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9103B1 - 탄소나노튜브 어레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 어레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103B1
KR100549103B1 KR1020030036530A KR20030036530A KR100549103B1 KR 100549103 B1 KR100549103 B1 KR 100549103B1 KR 1020030036530 A KR1020030036530 A KR 1020030036530A KR 20030036530 A KR20030036530 A KR 20030036530A KR 100549103 B1 KR100549103 B1 KR 100549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biomaterial
substrate
bioreceptor
nanopatter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319A (ko
Inventor
정희태
정대환
권기영
이수림
최도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30036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103B1/ko
Priority to US10/859,530 priority patent/US20040245209A1/en
Priority to JP2004165293A priority patent/JP3951141B2/ja
Priority to CNB2004100462863A priority patent/CN1332270C/zh
Publication of KR2004010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10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Preparation
    • C01B32/162Preparation characterised by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08Aligned nanotub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초분자의 자기조립(self-assembly)과 금속의 선택적 화학결합(stanning)을 이용하여 수 나노미터 이하의 사이즈를 가지는 요홈모양이나 기둥모양의 패턴을 형성한 다음, 상기 나노패턴에 금속을 증착하고, 상기 증착된 금속 위에 탄소 나노튜브(CNT)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 어레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NT 어레이에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물질과 결합하는 바이오 리셉터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나노어레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패턴, 유기초분자, 자기조립, 스테이닝, 탄소나노튜브, 어레이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 어레이의 제작방법 {Method for Fabricating a Carbon Nanotube Array}
도 1은 자기조립을 하는 유기초분자의 모형에 대한 도시이다. 도 1a는 원판형 또는 디스크형 덴드리머(1)와 쐐기형(fan-shaped) 유기초분자(2)가 자기조립을 통해 원기둥 형태(3)를 만들고, 이 원기둥들이 육각형으로 배열된 3차원 구조(4)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b는 막대-사슬형 또는 원뿔형의 분자(5)들이 자기조립을 통해 구형(6)을 만들고, 이 구들이 모여 3차원 공간상에 일정한 구조(7)로 배열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아민기가 노출된 기판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CNT를 아미드 결합으로 기판에 배열하고, 두 개의 아민기를 갖는 화학물질을 링커로 사용하여 CNT를 적층하는 것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CNT) 어레이를 제작하기 위한 나노패턴 형성과정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유기초분자들이 육각기둥 형태의 규칙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보여 주는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나노패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은 유기초분자의 자기조립과 금속의 선택적 흡착을 이용하여 형성된 나노미터 이하 수준의 초미세 패턴에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 CNT)를 배열하여 CNT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CNT 어레이에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물질과 결합하는 바이오 리셉터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나노어레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표면 패턴 형성은 주로 고분자 박막을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로 이용한 포토리쏘그래피(photolithography)에 의해 이루어져 왔으나 이러한 방법을 통해 나노미터 크기의 고정밀 패턴을 구현하는 데는, 사용 가능한 빛의 파장과 그에 따른 장치 및 기술의 확보, 고분자 자체의 해상도 한계 등이 문제가 되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1990년 이후에는 기존의 광전사법에서 새로운 감광저항제로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와 함께, 보다 단파장의 빛을 사용하여 패턴의 해상도를 증가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또한 완전히 새로운 개념의 패터닝 기술, 즉 소프트 전사법(soft lithography)을 이용한 표면의 나노패턴닝 기술 등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방법은 빠르고 값싸게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연쇄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니고는 있지만, 사실상 해상도 한계는 100nm 수준으로 더 이상의 고집적을 위한 해상도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한 물질로 유기초분자를 사용한 반도체 장치의 나노급 미세패턴 형성방법(KR 10/263671B1)은 과도 식각 마진을 확보하기 위하여 버퍼층을 하나 더 사용하여 홈 내에 잔류하는 미세 패턴의 두께를 확보하고, 홈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버퍼층에도 스페이서를 적용하는 기술이나, 공정단계의 수가 많고 패턴의 크기가 수십 나노미터 수준이다.
최근에 공개된 자기조립 구조체(KR 02/89528A)는 마이크로 전자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소자를 형성하는 작은 크기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에서 제시된 자기조립 방법은 표면과 공동으로 배열(array)을 형성하는 능력을 제공하지만, 자기조립 자체는 표면을 따른 경계 내에서 소자 형성물의 위치를 결정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표면을 따른 경계 내에서 소자를 형성하는 데에는 개별적인 위치결정 기법이 필요한데, 적합한 위치결정 기법이 자기조립 방법과 함께 사용되어, 일반적으로 집적 전자회로 내에서 개별 부품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구조체를 형성한다. 위치결정 방법은 리쏘그래피, 직접 형성방법 또는 기타 위치결정 기법을 이용하여 구조체의 경계를 정할 수 있어서, 패턴이 있는 기재가 형성되고, 이 기재 위에 자기조립에 의해 소자가 조립된다.
자기조립 구조체는 통상의 화학증착 및 물리증착 기술에 의해 형성된 구조체와 함께 합체될 수 있고 집적 전자회로는 집적 광학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자기조립 구조체는 물질 표면의 조건과 온도 및 농도 조건에 따라 원하는 구조 체 형성물을 얻도록 조절함으로써 나노입자의 분산액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단이 기재 표면에, 다른 일단이 나노입자에 화학적으로 결합되는 링커(linker)가 사용되고 자기조립 공정으로 넘어가는 데에 링커를 이용한 선택적인 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방법은 자기조립 공정으로 향하게 하는 데에 정전 및 화학 상호반응과 같은 자연적인 상호반응을 이용하는 것인데, 여기서 나노입자는 다공질 영역에 의해 정해지는 경계 내에서 나노입자를 위치 결정하도록 작은 구멍 내에 적층되어 있다. 작은 구멍은 무기 산화물 또는 2차원의 유기질 결정과 같은 특정 물질 내에서 발견될 수도 있고, 적절한 구멍이 예컨대 이온 밀링 또는 화학 에칭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공정이 복잡하고 패턴의 간격이 수십 내지 백 나노미터급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자기조립 단분자층을 이용한 나노미터 수준의 고정밀 패턴 형성방법(KR 03/23191A)이 알려져 있는데, 상기 발명은 치환된 말단 고리를 갖는 방향족 이민 분자층을 기판상에 형성하고, 상기 방향족 이민 분자층의 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결합 절단시키며, 치환기가 선택적으로 결합 절단된 상기 방향족 이민 분자층을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어 단시간 내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지만 역시 수십 나노미터급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한편,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의 팁끝에 고체 기판과 화학적 친화성이 있는 계면활성 분자를 묻히고, 마치 종이에 잉크로 글씨를 써 나가듯이 팁 끝으로 기판에 나노수준의 도안을 형성하는 딥-펜 나노리쏘그래피법 (Science, 283: 661, 1999)은 아주 정교하게 만들어진 팁을 사용함으로써, 5nm 수준에 이르는 고분해능의 나노패턴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패턴을 연속적으로 하나씩 그려가야 하므로(serial processing), 원하는 도안을 얻는데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대량 생산을 통해 직접 실용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이 광식각방식(photolithography), 자외선 (ultraviolet light) 및 X-ray에 의한 식각방식 등 여러 가지 방법이 도입되고 있지만 100nm 이하의 패턴 형성은 한계에 이르게 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의 하향적 구조형성(top-down methods)을 대신하여 상향적 구조형성(bottom-up methods)에 대한 방법들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상향적 구조형성 방식들은 분자들이 자기조립에 의해 미세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데, 이러한 기초 기술로 유기초분자의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분석하는 방법 (Hudson, S.D. et al., Science, 278: 449, 1997)과 기판 표면 성질에 따라 유기초분자의 배향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한 논문 (Jung, H.T. et al., Macromolecules, 35: 3717, 2002)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은 각각 유기초분자의 미세구조 분석과 유기초분자의 배향에 대하여만 기술하고 있다.
또한,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하여 규칙적인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과 금속의 화학흡착을 통한 점 형태의 패턴 형성방법 (Park M. et al., Science, 276: 1401, 1997)에서와 같이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하여 100nm 이하의 패턴을 만드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고분자의 분자사슬에 기인하기 때문에 수십 나노미터 이상 수준 의 패턴 형성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또한 블록공중합체를 사용할 경우는 형성되는 패턴의 종횡비가 크지 않고 박막의 구조가 복잡하며, 박막의 구조 방향성을 부여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CNT는 흑연면을 둥글게 말아 놓은 구조이며, 직경은 1~20nm가 전형적이다. 흑연은 결합배열이 독특하여 튼튼하고 평탄한 육각형 판상막 구조로 되어 있고. 이 막의 상하부는 자유전자로 채워져 있으며, 전자는 이산상태에서 막과 평행운동을 한다. 흑연층이 나선모양으로 감기면서 CNT가 되기 때문에, 상이란 지점에서 모서리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튜브의 나선형 또는 키랄성(chirality)을 변경하면 자유전자의 운동방식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자유전자의 운동이 완전히 자유로워져 나노튜브가 금속처럼 반응하게 되거나 , 아니면 반도체처럼 배리어(barrier)를 극복해야 한다. 배리어의 크기는 튜브의 지름에 따라 결정되며, 튜브의 지름이 가장 작은 경우 1eV도 가능하다.
CNT는 이처럼 역학적 견고성과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반도체와 도체의 성질을 모두 띨 수 있으며, 직경이 작고 길이가 길며 속이 비어있다는 특성 때문에, 평판표시소자, 트랜지스터, 에너지 저장체 등의 소재로서 뛰어난 성질을 보이고, 나노크기의 각종 전자소자로서의 응용성이 매우 크다.
CNT를 기재 상에 배열하는 방법으로는, 금 위에 CNT의 말단을 황으로 치환하여 배열하는 방법이 보고된 바 있다 (Langmuir, 16, p. 3569, 2000). 그 외, 리소그라피를 이용하는 기술로, 실리콘 기판 위에 트리메틸실릴기의 자기조립분자층 (Trimethylsilyl Self Assembly Monolayer)을 형성시킨 후, 전자빔 (E-beam)을 이 용하여 패터닝을 행하고 그 패턴에 아민기를 흡착시킨 다음, 다시 여기에 CNT를 흡착시킨 예가 있다 (Chemical Physics Letters 303, 125, 1999).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주변 환경 변화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나노미터 크기의 현미경용 프로브(microscopy probes)의 제작을 위해 탄소계 나노튜브를 사용한 예(USP 6159742), 요오딘(iodine)으로 CNT를 도핑하여 안정한 요오딘-도핑된 CNT(iodine-doped carbon nanotube)나 금속성 나노 크기 섬유(metalic nanoscale fiber)를 제작한 예(USP 6139919), 관능기 바이오분자-변형된 나노튜브로 전기화학발광성 루테늄 복합체(electrochemiluminescent ruthenium complex) 들을 제작한 예(USP 5866434) 등이 있으나, 이들은 CNT를 바이오 칩(bio-chip)의 제작 및 개발에 적용한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공정이 보다 간단하고 패턴 크기가 수 나노미터 수준인 초고밀도 패턴 형성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유기초분자의 자기조립과 금속의 선택적 화학흡착을 이용하여 사이즈가 수 나노미터 이하인 요홈모양과 기둥모양의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나노패턴에 CNT를 배열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초분자의 자기조립과 금속의 선택적 화학흡착을 이용하여 형성된 수 나노미터 이하의 사이즈를 가지는 패턴에 CNT를 배열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CNT 어레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작된 CNT 어레이에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물질과 결합하는 바이오 리셉터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나노어레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기판 상에 자기조립을 유발하는 디스크형 덴드리머 쐐기형(fan-shaped) 유기초분자 또는 원뿔형 유기초분자의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b) 열처리(annealing)에 의해 상기 유기초분자들을 자기조립시켜 규칙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유기초분자들의 자기조립에 의해 형성된 규칙적인 구조에 선택적으로 금속을 화학흡착시키는 단계; (d) 상기 선택적으로 금속이 화학흡착된 박막을 에칭하여 금속이 흡착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유기초분자의 나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유기초분자의 나노패턴에 CNT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미터 또는 그 이하 사이즈의 패턴에 CNT 어레이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기판 상에 자기조립을 유발하는 디스크형 덴드리머 쐐기형(fan-shaped) 유기초분자 또는 원뿔형 유기초분자의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b) 열처리(annealing)에 의해 상기 유기초분자들을 자기조립시켜 규칙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유기초분자들의 자기조립에 의해 형성된 규칙적인 구조에 선택적으로 금속을 화학흡착시키는 단계; (d) 상기 선택적으로 금속이 화학흡착된 박막을 에칭하여 금속이 흡착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유기초분자의 나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유기초분자의 나노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기판을 식각하여 기판에 나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나노패턴에 CNT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미터 또는 그 이하 사이즈의 패턴에 CNT 어레이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단계 이전에 패턴구조의 방향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기판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기판 표면의 개질은 표면상에 금속 및 비금속 박막이나 자기조립 단막층(self-assembled monolayer, SAM), 최종목적에 상응하는 기타 박막 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초분자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하였으나, 자기조립을 하는 유기초분자라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3020328732-pat00001
자기조립을 하는 유기초분자로는 원판형 또는 디스크형 덴드리머(1), 쐐기형(fan-shaped) 유기초분자(2), 막대-사슬형 또는 원뿔형의 분자(5) 등이 있다. 쐐기형 유기초분자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원판형 유기초분자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원뿔형 유기초분자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03020328732-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03020328732-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03020328732-pat00004
Figure 112003020328732-pat00005
이 유기초분자들은 단량체들이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고분자와 달리, 반델발스(van der Waals) 인력과 같은 물리적인 2차 결합에 의해 일정한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유기초분자들은 적절한 온도나 외부 자기장, 전기장 등에 의해 자기조립을 하여 특정한 미세구조를 형성한다. 본 실험에 사용된 화학식 1의 유기초분자는 쐐기 모양의 덴드리머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쐐기형의 분자들이 자기조립을 통해 판상 구조(1)를 형성하고, 이 판상구조들이 모여 기둥 형태(3)를 만들며, 다시 원기둥들이 육각형으로 배열된 3차원 구조(4)를 형성한다(도 1a). 그 외에 원뿔형태의 유기초분자(5)의 경우는 원뿔형들이 자기조립하여 구형(6)을 이루며, 구들이 모여 3차원 공간상에 일정한 구조(7)로 배열이 된다(도 1b).
본 발명에서, 기판(substrate)은 실리콘, 유리, 용융실리카, 고분자 등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단계의 박막은 스핀코팅(spin-coating), 문지르기(rubbing), 또는 수면에 박막을 형성하여 뜨는 방식(solution spreading) 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b) 단계는 사용한 유기초분자의 액정 상변이온도 이상으로 올린 후에 서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c) 단계의 화학흡착은 중심부분을 RuO₄(Ruthenium tetraoxide) 화합물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화학흡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d) 단계는 반응성 이온 에칭 방법 또는 이온 밀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모양의 유기초분자 나노패턴에 CNT를 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나노패턴의 기판에 금속촉매를 증착시킨 후, CNT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촉매는 철, 코발트 또는 니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의 나노패턴에 CNT를 배열하는 방법은 종래 당업계에 알려진 CNT의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기판상에 CNT를 화학기상법, 전기영동법 또는 기계적 방법에 의해 수직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KR 2002-0001260A). 또한 기판의 나노패턴에 아민기를 노출시킨 후, 카르복실기를 갖는 CNT를 아미드 결합으로 기판에 배열하고, 두개의 아민기를 갖는 화학물질을 링커로 사 용하여 CNT를 적층할 수도 있다 (도 2).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CNT 어레이에 단백질, 펩티드, 아미노산, DNA, 효소기질, 리간드, 아미노산, 코펙터, 탄수화물, 지질,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RN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나노어레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CNT에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를 부착하는 것은 CNT에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의 순 전하(net charge)와 반대되는 극성의 전하를 인가하여 결합시킬 수 있고 (KR 2003-0014997A), 또는 결합보조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한 결합 보조제로는 카본기 말단에 알데히드, 아민 또는 이민기가 붙어 있는 화학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단백질, 펩티드, 아미노산 등과 같은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는 각각의 고유한 등전점(isoelectric point)을 가지며, 용액상태의 이온의 세기나 pH 조건 등에 따라 중성, 양이온, 음이온 등으로 하전된 순 전하(net charge)를 갖는다. 또한 용액의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임의적으로 이들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와 일정한 전하를 갖는 CNT의 정전기적 상호작용(electrostatic interaction)과 소수성 상호작용(hydrophobic interaction)등의 상호작용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칩 위치에 같은 종류 혹은 각기 다른 종류의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들을 이동시키거나 어레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CNT 어레이에 단백질, 펩티드, 아미노산, DNA, 효소기질, 리간드, 아미노산, 코펙터, 탄수화물, 지질,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RNA로 구 성된 군에서 선택된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나노어레이 (nonoarray) 및 상기 바이오 나노어레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물질과 바이오리셉터간의 반응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질병에 관여되는 표적 단백질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단백질-특이적 리셉터(protein-specific receptor)를 하나의 칩 위에 나노어레이된 CNT에 전기장을 가해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CNT에 각기 다른 극성의 전기장을 걸어주어 다양한 질병에 관여하는 다양한 종류의 표적 단백질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들을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칩 위에서 다양한 종류의 질병을 한번에 대량으로 빠른 시간 내에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이오 나노어레이' 용어는 나노패턴에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물질과 결합하거나 반응하는 리셉터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바이오칩 및 바이오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먼저 <화학식 1>의 유기초분자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를 용매로 하여 1wt%의 용액을 만들어 기질 상에 박막을 형성시킨다. 박막형성시, 스핀코팅(spin-coating), 문지르기(rubbing), 또는 수면에 박막을 형성하여 뜨는 방식(solution spreading)을 주로 사용한다. 구현예에서는 기질 로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였으며, 표면의 개질은 수행하지 않았다 (도 3a).
이후 유기초분자들이 자기조립 되도록 액정 상변이온도 이상으로 온도를 올려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유기초분자의 경우, 액정 상변이온도가 230 정도이므로 240℃까지 온도를 올린 후 서냉하였으며, 상기 유기초분자는 원기둥 형태의 배열을 가지는 미세구조를 형성한다 (도 3b).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유기초분자들이 열처리에 의해 자기조립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유기초분자의 성질은 열처리에 의해 개질될 수 있는데, 열처리를 위한 적절한 시작 물질은 레이저 열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기초분자를 포함한다. 또한, 시작 물질로서 사용된 유기초분자는 상이한 조건 하에서 하나 이상의 사전 가열 단계를 겪을 수 있는데, 레이저 열분해에 의해 형성된 유기초분자의 열처리에 있어서, 추가의 처리는 결정성을 향상시키고, 원소 탄소와 같은 오염물을 제거하며, 가능하게는 예컨대 추가의 산소나, 기타 기상 또는 비기상 화합물로부터의 원소를 합체함으로써 화학량론을 변경시킬 수 있다. 유기초분자는 일반적으로 균일한 가열을 제공하도록 오븐 등에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 조건은 일반적으로 온화하여, 상당한 양의 입자 소결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열 온도는 시작 물질과 생성 물질 모두의 융점에 비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가 조성 변경을 포함하는 경우, 분자의 크기와 형태가 온화한 가열 온도에서도 변경될 수 있다.
자기조립 구조체는 물질/기재의 표면 상에 및/또는 그 표면 내에 발생된다. 자기조립 구조체는 경계 내에 위치 결정되어, 구조체는 위치 결정된 섬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구조체는 복수 요소의 회로 또는 기구의 부품으로서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구조체는 집적 전자 회로의 부품일 수 있으며, 이 구성 요소는 예컨대 전기 부품, 광학 소자 및 광자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한 경계 내에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관심 대상의 자기조립 구조체의 형성에는 일반적으로 구조체의 한도를 정하는 공정과 별도의 자기조립 공정이 필요하다. 경계를 정하는 공정은 일반적으로 구조체의 한도를 정하는 데에 외력을 활용한다. 자기조립 공정 자체는 일반적으로 구조체의 경계를 정하지 못한다. 자기조립은, 조성물/물질이 결합되는 경우에 결과적인 구조체 내에 자연적 순서(natural ordering)를 야기하는 조성물/물질의 자연 감지 기능을 기초로 한다. 일반적으로, 위치 결정 단계는 자기조립 공정의 전 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지만, 처리 단계의 성질은 특정 순서를 지시할 수도 있다. 알짜 효과(net effect)는, 경계 내에서는 나노입자가 상응하게 덮는 범위와, 이러한 덮는 범위가 없는 경계 외측의 구역을 갖는 자기조립 구조체를 야기한다. 별도의 경계를 정하는 공정은, 경계 내에서 자기조립 공정을 활성화시키거나 경계 외측의 영역을 비활성으로 되게 함으로써 자기조립 공정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활성화 공정 또는 비활성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외력이 가해져야 한다.
유기초분자들이 벌크 상에서 일정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조건의 공정을 통해 샘플을 제작한 결과, 도 4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본 유기초분자가 육각기둥 형태의 규칙적인 구조를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상기 유기초분자들의 자기조립에 의해 형성된 일정한 구조에 선택적으로 금속을 화학흡착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리 용기 속에 RuO4 용액과, 유기초분자 박막이 입혀진 기질을 용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같이 넣어둔다. 이 과정에서 RuO4 용액 중의 Ru 금속이 기상으로 확산되면서 기질상의 유기초분자 박막에 흡착이 된다. 흡착된 Ru 금속은 구조의 특정부분에 선택적으로 화학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RuO4를 사용하였으나 OsO4(osmium tetraoxide)나, 기타 유기초분자에 의해 형성된 구조에 선택적으로 화학흡착이 가능한 금속은 모두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상기 화학흡착 과정을 거친 후, 에칭 공정을 거치게 되면, 표면상의 유기초분자층이 일정부분 박리되어 최종적으로 나노패턴이 형성된 소자가 얻어지게 되며, 이와 같은 에칭 공정은 반도체 소자 공정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KCN-KOH 혼합용액 또는 HF 수용액 등의 에칭 용액을 사용하거나, 반응성 이온 에칭(RIE: Reactive Ion Etching) 또는 이온밀링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상기와 같이 형성된 나노패턴은 다양한 종류의 생체 물질들을 반응시켜 원하는 형태의 배열(array)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표면 기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고집적화와 소형화된 바이오칩을 생산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본 발명으로부터 얻어진 점 형태의 구조는 이에 상응하는 역상으로 구조의 변환이 가능하다. 점 형태의 구조가 형성된 기판 상에 실리콘 혹은 질화 실리콘(SiN)을 증착하여, 구조의 외부를 채워준다. 이후 원래 있던 점 형태의 구조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게 되면, 초기의 점 형태 구조에서 구멍 형태의 구조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얻어진 구조를 통해 구멍 형태의 역상을 얻은 다음, 구멍에 선택적으로 CNT 제조의 촉매로 사용되는 니켈, 철 등을 증착하게 되면 CNT 제조를 위한 주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CNT는 다중막과 단일막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단일막 CNT의 경우, 직경이 10nm 이하이므로 이 주형을 통해 제조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유기초분자의 합성
본 발명에서 사용한 화학식 1의 유기분자는 <반응식 1>과 같은 과정을 통해 합성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 65℃의 디포름아마이드에 베이스로 작용하는 포타슘 카보네이트를 녹인 후, 에틸 4'-하이드록시-4-바이페닐 카르복실레이트와 퍼플루오로도데실 브로마이드(1)를 넣고 18시간 동안 환류반응을 수행하고,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화합물(2)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화합물(2)는 정제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서 리튬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로 상온에서 1.5시간 동안 환원반응을 보낸 후, 디클로로메탄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의 혼합용매에 녹인 후 촉매정도의 양의 디포름아마이드를 넣어준 다음 티오닐클로라이드에 의해 상온에서 10여분 정도 염화반응을 일으켜 화합물(3)을 얻었다.
마지막 단계인 에스테르화 반응은 첫 단계와 유사하게 진행하였다. 디포름아마이드와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의 혼합용매와 포타슘 카보네이트의 혼합물에 메틸-3.4.5-트리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와 앞 단계에서 만들어진 화합물(3)을 넣고 70℃에서 24시간 동안의 환류반응을 통해 최종적으로 화학식(1)의 유기분자를 합성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 이 유기분자는 나노미터 이하 수준의 규칙적인 원기둥 구조를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응식 1>
Figure 112003020328732-pat00006
실시예 2: 기판 표면의 개질
본 발명에서는 기판의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은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였다. 필요에 의해 기질 상에 금속, 비금속 및 기타 박막을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유기초분자 박막의 형성
본 유기초분자 시료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용매에 녹여 실리콘 웨이퍼 상에 스핀코팅하여 박막을 형성시켰다 (도 3a). 본 발명에서는 2000~3000 rpm의 속도로 10~30초 동안 스핀 코팅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박막의 두께를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열처리(annealing)
240℃까지 온도를 올린 후에 서냉하여 규칙적인 미세구조를 형성시켰다 (도 3b). 본 발명에서 사용한 유기초분자의 경우 240℃에서 자기조립이 일어나며, 이는 사용하는 유기초분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온도에서 유기초분자들이 자기조립을 위한 충분한 이동성을 가지게 되며, 가장 안정된 구조로 자기조립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유기초분자의 경우는 원기둥이 육각형 모양으로 배열된 3차원 구조가 가장 안정적인 구조가 된다.
실시예 5: RuO₄(ruthenium tetraoxide)를 이용한 화학흡착
본 유기초분자의 경우 중심부분을 RuO4 화합물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화학흡착 시킬 수 있으므로, 수 분간 샘플을 RuO4에 노출시켜 중심부분에 Ru 금속을 화학흡착 시켰다(도 3c).
RuO4에 샘플을 노출시킬 경우, Ru 금속이 공기중으로 확산되어 유기초분자 박막 상에 흡착된다. Ru 금속은 특정한 반응기들(에테르 결합, 알코올, 벤젠고리, 아민 등)과 화학적으로 반응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한 유기초분자의 경우, 원기둥의 중심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이 Ru 금속에 의해 화학흡착 된다.
사용되는 유기초분자에 따라 화학흡착되는 금속을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OsO4 (osmium tetraoxide)의 경우는 탄소 이중결합, 알코올, 에테르 결합, 아민 등의 반응기에 화학흡착한다.
실시예 6: 에칭(etching)
이후 반응성 이온 에칭 과정을 거치게 되면 식각속도의 차이에 따라 중심부분이 남아있는 점 형태가 이루어지게 된다(도 3d). 도 5는 이로부터 형성된 점들의 형태를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는 CF4 기체를 이용하여 약 100초 간 에칭을 하였다. 에칭시간은 기기에 따라 차이가 생기므로 이는 모든 경우에 통용된다고는 할 수 없으며,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테스트 단계가 필요하다.
실시예 7: 기판에 나노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실시예 1 내지 6의 과정에 얻어진 유기초분자의 나노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기판을 식각하여 기판에 나노패턴을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기질 상에 중간층을 사용하지 않았으나, 기타 박막층을 기질과 유기초분자 박막 사이에 형성할 경우, 형성된 점 구조의 나노패턴은 이후의 식각 공정에서 마스크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점 패턴이 형성된 부분의 하단은 식각이 되지 않고, 표면이 드러난 중간 박막층은 식각이 되어 유기초분자에 의해 형성된 패턴이 중간 박막층으로 옮겨가게 되는 것이다. 이는 중간박막층으로 사용된 물질에 따라 달라지는데, 금속 박막층일 경우는 이온밀링(ion milling)에 의해 식각이 가능하며, 기타 비금속, 유기물 박막층일 경우 반응성 이온 에칭 및 이온밀링에 의해 식각이 가능하다. 식각 조건은 각 박막층의 특성에 따른다.
실시예 8: CNT 어레이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6을 통하여 얻어진 유기분자의 나노패턴이 형성된 기판위에 철, 코발트, 또는 니켈 금속촉매를 열증착, 스퍼터링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다음, 기판위에 패턴 된 유기분자들은 용매나 열분해에 의해 제거하였다. 이때 유기분자 위에 고정된 금속 입자들도 유기분자와 함께 제거 된다.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7을 통하여 얻어진 기판의 요홈에 철, 코발트,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 촉매들을 고정시켰다. 기질에 촉매 금속을 증착하여 고정한 후, C2H2, CH4, C2H4, C2H6, CO 등의 반응가스를 챔버 내로 공급하면서 양전극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여 글로우 방전을 일으켜서 기판 위의 미세한 촉매금속 어레이 위에 CNT를 합성하였다. 상기 합성된 CNT는 기질 위에서 고정된 금속 촉매의 규칙적인 배열에 의해 CNT 어레이를 형성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을 통하여 얻어진 나노패턴의 기판에 한국특허공개공보 2000-0001260에 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CNT를 수직으로 성장시켜 CNT 어레이를 제작하였다.
이 방법 이외에, 도 2와 같이, 기판의 요홈에 아민기를 노출시킨 후, 카르복실기를 갖는 CNT를 아미드 결합으로 기판에 배열하고, 두 개의 아민기를 갖는 화학물질을 링커로 사용하여 CNT를 적층할 수도 있다.
실시예 9: CNT 어레이에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의 부착을 통한 바이오 나노어레이의 제조
상기 실시예 8에서 제조된 CNT 어레이에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물질과 결합하는 바이오 리셉터를 부착하는 것은 CNT에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의 순 전하(net charge)와 반대되는 극성의 전하를 인가하여 결합시키거나 (KR 2003-0014997A), 또는 결합보조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한 결합 보조제로는 카본기 말단에 알데히드, 아민 또는 이민기가 붙어 있는 화학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초분자들의 자기조립(self-assembly)과 금속의 선택적 화학흡착(stanning)을 이용하여 형성된 나노미터 이하 사이즈의 요홈모양이나, 기둥모양의 패턴에 CNT를 배열하여 CNT 어레이를 제작하는 획기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NT 어레이에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물질과 결합하는 바이오 리셉터를 부착하여 바이오 나노어레이를 제작하는 획기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7)

  1.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미터 또는 그 이하 사이즈의 패턴에 탄소나노튜브(CNT) 어레이를 형성하는 방법:
    (a) 기판 상에 자기조립을 유발하는 디스크형 덴드리머 쐐기형(fan-shaped) 유기초분자 또는 원뿔형 유기초분자의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b) 열처리(annealing)에 의해 상기 유기초분자들을 자기조립시켜 규칙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유기초분자들의 자기조립에 의해 형성된 규칙적인 구조에 선택적으로 금속을 화학흡착시키는 단계;
    (d) 상기 선택적으로 금속이 화학흡착된 박막을 에칭하여 금속이 흡착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유기초분자의 나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유기초분자의 나노패턴에 CNT를 배열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a) 단계 이전에 기질 상에 금속 및 비금속, 유기물 박막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미터 또는 그 이하 사이즈의 패턴에 CNT 어레이를 형성하는 방법:
    (a) 기판 상에 자기조립을 유발하는 디스크형 덴드리머 쐐기형(fan-shaped) 유기초분자 또는 원뿔형 유기초분자의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b) 열처리(annealing)에 의해 상기 유기초분자들을 자기조립시켜 규칙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유기초분자들의 자기조립에 의해 형성된 규칙적인 구조에 선택적으로 금속을 화학흡착시키는 단계;
    (d) 상기 선택적으로 금속이 화학흡착된 박막을 에칭하여 금속이 흡착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유기초분자의 나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유기초분자의 나노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기판을 식각하여 기판에 나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나노패턴에 CNT를 배열하는 단계.
  4. 제3항에 있어서, (a) 단계 이전에 기질 상에 금속 및 비금속, 유기물 박막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유기초분자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5051500910-pat00007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a) 단계의 박막은 스핀코팅(spin-coating), 문지르기(rubbing), 또는 수면에 박막을 형성하여 뜨는 방식(solution spreading) 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b) 단계는 사용한 유기초분자의 액정 상전이온 도 이상으로 온도를 올린 후에 서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금속을 화학흡착시키는 단계는 RuO₄(ruthenium tetraoxide)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d) 단계는 반응성 이온 에칭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e) 단계는 유기초분자 나노패턴의 기판상에 금속촉매를 증착시킨 후, CNT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촉매는 철, 코발트 또는 니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3항에 있어서, (e) 단계는 아민기를 노출시킨 기판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CNT를 아미드 결합으로 기판에 배열하고, 두 개의 아민기를 갖는 화학물질을 링커 로 사용하여 CNT를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CNT 어레이에 단백질, 펩티드, 아미노산, DNA, 효소기질, 리간드, 아미노산, 코펙터, 탄수화물, 지질,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RN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나노어레이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CNT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CNT에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의 순 전하(net charge)와 반대되는 극성의 전하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CNT 어레이에 결합보조제를 이용하여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결합 보조제는 카본기 말단에 알데히드, 아민 또는 이민기가 붙어 있는 화학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3항 또는 제4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CNT 어레이에 단백질, 펩티드, 아미노산, DNA, 효소기질, 리간드, 아미노산, 코펙터, 탄수화물, 지질,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RN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나노어레이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CNT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CNT에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의 순 전하(net charge)와 반대되는 극성의 전하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CNT 어레이에 결합보조제를 이용하여 바이오물질 또는 바 이오 리셉터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결합 보조제는 카본기 말단에 알데히드, 아민 또는 이민기가 붙어 있는 화학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4항의 방법에 의해 제작되고, 나노패턴에 배열된 CNT 어레이에 단백질, 펩티드, 아미노산, DNA, 효소기질, 리간드, 아미노산, 코펙터, 탄수화물, 지질,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RN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나노어레이 (nonoarray).
  25. 제19항의 방법에 의해 제작되고, 기판의 나노패턴에 배열된 CNT 어레이에 단백질, 펩티드, 아미노산, DNA, 효소기질, 리간드, 아미노산, 코펙터, 탄수화물, 지질,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RN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바이오물질 또는 바이오 리셉터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나노어레이 (nonoarray).
  26. 제24항의 바이오 나노어레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물질과 바이오 리셉터간의 반응 검출방법.
  27. 제25항의 바이오 나노어레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물질과 바이오 리셉터간의 반응 검출방법.
KR1020030036530A 2003-06-05 2003-06-05 탄소나노튜브 어레이의 제작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49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530A KR100549103B1 (ko) 2003-06-05 2003-06-05 탄소나노튜브 어레이의 제작방법
US10/859,530 US20040245209A1 (en) 2003-06-05 2004-06-02 Method for fabricating a carbon nanotube array and a biochip using the self-assembly of supramolecules and staining of metal compound
JP2004165293A JP3951141B2 (ja) 2003-06-05 2004-06-03 有機超分子の自己集合及び金属化合物のステイニングを用いた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アレイ及びバイオチップの製作方法
CNB2004100462863A CN1332270C (zh) 2003-06-05 2004-06-04 利用超分子的自组装和金属化合物着色制备碳纳米管芯片和生物芯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530A KR100549103B1 (ko) 2003-06-05 2003-06-05 탄소나노튜브 어레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319A KR20040105319A (ko) 2004-12-16
KR100549103B1 true KR100549103B1 (ko) 2006-02-06

Family

ID=3348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5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9103B1 (ko) 2003-06-05 2003-06-05 탄소나노튜브 어레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245209A1 (ko)
JP (1) JP3951141B2 (ko)
KR (1) KR100549103B1 (ko)
CN (1) CN133227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8917B2 (en) 1998-12-17 2015-02-17 Hach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of fluid quality and treatment
US7454295B2 (en) 1998-12-17 2008-11-18 The Watereye Corporation Anti-terrorism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US9056783B2 (en) 1998-12-17 2015-06-16 Hach Company System for monitoring discharges into a waste water collection system
KR100812854B1 (ko) * 2002-10-02 2008-03-11 더 마이터 코포레이션 패턴화된 과립 운동을 이용하는 로봇식 조작 시스템
US8920619B2 (en) 2003-03-19 2014-12-30 Hach Company Carbon nanotube sensor
JP4927319B2 (ja) * 2003-07-24 2012-05-09 韓国科学技術園 高密度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フィルムまたはパターンを用いたバイオチップの製造方法
JP3935479B2 (ja) * 2004-06-23 2007-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ボンファイバー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使用した電子放出素子の製造方法、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該画像表示装置を用いた情報表示再生装置
US20060240492A1 (en) * 2004-11-12 2006-10-26 Rusling James F Carbon nanotube based immunosenso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KR100657221B1 (ko) * 2004-12-24 2006-12-14 한국기계연구원 콜로이드 자기조립에 의한 다공성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그 용도
KR20060091521A (ko) * 2005-02-15 2006-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계방출소자의제조방법
JP5041680B2 (ja) * 2005-06-17 2012-10-03 株式会社ハイペップ研究所 バイオチップ用基板及びバイオチップ
KR100704234B1 (ko) * 2005-08-18 2007-04-1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다공성 알루미나 나노틀을 이용한 규칙적으로 배열된 분자소자 어레이의 제조방법
JP2009506546A (ja) 2005-08-24 2009-02-12 ザ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ボストン カレッジ ナノスケール共金属構造を用いた太陽エネルギー変換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7589880B2 (en) 2005-08-24 2009-09-15 The Trustees Of Boston College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light using nanoscale cometal structures
US7649665B2 (en) 2005-08-24 2010-01-19 The Trustees Of Boston College Apparatus and methods for optical switching using nanoscale optics
US7754964B2 (en) 2005-08-24 2010-07-13 The Trustees Of Boston College Apparatus and methods for solar energy conversion using nanocoax structures
WO2007025004A2 (en) 2005-08-24 2007-03-01 The Trustees Of Boston College Apparatus and methods for nanolithography using nanoscale optics
EP1968752A2 (en) * 2005-12-02 2008-09-17 Northwestern University Nanotube assembly
US8679630B2 (en) * 2006-05-17 2014-03-25 Purdue Research Foundation Vertical carbon nanotube device in nanoporous templates
KR100856577B1 (ko) 2006-05-22 2008-09-04 주식회사 에스티앤아이 탄소나노튜브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20100068461A1 (en) * 2006-06-30 2010-03-18 University Of Wollongong Nanostructured composites
WO2008027571A2 (en) * 2006-08-30 2008-03-06 Liquidia Technologies, Inc. Nanoparticles having functional additives for self and directed assembly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KR100811266B1 (ko) 2006-09-01 2008-03-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하드 마스크를 이용한 선택적 식각 방법 및 이를 이용한메모리 소자의 소자분리 형성 방법
CA2670073A1 (en) 2006-11-17 2008-11-06 The Trustees Of Boston College Nanoscale sensors
US20100173228A1 (en) * 2006-12-14 2010-07-08 University Of Wollongong Nanotube and Carbon Layer Nanostructured Composites
US7869030B2 (en) * 2007-01-03 2011-01-11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ggregates of plural transition metal nanoparticles and plural cyanine dye molecules
US8343627B2 (en) 2007-02-20 2013-01-01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Core-shell nanoparticles with multiple cores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them
US8546027B2 (en) * 2007-06-20 2013-10-01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directed self-assembly technique for the creation of carbon nanotube sensors and bio-fuel cells on single plane
KR100923092B1 (ko) * 2007-11-30 2009-10-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조립법을 이용한 상온 전도성 또는 반도체성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US8715981B2 (en) * 2009-01-27 2014-05-06 Purdue Research Foundation Electrochemical biosensor
US20100297435A1 (en) * 2009-01-28 2010-11-25 Kaul Anupama B Nanotubes and related manufacturing processes
US8872154B2 (en) * 2009-04-06 2014-10-28 Purdue Research Foundation Field effect transistor fabrication from carbon nanotubes
CN101899288B (zh) * 2009-05-27 2012-11-21 清华大学 热界面材料及其制备方法
US8435798B2 (en) 2010-01-13 2013-05-07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ethods of operating a three-dimensional nano-electro-mechanical resonator and related devices
CN102539777B (zh) * 2010-12-10 2014-11-05 国家纳米科学中心 一种超分子自组装生物芯片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3037951A1 (en) * 2011-09-16 2013-03-21 Danmarks Tekniske Universitet Catalyst deposition for the preparation of carbon nanotubes
KR20130032507A (ko) * 2011-09-23 2013-04-0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 금속을 포함하는 자기조립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EP2788762B1 (en) 2011-12-05 2018-08-15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Graphene-biomolecule bioelectronic devices
CN102816197B (zh) * 2012-08-24 2015-04-29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新的嘧啶并嘧啶类核苷类似物、制备方法及其形成的超分子结构和应用
US8815729B1 (en) * 2013-03-04 2014-08-26 Globalfoundries Inc. Methods of forming structures on an integrated circuit product
US8828869B1 (en) 2013-03-28 2014-09-09 Globalfoundries Inc. Methods of forming masking layers for use in forming integrated circuit products
CN103712951B (zh) * 2013-12-31 2016-03-09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基于三维结构纳米阵列生物芯片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287813B1 (ko) * 2014-05-30 202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CN107105675B (zh) * 2014-10-28 2023-11-07 杨百翰大学 微生物抗性材料以及相关的装置、系统及方法
WO2017091802A1 (en) * 2015-11-27 2017-06-01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attern definition of nanocellulose sheets through selective ashing via lithographic masking
US10517995B2 (en) 2016-11-01 2019-12-31 Brigham Young University Super-hydrophobic materials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10146570A (zh) * 2019-05-09 2019-08-20 清华-伯克利深圳学院筹备办公室 酶电极及其制备方法、酶传感器、监测装置和治疗设备
CN114324568A (zh) * 2021-12-31 2022-04-12 浙江大学 鸟嘌呤肽核酸自组装纳米球基光子晶体的声场辅助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3854A (en) * 1989-06-07 1992-09-01 Affymax Technologies N.V. Large scale photolithographic solid phase synthesis of polypeptides and receptor binding screening thereof
JP3943272B2 (ja) * 1999-01-18 2007-07-11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フイルム化方法
JP4063451B2 (ja) * 1999-07-26 2008-03-19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パターン形成方法
US6401526B1 (en) * 1999-12-10 2002-06-1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arbon nanotub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using a liquid phase catalyst precursor
KR20020003782A (ko) * 2000-07-04 2002-01-15 이정욱 탄소나노튜브의 제작 방법
JP3843447B2 (ja) * 2000-12-01 2006-11-08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パターン形成方法
KR20020049547A (ko) * 2000-12-19 2002-06-26 류정열 차량 반자동변속기의 변속시스템
AU2002360670A1 (en) * 2001-12-19 2003-07-09 Wilk Patent Development Corporation Method and related composition employing nanostructures
US7189433B2 (en) * 2002-04-05 2007-03-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 film having alternatively monolayers of a metal-metal bonded complex monolayer and an organic monolayer by layer-by layer growth
US20040072994A1 (en) * 2002-10-15 2004-04-15 Herr Daniel J.C. Nanostructures including controllably positioned and aligned synthetic nanotubes, and related methods
US20040077156A1 (en) * 2002-10-18 2004-04-22 Loucas Tsakalakos Methods of defect reduction in wide bandgap thin films using nanolithography
US7166161B2 (en) * 2003-01-17 2007-01-23 Nitto Denko Corporation Anisotropic film manufactu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49334A (ja) 2005-02-24
KR20040105319A (ko) 2004-12-16
CN1332270C (zh) 2007-08-15
CN1601383A (zh) 2005-03-30
JP3951141B2 (ja) 2007-08-01
US20040245209A1 (en)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103B1 (ko) 탄소나노튜브 어레이의 제작방법
Smith et al. Patterning self-assembled monolayers
JP3953473B2 (ja) 有機超分子の自己集合及びuvエッチングを用いたナノパターン及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バイオナノアレイの製作方法
US7115305B2 (en) Method of producing regular arrays of nano-scale objects using nano-structured block-copolymeric materials
US5922214A (en) Nanometer scale fabrication method to produce thin film nanostructures
US20070127164A1 (en) Nanoscale Sensor
AU2001285439B2 (en) Directed assembly of nanometer-scale molecular devices
WO2005072089A2 (en) Controlled nanowire in permanent integrated nano-templates and method of fabricating sensor and transducer structures
KR20120026571A (ko) 열화학적 나노리소그래피 성분, 시스템 및 방법
JP2010053263A (ja) 微細構造を有する高分子薄膜およびパターン基板の製造方法
AU2001285439A1 (en) Directed assembly of nanometer-scale molecular devices
KR100523765B1 (ko) 유기초분자의 나노패턴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어레이의제작방법
KR100548017B1 (ko) 나노미터 또는 그 이하 사이즈의 패턴 형성방법
US20050112505A1 (en) Field-assisted micro- and nano-fabrication method
KR100549104B1 (ko) 10나노 이하 사이즈의 바이오 나노어레이 제조방법
Chen et al. Double-striped metallic patterns from PS-b-P4VP nanostrand templates
US7371331B2 (en) Method of creating a patterned monolayer on a surface
KR100563855B1 (ko) 나노패턴 구조물
JP2007518067A (ja) ナノ構造体チップの製造方法
JP3898198B2 (ja) 有機超分子の自己集合及び金属の化学吸着を用いたナノアレイの製作方法
KR20060008663A (ko) 나노 임프린트를 이용한 나노 물질의 패턴 형성방법
KR20060002146A (ko) 랭뮤어 블로제트을 이용한 나노 물질의 부착방법
Zhou et al. Integrated Nanostructures and Nanodevices Fabricated by Dip-Pen Nanolithography
Abdel Salam Khalifa Lithography Using an Atomic Force Microscope and Ionic Self-assembled Multilayers
Lusker Fabrication of Organosilane Nanostructures as Selective Sites for Surface Chemical Re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