폰케이스(10)의 전면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요크부(31)의 하부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링(51)과, 상기 고정링(51)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쿠션막(52)과, 상기 쿠션막(52)의 상부 끝단으로 중앙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음배출공(53)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링(51)은, 완충커버(50)가 요크부(31)의 하부 측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완충커버(50)의 하면에 요크부(31)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면서 요크부(31)의 외측면에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쿠션막(52)은 상기 고정링(51)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스피커유닛(3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면서 스피커유닛(30) 및 보호망(40)이 사용자의 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귀 내부에서 쿠션 역할을 수행하면서 통증이 없어지도록 하며, 쿠션막(52)이 내측으로 스피커유닛(30)에서 출력되는 음이 울려지도록 함으로써, 더욱 고음질의 음이 이어폰에서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음배출공(53)은 상기 쿠션막(52)의 상부측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상기 보호망(40)을 통해 배출되는 음성 및 상기 스피커유닛(30)의 후방으로 출력되어 쿠션막(52)을 따라 흘러나온 음성이 이어폰의 외부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쿠션막(52)이 후방음배출공(321)으로 배출되는 음성이 이어폰케 이스(10)의 후방으로 빠져나가는 음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되어 주위 사람들에게 이어폰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어폰을 장시간 귀에 삽입하더라도 이어폰과 귀의 마찰에 의한 통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쿠션막(52) 및 음배출공(53)은 상술한 스피커유닛(30) 및 보호망(40)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귀에 이어폰을 삽입할 때 쿠션막(52)의 탄성에 의해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고정링(51)은 상술한 요크부(31)의 하부 외측면에 고정되되 쿠션막(52)이 상술한 후방음배출공(321)을 가리지 않도록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결합함으로써, 후방음배출공(321)을 통해 방출되는 스피커유닛(30)의 음성이 쿠션막(52)을 따라 음배출공(53)을 통해 이어폰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음 손실 없이 스피커유닛(30)의 전방 및 후방으로 방출되는 모든 음성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링(51)을 요크부(31)의 외측면에 결합할때, 작업자가 일일이 쿠션막(52)과 후방음배출공(32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위한 번거로움이 없도록 스피커유닛(30)의 외측면에 고정링(51)이 삽입되는 고정홈(312)을 형성함으로써, 완충커버(50)가 스피커유닛(30)에 더욱 견고히 고정될 뿐만 아니라, 완충커버(50)와 스피커유닛(30)의 조립 작업이 더욱 용이해 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음배출공(53)의 내측 끝단이 상기 쿠션막(52)의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말려 들어가도록 라운드부(5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라운드부(54)는 상술한 후방음배출공(321)을 통해 스피커유닛(30)의 후방으로 배출된 음성이 쿠션막(52)을 따라 흐르다가 라운드부(54)의 내측에서 공명되면서 더욱 풍부한 음색을 만들어 내도록 하는 것으로서, 음배출공(53)이 쿠션막(52)과 보호망(40) 사이의 공간으로 말려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음성이 공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음배출공(53)은 라운드부(54)가 형성된 상태에서도 보호망(40)과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완충커버(50)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귀 모양에 따라 변형되더라도 이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후방음배출공(321)을 통해 배출되는 음성이 이어폰의 전면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후방음배출공(321)과 대응되는 쿠션막(52)의 일측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쿠션막 음배출공(55)이 형성된다.
상기 쿠션막 음배출공(55)은 후방음배출공(321)을 통해 스피커유닛(30)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음의 일부를 쿠션막(52)을 통해 이어폰의 전면으로 순환시켜 배출시키면서 나머지 음을 그대로 이어폰의 후방으로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이어폰으 로 출력되는 음의 중저음이 강화되고, 중고역대의 음은 밀도감이 높아져 음의 응집력이 강화되면서 음의 스테레오성이 향상되어 이어폰이 더욱 고품질의 음성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음의 중저음이 강화되면서 중고역대의 음의 밀도감이 증대됨으로써, 중저음 및 중고역대의 음성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음성정위 현상이 뚜렷해지게 되어 더욱 선명하고 풍부한 음질의 음성을 이어폰을 통해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상술한 클립(42)의 외측면에 방사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음배출홈(421)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음배출홈(421)은 도시된 것과 같이 방사상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보호망(40)과 스피커유닛(30)을 일체로 결합하도록 다수개로 형성되고, 각각의 클립(42) 사이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음배출홈(421)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링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클립(42)의 외측면에 상하로 함몰되는 다수의 음배출홈(421)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완충커버(50)가 사용자의 귀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쿠션막(52)이 스피커유닛(30)과 보호망(40)의 외주면에 결합된 클립(42)과 접촉되더라도, 후방음배출공(321)을 통해 배출되는 음성은 음배출홈(421)을 통해 이어폰의 전면으로 흘러나오게 되어 후방음배출공(321)을 통해 배출되는 음성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완충커버가 스피커유닛의 하부 측면에 고정되면서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어폰의 완충커버가 견고히 고정되면서 이어폰으로 출력되는 음성이 이어폰의 후방으로 배출되어 음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이어폰을 장시간 착용시에 귀에 유발되는 통증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악 등의 음성신호를 들을때, 주위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더욱 선명하고 깨끗한 음질의 음악을 들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커버가 고정링과 쿠션막 및 음배출공의 간단한 구성으로 구성되어 스피커유닛과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이어폰의 후방으로 배출된 손실음을 효과적으로 줄이도록 함으로서, 완충커버의 제작이 간편하고, 스피커유닛에 완충커버를 조립하는 작업이 간편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링이 요크부의 외측면에 고정되면서 쿠션막이 후방 음배출공을 가리지 않도록 하여 스피커유닛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음성이 완충커버를 통해 이어폰의 전면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스피커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의 손실을 줄이고, 이어폰의 전면으로 배출되는 음량을 더욱 증가시켜 더욱 높은 음질의 음성을 들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요크부의 외측면에 고정홈을 형성하여 완충커버가 스피커유닛에 설계시의 정확한 위치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스피커유닛에 완충커버를 고정하는 작업이 더욱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이어폰의 착용에 의해 완충커버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더라도 상시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어 후방 음배출공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의 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쿠션막이 스피커유닛 및 보호망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고, 음배출공이 보호망의 상면에 이격되도록 하여 스피커유닛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음성이 완충커버를 통해 이어폰의 전면으로 더욱 원활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후방 음배출공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의 손실이 최소화되면서 이어폰의 전면으로 출력되어 음질이 극대화되고, 사용자의 귀와 스피커유닛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어 이어폰의 착용감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쿠션막 음배출공을 형성하여 스피커유닛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음성이 완충커버를 통해 이어폰의 전면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이어폰으로 출력되는 음의 중저음이 강화되고, 중고역대의 음은 밀도감이 높아져 음의 응집력이 강화되면서 음의 스테레오성이 향상되어 이어폰이 더욱 고품질의 음성을 출력될 뿐만 아니라, 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음의 중저음이 강화되면서 중고역대의 음의 밀도감이 증대됨으로써, 중저음 및 중고역대의 음성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음성정위 현상이 뚜렷해지게 되어 더욱 선명하고 풍부한 음질을 출력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립의 외측에 다수의 음배출홈을 형성하여 이어폰을 사용자의 귀에 삽입할 때 완충커버가 스피커유닛과 맞닿더라도 스피커유닛으로 출력되는 음성이 원활히 이어폰의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이어폰의 음손실을 더욱 줄여 더욱 고음질의 음성을 들을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2)

  1. 삭제
  2. 이어폰케이스(10)의 내부에 전선(60)과 연결되는 회로기판(20)과, 상기 회로기판(20)의 외측에 부착되고 내부에 자석(311)이 삽입되는 요크부(31) 및 요크부(31)의 전면에 진동판(33)이 부착되며 후방음배출공(321)이 형성된 프레임(32)으로 구성된 스피커유닛(30)과, 진동판(33)의 외측에 고정되는 보호망(40)과, 상기 보호망(40)의 외측을 감싸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완충커버(50)로 구성되고, 상기 완충커버(50)는 요크부(31)의 외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후방음배출구(321)를 통해 스피커유닛(30)의 후면으로 배출되는 음이 상기 이어폰케이스(10)의 전면으로 배출되도록 전후면이 관통되고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완충커버(50)는:
    상기 요크부(31)의 하부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링(51)과,
    상기 고정링(51)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쿠션막(52)과,
    상기 쿠션막(52)의 상부 끝단으로 중앙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음배출공(5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51)은;
    상기 요크부(31)의 외측면에 고정되되, 상기 쿠션막(52)이 상기 프레임(32)에 형성된 후방음배출공(321)을 가리리 않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부(31)의 외측면에 상기 고정링(51)이 삽입되는 고정홈(3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막(52)은;
    상기 스피커유닛(30) 및 보호망(4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음배출공(53)은 상기 보호망(40)의 상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음배출공(321)과 대응되는 쿠션막(52)의 일측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쿠션막 음배출공(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유닛(30)과 진동판(33) 및 보호망(40)은 외측모서리를 일체로 감싸는 클립(42)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클립(42)의 외측면에 방사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음배출홈(4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8. 삭제
  9. 이어폰케이스(10)의 내부에 전선(60)과 연결되는 회로기판(20)과, 상기 회로기판(20)의 외측에 부착되고 내부에 자석(311)이 삽입되는 요크부(31) 및 요크부(31)의 전면에 진동판(33)이 부착되며 후방음배출공(321)이 형성된 프레임(32)으로 구성된 스피커유닛(30)과, 진동판(33)의 외측에 고정되는 보호망(40)과, 상기 보호망(40)의 외측을 감싸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완충커버(50)로 구성되고, 상기 완충커버(50)는 양측이 관통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 끝단이 상기 보호망(40)의 상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도록 구성된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완충커버(50)는:
    상기 요크부(31)의 하부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링(51)과,
    상기 고정링(51)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쿠션막(52)과,
    상기 쿠션막(52)의 상부 끝단으로 중앙부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호망(40)의 상면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음배출공(5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음배출공(53)의 내측 끝단이 상기 쿠션막(52)의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말려 들어가도록 라운드부(5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막(52)은;
    상기 스피커유닛(30) 및 보호망(4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음배출공(53)은 상기 보호망(40)의 상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2.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51)은;
    상기 요크부(31)의 외측면에 고정되되, 상기 쿠션막(52)이 상기 프레임(32)의 후면에 형성된 후방음배출공(321)을 가리리 않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KR1020040114156A 2004-12-28 2004-12-28 이어폰 KR100566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156A KR100566092B1 (ko) 2004-12-28 2004-12-28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156A KR100566092B1 (ko) 2004-12-28 2004-12-28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6092B1 true KR100566092B1 (ko) 2006-03-31

Family

ID=37180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156A KR100566092B1 (ko) 2004-12-28 2004-12-28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0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0739A2 (en) * 2010-04-16 2011-10-20 Molex Incorporated Earphone
KR101272728B1 (ko) 2011-11-02 2013-06-10 크레신 주식회사 이어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0739A2 (en) * 2010-04-16 2011-10-20 Molex Incorporated Earphone
WO2011130739A3 (en) * 2010-04-16 2012-03-08 Molex Incorporated Earphone
CN102835129A (zh) * 2010-04-16 2012-12-19 莫列斯公司 耳机
KR101272728B1 (ko) 2011-11-02 2013-06-10 크레신 주식회사 이어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9806B2 (en) Earphone for placement in an ear
US8447061B2 (en) Dual earphone using both bone conduction and air conduction
US5459290A (en) Acoustic transducer and acoustic transducing system
JP4940355B2 (ja) ドラムヘッドによるイヤホン
JP3267973B2 (ja) 二要素ヘッドホン
CN102648639A (zh) 耳机
KR101185803B1 (ko) 소형의 커널형 이어폰
US20080298623A1 (en) Adapter For a Loudspeaker
MXPA06002815A (es) Aparato de audio.
JP2009088942A (ja) イヤホン装置
CN102196330A (zh) 耳机
CA2887519A1 (en) Earphone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vibratile earphone
JP5062150B2 (ja) イヤホン
EP3200476B1 (en) Headphone
JP2011049686A (ja) イヤホン
JP2008141691A (ja) イヤースピーカ装置
JP5625928B2 (ja) テレビ番組出演用イヤホン
US9906850B2 (en) Headphone unit
KR100566092B1 (ko) 이어폰
KR101045613B1 (ko) 마이크로 스피커
JP2007235929A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イヤースピーカ装置
JP2019145963A (ja) イヤホン
KR101123864B1 (ko) 보빈에 의해 지지되는 압전소자 타입의 골전도 이어폰
JPS644398B2 (ko)
JPS6379500A (ja) 電気音響変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10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