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185B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시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시통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7185B1 KR100557185B1 KR1020050041353A KR20050041353A KR100557185B1 KR 100557185 B1 KR100557185 B1 KR 100557185B1 KR 1020050041353 A KR1020050041353 A KR 1020050041353A KR 20050041353 A KR20050041353 A KR 20050041353A KR 100557185 B1 KR100557185 B1 KR 1005571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call
- digital multimedia
- multimedia broadcasting
- key inpu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36 working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2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2)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듈과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뎀(Modem)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DMB 모듈과 상기 모뎀 모듈이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 있어서,화상 정보의 출력을 위한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을 위한 가청음 출력 경로, 및 사용자의 키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과 상기 모뎀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DMB-모뎀 스위치부와,상기 사용자의 동작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DMB-모뎀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따른 모듈에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 및 상기 키 입력 경로가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는,상기 모뎀 모듈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는,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일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가 상기 DMB 모듈에 연결되도록 상기 DMB-모뎀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는,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이동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드일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가 상기 모뎀 모듈에 연결되도록 상기 DMB-모뎀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모드는,호 착신 신호 또는 호 발신에 따른 통화를 처리하는 Call 동작 모드, 수신된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상기 SMS 메시지를 작성 및 발신 하는 SMS 메시지 동작 모드, 및 수신된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상기 MMS 메시지를 작성 및 발신하는 MMS 메시지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MB 모듈은,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호 발신 또는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의 작성 및 발신을 위한 발신키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발신키 입력 감지부와,상기 발신키 입력을 알리는 발신키 입력 감지 신호를 상기 모뎀 모듈로 입력하기 위한 모뎀 모듈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는,상기 발신키 입력 감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가 상기 모뎀 모듈에 연결되도록 상기 DMB-모뎀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는,상기 모뎀 모듈이, 호 착신 신호 또는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의 수신을 감지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가 상기 모뎀 모듈에 연결되도록 상기 DMB-모뎀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B-모뎀 스위치부는,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증폭부에 연결되는 가청음 출력 경로를 상기 모뎀 모듈과 상기 DMB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에 연결되도록 하는 가청음 스위치부와,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연결되는 화상 정보 출력 경로를 상기 모뎀 모듈과 상기 DMB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에 연결되도록 하는 화상 출력 스위치부와,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에 연결되는 키 입력 경로를 상기 모뎀 모듈과 상기 DMB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에 연결되도록 하는 키 입력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는,상기 모뎀 모듈이, 호 발신 또는 호 착신에 따른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화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를, 현재 연결되어 있는 모듈과는 다른 모듈로 연결하기 위한 출력 전환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는,상기 출력 전환키의 입력이 감지될 경우 상기 화상 출력 스위치부와 상기 키 입력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가 상기 DMB 모듈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듈과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뎀(Modem)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DMB 모듈과 상기 모뎀 모듈이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하며, 상기 모뎀 모듈에 의해 화상 정보의 출력 경로와, 가청음의 출력 경로, 키 입력 경로가 상기 DMB 모듈과 상기 모뎀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스위칭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통화 방법에 있어서,상기 모뎀 모듈이,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선택 시,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에 연결하는 DMB 모듈 연결 단계와,상기 DMB 모듈이,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와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키 입력 경로를 통해 사용자의 키 입력을 입력받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계와,상기 모뎀 모듈이, 호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상기 모뎀 모듈로 연결하는 모뎀 모듈 연결 단계와,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호 착신 신호에 따른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화 처리 단계와,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통화 처리 단계 종료 후,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로 다시 연결하는 DMB 모듈 재연결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모듈 연결 단계는,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호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수신 체크 단계와,상기 수신된 호 착신 신호에 따른 통화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확인하는 통화 여부 승인 단계와,상기 통화 여부 승인 결과, 상기 사용자가 통화를 승인한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모뎀 모듈로 연결하는 연결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는,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호 착신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를, 현재 연결되어 있는 모듈과는 다른 모듈로 연결하기 위한 출력 전환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처리 단계는,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수신된 호 착신 신호에 따른 수신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신 통화 처리 단계와,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수신 통화가 종료되었는지를 체크하는 통화 처리 종료 체크 단계와,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수신 통화가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출력 전환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출력 전환키 입력 체크 단계와,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를, 현재 연결되어 있는 모듈과는 다른 모듈로 연결하는 경로 출력 전환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듈과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뎀(Modem)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DMB 모듈과 상기 모뎀 모듈이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하며, 상기 모뎀 모듈에 의해 화상 정보의 출력 경로와, 가청음의 출력 경로, 키 입력 경로가 상기 DMB 모듈과 상기 모뎀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스위칭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수신 단말기의 통화 방법에 있어서,상기 모뎀 모듈이,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 모드 선택 시,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상기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에 연결하는 DMB 모듈 연결 단계와,상기 DMB 모듈이,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와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를 통 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키 입력 경로를 통해 사용자의 키 입력을 입력받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계와,상기 모뎀 모듈이,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상기 모뎀 모듈로 연결하는 모뎀 모듈 연결 단계와,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 처리 단계와,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메시지 처리 단계 종료 후,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로 다시 연결하는 DMB 모듈 재연결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SMS(Short Messaging Service) 메시지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모듈 연결 단계는,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수신 체크 단계와,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체크하는 메시지 확인 여부 승인 단계와,상기 메시지 확인 여부 승인 결과, 상기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을 승인한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모뎀 모듈로 연결하는 연결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듈과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뎀(Modem)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DMB 모듈과 상기 모뎀 모듈이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하며, 상기 모뎀 모듈에 의해 화상 정보의 출력 경로와, 가청음의 출력 경로, 키 입력 경로가 상기 DMB 모듈과 상기 모뎀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스위칭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통화 방법에 있어서,상기 모뎀 모듈이,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 모드 선택 시,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상기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에 연결하는 DMB 모듈 연결 단계와,상기 DMB 모듈이,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와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를 통 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키 입력 경로를 통해 사용자의 키 입력을 입력받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계와,상기 DMB 모듈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호 발신 또는 메시지의 작성 및 발신을 위한 발신키의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모뎀 모듈에 알리는 발신키 입력 감지 단계와,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발신키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발신키 동작 수행 단계와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발신키 동작 수행 종료 후,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로 다시 연결하는 DMB 모듈 재연결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키 동작은,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호를 발신하는 호 발신 동작, SMS(Short Messaging Service) 메시지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의 작성 및 발신하는 메시지 발신 동작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는,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호 발신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를, 현재 연결되어 있는 모듈과는 다른 모듈로 연결하기 위한 출력 전환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키 동작 수행 단계는,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호 발신 동작의 수행에 따른 발신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신 통화 처리 단계와,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발신 통화가 종료되었는지를 체크하는 통화 처리 종료 체크 단계와,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발신 통화가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출력 전환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출력 전환키 입력 체크 단계와,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출력 전환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를, 상기 경로들이 현재 연결되어 있는 모듈과는 다른 모듈로 연결하는 경로 출력 전환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1353A KR100557185B1 (ko) | 2005-05-17 | 2005-05-17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시통화 방법 |
EP06008800A EP1725004A1 (en) | 2005-05-17 | 2006-04-27 | DMB terminal for enabling simultaneous DMB viewing and phone call and method therefor |
EP07022221A EP1895751A1 (en) | 2005-05-17 | 2006-04-27 | DMB terminal for enabling simultaneous DMB viewing and phone call and method therefor |
US11/415,751 US9490925B2 (en) | 2005-05-17 | 2006-05-02 | DMB terminal for enabling simultaneous DMB viewing and phone call and method therefor |
CNA2007101674285A CN101179761A (zh) | 2005-05-17 | 2006-05-08 | 使dmb观看和电话呼叫能同时进行的dmb终端及方法 |
CN2006100785271A CN1866844B (zh) | 2005-05-17 | 2006-05-08 | 使dmb观看和电话呼叫能同时进行的dmb终端及方法 |
JP2006130426A JP2006325205A (ja) | 2005-05-17 | 2006-05-09 | Dmb視聴機能と共に通話機能を遂行するdmb受信端末機及び同時通話方法 |
US15/346,369 US20170054841A1 (en) | 2005-05-17 | 2016-11-08 | Dmb terminal for enabling simultaneous dmb viewing and phone call and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1353A KR100557185B1 (ko) | 2005-05-17 | 2005-05-17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시통화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57185B1 true KR100557185B1 (ko) | 2006-03-03 |
Family
ID=36603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1353A KR100557185B1 (ko) | 2005-05-17 | 2005-05-17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시통화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9490925B2 (ko) |
EP (2) | EP1725004A1 (ko) |
JP (1) | JP2006325205A (ko) |
KR (1) | KR100557185B1 (ko) |
CN (2) | CN1866844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9859B1 (ko) | 2006-03-21 | 2012-11-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방송 수신용 단말기 및 그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출력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3447B1 (ko) * | 2005-10-24 | 2007-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채널 정보 표시 방법 |
KR100757231B1 (ko) * | 2006-06-08 | 2007-09-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Dmb 휴대단말기에 있어 복수의 채널 동시 다중화면시청 방법 및 장치 |
KR100862307B1 (ko) * | 2006-12-29 | 2008-10-1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디엠비 및 브이에스비 튜너 모듈 |
JP5410720B2 (ja) * | 2008-09-25 | 2014-02-05 |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ディジタル情報信号送受信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情報信号送受信方法 |
CA2714710C (en) * | 2010-09-03 | 2016-05-10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short message service (sms) and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contacts into an instant messaging interface |
CN106921995B (zh) * | 2017-05-09 | 2019-10-25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马达状态控制方法、存储介质及终端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5723A (ja) * | 1994-10-27 | 1996-05-17 | Toshiba Corp | 着信音の出力方法、電源供給方法及び携帯電話機 |
KR100547841B1 (ko) * | 1998-12-26 | 2006-05-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
US20030097659A1 (en) * | 2001-11-16 | 2003-05-22 | Goldman Phillip Y. | Interrupting the output of media content in response to an event |
DE60235651D1 (de) | 2002-03-27 | 2010-04-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Kommunikationsvorrichtung und kommunikationsverfahren |
CN1320819C (zh) * | 2002-04-05 | 2007-06-06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允许内容接收和语音通讯的通讯终端设备 |
JP4368125B2 (ja) | 2002-04-05 | 2009-11-1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コンテンツ受信および音声通話が可能な通信端末装置 |
JP2004062369A (ja) | 2002-07-26 | 2004-02-26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マルチタスク携帯端末及び携帯通信端末 |
KR100754647B1 (ko) | 2002-09-17 | 2007-09-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텔레비전 영상신호 표시장치 및 방법 |
KR100678204B1 (ko) * | 2002-09-17 | 2007-0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모드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
JP2004187269A (ja) | 2002-11-20 | 2004-07-02 | Sanyo Electric Co Ltd | 携帯機器 |
JP3688678B2 (ja) * | 2002-11-29 | 2005-08-31 | 株式会社東芝 |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
TWI241821B (en) * | 2003-04-15 | 2005-10-11 | Mobitek Comm Corp | Mobile phone architecture for acquiring or viewing image and simultaneously functioning for calling services and design method thereof |
US7146185B2 (en) | 2003-06-12 | 2006-12-05 | Richard Lane | Mobile station-centric method for managing bandwidth and QoS in error-prone system |
KR100526554B1 (ko) | 2003-07-21 | 2005-1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단말에서 음성통화시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
JP4622223B2 (ja) | 2003-09-30 | 2011-02-02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携帯電話機 |
KR101014719B1 (ko) | 2004-01-09 | 2011-02-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타임 시프트 방법 |
JP4277207B2 (ja) * | 2004-04-06 | 2009-06-10 | 日本電気株式会社 | 携帯型tv電話の送受信方法および携帯型tv電話端末 |
KR100539884B1 (ko) * | 2004-06-19 | 2005-1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수신된 문자메시지를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방법 |
-
2005
- 2005-05-17 KR KR1020050041353A patent/KR10055718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
- 2006-04-27 EP EP06008800A patent/EP1725004A1/en not_active Ceased
- 2006-04-27 EP EP07022221A patent/EP1895751A1/en not_active Ceased
- 2006-05-02 US US11/415,751 patent/US949092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5-08 CN CN2006100785271A patent/CN186684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5-08 CN CNA2007101674285A patent/CN101179761A/zh active Pending
- 2006-05-09 JP JP2006130426A patent/JP2006325205A/ja active Pending
-
2016
- 2016-11-08 US US15/346,369 patent/US20170054841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9859B1 (ko) | 2006-03-21 | 2012-11-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방송 수신용 단말기 및 그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출력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725004A1 (en) | 2006-11-22 |
US20170054841A1 (en) | 2017-02-23 |
CN101179761A (zh) | 2008-05-14 |
US9490925B2 (en) | 2016-11-08 |
CN1866844B (zh) | 2011-08-31 |
JP2006325205A (ja) | 2006-11-30 |
US20060233373A1 (en) | 2006-10-19 |
EP1895751A1 (en) | 2008-03-05 |
CN1866844A (zh) | 2006-1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70054841A1 (en) | Dmb terminal for enabling simultaneous dmb viewing and phone call and method therefor | |
US20080002668A1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 |
JP2006325205A5 (ko) | ||
US2007028747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462751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 |
KR101151607B1 (ko) | 화상 통화 중에 캡쳐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목록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090098027A (ko) | 통화요청신호에 대해 메뉴를 통한 다양한 대응방법을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 |
KR100724860B1 (ko) |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작 모드 전환 방법 | |
KR20000020178A (ko) | 이동단말기의 통화곤란시 메시지 전송방법 및 그 장치 | |
KR100703355B1 (ko) | 휴대단말기에서 호 수신 방법 | |
KR101199860B1 (ko) | 가로모드에서 한뼘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 |
KR100338640B1 (ko) |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내용편집 및 전송방법 | |
KR100715794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목록 관리방법 | |
KR101370178B1 (ko) |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입력설정방법 | |
KR100663468B1 (ko) | 휴대용 전화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이메일 주소 입력방법 | |
KR100795749B1 (ko) | 휴대 단말기의 화상통화 실행 방법 | |
KR100678195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매너모드에서 상황을 알리는 방법 | |
KR101394278B1 (ko) |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 |
KR100879685B1 (ko) |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의 메시지 처리 방법 | |
KR100518175B1 (ko) | 음성메시지 선택 송수신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 |
JP2002190766A (ja) | 携帯無線電話装置 | |
KR100838960B1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착신방법 및 장치 | |
KR100663427B1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및 수신방법 | |
KR20060058322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 |
JP2005354320A (ja) | 通信処理装置、通信処理システム及び通信処理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509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