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7841B1 -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841B1
KR100547841B1 KR1019980059063A KR19980059063A KR100547841B1 KR 100547841 B1 KR100547841 B1 KR 100547841B1 KR 1019980059063 A KR1019980059063 A KR 1019980059063A KR 19980059063 A KR19980059063 A KR 19980059063A KR 100547841 B1 KR100547841 B1 KR 100547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phone
unit
us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2781A (ko
Inventor
양재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660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4784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841B1/ko
Priority to DE19962921A priority patent/DE19962921B4/de
Priority to GB9930488A priority patent/GB2347589B/en
Priority to CNB991270711A priority patent/CN1154386C/zh
Priority to US09/473,241 priority patent/US6529742B1/en
Publication of KR20000042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2781A/ko
Priority to US11/071,897 priority patent/USRE42928E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V(television)과 휴대폰이 일체화된 텔레비전 휴대폰(이하 "TV폰"이라 칭함)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선택 채널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TV유니트를 구비한 TV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TV 유니트로부터 재생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가 표시장치 및 음성신호처리장치를 통해 재생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화 관련 착신 메시시 수신 시 미리 설정된 착신 알람 모드에 따라 이를 사용자에게 알람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상기 전화 관련 메시지 착신을 허용하는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TV 유니트의 동작을 디스에이블(Disable)시킴과 동시에 폰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상기 전화 관련 메시지 착신을 거부하는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착신음 링톤 데이터의 재생 출력을 차단하고, 상기 TV 유니트로부터 재생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의 출력을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TV(television)과 휴대폰이 일체화된 텔레비전 휴대폰(이하 "TV폰 "이라 칭함)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portable telephone)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단순한 통화 기능 이외에 소비자의 요구(needs)에 따라 여러 가지의 기능이 더 부가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계산기 기능, 바이오리듬 체크 기능 및 TV, 비디오 카메라 및 화상을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들이 추가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TV폰이라 함은 이동 통신 전화 기능 이외에 휴대폰의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TV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도록된 형태의 휴대용 이동 무선 전화기를 일커러 칭한다.
상기와 같은 TV방송 수신 기능을 위해서 휴대폰 내에는 적어도 2개의 RF회로(radio frequency unit)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휴대폰의 고유 메세지(음성 및 데이타)를 송수신에 필요한 주파수 대역과 TV방송의 주파수 대역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며, 동작 모드도 크게 폰모드(phone mode)모드와 대기모드(waiting mode) 및 상기 대기모드를 겸용하는 TV모드(TV mode)로 구별된다. 상기 TV폰은 TV모드에서 수신되는 텔레비전 방송의 화면 및 음성을 휴대폰의 표시장치인 LCD(liquid crystal display) 혹은 TFT(thin film transistor)와 스피커 혹은 이어폰을 각각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TV모드 상태에서 전화 착신 및 문자 메세지의 착신을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이 일반적인 휴대폰과는 달라야한다.
왜냐하면, 휴대폰의 표시장치와 스피커에서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화면 및 음성이 각각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화 착신이 발생되거나 문자 데이타 메시지가 착신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 줄 수 있는 방법이 없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TV폰은 TV모드에서 전화 착신(in- coming call) 및 문제 데이타의 착신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새로운 기능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또한, TV폰을 이용하여 TV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화착신에 응답하는 경우(전화사용을 승인하는 경우)에는 TV모드에서 폰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되어 상대방인 호출자와 통화를 할 수 있게하며,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TV와 관련된 회로의 동작을 디스에이블하여야 한다. 만약, TV폰을 이용하여 TV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화착신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전화사용을 승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화착신을 거부하여야만 시청중이었던 TV를 원할하게 볼 수 있기 때문에 전화착신 상태에 사용자게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TV와 휴대폰이 일체화되어 음성 송수신 및 TV방송수신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된 TV폰에서 전화 착신시 자동으로 TV수신모드에서 폰모드로 전환되는 TV폰의 모드 전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TV방송를 표시장치를 통해 시청하고 있는 TV모드에서 상대방의 호출에 의해 착신 신호가 수신될 때 자동으로 전화착신을 사용자에게 알람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폰모드 혹은 착신거부 모드로 전화되는 TV폰의 모드 전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택 채널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을 재생하는 TV유니트를 구비한 TV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TV 유니트로부터 재생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가 표시장치 및 음성신호처리장치를 통해 재생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화 관련 착신 메시지 수신 시 미리 설정된 착신 알람 모드에 따라 이를 사용자에게 알람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상기 전화 관련 메시지 착신을 허용하는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TV 유니트의 동작을 디스에이블(Disable)시킴과 동시에 폰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상기 전화 관련 메시지 착신을 거부하는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착신음 링톤 데이터의 재생 출력을 차단하고, 상기 TV 유니트로부터 재생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의 출력을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휴대폰의 블럭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6, 30 및 32들 각각은 휴대폰모듈 내의 MRFU(mobile radio frequency unit), MSP(mobile station processor)(30) 및 키패드(order key pad)들이다. 이러한 회로들은 통상적인 디지탈 휴대폰, 예를 들면, CDMA방식의 휴대폰내에 적용되는 회로들에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들이 더 부가되어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하는 설명에 의해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리고, 18, 34, 36, 38 및 40들은 TV유니트, OSD(ON-screen display), 멀티플렉서(multiplexer: 이하 "MUX "라 칭함), TV음성신호처리부 및 표시장치들이다. 여기서, 상기 TV유니트(18)와 TV음성신호처리부(38)가 TV모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제어 흐름도로서, 이는 도 1에 도시된 TV폰의 동작모드가 TV모드의 일 때 전화 착신 메시지의 수신에 의해 TV모드를 폰 모드 혹은 유지하는 전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도 1에 도시된 MSP(30)내의 메모리 블럭(도시하지 않음)에 마스크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에 도시된 TV폰의 동작모드가 TV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 하에 설명한다. 상기 도 1과 같은 TV폰의 전화 착신의 알람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어 사용자에게 알람된다. 예를 들면, TV음성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제1착신모드와, TV음성을 뮤트(mute)하고 TV영상의 출력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제2착신모드와, TV영상 표시 화면의 특정 위치에 전화 착신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3착신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TV폰이 동작되면, 전파를 대기로 송신거나 대기중의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12)는 대기중의 전파를 수신하여 이에 접속된 대역수신필터(14)와 MRFU(16)로 공급한다. 상기 대역수신필터(14)는 수신되는 주파수중 TV방송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만을 대역 통과 필터링하여 출력단에 접속된 TV유니트(18)에 입력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TV폰의 모드가 TV모드로 설정되면, MSP(30)는 TV유니트(18) 및 TV음성신호처리부(38)로 전원제어신호(PW)를 공급하여 동작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MSP(30)는 키패드(32)로부터 입력되는 채널선택신호 혹은 이전에 시청하고 있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선신호(CH-S)를 TV유니트(18)내의 위상동기루프(phase looked loop: 이하 "PLL"이라고 칭함)(22)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PLL(20)은 이에 대응하는 동조주파수(SEL-F)를 발진하여 TV튜너(20)으로 제공하며, 상기 TV튜너(20)은 상기 동조주파수(SEL-F)와 상기 대역수신필터(14)를 통한 수신신호를 합성하여 다운컨버팅(down converting)된 영상중간주파신호(VIF:video intermediate frequency)와 음성중간주파신호(AIF;audio intermediate frequency)를 출력한다.
상기 TV튜너(20)의 출력에 접속된 영상복조부(24)는 상기 영상중간주파신호(VIF)를 복조하여 복합영상신호(Vcomp: composit Video signal)를 출력노드에 접속된 NTSC디코더(영상디코더)(26)로 공급함과 동시에 영상신호의 동기신호(Sync)를 문자삽입신호 발생기(28)으로 제공한다. 상기 NTSC디코더(26)은 상기 복합영상신호(Vcomp)를 디코딩하여 R,G,B의 색신호로서 MUX(36)의 A단자로 제공다.
상기 문자삽입신호 발생기(28)은 상기 동기신호(sync)를 카운팅하여 그 카운팅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일 때 문자삽입신호를 발생하는 문자삽입신호 발생한다. 즉, 상기 문자삽입신호 발생기(28)는 내부에 수평동기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수평라인의 위치 값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카운터의 값과 메모리의 출력 값을 비교하여 동일할 때 수평동기신호의 귀선기간까지 활성화된 문자삽입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비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매 필드 혹은 프레임의 주기로 일정 구간의 문자 삽입 제어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TV유니트(18)는 MSP(30)로부터 전원제어신호(PW)의 활성화에 의해 동작되어 채널선택신호에 따른 방송채널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전화 착신 시 착신 메시지가 삽입되기 위한 구간제어신호를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자 삽입 신호의 발생은 착신 알람 모드가 제3착신모드의 택스트 모드일 때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한편, MUX(36)은 TV모드시, MSP(30)로부터 "로우"의 상태로 출력되는 영상선택신호(SEL-M)에 의해 상기 NTSC디코더(26)로부터 출력되는 R, G, B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노드에 접속된 표시장치(40)내의 ADC(analog to dital converter)(42)로 입력시킨다. 상기 ADC(42)는 입력되는 R, G, B 영상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타이밍 제어부(44)에 입력시킨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44)는 의사수직동기신호 및 의사수평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동기신호 발생기를 구비하여 입력되는 영상데이타에 의해 출력단에 접속된 TFT-LCD(46)를 구동하여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또한, 상기 MSP(3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제어신호(PW)에 의해 동작되는 TV음성신호처리부(38)는 상기 TV튜너(2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중간주파신호(AIF)를 신호처리하여 TV방송프로그램의 음성신호를 스피커(SP)를 통해 재생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도 1과 같은 TV유니트(18)과 TV음성신호처리부(38) 및 표시장치(40)들은 MSP(30)의 TV모드의 제어에 의한 채널선택의 YV방송프로그램의 영상 및 음성을 수신하여 재생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중, 사용자가 키패드(32)에 위치된 채널선택키를 조작하여 소망하는 채널을 선택하면, MSP(30)가 채널선택신호(CH-S)를 변경하므로써 PLL(22)의 출력 및 동조주파수도 변경되어 TV튜너(20)의 채널이 변경된다.
한편, 상기 안테나(12)에 접속된 MRFU(16)는 휴대용 전화기의 송수신 주파수대역의 전파를 수신하여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탈 신호를 아나로그의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증폭후 상기 안테나(12)를 통해 무선전파한다. 이러한 MRFU(16)는 통상적인 휴대폰내의 RF파트와 베이스밴드 아나로그 회로(Base band analog circuit)를 조합하여 용이하게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CDMA방식의 무선송수신파트와 아나로그 신호를 CDMA방식의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고, CDMA디지탈 데이타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BBA회로로서, "QUALCOMM사" 에서 생산하고 있는 "BBA2.X(Q5312CDMA)" 의 칩과 RF유니트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다.
상기 MRFU(16)에 접속된 MSP(30)는 키패드(32)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을 분석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MSP(30)는 MRFU(16)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 데이타의 신호처리 및 보코딩 등을 통해 수신된 순방향 채널 데이타 메시지의 분석, 수신된 데이타로부터 아나로그의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기능 및 이의 역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재생된 아나로그의 음성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하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나로그의 음성신호를 CDMA방식의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MRFU(16)를 통해 역방향 채널로 송신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MSP(30)는 수신된 순방향 채널 데이타 메시지가 전화착신에 관계된 메시지인 경우, 내부 메모리에 설정된 착신 알람 모드를 분석하여 도 3과 같은 착신 모드를 제어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전화 착신 상태를 알람한다. 이러한 MSP(30)는 미합중국에 소재하는 "QUALCOMM사" 에서 원칩 형태로 공급하는 "MSM230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MSP(30)의 출력노드에 접속된 OSD(34)는 상기 MSP(30)로부터 출력되는 문자발생제어데이타에 대응하는 OSD영상신호를 발생하여 전술한 MUX(36)의 또다른 입력단자 B로 제공한다. 상기 MUX(36)은 TV모드시, 상기 MSP(30)로부터 "로우" 의 상태로 출력되는 영상선택신호(SEL-M)에 의해 입력단자 A로 입력되는 영상을 선택하여 출력단자에 접속된 ADC(42)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TV폰의 작동이 TV수신모드로 동작되어 소망하는 채널의 방송프로그램을 청취하고 있는 상태에서, MSP(30)는 MRFU(16)의 출력을 모니터링하여 자신을 호출하기 위한 휴대폰 전화착신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도 2의 102과정에서 검색한다. 이때 전화 관련 착신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MSP(30)는 TV모드로 계속 동작된다. 여기서, 전화 관련 착신 메시지라 함은 휴대폰을 호출하기 위한 링정보 및 SMS(short message service)의 문자 메시지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MRFU(16)를 통해 전화 관련 착신 메시지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사기 MSP(30)은 104과정에서 내부의 메모리 영역에 설정된 착신 알람 모드를 검색한다. 여기서 착신 알람 모드라 함은 이미 전술한 제1, 제2 및 제3착신모드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MSP(30)는 104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착신모드에 따라 사용자에게 전화 착신이 있었음을 알린다. 예를 들어, 전화 착신 알람 모드가 벨모드, 진동 모드 및 램프(무음) 모드들중 하나로 설정됨에 따라서 현재 시청하고 있는 TV방송 프로그램의 음성신호 혹은 음성신호 및 OSD(34)의 출력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알람할 수 있다. 즉, TV음성 신호 처리부(38)의 출력을 뮤트시키거나, 표시장치(40)을 통해 화면상의 출력을 제어하여 재생화면을 스위칭 시키거나, 특정 문자가 표시하여 알람할 수 있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MSP(30)가 TV음성신호 출력제어부(38)에 접속된 뮤트신호(mute)의 활성화/비활성화, MUX(36)의 선택신호(SEL-M) 및 문자삽입신호에 동기하여 OSD(34)로 출력하는 문자발생제어신호(CD)등의 출력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는 것들이다.
상기 104과정에서 전화 착신을 알람한 MSP(30)는 106과정에서 자동 응답 전환 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내부 메모리영역의 플레그를 검색하여 판단한다. 여기거, 자동 응답 전환 모드라 함은 전화 착신이 있을 때 자동적으로 응답하여 상대방과 통화가 가능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106과정에서 자동 응답 전환 모드로 설정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MSP(30)는 110과정에서 파워제어신호(PW)를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켜 TV유니트(18)와 TV음성 신호 처리부(38)의 전원을 "오프" 한다. 이와 같이 전원을 오프하는 이유는 배터리의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MSP(30)는 112과정에서 MRFU(16)로 전화 착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공급하여 통화모드로 천이한다. 상기 112과정에 의한 전화 착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MRFU(16)는 수신된 신호를 역방향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통상의 휴대폰의 콜 프로시저와 같이 상대방과 휴대폰과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게 된다.
만약, 106과정에서 자동 응답 전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MSP(30)는 108과정에서 키패드(32)상에 설정된 전화 사용 허용키(SEND KEY, OK KEY 혹은 END KEY를 제외한 ANY KEY) 선택신호가 발생되는지를 검색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TV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가 전화 착신을 인지하고 키패드상에 위치된 센드키등을 선택하면, MSP(30)는 108과정에서 이를 검출하고, 전술한 110과정 이후를 실행하여 TV를 오프한 후 상대방과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108과정에서 전화 사용 허용키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MSP(30)는 114과정에서 전화 착신을 거부하는 키, 예를 들면, 엔드 키(ENF KEY)가 선택되었는지를 키패드(32)의 출력을 읽어 검색한다. 이때, 아무런 키패드(32)상에 위치된 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화 착신을 인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술한 과정으로부터 반복 수행한다. 따라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순방향 채널을 통해 전화 착신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104과정의 동작에 의해 전화 착신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만약, TV방송의 영상 및 음성이 재생 출력되는 상태에서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신호를 인지한 사용자가 전화를 거부하기 위하여 키패드(32)상에 위치된 엔드키를 선택한 경우, MSP(30)는 116과정에서 착신을 거부한다. 착신의 거부는 MRFU(16)를 통해 수신된 순방향 채널의 데이타를 분석하는 MSP(30)가 순방향 채널의 데이타에 포함된 링 데이타에 의해 스피커(SP)로 출력하는 링톤 데이타의 출력을 디스에이블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현재 착신되는 링 관련 데이타의 출력을 디스에이블하면 현재 표시장치(40)의 TFT-LCD(46)를 통해 재생되는 영상과 TV음성신호처리부(38)로는 계속하여 선택된 채널의 영상과 음성이 재생 출력되어 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2와 같은 제어에 의해 사용자는 TV를 시청을 하는 상태에서 전화 착신이 발생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람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TV폰의 동작모드를 TV모드에서 폰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TV유니트를 오프하므로써 TV와 휴대폰의 동시 동작에 의한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고, TV폰의 이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TV와 휴대폰이 일체화된 TV폰에서, TV를 시청하는 TV모드에서 전화착신시 폰모드로의 전환을 비교적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TV모듈과 관련된 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세이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휴대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제어 흐름도.

Claims (3)

  1. 선택 채널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을 재생하는 TV유니트를 구비한 TV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TV 유니트로부터 재생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가 표시장치 및 음성신호처리장치를 통해 재생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화 관련 착신 메시지 수신 시 미리 설정된 착신 알람 모드에 따라 이를 사용자에게 알람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상기 전화 관련 메시지 착신을 허용하는 명령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TV 유니트의 동작을 디스에이블(Disable)시킴과 동시에 폰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상기 전화 관련 메시지 착신을 거부하는 명령의 입력이 있으면 착신음 링톤 데이터의 출력을 차단하여, 상기 TV 유니트로부터 재생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의 출력을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과정은 상기 TV 유니트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하여 TV유니트의 동작을 디스에이블 함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과정은
    상기 전화 관련 메시지 착신을 사용자에게 알람한 후, 자동 응답 전환 모드가 미리 설정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자동 응답 전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TV 유니트의 동작을 디스에이블시킴과 동시에 역방향 채널을 통해 전화 착신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폰 모드로 전환하는 자동 응답 전환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델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KR1019980059063A 1998-12-26 1998-12-26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KR100547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063A KR100547841B1 (ko) 1998-12-26 1998-12-26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DE19962921A DE19962921B4 (de) 1998-12-26 1999-12-24 Verfahren für die Steuerung der Betriebsmodeumschaltung eines tragbaren Fernseh-(TV-)Telefon
GB9930488A GB2347589B (en) 1998-12-26 1999-12-24 Portable television (TV) phon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B991270711A CN1154386C (zh) 1998-12-26 1999-12-24 控制便携式电视电话操作模式切换的方法
US09/473,241 US6529742B1 (en) 1998-12-26 1999-12-27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switching of portable television (TV) phone
US11/071,897 USRE42928E1 (en) 1998-12-26 2005-03-03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switching of portable television (TV)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063A KR100547841B1 (ko) 1998-12-26 1998-12-26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277A Division KR100605965B1 (ko) 2005-08-10 2005-08-10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781A KR20000042781A (ko) 2000-07-15
KR100547841B1 true KR100547841B1 (ko) 2006-05-10

Family

ID=1956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063A KR100547841B1 (ko) 1998-12-26 1998-12-26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529742B1 (ko)
KR (1) KR100547841B1 (ko)
CN (1) CN1154386C (ko)
DE (1) DE19962921B4 (ko)
GB (1) GB23475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3318B1 (en) 1998-05-29 2002-01-29 Pal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over low bandwidth communications networks
KR100310346B1 (ko) * 1998-12-19 2001-11-05 윤종용 텔레비전과 휴대폰이 일체화된 텔레비전 휴대폰
US20010039664A1 (en) * 2000-05-03 2001-11-08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Digital over-the-air communication system for use with analog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US20010039662A1 (en) * 2000-05-03 2001-11-08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Digital over-the-air communication system for use with digital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US20010053700A1 (en) * 2000-05-03 2001-12-20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with secondary channel rebroadcasting within a local area network
US20010039663A1 (en) * 2000-05-03 2001-11-08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Portable device for use with digital over-the-air communication system for use with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US7302224B2 (en) * 2000-05-03 2007-11-27 The Directv Group, Inc. Communication system for rebroadcasting electronic content within local area network
EP1324609A4 (en) * 2000-07-27 2006-11-02 Infocity Kk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20030069750A1 (en) * 2000-08-11 2003-04-10 Sony Corporation System for automatic device registration
US7076275B1 (en) * 2000-10-13 2006-07-11 Palmsource, Inc. Method and system for single-step enablement of telephony functionality for a portable computer system
KR100379335B1 (ko) * 2000-10-31 2003-04-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Cdma 통신 시스템 송신부에서의 전압 오프셋 보상 장치
GB2370188A (en) * 2000-11-01 2002-06-19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ixed-media telecommunication call set-up
US7149469B2 (en) * 2000-12-21 2006-12-12 Larry Russell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audio broadcasts via a phone
KR100381137B1 (ko) * 2000-12-29 200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기에서 특정일 알림방법
KR100407966B1 (ko) 2001-08-24 200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를 이용한 휴대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7107081B1 (en) 2001-10-18 2006-09-12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466992B1 (en) 2001-10-18 2008-12-16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127271B1 (en) 2001-10-18 2006-10-2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DE60235651D1 (de) 2002-03-27 2010-04-22 Mitsubishi Electric Corp Kommunikationsvorrichtung und kommunikationsverfahren
DE10228579A1 (de) * 2002-06-26 2004-01-15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essen der Bildqualität des Displays eines Mobiltelefons
KR100678204B1 (ko) * 2002-09-17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모드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754647B1 (ko) 2002-09-17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텔레비전 영상신호 표시장치 및 방법
US8229512B1 (en) 2003-02-08 2012-07-2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241128B1 (en) 2003-04-03 2012-08-1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20040235520A1 (en) * 2003-05-20 2004-11-25 Cadiz Jonathan Jay Enhanced telephony computer user interface allowing user interaction and control of a telephone using a personal computer
JP2004349997A (ja) * 2003-05-22 2004-12-09 Funai Electric Co Ltd コントローラic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液晶テレビ
JP4346969B2 (ja) * 2003-06-20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装置の制御方法
JP2005065129A (ja) * 2003-08-20 2005-03-10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消費電力低減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8090402B1 (en) 2003-09-26 2012-01-03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JP4622223B2 (ja) 2003-09-30 2011-02-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7216221B2 (en) * 2003-09-30 2007-05-0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nified audio control on a personal computer
US7551894B2 (en) * 2003-10-07 2009-06-23 Phonak Communications Ag Wireless microphone
US8121635B1 (en) 2003-11-22 2012-02-21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JP2005167909A (ja) * 2003-12-05 2005-06-23 Sanyo Electric Co Ltd 携帯型電話装置
JP4131237B2 (ja) * 2003-12-24 2008-08-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100608747B1 (ko) * 2003-12-30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전송방법
EP1571813A1 (en) 2004-03-02 2005-09-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 image to the called party identifying calling party
US8041348B1 (en) 2004-03-23 2011-10-1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EP1605673B1 (en) * 2004-06-08 2016-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function during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utput
KR20050044837A (ko) * 2004-06-08 200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4286735B2 (ja) * 2004-07-08 2009-07-01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US20060019646A1 (en) * 2004-07-21 2006-01-26 Benco David S Network support for mobile handset application customization
JP4747537B2 (ja) * 2004-09-07 2011-08-1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携帯端末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698140B1 (ko) * 2004-10-05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전원 패스 장치
KR100585785B1 (ko) * 2004-11-22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엠비 휴대단말기의 멀티타스크 장치 및 방법
KR100677186B1 (ko) 2004-11-24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작업중 착신 호를처리하기 위한 방법
US7286794B2 (en) * 2004-12-13 2007-10-23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joint broadcast receiving and cellular communication at mobile terminal or device without service control
US20060141926A1 (en) * 2004-12-29 2006-06-29 Nokia Corporation Call rejections and reminders in order to enhance enjoyment of media items
JP2006211394A (ja) * 2005-01-28 2006-08-10 Toshiba Corp 折り畳み型携帯端末装置
US7627341B2 (en) * 2005-01-31 2009-12-01 Microsoft Corporation User authentication via a mobile telephone
US8208954B1 (en) 2005-04-08 2012-06-26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JP4638910B2 (ja) * 2005-04-26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型テレビ放送受信装置、テレビ放送受信方法、テレビ放送受信プログラム及びテレビ放送受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742069B2 (en) * 2005-05-03 2010-06-22 Nicholas William Prideaux Payne Telephone ring activation of a wireless transmitter for remote control of a television
EP1724955A3 (en) * 2005-05-17 2007-01-03 Samsung Electronics Co.,Ltd. Method for taking a telephone call while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an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using this method
KR100557185B1 (ko) 2005-05-17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시통화 방법
US7627349B2 (en) * 2005-07-11 2009-12-01 Nokia Corporation Alternative notifier for multimedia use
FR2889399B1 (fr) * 2005-07-27 2009-07-03 Archos Sa Dispositif de television numerique terrestre portabl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reception d'un signal numerique de faible puissance
TWI308308B (en) * 2005-08-12 2009-04-01 Au Optronics Corp Driving circuits and driving modules, display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s using the same
KR100663447B1 (ko) * 2005-10-2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채널 정보 표시 방법
EP1954011B1 (en) * 2005-11-22 2012-10-03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telephone for receiving television images
KR100702705B1 (ko) * 2005-11-28 2007-04-02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멀티밴드-멀티모드(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멀티밴드-멀티모드(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멀티태스킹 방법
KR100703486B1 (ko) * 2005-11-2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수행 방법
US8023883B1 (en) 2005-12-28 2011-09-20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andoffs in a mobile system
US20070149218A1 (en) * 2005-12-28 2007-06-28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region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based upon location
US9316738B2 (en) * 2005-12-28 2016-04-19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beyond an area of interest boundary
US7720431B2 (en) * 2005-12-28 2010-05-18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information to a mobile receiving device
US20070146200A1 (en) * 2005-12-28 2007-06-28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ing and real time content to a mobile device based upon location
JP4578419B2 (ja) * 2006-02-27 2010-11-1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WO2007111111A1 (ja) * 2006-03-29 2007-10-04 Sharp Kabushiki Kaisha 携帯電話機
KR100744380B1 (ko) 2006-04-17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24961B1 (ko) * 2006-07-28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및 방법
JP2008099053A (ja) * 2006-10-13 2008-04-24 Sharp Corp 携帯情報端末装置
US20080113686A1 (en) * 2006-11-10 2008-05-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tuner and portable telephone device using the same
US8175514B2 (en) * 2007-01-22 2012-05-08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eauthorization for a mobile receiving device to access wireless networks
TW200843482A (en) * 2007-04-20 2008-11-01 Asustek Comp Inc Portable media player
US7890089B1 (en) 2007-05-03 2011-02-1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559983B1 (en) 2007-05-03 2013-10-1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116826B2 (en) * 2007-06-29 2012-02-14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utomatic adjustment of call and message alert levels for missed/rejected calls/messages
US8971926B2 (en) * 2007-07-05 2015-03-03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arning a mobile user approaching a boundary of an area of interest
US8676273B1 (en) 2007-08-24 2014-03-1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639214B1 (en) 2007-10-26 2014-01-2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472935B1 (en) 2007-10-29 2013-06-2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744720B1 (en) 2007-12-27 2014-06-03 Iwao Fujisaki Inter-vehicle middle point maintaining implementer
US8543157B1 (en) 2008-05-09 2013-09-2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which notifies its pin-point location or geographic area in accordance with user selection
DE102008028819A1 (de) * 2008-06-19 2009-12-24 Deutsche Telekom Ag Gerät, System und Verfahren zur Datenübertragung
US8340726B1 (en) 2008-06-30 2012-12-2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452307B1 (en) 2008-07-02 2013-05-2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JP5410720B2 (ja) 2008-09-25 2014-02-05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ィジタル情報信号送受信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情報信号送受信方法
US20110016494A1 (en) * 2009-07-16 2011-01-20 Linhardt Michael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Viewing Television on a Mobile Device
US8838179B2 (en) * 2009-09-25 2014-09-16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ultimedia communication recordings
US8848934B2 (en) 2010-12-08 2014-09-30 Skype Controlling audio signals
US20130053057A1 (en) 2011-08-31 2013-02-28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device and utilizing the location in content services
US20220368790A1 (en) * 2021-05-13 2022-11-17 Facebook Technologies, Llc Quick switching to receive a call on a tv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5875A (ko) * 1995-12-01 1997-07-31 구자홍 텔레비젼수상기 겸용 셀룰라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6197A1 (de) * 1982-04-30 1983-11-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chaltungsanordnung zum umsetzen eines rufsignals in eine optische und/oder akustische anzeige
US4545841A (en) 1982-09-15 1985-10-08 Donald Jackrel Method for fabricating a glove with an intermediate membrane layer
US4776209A (en) 1987-07-13 1988-10-11 W. L. Gore & Associates, Inc. Leakage detector
US5056153A (en) * 1987-07-29 1991-10-08 Mazda Motor Corporation Mobile electric accessory apparatus
IL102369A (en) 1991-07-11 1995-11-27 Southwest Bell Tech Resources Capture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5805677A (en) * 1991-07-11 1998-09-08 Sbc Technology Resources, Inc.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display of information relating to the origin of a third source caller
US5684918A (en) 1992-02-07 1997-11-04 Abecassis; Max System for integrating video and communications
US5612732A (en) * 1993-03-31 1997-03-18 Casio Computer Co., Ltd. Portable compact imaging and displaying apparatus with rotatable camera
JPH08125723A (ja) * 1994-10-27 1996-05-17 Toshiba Corp 着信音の出力方法、電源供給方法及び携帯電話機
GB9502201D0 (en) * 1995-02-03 1995-03-22 Bank Of England Telephone caller diplays
US5604921A (en) 1995-07-07 1997-02-18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telephone user interface for broadcast short message service
FR2739517A1 (fr) * 1995-09-29 1997-04-04 Philips Electronics Nv Appareil telephonique avec dispositif peripherique
US5991637A (en) * 1996-04-19 1999-11-23 Mack, Ii; Gawins A. Integrated passive and active communications system
US5870389A (en) * 1996-06-28 1999-02-09 Ctp System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ng devices
DE19648991A1 (de) 1996-11-26 1998-06-04 Zeno Datenverarbeitungs Gmbh Mobilfunktelefon
DE19700500A1 (de) * 1997-01-09 1998-07-23 Mazen Dipl Ing Ismael Fernsehgerät mit Fernbedienung
US5911848A (en) 1997-06-03 1999-06-15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on Method for making a puncture evident double layer surgical glove
SE521479C2 (sv) * 1997-06-04 2003-11-04 Telia Ab Ett cellradiokommunikationssystem anpassat att presentera geografiskt relaterad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5875A (ko) * 1995-12-01 1997-07-31 구자홍 텔레비젼수상기 겸용 셀룰라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930488D0 (en) 2000-02-16
DE19962921B4 (de) 2005-01-27
GB2347589A (en) 2000-09-06
GB2347589B (en) 2001-06-13
DE19962921A1 (de) 2000-06-29
CN1264258A (zh) 2000-08-23
US6529742B1 (en) 2003-03-04
USRE42928E1 (en) 2011-11-15
KR20000042781A (ko) 2000-07-15
CN1154386C (zh)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841B1 (ko)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KR100539871B1 (ko) 텔레비전 휴대폰의 수신 메세지 표시 방법
KR100310346B1 (ko) 텔레비전과 휴대폰이 일체화된 텔레비전 휴대폰
JPH08125723A (ja) 着信音の出力方法、電源供給方法及び携帯電話機
JP2004146894A (ja) 携帯端末装置及び音声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50122553A (ko)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 중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그 방법
KR100605965B1 (ko)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KR100319272B1 (ko) 티브이폰에서 정보 표시방법
JP2003110666A (ja) 電子機器
KR100310345B1 (ko)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및 방법
KR100330850B1 (ko) 티브이시청중에 폴더를 닫을 시 티브 음성신호를 청취하는티브이폰 및 그 방법
KR100651402B1 (ko) 착신 차단방법
KR100605957B1 (ko) 이어마이크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4327741B2 (ja) 携帯電話機
KR100330851B1 (ko) 티브이시청중에 통화하는 티브이폰 및 그 방법
KR1011264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678861B1 (ko) 강제 매너 모드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이를 이용한시스템 및 강제 모드 설정 방법
JP2005079922A (ja) 放送受信機能付携帯電話機
JP2006013837A (ja) 携帯電話機
KR100282060B1 (ko) 텔레비전을 사용한 전화기의 자동 응답 전환 방법
JP2003110657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20010048818A (ko) 티브이폰의 모드 전환방법
KR19980073389A (ko) 무선자동응답전화기의 휴대장치에서 자동응답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7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81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