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6486B1 -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적 소거방법 - Google Patents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적 소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486B1
KR100556486B1 KR1019990024108A KR19990024108A KR100556486B1 KR 100556486 B1 KR100556486 B1 KR 100556486B1 KR 1019990024108 A KR1019990024108 A KR 1019990024108A KR 19990024108 A KR19990024108 A KR 19990024108A KR 100556486 B1 KR100556486 B1 KR 100556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discharge
electrode
plasma display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715A (ko
Inventor
송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4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486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48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구동시간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적 소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적 소거방법은 모든 주사라인들에 동시에 라이팅을 하여 고주파 유지방전을 개시하는 단계와, 라이팅된 주사라인들 중 데이터가 인가되지 않는 주사라인들을 선택하여 고주파 유지방전을 소거하는 어드레싱 단계와, 소거되지 않은 주사라인들에 대한 고주파 유지방전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미소폭을 가지는 소거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입하게 됨으로써 데이터를 기입하는 시간, 즉 어드레스 시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구동시간의 효율을 향상시켜 그 만큼 고주파방전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적 소거방법{Selective Era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Drived with Radio Frequency}
도 1은 3전극 교류 면방전 방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고주파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적 소거방법의 구동 파형도.
도 4는 3×3 매트릭스 타입의 방전셀들의 선택적소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5는 도 4와 같은 선택적 소거방법이 적용되는 3×3 매트릭스 타입의 방전셀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40: 상부 유리기판 12,42 : 하부 유리기판
14,46 : 주사전극 16 : 서스테인전극
18,48 : 유전체층 20 : 보호층
22,44 : 어드레스전극 26,54 : 형광체
21 : 방전공간 50 : 고주파전극
52 : 격벽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주파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구동시간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적 소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대형 평판 표시장치의 필요에 따라 대면적의 평판 디스플레이로서 패널 제작이 용이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한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PDP는 가스방전시 발생하는 진공자외선을 이용하여 형광체를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사/서스테인전극(14)과 공통서스테인전극(16)이 형성된 상부 유리기판(10)과, 어드레스전극(22)이 형성된 하부 유리기판(12)을 구비하는 3전극 교류 면방전 방식의 PDP가 도시되어 있다. 상/하부 유리기판(10,12) 사이에는 방전공간(21)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방전셀간의 전기적·광학적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방지하기 위한 격벽(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서스테 인전극쌍, 즉 주사/서스테인전극(14)과 공통서스테인전극(16)은 상부 기판 상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그 위에 상부 유전층(18)이 평탄하게 도포된다. 상부 유전층(18) 위에는 보호층(20)이 평탄하게 도포된다. 어드레스전극(22)은 서스테인전극쌍(14,16)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하부 유리기판(12) 상에 형성된다. 이 어드레스전극(22)과 하부 유리기판(12) 위에는 하부 유전체층(24)과 형광층(26)이 순차적으로 도포된다. 방전공간(21) 내에는 He+Xe 또는 Ne+Xe 등의 방전가스가 주입된다.
도 1에 도시된 PDP는 어드레스전극(22)과 주사/서스테인전극(16) 사이의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셀을 선택한 후, 서스테인전극쌍(14,16) 간에 유지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유지방전에 의해 발생된 진공자외선은 형광체(26)를 발광시키게 된다. 이 경우 유지방전기간, 즉 유지방전 횟수를 조절하여 단계적인 밝기(Gray Scale)를 구현하게 된다. 유지방전시 서스테인전극쌍(14,16)에는 200∼300kHz의 주파수, 10∼20㎲의 펄스폭을 가지며, 듀티비가 1인 서스테인펄스가 인가된다. 이 경우, 유지방전은 유지펄스당 1번씩 발생하게 된다. 유지방전에 의해 발생된 하전입자들은 서스테인전극쌍(14,16) 간의 방전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보호층(20) 및 상부 유전층(18) 상에 충돌하여 벽전하로 남게 된다. 이와 같이 셀내에 충전된 벽전하는 다음 방전시 방전개시전압을 낮추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유지방전기간에서 유지펄스가 정극성이나 부극성의 하이레벨일 때에만 발광이 일어나게 되고 그 외 대부분의 시간은 벽적하를 형성하는데 소요되므로 PDP의 휘도 및 방전효율을 낮아지게 한다.
최근에는, 고주파신호를 인가하여 고주파방전을 일으킴으로써 방전효율이 향상된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RF PDP"라 함)이 제안된 바 있다. 고주파방전은 보통 수십 MHz 내지 수백 MHz의 고주파신호를 방전셀 내의 전극에 인가하여 방전셀 내에 진동전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 진동전계에 의해 이전 방전에 의해 방전셀 내에 발생된 전자가 진동운동을하여 방전가스를 연속적으로 이온화 및 여기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전자의 소멸없이 유지방전기간의 대부분이 방전과 발광에 소요된다. 이러한 고주파 방전은 글로우 방전에서 전극간의 거리가 긴 경우 방전효율이 매우 높은 양광주(Positive Column)와 같은 물리적인 효과를 갖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주파전극(50)이 형성된 상부 유리기판(40)과, 스캔전극(46)과 어드레스전극(44)이 직교되게 형성되는 하부 유리기판(42)을 구비하는 RF PDP가 도시되어 있다. 고주파전극(50)은 스캔전극(46)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어드레스전극(44)과 주사전극(46) 사이에는 유전층(48)이 형성된다. 상부 유리기판(40)과 하부 유리기판(42) 사이에는 이웃한 방전셀간의 광학적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격자형태의 격벽(52)이 형성된다. 상/하부 유리기판(40,42)과 격벽(52) 사이의 방전공간에는 방전가스가 주입된다. 고주파전극(50)이 형성된 상부 유리기판(40)과 격벽(52)이 표면에는 형광체(54)가 도포된다. 이러한, 방전셀은 주사전극(46)에 주사전압이 공급됨과 아울러 어드레스전극(44)에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그 전압차에 의해 어드레스방전을 함으로써 하전입자들이 생성된다. 이어서, 고주파전극(50)에 공급되는 고주파신호에 의해 전자들이 진동운동을 하면서 방전가 스를 연속적으로 이온화 및 여기시키게 된다. 여기된 가스 원자는 기저상태로 천이하면서 진공자외선을 방출하여 형광체를 발광시키게 된다. 고주파신호는 리셋, 어드레스 및 유지 방전기간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또한 유지방전기간에만 인가될 수도 있다. 유지발광이 종료되는 시점에는 방전을 소거시키기 위한 정극성(+)의 소거펄스가 스캔전극(46)에 인가된다. 이 소거펄스가 스캔전극(46)에 인가되는 방전셀 내에서 진동운동하는 전자들이 스캔전극(46) 쪽으로 구속되어 정지되므로 방전을 소거시킬 수 있게 된다. 소거펄스의 폭은 최소한 고주파 신호의 한 주기이상 만큼의 펄스폭을 가져야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RF PDP를 전화면을 발광시킨 후, 데이터가 없는 셀만을 선택적으로 턴-오프(turn-off)시키는 선택적 소거방식으로 구동하는 경우, 고주파신호가 어드레스기간에도 인가되면 소거펄스의 폭이 길어지게 되므로 방전셀을 오프시키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RF PDP를 선택적 소거방법으로 구동함에 있어서, 구동시간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RF PDP의 선택적 소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RF PDP의 선택적 소거방법은 모든 주사라인들에 동시에 라이팅을 하여 고주파 유지방전을 개시하는 단계와, 라이팅된 주사라인들 중 데이터가 인가되지 않는 주사라인들을 선택하여 고주파 유지방전을 소거하는 어드레싱 단계와, 소거되지 않은 주사라인들에 대한 고주파 유지방전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RF PDP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PDP의 선택적 소거방법의 구동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주파신호는 어드레스기간을 제외한 리셋기간과 유지기간에 전주사라인에 배치된 고주파 전극라인들(RF)에 공통으로 공급된다. 어드레스전극라인들(X)에는 리셋기간에 정극성(+)의 라이팅펄스(W)가 공통으로 공급되며, 어드레스기간에 데이터가 공급된다. 스캔전극라인들(Y)에는 리셋기간에 부극성(-)의 라이팅펄스(-W)가 공통으로 공급되며, 어드레스기간에 정극성(+)의 소거펄스(E)가 공급된다. 유지기간에 어드레스전극라인들(X)과 스캔전극라인들(Y)에는 트리거링 펄스(T)가 공급된다.
도 4는 3×3 매트릭스 타입의 방전셀들의 선택적소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4에 있어서, 3×3 매트릭스 타입의 방전셀 배치를 나타내는 도 5를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리셋기간에 어드레스전극라인들과(X1,X2,X3)과 스캔전극라인들(Y1,Y2,Y3)에 라이팅 펄스가 공통으로 공급되면 전화면의 방전셀들이 방전되어 턴-온된다. 이 때, 고주파신호는 각 방전셀들에 공통으로 인가되므로 방전에 의해 발생된 전자들이 진동운동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방전셀들(PIX11∼PIX33) 중, 제22 방전셀(PIX22)과 제33 방전셀(PIX33)이 소거되는 경우, 어드레스 기간에 소거시킬 방전셀들에 공급되는 데이터에 동기되어 펄스폭이 대략 1μs 이내인 소거펄스(E)가 공급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어드레스 기간에 제2 어드레스전극라인(X2)에 '0'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인가됨과 동시에 제2 스캔전극라인(Y2)에 소거펄스(E)가 인가된다. 그리고 제3 어드레스전극라인(X3)에 '0'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인가됨과 동시에 제3 스캔전극라인(Y3)에 소거펄스(E)가 인가된다. 이 때, 제22 방전셀(PIX22)과 제33 방전셀(PIX33)은 고주파방전에 관여하던 공간전자들이 스캔전극(46) 쪽으로 구속됨으로써 방전이 소거된다. 이에 따라, '0'에 해당하는 데이터전압이 인가된 방전셀들에서는 고주파방전이 소거되어 턴-오프되고 다음의 라이팅방전이 발생하기 전까지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0'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인가되지 않는 셀 즉, 제22 및 제33 방전셀들(PIX22,PIX33)을 제외한 다른 방전셀들은 유지기간에 인가되는 고주파신호에 의해 고주파방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F PDP의 선택적 소거방법은 전화면의 방전셀들을 고주파방전에 의해 턴-온시키고, 어드레스 기간에 고주파신호를 오프(off)시킨 상태에서 미소 펄스폭을 가지는 소거펄스에 의해 표시 데이터가 없는 방전셀들만 선택적으로 소거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F PDP의 선택적 소거방법은 고주파신호가 오프되는 어드레스 기간에 미소 펄스폭을 가지는 소거펄스를 표시 데이터가 없는 방전셀들에 인가하여 해당 방전셀들의 방전을 소거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미소폭을 가지는 소거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입하게 됨으로써 데이터를 기입하는 시간, 즉 어드레스 시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구동시간의 효율을 향상시켜 그 만큼 고주파방전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고주파방전시간이 증가되는 만큼 발광효율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모든 주사라인들에 동시에 라이팅을 하여 고주파 유지방전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라이팅된 주사라인들 중 데이터가 인가되지 않는 주사라인들을 선택하여 상기 고주파 유지방전을 소거하는 어드레싱 단계와,
    상기 소거되지 않은 주사라인들에 대한 고주파 유지방전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적 소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유지방전을 개시하는 단계는 스캔전극과 데이터전극에 라이팅 펄스를 인가하는 동시에 고주파전극에 고주파 펄스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적 소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싱 단계는 상기 데이터전극에 데이터를 기입하고, 상기 스캔전극 에 소거펄스를 인가하며, 상기 고주파전극에 가해진 고주파펄스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적 소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싱 단계는 상기 데이터전극 및 상기 스캔전극에 고주파방전을 트리거링하는 트리거링펄스가 인가되고 상기 고주파전극에는 고주파펄스를 다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적 소거방법.
KR1019990024108A 1999-06-24 1999-06-24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적 소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56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108A KR100556486B1 (ko) 1999-06-24 1999-06-24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적 소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108A KR100556486B1 (ko) 1999-06-24 1999-06-24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적 소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715A KR20010003715A (ko) 2001-01-15
KR100556486B1 true KR100556486B1 (ko) 2006-03-03

Family

ID=1959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108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6486B1 (ko) 1999-06-24 1999-06-24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적 소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0720B2 (ja) * 2000-11-21 2011-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458573B1 (ko) * 2002-07-02 2004-1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283A (ja) * 1992-08-31 1994-03-25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H07287549A (ja) * 1994-04-18 1995-10-31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H0922271A (ja) * 1995-07-07 1997-01-21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20000032933A (ko) * 1998-11-18 2000-06-15 구자홍 고주파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283A (ja) * 1992-08-31 1994-03-25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H07287549A (ja) * 1994-04-18 1995-10-31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H0922271A (ja) * 1995-07-07 1997-01-21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20000032933A (ko) * 1998-11-18 2000-06-15 구자홍 고주파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715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65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556486B1 (ko)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적 소거방법
KR100473493B1 (ko) 어드레스 전극을 이용한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명암비 향상방법 및 장치
KR100312513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42166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298556B1 (ko) 고주파를이용한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및그의구동방법
KR100295109B1 (ko) 고주파를이용한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과그구동장치및방법
KR100571205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288802B1 (ko) 고주파를이용한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구동방법
KR100520823B1 (ko) 고주파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54658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방법
KR100554417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274796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293519B1 (ko) 고주파를이용한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및그의구동방법
KR100351463B1 (ko)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3974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298933B1 (ko) 고주파를이용한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및그구동방법
KR1002810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지방전 구동방법
KR100389021B1 (ko)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293515B1 (ko) 고주파를이용한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구동방법
KR100293514B1 (ko) 고주파를이용한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KR100421676B1 (ko)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516933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20010002197A (ko)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소자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1000234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6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6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6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