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0788B1 - 용접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박막수지코팅용액 및 이를이용한 박막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접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박막수지코팅용액 및 이를이용한 박막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788B1
KR100550788B1 KR1020010083339A KR20010083339A KR100550788B1 KR 100550788 B1 KR100550788 B1 KR 100550788B1 KR 1020010083339 A KR1020010083339 A KR 1020010083339A KR 20010083339 A KR20010083339 A KR 20010083339A KR 100550788 B1 KR100550788 B1 KR 100550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weight
thin film
resin
par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3586A (ko
Inventor
정용균
박찬섭
이원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3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788B1/ko
Publication of KR20030053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78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2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7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L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L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80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용접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박막수지코팅용액 및 이를 이용한 박막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변성 에틸렌 아크릴레이트수지를 바인더로 한 용액에 각각의 고형분비로서 멜라민수지 또는 이소시안계 경화제를 3~30 중량부, 수지코팅층의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도성 향상 분말과 수가용성의 금속산화물을 2~35 중량부, 불소수지 변성 폴리올레핀계와 폴리에틸렌계 윤활제를 1종 이상 혼합하여 5~30 중량부, 수성 실리카 또는 퓸드 실리케이트 20~100중량부를 각각 배합하고 마지막으로 순수를 사용하여 코팅용액의 최종 고형분이 5~30중량%가 되도록 한 박막수지코팅용액과;
또한 상기의 박막수지코팅용액을 이용하여 크로메이트가 처리된 전기아연도금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합금도금강판 등에 롤 또는 스프레이 또는 침지코팅을 실시한 다음 건조후 수지필름의 부착량이 1~5㎛가 되도록 코팅한 뒤 강판온도를 기준으로 120~200oC로 소부건조 및 냉각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박막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을 요지로 한다.
도금강판, 수지코팅, 용접성, 성형성

Description

용접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박막수지코팅용액 및 이를 이용한 박막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Preparation and coating method of resin coating solusion with excellent weldability and formability}
도 1은 본 발명과 비교예의 수지피복강판의 용접 연속타점수에 따른 변형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용접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강판에 박막의 수지피복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도성이 우수한 물질을 함유시켜 줌으로서 수지피복의 특성에 기인하여 용접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박막수지피복용액 및 박막수지피복강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최근 가전 및 건자재 등에 채용이 증가 추세에 있는 각종 아연도금강판에 박막의 수지를 코팅한 표면처리강판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수지피복강판은 특히, 가전 및 사무기기의 컴퓨터, 복사기 등에 활발히 채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지피복강판의 표면의 윤활특성을 크게 향상시켜줌으로 해서 심가공이 이 루어지는 전기히터의 오일팬, 세탁기 및 진공청소기를 비롯한 가전기기용 모터하우징 등 다양한 부품에 채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심가공성을 위주로 하는 수지피복강판을 윤활강판이라는 이름으로 시판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윤활강판은 용접성을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2μm 이상으로 비교적 수지부착량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용접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결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심가공성 및 용접성이 함께 고려되어져야 할 용도에는 일반 윤활강판은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용도에 사용되는 박막코팅용 수지용액에 요구되는 주요 물성으로는 성형성 측면에서 표면마찰특성, 강판과의 접착성, 피막의 유연성이 좋아야 하고, 용접성이 우수해야 함은 물론 양호한 내식성, 내화학성, 도장성을 갖추고 있어야 범용 사용에 제약이 없다.
또한, 환경측면을 고려해서는 수지코팅조성물은 수용성이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크로메이트 처리된 아연도금강판에 다양한 수지용액을 박막으로 도포하여 강판에 기능성을 부여하는 표면처리기술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데, 강판에 윤활성을 부여하는 기술로는 일본특허공개공보 평5-138120호, 일본특허공개공보 평4-44840호, 일본특허공개공보 평3-71836호, 일본특허공개공보 평3-39485호 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 있는 것과 같이 우수한 용접성을 겸비한 것은 기술되어 있지 않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98-20581호 및 99-53851호에는 불소수지로 변성된 풀리에틸렌 왁스등을 내지문강판에 사용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내지문 강판은 그 특성상 굽힘가공 및 구멍가공을 주로 하는 난이도가 낮은 가공이므로 이를 심가공시에 적용할 수 없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이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2000-41674호는 심가공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윤활수지용액 제조에 관한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용접성향상은 고려된 바 없다.
한편, 종래의 박막수지피복강판을 적용 또는 응용함에 있어 사용상에 가장 큰 제약중의 하나가 용접성과 관련한 것으로, 수지피복강판을 용접과정에서 수지층이 탄화되어 용접전극에 고착됨으로 전극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용접부위에 탄흔이 발생하게 된다. 박막수지피복강판의 용접성은 수지부착량에 의해 가장 크게 영향을 받음으로 용접을 위해서는 용접조건들에 따라 상이하지만 고객사의 용접조건에 부합하도록 항상 일정한 두께이하로 수지부착량 조절이 이루어져야 한다.
수지피복강판의 물성보완 또는 기능성 향상을 위해 수지부착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엔 반대급부로 용접성이 급격히 감소되는 결함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존의 수지피복강판들의 용도가 용접공정이 배제되는 곳에 주로 적용되는 경향이 있다. 즉, 수지피복강판은 강판상에 유기물이 일정 두께로 피복되어 있는 까닭에 용접과정에서 타버린 찌꺼기(주로 탄소, 규소)들이 용접시 용접전극에 일부 적층되어 전류의 통전을 방해하고, 용접전류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며 강판과의 접촉면에서 전류가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까닭에 spatter가 발생하는 등 전극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실제로 수지피복강판을 용접할때에 경우에 따라서는 약간의 부착량차이에 의해서도 용접시 스패터 발생이 심하거나 용접부가 손쉽게 탈락되는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심가공성이 좋은 윤활강판의 특성을 유지하고, 부가로 용접성이 우수한 수지피복강판의 특성을 발휘케 함으로써 성형후 용접체결이 요구되는 제품에의 적용성을 크게 향상시키고자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박막수지코팅용액의 조성을 적절히 제어하여 박막으로 코팅한 강판이 무도유 심가공성 확보, 가공결함 감소, 가공부 흑화현상 개선 및 내화학성 보유 등의 특성을 갖는 도금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박막수지코팅용액을 이용하여 수지피복조건을 제어하여 용접특성을 개선함으로써 성형후 용접체결이 크게 용이하게 하며 그와 관련해서 용접탄흔 자국 등에 의한 용접부 외관불량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성형성 및 용접 특성이 우수한 박막수지코팅용액에 있어서,
변성 에틸렌 아크릴레이트수지를 바인더로 한 용액에 각각의 고형분비로서 멜라민수지 또는 이소시안계 경화제를 3~30 중량부, 수지코팅층의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도성 향상 분말과 수가용성의 금속산화물을 2~35 중량부, 불소수지 변 성 폴리올레핀계와 폴리에틸렌계 윤활제를 1종 이상 혼합하여 5~30 중량부, 수성 실리카 또는 퓸드 실리케이트 20~100중량부를 각각 배합하고 마지막으로 순수를 사용하여 코팅용액의 최종 고형분이 5~30중량%가 되도록 한 박막수지코팅용액과;
또한 상기의 박막수지코팅용액을 이용하여 크로메이트가 처리된 전기아연도금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합금도금강판 등에 롤 또는 스프레이 또는 침지코팅을 실시한 다음 건조후 수지필름의 부착량이 1~5㎛가 되도록 코팅한 뒤 강판온도를 기준으로 120~200oC로 소부건조 및 냉각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박막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인더는 변성 에틸렌 아크릴레이트수지로서, 수용성으로 강판에 박막으로 코팅이 가능하고 첨가제들과의 상용성, 건조조건, 강판과의 접착유지, 유연성 및 단단한 표면 유지능력 등을 만족시키는 수지타입은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용가능한 수지타입은 무수히 많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변성 에틸렌 아크릴레이트수지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박막수지코팅용액에 있어서 경화제로서 적용되는 멜라민수지는 cymel 325, cymel 385, cymel 303 등에서 액상 및 피막물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였고, 이소시안계 경화제는 수성용액에서 안정하도록 블록킹된 것에서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경화제의 함량이 고형분비로서 수지함량에 대해 3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제로서의 효과가 미비하고, 30중량부 초과할 경우에는 피막이 브리틀해져서 오히려 내식성 및 가공성 등의 물성을 저하시킨다.
상기 전도성 향상 분말로서는 D사의 ECP 시리즈 중에서 이산화 티타늄(Titanium dioxide), 산화주석(Tin oxide), 안티몬(Antimony), 비정질 실리카(Amorphous silica) 등의 물질이 2종 이상 구성되어 아주 미세한 분말형태로 이 루어진 것으로 입자들의 크기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수십~수백나노미터 수준으로 이루어진 것들을 사용하였고, 또한 수용화가 가능한 아연, 니켈, 몰리브덴, 텅스텐, 알루미늄, 코발트 등의 금속산화물을 1종이상 혼합한 것을 함께 사용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전도성 향상 분말과 금속산화물의 비는 1:1의 비율로 첨가하는데, 전도성 분말이 고가인 까닭에 요구하는 물성에 맞춰 보조수단으로 금속산화물의 첨가비를 증가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전도성 향상을 위한 물질의 첨가량이 수지고형분의 총량에 대해 2 중량부 미만이면 수지피복층의 전도성 향상이 거의 발현되지 않고, 35 중량부 초과하면 매우 완만하게 전도성이 향상되며 오히려 내식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등 물성저하를 수반하게 된다.
윤활제로는 불소수지 변성 폴리올레핀계 왁스와 폴리에틸렌 왁스를 혼합하여 첨가하는데, 이는 불소수지 변성 폴리올레핀계 왁스와 폴리에틸렌 왁스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수지 용액의 물성이 크게 향상된다. 즉, 폴리에틸렌계 왁스를 불소수지 변성 폴리올레핀계 왁스와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심가공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내알칼리성과 용액안정성 또한 개선된다. 상기 윤활제의 혼합물은 수지 고형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5~30중량부로 첨가된다. 첨가량이 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마찰 특성이 약간은 향상되나 충분한 가공성이 발휘되지 않고, 30중량부 를 넘을 경우는 심가공성이 더 이상 향상되지 않으며 오히려 내식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내식성 향상제로서 상용화된 수성 실리카 또는 퓸드 실리케이트를 수지고형분에 대해 고형분비로서 20~100중량부를 첨가하는데 2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면 내식성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며, 100중량부 초과해서 첨가하면 내식성 향상효과가 더 이상 발휘되지 않고 저하되기도 하며 경도가 큰 실리카의 영향으로 심가공성이 저하되며 금형과 접촉되는 가공부위에서 스트래치성 흑화현상이 발생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용액을 강판에 코팅하기 위한 대상 강판은 어느 강판이나 무방하나 수지코팅층이 강판과의 접착성 및 보다 좋은 내식성을 보유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크로메이트를 실시한 전기아연도금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합금도금강판 등의 아연계 도금강판이 바람직하다. 코팅방법으로서는 롤 또는 스프레이 또는 침지코팅 등 용액상의 코팅물질을 강판에 적용하는 어떠한 방법으로도 코팅이 가능한데, 건조후 수지필름의 부착량이 1~5㎛가 되도록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부착량이 1㎛ 미만이면 내식성 및 내지문성 등이 크게 저하되어 수지피복강판으로서의 기본적인 요구 물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5㎛ 를 초과해서 코팅하는 경우에는 내식성, 성형성을 비롯한 일반적인 물성이 부착량의 증가에 의해 어느 정도 향상은 되지만 그 증가폭이 그리 크지 않고, 특히 가공시 금형에 잔존하게 되는 미세하게 박리된 수지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장시간 연속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금형의 클리어런스(clearance)를 변화시키게 되어 오히려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강판에 상기용액을 코팅한 다음 강판표면에 단단한 수지피막을 형성시켜주기 위해 강판에 열을 가하는데 이때 강판온도를 기준으로 120oC 미만의 조건에서는 경화제의 경화작용이 미흡하여 물성이 저하되고, 200oC 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판의 기 계적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음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용 또는 가전용도로 생산되고 있는 도금부착량이 20g/m2이고 여기에 크롬부착량이 4~10mg/m2인 크로메이트처리된 전기아연도금강판에 하기 표1과 같은 조성을 갖는 수지코팅용액을 순수를 이용하여 고형분이 15중량%가 되도록 조절한 다음, 실험의 편의상 바아코터 #3,4,5번을 이용하여 강판에 수지부착량을 조절하면서 각각의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코팅된 시험편은 곧바로 자동배출형 열풍건조로에 넣고 120~200oC로 소부경화한 뒤 공냉 또는 수냉각을 실시하였다.
이때 용액제조단계에서 전도성 분말 및 금속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코팅용액에 전도성 향상물질을 직접첨가하지 않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도성 분말은 미리 수지고형분에 대해 분말 중량으로 35중량%가 되도록 하여 고속분산한 것을 최종 수지코팅용액에 함유되는 각각의 비율로 첨가하여 배합하였고, 금속화합물의 경우에도 수지고형분에 대해 분말 중량으로 5~15중량%가 되도록 용해시킨 것을 최종 수지코팅용액에 함유되는 각각의 비율로 첨가, 배합하였는데, 전도성 분말과 금속화합물의 혼합비율은 1:1의 중량비로 하였다. 또한 금속산화물은 순도가 90%이상인 1급 시약을 정제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내식성은 ASTM-B117에 의거 5%백청발생까지의 소요시간으로 평가한 다음 이 를 아래와 같이 평가하였다.
⊙: 280시간 이상
O: 200시간~280시간 미만
△: 120시간에서 200시간 미만
Ⅹ: 120시간 미만
용접성 평가를 위해 사용된 용접법은 스폿(spot)용접법으로 사용된 용접기는 Daihen RPA-33의 공기압축식 시험기로서 정격용량은 50KVA, 최대용접전류는 18KA이다. 사용된 전극은 RWMA ClassII에 해당하는 Cu-Cr계 합금의 cap형 전극으로 먼저 적정용접전류 범위를 측정한 다음 측정된 적정전류값 8KA로서 가압력 250kg/㎠으로 200타점까지 연속용접을 실시한 후 용접편의 전단인장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용접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이때 적정용접전류 범위는 상한치의 경우 spatter 발생치로 하한치는 기준 전단인장강도 값의 확보가 가능한 최소치로 하였다. 용접성평가는 인장시험에서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최대한의 용접타점수로서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 1400타점 이상
O: 800타점~1400타점 미만
△: 400타점~ 800타점 미만
Ⅹ: 400타점 미만
성형성은 평면장출변형시험(plane strain stress test, PSST)을 한 뒤에 각 시편의 성형높이(dome height)를 측정하여 이를 아래와 같이 평가하였다.
⊙: 38mm 이상
O: 33mm이상~38mm미만
△: 28mm이상~33mm미만
Ⅹ: 28mm미만
<발명예 1 내지15 >
표1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범위로 처리된 발명예 1~1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모두 우수한 특성을 발휘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내지 10>
비교예 1과 2는 경화제의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성범위를 벗어난 경우로서 함량이 낮은 경우는 경화제로서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여 피막의 전체적인 특성이 좋지 못하고, 초과하는 경우는 피막의 특성이 브리틀해져 성형시 피막이 미세박리가 발생하였다.
비교예 3과 4는 내식성 향상물질의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성범위를 벗어난 경우로서 함량이 낮은 경우는 목적하는 수준의 내식성이 발현되지않고, 초과하는 경우는 내식성이 더 이상 향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히려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경질인 실리카 등이 과량으로 함유되는 까닭에 성형시 금형과 맞닿는 부위에서 검게 변색되는 결함이 관찰되었다.
비교예 5와 6은 윤활제의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성범위를 벗어난 경우로서 함량이 낮은 경우는 충분한 윤활특성이 발휘되지 못하여 성형성이 불량해지고, 초과하는 경우는 더 이상의 성형성 향상은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내식성이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교예 7과 8은 전도성물질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성범위를 벗어난 경우로서 함량이 낮은 경우는 표면의 접촉전기저항 정도는 약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궁극적으로 용접성 향상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과하는 경우는 더 이상의 용접성 향상은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내식성 저하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교예 9와 10과 같이 수지부착량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성범위를 벗어나 부착량이 낮은 경우에는 내식성 및 성형성이 모두 급격히 불량해지고,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식성은 부착량 효과에 기인하여 우수해지나, 용접성이 저하되는 결함과 가공시 금형내에 미세하게 침착되는 수지의 발생량이 상당히 진전되어 장시간 연속작업시 결과적으로 성형불량을 초래하는 빈도가 커지므로 이러한 관점에서 수지부착량의 관리가 중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기 표1의 발명예 3의 조건으로 전도성 향상물질을 첨가한 경우와 동일한 조건에서 전도성 향상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통상의 수지피복강판의 연속타점수로서 용접특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발명예가 우수한 용접특성을 발휘함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구 분 용액조성(중량부)* 수지부착 량(g/m2) 재질 특성
경화제 내식성 향상물질 윤활제 전도성 물질 내식성 성형성 용접성
발 명 예 1 3 40 5 10 2.0
2 5 40 10 5 1.5
3 10 40 20 10 2.0
4 10 60 20 15 3.5
5 10 60 15 20 2.0
6 15 40 25 2 1.0
7 15 20 15 10 4.0
8 15 80 20 15 1.5
9 20 80 25 20 3.5
10 20 100 30 25 2.0
11 25 60 30 30 3.0
12 25 60 15 10 2.0
13 30 80 20 35 5.0
14 15 60 15 10 2.0
15 20 40 15 15 3.0
비 교 예 1 2 40 15 10 2.0
2 33 80 20 20 2.0 피막미세박리
3 15 10 10 10 2.0
4 10 120 10 15 2.0 가공부 변색
5 15 60 3 15 2.5
6 15 60 32 15 2.5
7 10 60 15 1 1.0
8 10 50 15 38 1.0
9 10 60 15 10 0.5
10 10 60 15 10 6.0 금형내수지침착
* ; 수지고형분 100 중량부 기준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코팅용액을 적용하면 우수한 용접성과 성형성 확보가 가능함으로 종래와 달리 박막수지피복강판에서 비교적 수 지부착량이 증가된 경우에서도 용접이 가능해짐으로 강판의 적용영역이 크게 확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즉, 용접이 이루어지는 까닭에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박막수지피복강판을 쉽게 적용하지 못하던 부품들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용접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박막수지코팅용액 및 이를 이용한 박막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변성 에틸렌 아크릴레이트수지를 바인더로 한 용액에 각각의 고형분비로서 멜라민수지 또는 이소시안계 경화제를 3~30 중량부, 수지코팅층의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도성 향상 분말과 수가용성의 금속산화물을 2~35 중량부, 불소수지 변성 폴리올레핀계와 폴리에틸렌계 윤활제를 1종 이상 혼합하여 5~30 중량부, 수성 실리카 또는 퓸드 실리케이트 20~100중량부를 각각 배합한 다음 코팅용액의 최종 고형분이 5~30중량%가 되도록 순수를 혼합한 용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수지코팅용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향상 분말은 이산화 티타늄, 산화주석, 안티몬, 비정질 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수지코팅용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가용성 금속산화물은 아연, 니켈, 몰리브덴, 텅스텐, 알루미늄, 코발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수지코팅용액.
  4. 변성 에틸렌 아크릴레이트수지를 바인더로 한 용액에 각각의 고형분비로서 멜라민수지 또는 이소시안계 경화제를 3~30 중량부, 수지코팅층의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도성 향상 분말과 수가용성의 금속산화물을 2~35 중량부, 불소수지 변성 폴리올레핀계와 폴리에틸렌계 윤활제를 1종 이상 혼합하여 5~30 중량부, 수성 실리카 또는 퓸드 실리케이트 20~100중량부를 각각 배합한 다음 코팅용액의 최종 고형분이 5~30중량%가 되도록 순수를 혼합한 용액으로 이루어진 박막수지코팅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박막수지코팅용액을 이용하여 크로메이트피막 처리된 도금강판에 롤 또는 스프레이 또는 침지코팅을 실시한 다음 건조후 수지필름의 부착량이 1~5㎛가 되도록 코팅한 뒤, 강판온도를 기준으로 120~200oC로 소부 건조 및 냉각을 실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박막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강판은 전기아연도금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합금도금강판 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박막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
KR1020010083339A 2001-12-22 2001-12-22 용접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박막수지코팅용액 및 이를이용한 박막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50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339A KR100550788B1 (ko) 2001-12-22 2001-12-22 용접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박막수지코팅용액 및 이를이용한 박막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339A KR100550788B1 (ko) 2001-12-22 2001-12-22 용접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박막수지코팅용액 및 이를이용한 박막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586A KR20030053586A (ko) 2003-07-02
KR100550788B1 true KR100550788B1 (ko) 2006-02-08

Family

ID=3221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33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0788B1 (ko) 2001-12-22 2001-12-22 용접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박막수지코팅용액 및 이를이용한 박막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511B1 (ko) * 2006-12-29 2009-07-31 주식회사 포스코 전도성 고분자가 첨가된 수지피복 강판용 저온소부형크롬프리 전처리 용액 조성물, 그 조성물을 이용한전처리층 제조 방법, 그 제조방법에 의한 전처리층 및 그전처리층을 포함하는 강판
JP5254042B2 (ja) * 2007-01-18 2013-08-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熱交換器、並びに空気調和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056A (ko) * 1992-02-24 1993-09-21 도사키 시노부 표면 처리된 알루미늄 재료
KR950018665A (ko) * 1993-12-27 1995-07-22 조말수 내식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수지피복 처리용액 및 이를 이용한 수지피복 용융아연계 도금강판 제조방법
KR960023251A (ko) * 1994-12-30 1996-07-18 김만제 윤활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표면처리강판용 수지용액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강판의 제조방법
KR970043288A (ko) * 1995-12-29 1997-07-26 김종진 강한 피복용 우레탄 수지용액 및 이를 이용한 수지피복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방법
KR970043291A (ko) * 1995-12-30 1997-07-26 김종진 강판 피복용 에폭시계수지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내식성,용접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수지피복아연도금강판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056A (ko) * 1992-02-24 1993-09-21 도사키 시노부 표면 처리된 알루미늄 재료
KR950018665A (ko) * 1993-12-27 1995-07-22 조말수 내식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수지피복 처리용액 및 이를 이용한 수지피복 용융아연계 도금강판 제조방법
KR960023251A (ko) * 1994-12-30 1996-07-18 김만제 윤활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표면처리강판용 수지용액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강판의 제조방법
KR970043288A (ko) * 1995-12-29 1997-07-26 김종진 강한 피복용 우레탄 수지용액 및 이를 이용한 수지피복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방법
KR970043291A (ko) * 1995-12-30 1997-07-26 김종진 강판 피복용 에폭시계수지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내식성,용접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수지피복아연도금강판 제작방법
KR100256326B1 (ko) * 1995-12-30 2000-05-15 이구택 강판 피복용 에폭시 계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식성, 용접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수지피복아연도금강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586A (ko)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32638B2 (ko)
JP6019132B2 (ja) 化成処理溶液組成物、表面処理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49583B1 (ko) 내식성이 우수한 크로메이트-프리 피복 용융 아연 도금 강판
CN114502673A (zh) 赋予优异的耐黑变性和耐碱性的三元系热浸镀锌合金钢板用表面处理溶液组合物、利用该组合物进行表面处理的三元系热浸镀锌合金钢板及其制造方法
JP5186817B2 (ja) 容器用鋼板
AU718855B2 (en) Rustproof steel sheet for automobile fuel tank with excellent resistance weldability corrosion resistance and press moldability
JP3868243B2 (ja) 溶接性、耐食性に優れたクロメートフリー処理溶融亜鉛−アルミニウム合金めっき鋼板
JPH0488196A (ja) プレス成形性、化成処理性に優れた亜鉛系めっき鋼板
KR100550788B1 (ko) 용접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박막수지코팅용액 및 이를이용한 박막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
JPH04176877A (ja) プレス成形性、化成処理性に優れた亜鉛系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2002012983A (ja) 耐食性、潤滑性、塗料密着性に優れたリン酸塩複合被覆鋼板
JP2007204769A (ja) 耐食性、耐疵つき性、耐変色性及び耐水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0229209B1 (ko) 인산염처리 전기아연도금강판
JPH01201488A (ja) 溶接性・電着塗装性に優れた防錆潤滑鋼板
JPH0659455B2 (ja) 耐食性,溶接性に優れた潤滑性薄膜樹脂鋼板
JP3111904B2 (ja) 亜鉛系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JP2943496B2 (ja) 潤滑性、成形加工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亜鉛系めっき鋼板
JPH0444840A (ja) 潤滑性に優れた樹脂被覆複合鋼板
JP3876640B2 (ja) 耐黒点錆性に優れた有機被覆鋼板
JP3588373B2 (ja) 耐プレッシャーマーク性に優れた黒色プレコート鋼板
JP3218420B2 (ja) 耐パンチング性に優れたガードフィルムフリー型黒色プレコート鋼板
JP2005206921A (ja) 非クロメート型表面処理金属板
JP3272977B2 (ja) クロメート処理鋼板の製造方法
JP3869590B2 (ja) 成形性・摺動性に優れ、かつ積層時の横滑りやコイル潰れを起こしにくい潤滑処理金属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28834B1 (ko) 자동차 연료탱크용 수지피복강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1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1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