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7039B1 - 에어컨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에어컨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039B1
KR100557039B1 KR1020030071990A KR20030071990A KR100557039B1 KR 100557039 B1 KR100557039 B1 KR 100557039B1 KR 1020030071990 A KR1020030071990 A KR 1020030071990A KR 20030071990 A KR20030071990 A KR 20030071990A KR 100557039 B1 KR100557039 B1 KR 100557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ompressor
discharge pressure
pressure
pres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345A (ko
Inventor
이윤빈
박영민
황일남
양동준
윤석호
박종한
최성오
김승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1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039B1/ko
Priority to US10/861,999 priority patent/US7472559B2/en
Priority to CNB2004100634817A priority patent/CN100380056C/zh
Priority to JP2004291582A priority patent/JP2005121359A/ja
Priority to EP04077849.0A priority patent/EP1524480B1/en
Publication of KR20050036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03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5Mot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7Exceeding a certain pressure value in a refrigeration component 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1Discharge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3Suction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safety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정시적으로 운전중인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과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의 비교를 통해 압축기의 운전영역상태 즉, 압축기의 운전영역이 안전영역 상태인지 또는 불안전영역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불안전영역에서의 운전시 안전영역으로 오도록 가변수단들을 제어하므로서, 상기 불안전영역에서의 운전시 발생되는 압축기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진동/소음 감소에 따른 압축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압축기 손상 방지에 따른 압축기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에어컨, 제어방법, 압축기, 운전영역, 불안전영역, 안전영역

Description

에어컨 제어방법{The method for control of airconditioner}
도 1 은 종래 에어컨의 냉방 사이클을 나타낸 상태도.
도 2 는 종래 에어컨의 난방 사이클을 나타낸 상태도.
도 3 은 운전중인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이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 범위를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 운전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에어컨 제어방법을 통해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 범위를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 운전상태를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 범위 내인 안전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5 는 운전중인 압축기의 흡입압력이 기설정된 흡입압력 하한치를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 운전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에어컨 제어방법을 통해 기설정된 흡입압력 하한치를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 운전상태를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 범위 내인 안전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실시예의 플로우-챠트.
도 7 은 운전중인 압축기의 토출압력이 기설정된 토출압력 하한치를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 운전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에어컨 제어방법을 통해 기설정된 토출압력 하한치를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 운전상태를 기설정된 제 1, 2 토출압력 범위 내인 안전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실시예의 플로우-챠트.
도 9 는 운전중인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이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 하한치를 모두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 운전상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에어컨 제어방법을 통해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 하한치를 모두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 운전상태를 기설정된 제 1, 2 흡입/토출압력 범위 내인 안전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3 실시예의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압축기 11. 사방변
12. 실외 열교환기 13. 실외팬
14. 팽창밸브 15. 실내 열교환기
16. 실내팬
Psc. 압축기 흡입압력 Pdc. 압축기 토출압력
Ps1. 설정된 제 1 흡입압력 Ps2. 설정된 제 2 흡입압력
Pd1. 설정된 제 1 토출압력 Pd2. 설정된 제 2 토출압력
본 발명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시 운전중인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과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의 비교를 통해 압축기의 운전영역상태 즉, 압축기의 운전영역이 안전영역 상태인지 또는 불안전영역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불안전영역에서의 운전시 안전영역으로 오도록 제어하여 상기 불안전영역에서의 운전시 발생되는 압축기의 진동/소음은 물론, 손상 방지를 통해 압축기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컨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냉매의 압축 및 응축, 팽창, 증발과정을 거쳐 생성된 냉기를 실내로 토출시켜 실내 온도를 저하시키는 기기로서,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기로 구분되며, 상기 실외기는 압축기(10) 및 어큐뮬레이터(20), 사방밸브(11), 실외 열교환기(12), 실외팬(1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실내기는 팽창밸브(14) 및 실내 열교환기(15), 실내팬(1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컨의 경우, 다수의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를 연결한 멀티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컨의 냉방과정을 살펴보면,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15)로부터 압축기(10)로 유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냉매는 압축기(10)의 가압작용을 통해 고온 고압의 기상상태로 가압됨과 동시에, 냉방 사이클이 이루어지도록 절환된 사방밸브(11)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12)로 토출되게 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12)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2)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실외팬(13) 구동을 통해 실외기 내로 흡입된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이뤄 상온 고압의 액상상태로 상변화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변화된 냉매는 팽창밸브(14)로 토출됨과 동시에, 상기 팽창밸 브(14)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증발작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온 저압의 액상상태로 감압되어 실내 열교환기(15)로 토출되게 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15)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5)의 주위 공기와 열교환을 이뤄 저온 저압의 기상상태로 상변화를 이룬 후, 사방밸브(11)를 통해 다시 압축기(10)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15)에서 팽창밸브(14)를 통해 감압된 냉매와 열교환된 주위 공기는 상기 냉매에 열을 빼앗기면서 차가운 냉기로 변화되고, 상기 냉기는 실내팬(16)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면서 에어컨의 냉방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또한 에어컨의 난방과정은, 전술한 냉방과정과 반대의 사이클을 이루는 것으로서,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열교환기(12)로부터 압축기(10)로 유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냉매는 압축기(10)의 가압작용을 통해 고온 고압의 기상상태로 가압됨과 동시에, 난방 사이클이 이루어지도록 절환된 사방밸브(11)를 통해 실내 열교환기(15)로 토출되어 실내 열교환기(15)의 주위 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상온 고압의 액상상태로 상변화를 이룬 후 팽창밸브(14)로 토출되게 되는데, 이 때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와 열교환된 주위 공기는 상기 냉매 열에 의해 더운 공기로 변화됨과 동시에, 실내팬(16)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팽창밸브(14)로 토출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2)에서 증발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온 저압의 액상상태로 감압된 다음 실외 열교환기(12)로 토출되게 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12)로 토출된 냉매는 실외기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저온 저압의 기상상태로 상변화를 이룬 후, 사방밸브(11)를 통해 다시 압축기(10)로 유입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컨에 있어 압축기(10)의 운전방식을 살펴보면, 목표하는 냉/난방 능력을 낼 수 있도록 압력값 또는 온도값 즉,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을 제어하는 방식이거나, 또는 실내/외 온도 및 운전이 필요한 실내기의 용량값을 계산하여 미리 선정된 압축기(10) 운전 스텝(Step)에 따라 운전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이 압력값과 온도값으로 주어지는 운전영역 중 특히 압축기(10)의 흡입압력 또는 토출압력 또는 흡입/토출압력이 저하되어 진동/소음이 적고 압축기에 무리가 가지 않는 영역 즉, 압축기(10) 특성이 고려된 안전영역을 벗어난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안전영역에서 압축기(10)의 운전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압축기(10)의 안정적인 운전이 이루어지는 안전영역과는 반대로 압축기(10)의 진동 및 소음이 증가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불안전영역에서 압축기(10)를 장시간 운전시킬 경우, 상기 진동 및 소음 증가에 따른 압축기(10)가 손상되면서 압축기(10)를 새로 교체하거나, 또는 압축기(10) 손상에 따른 에어컨의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진동/소음 증가에 따른 압축기(10)가 손상될 경우, 압축기(10) 자체에 대한 신뢰성 및 내구성 역시 크게 저하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정시적으로 운전 중인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과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의 비교를 통해 압축기의 운전영역상태 즉, 압축기의 운전영역이 안전영역 상태인지 또는 불안전영역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불안전영역에서의 운전시 안전영역으로 오도록 가변수단들 즉, 압축기 및 실내/외 전자팽창밸브(LEV), 실외팬 등을 제어하므로서, 상기 불안전영역에서의 운전시 발생되는 압축기의 진동/소음은 물론, 손상 방지에 따른 압축기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 측정단계와; 측정된 압력과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의 비교단계와; 측정된 압력이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 범위 내에 있는지의 판단단계와; 측정된 압력이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 범위를 벗어날시의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 범위 내로 오도록 가변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에어컨 제어방법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에어컨 제어방법을 통해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 범위를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 운전상태를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 범위 내인 안전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에어컨 제어방법은, 냉/난방운전시 압축기(10)의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을 측정하는 단계(100)와; 상기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을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 교결과에 따라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과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110)와; 상기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과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Ps1)(Ps2)(Pd1)(Pd2) 범위 내로 오도록 가변수단을 제어하는 단계(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가변수단 제어에 의한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Ps1)(Ps2)(Pd1)(Pd2) 범위 내에 있는지를 재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에어컨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에어컨 제어방법은, 일반적으로 목표하는 냉/난방 능력을 낼 수 있도록 압력값 또는 온도값 즉,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을 제어하여 운전하거나, 또는 실내/외 온도 및 운전이 필요한 실내기의 용량값을 계산하여 미리 선정된 압축기(10) 운전 스텝(Step)에 따라 운전하도록 되어 있는 압축기(10) 운전방식 중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 또는 토출압력(Pdc) 또는 흡입/토출압력(Psc)(Pdc)이 저하되어 압축기(10) 특성이 고려된 안전영역을 벗어난 불안전영역에서의 압축기(10) 운전시 압축기(10) 및 실내/외 전자팽창밸브(LEV), 실외팬(13) 등의 가변수단들을 제어하여 상기 압축기(10)의 운전영역이 안전영역으로 오도록 하여 상기 안전영역 내에서 압축기(10)가 운전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전술한 종래와의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제어방법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난방운전시 압축기(10)의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을 측정하는 단계(100)와; 상기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을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과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110)와; 상기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과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Ps1)(Ps2)(Pd1)(Pd2) 범위 내로 오도록 가변수단을 제어하는 단계(120)와; 상기 가변수단 제어에 의한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Ps1)(Ps2)(Pd1)(Pd2) 범위 내에 있는지를 재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냉/난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가변시키거나, 또는 압축기(10)의 운전을 온(on)/오프(off) 시키거나, 또는 실내/외 전자팽창밸브(LEV)(미도시)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실외팬(13)의 풍량을 가변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변수단들의 제어를 통해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Ps1)(Ps2)(Pd1)(Pd2) 범위를 벗어난 운전영역 즉, 불안전영역에서 운전중이던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이 증가하게 되면서 기설정된 제 1, 2 흡입/토출압력(Ps1)(Ps2)(Pd1)(Pd2) 범위인 안전영역 내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안전영역 내에서 운전이 이루어지는 등, 압축기(10) 운전에 따른 신뢰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 때, 압축기(10)의 안전영역은 압축기(10) 특성을 고려하여 진동 및 소음이 작고, 운전에 따른 신뢰성이 확보되는 영역으로서, 다이킨사의 압축기를 예로 들때, 흡입압력(Ps1)(Ps2)의 범위는 0.18-0.8㎫이고, 토출압력(Pd1)(Pd2)의 범위는 1.26-3.4㎫인데, 상기 다이킨사 압축기외의 다른 압축기들의 경우, 안전영역 범위가 서로 각각 다르지만 본 발명의 에어컨 제어방법을 통해 다른 압축기들 역시 불안전영역에서 안전영역으로 이동되어 안전영역 내에서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어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흡입압력 범위(Ps1)(Ps2) 중 0.18㎫은 제 1 흡입압력(Ps1), 0.8㎫은 제 2 흡입압력(Ps2)이라 하고, 기설정된 토출압력(Pd1)(Pd2) 범위 중 1.26㎫은 제 1 토출압력(Pd1), 3.4㎫은 제 2 토출압력(Pd2)이라 칭한다.
이상의 제어방법을 도 4의 플로우-챠트와 대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에어컨의 냉/난방모드를 통해 운전중인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 및 토출압력(Pdc)을 측정(100)한다.
상기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과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 서로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 범위인 0.18-0.8㎫ 사이와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인 1.26-3.4㎫ 사이에 있는지 판단(110)하게 된다.
상기 판단 결과, 압축기(10)의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과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에 있을 경우, 현재 운전중인 상태로 계속해서 정상운전(130)을 하게 되지만, 이와 반대로 압축기(10)의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이 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과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에어컨의 운전(냉/난방)모드에 따라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가변시키거나, 또는 압축기(10)의 운전을 온(on)/오프(off) 시키거나, 또는 실내/외의 전자팽창밸브(LEV) 개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실외팬(13)의 풍량을 가변 제어(120)하므로서, 압축기(10)의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흡입압력(Ps1)(Ps2)과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로 오도록 한다.
이후, 상기 가변수단들의 제어를 통한 압축기(10)의 운전영역 즉,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흡입압력(Ps1)(Ps2) 및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에 있는지를 재 판단하여 상기 압축기(10)의 운전영역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과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엔, 현재 운전중인 상태로 계속해서 정상운전(130)을 하고, 이와 반대로 압축기(10)의 운전영역이 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과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엔, 상기 압축기(10)의 운전영역이 제 1, 2 흡입압력(Ps1)(Ps2)과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인 안전영역 내로 올 때까지 전술한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압축기(10)의 운전영역이 불안전영역에서 안전영역 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에어컨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 상기 압축기(10)의 운전영역 중 토출압력(Pdc)은 기설정된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에 있고, 흡입압력(Psc)이 설정된 흡입압력의 하한치(Ps1)를 벗어나는 경우와, 흡입압력(Psc)은 기설정된 흡입압력(Ps1)(Ps2) 범위 내에 있고, 토출압력(Pdc)이 설정된 토출압력의 하한치(Pd1)를 벗어나는 경우와, 흡입/토출압력(Psc)(Pdc) 모두 설정된 흡입/토출압력의 하한치(Ps1)(Pd1)를 벗어나는 경우를 제 1, 2, 3 실시예로 구분하여 상기 실시예 대한 에어컨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운전중인 압축기의 흡입압력이 기설정된 흡입압력 하한치를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 운전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에어컨 제어방법을 통해 기설정된 흡입압력 하한치를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 운전상태를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 범위 내인 안전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실시예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로서, 기설정된 흡입압력 하한치(Ps1)를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10) 운전상태를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 범위 내인 안전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컨 제어방법은, 도 5 및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난방운전시 압축기(10)의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을 측정 하는 단계(200)와; 상기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을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과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210)와; 상기 압축기(10)의 운전영역 중 토출압력(Pdc)은 기설정된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에 있고, 흡입압력(Psc)이 설정된 흡입압력의 하한치(Ps1)를 벗어나는 경우(220), 기설정된 흡입압력(Ps1)(Ps2) 범위 내로 오도록 가변수단을 제어하는 단계(230)와; 상기 가변수단 제어에 의한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Ps1)(Ps2)(Pd1)(Pd2) 범위 내에 있는지를 재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가변수단 제어는 에어컨의 냉/난방시 모두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냉방시 실내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난방시 실외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난방시 실외팬(13)의 풍량을 감소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변수단들을 제어할 경우, 기설정된 흡입압력의 하한치(Ps1) 즉, 제 1 흡입압력(Ps1) 이하로 벗어난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이 증가하게 되면서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 범위인 안전영역 내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안전영역 내에서 운전이 이루어지는 등, 압축기(10) 운전에 따른 신뢰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상의 제어방법을 도 6의 플로우-챠트와 대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에어컨의 냉/난방모드를 통해 운전중인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 및 토출압력(Pdc)을 측정(200)한다.
상기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과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 서로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 범위인 0.18-0.8㎫ 사이와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인 1.26-3.4㎫ 사이에 있는지 판단(210)하게 된다.
상기 판단 결과,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 및 토출압력(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 범위인 0.18-0.8㎫ 사이와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인 1.26-3.4㎫ 사이에 있을 경우, 현재 운전중인 상태로 계속해서 정상운전(240)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압축기(10)의 토출압력(Pdc)은 기설정된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인 1.26-3.4㎫ 내에 있고, 흡입압력(Psc)이 설정된 흡입압력 하한치(Ps1)인 0.18㎫ 이하(220)인 경우, 에어컨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방시에는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실내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압축기(10) 및 실내 전자팽창밸브(LEV)를 상기와 같이 제어(230a)하고, 난방시에는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실외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난방시 실외팬(13)의 풍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압축기(10) 및 실외 전자팽창밸브(LEV), 실외팬(13)을 상기와 같이 제어(230b)하므로서,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을 증가시켜 상기 증가된 흡입압력(Psc)이 기설정된 흡입압력(Ps1)(Ps2) 범위 내로 오도록 한다.
이후, 상기 가변수단들의 제어를 통해 흡입압력(Psc)이 증가된 상태의 압축기(10) 운전영역이 기설정된 흡입압력(Ps1)(Ps2) 및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에 있는지를 재 판단하여 상기 압축기(10)의 운전영역 즉, 흡입압력(Psc) 및 토출압력(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 범위인 0.18-0.8㎫ 사이와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인 1.26-3.4㎫ 사이에 있을 경우, 현재 운전중인 상태로 계속해서 정상운전(240)을 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이 설정된 흡입압력 하한치(Ps1) 이하인 경우, 상기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이 설정된 흡입압력(Ps1)(Ps2) 범위 내로 올 때까지 전술한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하게 된다.
도 7 은 운전중인 압축기의 토출압력이 기설정된 토출압력 하한치를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 운전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에어컨 제어방법을 통해 기설정된 토출압력 하한치를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 운전상태를 기설정된 제 1, 2 토출압력 범위 내인 안전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실시예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로서, 기설정된 토출압력 하한치(Pd1)를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10) 운전상태를 기설정된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인 안전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컨 제어방법은, 도 7 및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난방운전시 압축기(10)의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을 측정하는 단계(300)와; 상기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을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과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310)와; 상기 압축기(10)의 운전영역 중 흡입압력(Psc)은 기설정된 흡입압력(Ps1)(Ps2) 범위 내에 있고, 토출압력(Pdc)이 설정된 토출압력의 하한치(Pd1)를 벗어나는 경우(320), 기설정된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로 오도록 가변수단을 제어하는 단계(330)와; 상기 가변수단 제어에 의한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Ps1)(Ps2)(Pd1)(Pd2) 범위 내에 있는지를 재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가변수단 제어는 에어컨의 냉/난방시 모두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냉방시 실내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냉방시 실외팬(13)의 풍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난방시 실외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감소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변수단들을 제어할 경우, 기설정된 토출압력의 하한치(Pd1) 즉, 제 1 토출압력(Pd1) 이하로 벗어난 압축기(10)의 토출압력(Pdc)이 증가하게 되면서 기설정된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인 안전영역 내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안전영역 내에서 운전이 이루어지는 등, 압축기(10) 운전에 따른 신뢰성을 확 보하게 된다.
이상의 제어방법을 도 8의 플로우-챠트와 대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에어컨의 냉/난방모드를 통해 운전중인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 및 토출압력(Pdc)을 측정(300)한다.
상기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과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 서로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 범위인 0.18-0.8㎫ 사이와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인 1.26-3.4㎫ 사이에 있는지 판단(310)하게 된다.
상기 판단 결과,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 및 토출압력(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 범위인 0.18-0.8㎫ 사이와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인 1.26-3.4㎫ 사이에 있을 경우, 현재 운전중인 상태로 계속해서 정상운전(340)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은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 범위인 0.18-0.8㎫ 내에 있고, 토출압력(Pdc)이 설정된 토출압력 하한치(Pd1)인 1.26㎫ 이하(320)인 경우, 에어컨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방시에는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실내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실외팬(13)의 풍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압축기(10) 및 실내 전자팽창밸브(LEV), 실외팬(13)을 상기와 같이 제어(330a)하 고, 난방시에는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실외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압축기(10) 및 실외 전자팽창밸브(LEV)를 상기와 같이 제어(330b)하므로서, 압축기(10)의 토출압력(Pdc)을 증가시켜 상기 증가된 토출압력(Pdc)이 기설정된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로 오도록 한다.
이후, 상기 가변수단들의 제어를 통해 토출압력(Pdc)이 증가된 상태의 압축기(10) 운전영역이 기설정된 흡입압력(Ps1)(Ps2) 및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에 있는지를 재 판단하여 상기 압축기(10)의 운전영역 즉, 흡입압력(Psc) 및 토출압력(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 범위인 0.18-0.8㎫ 사이와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인 1.26-3.4㎫ 사이에 있을 경우, 현재 운전중인 상태로 계속해서 정상운전(340)을 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압축기(10)의 토출압력(Pdc)이 설정된 토출압력 하한치(Pd1) 이하인 경우, 상기 압축기(10)의 토출압력(Pdc)이 설정된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로 올 때까지 전술한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하게 된다.
도 9 는 운전중인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이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 하한치를 모두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 운전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에어컨 제어방법을 통해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 하한치를 모두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 운전상태를 기설정된 제 1, 2 흡입/토출압력 범위 내인 안전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3 실시예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로서,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 하한치(Ps1)(Pd1)를 모두 벗어난 불안전영역의 압축기(10) 운전상태를 기설정된 제 1, 2 흡입/토출압력(Ps1)(Ps2)(Pd1)(Pd2) 범위 내인 안전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컨 제어방법은, 도 9 및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난방운전시 압축기(10)의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을 측정하는 단계(400)와; 상기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을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과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410)와; 상기 압축기(10)의 운전영역 중 흡입/토출압력(Psc)(Pdc)이 설정된 흡입/토출압력의 하한치(Ps1)(Pd1)를 모두 벗어나는 경우(420),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Ps1)(Ps2)(Pd1)(Pd2) 범위 내로 오도록 가변수단을 제어하는 단계(430)와; 상기 가변수단 제어에 의한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Ps1)(Ps2)(Pd1)(Pd2) 범위 내에 있는지를 재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가변수단 제어는 에어컨의 냉/난방시 모두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실외팬(13)의 풍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냉방시 실내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난방시 실외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증가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변수단들을 제어할 경우, 기설정된 흡입 및 토출압력의 하한치(Ps1)(Pd1) 즉, 제 1 흡입/토출압력(Ps1)(Pd1) 이하로 벗어난 압축기(10)의 흡입/토출압력(Psc)(Pdc)이 증가하게 되면서 기설정된 제 1, 2 흡입/토출압력(Ps1)(Ps2)(Pd1)(Pd2) 범위인 안전영역 내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안전영역 내에서 운전이 이루어지는 등, 압축기(10) 운전에 따른 신뢰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상의 제어방법을 도 10의 플로우-챠트와 대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에어컨의 냉/난방모드를 통해 운전중인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 및 토출압력(Pdc)을 측정(400)한다.
상기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과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 서로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측정된 압축기(10)의 흡입 및 토출압력(Psc)(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 범위인 0.18-0.8㎫ 사이와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인 1.26-3.4㎫ 사이에 있는지 판단(410)하게 된다.
상기 판단 결과,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 및 토출압력(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 범위인 0.18-0.8㎫ 사이와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인 1.26-3.4㎫ 사이에 있을 경우, 현재 운전중인 상태로 계속해서 정상운전(440)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 및 토출압력(Pdc)이 설정된 흡입압력 하한치(Ps1)인 0.18㎫과 토출압력 하한치(Pd1)인 1.26㎫ 이하(420)인 경우, 에어컨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방시에는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증가 시키거나, 또는 실외팬(130)의 풍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실내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압축기(10), 실외팬(13), 실내 전자팽창밸브(LEV)을 상기와 같이 제어(430a)하고, 난방시에는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실외팬(13)의 풍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실외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압축기(10), 실외팬(13), 실외 전자팽창밸브(LEV)를 상기와 같이 제어(430b)하므로서,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 및 토출압력(Pdc)을 증가시켜 상기 증가된 흡입압력(Psc)과 토출압력(Pdc)이 기설정된 흡입압력(Ps1)(Ps2)과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로 오도록 한다.
이후, 상기 가변수단들의 제어를 통해 흡입압력(Psc) 및 토출압력(Pdc)이 증가된 상태의 압축기(10) 운전영역이 기설정된 흡입압력(Ps1)(Ps2) 및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에 있는지를 재 판단하여 상기 압축기(10)의 운전영역 즉, 흡입압력(Psc) 및 토출압력(Pdc)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Ps1)(Ps2) 범위인 0.18-0.8㎫ 사이와 제 1, 2 토출압력(Pd1)(Pd2) 범위인 1.26-3.4㎫ 사이에 있을 경우, 현재 운전중인 상태로 계속해서 정상운전(440)을 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 및 토출압력(Pdc)이 설정된 흡입압력 하한치(Ps1)와 토출압력 하한치(Pd1) 이하인 경우, 상기 압축기(10)의 흡입압력(Psc) 및 토출압력(Pdc)이 설정된 흡입압력(Ps1)(Ps2)과 토출압력(Pd1)(Pd2) 범위 내로 올 때까지 전술한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에어컨 제어방법은, 정시적으로 운전중인 압 축기(10)의 운전영역이 불안전영역 상태인지 또는 안전영역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불안전영역에서의 운전시 안전영역으로 오도록 가변수단들을 제어하므로서, 상기 불안전영역에서의 운전시 발생되는 압축기(10)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진동/소음 감소에 따른 압축기(10)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발명이며, 상기한 본 발명의 에어컨 제어방법의 경우, 일반적인 에어컨은 물론, 다수의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를 연결한 멀티 형태의 에어컨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본 발명의 에어컨 제어방법은, 정시적으로 운전중인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과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의 비교를 통해 압축기의 운전영역상태 즉, 압축기의 운전영역이 안전영역 상태인지 또는 불안전영역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불안전영역에서의 운전시 안전영역으로 오도록 가변수단들을 제어하므로서, 상기 불안전영역에서의 운전시 발생되는 압축기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진동/소음 감소에 따른 압축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압축기 손상 방지에 따른 압축기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Claims (21)

  1. 냉/난방운전시 압축기의 흡입 및 토출압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을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측정된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과 제 1, 2 토출압력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과 제 1, 2 토출압력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 범위 내로 오도록 가변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압축기의 운전을 온(on)/오프(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실내/외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실외팬의 풍량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6. 냉/난방운전시 압축기의 흡입 및 토출압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을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측정된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과 제 1, 2 토출압력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기의 운전영역 중 토출압력은 기설정된 토출압력 범위 내에 있고, 흡입압력이 설정된 흡입압력의 하한치를 벗어나는 경우, 기설정된 흡입압력 범위 내로 오도록 가변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 난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실내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실외 전자팽창밸브(LEV) 의 개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실외팬의 풍량을 감소시켜 저압의 흡입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11. 냉/난방운전시 압축기의 흡입 및 토출압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을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측정된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과 제 1, 2 토출압력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기의 운전영역 중 흡입압력은 기설정된 흡입압력 범위 내에 있고, 토출압력이 설정된 토출압력의 하한치를 벗어나는 경우, 기설정된 토출압력 범위 내로 오도록 가변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실내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실외팬의 풍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실외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16. 냉/난방운전시 압축기의 흡입 및 토출압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을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측정된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이 기설정된 제 1, 2 흡입압력과 제 1, 2 토출압력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기의 운전영역 중 흡입/토출압력이 설정된 흡입/토출압력의 하한치를 모두 벗어나는 경우,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 범위 내로 오도록 가변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실외팬의 풍량을 감 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냉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실내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시의 가변수단 제어는 실외 전자팽창밸브(LEV)의 개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21. 제 1 항 또는 제 6 항 또는 제 11 항 또는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 제어에 의한 압축기의 흡입/토출압력이 기설정된 흡입/토출압력 범위 내에 있는지를 재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KR1020030071990A 2003-04-04 2003-10-16 에어컨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57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990A KR100557039B1 (ko) 2003-10-16 2003-10-16 에어컨 제어방법
US10/861,999 US7472559B2 (en) 2003-04-04 2004-06-03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CNB2004100634817A CN100380056C (zh) 2003-10-16 2004-07-06 控制空调器的方法
JP2004291582A JP2005121359A (ja) 2003-10-16 2004-10-04 エアコン制御方法
EP04077849.0A EP1524480B1 (en) 2003-10-16 2004-10-18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990A KR100557039B1 (ko) 2003-10-16 2003-10-16 에어컨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345A KR20050036345A (ko) 2005-04-20
KR100557039B1 true KR100557039B1 (ko) 2006-03-03

Family

ID=3437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99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7039B1 (ko) 2003-04-04 2003-10-16 에어컨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72559B2 (ko)
EP (1) EP1524480B1 (ko)
JP (1) JP2005121359A (ko)
KR (1) KR100557039B1 (ko)
CN (1) CN10038005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57363A1 (fr) * 2006-05-19 2007-11-21 Lebrun Nimy Dispositif de régulation de température
JP2007327717A (ja) * 2006-06-09 2007-12-2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空気調和機
KR100766177B1 (ko) * 2006-08-04 2007-10-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방법
US7895003B2 (en) * 2007-10-05 2011-02-2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ibration protection in a variable speed compressor
KR101470631B1 (ko) * 2008-03-12 201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WO2009157320A1 (ja) * 2008-06-24 2009-12-30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CN103868195A (zh) * 2012-12-14 2014-06-18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防止空调压缩机过负荷运行的控制方法
CN103912956B (zh) * 2013-01-04 2016-12-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变频空调及其共振点跳跃自适应方法
KR102243860B1 (ko) * 2014-04-22 2021-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N104564641B (zh) * 2014-12-22 2018-01-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家用电器中变频压缩机的故障诊断方法、装置和系统
CN104697260B (zh) * 2015-02-13 2017-03-22 广东芬尼克兹节能设备有限公司 一种热泵机组调频点控制方法
KR102362039B1 (ko) * 2015-10-06 2022-02-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N109654780B (zh) * 2016-10-31 2020-04-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控制压缩机的运行的控制方法和热泵机组
CN107218705B (zh) * 2017-06-23 2020-01-1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室外电机的控制方法、空调器、及存储介质
CN108344115B (zh) * 2018-02-07 2020-10-20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风冷机组的控制方法、风冷机组及存储介质
CN108397375B (zh) * 2018-02-07 2019-12-20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压缩机的控制方法、空调器及存储介质
CN110733314A (zh) * 2018-07-18 2020-01-31 广东威灵汽车部件有限公司 汽车空调压缩机控制方法及装置
CN109945454B (zh) * 2019-03-27 2020-07-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压缩机控制方法、空调控制器和空调
CN110410944B (zh) * 2019-07-23 2021-08-2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压力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器
KR102662870B1 (ko) 2019-08-30 202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2594884B (zh) * 2020-12-10 2022-02-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机组及其冷凝器风机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3071289B (zh) * 2021-04-28 2024-05-10 蔚来汽车科技(安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座舱加热系统及其控制方法
CN113432353B (zh) * 2021-06-15 2022-08-23 广东芬尼克兹节能设备有限公司 压缩比调节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2853A (en) * 1916-08-18 1922-07-18 Refrigerating Specialties Comp Controlling mechanism for refrigerating apparatus
JPH0638007B2 (ja) * 1986-03-28 1994-05-18 株式会社東芝 冷凍機の能力制御方法
KR910004393B1 (ko) * 1987-04-22 1991-06-27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멀티 냉동사이클의 주파수 제어장치
JP2661781B2 (ja) * 1990-08-20 1997-10-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空調機の冷凍サイクル制御方法
JP2710698B2 (ja) * 1991-01-18 1998-02-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式空気調和装置
JPH04283361A (ja) 1991-03-13 1992-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室形空気調和機
JP2974179B2 (ja) * 1991-10-09 1999-11-08 松下冷機株式会社 多室型空気調和機
US5203179A (en) * 1992-03-04 1993-04-20 Ecoair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an air conditioning/refrigeration system
JPH06323639A (ja) * 1993-05-10 1994-11-25 Hitachi Ltd 冷水供給装置の制御方法
JP3265803B2 (ja) 1994-03-18 2002-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室空気調和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H0828983A (ja) * 1994-07-14 1996-02-02 Hitachi Ltd 多室空調機の制御装置
JP3529449B2 (ja) * 1994-08-25 2004-05-24 東プレ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H0861750A (ja) * 1994-08-26 1996-03-08 Hitachi Ltd 空気調和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H08128740A (ja) 1994-10-31 1996-05-21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JP3329603B2 (ja) 1994-12-14 2002-09-3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914766A (ja) * 1995-06-30 1997-01-17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凍装置
JP3685533B2 (ja) * 1995-09-14 2005-08-17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6092378A (en) 1997-12-22 2000-07-25 Carrier Corporation Vapor line pressure control
JP3597053B2 (ja) * 1998-08-07 2004-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0105017A (ja) * 1998-09-29 2000-04-11 Hitachi Building Equipment Engineering Co Ltd 水冷チラー形冷房装置の改造方法、および、冷水循環式の冷房装置
JP2000249408A (ja) * 1999-02-26 2000-09-14 Daikin Ind Ltd 冷凍装置
US6301911B1 (en) * 1999-03-26 2001-10-16 Carrier Corporation Compressor operating envelope management
JP2001153504A (ja) * 1999-12-02 2001-06-08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
JP2001280669A (ja) * 2000-03-30 2001-10-10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JP4104813B2 (ja) * 2000-07-07 2008-06-18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冷房サイクル
JP2003004316A (ja) * 2001-06-21 2003-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凍装置の制御方法
JP3937065B2 (ja) * 2001-06-26 2007-06-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21593A1 (en) 2004-11-11
CN1607361A (zh) 2005-04-20
EP1524480A1 (en) 2005-04-20
EP1524480B1 (en) 2016-02-24
KR20050036345A (ko) 2005-04-20
US7472559B2 (en) 2009-01-06
JP2005121359A (ja) 2005-05-12
CN100380056C (zh)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039B1 (ko) 에어컨 제어방법
KR100512280B1 (ko) 냉난방기의 절전 제습 운전방법
KR100579564B1 (ko)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전자 팽창밸브 제어 방법
KR100484800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동작방법
US8522568B2 (en) Refrigeration system
KR101485601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WO2009119023A1 (ja) 冷凍装置
US6807816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two compressor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040023132A (ko) 냉난방기의 제습 절전 운전방법
KR20090029515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0798781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2558826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EP3260792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device, air conditioning system, air conditioning control progra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method
KR100505237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 제어방법
JP2004020064A (ja) 多室形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101450543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484813B1 (ko) 히트펌프 시스템의 전자팽창밸브
JP3760259B2 (ja) 空気調和機
KR20060017399A (ko)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절전운전방법
KR100565242B1 (ko) 빌딩용 멀티 공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02306B1 (ko) 에어컨의 운전 제어방법
JP7683823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50111284A (ko) 빌딩용 멀티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0667097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KR20050100795A (ko) 실내외 온도 판단에 따른 인버터 압축기의 운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