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0930B1 - 전력증폭기를 위한 능동 바이어스 회로 - Google Patents

전력증폭기를 위한 능동 바이어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930B1
KR100550930B1 KR1020030030973A KR20030030973A KR100550930B1 KR 100550930 B1 KR100550930 B1 KR 100550930B1 KR 1020030030973 A KR1020030030973 A KR 1020030030973A KR 20030030973 A KR20030030973 A KR 20030030973A KR 100550930 B1 KR100550930 B1 KR 10055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istor
base
collecto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3892A (ko
Inventor
노윤섭
박철순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Priority to KR102003003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930B1/ko
Publication of KR20030043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892A/ko
Priority to US10/762,185 priority patent/US7005923B2/en
Priority to JP2004062069A priority patent/JP4455903B6/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bipolar transist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6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polarisation voltage or current, e.g. gliding Class 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하는 전력증폭기는 고효율과 고선형성의 특성이 동시에 요구된다. 하지만 동작점 전류를 크게 하면 선형성은 향상되나 효율 특성이 나빠지고, 동작점 전류를 작게 하면 효율 특성은 향상되나 선형성이 나빠지게 되므로, 일정한 동작점 전류를 사용하여 고효율과 고선형성을 동시에 얻기 힘들다. 따라서 출력 전력이 낮은 영역에서는 자동적으로 동작점 전류를 작게 취하여 효율을 향상시키고, 출력 전력이 큰 영역에서는 자동적으로 동작점 전류를 크게 취하여 선형성을 향상시키는 회로를 발명하여 전력증폭기의 효율과 선형성을 개선하였다.

Description

전력증폭기를 위한 능동 바이어스 회로{ADAPTIVE BIAS CIRCUIT FOR POWER AMPLIFIER}
도 1은 전력증폭기의 일반적인 콘스탄트 바이어스와 본 발명에 따른 능동 바이어스의 출력 전력에 따른 콰이에선트 전류 값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증폭기를 위한 능동 바이어스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본 발명은 전력증폭기(power amplifier)를 위한 능동 바이어스 회로(adaptive bias circuit)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통신 송신단에 위치하는 RF(Radio Frequency) 전력증폭기에 사용되는 능동 바이어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력증폭기는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battery)의 사용 수명을 크게 좌우하는 부품이므로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높은 효율 특성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전력증폭기의 효율은 출력 전력이 가장 큰 지점에서 효율도 가장 크게 나타나므로, 최대 출력파워 30dBm에서 출력 전력이 백-오프(back-off)될수록 효율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전력증폭기의 출력 전력은 -15dBm ~ 15dBm 사이에서 확률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 되므로, 이 영역에서의 효율을 개선시켜주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출력전력이 작은 영역에서는 전력증폭기가 낮은 동작점 전류로 동작하다가, 출력 전력이 커짐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보다 높은 동작점 전류로 동작하게 되는 회로를 이용해 동작 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효율을 크게 증가시켜 주고, 높은 출력전력에서는 선형성을 향상시키는 전력증폭기 기술이다.
종래 전력증폭기의 효율을 개선시키는 방법으로 DC 서플라이(supply) 즉, 전원 Vcc를 제어하는 방법, 바이어스 회로의 VB(Base Bias Voltage)를 제어하는 방법, 그리고 Vcc와 VB를 모두 제어하는 듀얼 바이어스(dual bias) 제어 방법 등이 있다. 위의 모든 방법이 DC-DC 컨버터(converter)를 이용하며, DC-DC 컨버터의 제어 신호는 DSP를 이용하거나, RF 영역에서 구현하기 위해서는 RF 커플러(coupler)와 엔벨롭 디텍터(envelope detector)를 이용한다.
상기 Vcc 제어는 전력증폭기의 낮은 출력 전력에서의 DC 전력 소모를 작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출력 전력이 작을 때는 Vcc 전압을 작게 하고, 출력 전력이 클 때는 Vcc 전압을 크게 해주는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VB 제어는 출력 전력이 작을 때는 VB를 제어하여 전력증폭기의 동작점 전류를 작게 하여 사용되는 DC 전력을 줄이고, 출력 전력이 클 때는 동작점 전류를 크게 해주는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듀얼 바이어스 제어는 Vcc 제어와 VB 제어를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 해주어 효율을 증가시켜주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상술한 각 제어는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전력증폭기에서 출력 전력의 크기에 따라 사용되는 DC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최신의 전력증폭기 모듈의 크기가 6x6mm2로 아주 작음을 감안할 때, 이 크기에 RF 커플러/엔벨롭 디텍터와 DC-DC 컨버터와 같은 부품을 실장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낮은 출력파워 레벨에서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DC-DC 컨버터와 같은 부가적인 부품의 필요 없이 전력증폭기 자체에서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 출력파워가 작은 영역에서의 DC 전력 소모량과 출력파워가 큰 영역에서의 DC 전력 소모량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에 의해 안출한 것으로,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하는 전력증폭기의 출력 전력이 낮은 영역에서는 자동적으로 동작점 전류를 작게 취하여 효율을 향상시키고, 출력 전력이 큰 영역에서는 자동적으로 동작점 전류를 크게 취하여 선형성을 향상시키는 전력증폭기를 위한 능동 바이어스 회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로 입력되는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콜렉터로 출력하는 제 1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전력 증폭기와, 상기 제 1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전원 사이에 연결된 쵸크 코일과, 그 콜렉터가 상기 전원에 연결되고, 그 이미터가 상기 제 1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전류를 공급하는 베이스 전류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와, 그 콜렉터가 상기 베이스 전류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는 동시에 베이스 전압 제공용 저항을 통해 레귤레이티드 전원과 연결되고, 그 이미터가 전류 싱크용 저항을 통해 접지되어 상기 베이스 전류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류를 접지로 싱크하는 전류 싱크 트랜지스터와, 그 콜렉터가 상기 전류 싱크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그 베이스가 입력 전력 조절용 저항을 통해 상기 제 1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 신호의 전력이 커질수록 콜렉터 전류를 증가시키는 제 2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접지로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커패시터와, 상기 레귤레이티드 전원과 상기 제 2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압을 가변하는 전압 강하용 저항을 포함하는 전력증폭기를 위한 능동 바이어스 회로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전력증폭기의 일반적인 콘스탄트 바이어스(constant bias)와 본 발명에 따른 능동 바이어스의 출력 전력에 따른 콰이에선트 전류(quiescent current) 값을 나타낸 그래프로, 기존의 콘스탄트 바이어스의 경우는 콰이에선트 전류가 출력 전력과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갖는다. 이 경우 콰이에선트 전류를 크게 취하면 전력증폭기의 효율 특성이 나빠지고, 너무 작게 취하면 선형성이 나빠지게 되므로, 적절한 트레이드-오프(trade-off)를 통해서 결정하게 되고 전력증폭기의 출력단의 콰이에선트 전류는 일반적으로 약 60mA정도의 값을 갖는다. 능동 바이어스 회로는 낮은 출력 전력 영역에서는 충분한 선형성을 갖고 있으므로 콰이에선트 전류를 작게 취하여 효율 특성을 향상시키는 고효율 오퍼레이션(operation)을 하고, 큰 출력 전력 영역은 확률적으로 많이 사용되지 않는 영역으로 전체 평균 효율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콰이에선트 전류를 크게 취하여 선형성을 향상시키는 고선형성 오퍼레이션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증폭기를 위한 능동 바이어스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로, 제 1 내지 제 4 트랜지스터(Q1 내지 Q4),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콜렉터에 각기 연결된 각 커패시터, 제 4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바이패스 커패시터(Cb), 전원과 제 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사이에 연결된 RF 쵸크 코일(RFC), 및 다수의 저항(R1, R2, R3, Rb)으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RF 증폭기인 Q1은 전력증폭기의 출력단으로 멀티-셀(multi-cell)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Q2는 Q1처럼 증폭기와 같은 동작하지만, 이 트랜지스터로의 입력 전력은 저항 Rb에 의해서 조절이 가능하다. Q3는 Q1의 베이스 전류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로 동작한다. 저항 R1은 레귤레이티드 전원으로부터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Q3의 베이스 전압이 높을수록 Q1의 콜렉터 전류가 커지게 된다. Q4와 저항 R3은 Q3의 베이스로부터 전류 싱크(sink)로 동작하게 되고, 싱크되는 전류량이 작을수록 Q3의 베이스 전압이 증가하여 Q1의 콜렉터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저항 R2는 이 저항으로 흐르게 되는 전류량이 변할 경우, 이 저항에서의 전압 강하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Q3의 베이스 전압은 Q3의 베이스 전류(IB3)와 Q4의 콜렉터 전류(IC4)가 저항 R1에서의 전압강하를 레귤레이티드 전원 Vreg에서 뺀 값으로 결정되어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VB3 = Vreg-(IC4+IB3)R1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 전압은 Q4의 베이스 전류(IB4)와 Q2의 콜렉터 전류(IC2)가 저항 R2에서의 전압강하를 레귤레이티드 전원 Vreg에서 뺀 값으로 결정되어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VB4 = Vreg-(IC2+IB4)R2
트랜지스터 Q1은 클래스(class) AB로 동작되는 전력증폭기로써, Q1으로의 입력 전력이 증가할수록, Q1의 콜렉터 전류는 증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 Q2는 저항 Rb에 의해 조절된 입력 전력이 증가할수록 Q2의 콜렉터 전류(IC2)는 증가하게 되고 Q2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커패시터 Cb에 의해 바이패스(bypass)된다. 증가된 Q2의 콜렉터 전류(IC2)는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의 전압을 감소시킨다. Q2의 콜렉터 전류(IC2)가 계속 증가하여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 전압이 Q4를 온(on)시킬 수 있는 VBE4(ON)+VR3보다 작아지게 되면, 트랜지스터 Q4는 오프(off) 상태가 되어서 Q4의 콜렉터 전류(IC4)는 더 이상 흐를 수 없게 된다. Q4의 콜렉터 전류(IC4)가 작아질수록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 전압은 증가하게 되어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 전류는 증가하게 된다. 즉 도 1에서 능동 바이어스의 경우 출력전력이 작은 영역에서는 Q1의 콜렉터 전류(콰이에선트 전류)가 20mA와 같이 작은 값으로 동작하게 되고, 출력 전력이 증가하면 할수록 콰이에선트 전류가 증가하여 20dBm보다 큰 출력전력을 갖는 영역에서는 콰이에선트 전류가 100mA로 동작하게 된다. 즉 출력 전력이 작은 선형성이 문제가 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콰이에선트 전류를 20mA와 같이 작게 동작시켜서 효율을 증가시키고, 출력 전력이 커서 확률적으로 많이 사용되지 않아서 전체 평균 효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선형성이 중요한 영역에서는 콰이에선트 전류를 자동적으로 100mA와 같이 크게 동작시켜서 선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회로이다.
본 발명은 전력증폭기 뿐만 아니라, 모든 증폭기에 적용되어 효율 및 선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하는 전력증폭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증폭기의 출력 전력 레벨에 따라서 자동으로 최적화된 콰이에선트 전류 값을 취하는 회로이므로, 외부 제어 단자가 불필요 하여 시스템을 보다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칩(on-chip)으로 설계가 가능하여 고효율 고선형성의 특성을 갖으면서도 저가, 소형, 고성능의 전력증 폭기를 제작할 수 있다.

Claims (3)

  1. 베이스로 입력되는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콜렉터로 출력하는 제 1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전력 증폭기와,
    상기 제 1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전원 사이에 연결된 쵸크 코일과,
    그 콜렉터가 상기 전원에 연결되고, 그 이미터가 상기 제 1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전류를 공급하는 베이스 전류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와,
    그 콜렉터가 상기 베이스 전류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는 동시에 베이스 전압 제공용 저항을 통해 레귤레이티드 전원과 연결되고, 그 이미터가 전류 싱크용 저항을 통해 접지되어 상기 베이스 전류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류를 접지로 싱크하는 전류 싱크 트랜지스터와,
    그 콜렉터가 상기 전류 싱크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그 베이스가 입력 전력 조절용 저항을 통해 상기 제 1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 신호의 전력이 커질수록 콜렉터 전류를 증가시키는 제 2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접지로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커패시터와,
    상기 레귤레이티드 전원과 상기 제 2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전력 증폭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압을 가변하는 전압 강하용 저항
    을 포함하는 전력증폭기를 위한 능동 바이어스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는 멀티-셀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를 위한 능동 바이어스 회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 코일은 RF 쵸크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를 위한 능동 바이어스 회로.
KR1020030030973A 2003-05-15 2003-05-15 전력증폭기를 위한 능동 바이어스 회로 KR100550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973A KR100550930B1 (ko) 2003-05-15 2003-05-15 전력증폭기를 위한 능동 바이어스 회로
US10/762,185 US7005923B2 (en) 2003-05-15 2004-01-22 Adaptive bias circuit for a power amplifier
JP2004062069A JP4455903B6 (ja) 2003-05-15 2004-03-05 電力増幅器用の適応性バイアス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973A KR100550930B1 (ko) 2003-05-15 2003-05-15 전력증폭기를 위한 능동 바이어스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892A KR20030043892A (ko) 2003-06-02
KR100550930B1 true KR100550930B1 (ko) 2006-02-13

Family

ID=2957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973A KR100550930B1 (ko) 2003-05-15 2003-05-15 전력증폭기를 위한 능동 바이어스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05923B2 (ko)
KR (1) KR100550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449B1 (ko) 2003-07-22 2011-1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전력증폭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7106B2 (en) * 2002-12-19 2009-01-13 Nxp B.V. Power amplifier with bias control
US7046087B1 (en) * 2004-08-10 2006-05-16 Skyworks Solutions, Inc. Quiescent current control circuit for power amplifiers
TWI332747B (en) * 2006-12-13 2010-11-01 Univ Nat Taiwan Bias circuits and signal amplifier circuits
US7932782B2 (en) * 2007-12-10 2011-04-26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Average power efficiency enhancement and linearity improvement of microwave power amplifiers
US7944293B2 (en) * 2008-12-11 2011-05-17 Samsung Electro-Mechanics Company,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n adaptive bias circuit for a differential power amplifier
US8089313B2 (en) * 2009-10-19 2012-01-0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ower amplifier
WO2012066659A1 (ja) 2010-11-17 2012-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高周波増幅器及びそれを用いた高周波モジュール並びに無線機
KR101320146B1 (ko) 2011-09-23 2013-10-23 삼성전기주식회사 바이어스 회로를 갖는 전력 증폭기 모듈
CN103338012B (zh) * 2013-06-28 2016-01-20 盛吉高科(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线载波通信的限流功率放大驱动电路
JP6187444B2 (ja) 2014-03-20 2017-08-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増幅モジュール
KR102004803B1 (ko) 2017-08-24 2019-10-01 삼성전기주식회사 엔벨로프 트래킹 바이어스 회로
US10505498B2 (en) 2017-10-24 2019-12-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nvelope tracking bias circuit and power amplifying device
US10680564B2 (en) 2018-07-23 2020-06-09 Analog Devices Global Unlimited Company Bias circuit for high efficiency compli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power amplifiers
US10924063B2 (en) 2019-06-11 2021-02-16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Coupling a bias circuit to an amplifier using an adaptive coupling arrangement
US11264953B2 (en) 2020-01-31 2022-03-01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Bias arrangements for improving linearity of amplifiers
US11303309B1 (en) 2020-10-07 2022-04-12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Bias arrangements with linearization transistors sensing RF signals and providing bias signals at different terminals
TWI849601B (zh) * 2022-12-01 2024-07-21 立積電子股份有限公司 訊號產生電路、雷達裝置及訊號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49596B (it) * 1975-09-18 1981-02-10 Ates Componenti Elettron Dispositivo di protezione per un elemento di potenza di un circuito integrato
JPH0456404A (ja) * 1990-06-25 1992-02-24 Nec Corp 増幅装置
US6515546B2 (en) * 2001-06-06 2003-02-04 Anadigics, Inc. Bias circuit for use with low-voltage power supply
US6842075B2 (en) * 2001-06-06 2005-01-11 Anadigics, Inc. Gain block with stable internal bias from low-voltage power supply
US6486739B1 (en) * 2001-11-08 2002-11-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mplifier with self-bias boosting using an enhanced wilson current mirror biasing scheme
US6417735B1 (en) * 2001-12-07 2002-07-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mplifier with bias compensation using a current mirror circuit
KR100460721B1 (ko) * 2002-06-29 2004-12-08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전력 증폭기의 동작전류 제어 회로
US6774724B2 (en) * 2002-11-21 2004-08-10 Motorola, Inc.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active self-bias compensation circuit
US6873211B1 (en) * 2003-09-10 2005-03-29 Skyworks Solutions, Inc. Multi-mode bias circuit for power amplifi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449B1 (ko) 2003-07-22 2011-1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전력증폭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55903B2 (ja) 2010-04-21
JP2004343707A (ja) 2004-12-02
KR20030043892A (ko) 2003-06-02
US20040227577A1 (en) 2004-11-18
US7005923B2 (en) 200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930B1 (ko) 전력증폭기를 위한 능동 바이어스 회로
JP3532834B2 (ja) 高周波増幅器バイアス回路、高周波電力増幅器および通信装置
US6803822B2 (en) Power amplifier having a bias current control circuit
KR100663450B1 (ko) 집적 가능한 전압조정 초고주파 전력 증폭기
KR101451455B1 (ko) 선형 및 포화 모드에서의 동작을 위한 멀티모드 증폭기
KR100821197B1 (ko) 고효율 혼합모드 전력 증폭기
KR100630340B1 (ko) 전력증폭기의 바이어스 제어 회로
WO2003012980A1 (en) Active bias circuit
US7274258B2 (en) Dynamic bias circuit for a radio-frequency amplifier
US20020067209A1 (en) Self-boosting circuit for a power amplifier
JP2001257540A (ja) 高周波電力増幅器および通信装置
KR100661704B1 (ko) 고전력 증폭기용 온도-보상형 바이어스 회로
JP4330549B2 (ja) 高周波電力増幅装置
US6838932B2 (en) Power amplifier capable of adjusting operating point
WO2006000083A1 (en) Improved power amplifier (pa) efficiency with low current dc to dc converter
US6750718B2 (en) Radio-frequency amplifier
KR0145469B1 (ko) 고주파 증폭기
CN116526985B (zh) 一种温度补偿电路及射频功率放大器芯片
US6518840B1 (en) Circuit for linearizing the power control profile of a BiCMOS power amplifier
US20050083128A1 (en) [power amplifier with active bias circuit]
US6741133B2 (en) High output amplifier for stable operation
US6417733B1 (en) High output voltage swing class AB operational amplifier output stage
US20040257161A1 (en) Arrangement for saving energy in transmitter
JP2006067379A (ja) 高周波電力増幅器
KR20050120077A (ko) 최적화된 전력 효율을 갖는 전력 증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1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51103

Appeal identifier: 2005101005724

Request date: 20050826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9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3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511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01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