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623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with adjustable focal length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with adjustable focal leng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8623B1 KR100548623B1 KR1020030032829A KR20030032829A KR100548623B1 KR 100548623 B1 KR100548623 B1 KR 100548623B1 KR 1020030032829 A KR1020030032829 A KR 1020030032829A KR 20030032829 A KR20030032829 A KR 20030032829A KR 100548623 B1 KR100548623 B1 KR 1005486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insertion hole
- lens unit
- lens
- mobile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화면과 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일정 깊이를 갖는 홈 형상의 카메라 삽입홀을 구비하는 본체와, 카메라 삽입홀의 내·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카메라 삽입홀의 외부로 돌출되는 끝단에는 피사체의 형상을 읽어들이는 카메라렌즈가 결합되는 렌즈부와 카메라 삽입홀의 내측에 고정결합되며 카메라렌즈로부터 입사된 사물의 형상을 영상화시키는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부와 렌즈부를 카메라 삽입홀의 입구쪽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렌즈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렌즈부 스프링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삽입홀에 렌즈부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렌즈부의 돌출을 간섭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 keypad for signal input,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groove-shaped camera insertion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 sensor that is formed in a protruding structure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amera insertion hole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amera insertion hole and the lens unit to which the camera lens to read the shape of the object is coupled, thereby imaging the shape of the object incident from the camera lens. A camera module having a sensor unit to which the lens is mounted and a lens unit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lens unit in a direction pushing the lens unit toward the entrance of the camera insertion hole, and a protrusion of the lens unit to maintain the lens unit inserted in the camera insertion hole. Equipped with a camera with adjustable focal length, including a lock that interferes with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단말기, 카메라, 줌, 초점 거리, 스프링Handset, Camera, Zoom, Focal Length, Spr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amera.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이다.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capable of adjusting the focal leng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의 상태에서 카메라모듈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도시한다.2B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camera module protrudes outward in the state of FIG. 2A.
도 3a는 카메라렌즈가 상폴더 내부로 인입되어있는 카메라 모듈과 고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3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amera module and a fixing device having a camera lens introduced into an image folder.
도 3b는 카메라렌즈가 상폴더 외부로 돌출되어있는 카메라 모듈과 고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module and the fixing device in which the camera lens protrudes out of the image fold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상폴더 110 : 이어피스100: upper folder 110: earpiece
120 : 액정화면 130 : 카메라 삽입홀120: LCD screen 130: camera insertion hole
132 : 돌출한정돌기 200 : 하폴더132: protrusion limited protrusion 200: lower folder
210 : 키패드 220 : 송신부210: keypad 220: transmitter
300 : 카메라모듈 310 : 렌즈부300: camera module 310: lens unit
312 : 카메라 렌즈 314 : 고정홈312
316 : 돌출한정홈 320 : 센서부316: protrusion limited groove 320: sensor
322 : 센서 330 : 렌즈부 스프링322
400 : 고정장치 410 : 스위치400: fixed device 410: switch
412 : 걸림돌기412: jamming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 없이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capable of performing a zoom function without additional power.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음성통화만이 가능하였으나, 최근 들어 통신 기술 및 이동통신단말기 제작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가 출시 및 상용화되고 있다. 최근에 상용화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기능 이외에, 이동통신단말기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 수신 및 발신, 대금결재 등 다양한 기능이 일반화 되어있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사물의 형상을 찍는 카메라폰 기능과 자신의 형상을 카메라로 찍어 상대 방에게 전송해 주는 화상이동통신단말기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다.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generally capable of only voice calls, but recently, a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ufacturing technologies are rapidly developed, multifunc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various consumers have been released and commercialized. . In recent year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widely used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game, internet search, e-mail reception and transmission, payment, etc. There is a trend that the camera phone function to take the shape of the object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installing the and the vide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to take the shape of the camera with the camera and transmit it to the other roo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amer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amera.
도 1을 참조하여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외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is as follows.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본체(20)와 폴더(21)로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10)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내부면에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송신부(24)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진 키패드(23)가 설치되고, 상기 폴더(21)의 내부면에는 문자 및 숫자를 나타내는 액정표시부(25)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신부(26)와 렌즈홀(27)이 설치되며 상기 렌즈홀(27)의 중앙에 카메라렌즈(28)를 설치하는 구조로 형성되어있다. As shown in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amera includes a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는 카메라렌즈의 초점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물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촬영하기 위해서는 사물과 이동통신단말기간의 거리를 조절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focal length of the camera lens is fix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conventional camera shown in FIG. 1, in order to enlarge or reduce the object,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uld be adjusted. have.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카메라 내부에서 렌즈의 거리를 조절하는 줌(Zoom) 기능을 채택하고 있지만,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되는 줌 장치에는 렌즈의 거리이동을 위한 모터가 추가되고 내부 구성이 복잡하게 변경되어야 하므로 내부 잉여공간이 부족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하는 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렌즈가 항상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카메라렌즈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digital cameras, to compensate for these drawbacks, a zoom function that adjusts the distance of the lens within the camera is adopted. However, a zoom device applied to the digital camera adds a motor for moving the distance of the lens. Since the configuration has to be changed intricately, there are many problems in apply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lacks an internal surplus space. In addition, since the camera lens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amera lens may be damaged.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동력이나 복잡한 장치 없이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capable of performing a zoom function without a separate power or complicated devic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는,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화면과 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일정 깊이를 갖는 홈 형상의 카메라 삽입홀을 구비하는 본체와, 카메라 삽입홀의 내·외부로 삽입 및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카메라 삽입홀의 외부로 돌출되는 끝단에는 피사체의 형상을 읽어들이는 카메라렌즈가 결합되는 렌즈부와 카메라 삽입홀의 내측에 고정결합되며 카메라렌즈로부터 입사된 사물의 형상을 영상화시키는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부와 렌즈부를 카메라 삽입홀의 입구쪽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렌즈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렌즈부 스프링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삽입홀에 렌즈부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렌즈부의 돌출을 간섭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capable of adjusting a focal leng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predetermined depth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 keypad for signal input. A lens unit having a main body having a groove-shaped camera insertion hole and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and protruded into and out of the camera insertion hole, and a camera lens that reads the shape of the subject is coupled to an end protruding out of the camera insertion hole. And a sensor part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amera insertion hole and to which a sensor is mounted to image the shape of an object incident from the camera lens, and a lens part spring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lens part in a direction pushing the lens part toward the entrance of the camera insertion hole. A camera module and a lens to keep the lens portion inserted into the camera insertion ho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tainer to interfere with the projecting portion.
렌즈부는 카메라 삽입홀의 벽면과 맞닿는 부위에 오목한 형상의 고정홈이 형 성되고, 고정장치는 렌즈부가 카메라 삽입홀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홈과 대응되는 부위에 고정홈으로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볼록한 형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ens portion is formed with a concave fixing groove in a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wall of the camera insertion hole, the fixing device is a convex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fixing groove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when the lens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amera insertion ho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witch is formed a locking projection.
이때, 고정장치는 걸림돌기가 고정홈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스위치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위치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하여, 카메라 삽입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렌즈부가 카메라 삽입홀의 내부로 인입될 때 걸림턱이 자동으로 고정홈에 인입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witch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switc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so that the locking jaw is automatically inserted when the lens portion protruding outside the camera inser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camera insertion hole. It is configured to be drawn into the fixing groove.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이다.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capable of adjusting the focal leng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상폴더(100)와 하폴더(200)로 이루어지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를 장착시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isting of the
상폴더(100)의 내측면에는 음향을 출력하는 이어피스(110)와, 촬영되는 사물의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화면(120)과, 액정화면(120)의 영상출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형상의 카메라 삽입홀(130)이 구비되고, 카메라 삽입홀(130)에는 액정화면(120)의 출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촬영을 실행하는 카메라모듈(300)이 결합된다. 또한, 카메라 삽입홀(130)의 일측에는 카메라모듈(3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400)가 추가로 구비된다.The inner surface of the
하폴더(200)의 내측면에는 신호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210)와, 음향을 수신하는 송신부(220)가 내측면에 장착된다.On the inner side of the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모듈(300)은 피사체의 형상을 받아들이는 카메라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촬영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카메라모듈(300)의 구조는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300)이 상폴더(100)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어 있는 상태는 종래의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와 촬영 기능 및 외형이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의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듯이, 액정화면(120)을 통하여 피사체의 형상을 보며 키패드(210)를 조작하여 촬영을 실시한다.As shown in FIG. 2A, the
도 2b는 도 2a의 상태에서 카메라모듈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도시한다.2B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camera module protrudes outward in the state of FIG. 2A.
도 2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고정장치(400)를 우측으로 밀게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300)의 일부가 카메라 삽입홀(130)의 외부로 돌출된다.When the user pushes the
이와 같이 카메라모듈(300)의 일부가 카메라 삽입홀(13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는 카메라렌즈의 초점거리가 늘어난 상태로서, 카메라렌즈로 입사된 피사체의 형상은 도2a의 경우보다 확대되어 촬영되므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피사체에 가깝게 위치시키지 아니하고서도 피사체를 크게 촬영할 수 있게된다.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도 3a는 카메라렌즈가 상폴더 내부로 인입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과 고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3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amera module and a fixing device in which a camera lens is inserted into an image folder.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300)은, 카메라 삽입홀(130)의 내·외부로 삽입 및 돌출 가능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며 카메라 삽입홀(130)의 입구 끝단에 피사체의 형상을 읽어들이는 카메라렌즈(312)를 구비하고 카메라 삽입홀(130)의 벽면과 맞닿는 부위에 오목한 형상의 고정홈(314)이 형성되는 렌즈부(310)와, 카메라 삽입홀(130)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렌즈부(310)가 카메라 삽입홀(13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한쪽 끝단이 렌즈부(3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센서부(320)와, 카메라 삽입홀(130)의 바닥면과 렌즈부(310)의 하단 사이에 결합되어 렌즈부(310)를 카메라 삽입홀(130)의 입구쪽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렌즈부(3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렌즈부 스프링(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A, the
카메라 모듈(3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400)는, 렌즈부(310)가 카메라 삽입홀(130)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홈(314)과 대응되는 부위에 고정홈(314)으로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볼록한 형상의 걸림돌기(412)가 형성되고 렌즈부(310)의 이동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410)와, 걸림돌기(412)가 고정홈(314)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스위치(4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위치 스프링(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xing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삽입홀(130)에 완전히 삽입되어있는 상태의 렌즈부(310)는 렌즈부 스프링(330)에 의하여 카메라 삽입홀(130)의 입구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 받고 있지만, 고정홈(314)에 삽입되는 스위치(410)의 걸림돌기(412)에 의하여 카메라 삽입홀(130) 외측으로의 돌출이 제한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3A, the
또한, 카메라 삽입홀(130)의 내측 벽면에는 볼록한 형상의 돌출한정돌기(132)가 형성되고, 렌즈부(310)는 카메라 삽입홀(130)과 맞닿는 외측 벽면에 돌출한정돌기(132)를 묻을 수 있는 깊이를 가지며 렌즈부(310)의 돌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돌출한정홈(316)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convex projecting
도 3b는 카메라렌즈가 상폴더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과 고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module and the fixing device in which the camera lens protrudes out of the image folder.
도 3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 스프링(420)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스위치(410)를 밀게되면, 걸림돌기(412)는 고정홈(314)으로부터 이탈되고, 렌즈부(310)는 렌즈부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카메라 삽입홀(130)의 외부로 돌출된다.When the user pushes the
이때, 렌즈부(310)는 카메라 삽입홀(130)의 외부로 돌출되는 도중에 돌출한정돌기(132)가 돌출한정홈(316)의 하단 벽면에 닿게되면, 더 이상 돌출되지 아니하고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렌즈부(310)는 돌출한정홈(316)의 길이에 따라 돌출거리가 증감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은 돌출한정돌기(132)와 돌출한정홈(316)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렌즈부(310)는 카메라 삽입홀(130)의 외부로 분리되지 아니하고 일정한 거리만큼의 돌출이 가능해진다.Due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protruding limiting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310)가 카메라 삽입홀(130)의 외부로 돌출되면, 카메라렌즈(312)와 센서(322)의 거리가 도 3a의 경우보다 멀어져 초점거리가 길어지므로, 피사체의 크기가 확대되어 촬영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B, when the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면,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제자리에서 피사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촬영할 수 있게된다.Thus, when the user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djust the size of the subject in place without a separate driving device and take a picture.
또한, 도 3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렌즈부(310)를 카메라 삽입홀(130)의 내부로 밀어 넣음에 따라 고정홈(314)이 하향으로 이동하여 걸림돌기(412)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면, 걸림돌기(412)는 스위치 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홈(314)으로 삽입되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310)의 돌출을 간섭하게된다.In addition, in the state of FIG. 3B, when the user pushes the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310)가 카메라 삽입홀(130)의 내부로 인입되면, 카메라렌즈(312)와 센서(322)의 거리가 도 3b의 경우보다 가까워져 초점거리가 짧아지므로, 피사체의 크기가 축소되는 대신 촬영범위는 확대된다.As shown in FIG. 3A, when the
카메라렌즈(312)와 센서(322)간의 거리 변동으로 인하여 피사체의 크기가 확대 또는 축소되어 촬영되는 원리는 종래의 줌 카메라(Zoom camera)에 적용되는 원리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ue to the variation in distance between the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폴더형 휴대폰에 적용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적용이 폴더형 휴대폰에 제한을 두는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모듈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화면의 출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촬영방향을 갖도록 액정화면이 장착되는 면에 결합되는 구조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기타 다양한 방향으로 촬영방향을 가질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든 부위에 결합되는 구조로 적용이 가능하다.Although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 applied to the clamshell cell phone is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lamshell cell phone. . 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coupled to the surface on which the LCD screen is mounted so as to have a shooting direc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utput direction of the LCD screen,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other directions. It can be applied to the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all par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have a shooting direction.
본 발명은 각종 이동통신단말기와 PDA 등 모든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mobile terminals such as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PDA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면,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피사체의 촬영크기 조절과 촬영범위 조절이 가능해지고, 별도의 동력이나 복잡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므로 전력 절감의 효과와 제조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Whe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capable of adjusting the focal leng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zoom function can be perform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adjust the shooting size of the subject and adjust the shooting range,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wer or complicated device. No, it has the advantage of saving power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32829A KR100548623B1 (en) | 2003-05-23 | 2003-05-23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with adjustable focal leng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32829A KR100548623B1 (en) | 2003-05-23 | 2003-05-23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with adjustable focal length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0457A KR20040100457A (en) | 2004-12-02 |
KR100548623B1 true KR100548623B1 (en) | 2006-01-31 |
Family
ID=3737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32829A KR100548623B1 (en) | 2003-05-23 | 2003-05-23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with adjustable focal lengt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4862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6704B1 (en) * | 2005-05-24 | 2007-04-11 | 주식회사 맥퀸트전자 | Case for applying signal |
KR100770846B1 (en) | 2005-05-13 | 2007-10-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Camera module auto focus |
KR100741791B1 (en) * | 2005-06-24 | 2007-07-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lens foc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100735456B1 (en) * | 2005-11-15 | 2007-07-04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cover and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
KR100857296B1 (en) * | 2006-11-16 | 2008-09-0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100867511B1 (en) * | 2007-06-20 | 2008-11-10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101459420B1 (en) * | 2008-08-27 | 2014-11-0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Length-adjustable speed sensor assembly |
CN110138913A (en) * | 2018-02-09 | 2019-08-16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Mobile terminal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75287A (en) * | 1996-08-30 | 1998-03-17 | Kokusai Electric Co Ltd | Mobile video phone |
JPH11205761A (en) * | 1998-01-14 | 1999-07-30 | Mitsubishi Electric Corp | Portable telephone set having camera function |
JP2000115597A (en) * | 1998-10-09 | 2000-04-21 | Canon Inc | Image pickup device with communication function, image pickup method, image pickup system and storage medium |
KR20030003975A (en) * | 2001-07-04 | 2003-01-14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Camera system |
KR20040093849A (en) * | 2003-04-30 | 2004-11-09 | 주식회사 엠투시스 | Camera device for communication machine |
KR20040100456A (en) * | 2003-05-23 | 2004-12-02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able to regulate focal distance |
-
2003
- 2003-05-23 KR KR1020030032829A patent/KR10054862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75287A (en) * | 1996-08-30 | 1998-03-17 | Kokusai Electric Co Ltd | Mobile video phone |
JPH11205761A (en) * | 1998-01-14 | 1999-07-30 | Mitsubishi Electric Corp | Portable telephone set having camera function |
JP2000115597A (en) * | 1998-10-09 | 2000-04-21 | Canon Inc | Image pickup device with communication function, image pickup method, image pickup system and storage medium |
KR20030003975A (en) * | 2001-07-04 | 2003-01-14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Camera system |
KR20040093849A (en) * | 2003-04-30 | 2004-11-09 | 주식회사 엠투시스 | Camera device for communication machine |
KR20040100456A (en) * | 2003-05-23 | 2004-12-02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able to regulate focal distan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0457A (en) | 2004-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234786A1 (en) | Portable terminal | |
KR20040073604A (en) | Cellular telephone | |
KR100548339B1 (en) | Camera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KR100548623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with adjustable focal length | |
KR100713379B1 (en) | Camera lens assembly in portable terminal | |
KR100630162B1 (en) |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dual LCD | |
KR100474035B1 (en) | Mobile phone with built-in camera | |
KR20050100524A (en) | A slide type mobile phone with ratating camera | |
KR100513066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able to regulate focal distance | |
KR100494652B1 (en) | Mobile phone having cover for camera | |
KR20040001432A (en) | Mobile phone having camera | |
KR100582363B1 (en) | Mobile terminal for scanning projector images in various directions | |
KR100473502B1 (en) | Mobile phone with built-in camera | |
KR20040038021A (en) | Mobile phone with built-in camera | |
KR200355876Y1 (en) | zoom lens mounting apparatus of a camera for mobile communicaton terminal | |
KR100678161B1 (en) | Charger for video communication of wireless terminal | |
KR100620697B1 (en) | Clamshell phone with automatic pop-up camera | |
JP4604548B2 (en) | Mobile device | |
KR100895171B1 (en) | Hinge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100497466B1 (en) | Mobile phone having dual camera | |
KR20040076009A (en) | Mobile phone having camera | |
KR100564018B1 (en) | Sliding phone with camera | |
KR200355989Y1 (en) | Pop-up camera lens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 |
KR100689529B1 (en) | Camera lens assembly in portable terminal | |
KR20040070897A (en) | Slide type mobile phone having camer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9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601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1209 |